KR101005762B1 - 차량용 능동 전륜 조향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능동 전륜 조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5762B1
KR101005762B1 KR1020050023658A KR20050023658A KR101005762B1 KR 101005762 B1 KR101005762 B1 KR 101005762B1 KR 1020050023658 A KR1020050023658 A KR 1020050023658A KR 20050023658 A KR20050023658 A KR 20050023658A KR 101005762 B1 KR101005762 B1 KR 101005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sensor
steering
afs
input
gear rat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3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1976A (ko
Inventor
김성주
정성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50023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5762B1/ko
Publication of KR20060101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1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5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5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08Changing the transfer ratio between the steering wheel and the steering gear by variable supply of energy, e.g. by using a superposition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6Controlling th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81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monitoring the steering system, e.g. fail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AFS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조향 시스템에 적용되어, 운전자 핸들의 조향입력에 대한 출력각도를 가변시켜 줌으로써 차량의 거동을 보다 안정화시킬 수 있도록 한 AFS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축의 조향 입력각을 검출하는 입력각 센서와, 조향기어 또는 조향칼럼에 장착되어 입력각에 대한 출력각도를 변화시켜 조향 기어비를 가변시키는 조향 기어비 가변기구와, 상기 조향 기어비 가변기구를 작동시키는 AFS 모터와, 출력축의 조향 출력각을 검출하는 출력각 센서와, 상기 AFS 모터의 회전을 구속하기 위한 락킹기구와, 차속을 입력받아 차속별 목표 조향 기어비의 설정 맵을 통해 해당 차속에 따른 목표 조향 기어비를 설정하고, 이 목표 조향 기어비에 상기 입력각 센서에서 검출되는 입력각을 곱하여 구한 출력각과 상기 출력각 센서에서 검출되는 실제 출력각간의 차이값이 기준값 이내가 되도록 상기 AFS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AFS ECU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와 같이 입력각 센서와 출력각 센서만을 구비하고, 이 두 개의 센서중 하나는 절대각 센서를, 나머지 하나는 상대각 센서를 사용하여 종래의 모터 위치 센서가 필요없는 단순 구조의 AFS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AFS 시스템 구성시 제조상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AFS, 입력각 센서, 출력각 센서, 절대각 센서, 상대각 센서

Description

차량용 능동 전륜 조향 시스템{ACTIVE FRONT STEERING SYSTEM FOR CA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AFS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조향핸들 2 : 조향칼럼
3 : 입력각 센서 4 : 조향 기어비 가변기구
5 : AFS 모터 6 : 출력각 센서
7 : 락킹기구 8 : AFS ECU
본 발명은 차량용 능동 전륜 조향(Active Front Steering : 이하, 'AFS'라 칭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성기어 세트로 이루어진 조향 기어비 가변기구를 포함하는 AFS 시스템에 있어서, 모터 위치 센서를 제외한 입력각 센서와 출력각 센서만을 구비하고, 이 두 개의 센서중 하나는 절대각 센서를, 나머지 하나는 상대각 센서를 사용함으로써 AFS 시스템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제조상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AFS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적용되는, 전자제어장치(Electronic Control Unit ; 이 하, 'ECU'라 칭함)를 이용하여 차량의 속도에 따라 운전자 핸들의 조작력을 줄여주어 가볍고 신속한 조향조작이 가능하도록 한 조향 시스템은, 기존의 유압식 파워 조향 시스템에 유압을 조정하는 전자제어밸브가 추가되어 어시스트량을 조절하는 전자제어 파워 조향(Electronic Power Steering) 시스템과 순수한 모터의 구동에 의해 어시스트량을 조절하는 전동식 파워 조향(Electric Power Steering) 시스템으로 구분된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조향 시스템을 장착한 차량에 있어서, 운전자 핸들과 조향 액츄에이터 사이에 조향 기어비를 가변하기 위한 조향 기어비 가변기구 및 AFS 모터를 구비시켜, 이 조향 기어비 가변기구의 작동을 통해 운전자 핸들의 조향입력에 대한 출력각도를 가변시켜 줌으로써 차량의 거동을 보다 안정화시킬 수 있도록 한 AFS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다.
이때, 상기 조향 기어비 가변기구는 선기어와 링기어 및 캐리어 등으로 이루어진 유성기어 세트로 구성되고, 이 유성기어 세트로 구성된 조향 기어비 가변기구를 포함하는 AFS 시스템은 입력축의 조향 입력각을 검출하는 입력각 센서와, 출력축의 조향 출력각을 검출하는 출력각 센서와, 모터의 위치를 검출하는 모터 위치 센서와, 차속에 따른 목표 조향 기어비를 설정하여 AFS 모터 및 조향 기어비 가변기구를 작동시키는 AFS ECU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AFS 시스템은 AFS ECU에서 차속을 입력받아 차속별 목표 조향 기어비의 설정 맵을 통해 해당 차속에 따른 목표 조향 기어비를 설정하고, 이 설정된 조향 기어비와 입력각으로부터 출력각을 연산하며, 이 연산된 출력각을 추 종할 수 있도록 AFS 모터의 위치제어를 수행한다.
한편, 종래 AFS 시스템에서는 상기 입력각 센서에서 검출되는 입력각, 상기 출력각 센서에서 검출되는 출력각, 상기 모터 위치 센서에서 검출되는 모터 위치 간의 신호 비교를 통해 AFS 시스템이 정상 작동중인지를 판별하고, 이상이 발견될 경우 AFS 모터와 연결된 락킹기구를 작동시켜 AFS 모터의 회전을 방지함으로써 입력축의 회전이 출력축의 회전으로 연결되는 최소한의 기구적 동력전달만이 이루어져 입출력 간에 고정된 기어비로 작동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래 AFS 시스템에서는 입력각 센서 및 출력각 센서에서 검출되는 신호만으로 충분히 AFS 모터의 위치제어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입력각 센서 및 출력각 센서 이외에 모터 위치 센서를 더 구비함에 따라 AFS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해지고 제고 비용 역시 더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유성기어 세트로 이루어진 조향 기어비 가변기구를 포함하는 AFS 시스템에 있어서, 모터 위치 센서를 제외한 입력각 센서와 출력각 센서만을 구비하고, 이 두 개의 센서중 하나는 절대각 센서를, 나머지 하나는 상대각 센서를 사용함으로써 AFS 시스템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제조상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AFS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AFS 시스템은, 운 전자 핸들의 조향입력에 대한 출력각도를 가변시켜 줌으로써 차량의 거동을 보다 안정화시킬 수 있도록 한 AFS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축의 조향 입력각을 검출하는 입력각 센서와, 조향기어 또는 조향칼럼에 장착되어 입력각에 대한 출력각도를 변화시켜 조향 기어비를 가변시키는 조향 기어비 가변기구와, 상기 조향 기어비 가변기구를 작동시키는 AFS 모터와, 출력축의 조향 출력각을 검출하는 출력각 센서와, 상기 AFS 모터의 회전을 구속하기 위한 락킹기구와, 차속을 입력받아 차속별 목표 조향 기어비의 설정 맵을 통해 해당 차속에 따른 목표 조향 기어비를 설정하고, 이 목표 조향 기어비에 상기 입력각 센서에서 검출되는 입력각을 곱하여 구한 출력각과 상기 출력각 센서에서 검출되는 실제 출력각간의 차이값이 기준값 이내가 되도록 상기 AFS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AFS ECU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AFS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AFS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도면으로서, 조향칼럼(2)에 결합된 조향핸들(1)과, 입력축의 조향 입력각을 검출하는 입력각 센서(3)와, 조향기어 또는 상기 조향칼럼(2)에 장착되어 입력각에 대한 출력각도를 변화시켜 조향 기어비를 가변시키는 조향 기어비 가변기구(4)와, 상기 조향 기어비 가변기구(4)를 작동시키는 AFS 모터(5)와, 출력축의 조향 출력각을 검출하는 출력각 센서(6)와, 상기 AFS 모터(5)의 회전을 구속하기 위한 락킹기구(7)와, 차속을 입력받아 차속별 목표 조향 기어비의 설정 맵을 통해 해당 차속에 따른 목표 조향 기어비를 설정하고, 이 목표 조향 기어비에 상기 입력각 센서(3)에서 검출되는 입력각을 곱하여 구한 출력각과 상기 출력각 센서(6)에서 검출되는 실제 출력각간의 차이값이 기준값 이내가 되도록 상기 AFS 모터(5)의 작동을 제어하는 등, AFS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AFS ECU(8)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조향 기어비 가변기구(4)는 선기어와 링기어 및 캐리어 등으로 이루어진 유성기어 세트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AFS 시스템에서는 종래 AFS 모터(5)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모터 위치 센서를 제외하고 입력각 센서(3)와 출력각 센서(6)만을 구비하며, 이 두 개의 센서중 하나는 절대각 센서를, 나머지 하나는 상대각 센서를 사용하도록 한다.
즉, 입력각 센서(3)로 절대각 센서를 사용한 경우라면 출력각 센서(6)로 상대각 센서를 사용하고, 반대로 입력각 센서(3)로 상대각 센서를 사용한 경우라면 출력각 센서(6)로 절대각 센서를 사용하여 모터 위치 센서가 필요없는 단순 구조의 AFS 시스템을 구현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AFS 시스템에서는 상기 AFS ECU(8)에서 차속을 입력받아 차속별 목표 조향 기어비의 설정 맵을 통해 해당 차속에 따른 목표 조향 기어비를 설정하고, 이 설정된 조향 기어비와 상기 입력각 센서(3)에서 검출된 입력각으로부터 출력각을 연산하며, 이 연산된 출력각을 추종하도록 상기 AFS 모터(5)의 위치제어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AFS ECU(8)는 상기 입력각 센서(3)에서 검출되는 입력각에 목표 조향 기어비를 곱하여 구한 출력각과 상기 출력각 센서(6)에서 검출되는 실제 출력각간의 차이값을 구하고, 이 구한 차이값이 기준값 이내가 되도록 AFS 모터(5) 및 조향 기어비 가변기구(4)를 제어하게 된다.
만약, 상기 출력각과 실제 출력각간의 차이값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라면 AFS 시스템에 페일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AFS 시스템내 AFS 모터(5)와 연결된 락킹기구(7)를 작동시켜 이 락킹기구(7)에 의해 AFS 모터(5)의 구동을 구속함으로써 입력축의 회전이 출력축의 회전으로 연결되는 최소한의 기구적 동력전달만이 이루어져 입출력 간에 고정된 기어비로 작동하도록 한다.
이상,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성기어 세트로 이루어진 조향 기어비 가변기구를 포함하는 AFS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각 센서와 출력각 센서만을 구비하고, 이 두 개의 센서중 하나는 절대각 센서를, 나머지 하나는 상대각 센서를 사용하여 종래의 모터 위치 센서가 필요없는 단순 구조의 AFS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AFS 시스템 구성시 제조상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차량의 조향 시스템에 적용되고, 운전자 핸들의 조향입력에 대한 출력각도를 가변시켜 줌으로써 차량의 거동을 보다 안정화시킬 수 있도록 한 AFS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축의 조향 입력각을 검출하는 입력각 센서와,
    조향기어 또는 조향칼럼에 장착되어 입력각에 대한 출력각도를 변화시켜 조향 기어비를 가변시키는 조향 기어비 가변기구와,
    상기 조향 기어비 가변기구를 작동시키는 AFS 모터와,
    출력축의 조향 출력각을 검출하는 출력각 센서와,
    상기 AFS 모터의 회전을 구속하기 위한 락킹기구와,
    차속을 입력받아 차속별 목표 조향 기어비의 설정 맵을 통해 해당 차속에 따른 목표 조향 기어비를 설정하고, 이 목표 조향 기어비에 상기 입력각 센서에서 검출되는 입력각을 곱하여 구한 출력각과 상기 출력각 센서에서 검출되는 실제 출력각간의 차이값이 기준값 이내가 되도록 상기 AFS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AFS ECU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입력각 센서로 절대각 센서를 사용하고, 상기 출력각 센서로 상대각 센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능동 전륜 조향 시스템.
  2. 삭제
  3. 차량의 조향 시스템에 적용되고, 운전자 핸들의 조향입력에 대한 출력각도를 가변시켜 줌으로써 차량의 거동을 보다 안정화시킬 수 있도록 한 AFS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축의 조향 입력각을 검출하는 입력각 센서와,
    조향기어 또는 조향칼럼에 장착되어 입력각에 대한 출력각도를 변화시켜 조향 기어비를 가변시키는 조향 기어비 가변기구와,
    상기 조향 기어비 가변기구를 작동시키는 AFS 모터와,
    출력축의 조향 출력각을 검출하는 출력각 센서와,
    상기 AFS 모터의 회전을 구속하기 위한 락킹기구와,
    차속을 입력받아 차속별 목표 조향 기어비의 설정 맵을 통해 해당 차속에 따른 목표 조향 기어비를 설정하고, 이 목표 조향 기어비에 상기 입력각 센서에서 검출되는 입력각을 곱하여 구한 출력각과 상기 출력각 센서에서 검출되는 실제 출력각간의 차이값이 기준값 이내가 되도록 상기 AFS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AFS ECU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입력각 센서로 상대각 센서를 사용하고, 상기 출력각 센서로 절대각 센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능동 전륜 조향 시스템.
KR1020050023658A 2005-03-22 2005-03-22 차량용 능동 전륜 조향 시스템 KR101005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658A KR101005762B1 (ko) 2005-03-22 2005-03-22 차량용 능동 전륜 조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658A KR101005762B1 (ko) 2005-03-22 2005-03-22 차량용 능동 전륜 조향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976A KR20060101976A (ko) 2006-09-27
KR101005762B1 true KR101005762B1 (ko) 2011-01-06

Family

ID=37632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3658A KR101005762B1 (ko) 2005-03-22 2005-03-22 차량용 능동 전륜 조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57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4260A (ko) * 2014-08-25 2016-03-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능동전륜 조향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354B1 (ko) * 2007-10-31 2008-09-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fs-mdps 통합 액츄에이터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1590A (ja) * 2002-05-27 2004-01-08 Toyoda Mach Works Ltd 操舵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1590A (ja) * 2002-05-27 2004-01-08 Toyoda Mach Works Ltd 操舵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4260A (ko) * 2014-08-25 2016-03-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능동전륜 조향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153981B1 (ko) 2014-08-25 2020-09-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능동전륜 조향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976A (ko) 2006-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92050B2 (en) Steering apparatus for steer by wire system
US6763908B2 (en) Steering device for a vehicle
ITRM20090032A1 (it) Sistema per il controllo della guida di un veicolo.
CN110550091A (zh) 线控转向式转向系统和操作此类系统的方法
JP2010023655A (ja) モータユニット、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及び車両用操舵装置
KR101646385B1 (ko) 전자제어 능동 후륜 조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20170028970A1 (en) Vehicle parking assist system
KR100968066B1 (ko) 능동 전륜 조향 시스템에서의 조향각 센서의 오프셋보상제어방법
JP6125534B2 (ja) 角度差センサを有する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031057B1 (ko) 차량용 능동 전륜 조향 시스템
KR101005762B1 (ko) 차량용 능동 전륜 조향 시스템
KR100651144B1 (ko) 자동차의 능동 전륜 조향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7548807B2 (en) Method for steering a vehicle with superimposed steering
CN114802414A (zh) 基于线控转向系统的角传动比调节方法、装置及汽车
JP3666322B2 (ja) 車両用自動操舵装置
KR100966741B1 (ko) 능동 전륜 조향 시스템에서의 페일세이프 제어방법
KR20080109963A (ko) 동축 이중 감속기 타입 능동 전륜 조향 장치
US10913459B2 (en) Shift switching mechanism of utility vehicle
KR20060077238A (ko) 조향 기어비 가변 시스템을 장착한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시스템에서의 어시스트 맵 설정방법
KR100670189B1 (ko) 능동 전륜 조향 시스템을 이용한 조향 시스템의페일세이프제어방법
KR101076541B1 (ko) 능동 전륜 조향 시스템
JP7389605B2 (ja) 操舵制御装置
KR20060077242A (ko) 능동 전륜 조향 시스템의 조향 제어방법
KR20070020815A (ko) 능동 전륜 조향 시스템에서의 페일세이프 제어방법
KR100795038B1 (ko) 능동 전륜 조향 시스템의 조향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