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5347B1 - 구조물 보강용 표면매립 긴장장치 및 긴장방법 - Google Patents
구조물 보강용 표면매립 긴장장치 및 긴장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05347B1 KR101005347B1 KR1020080112670A KR20080112670A KR101005347B1 KR 101005347 B1 KR101005347 B1 KR 101005347B1 KR 1020080112670 A KR1020080112670 A KR 1020080112670A KR 20080112670 A KR20080112670 A KR 20080112670A KR 101005347 B1 KR101005347 B1 KR 1010053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nsion
- fixing
- movable support
- fixed
- reinforcing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7306 turnover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435 tendon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E04G21/121—Construction of stressing ja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E04G21/125—Reinforcement continuity 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9)
- 콘크리트 구조물을 포함하는 구조물에 긴장재를 삽입하여 보강시키는 표면매립 긴장공법에 사용되는 장치로서, 구조물의 표면에 형성된 오목홈의 양측 단부내에 영구고정되는 정착부;와 상기 정착부에 긴장재를 긴장시켜서 임시고정시키는 동력부;를 포함하고,상기 동력부는 정착부에 인접 고정되는 전방 고정부, 상기 전방고정부의 후방에서 가이드봉을 따라서 오목홈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 가동지지부, 상기 가동지지부와 이격되어 상기 가이드봉의 단부에 설치된 고정지지부, 상기 가동지지부와 고정지지부의 사이에서 고정지지부에 대해 가동지지부를 이동시키도록 설치된 긴장수단을 포함하되,상기 긴장수단이 가동지지부를 통해 긴장재를 긴장시키고 그 단부를 정착부로 삽입시켜 임시고정수단으로 고정한 다음, 상기 동력부를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해체한 상태에서 상기 오목홈에 충전재를 충전시키고 양생시켜서 긴장재를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립하고 영구고정하는 구조물 보강용 표면매립 긴장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부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오목홈에 앵커볼트로 고정되는 정착판을 구비하고, 상기 정착판에는 긴장재의 단부가 삽입되는 구멍을 형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보강용 표면매립 긴장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부는 수직벽의 상부면에 동력부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 구멍을 형성하여 전방고정부의 볼트를 고정 및 해제시키는 것만으로도 상기 동력부를 이루는 전방고정부, 가동지지부, 고정지지부 및 긴장수단 전체를 콘크리트 구조물에 쉽게 탈착시킬 수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보강용 표면매립 긴장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지지부는 그 하부측으로 상기 긴장재에 나사결합한 너트에 걸려서 긴장재를 전진시키고, 긴장재에 긴장력을 부여할 수 있는 걸림턱을 돌출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보강용 표면매립 긴장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지지부는 그 하부측으로 다수의 걸림턱을 형성하여 다수의 긴장재를 일시에 긴장시킬 수 있도록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보강용 표면매립 긴장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장수단은 유압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압잭과 고정지지부의 사이에는 유압잭의 부하를 검출하는 로드셀이 추가 장착될 수 있고, 또는 긴장재에 변형률 측정 센서를 부착하여 긴장재의 변형률 측정을 통해 원하는 부하력의 긴장력을 긴장재에 정확하게 부여하고 콘크리트 구조물을 구조적으로 보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보강용 표면매립 긴장장치.
- 콘크리트 구조물을 포함하는 구조물에 오목홈을 형성하고 긴장재를 삽입하여 구조물을 보강시키는 표면매립 공법으로서, 보강이 필요한 구조물의 표면에 오목홈을 일정거리에 걸쳐서 형성하고 그 양측단부의 내측에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정착부를 각각 영구고정시키며, 상기 정착부의 구멍을 관통시켜 긴장재를 끼우고 임시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시키고,상기 정착부에 인접하여 긴장재가 설치되는 오목홈을 따라서 동력부를 설치하되, 상기 동력부는 정착부에 고정되는 전방고정부, 상기 전방고정부의 가이드봉들을 따라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 가동지지부, 상기 가동지지부와 이격되어 상기 가이드봉의 단부에 설치된 고정지지부 및 상기 가동지지부와 고정지지부의 사이에서 고정지지부에 대해 가동지지부를 이동시키도록 설치된 긴장수단을 포함하며,상기 긴장수단을 동작시켜서 가동지지부를 통해 긴장재를 긴장시키고 그 단부를 임시고정수단을 통해 정착부에 고정시키고, 상기 동력부를 전체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해체시킨 다음, 상기 오목홈에 충전재를 투입하고 양생시켜 긴장재를 긴장상태로 영구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조물 보강용 표면매립 긴장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고정수단은 긴장재의 단부에 나사고정되는 너트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보강용 표면매립 긴장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를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하고 해체시키는 단계는 상기 정착부의 수직벽 상부면에 형성된 나사 구멍에 전방고정부를 볼트로 탈 착시킴으로써 동력부 전체를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하거나 분리시키도록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보강용 표면매립 긴장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12670A KR101005347B1 (ko) | 2008-11-13 | 2008-11-13 | 구조물 보강용 표면매립 긴장장치 및 긴장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12670A KR101005347B1 (ko) | 2008-11-13 | 2008-11-13 | 구조물 보강용 표면매립 긴장장치 및 긴장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53847A KR20100053847A (ko) | 2010-05-24 |
KR101005347B1 true KR101005347B1 (ko) | 2010-12-31 |
Family
ID=42278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12670A KR101005347B1 (ko) | 2008-11-13 | 2008-11-13 | 구조물 보강용 표면매립 긴장장치 및 긴장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05347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91300B1 (ko) * | 2011-11-02 | 2013-07-30 | 김용만 | 강연선앵커체의 내력시험장치 |
KR101377122B1 (ko) * | 2013-07-12 | 2014-03-25 | 유니슨이테크 주식회사 | 인장 장치 및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제조를 위한 인장 시스템 |
KR20170029848A (ko) | 2015-09-08 | 2017-03-16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표면매립 frp 긴장재용 압착형 슬리브 제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성도 향상이 가능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방법 |
KR20240084251A (ko) | 2022-12-06 | 2024-06-13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섬유강화 플라스틱 로드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 구조 및 그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32385B1 (ko) * | 2012-02-17 | 2013-11-22 |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 콘크리트 보강을 위한 전단 휨 일체형 너트조임 바 조립체 |
RU2539460C1 (ru) * | 2013-09-18 | 2015-01-20 |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ациональный институт авиационных технологий" (ОАО НИАТ)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силения строитель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с помощью композиционной напрягаемой арматуры |
KR101501154B1 (ko) * | 2013-11-05 | 2015-03-11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기어식 표면매립 긴장장치 및 그 방법 |
KR101603585B1 (ko) * | 2014-02-26 | 2016-03-15 |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 고정유닛을 이용하여 보강재를 고정한 구조물의 내화보강방법 |
CN104234433B (zh) * | 2014-08-22 | 2017-05-10 | 北京市建筑工程研究院有限责任公司 | 轮辐式环向悬臂索承网格结构张拉成形方法及张拉装置 |
CN104264593B (zh) * | 2014-09-05 | 2016-10-12 | 华侨大学 | 一种表层嵌筋加固的预应力张拉方法及装置 |
CN105257321B (zh) * | 2015-09-28 | 2018-05-04 | 上海市基础工程集团有限公司 | 盾构法隧道初期施工管片拉接装置及施工方法 |
CN106223213B (zh) * | 2016-08-22 | 2018-02-27 | 东南大学 | 内外组合式预应力钢丝绳加固空心板的系统及方法 |
KR102240316B1 (ko) * | 2020-11-25 | 2021-04-14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표면매립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착면 평탄화 시공방법 |
KR102296797B1 (ko) * | 2020-11-25 | 2021-09-03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모재 손상방지용 표면매립장치 및 그 시공방법 |
CN114991516B (zh) * | 2022-05-31 | 2023-08-29 | 长沙理工大学 | 一种实现预应力自张拉及二次调控的组合加固装置及方法 |
CN114856209B (zh) * | 2022-07-11 | 2022-10-04 | 北京市建筑工程研究院有限责任公司 | 一种用于预应力钢结构的高精度张拉体系的施工方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82300B1 (ko) | 2002-08-08 | 2003-05-09 | 김양중 | 강연선 매입에 의한 내화 보강공법 |
KR100653629B1 (ko) | 2006-01-18 | 2006-12-05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측에 배치된 긴장재를 표면에서인장할 수 있는 긴장장치 |
KR100719959B1 (ko) | 2006-10-26 | 2007-05-18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구조물 보강용 긴장장치를 이용한 구조물보강방법 |
-
2008
- 2008-11-13 KR KR1020080112670A patent/KR10100534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82300B1 (ko) | 2002-08-08 | 2003-05-09 | 김양중 | 강연선 매입에 의한 내화 보강공법 |
KR100653629B1 (ko) | 2006-01-18 | 2006-12-05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측에 배치된 긴장재를 표면에서인장할 수 있는 긴장장치 |
KR100719959B1 (ko) | 2006-10-26 | 2007-05-18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구조물 보강용 긴장장치를 이용한 구조물보강방법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91300B1 (ko) * | 2011-11-02 | 2013-07-30 | 김용만 | 강연선앵커체의 내력시험장치 |
KR101377122B1 (ko) * | 2013-07-12 | 2014-03-25 | 유니슨이테크 주식회사 | 인장 장치 및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제조를 위한 인장 시스템 |
KR20170029848A (ko) | 2015-09-08 | 2017-03-16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표면매립 frp 긴장재용 압착형 슬리브 제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성도 향상이 가능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방법 |
KR20240084251A (ko) | 2022-12-06 | 2024-06-13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섬유강화 플라스틱 로드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 구조 및 그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53847A (ko) | 2010-05-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05347B1 (ko) | 구조물 보강용 표면매립 긴장장치 및 긴장방법 | |
KR101501154B1 (ko) | 기어식 표면매립 긴장장치 및 그 방법 | |
KR100858397B1 (ko) | 거더의 상연이 블록 아웃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에사용되는 정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 도입방법 | |
KR100653629B1 (ko) |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측에 배치된 긴장재를 표면에서인장할 수 있는 긴장장치 | |
KR101065217B1 (ko) | 긴장 및 재긴장이 가능한 긴장장치 | |
KR101551825B1 (ko) | Em센서를 이용한 멀티 스트랜드의 긴장력 측정장치 | |
KR20110111907A (ko) | 사장교 주탑쪽의 사장 케이블용 새들 구조체 | |
US20040079859A1 (en) | Concrete panel with gripping ribs and method of use | |
US8429877B2 (en) | Method for reinforcement of concreted plates in the region of support elements | |
JP2700268B2 (ja) | 炭素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平面板の定着方法及び定着装置 | |
KR101082528B1 (ko) | 지수패커 및 이를 채용한 강연선 홀딩장치 | |
KR100588333B1 (ko) | 외부 프리스트레싱용 섬유판 긴장장치 | |
JP3983374B2 (ja) | アンカーの再緊張方法および再緊張用治具 | |
KR100441209B1 (ko) | 긴장재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강구조와 방법 및 그에이용되는 긴장재 정착장치와 반력대 장치 | |
KR101531132B1 (ko) | 교량의 유지관리용 추가 긴장장치 | |
KR20040077592A (ko) | 조인트 유닛 및 긴장용 너트를 이용한 포스트텐셔닝 보강공법 | |
US3225500A (en) | Prestressed tendon anchor means | |
KR100580233B1 (ko) | 섬유판 긴장장치 | |
KR101766213B1 (ko) | 새들부를 이용한 모노텐던 정착장치 및 그 시공방법 | |
KR101301712B1 (ko) | 프리스트레싱용 인장재의 균일 긴장 유도장치. | |
JP2005254692A (ja) | プレテンシヨン方式によるプレストレスコンクリート枕木製造用型枠 | |
KR100704642B1 (ko) | 지반보강재 인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장시험방법 | |
JP2005002558A (ja) | プレキャストブロックによる既設下部構造物の縁端拡幅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 |
KR100424410B1 (ko) | 다경간 교량의 빔 보강방법 및 그 장치 | |
KR101583241B1 (ko) | 강연선 재인장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2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12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9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2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1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1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2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1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1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