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5482B1 - 돌비늘을 이용한 오미자 재배방법 - Google Patents

돌비늘을 이용한 오미자 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5482B1
KR101005482B1 KR1020100094975A KR20100094975A KR101005482B1 KR 101005482 B1 KR101005482 B1 KR 101005482B1 KR 1020100094975 A KR1020100094975 A KR 1020100094975A KR 20100094975 A KR20100094975 A KR 20100094975A KR 101005482 B1 KR101005482 B1 KR 101005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a
liquid fertilizer
schisandra chinensis
dissolved oxygen
ground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4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석
Original Assignee
이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석 filed Critical 이순석
Priority to KR1020100094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54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5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54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05Fruit crops, e.g. strawberries, tomatoes or cucumb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1/00Methods of fertilising, sowing or planting
    • A01C21/005Following a specific plan, e.g. pattern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3/00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additives not having a specially fertilising activ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00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20Liquid fertilis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oi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돌비늘을 이용한 오미자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돌비늘 분말과 용존산소량을 높인 지하수를 사용하여 제조된 액체비료로 오미자를 재배하여 잎이 두꺼워지고 줄기가 단단해지며 각종 병원균에 대한 항균성이 뛰어나 생육상태가 좋아 생산량 또한 증대되고 오미자 열매의 당도가 높아지며 별도의 농약이나 비료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무농약 사용의 친환경 재배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돌비늘을 이용한 오미자 재배방법{Cultivating method for Schizandra chinensis using mica}
본 발명은 돌비늘과 용존산소량을 높인 지하수를 이용하여 액체비료 제조 및 이로부터 제조된 액체비료를 사용하여 당도가 우수한 오미자를 재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돌비늘(운모, 일라이트)은 화강암 중의 중요한 조암광물로서, 층상 규산염광물이며 불규칙한 편상이고 박편은 한층씩 벗겨지며, 백색 투명하고 기질이 질기며 쉽게 파쇄되지 않고 탄성이 있다. 돌비늘은 광물학적인 구조가 인편상 삼층구조를 가지고 있어 흡수하면 층간 간격이 1.8a정도로 확장되며, 2(-) 전하를 갖는 관계로 용수중양이온 부류 미립자와 전기적인 중화로 응집 침전을 유발하여 탁도를 제고시키며, 물속의 중금속이 구리, 아연, 철, 카드늄 등 기타 불순물을 모두 흡착 제거하는 효능이 있으며,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을 개량시켜주고 산화된 토양을 중화시켜주며 토양 내 잔류농약을 제거하므로 각종 농산물의 생장을 촉진시킨다. 또한 유독가스 흡착분해 및 탈취작용, 음이온 원적외선 방사, 생장촉진, 정균작용 및 수중의 용존산소를 다량발산하여 물분자를 활성화시키는 효능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효능이 있는 돌비늘을 사용하여 비료를 제조하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으며, 특히, 대한민국특허 공개번호 제2006-24177호에는 백운모 또는 견운모, 세피오라이트, 스맥타이트, 투르말린, 일라이트를 혼합하여 분쇄한 후 콩알만 한 크기로 성형하여 질산은수용액에 함침시켜 재가열한 후, 세라믹스를 제조하고 물에 침지시켜 정화시킨 다음 상등액을 제조하고 미생물을 번식, 발효시켜 비료를 제조하고 기존비료에 혼합하여 식물의 재배속도가 빠르며 바이러스에 인한 병에 강하고 과일수의 경우 당도가 높은 과일을 재배하는 등의 효과를 볼 수 있는 비료, 대한민국특허 공개번호 제1998-65422호에는 맥반석, 견운모, 칼슘과, 불석 및 산화마그네슘을 분쇄하여 일정 시간 동안 가열하여 소성하고, 소성된 조성물을 적당한 비율로 혼합 조성하여 토양이나 물에 첨가하여 게르마늄 및 식물에 유익한 다량의 미네랄에 의한 토양과 수질개선으로 식물의 생육을 촉진함과 동시에 품질의 향상은 물론 선도를 유지하는 무공해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식물 발육촉진용 조성물, 대한민국특허 공개번호 제2004-34787호에는 일라이트와 황토를 무기산 용액으로 용출하여 분리공정과 여과공정, 정제공정, 혼합공정의 과정을 거치면서 제조하여 식물에 이로운 미네랄을 복합적으로 공급하여 하우스재배, 수경재배, 과실, 채소 엽면시비 등 식물의 여러 분야에 적용함으로써, 생산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는 미네랄 액체비료, 대한민국특허 공개번호 제2010-43435호에는 황토, 운모, 맥섬석, 질석, 일라이트, 스맥타이트, 옥분말 등이 함유된 황토 혼합물과 대나무분말 또는 대나무수액을 혼합하여 제조된 조성물을 기존비료에 혼합하여 작물 재배시 사용하면 식물의 재배속도가 빠르며 바이러스로 인한 병에 강하고 과일수의 경우 당도가 높은 과일을 재배하는 등의 큰 효과를 볼 수 있는 비료, 대한민국특허 등록번호 제512986호에는 토양 속에 존재하는 무기물을 킬레이트화하여 토양의 화학적 성질을 개선함으로써 식물의 생장을 촉진하여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휴믹산과 일라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미량요소 복합비료 등이 공지되어 있다.
용존산소량은 물속에 들어있는 산소량을 뜻하는데, 식물에 알맞은 용존산소량을 공급해주면 식물의 성장 촉진과 증산은 물론 토양에 존재하는 수많은 미생물과 유기물 중 호기성 미생물의 성장을 촉진 시키고, 혐기성 미생물은 소멸시켜 산소와 미생물, 유기물질 등 토양환경을 인위적으로 만들어 주어 식물의 성장촉진 및 수확량 증산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물이 당을 분해하여 활동에너지를 창출함에 있어 뿌리에 산소공급이 충분하면 호흡분해가 일어나 다량의 에너지를 얻게 되므로 식물체 에너지 대사 작용을 원활하게 하며, 물을 통해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게 되면 토양 내 산소를 필요로 하는 호기성 미생물 증식을 증대시켜 혐기성 미생물과 호기성 미생물간의 균형을 조성하며 산소가 충분히 공급되어 뿌리에 필요한 산소요구량을 충족시키고, 아울러 미생물 증식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뿌리와 미생물간의 산소 나눔이 충분해질 수 있다. 따라서, 용존산소량을 높인 물을 식물에게 공급시 열매량이 많아지고 열매에 윤기가 흐르며 당도가 증가하고 뿌리의 비료흡수가 왕성하여 비료 사용을 줄일 수 있으며 수확 일수를 단축하고 줄기를 튼튼하게 하며 열매 모양을 좋게하고 잎의 수분상태도 좋아지게 하며, 벌레 및 병충해 발생이 적어지고 넝쿨상태도 매우 좋아지는 등의 효과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효능이 있는 용존산소량을 높인 물을 사용하여 식물을 재배하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으며, 특히, 대한민국특허 등록번호 제491253호에는 고농도 용존산소수를 이용한 원예작물의 재배장치, 대한민국특허 공개번호 제2002-79079호에는 농업용 산소발생제, 촉진제, 지지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산소 발생재료를 이용한 고농도 용존산소 제조법, 대한민국특허 공개번호 제2001-99051호에는 천연안산암을 소분한 분말을 지하수에 투여하여 용해시킨 이온 활성수만을 이용하여 콩나물 등 나물류의 재배방법과 일반 농산물의 관수 재배 방법 등이 공지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돌비늘이나 용존산소량을 높인 물을 사용하여 비료를 제조하는 공정이 개시되어 있으나 돌비늘과 용존산소량을 높인 지하수를 혼합하여 제조된 오미자 재배용 액체비료는 공지되어 있지 않다.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Turcz.) Baill.)는 시고, 짜고, 달고, 쓰고, 매운 다섯 가지 맛이 난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오미자는 폐기능을 보호해주므로 기침, 가래 등에 좋고 인후염, 편도선염, 만성기관지염에도 효과가 있으며, 옛날부터 자양강장제로 이용되어 왔으며 머리를 맑게 해주고 집중력을 높여준다. 근대의 실험에 의하여 간염환자에게 오미자를 투여하였을 경우 오미자가 간 보호 작용을 하고 치료에도 효험이 있다고 하며, 각종 세균에 대한 억제작용을 하고 위액분비억제와 진통작용, 스트레스성 궤양 예방에도 좋다. 또한, 피로회복의 효과가 탁월하여 육체적, 정신적 활력을 불어넣어주며 심혈관 계통에서 피의 순환장애에도 좋고, 생리적 기능을 조절하며 중추신경계통의 반응성을 높여주어 치매예방, 집중력 및 사고력 향상에도 도움이 된다.
우리나라에 자생하고 있는 오미자는 개오미자, 흑오미자, 남오미자 등이 있는데 남오미자는 남부의 해남, 제주도에 분포하고 있으며, 개오미자와 흑오미자는 수평적으로는 몇 도를 제외한 전국 전역의 산록에 분포하며 수직적으로는 표고 100~1,400m의 높은 지대까지 분포하고 있어 광범위한 재배한계를 시사하고 있다. 전국적으로 약 400여 헥타르(ha)가 재배되고 있으며, 전북과 강원도 일대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는데, 특히 반음지 서북향의 서늘하고, 경사지역으로서 배수가 양호하며 통풍이 잘되는 부식질이 많은 사질양토나 사토가 재배적지로 알려져 있고, 강한 햇빛이나 바람이 부는 곳은 재배적지로는 부적합하며, 또한 천근성, 세근성, 호기성으로 뿌리가 땅속깊이 들어가지 않고 지하 3cm 내외에서 옆으로 자라기 때문에 한발이 심한 지역에서는 생육이 불량하다. 오미자의 주요 병충해로는 점무늬병(잎과 잎자루에 발병, 발병초기에는 갈색의 소형 반점을 형성하나 병이 진전되면서 병반이 커지고 융합되어 회갈색 대형의 원형 또는 부정형 반점을 형성), 흰가루병(잎과 열매에서 발병, 그늘진 곳이나 노화된 과원에서 심하게 발생하고 생장과 결실에 이루어지는 과원에서 발생이 증가), 푸른곰팡이병(열매에서 발병, 처음에는 흰색의 균사가 발생하고 점차 진전되면서 푸른색의 분생포자가 많이 형성되고 이병된 열매는 후에 미이라상으로 부패), 뿌리썩음병(뿌리에서 발병, 야생오미자를 채취하여 심었을 때 가장 큰 피해를 줌), 탄저병(열매에서 발병, 점무늬병의 병징과 발생시기가 유사하며 한 병반에서 두가지 병원균이 동일하게 분류되는 경우가 있음) 및 깍지벌레 (줄기에서 발병, 나무의 줄기와 잎에 부착하여 흡즙하므로 피해를 받은 나무는 수세가 약해저 조기 낙엽되며 심하면 말라 죽음)등이 있다. 이러한 병충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카바메이트계 살균제인 가벤다(마이코), 지오판(톱신엠) 수화제와 유기염소계인 타로닐(타코닐)수화제 등의 방제 약제와 각종 화학 농약이나 비료를 사용하여 오미자를 재배하는데 이는 잔류농약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끊임없이 오미자의 생육상태가 좋고 열매의 당도가 높으며 무농약 재배가 가능한 액체비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한 결과, 돌비늘과 용존산소량을 높인 지하수를 혼합하여 제조된 액체비료를 사용하여 오미자 재배시 각종 병원균에 항균성이 우수하여 생육상태가 좋으며, 오미자 열매의 당도가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돌비늘과 용존산소량을 높인 지하수를 사용하여 액체비료를 제조한 후 제조된 액체비료로 오미자를 재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려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비료는 돌비늘 분말과 용존산소량을 높인 지하수를 포함한다.
상기 액체비료는 지하수에 돌비늘 분말을 0.0005~1.0중량%로 혼합한 후 5~10시간 방치시켜 상등액만을 분리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돌비늘 분말이 0.0005중량% 미만인 액체비료를 사용하여 오미자 재배시 병충해 예방 및 치료효과가 미비하며, 열매의 당도가 떨어져 기호도가 낮아질 수 있다. 상기 사용되는 돌비늘 분말은 분쇄기를 사용하여 100~500메쉬(mesh)의 입자크기로 분쇄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지하수의 용존산소량은 지하수를 탱크에 넣고 산소공급기를 투입시킨 후 공기방울을 공급하여 발생되는 공기방울만큼의 수면과 공기의 접촉면적을 더욱 증가시켜 더 많은 산소가 지하수 속으로 녹아들게 하여 지하수의 용존산소량을 높일 수 있으며, 지하수에 액화산소를 첨가하는 방법, 지하수의 온도를 낮추는 방법 등과 같은 통상적인 방법으로도 지하수의 용존산소량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지하수는 용존산소량이 5~30㎎/ℓ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25㎎/ℓ이다.
상기에서 제조된 액체비료를 오미자 재배시 사용할 수 있는데 5~6개월 동안 7~15일 간격으로 통상의 액체 살포기를 이용하여 재배 오미자에 살포한다. 상기에서 제조된 액체비료를 사용하여 오미자 재배시 생육상태를 좋게 하여 잎 두께와 줄기를 단단하게 하며 생산량이 증대되고, 오미자 열매의 당도를 높이고 식물의 생장을 촉진하며 정균작용을 하는 돌비늘을 사용하여 제조된 액체비료로 재배하므로 각종 병원균에 대한 항균성이 우수하여 농약을 따로 할 필요가 없어 친환경 재배가 가능하다.
상기에서 제조된 액체비료는 오미자 외에 각종 식물 재배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비료는 돌비늘 분말을 용존산소량을 높인 지하수로 희석하여 제조되었으므로 불순물이나 병원균 등을 모두 흡착 제거하며,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을 개량시켜주고 산화된 토양을 중화시켜주며 토양 내 잔류농약을 제거하므로 각종 농산물의 생장을 촉진시키며 정균작용을 통해 병충해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효능이 있는 액체비료로 오미자 재배시 생육상태가 좋아 잎이 두껍고 줄기가 단단해지며 생산량 또한 증대되고 오미자 열매의 당도가 높아지고 별도의 농약이나 비료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무농약 사용의 친환경 재배가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로 설명되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돌비늘 함유 액체비료 제조 - 1
분쇄기를 사용하여 돌비늘을 100~500메쉬의 입자 크기로 분쇄하였다. 지하수를 탱크에 넣고 산소공급기를 투입시킨 후 산소공기 방울을 공급하여 발생되는 산소공기 방울을 지하수 내부에 접촉시켜 지하수의 용존산소량이 20㎎/ℓ이 되도록 높였다. 상기 분쇄된 돌비늘 분말 250g과 용존산소량이 20㎎/ℓ인 지하수 500㎏을 혼합하고 8시간 방치한 후, 상등액만을 분리하여 돌비늘 함유 액체비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돌비늘 함유 액체비료 제조 -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되, 돌비늘 분말 2.5㎏과 용존산소량을 20㎎/ℓ으로 높인 지하수 250㎏를 혼합하여 돌비늘 함유 액체비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돌비늘 함유 액체비료 제조 -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되, 돌비늘 분말 250㎏과 용존산소량을 20㎎/ℓ으로 높인 지하수 250㎏를 혼합하여 돌비늘 함유 액체비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돌비늘 함유 액체비료로 오미자 재배 - 1
오미자 묘목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돌비늘 함유 액체비료를 5~6개월 동안 10일 간격으로 살포한 후 오미자를 재배하였다.
<실시예 5> 돌비늘 함유 액체비료로 오미자 재배 - 2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되,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액체비료로 오미자를 재배하였다.
<실시예 6> 돌비늘 함유 액체비료로 오미자 재배 - 3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되,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액체비료로 오미자를 재배하였다.
<비교예 1> 액체비료 제조 -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되, 용존산소량을 높이는 공정을 거치지 않은 지하수를 사용하여 액체비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액체비료 제조 -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되, 돌비늘 분말을 사용하지 않고 액체비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액체비료로 오미자 재배 - 1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되, 상기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액체비료로 오미자를 재배하였다.
<비교예 4> 액체비료로 오미자 재배 - 2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되, 상기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액체비료로 오미자를 재배하였다.
<시험예 1> 돌비늘 함유 액체비료의 항균효과
상기 실시예 1~3과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된 액체비료의 항균효과를 비교평가 하였다. 한천 배양기(agar plate)에서 배양된 phoma sp .(점무늬병), Microphaera sp .(흰가루병), Penicillium sp .(푸른 곰팡이병) 및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탄저병) 균에 상기 실시예 1~3과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된 액체비료를 각각 투입하고 항균효과를 측정하였다. 평가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phoma sp .(점무늬병) +++ ++++ ++++ ++ +
Microphaera sp .(흰가루병) +++ ++++ ++++ ++ +
pseudomonas sp . (푸른 곰팡이병) ++++ ++++ ++++ + +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탄저병)
+++ +++ ++++ + +
+ 적음, ++ 보통, +++ 강함, ++++ 아주강함
상기 표 1과 같이, 실시예 1~3(돌비늘 분말과 용존산소량 높인 지하수로 제조)의 액체비료는 점무늬병균, 흰가루병균, 푸른 곰팡이병균 및 탄저병균에 대해 강하거나 아주 강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으나, 비교예 1(돌비늘 분말과 지하수로 제조)및 비교예 2(용존산소량을 높인 지하수)의 액체비료는 점무늬병균, 흰가루병균, 푸른 곰팡이병균 및 탄저병균에 대해 적거나 보통의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3에서 제조된 액체비료는 점무늬병, 흰가루병, 푸른곰팡이병, 탄저병의 병원균에 대한 항균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험예 2> 돌비늘 함유 액체비료에 따른 오미자 열매생산량
상기 실시예 4~6과 비교예 3 및 4의 방법으로 재배된 오미자 열매 생산량 평가를 하였다. 상기 실시예 1~3(돌비늘 분말과 용존산소량을 높인 지하수로 제조)과 비교예 1(돌비늘 분말과 지하수로 제조)및 비교예 2(용존산소량을 높인 지하수)에서 제조된 액체비료를 사용하여 실시예 4~6과 비교예 3 및 4와 같이 재배된 오미자나무의 단위 면적(m2)당 오미자 열매의 생산량을 관찰하여 비교평가 하였다. 평가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단위 면적(m2)당 오미자 열매 생산량 (㎏)
실시예 4 9.7
실시예 5 10.2
실시예 6 10.2
비교예 3 7.3
비교예 4 6.1
상기 표 2와 같이, 상기 실시예 4~6에서 재배된 오미자 열매는 단위 면적(m2)당 9.7, 10.2, 및 10.2㎏으로 나타났으나, 비교예 3과 4에서 재배된 오미자 열매는 단위 면적(m2)당 7.3과 6.1㎏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4~6은 돌비늘 분말과 용존산소량을 높인 지하수로 제조된 액체비료로 오미자나무를 재배하여 오미자 열매 생산량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험예 3> 오미자 열매의 당도
상기 실시예 4~6과 비교예 3 및 4에서 재배된 오미자 열매의 당도를 비교평가 하였다. 상기 실시예 1~3(돌비늘 분말과 용존산소량을 높인 지하수로 제조)과 비교예 1(돌비늘 분말과 지하수로 제조)및 비교예 2(용존산소량을 높인 지하수)에서 제조된 액체비료를 사용하여 실시예 4~6과 비교예 3 및 4와 같이 재배된 오미자 열매를 균질기(homogenize) (LOO4638, IKA, German)를 이용하여 마쇄한 후 당도측정계(brixmeter) (ATA GO, N-1E, Japan)를 사용하여 각각 10회 반복하여 측정하였다. 평가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당도(브릭스, Brix)
실시예 4 10.2
실시예 5 10.5
실시예 6 11.0
비교예 3 8.9
비교예 4 8.0
상기 표 3과 같이, 실시예 4~6에서 재배된 오미자 열매의 당도는 10.2, 10.5 및 11.0브릭스로 나타났으나, 비교예 3 및 4에서 재배된 오미자 열매의 당도는 8.9 및 8.0브릭스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4~6의 오미자 열매는 돌비늘 분말과 용존산소량을 높인 지하수로 제조된 액체비료로 오미자나무를 재배하여 당도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3)

  1. 0.0005~1.0 중량%의 100~500메쉬(mesh)인 돌비늘과 용존산소량이 10~25㎎/ℓ인 지하수를 포함하는 액체비료를 오미자에 5~6개월 동안 7~13일 간격으로 살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육상태가 좋으며 당도를 높인 오미자의 재배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100094975A 2010-09-30 2010-09-30 돌비늘을 이용한 오미자 재배방법 KR101005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975A KR101005482B1 (ko) 2010-09-30 2010-09-30 돌비늘을 이용한 오미자 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975A KR101005482B1 (ko) 2010-09-30 2010-09-30 돌비늘을 이용한 오미자 재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5482B1 true KR101005482B1 (ko) 2011-01-05

Family

ID=43615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4975A KR101005482B1 (ko) 2010-09-30 2010-09-30 돌비늘을 이용한 오미자 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54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50361A (zh) * 2011-12-12 2012-07-11 中国林业科学研究院资源昆虫研究所 盐肤木生长势调控增加五倍子产量的方法
CN104106363A (zh) * 2014-07-15 2014-10-22 钓鱼台医药集团吉林天强制药股份有限公司 一种北方五味子的栽培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5422A (ko) * 1997-01-10 1998-10-15 이흥석 식물 및 동물 발육촉진용 조성물
KR20040034787A (ko) * 2002-10-17 2004-04-29 민춘식 미네랄 액체비료의 제조방법 및 그 액비
KR20060024177A (ko) * 2004-09-13 2006-03-16 남윤미 세라믹의 제조 방법 및 세라믹의 용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5422A (ko) * 1997-01-10 1998-10-15 이흥석 식물 및 동물 발육촉진용 조성물
KR20040034787A (ko) * 2002-10-17 2004-04-29 민춘식 미네랄 액체비료의 제조방법 및 그 액비
KR20060024177A (ko) * 2004-09-13 2006-03-16 남윤미 세라믹의 제조 방법 및 세라믹의 용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50361A (zh) * 2011-12-12 2012-07-11 中国林业科学研究院资源昆虫研究所 盐肤木生长势调控增加五倍子产量的方法
CN102550361B (zh) * 2011-12-12 2013-06-05 中国林业科学研究院资源昆虫研究所 盐肤木生长势调控增加五倍子产量的方法
CN104106363A (zh) * 2014-07-15 2014-10-22 钓鱼台医药集团吉林天强制药股份有限公司 一种北方五味子的栽培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2628B1 (ko) 미네랄 양액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물의 재배방법
CN104429549B (zh) 一种滇黄精林下仿野生种植方法
CN1175741C (zh) 纯植物治病杀虫剂及其制作方法
KR101337391B1 (ko) 세리사이트가 함유된 비료를 이용하여 사과, 배 또는 감귤을 재배하는 방법
KR101527264B1 (ko) 고칼슘 복숭아 및 그 재배 방법
CN104311334B (zh) 用于修复重金属污染土壤的复合改良剂及制备工艺
CN105660698A (zh) 植物免疫诱抗剂在防治黄瓜猝倒病和立枯病中的应用
KR101464276B1 (ko) 자연친화적 식물영양제의 제조 및 그 이용방법
KR101065484B1 (ko) 작물재배용 양액 및 그 제조방법
ES2926380T3 (es) Nuevo activador de suelo que contiene lignosulfonato amónico y usos del mismo
CN107484601A (zh) 一种提高核桃增产的种植方法
KR101433209B1 (ko) 인삼 수경재배용 양액 및 그 제조방법
KR101789595B1 (ko) 식물성장촉진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05482B1 (ko) 돌비늘을 이용한 오미자 재배방법
KR101005483B1 (ko) 생오미자의 생과즙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14066B1 (ko)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는 기능성 콩의 재배방법
Abo El-Hamd et al. Improving the growth and yield of okra plants (Abelmoschus esculentus L.) using Lithovit fertilizer.
CN107295936A (zh) 一种提高香樟树耐寒性的种植方法
CN111685006A (zh) 一种防治川党参连作障碍的提产增质方法
KR102134624B1 (ko) 소금을 주재료로 하는 분말형 잔디 보호용 제초제 조성물
KR101540792B1 (ko) 천연 식물 생장 촉진제
KR101872494B1 (ko) 작물 생육 촉진용 영양제 및 이를 이용한 작물재배방법
RU2655963C1 (ru) Способ выращивания стевии в аридных условиях
KR100660167B1 (ko) 흑운모, 장석, 석영, 녹니석 및 각섬석군으로 이루어진천연 암석 분말을 포함하는 비료 조성물
KR101895045B1 (ko) 해수를 이용한 농작물의 재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