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4116B1 - 초전도 선재의 전해 도금 장치 - Google Patents

초전도 선재의 전해 도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4116B1
KR101004116B1 KR1020080027453A KR20080027453A KR101004116B1 KR 101004116 B1 KR101004116 B1 KR 101004116B1 KR 1020080027453 A KR1020080027453 A KR 1020080027453A KR 20080027453 A KR20080027453 A KR 20080027453A KR 101004116 B1 KR101004116 B1 KR 101004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ing
metal wire
tank
reel
inn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7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2170A (ko
Inventor
유권국
문승현
이헌주
정승욱
양주생
김호겸
하홍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남
Priority to KR1020080027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4116B1/ko
Publication of KR20090102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2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4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4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7/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article coated
    • C25D7/06Wires; Strips; Foils
    • C25D7/0607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2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veying workpieces through baths of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6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for articles to be co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21/16Regeneration of process solutions
    • C25D21/18Regeneration of process solutions of electrolytes

Abstract

본 발명은 2세대 초전도 선재(Coated conductor)의 제작을 위해 필요한 수 킬로의 길이의 금속 모재(금속 선재)에 대한 전해 도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해 도금 장치는 4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2,3,4 도금조; 및 초전도 선재의 모재인 금속선재가 상기 제1도금조를 시작으로 상기 제2도금조와 상기 제3도금조 그리고 상기 제4도금조를 거쳐 다시 상기 제1도금조로 멀티턴되는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릴투릴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초전도 선재의 전해 도금 장치{APPARATUS FOR ELECTRO PLATING OF COATED CONDUCTOR}
본 발명은 2세대 초전도 선재(Coated conductor)의 안정화층 형성을 위한 도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길이가 수 킬로의 길이인 장선화 초전도 선재 제조를 위한 전해 도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온 초전도 (박막)선재는 일정 온도 이하에서 전기저항이 없으므로 일반적인 구리 선재에 비하여 수천배 이상의 전류를 흘릴 수 있어, 전력, 전자, 의료 분야에 있어 막대한 잠재성을 갖는다. 특히 최근 연구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고온초전도 박막 선재(coated conductor)의 경우 금속 기판 위에 YBa2Cu3O7-x (YBCO) 등 고온초전도 재료를 도포하여 1MA/cm2 이상의 우수한 임계전류밀도 특성을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고온 초전도 박막 선재(또는 초전도 박막 선재)에서 초전도층으로 주로 적용되고 있는 YBCO의 경우 대기 중의 습기에 취약하며, 격자 내 산소 함유량에 따라 임계전류 특성이 큰 영향을 받는다. 이에 따라 산소 투과성이 좋고, 대기 중의 수분을 차단할 수 있는 은(Ag)을 보호층으로 적용하여 사용 환경에 따른 선재의 열화를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고온 초전도 박막 선재가 주로 적용될 것으로 생각되는 대용량 전력기기, 고자장용 전자석 등의 경우 선재를 통하여 대량의 전류를 흘려야 하며, 고자장 하에서는 전자기력에 의한 Lorentz force를 받게 되므로 적용되는 선재가 대용량의 전류 수송에 있어서도 안정하여야 하며, 기계적 강도도 우수하여야 한다. 특히, 사고전류(faulted current)가 발생하는 경우 선재의 임계전류값 이상의 전류가 흐르므로 적절한 션트(shunt)가 없다면 다량의 열이 발생하여 선재가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저항이 낮아서 션트(shunt)로서의 역할을 하며, 열전도성이 우수하여 발생하는 열을 선재 외부로 쉽게 내보낼 수 있는 재료로 선재를 피복하여 안정화층을 형성함으로써 안정성이 높은 고온 초전도 (박막)선재를 제조하고 있다.
안정화층의 재료로는 전기저항이 낮고 열 전도성이 우수한 재료로서 은, 구리 등을 들 수 있다. 은 (Ag)의 경우 전기저항(ρ=1.6μΩcm)이 금속 중 가장 낮고, 열 전도성(K=430W/mK)이 우수하지만, 고가의 금속 재료이므로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는 구리(ρ=1.7μΩcm, K=400W/mK)를 안정화층으로 도입하여 대전류 적용시에도 선재의 특성을 안정화시키고 있다.
종래기술의 경우 고온 초전도 박막 선재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리 등의 안정화층(4)을 형성하기 위하여 납땜법(soldering), 무전해 도금법, 전기도금법(electrodeposition)을 이용하고 있다.
상기 납땜법의 경우 적절한 용융금속을 사용하여 단시간 내에 구리 안정화층을 부착시키는 방법으로 공정이 단순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용융금속을 사용 하므로 온도상승에 의해 초전도층의 특성을 악화시킬 수 있으며, 선재의 측면은 안정화층 형성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고전압 인가 시 방전(discharge)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무전해 도금법의 경우 기지층에 전기를 줄 수 있는 부도체나 분말상에 도금이 가능하고 전류 밀도의 영향이 없으므로 균일한 두께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도금 속도가 매우 느리며 도금액에서 금속의 농도를 증가시켜 빠른 속도의 도금이 진행될 경우 표면의 거칠기가 거칠어지며 오히려 균일 증착이 되지 않는다. 또한 도금조건이 도금액의 조성에 따라 민감하게 변하며 도금액의 수명이 짧고 관리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전기도금법의 경우는 상온 근처에서 모든 공정이 이루어지므로 초전도층의 특성에 악영향을 주지 않으며, 선재의 측면에도 도금이 이루어지므로 고전압 인가 시에도 안정하다. 그러나 전기 도금은 도금 속도 대비 생산량에 대해서는 일정 크기 이상의 설비가 요구되고 이러한 설비를 설치 및 유지하기는 공간 활용면이나 비용면에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최소 공간에서 단위 도금 길이를 최대화할 수 있는 초전도 선재를 제조하기 위한 전해 도금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해 도금 속도 대비 생산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초전도 선재를 제조하기 위한 전해 도금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초전도 선재를 제조하기 위한 전해 도금 장치는 도금액이 담겨진 도금조; 초전도 선재의 모재인 금속선재가 상기 도금조의 전해도금액에 여러번 담겨지도록 상기 금속 선재를 멀티턴시키기 위한 릴투릴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릴투릴부재는 상기 도금조로 금속선재를 안내하는 제1릴부재; 및 상기 도금조를 통과한 금속선재를 다시 상기 제1릴부재로 안내하는 제2릴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초전도 선재를 제조하기 위한 전해 도금 장치는 4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2,3,4 도금조; 및 초전도 선재의 모재인 금속선재가 상기 제1도금조를 시작으로 상기 제2도금조와 상기 제3도금조 그리고 상기 제4도금조를 거쳐 다시 상기 제1도금조로 멀티턴되는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릴투릴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초전도 선재를 제조하기 위한 전해 도금 장치는 초전도 선재의 모재인 금속 선재를 제공하는 권출부; 상기 권출부로부터 제공되는 금속 선재를 전해도금액에 담가 금속 선재 표면에 안정화층을 형성하는 도금부; 금속 선재가 상기 도금부로 제공되기 전에 수세 처리하는 전처리부; 상기 도금부에서 안정화층을 형성한 금속 선재를 수세 및 건조 처리하는 후처리부; 상기 후처리부에서 건조까지 마친 금속선재가 감겨지는 권취부를 포함하되; 상기 도금부는 4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2,3,4 도금조; 및 초전도 선재의 모재인 금속선재가 상기 제1도금조를 시작으로 상기 제2도금조와 상기 제3도금조 그리고 제4도금조를 거쳐 다시 상기 제1도금조로 멀티턴되는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릴투릴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릴투릴부재는 상기 제4도금조와 상기 제1도금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도금조로 금속선재를 안내하는 제1릴부재; 상기 제1도금조와 상기 제2도금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도금조로 금속선재를 안내하는 제2릴부재; 상기 제2도금조와 상기 제3도금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3도금조로 금속선재를 안내하는 제3릴부재; 및 상기 제3도금조와 상기 제4도금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4도금조로 금속선재를 안내하는 제4릴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2,3,4,도금조에는 양극으로 사용되는 금속전극이 설치되고, 상기 릴투릴부재는 음극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해도금액은 금속재료로서 구리 또는 구리를 주재료로 하여 은, 니켈, 철, 주석, 아연 또는 상기 원소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합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초전도 선재를 제조하기 위한 전해 도금 방법은 권출부로부터 초전도 선재의 모재인 금속선재를 제공하는 로딩 단계; 금속선재를 전해도금액이 담긴 도금조를 통과시키면서 금속선재의 표면에 안정화층을 형성하는 전해 도금 단계; 전해 도금 처리된 금속 선재를 권취부에 감는 언로딩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전해 도금 단계에서는 금속선재가 상기 도금조의 전해도금액에 여러번 담겨지도록 릴투릴 부재에 의해 멀티턴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해 도금 단계에서는 금속선재가 4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2,3,4 도금조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멀티턴되며, 금속선재는 상기 제1,2,3,4도금조 사이에 배치되는 4개의 릴부재들에 의해 이송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릴투릴방식으로 금속선재를 이송하면서 전해 도금을 실시하기 때문에 최소 공간에서 단위 도금 길이를 최대화할 수 있는 각별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전해 도금 속도 대비 생산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각별한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전도 선재를 제조하기 위한 전해 도금 장치를 보여주는 평면 구성도이다. 도 2는 초전도 선재를 제조하기 위한 전해 도금 장치에서 도금부를 보여주는 평면 구성도이다. 도 3은 초전도 선재를 제조하기 위한 전해 도금 장치에서 도금부를 보여주는 측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초전도 선재를 제조하기 위한 전해 도금 장치(10)는 전해 도금 공정 순서에 따라서 일렬로 길게 초전도 선재의 모재인 금속 선재를 적정 온도로 유지되는 전해 도금액에 릴투릴 방식으로 침지시켜 표면 에 금속층(안정화층)을 성장시키는 연속 전해 도금 장치이다.
여기서 금속 선재는 초전도층이 형성된 초전도 박막 선재 또는 보호층을 가지는 초전도 박막 선재로 정의될 수 있다.
전해 도금 장치(10)는 권출부(100), 전처리부(200), 전해 도금부(400), 후처리부 그리고 권취부(800)를 포함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전해 도금 장치(10)는 금속 선재가 여러 처리부를 거치므로 인해 상호 오염에 의한 조성 및 전해 조건 변화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처리부마다 질소가스 분사노즐을 설치하여 이웃하는 처리부의 성분에 의한 오염을 최대한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권출부(100)에는 전해 도금을 위한 금속 선재(20)가 피딩 릴(Feeding Reel)(110)에 감겨져 있으며, 권출부(100)로부터 인출된 금속 선재(20)는 안내롤러(120)들을 거쳐 전처리부(200)로 제공된다.
금속 선재(20)는 바람직하게 피딩 릴(110)에 의해 제공된다. 피딩 릴(110)은 금속 선재를 일정한 속도로 제공하는 연속 공급 릴이다. 피딩 릴(110)은 와인딩 릴(810)과 함께 장력을 조절함으로써 금속 선재가 처지거나(장력이 지나치게 작은 경우), 금속 선재가 신장(또는 파단)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전해 도금을 위한 금속 선재(20)의 표면에 묻어 있는 오염물질은 전해 도금 특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전해 도금부(400)로 진입하기 전에 전처리부(200)에서 금속 선재 표면의 오염물질 등을 제거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전처리부(200)에서는 금속 선재(20)를 전해 도금 공정이 진행되는 전해 도금 부(400)로 공급하기 전에 금속 선재(20) 표면에 묻어 있는 오염물질 등을 제거하는 공정이 진행된다.
전처리부(200)는 도금하고자 하는 금속 선재의 표면에 혹시라도 있을 수 있는 산화막을 제거하기 위해 약산으로 금속 선재를 처리하는 산세 처리(210)부, 순수로 금속선재의 표면을 세척하는 제1수세 처리부(220), 금속 선재 표면을 활성화처리하는 활성화 처리부(230) 그리고 순수로 금속선재의 표면을 세척하는 제2수세 처리부(240)를 포함한다.
이렇게 전처리부(200)에서 전처리 과정을 마친 금속 선재는 전해 도금부(400)로 제공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전해 도금부(400)에서는 전해도금액이 담긴 도금조 내에 금속 선재(20)를 침전하고, 도금조 내에 형성된 구리 양극전극과 금속 선재를 이송하는 릴부재에 음전극을 인가하여 금속 선재에 구리(안정화층)을 증착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와 같이 긴 선재 형태인 금속 선재(20)를 전해 도금할 경우 Reel-to-Reel 방법을 이용하게 된다.
전해 도금부(400)는 4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2,3,4 도금조(410a,410b,410c,410d) 그리고 릴투릴 부재(500)를 포함한다. 릴투릴부재(500)는 금속선재(20)가 제1도금조(410a)를 시작으로 제2도금조(410b)와 제3도금조(410c) 그리고 제4도금조(410d)를 거쳐 다시 제1도금조(410a)로 순환되는 멀티턴 이동 경로를 제공한다. 릴투릴부재(500)는 제1릴부재(510a), 제2릴부재(510b), 제3릴부재(510c) 그리고 제4릴부재(510d)를 포함한다. 제1릴부재(510a)는 제4도금조(410d)와 제1도금조(410a) 사이에 배치되어 제1도금조(410a)로 금속선재를 안내하며, 제2릴부재(510b)는 제1도금조(410a)와 제2도금조(410b) 사이에 배치되어 제2도금조(410b)로 금속선재를 안내하고, 제3릴부재(510c)는 제2도금조(410b)와 제3도금조(410c) 사이에 배치되어 제3도금조(410c)로 금속선재를 안내한다. 그리고 제4릴부재(510d)는 제3도금조(410c)와 제4도금조(410d) 사이에 배치되어 제4도금조(410d)로 금속선재를 안내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4릴부재(510b,510d)는 구동부재인 모터(504)에 의해 회전되는 샤프트(506) 및 샤프트(506)에 설치되며 금속선재가 멀티턴되도록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홈(508)을 갖으며 음극으로 사용되는 원통형의 롤러(502)를 갖는다.
한편, 제1릴부재(510a)와 제3릴부재(510c)는 금속선재(20)를 안내하는 가이드 역할뿐만 아니라 음극 전극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제2릴부재(510b)와 제4릴부재(510d)에는 구동부재가 연결되어 금속 선재의 이동에 필요한 이동력을 제공한다. 도면에는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릴부재(510a-510d)들은 금속 선재의 비틀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1/2-1피치의 각도 변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금속선재(20)가 릴투릴부재(500)에 의해 제1,2,3,4도금조(410a-410d)를 순차적으로 순환하는 멀티턴 방식으로 이송되면서 반복적으로 전해 도금 처리되기 때문에 최소 공간에서 단위 도금 길이를 최대화할 수 있는 각별한 효과를 갖는다.
도 4는 하나의 도금조를 갖는 전해 도금부의 평면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금조(410)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제1릴부재(510a)와 제2릴부재(510b)가 배치되며, 금속선재(20)는 제1릴부재(510a)와 제2릴부재(510b)에 의해 멀티턴되면서 도금조(410)에서 도금처리된다. 이처럼, 전해 도금부(400)는 도금조의 개수에 상관없이 릴투릴부재(500)에 의해 금속 선재가 멀티 턴되면서 도금 처리된다는데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전해 도금부(400)의 제1,2,3,4도금조(410a-410d)는 모두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이중에서 제3도금조(410c)의 구성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도금조(410c)는 전해 도금액이 채워지는 베스(420), 구리 전극(430), 베스(420)로 전해 도금액을 순환 공급하는 순환부재(440)를 포함한다.
베스(420)는 내조(422)와 외조(424)로 이루어지고, 내조(422)에는 양극인 구리 전극(430)이 설치된다. 구리 전극(430)은 금속 선재(20)가 통과하는 이동 경로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고 설치된다.
순환부재(440)는 전해 도금액이 채워져 있는 저장탱크(442)와, 저장탱크(442)에 채워져 있는 전해 도금액을 내조로 재공급하기 위한 순환펌프(444); 외조(424)와 저장탱크(442) 그리고 내조(422)로 이루어지는 전해 도금액의 순환경로를 제공하는 순환라인(446), 그리고 순환라인에 설치되는 필터(447) 등을 포함한다.
제1도금조(410c)에서의 전해 도금액 흐름은, 우선 내조(422)로부터 넘치는 전해 도금액은 외조(424)로 모이고, 외조(424)에서 모아진 전해 도금액은 순환부재(440)의 저장탱크(442)로 제공된다. 저장탱크(442)에 저장된 전해 도금액은 순환펌프(444)에 의해 순환라인(446)을 통해 내조(422)로 재공급된다. 금속 선재(20)는 제3도금조(410c)의 측벽에 형성된 출입구(418)를 통해 전해 도금액에 담가진 후 반대편 측벽에 형성된 출입구(418)를 통해 빠져나가게 되며, 전해 도금액에 침치되는 과정에서 금속 선재의 표면에 금속층(안정화층)이 증착된다. 내조(422)에 담겨진 전해 도금액의 일부는 금속 선재(20)가 통과하는 출입구(418)를 통해 빠져나가게 되지만, 내조로부터 유출되는 양만큼 순환부재(440)에 의해 채워지게 됨으로써 내조(422)의 수위는 금속 선재가 잠길 수 있는 정도로 유지될 수 있다.
전해도금액은 금속재료로서 구리 또는 구리를 주재료로 하여 은, 니켈, 철, 주석, 아연 또는 상기 원소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합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금속 선재(20)가 제3도금조(410c)의 측벽에 형성된 출입구(418)를 통과해서 전해 도금액에 담가 지게 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가이드 롤러들을 배치하여 금속 선재(20)가 내조에 담가 지도록 이송 경로를 변경하는 방식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전해 도금부(400)에서 전해 도금을 마친 금속 선재(20)는 후처리부(600)로 제공된다.
후처리부(600)는 제3수세 처리부(610), 금속 선재의 표면에 형성된 금속층(안정화층)의 변색을 방지하기 위한 변색방지 처리부(620), 제4수세 처리부(630), 건조 처리부(640)를 포함한다. 건조 처리부(640)에서는 고온의 에어(질소가스)를 분사하여 금속 선재에 묻은 물기를 제거하게 된다. 물론, 건조부(640)에서의 건조 방식은 열원을 이용한 건조 방식 등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렇게 건조 처리부(640)에 의해 물기가 제거된 금속 선재(20)는 귄취부(800)로 제공된다.
권취부(800)에는 전해 도금을 마친 금속 선재(20)가 감겨지는 와인딩 릴(Winding reel;810)과, 금속 선재를 와인딩 릴로 안내하는 안내롤러(820)들을 포 함한다.
도 5는 금속 선재의 전해 도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이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금속 선재의 전해 도금 장치에서의 전해 도금 공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금속 선재의 전해 도금은 크게 로딩단계(s100), 전처리 단계(s200), 전해 도금 단계(s400), 후처리 단계(s600), 그리고 언로딩 단계(s800)로 이루어진다.
금속 선재(20)는 권출부(100)의 피딩 릴(110)로부터 인출되어 전처리부(200)로 제공된다(s100). 전처리 단계(s200)에서는 도금하고자 하는 금속 선재의 표면에 혹시라도 있을 수 있는 산화막을 제거하기 위해 약산으로 금속 선재를 처리하는 산세 처리 단계(s210), 순수로 금속선재의 표면을 세척하는 수세 처리 단계(s220), 금속 선재 표면을 활성화처리하는 활성화 처리 단계(s230) 그리고 순수로 금속선재의 표면을 세척하는 수세 처리 단계(s240)를 진행한다.
그리고 전처리 단계를 마친 금속 선재는 전해 도금부로 제공되어 전해 도금 단계를 거치게 된다(s400). 전해 도금 과정은 금속선재(20)가 릴투릴부재(500)에 의해 제1,2,3,4도금조(410a-410d)를 순차적으로 순환하는 멀티턴 방식으로 이송되면서 반복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전해 도금 단계를 마친 금속 선재는 후처리부에서 수세 처리 과정(s610)과, 금속 선재의 표면에 형성된 금속층(안정화층)의 변색을 방지하기 위한 변색 방지 처리(s620) 그리고 다시 한번 수세 처리(s630)를 마친 후 건조 처리로 이루어지는 후처리 과정(s640)을 거치게 된다.
이렇게 후처리 과정에서 표면 건조까지 마친 금속 선재는 권취부의 와인딩 릴에 감겨진다.(언로딩 단계,s800)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전도 선재를 제조하기 위한 전해 도금 장치를 보여주는 평면 구성도이다.
도 2는 초전도 선재를 제조하기 위한 전해 도금 장치에서 도금부를 보여주는 평면 구성도이다.
도 3은 초전도 선재를 제조하기 위한 전해 도금 장치에서 도금부를 보여주는 측면 구성도이다.
도 4는 하나의 도금조를 갖는 전해 도금부의 평면 구성도이다.
도 5는 금속 선재의 전해 도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권출부
200 : 전처리부
400 : 전해 도금부
500 : 릴투릴부재
600 : 후처리부
800 : 권취부

Claims (9)

  1. 삭제
  2. 초전도 선재를 제조하기 위한 전해 도금 장치에 있어서:
    도금액이 담겨진 도금조;
    초전도 선재의 모재인 금속선재가 상기 도금조의 전해도금액에 여러번 담겨지도록 상기 금속 선재를 안내하는 제1릴부재와 제2릴부재를 갖는 릴투릴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도금조는
    도금액이 수용되는 내조; 상기 내조에 금속선재가 통과하는 이동경로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며 설치되는 양극 전극; 상기 내조의 외측에 위치되며, 전해 도금공정 중 상기 내조로부터 흘러 넘치는 도금액을 수용하는 외조; 상기 외조로부터 배출되는 도금액이 저장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도금액을 상기 내조로 재공급하기 위한 순환펌프 그리고 상기 외조와 상기 저장탱크 그리고 내조로 이루어지는 순환경로를 제공하는 순환라인을 구비하는 순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릴부재와 상기 제2릴부재 각각은
    회전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에 설치되며 금속선재가 멀티턴되도록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홈을 갖으며 음극으로 사용되는 원통형의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선재를 제조하기 위한 전해 도금 장치.
  3. 초전도 선재를 제조하기 위한 전해 도금 장치에 있어서:
    4방향으로 배치되고 양극 전극이 설치되는 제1,2,3,4 도금조; 및
    초전도 선재의 모재인 금속선재가 상기 제1도금조를 시작으로 상기 제2도금조와 상기 제3도금조 그리고 상기 제4도금조를 거쳐 다시 상기 제1도금조로 멀티턴되는 이동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1,2,3,4도금조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릴부재들을 갖는 릴투릴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2,3,4 도금조 각각은
    도금액이 수용되는 내조; 상기 내조에 금속선재가 통과하는 이동경로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며 설치되는 양극 전극; 상기 내조의 외측에 위치되며, 전해 도금공정 중 상기 내조로부터 흘러 넘치는 도금액을 수용하는 외조; 및 상기 외조에서 상기 내조로 도금액을 순환 공급하는 순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릴부재는
    회전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에 설치되며 금속선재가 멀티턴되도록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홈을 갖으며 음극으로 사용되는 원통형의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선재를 제조하기 위한 전해 도금 장치.
  4. 초전도 선재를 제조하기 위한 전해 도금 장치에 있어서:
    초전도 선재의 모재인 금속 선재를 제공하는 권출부;
    상기 권출부로부터 제공되는 금속 선재를 전해도금액에 담가 금속 선재 표면에 안정화층을 형성하는 도금부;
    금속 선재가 상기 도금부로 제공되기 전에 수세 처리하는 전처리부;
    상기 도금부에서 안정화층을 형성한 금속 선재를 수세 및 건조 처리하는 후처리부;
    상기 후처리부에서 건조까지 마친 금속선재가 감겨지는 권취부를 포함하되;
    상기 도금부는
    4방향으로 배치되고 양극 전극이 설치되는 제1,2,3,4 도금조;
    초전도 선재의 모재인 금속선재가 상기 제1도금조를 시작으로 상기 제2도금조와 상기 제3도금조 그리고 제4도금조를 거쳐 다시 상기 제1도금조로 멀티턴되는 이동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1,2,3,4도금조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릴부재들을 갖는 릴투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2,3,4 도금조 각각은
    도금액이 수용되는 내조; 상기 내조에 금속선재가 통과하는 이동경로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며 설치되는 양극 전극; 상기 내조의 외측에 위치되며, 전해 도금공정 중 상기 내조로부터 흘러 넘치는 도금액을 수용하는 외조; 및 상기 외조에서 상기 내조로 도금액을 순환 공급하는 순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릴부재는
    회전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에 설치되며 금속선재가 멀티턴되도록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홈을 갖으며 음극으로 사용되는 원통형의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선재를 제조하기 위한 전해 도금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부재는
    상기 외조로부터 배출되는 도금액이 저장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도금액을 상기 내조로 재공급하기 위한 순환펌프; 및
    상기 외조와 상기 저장탱크 그리고 내조로 이루어지는 순환경로를 제공하는 순환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도 선재를 제조하기 위한 전해 도금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80027453A 2008-03-25 2008-03-25 초전도 선재의 전해 도금 장치 KR101004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453A KR101004116B1 (ko) 2008-03-25 2008-03-25 초전도 선재의 전해 도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453A KR101004116B1 (ko) 2008-03-25 2008-03-25 초전도 선재의 전해 도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170A KR20090102170A (ko) 2009-09-30
KR101004116B1 true KR101004116B1 (ko) 2010-12-27

Family

ID=41359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7453A KR101004116B1 (ko) 2008-03-25 2008-03-25 초전도 선재의 전해 도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41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22947A1 (ko) * 2016-01-11 2017-07-20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도전성 물질로 함침된 무절연 초전도 코일 및 그의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8513B1 (ko) * 2012-08-29 2014-11-07 주식회사 서남 초전도 선재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초전도 선재
KR101594840B1 (ko) * 2013-11-22 2016-02-2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초전도선재 두께 균일도가 개선된 초전도선재의 제조방법과 전기 도금 방법 및 그 방법에 이용되는 초전도선재 전기 도금 장치.
KR102350044B1 (ko) * 2015-03-12 2022-01-10 에스케이넥실리스 주식회사 도금조 및 이를 포함하는 도금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39696A (en) 1980-03-31 1981-10-31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Method for forming plated surface and surface-oxidation- treated surface in longitudinal direction on surface of long-sized copper material
KR100741726B1 (ko) * 2006-02-16 2007-08-10 한국기계연구원 습식화학공정을 이용한 초전도 선재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39696A (en) 1980-03-31 1981-10-31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Method for forming plated surface and surface-oxidation- treated surface in longitudinal direction on surface of long-sized copper material
KR100741726B1 (ko) * 2006-02-16 2007-08-10 한국기계연구원 습식화학공정을 이용한 초전도 선재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22947A1 (ko) * 2016-01-11 2017-07-20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도전성 물질로 함침된 무절연 초전도 코일 및 그의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170A (ko) 200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4116B1 (ko) 초전도 선재의 전해 도금 장치
KR100241635B1 (ko) 강선에 구리층을 적용시키는 방법
KR19990022736A (ko) 와이어 제조방법
CN113089038B (zh) 超导带材预镀铜方法、镀铜方法及镀铜装置
JP6688564B2 (ja) 酸化物超電導線材の製造方法
KR101018838B1 (ko) 금속 테이프의 전해 연마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A2195218C (en) Copper wire and process for making copper wire
US3328271A (en) Method of electroplating copper on niobium-zirconium alloy superconductors for stabilization
US6188921B1 (en) Superconducting composite with high sheath resistivity
US3506546A (en) Copper coating
CN104885165A (zh) 超导线的制造方法以及通过其制作的超导线
KR101639564B1 (ko) 벨트형 전기 주조 장치
KR100695373B1 (ko) 도금 장치
US3669865A (en) Apparatus for uniformly plating a continuous cylindrical substrate
US813775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individual filaments of a multifilament yarn
KR20100038734A (ko) 금속 테이프의 전해 연마를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11089194A (ja) カーボンファイバに対してめっきする装置および方法
US3436330A (en) Electroplating apparatus
TWI640652B (zh) 由第一金屬製成且具有由第二金屬製成之外鞘層之線的製造方法
TW201124565A (en) Device for plating carbon fiber and method the same
JP3131680B2 (ja) 銅めっき線の製造方法
RU2724121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лужения высокотемпературных сверхпроводящих лент второго поколения
KR20070009153A (ko) 철선의 용융아연 도금방법
JP2637493B2 (ja) 金属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1462945B (zh) 线状构件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