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4108B1 - 강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강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4108B1
KR101004108B1 KR1020100014705A KR20100014705A KR101004108B1 KR 101004108 B1 KR101004108 B1 KR 101004108B1 KR 1020100014705 A KR1020100014705 A KR 1020100014705A KR 20100014705 A KR20100014705 A KR 20100014705A KR 101004108 B1 KR101004108 B1 KR 101004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wire
solar panel
fixing
stee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4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나리
이순형
Original Assignee
강나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나리 filed Critical 강나리
Priority to KR1020100014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41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4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4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5/00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50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comprising elongate non-rigid elements, e.g. straps, wires or rop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02E10/47Mountings or trac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선을 이용하여 다수개의 솔라 패널을 효과적으로 고정지지할 수 있도록 한 강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설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일정한 높이에 두 개의 강선을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기 위한 일 라인으로 구성하고, 각 라인 간에 강선을 연결하여 횡방향에서 종방향으로 라인 간 서로 지지하는 형태의 매트릭스 조직구조를 갖는 태양광 패널 설치구조를 제안하고자 한 것으로, 태양광 패널 하부의 저류지를 그대로 보존할 수 있음은 물론 유휴상태인 저류지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 가능한 구조를 갖는 태양광 패널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 태양광 패널 설치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강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고정장치{Equipment For Fixing Solar panel using steel wire}
본 발명은 다수개의 솔라 패널을 고정지지 하여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구성하고자 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강선을 이용하여 다수개의 솔라 패널을 효과적으로 고정지지할 수 있도록 한 강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발전은 발전기의 도움 없이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태양빛을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방식이다. 이러한 태양광발전은 일반적으로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전지수단인 태양광 패널(solar pannel)을 설치하여 구성한다.
도 1 및 도 2는 태양광 패널의 설치 예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 건물 구조물에 설치되거나, 또는 공터에 구조물을 세우고 태양광 패널을 설치한다.
태양광발전은 공해가 없고, 필요한 장소에 필요한 만큼만 발전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가 용이하여 근래에는 친환경 발전설비로 사용 증가세에 있다.
그러나, 전력생산량이 일조량에 의존하고, 설치 장소가 한정적이며, 초기 투자비와 발전단가가 높은 단점이 있다.
특히 필요한 전력생산량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인 발전장치의 설치를 위해서는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의 확보와, 공간에 적절한 형태 및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위한 태양광 패널의 설치구조물이 요구되었다.
근래에는 저류지 또는 산간지역의 유휴지가 상기에서와 같은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기 위한 유효공간으로 대두되고 있다.
저류지(water retention)란 거대한 지하 빗물 저장소라고 할 수 있으며, 이 저장소는 물을 계속 가두고만 있는 것이 아니라 바닥을 통해서 밑으로 조금씩 물이 스며들게 하는 것으로, 홍수피해 저감시설이라 할 수 있습니다.
저류지는 집중 호우 시에 댐과 같은 역할을 하는 데, 댐은 지상에 건설되어 평소에 눈에 보이지 않지만, 저류지는 보통 하천주변 지하에 설치되어 있다.
수십만 평방미터(m2)의 저류지가 1년 중 홍수기를 제외하면 물이 차여 있지 않은 상태로 버려지고 있는 실정이다.
대표적인 저류지로, 낙동강 하류지역의 저류지를 예로 들 수 있다.
특히 4대강 정비사업 으로 보다 더 저류지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서 이와 같은 저류지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산간지역의 유휴지의 경우 지면이 부분적으로 높낮이가 다르고 지면이 고르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기 위한 지면 정비작업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뒤따른다.
본 발명에서는 저류지 및 산악지등과 같은 유휴지 특성에 맞는 공간 활용성을 갖는 태양광 패널 고정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저류지 또는 산악지역 등의 장소적 특성을 고려한 높이에 두 개의 강선을 이용하여 횡방향으로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는 태양광 패널 설치라인을 구성하되 하나 이상의 태양광 패널 설치라인을 구성하고, 각 인접된 라인 간에 횡방향으로 강선을 연결하여 횡방향에서 종방향 라인 간 서로 지지하는 매트릭스 조직구조를 갖는 태양광 패널 설치구조를 제안하고자 한 것으로, 유휴공간인 저류지 및 산악지역의 공간특성에 적합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 강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고정장치는,
태양광 패널이 일정한 경사각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기울기를 가지며 태양광 패널의 세로 폭에 따라서 강선(steel wire)이 배열 설치되는 강선설치대와, 강선설치대에 설치되고 태양광 패널이 설치되는 강선과, 강선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고정하기 위한 패널고정행거와, 강선설치대를 고정지지하기 위한 기둥을 포함하는 태양광 패널고정장치가 구성되고, 하나 이상의 태양광 패널고정장치가 인접하여 배열되고, 인접된 패널고정장치 간에 강선과 강선을 연결하는 연결지지강선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태양광 패널 설치구조가 횡방향의 태양광 패널이 설치되는 강선과 종방향의 패널고정장치 간 강선을 연결하는 연결지지강선에 의해 전달되는 충격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분배되는 매트릭스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두 줄의 강선이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태양과 패널 설치라인에 태양광 패널이 설치되어 있어, 바람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횡방향의 강선과 서로 인접된 라인 간의 종방향 연결 강선으로 인하여 견고하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하천 등의 유휴지로 남겨져있는 저류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그 공간을 이용하여 설치 적절한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부에서 햇빛을 막아 그늘을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햇빛 차단효과가 있어서 정수에 도움이 되는 균류 및 식물체의 성장을 도와줄 수 있어 상수도 정류조에 설치할 경우 효과적이다.
각 태양광 패널 고정장치의 강선상에서 태양광 패널의 교체 및 추가가 용이하고, 인접된 위치에 태양광 패널장치를 추가 설치하고 강선을 손쉽게 연결하는 것에 의해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서로 높낮이가 다른 산악지역의 유휴지에도 별다른 지면 정비작업 없이도 간단하게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설치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일반적인 태양광 패널 설치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 강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고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나탄낸 도면.(저류지 적용)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태양광 추적장치가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산악지에 적용)
도 7은 계절에 따른 태양의 남중고도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있어서, 태양광 패널이 설치되는 강선설치대 구성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강선설치대 구성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도 6)에서의 계절별 태양광 패널의 각도조절수단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 강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설치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태양광 패널(10)이 일정한 경사각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기울기를 갖으며 태양광 패널(10)의 세로 폭에 따라서 강선(steel wire)(21)(22)이 배열 설치되는 강선설치대(30)와, 강선설치대(30)에 설치되고 태양광 패널(10)이 설치되는 강선(21)(22)과, 강선(21)(22)에 태양광 패널(10)을 설치고정하기 위한 패널고정행거(40)와, 강선설치대(30)를 고정지지하기 위한 기둥(50)과, 기둥(50)을 받쳐주기 위하여 지면에 설치된 콘크리트 받침대(60)를 포함하여 태양광 패널고정장치가 구성되고, 하나 이상의 태양광 패널 고정 장치가 인접하여 배열되고, 인접된 패널고정 장치 간에 서로 높이에 맞게 강선(21)과 강선(22)을 연결하는 연결지지강선(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연결지지강선(23)은 길이의 변화에 대응 가능하도록 스프링부(23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기둥(50)과 기둥(50)간의 기둥보(5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 강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설치 시스템은 강선을 이용하여 태양광 패널 고정장치를 구성하고, 이러한 하나이상의 태양광 패널 고정장치를 배열하고, 인접된 태양광 패널고정장치의 강선을 서로 연결하여 서로 간에 지지되어 견고한 태양광 패널 고정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강선설치대(30)는 태양광 패널(10)이 태양광의 집광도를 높이기 위하여 정해진 경사도로 설치될 수 있도록 정해진 경사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기둥(50)에 설치되며, 두 개의 강선(21)(22)을 연결하기 위한 수단이다.
강선(21)(22)은 강선설치대(30)에 태양광 패널(10)의 세로 폭에 따라서 배열 설치되어 태양광 패널설치라인(L)을 형성한다.
태양광 패널(10)은 정해진 간격에 맞추어 강선(21)(22)에 배열설치 되어 바람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구조를 갖는다.
패널고정행거(40)는 강선(21)(22)에 태양광 패널(10)을 끼워 고정하기 위한 패널고정수단이다.
패널고정행거(40)는 강선(21)(22)에 태양광 패널(10)의 모서리를 끼워 고정하기 위하여 태양광 패널(10)의 모서리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하는 결합홈을 갖도록 하는 구성이며, 이와 같은 구성에 나사와 같은 결합수단으로 완전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할 수 있다.
기둥은(50)은 바닥면으로부터 설치될 태양광 패널(10)의 높이를 결정하며, 강선설치대(30)를 받쳐 고정지지 하기 위한 수단이다.
콘크리트 받침대(60)는 기둥(50)의 고정받침수단으로, 바닥면에 콘크리트로 받쳐주도록 하여 기둥(50)이 보다 견고하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연결지지강선(23)은 상기와 같은 태양광 패널고정장치 간을 서로 연결하여 견고하게 설치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서로 높이에 맞추어 인접된 패널고정장치의 강선(21)은 강선(21)별로, 강선(22)은 강선(22)단위로 맞추어 연결하여 태양광 패널(10)이 횡방향으로는 강선(21)(22)에 의해 연결되고, 종방향으로는 연결지지강선(23)에 의해 연결 지지되도록 하여 태양광 패널 설치구조가 매트릭스 조직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연결지지강선(23)은 태양광 패널(10)의 설치면 또는 태양광 패널(10)과 태양광 패널(10)의 사이에 모두 연결가능하며, 일정한 간격마다 설치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 그 설치위치와 개수는 설치장소에 따라 적응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연결지지강선(23)은 인접된 패널고정장치간의 거리 변화에 따라 대응하기 위하여 완충수단으로 스프링부(23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의 영향 등으로 연결된 인접 패널고정장치의 강선(21) 또는 강선(23)이 위치변화가 발생될 경우 스프링부(23a)가 늘어지면서 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기둥보(51)는 인접된 기둥(50)간을 연결하여 설치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해주기 위한 수단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강선(21)(22)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태양광 패널(10)이 설치되는 태양광 패널고정장치를 구성한다.
강선(21)(22)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태양광 패널(10)을 설치하여 바람의 저항을 줄이고, 태양광 패널고정장치 각 태양광 패널(10)의 교체 및 추가가 용이함은 물론 필요에 따라서 인접된 위치에 태양광 패널고정장치를 추가 설치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저류지에 설치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설치될 강선(21)(22)의 길이에 따라 중간에 기둥(50) 및 강선설치대(3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기둥(50)과 강선설치대(30)의 일 측에 연결되어 기둥(50)과 정해진 각도로 기둥(50)을 보강 지지하는 측면지지강선(70)과, 측면지지강선(70)을 기둥(50)과 강선설치대(30)에 연결하기 위한 보강선설치대(80)와, 측면지지강선(70)을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콘크리트받침대(90)를 포함하는 측면 지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지지강선(70)에는 측면지지강선(7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턴버클(turn buckle)(71)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측면에서 기둥(50)을 측면지지강선(70)으로 지지하여 더욱 견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태양광 패널(10)의 설치 높이를 결정하는 강선설치대(30)의 설치위치는 저류지에 물이 차게 될 때의 수위를 감안하여 결정하고, 대략 기둥(50)간의 거리(D)는 30M~50M로 하고, 그 이상일 경우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간에 기둥(50)을 더 구성하여 설계한다.
상기와 같이 기둥(50)을 설치하고, 강선설치대(30)에 강선(21)(22)을 연결한 후, 패널고정행거(40)를 이용하여 태양광 패널(10)를 일정한 간격으로 강선(21)(22)에 설치하여 제 1열의 패널고정장치를 설치 완료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제 2열 및 제 3열의 패널고정장치를 설치 완료한다.
이후, 인접된 패널고정장치 간의 강선(21)(22)을 연결지지강선(23)을 이용하여 연결한다.
즉, 제 1열 패널고정장치와 제 2열 패널고정장치의 강선(21)과 강선(21), 강선(22)과 강선(22)를 연결하고, 제 2열 패널고정장치와 제 3열 패널고정장치를 연결한다.
상기 측면지지강선(70)은 태양광 패널장치의 양 단 기둥(50)에 모두 설치될 수 있다.
도 4의 본 발명 실시 예에서는 제 3열의 패널고정장치만을 도시하였지만, 저류지에 설치하고자 하는 공간만큼 패널고정장치를 설치하면 되고, 설치완료 후에 도 패널고정장치 열을 더 추가하거나, 태양광 패널(10)만을 추가, 교체가 가능하다.
저류지의 경우 건물 등의 구조물이 없고 트인 형태의 공간이고, 하천 부근이어서 바람의 영향이 많이 작용할 수 있으나, 강선(21)(22)에 태양광 패널(10)이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어, 바람의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음은 물론 강선(21)(22)이 풍압에도 일반 패널만을 설치하는 보드형태보다 유연하게 대응가능하게 된다.
또한 강선(21)(22)에 의한 횡방향의 연결구조에 종방향 라인으로 연결지지강선(23)이 연결되는 매트릭스 조직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전체적으로 바람의 영향에도 전체적으로 함께 움직이면서 이를 완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매트릭스 구조에 있어서도 패널고정장치간을 연결하는 연결지지강선(23)에 완충수단인 스프링부(23a)가 구성되어 있어서 바람의 영향으로 인접 패널고정장치간의 길이가 변화되더라도 스프링부(23a)가 늘어나면서 이를 완충시켜주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태양광을 추적하여 태양광 패널장치가 태양광을 따라 회전하는 구조를 갖는 태양광 패널 고정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강선설치대(30')를 회전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으로, 설치된 어느 하나의 태양광 패널(10)상에 태양광 추적장치(100)를 설치하여 태양광 추적장치(100)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강선(21)(22)에 설치된 태양광 패널(10)들이 강선(21)(22)을 따라 회전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태양광 추적장치(100)는 이미 공지된 기술로, 프레온 가스를 이용한 것으로, 입사되는 태양광에 따라 기화 및 액화를 반복하면서 태양광의 추적위치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태양광 추적장치(100)는 강선(21) 및 강선(22) 각각 프레온가스를 내장하는 프레온가스 내장통(101)(102)을 구성한 것으로, 프레온 가스의 기화 및 액화정도가 서로 달라지게 됨에 따라서 그 무게가 달라져서 회전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에 따르면 태양광 패널고정장치 각각에 설치된 태양광 추적장치(100)의 동작에 따라 각각 인접되어 연결된 태양광 패널고정장치에 영향을 주게 됨에 따라서 더욱 정확한 태양광 추적이 가능함은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각 태양광 패널고정장치 모두에 태양광 추적장치(100)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산악지역에 설치하는데 유용한 구조를 제시한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인접된 태양광 패널장치와의 연결지지강선(23)을 이용한 강선(21)(22)간 연결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본 실시 예에서는 간이기둥(50')을 설치하고, 간이기둥(50')의 하단부에는 콘크리트받침대(60')를 설치하고, 그 양단으로는 측면지지강선(70')을 설치한다.
또한 상기 간이기둥(50')에는 간이기둥(50')간 벌어짐을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수단(50a) 및 간이기둥(5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수단(50b)을 구성하여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지면상에 손쉽게 간이기둥(50')의 높이를 조절하여 설치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지지강선(70)의 하단부에도 콘크리트 받침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 예의 설치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간이기둥(50')을 잡고 좌우로 벌려 설치할 위치거리에 맞추면 각도조절수단(50a)에 의해 간이기둥(50')이 벌어지면서 간이기둥(50')의 벌어짐 각도가 유지된다.
이때, 간이기둥(50')에 설치된 길이조절수단(50b)을 조절하여 간이기둥(50')의 길이를 조절하여 태양광 패널(10)의 설치위치를 결정하고 콘크리트받침대(60')를 설치하여 간이기둥(50')을 설치한다.
이후 강선설치대(30')를 간이기둥(50')에 연결하고 강선(21)(22)을 연결하고, 강선(21)(22)에 태양광 패널(10)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측면지지강선(70)을 간이기둥(50')에 설치하고 턴버클(71)을 조절하여 제 1열의 패널고정장치의 설치를 완료한다.
도 6의 실시 예에는 제 1열의 패널고정장치만을 도시하였지만,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앞서 설치된 패널고정장치에 인접하여 패널고정장치를 배열설치하고, 연결지지강선(23)을 이용하여 수직연결 매트릭스 구조를 갖도록 설치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저류지에서의 홍수위를 고려한 높이 및 바람의 영향보다는 지면에 의한 영향을 고려하여 간이기둥(50')의 길이 및 그 벌어짐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면의 정비장업을 최소화 또는 거의 없이 태양광 패널의 설치가 용이하며, 산악지의 유휴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 가능하여 태양광 패널(10)을 설치하는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계절별 태양의 고도는 다르게 나타남에 따라서 이에 따라서 태양광 패널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실시 예를 제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의 남중고도는 계절별로 다르게 나타난다.
도 7은 위도 37도를 기준으로 하여 절기별 남중고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하지에서는 북동쪽에서 떠서 북서쪽으로 지며, 그 각은 76.5˚이고, 춘,추분에서는 정동쪽에서 떠서 정서쪽으로 지고, 그 각은 53˚이고, 동지에서는 남동쪽에서 떠서 남서쪽으로 지며, 그 각은 29.5˚이다.
따라서 이를 감안하여 태양광의 집광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태양광 패널의 각도를 계절에 따라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구성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있어서, 태양광 패널이 설치되는 강선설치대 구성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강선설치대(30')는, 강선(21)(22)을 고정연결하기 위한 강선고정부(31)와, 강선고정부(31)를 기둥(50)에 고정하기 위하여 기둥(50)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설치되며 강선고정부(31)가 설치되는 강선설치부(32a)를 구성하여 기둥(50)의 상부에 구성된 강선설치부(50a)에 일 측이 결합된 강선고정부(31)의 또 다른 일 측이 기울기조정대(32)에 연결되도록 하여 강선고정부(31)의 기울기를 결정하는 기울기조정대(32)로 구성되며,
상기 기울기조정대(32)는 하나 이상의 강선설치부(32a)를 구성하여 선택적으로 강선고정부(31)의 일 측이 결합 고정되어, 강선고정부(31)의 기울기가 조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둥(50)의 상부에 구성된 강선설치부(50a)는 회전가능한 구조로 강선고정부(31)가 결합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강선고정부(31)의 기울기를 변화시키고자할 경우, 강선설치부(32a)에 설치된 강선고정부(31)만을 해체하여 또 다른 강선설치부(32a)로 이동하여 결합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기둥(50)의 상부로 강선고정부(31)가 결합되는 강선설치부(50a)를 구성하고, 기둥(50)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울기조정대(32)를 구성하여 이로부터 강선고정부(31)의 기울기 즉, 태양광 패널(10)의 기울기가 결정되도록 한 바, 상기 기울기조정대(32)에 구성된 강선설치부(32a)에 하나 이상의 강선고정부(31)를 설치하기 위한 강선설치부(32a)를 구성하여 이를 선택하여 강선고정부(31)를 설치하도록 한 것이다.
도 8의 실시 예에서는 두 지점의 강선설치부(32a)를 구성한 것으로, 작업자는 a 지점의 강선설치부(32a)에 연결된 강선고정부(31)를 해체하고 b의 지점으로 강선고정부(31)의 설치위치를 변경함으로써, 강선고정부(31)의 기울기를 변경하여 태양광 패널(10)의 기울기를 변경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선설치대(30')를 두 개의 기둥(50)간에 설치하고, 기둥(5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수단(52)를 구성하여 두 개의 기둥(50)의 길이 차에 의해 강선설치대(30')의 기울기를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기둥(50)과 강선설치대(30')의 결합구조는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 구성하여 길이조절수단(52)을 이용하여 기둥(50)의 길이만을 조절함으로써, 강선설치대(3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의 계절별 태양광 패널의 각도조절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이기둥(50')의 사이를 연결하고 간이기둥(50')의 각도조절에 따라 간이기둥(50')의 길이변화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조절수단(100a)을 포함하는 각도조정대(100)와, 각도조정대(100)의 좌우 양측과 강선설치대(30')의 좌우 양측을 연결하는 연결강선(110)과, 연결강선(11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수단인 턴버클(12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여, 턴버클(120)의 길이 조절을 통해 강선설치대(30')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태양광 패널(1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르면, 각도조정대(100)에는 조절수단(100a)이 구성되어 있어, 두 간이기둥(50')간의 각도가 변화되더라도 이의 대한 대응이 가능하다.
조절수단(100a)은 간단히 회전 링크수단을 구성하여 간이기둥(50')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꺽여지고, 멀어지면 다시 펴지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각도조정대(100)의 양측 끝과 강선(21)(22)이 연결되는 강선설치대(30')의 양측 끝이 연결되어 있어, 간이기둥(50')간의 각도가 변경되어도 어느 정도 각도가 변경될 수 있으며, 또한 연결강선(110)에 구성된 턴버클(120)을 조절하여 연결강선(1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강선설치대(3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a의 위치의 턴버클(120)을 고정하고, b의 위치의 턴버클(120)을 조절하여 길이를 짧게 하여 당기게 되면 각도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도 6의 간이기둥(50')에 구성된 길이조절수단(50b)를 조절하여 간이기둥(50')의 길이를 조절하여서도 강선설치대(3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연결강선(110)에 의해 보다 견고한 지지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된다.
이와 같이 계절에 따라서 전체적으로 태양광 패널의 기울기를 변경시켜 줄 수 있어 보다 효과적인 태양광의 집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Claims (15)

  1. 태양광 패널이 일정한 경사각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기울기를 갖으며 태양광 패널의 세로 폭에 따라서 강선(steel wire)이 배열 설치되는 강선설치대와, 상기 강선설치대에 이격 설치되어 태양광 패널이 설치되는 태양광패널설치라인을 형성하는 강선과, 상기 강선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고정하기 위한 패널고정행거와, 상기 강선설치대를 고정지지하기 위한 기둥을 포함하는 강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고정장치.
  2. 태양광 패널이 일정한 경사각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기울기를 갖으며 태양광 패널의 세로 폭에 따라서 강선(steel wire)이 배열 설치되는 강선설치대와, 상기 강선설치대에 이격 설치되어 태양광 패널이 설치되는 태양광패널설치라인을 형성하는 강선과, 상기 강선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고정하기 위한 패널고정행거와, 상기 강선설치대를 고정지지하기 위한 두 개의 기둥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기둥은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강선설치대는 강선설치대를 두 개의 기둥간에 설치하여 두 개의 기둥의 길이 차에 의해 강선설치대의 기울기를 조절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고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강선설치대는, 강선을 고정연결하기 위한 강선고정부와, 강선고정부를 기둥에 고정하기 위하여 기둥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설치되며 강선고정부가 설치되는 강선설치부를 구성하여 기둥의 상부에 구성된 강선설치부에 일 측이 결합된 강선고정부의 또 다른 일 측이 기울기조정대에 연결되도록 하여 강선고정부의 기울기를 결정하는 기울기조정대로 구성되며,
    상기 기울기조정대는 하나 이상의 강선설치부를 구성하여 선택적으로 강선고정부의 일 측이 결합 고정되어, 강선고정부의 기울기가 조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고정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패널설치라인이 하나 이상 인접하여 배열되도록 설치되고, 인접된 상기 태양광패널설치라인의 강선과 강선을 연결하는 연결지지강선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태양광 패널 설치구조가 횡방향의 태양광태널설치라인의 강선과 종방향의 연결지지강선에 의해 전달되는 충격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분배되는 매트릭스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고정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기둥과 강선설치대의 결합구조는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고정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에 설치되는 강선설치대의 기울기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고정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지지강선은 길이변화에 대한 완충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고정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기둥과 기둥간의 기둥보를 더 포함하여 구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고정장치.
  9. 제 4항에 있어서, 기둥과 강선설치대의 일 측에 연결되어 기둥과 정해진 각도로 기둥을 보강지지하는 측면지지강선과, 측면지지강선을 기둥과 강선설치대에 연결하기 위한 보강선설치대와, 측면지지강선을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받침대를 포함하는 측면 지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고정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지지강선에는 측면지지강선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길이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고정장치.
  11. 태양광 패널이 일정한 경사각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기울기를 갖으며 태양광 패널의 세로 폭에 따라서 강선(steel wire)이 배열 설치되는 강선설치대와, 상기 강선설치대에 이격 설치되어 태양광 패널이 설치되는 태양광패널설치라인을 형성하는 강선과, 상기 강선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고정하기 위한 패널고정행거와, 상기 강선설치대를 지지하기 위하여 간이기둥 간 벌어짐을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수단 및 기둥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간이기둥과, 상기 간이기둥의 양단으로 구성되는 측면지지강선을 포함하며,
    상기 태양광 패널설치라인이 하나 이상 인접하여 배열되도록 설치되고, 인접된 상기 태양광패널설치라인의 강선과 강선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지지강선을 더 포함하여, 태양광 패널 설치구조가 횡방향의 태양광태널설치라인의 강선과 종방향의 연결지지강선에 의해 전달되는 충격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분배되는 매트릭스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고정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간이기둥은 강선설치대의 기울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고정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각도조절수단은 간이기둥의 사이를 연결하고 간이기둥의 각도조절에 따라 간이기둥의 길이변화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각도조정대와, 상기 각도조정대의 좌우 양측과 강선설치대의 좌우 양측을 연결하는 연결강선과, 상기 연결강선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여, 상기 연결강선의 길이 차를 이용하여 강선설치대의 기울임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고정장치.
  14. 강선을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설치하기 위한 강선 설치수단과,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기 위한 태양패널설치라인을 형성하도록 횡방향으로 배열 설치되는 강선과, 상기 태양광패널설치라인에 태양광 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패널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일열 패널고정장치가 구성되고, 하나 이상의 일 열 패널고정장치가 나란하게 인접하여 배열 설치되고, 인접된 패널고정장치간 강선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지지강선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태양광 패널 설치구조가 횡방향의 태양광태널설치라인의 강선과 종방향의 연결지지강선에 의해 전달되는 충격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분배되는 매트릭스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고정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강선설치수단은 강선의 설치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구성하여 강선에 설치되는 태양광 패널의 기울기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고정장치.
KR1020100014705A 2010-02-18 2010-02-18 강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고정장치 KR101004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705A KR101004108B1 (ko) 2010-02-18 2010-02-18 강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705A KR101004108B1 (ko) 2010-02-18 2010-02-18 강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4108B1 true KR101004108B1 (ko) 2010-12-27

Family

ID=43513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4705A KR101004108B1 (ko) 2010-02-18 2010-02-18 강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4108B1 (ko)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068B1 (ko) * 2011-10-04 2012-05-02 (주)디에스피이엔지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태양광모듈 설치구조
KR101218076B1 (ko) * 2012-06-21 2013-01-2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트링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지지대
KR101326625B1 (ko) * 2013-02-19 2013-11-07 김인범 솔라패널 어레이 지지시스템
WO2014037272A1 (de) * 2012-09-10 2014-03-13 Adel Ahmed Haltevorrichtung
KR101469920B1 (ko) * 2013-01-21 2014-12-05 (주)늘푸른솔라 케이블을 이용하는 솔라셀 어레이 지지구조
WO2016045473A1 (zh) * 2014-09-22 2016-03-31 浙江国利英核能源有限公司 柔性光伏支架
KR20160107680A (ko) 2015-03-05 2016-09-19 (주)에스앤디 태양광 패널의 케이블 지지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70018812A (ko) * 2014-06-09 2017-02-20 가부시키가이샤 후쿠나가 히로시 겐치쿠 겐큐쇼 공중 와이어에 의한 태양광 발전 설비
KR20180078412A (ko) * 2016-12-29 2018-07-10 소진 복층 와이어 프레임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20180135154A (ko) * 2017-06-09 2018-12-20 소진 영농 와이어 프레임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KR20190050044A (ko) * 2017-11-02 2019-05-10 주식회사 택한 가동형 태양광패널 시스템
KR20190117221A (ko) * 2018-04-06 2019-10-16 주식회사 아이엔오기술 태양전지 모듈 장치
KR20200031773A (ko) * 2018-09-17 2020-03-25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장치의 지지구조물
KR102235009B1 (ko) * 2020-06-29 2021-04-01 다스코 주식회사 태양광 패널 설치용 구조체
WO2022133189A1 (en) * 2020-12-18 2022-06-23 Preformed Line Products Co. Photovoltaic panel cable mount arrangement
WO2022229439A1 (de) * 2021-04-29 2022-11-03 Sbp Sonne Gmbh Tragstruktur für pv-module
KR102468256B1 (ko) * 2021-11-30 2022-11-21 재단법인 녹색에너지연구원 수직형 영농 태양광발전 시스템
US11683004B2 (en) 2020-07-20 2023-06-20 Rute Foundation Systems, Inc. Cable and pole supported solar panel array
EP4345400A1 (de) * 2022-09-30 2024-04-03 EBEG GmbH Trägersystem zum aufbau einer photovoltaik-freilandanlage, photovoltaik freilandanlage sowie verfahren zum aufbau einer photovoltaik freilandanlag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4777A (ja) 2000-10-23 2002-05-10 Shimizu Corp 太陽電池パネル採光装置
KR100934375B1 (ko) 2009-09-14 2009-12-30 주식회사 선주건설 단층주택의 태양전지판 고정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4777A (ja) 2000-10-23 2002-05-10 Shimizu Corp 太陽電池パネル採光装置
KR100934375B1 (ko) 2009-09-14 2009-12-30 주식회사 선주건설 단층주택의 태양전지판 고정구조

Cited B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068B1 (ko) * 2011-10-04 2012-05-02 (주)디에스피이엔지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태양광모듈 설치구조
KR101218076B1 (ko) * 2012-06-21 2013-01-2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트링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지지대
WO2014037272A1 (de) * 2012-09-10 2014-03-13 Adel Ahmed Haltevorrichtung
US10634386B2 (en) 2012-09-10 2020-04-28 Ahmed Adel Holding device
KR101469920B1 (ko) * 2013-01-21 2014-12-05 (주)늘푸른솔라 케이블을 이용하는 솔라셀 어레이 지지구조
KR101326625B1 (ko) * 2013-02-19 2013-11-07 김인범 솔라패널 어레이 지지시스템
WO2014129800A1 (ko) * 2013-02-19 2014-08-28 Ahn Seung Hwan 솔라패널 어레이 지지시스템
KR102015696B1 (ko) * 2014-06-09 2019-08-28 가부시키가이샤 후쿠나가 히로시 겐치쿠 겐큐쇼 공중 와이어에 의한 태양광 발전 설비
KR20170018812A (ko) * 2014-06-09 2017-02-20 가부시키가이샤 후쿠나가 히로시 겐치쿠 겐큐쇼 공중 와이어에 의한 태양광 발전 설비
WO2016045473A1 (zh) * 2014-09-22 2016-03-31 浙江国利英核能源有限公司 柔性光伏支架
KR20160107680A (ko) 2015-03-05 2016-09-19 (주)에스앤디 태양광 패널의 케이블 지지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80078412A (ko) * 2016-12-29 2018-07-10 소진 복층 와이어 프레임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1926239B1 (ko) * 2016-12-29 2019-02-27 소진 복층 와이어 프레임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1997331B1 (ko) * 2017-06-09 2019-07-08 이선호 영농 와이어 프레임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KR20180135154A (ko) * 2017-06-09 2018-12-20 소진 영농 와이어 프레임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KR20190050044A (ko) * 2017-11-02 2019-05-10 주식회사 택한 가동형 태양광패널 시스템
KR102022624B1 (ko) * 2017-11-02 2019-10-18 주식회사 택한 가동형 태양광패널 시스템
KR20190117221A (ko) * 2018-04-06 2019-10-16 주식회사 아이엔오기술 태양전지 모듈 장치
KR102048966B1 (ko) * 2018-04-06 2019-11-26 (주)아이엔오기술 태양전지 모듈 장치
KR20200031773A (ko) * 2018-09-17 2020-03-25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장치의 지지구조물
KR102109880B1 (ko) 2018-09-17 2020-05-12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장치의 지지구조물
KR102235009B1 (ko) * 2020-06-29 2021-04-01 다스코 주식회사 태양광 패널 설치용 구조체
US11683004B2 (en) 2020-07-20 2023-06-20 Rute Foundation Systems, Inc. Cable and pole supported solar panel array
WO2022133189A1 (en) * 2020-12-18 2022-06-23 Preformed Line Products Co. Photovoltaic panel cable mount arrangement
GB2616761A (en) * 2020-12-18 2023-09-20 Preformed Line Products Co Photovoltaic panel cable mount arrangement
US11791761B2 (en) 2020-12-18 2023-10-17 Preformed Line Products Co. Photovoltaic panel cable mount arrangement
US11936329B2 (en) 2020-12-18 2024-03-19 Preformed Line Products Co. Mounting system for mounting a photovoltaic panel
WO2022229439A1 (de) * 2021-04-29 2022-11-03 Sbp Sonne Gmbh Tragstruktur für pv-module
KR102468256B1 (ko) * 2021-11-30 2022-11-21 재단법인 녹색에너지연구원 수직형 영농 태양광발전 시스템
EP4345400A1 (de) * 2022-09-30 2024-04-03 EBEG GmbH Trägersystem zum aufbau einer photovoltaik-freilandanlage, photovoltaik freilandanlage sowie verfahren zum aufbau einer photovoltaik freilandanl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4108B1 (ko) 강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고정장치
US9954478B2 (en) Solar array support methods and systems
AU2009246194B2 (en) Solar array support methods and systems
US8429861B2 (en) Solar array support methods and systems
US9184694B2 (en) Solar array support methods and systems
US8381464B2 (en) Solar array support methods and systems
KR101943924B1 (ko) 솔라셀 패널의 종방향 설치 방법과 시스템장치
KR101175662B1 (ko) 태양 추적식 태양광 발전장치
JP3187754U (ja) 太陽光パネル敷設用基礎構造
ES2280138B1 (es) Un sistema dinamico de seguimiento solar.
WO2014153319A1 (en) Solar array system for covering a body of water
KR20230023794A (ko) 3차원 태양 전기 발전 시스템 및 그 배치 방법
KR100882192B1 (ko) 태양광 추적식 에너지발전장치
US20220376647A1 (en) Noise control device
KR20190074007A (ko) 농촌형 태양광 발전장치
CN203423203U (zh) 预应力索结构地面光伏支架系统
JP3172512U (ja) 太陽電池パネルの支持架台装置
BG67499B1 (bg) Активно следяща система за разположение на соларни панели
JP5980620B2 (ja) ソーラーパネルシステム
JP5870413B1 (ja) 太陽光発電設備
BG4408U1 (bg) Система за вертикален монтаж на фотоволтаични панели
JP3190589U (ja) 太陽光発電装置および太陽光発電システム
KR20210153320A (ko) 수변공간지지구조를 구비한 태양광 모듈 지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110004702U (ko) 고깔 형태의 태양광 전지판 거치대
JP2016135034A (ja) 太陽電池アレイ用架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