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4279B1 - 스테이터 - Google Patents

스테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4279B1
KR101004279B1 KR1020080105327A KR20080105327A KR101004279B1 KR 101004279 B1 KR101004279 B1 KR 101004279B1 KR 1020080105327 A KR1020080105327 A KR 1020080105327A KR 20080105327 A KR20080105327 A KR 20080105327A KR 101004279 B1 KR101004279 B1 KR 101004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end surface
toothed
circumferential direction
w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5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2749A (ko
Inventor
히로유키 시미즈
Original Assignee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42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2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4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4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28Layout of windings or of connections between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18Windings for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32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 H02K3/38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around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0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21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 Windings For Motors And Generators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Abstract

크로스오버선끼리의 겹침을 적게 한 전동기 스테이터.
제 1 도선 (U) 을 제 1 톱니부 (12a) 의 일방측 (도면 좌측) 으로부터 도입하여 감고, 타방측 (도면 우측) 에서부터 둘레 방향 일방측 (D1) 으로 연장시켜 제 1 톱니부로부터 세어 4 번째 톱니부 (12d) 에, 제 1 톱니부의 그 일방측에 대응하는 측으로부터 도입하여 감은 후 그 타방측에 대응하는 측으로부터 도출시킨다. 제 2 도선 (V) 을 제 1 톱니부에 인접하는 제 2 톱니부 (12b) 의, 제 1 톱니부의 그 타방측에 대응하는 측으로부터 도입하여 제 1 톱니부와는 반대 방향을 향해 감고, 그 일방측에 대응하는 측에서부터 둘레 방향 타방측 (D2) 으로 연장시켜 제 2 톱니부로부터 세어 4 번째 톱니부의 그 일방측에 대응하는 측으로부터 도입하여, 제 1 도선과는 반대 방향을 향해 감고, 그 일방측에 대응하는 측으로부터 도출시킨다. 제 3 도선을 제 2 톱니부에 인접하는 톱니부 (12c) 로부터, 그 제 1 도선과 동일한 형태로 감는다.
스테이터

Description

스테이터 {STATOR}
본 발명은 모터나 제네레이터용 스테이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이너 로터 타입의 3 상 6 극의 브러시리스 모터에서는, 얇은 전자 강판을 적층하여 형성한 통형상부와, 그 통형상부의 내측에 그 둘레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6 개의 톱니부로 이루어지는 스테이터 코어가 준비되고, 각 톱니부에 도선을 감아서 극으로 한 것이 각 상마다 2 극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둘레 방향으로서 순차적으로 정렬된 제 1 내지 제 6 톱니부 중 1 번째 및 4 번째 톱니부에 제 1 상(相)용의 권선이 행해지고, 2 번째 및 5 번째 톱니부에 제 2 상용의 권선이 행하여지고, 3 번째 및 6 번째 톱니부에 제 3 상용의 권선이 행해진다. 이 경우, 1 번째로부터 4 번째 톱니부, 2 번째로부터 5 번째 톱니부, 3 번째 톱니부로부터 6 번째 톱니부에 건네지는 도선 (크로스오버선) 은, 모든 같은 둘레 방향 (예를 들어, 시계회전 방향) 으로 연장된다. 이 크로스오버선은, 구체적으로는, 스테이터 코어의 통형상부의 일단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칼라부의 외측을 통과해서 일방의 톱니부에서 타방의 톱니부로 건네진다.
정격 전압이 낮은 모터에 있어서는, 크로스오버선이 접촉하더라도 절연 파괴에는 이르지 않기 때문에, 에나멜 피복 등의 절연을 실시한 크로스오버선이 접촉한 상태로 제품화되어 있다.
이에 반하여, 정격 전압이 높은 모터는, 크로스오버선의 접촉하는 부분에 절연물을 삽입하는 등의 절연 처리가 행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절연 처리는, 권선기에서의 자동 처리가 곤란하여 사람에 의한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나쁘고, 비용이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이런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해서, 상기 칼라부의 외주면에 각 크로스오버선과 걸어 맞추는 단부를 형성하고, 이 단부에 단차를 형성하거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46782호) 나, 상기 톱니부에 감겨진 권선이 통형상부의 외측으로 나와 칼라부의 외주면에 걸어 맞춰질 때에 각 도선을 상하 방향에서 어긋나게 하거나 함으로써, 크로스오버선끼리의 접촉을 방지하는 것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163654호) 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제안에서는 3 개의 크로스오버선의 접촉을 회피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스테이터의 전체적인 사이즈가 커져, 이것을 구비한 모터 등의 소형화가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크로스오버선의 겹침 자체를 적게 하고, 그것에 의해 크로스오버선을 지지하는 절연지지부재를 소형화함으로써, 전체 사이즈를 소형화할 수 있도록 한 스테이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즉, 본 발명은, 3 상이고 6 극 이상의 스테이터에 있어서,
통형상부 및 그 통형상부의 내주면에 그 둘레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6 기 이상의 톱니부로 이루어지는 스테이터 코어와,
그 통형상부의 일단면측에 있어서 제 1 톱니부의 일방측으로부터 도입되어 그 제 1 톱니부에 감기고, 그 제 1 톱니부의 타방측에서부터, 그 일단면 상에서 그 통형상부의 둘레 방향 일방측으로 연장되어, 그 제 1 톱니부로부터 세어 4 번째의 톱니부에, 그 제 1 톱니부의 그 일방측에 대응하는 측으로부터 감기고, 그 일단면측에 있어서 그 제 1 톱니부의 그 타방측에 대응하는 측으로부터 도출되어 있는 제 1 도선과,
그 통형상부의 일단면측에 있어서 그 둘레 방향 일방측에서 그 제 1 톱니부에 인접 형성되는 제 2 톱니부에, 그 제 1 톱니부의 그 타방측에 대응하는 측으로부터 도입되어 그 제 1 도선과는 반대 방향으로 감기고, 그 제 1 톱니부의 그 일방측에 대응하는 측에서부터 그 일단면 상에서 그 통형상부의 둘레 방향 타방측으로 연장되어, 그 제 2 톱니부로부터 세어 4 번째의 톱니부에, 그 제 1 톱니부의 그 타 방측에 대응하는 측으로부터 제 1 도선과는 반대 방향으로 감기고, 그 일단면측에 있어서 그 제 1 톱니부의 그 일방측에 대응하는 측으로부터 도출되어 있는 제 2 도선과,
그 통형상부의 일단면측에 있어서 그 둘레 방향 일방측에서 그 제 2 톱니부에 인접 형성되는 제 3 톱니부에, 그 제 1 톱니부의 그 일방측에 대응하는 측으로부터 도입되어 그 제 1 도선과 동일한 방향으로 감기고, 그 제 1 톱니부의 그 타방측에 대응하는 측에서부터 그 일단면 상에서 그 통형상부의 그 둘레 방향 일방측으로 연장되어, 그 제 3 톱니부로부터 세어 4 번째의 톱니부에 그 제 1 톱니부의 그 일방측에 대응하는 측으로부터 제 1 도선과 동일한 방향으로 감기고, 그 일단면측에 있어서 그 제 1 톱니부의 그 타방측에 대응하는 측으로부터 도출되어 있는 제 3 도선과,
그 제 1, 제 2 및 제 3 톱니부로부터 그 통형상부의 그 일단면 상에서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그 도선과 걸어 맞춰서 지지하기 위해 그 통형상부의 그 일단면 상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부재를 구비하는 스테이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3 상이고 6 극 이상의 스테이터에 있어서,
통형상부 및 그 통형상부의 내측에 그 둘레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6 기 이상의 톱니부로 이루어지는 스테이터 코어와,
그 통형상부의 일단면측에 있어서 제 1 톱니부의 일방측으로부터 도입되어 그 제 1 톱니부에 감기고, 그 제 1 톱니부의 그 일방측에서부터, 그 통형상부의 타 단면 상에서 그 둘레 방향에서의 일방측으로 연장되어, 그 제 1 톱니부로부터 세어 4 번째의 톱니부에, 그 제 1 톱니부의 타방측에 대응하는 측으로부터 감기고, 그 일단면측에 있어서 그 제 1 톱니부의 그 타방측에 대응하는 측으로부터 도출되어 있는 제 1 도선과,
그 둘레 방향에서의 일방측에서 그 제 1 톱니부에 인접 형성되는 제 2 톱니부에, 그 통형상부의 일단면측에 있어서 그 제 1 톱니부의 그 타방측에 대응하는 측으로부터 도입되어 그 제 1 도선과는 반대 방향을 향하여 감기고, 그 제 1 톱니부의 그 타방측에 대응하는 측에서부터, 그 타단면 상에서 그 둘레 방향에서의 타방측으로 연장되어, 그 제 2 톱니부로부터 세어 4 번째의 톱니부에, 그 제 1 톱니부의 그 일방측에 대응하는 측으로부터 제 1 도선과는 반대 방향으로 감기고, 그 일단면측에 있어서 그 제 1 톱니부의 그 일방측에 대응하는 측으로부터 도출되어 있는 제 2 도선과,
그 둘레 방향에서의 일방측에서 그 제 2 톱니부에 인접 형성되는 제 3 톱니부에, 그 통형상부의 일단면측에 있어서 그 제 1 톱니부의 그 일방측에 대응하는 측으로부터 도입되어 그 제 1 도선과 동일한 방향으로 감기고, 그 제 1 톱니부의 그 일방측에 대응하는 측에서부터, 그 타단면 상에서 그 통형상부의 그 둘레 방향에서의 일방측으로 연장되어, 그 제 3 톱니부로부터 세어 4 번째의 톱니부에 그 제 1 톱니부의 그 타방측에 대응하는 측으로부터 제 1 도선과 동일한 방향으로 감기고, 그 일단면측에 있어서 그 제 1 톱니부의 그 타방측에 대응하는 측으로부터 도출되어 있는 제 3 도선과,
그 제 1, 제 2 및 제 3 톱니부로부터 그 통형상부의 그 타단면 상에서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그 도선과 걸어 맞춰서 지지하기 위해서 그 통형상부의 그 타단면 상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부재를 구비하는 스테이터를 제공한다.
종래의 스테이터는,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 상의 각각에 감겨지는 제 1 ∼ 제 3 도선 (U, V, W) 에 있어서 3 선이 겹쳐지는 크로스오버선 부분 (도면 중 VII 부) 이 생긴다. 본 발명에서는, 제 2 도선과, 제 1 및 제 3 도선과의 크로스오버선의 연장 방향을 반대의 방향으로 함으로써 크로스오버선의 겹침을 가장 많더라도 2 개로 할 수 있다. 이로써, 크로스오버선을 지지하는 가이드부재를 소형이면서 간단한 형상의 것으로 할 수 있어, 이 때문에 스테이터 전체의 사이즈도 소형화하는 것을 가능해진다.
가이드부재는, 구체적으로는, 그 통형상부의 그 일단면에서부터 그 통형상부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상부재로 되어, 걸어 맞춰지는 그 도선을 그 축선 방향에서 서로 떨어져서 지지하도록 윤곽을 형성할 수 있다.
그 막대상부재는, 그 통형상부의 그 일단면에 가까운 제 1 부분과, 그 일단면으로부터 축선 방향에서 떨어져 있는 제 2 부분을 갖고, 그 제 1 및 제 2 부분이 단차를 두고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 제 1 부분을 대직경으로, 그 제 2 부분을 소직경으로 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는, 이러한 간단한 형상을 가지고, 지지하는 도선을 접촉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 명한다.
본 발명의 스테이터에 의하여, 크로스오버선의 겹침 자체를 적게 하고, 그로 인해 크로스오버선을 지지하는 절연지지부재를 소형화함으로써, 전체 사이즈를 소형화할 수 있다.
도 1 ∼ 도 5b 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테이터 (1) 가 나타나 있다. 그 스테이터 (1) 는, 3 상 6 극의 스테이터로, 통형상부 (11b) 와, 그 통형상부의 내주면에 둘레 방향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여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6 개의 톱니부 (12a∼12f) 로 이루어지는 스테이터 코어 (11) 와, 도 5a 및 도 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톱니부 (12a∼12f) 에 감겨진 제 1 내지 제 3 도선 (U, V, W) 을 갖는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은, 도 5a 내지 도 5d 에 나타낸 도선 (U, V, W) 의 감기 방식에 있으며, 먼저 이 감기 방식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d 는, 통형상부 (11b) 를 그 축선에 평행하게 잘라 펼쳤을 때의 통형상부 내주면에 있는 톱니부 (12a∼12f) 및 이들 톱니부에 감긴 도선 (U, V, W) 을 나타내고 있다.
도 5a 와 도 5b 는, 그 감기 방식이 구체적으로는 상이하지만, 동일 개념으로서 정리할 수 있기 때문에 먼저 이들을 함께 설명한다. 제 1 도선 (U) 은, 통형상부 (11b) 의 일단면 (11a) (도 1 에 있어서의 상단면) 측에 있어서 제 1 톱니부 (12a) 의 일방측 (본 명세서에 있어서,「제 1 톱니부의 일방측」이란, 제 1 톱니부를 스테이터의 외측에서 보아 좌측 혹은우측을 의미하고, 「톱니부의 타방측」이란 그 반대측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도 5a 의 예에서는 좌측, 도 5b 의 예로서는 우측이 일방측으로 되어 있다.) 으로부터 도입되어 제 1 톱니부 (12a) 에 감기고, 제 1 톱니부 (12a) 의 타방측 (도 5a 에서는 우측, 도 5b 에서는 좌측) 에서부터 상기 일단면 (상단면) (11a) 상에서, 통형상부 (11b) 의 둘레 방향의 일방측 (D1) 으로 연장되고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진 부분이 「크로스오버선」을 구성), 제 1 톱니부 (12a) 로부터 세어 4 번째의 톱니부 (12d) 에, 제 1 톱니부의 상기 일방측에 대응하는 측 (도 5a 에서는 좌측, 도 5b 에서는 우측) 부터 감기고, 상기 일단면 (상단면) 에 있어서 제 1 톱니부의 타방측에 대응하는 측 (도 5a 에서는 우측, 도 5b 에서는 좌측) 으로부터 도출되어 있다. 제 2 도선 (V) 은, 통형상부 (11b) 의 일단면 (11a) 측에 있어서 상기 둘레 방향의 일방측 (D1) 에서 제 1 톱니부 (12a) 에 인접 형성되는 제 2 톱니부 (12b) 에, 제 1 톱니부의 상기 타방측 (도 5a 에서는 우측, 도 5b 에서는 좌측) 에 대응하는 측으로부터 도입되어 제 1 도선 (U) 과는 반대 방향을 향하여 감기고, 제 1 톱니부의 상기 일방측에 대응하는 측 (도 5a 에서는 좌측, 도 5b 에서는 우측) 에서부터, 상기 일단면 (상단면) (11a) 상에서 통형상부 (11b) 의 둘레 방향의 타방측 (D2) 으로 연장되고, 제 2 톱니부 (12b) 로부터 세어 4 번째의 톱니부 (12e) 에, 제 1 톱니부의 상기 타방측 (도 5a 에서는 우측, 도 5b 에서는 좌측) 에 대응하는 측으로부터 제 1 도선 (U) 과는 반대 방향을 향하여 감기고, 상기 일단면 (상단면) 에 있어서 제 1 톱니부의 상기 일방측에 대응하는 측 (도 5a 에서는 좌측, 도 5b 에서는 우측) 으로부터 도출되어 있다. 제 3 도선 (W) 은, 통형상부 (11b) 의 상기 일단면 (11a) 측에 있어서 상기 둘레 방향의 일방측 (D1) 에서 제 2 톱니부 (12b) 에 인접 형성되는 제 3 톱니부 (12c) 에, 제 1 톱니부의 상기 일방측에 대응하는 측 (도 5a 에서는 좌측, 도 5b 에서는 우측) 으로부터 도입되어 제 1 도선 (U) 과 동일한 방향으로 감기고, 제 3 톱니부 (12c) 의 제 1 톱니부의 상기 타방측에 대응하는 측 (도 5a 에서는 우측, 도 5b 에서는 좌측) 에서부터, 상기 일단면 (11a) 상에서 통형상부 (11b) 의 둘레 방향의 일방측 (D1) 으로 연장되고, 제 3 톱니부 (12c) 로부터 세어 4 번째의 톱니부 (12f) 에 제 1 톱니부의 상기 일방측에 대응하는 측 (도 5a 에서는 좌측, 도 5b 에서는 우측) 으로부터 제 1 도선 (U) 과 동일한 방향으로 감기고, 상기 일단면 (상단면) 에 있어서 제 1 톱니부의 상기 타방측에 대응하는 측 (도 5a 에서는 우측, 도 5b 에서는 좌측) 으로부터 도출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5c 및 도 5d 에 나타낸 감기 방식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에도, 구체적인 감기 방식은 상이하지만 동일 개념으로서 정리할 수 있기 때문에 함께 설명한다. 먼저, 제 1 도선 (U) 은, (도시하지 않은) 통형상부 (11b) 의 일단면 (하단면) 측에 있어서 제 1 톱니부 (12a) 의 둘레 방향의 일방측 (도 5c 에서는 좌측, 도 5d 에서는 우측) 으로부터 도입되어 제 1 톱니부 (12a) 에 감기고, 그 제 1 톱니부의 상기 일방측 (도 5c 에서는 좌측, 도 5d 에서는 우측) 에서부터, 그 통형상부의 타단면 (상단면) 상에서 둘레 방향에서의 타방측 (도 5c 에서는 우측, 도 5d 에서는 좌측) (D1) 으로 연장되고, 그 제 1 톱니부로부터 세어 4 번째의 톱니부 (12d) 에, 그 제 1 톱니부의 타방측에 대응하는 측 (도 5c 에서는 우측, 도 5d 에서는 좌측) 으로부터 감기고, 상기 일단면측 (하단면) 에 있어서 제 1 톱니부의 상기 타방측 (도 5c 에서는 우측, 도 5d 에서는 좌측) 에 대응하는 측 (도 5c 에서는 우측, 도 5d 에서는 좌측) 으로부터 도출되어 있다. 제 2 도선 (V) 은, 제 2 톱니부 (12b) 에, 통형상부의 일단면 (하단면) 측에 있어서 제 1 톱니부 (12a) 의 상기 타방측에 대응하는 측 (도 5c 에서는 우측, 도 5d 에서는 좌측) 으로부터 도입되어 제 1 도선과는 반대 방향으로 감기고, 제 1 톱니부의 상기 타방측에 대응하는 측 (도 5c 에서는 우측, 도 5d 에서는 좌측) 에서부터, 상기 타단면 (상단면) 상에서 둘레 방향에서의 상기 타방측 (D2) 으로 연장되고, 제 2 톱니부 (12b) 로부터 세어 4 번째의 톱니부 (12e) 에, 제 1 톱니부의 상기 일방측에 대응하는 측 (도 5c 에서는 좌측, 도 5d 에서는 우측) 으로부터 제 1 도선과는 반대 방향으로 감기고, 상기 일단면 (하단면) 측에 있어서 제 1 톱니부의 상기 일방측 (도 5c 에서는 좌측, 도 5d 에서는 우측) 에 대응하는 측으로부터 도출되어 있다. 제 3 도선 (W) 은, 제 3 톱니부 (12c) 에, 통형상부의 상기 일단면 (하단면) 측에 있어서 제 1 톱니부의 상기 일방측에 대응하는 측 (도 5c 에서는 좌측, 도 5d 에서는 우측) 으로부터 도입되어 제 1 톱니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감기고, 제 1 톱니부의 상기 일방측에 대응하는 측에서부터 그 통형상부의 타단면 (상단면) 측으로 연장되어, 둘레 방향에서의 상기 일방측으로 연장되고, 제 3 톱니부로부터 세어 4 번째의 톱니부 (12f) 에 제 1 톱니부의 상기 타방측에 대응하는 측으로부터 감기고, 상기 일단면 (하단면) 측에서 제 1 톱니부의 상기 타방측에 대응하는 측으로부터 도출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도선의 감기 방식에 있어서는, 제 1 및 3 도선 (U, W) 의 크로스오버선의 둘레 방향에서의 연장 방향 (D1) 과 제 2 도선 (V) 의 크로스오버선의 연장 방향 (D2) 을 반대 방향으로 함으로써, 크로스오버선 끼리의 겹침이 가장 많아야 2 개가 된다.
다음으로, 스테이터 (1) 의 구체적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스테이터 (1) 는, 전술한 바와 같이 통형상의 스테이터 코어 (11) 를 갖고, 그 스테이터 코어 (11) 는 얇은 전자 강판을 적층하여 형성되며, 그 양단에는 절연 플랜지 (11c, 11d) 가 장착된다.
도 3 및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 플랜지 (11c, 11d) 는, 스테이터 코어 (11) 의 통형상부 (11b) 의 양단면에 겹쳐지는 원고리상 부분 (11g) 과, 그 원고리상 부분으로부터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면이 약 C 자 형상으로 된 절연 라이너 (11h) 를 갖고 있다. 절연 라이너 (11h) 는, 당해 코어 본체의 거의 절반의 길이를 갖고 있고, 그 선단 부분은, 당해 스테이터 코어 (11) 의 양단 개구로부터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서로 겹쳐지는 박육 부분 (11h-1, 11h-2) 으로 되어 있다. 그 절연 라이너 (11h) 는,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톱니부 (12a∼12f) 사이의 간극에 삽입되어, 톱니부의 측면을 커버하게 된다.
원고리상 부분 (11g) 의 외주연에는, 축선 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된 외연 벽부 (11e) (도 1 및 도 3 참조) 가 형성되고, 또한 원고리상 부분 (11g) 의 내주연으로부터는, 스테이터 코어 (11) 의 톱니부 (12a∼12f) 의 축선 방향 단면에 겹치도록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그 선단연으로부터 축선 방향 외측으로 연장 되는 걺부 (14) 가 형성되어 있어, 이것에 의해 톱니부 (12a∼12f) 에 감긴 도선의 탈락을 방지하고 있다.
스테이터 코어 (11) 의 상기 상단면에는, 도선 (U, V, W) 의 크로스오버선과 걸어 맞춰서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부재 (30) 가 형성되어 있다. 그 가이드부재 (30) 는, 도 1 ∼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 플랜지 (11c) 의 원고리상 부분 (11g) 에 둘레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톱니부 (12a∼12f) 에 대응하는 위치, 즉 각 톱니부 (12a∼12f) 의 둘레 방향 중앙 위치와, 인접하는 톱니부 사이의 둘레 방향 중앙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30 도 간격으로 합계 12 개가 형성되어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이드부재 (30) 는, 통형상부 (11) 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상부재로, 걸어 맞춰지는 2 개의 도선을 축선 방향에서 떨어져서 지지하도록 윤곽이 형성되어 있다. 즉, 가이드부재 (30) 는, 대직경부 (31) 와, 소직경부 (32) 를 갖고, 그 소직경부와 대직경부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단차 부분에는 오목부 (33) 가 형성되어 있어, 도선이 통과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도 5a ∼ 도 5d 에서 나타낸 도선 (U, V, W) 의 2 개가 겹치는 크로스오버선 중 하나 (도 4 에서는 도선 U) 는 가이드부재 (30) 의 단차부에 형성된 오목부 (33) 를 통과하고, 다른 1 개의 도선은, 처음에 가이드부재의 대직경부 (31) 의 기단부에 걸어 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도선이 직접 접촉하는 일없이, 각 도선을 적정하게 절연할 수 있다.
도 6 에는, 도 3 과는 상이한 배선으로 된 도선 (U, V, W) 을 구비하는 스테이터의 단면이 나타나 있다. 이 스테이터에 있어서는, 톱니부 (12a) 에 감기고 그 톱니부로부터 연장되어 나온 제 1 도선 (U) 은, 톱니부 (12d) 까지의 크로스오버선 부분이 전부 가이드부재 (30) 의 대직경부 (31) 에 걸어 맞춰져 있다.
톱니부 (12b) 에 감기고 그 톱니부로부터 연장되어 나온 제 2 도선 (V) 은, 톱니부 (12e) 까지의 크로스오버선 부분이 전부 가이드부재 (30) 의 소직경부 (32) 에 걸어 맞춰져 있다.
톱니부 (12f) 에 감기고 그 톱니부로부터 연장되어 나온 제 3 도선 (W) 은, 그 톱니부 (12f) 에서 3 번째까지의 가이드부재 (30) 에 있어서는 대직경부 (31) 에 걸어 맞춰지고, 4 번째와 5 번째 가이드부재에 있어서는 소직경부 (32) 에 걸어 맞춰져 있다.
본 실시형태의 스테이터는, 전술한 바와 같은 크로스오버선의 선 감기 구조를 갖기 때문에, 크로스오버선 밑으로 크로스오버선을 빠져나가게 할 필요없이 제조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종래부터 이 종류의 스테이터를 제조할 때에 사용되고 있는 자동 권선기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245442호 참조) 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므로, 특별한 제조 장치 등을 필요로 하지 않은 점에서도 유용하다.
본 발명은, 3 상이고 9 극 혹은 그 이상의 극을 갖는 스테이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7 에는, 3 상 9 극의 스테이터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크로스오버선이 3 겹이 되는 지점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테이터는,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하등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6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 도선 (V) 을 전부 소직경부 (32) 에 걸어 맞추지 않고, 도선이 감겨져 있는 톱니부 (12b) 및 톱니부 (12e) 에 가장 가까운 가이드부재 (30) 이외의 가이드부재에는 대직경부 (31) 에 걸어 맞춰도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스테이터의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스테이터 코어의 분해 측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나타내는 스테이터의 평면도이다.
도 4 는 도 3 의 IV 부 확대도로, 가이드부재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5a 는 도선의 선 감기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 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다른 도선의 선 감기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c 는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도선의 선 감기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d 는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다른 도선의 선 감기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스테이터의 다른 실시양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스테이터의 다른 실시양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은 종래의 스테이터에 있어서의 도선의 선 감기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는 절연 플랜지를 축선 방향 내측에서 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스테이터 11 : 스테이터 코어
12a ~ 12f : 톱니부 30 : 가이드부재

Claims (5)

  1. 3 상이고 6 극 이상의 스테이터에 있어서,
    통형상부 및 상기 통형상부의 내주면 상에 상기 통형상부 내주면 둘레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6 기 이상의 톱니부로 이루어지는 스테이터 코어와,
    상기 통형상부의 일단면측에 있어서 제 1 톱니부의 일방측으로부터 도입되어 상기 제 1 톱니부에 감기고, 상기 제 1 톱니부의 타방측에서부터, 상기 일단면 상에서 상기 통형상부의 둘레 방향 일방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톱니부로부터 세어 4 번째의 톱니부에, 상기 제 1 톱니부의 일방측에 대응하는 측으로부터 감기고, 상기 일단면측에 있어서 상기 제 1 톱니부의 타방측에 대응하는 측으로부터 도출되어 있는 제 1 도선과,
    상기 통형상부의 일단면측에 있어서 상기 둘레 방향 일방측에서 상기 제 1 톱니부에 인접 형성되는 제 2 톱니부에, 상기 제 1 톱니부의 타방측에 대응하는 측으로부터 도입되어 상기 제 1 도선과는 반대 방향으로 감기고, 상기 제 1 톱니부의 일방측에 대응하는 측에서부터, 상기 일단면 상에서 상기 통형상부의 둘레 방향 타방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2 톱니부로부터 세어 4 번째의 톱니부에, 상기 제 1 톱니부의 타방측에 대응하는 측으로부터 제 1 도선과는 반대 방향으로 감기고, 상기 일단면측에 있어서 상기 제 1 톱니부의 일방측에 대응하는 측으로부터 도출되어 있는 제 2 도선과,
    상기 통형상부의 일단면측에 있어서 상기 둘레 방향 일방측에서 상기 제 2 톱니부에 인접 형성되는 제 3 톱니부에, 상기 제 1 톱니부의 일방측에 대응하는 측으로부터 도입되어 상기 제 1 도선과 동일한 방향으로 감기고, 상기 제 1 톱니부의 타방측에 대응하는 측에서부터, 상기 일단면 상에서 상기 통형상부의 둘레 방향 일방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3 톱니부로부터 세어 4 번째의 톱니부에 상기 제 1 톱니부의 일방측에 대응하는 측으로부터 제 1 도선과 동일한 방향으로 감기고, 상기 일단면측에 있어서 상기 제 1 톱니부의 타방측에 대응하는 측으로부터 도출되어 있는 제 3 도선과,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톱니부로부터 상기 통형상부의 일단면 상에서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도선과 걸어 맞춰서 지지하기 위해 상기 통형상부의 일단면 상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부재를 구비하는 스테이터.
  2. 3 상이고 6 극 이상의 스테이터에 있어서,
    통형상부 및 상기 통형상부의 내측에 상기 통형상부의 내측 둘레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6 기 이상의 톱니부로 이루어지는 스테이터 코어와,
    상기 통형상부의 일단면측에 있어서 제 1 톱니부의 일방측으로부터 도입되어 상기 제 1 톱니부에 감기고, 상기 제 1 톱니부의 일방측에서부터, 상기 통형상부의 타단면 상에서 상기 둘레 방향에서의 일방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톱니부로부터 세어 4 번째의 톱니부에, 상기 제 1 톱니부의 타방측에 대응하는 측으로부터 감기고, 상기 일단면측에 있어서 상기 제 1 톱니부의 타방측에 대응하는 측으로부터 도출되어 있는 제 1 도선과,
    상기 둘레 방향에서의 일방측에서 상기 제 1 톱니부에 인접 형성되는 제 2 톱니부에, 상기 통형상부의 일단면측에 있어서 상기 제 1 톱니부의 타방측에 대응하는 측으로부터 도입되어 상기 제 1 도선과는 반대 방향을 향하여 감기고, 상기 제 1 톱니부의 타방측에 대응하는 측에서부터, 그 타단면 상에서 상기 둘레 방향에서의 타방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2 톱니부로부터 세어 4 번째의 톱니부에, 상기 제 1 톱니부의 일방측에 대응하는 측으로부터 제 1 도선과는 반대 방향으로 감기고, 상기 일단면측에 있어서 상기 제 1 톱니부의 일방측에 대응하는 측으로부터 도출되어 있는 제 2 도선과,
    상기 둘레 방향에서의 일방측에서 상기 제 2 톱니부에 인접 형성되는 제 3 톱니부에, 상기 통형상부의 일단면측에 있어서 상기 제 1 톱니부의 일방측에 대응하는 측으로부터 도입되어 상기 제 1 도선과 동일한 방향으로 감기고, 상기 제 1 톱니부의 일방측에 대응하는 측에서부터, 그 타단면 상에서 상기 통형상부의 상기 둘레 방향에서의 일방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3 톱니부로부터 세어 4 번째의 톱니부에 상기 제 1 톱니부의 타방측에 대응하는 측으로부터 제 1 도선과 동일한 방향으로 감기고, 상기 일단면측에 있어서 상기 제 1 톱니부의 타방측에 대응하는 측으로부터 도출되어 있는 제 3 도선과,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톱니부로부터 상기 통형상부의 타단면 상에서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도선과 걸어 맞춰서 지지하기 위해서 상기 통형상부의 상기 타단면 상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부재를 구비하는 스테이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통형상부의 일단면에서부터 상기 통형상부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상부재로 되어, 걸어 맞춰지는 상기 도선을 축선 방향에서 서로 떨어져서 지지하도록 윤곽이 형성되어 있는 스테이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상부재는, 상기 통형상부의 일단면에 가까운 제 1 부분과, 상기 일단면으로부터 축선 방향에서 떨어져 있는 제 2 부분을 갖고,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이 단차를 두고 형성되어 있는 스테이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이 대직경으로 되고, 상기 제 2 부분이 소직경으로 되어 있는 스테이터.
KR1020080105327A 2007-10-26 2008-10-27 스테이터 KR1010042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78980 2007-10-26
JP2007278980 2007-10-26
JP2008025478 2008-02-05
JPJP-P-2008-025478 2008-02-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2749A KR20090042749A (ko) 2009-04-30
KR101004279B1 true KR101004279B1 (ko) 2011-01-03

Family

ID=40765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5327A KR101004279B1 (ko) 2007-10-26 2008-10-27 스테이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986974B2 (ko)
KR (1) KR101004279B1 (ko)
CN (1) CN101567587B (ko)
TW (1) TW20094189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63762B2 (ja) * 2008-06-12 2013-12-11 株式会社マキタ 電動工具
KR102047685B1 (ko) * 2012-03-22 2019-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바이크 모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DE102019122329A1 (de) * 2019-08-20 2021-02-25 Minebea Mitsumi Inc. Stator für eine elektrische Maschine
WO2023209750A1 (ja) * 2022-04-25 2023-11-02 三菱電機株式会社 固定子及びモー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6782A (ja) * 1993-07-22 1995-02-14 Japan Servo Co Ltd 電動機の固定子
JPH09163654A (ja) * 1995-12-08 1997-06-20 Tec Corp モータ用ステータ
KR19980053842A (ko) * 1996-12-27 1998-09-25 구자홍 아우터 로터타잎 3상 bldc모터의 점프선 걸이구조
JP2002281708A (ja) 2001-03-22 2002-09-27 Sanyo Denki Co Ltd 回転電機用固定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5631B2 (ja) * 1986-06-13 1995-09-13 アイチ−エマソン電機株式会社 三相ブラシレスモータの固定子の製造方法
JP2528848Y2 (ja) * 1988-09-29 1997-03-12 株式会社三協精機製作所 外転型ブラシレスモータ
CN1260875C (zh) * 2000-02-04 2006-06-21 松下环境系统株式会社 电容器电动机的定子及其制造方法
JP3667680B2 (ja) * 2001-10-25 2005-07-06 株式会社小田原エンジニアリング 固定子コイルの並列結線方法とその固定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6782A (ja) * 1993-07-22 1995-02-14 Japan Servo Co Ltd 電動機の固定子
JPH09163654A (ja) * 1995-12-08 1997-06-20 Tec Corp モータ用ステータ
KR19980053842A (ko) * 1996-12-27 1998-09-25 구자홍 아우터 로터타잎 3상 bldc모터의 점프선 걸이구조
JP2002281708A (ja) 2001-03-22 2002-09-27 Sanyo Denki Co Ltd 回転電機用固定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986974B2 (ja) 2012-07-25
CN101567587A (zh) 2009-10-28
TWI359552B (ko) 2012-03-01
CN101567587B (zh) 2011-08-24
TW200941899A (en) 2009-10-01
JP2009213343A (ja) 2009-09-17
KR20090042749A (ko) 2009-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07319B1 (en) Rotary electric machi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10411539B2 (en) Stator for rotary electric machine having respective terminal wires connected to a connecting member
US10284060B2 (en) Stator assembly method and stator assembly apparatus
US8836186B2 (en) Bus bar device, stator, moto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tator
US10892659B2 (en) Stator unit, rotary electric machine including stator uni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tator unit
JP5768323B2 (ja) 回転電機のステータ
JP4710047B2 (ja) バリアブルリラクタンス型角度検出器
US9906085B2 (en) Stator for rotary electric machine
EP3211772B1 (en) Stator production method and coil
US20170237310A1 (en) Rotary electric machine stator
US20060043806A1 (en) Stator and motor
JP2008253063A (ja) モータ用ステ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EP2621060A1 (en) Winding structure, rotating electric machine, and rotating electric machine manufacturing method
US9705374B2 (en) Rotary electric machin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004279B1 (ko) 스테이터
EP2738916A2 (en) Stator of an electric motor comprising a bobbin
JP5315644B2 (ja) 回転電機のステータコイル巻装方法及び回転電機
US11469637B2 (en) Stator comprising an insulator having a restriction portion and covering a tooth
US8581467B2 (en) Stator including a cage coil
EP2937978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tator for rotating electrical machine
CN110476325B (zh) 旋转电机
EP3678282A1 (en) Stator of electric rotating machine, hairpin of stator of electric rotating machi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1362561B2 (en) Stator and stator coil having lead wires arranged to secure interphase insulation performance
US20230117799A1 (en) Stator coil and rotating electric machine stator
JP7246224B2 (ja) 回転電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