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3586B1 -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3586B1
KR101003586B1 KR1020030097969A KR20030097969A KR101003586B1 KR 101003586 B1 KR101003586 B1 KR 101003586B1 KR 1020030097969 A KR1020030097969 A KR 1020030097969A KR 20030097969 A KR20030097969 A KR 20030097969A KR 101003586 B1 KR101003586 B1 KR 101003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channel
scan signal
gate driver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7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6659A (ko
Inventor
윤상창
박준호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7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3586B1/ko
Publication of KR20050066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6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3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3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74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 G09G3/3677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suitable for active matrices on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04Matrix technologies
    • G09G2300/0413Details of dummy pixels or dummy lines in flat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게이트구동부에 게이트 구동 펄스가 인가되는 제1 단계와, 상기 게이트구동부가 게이트 구동 펄스의 인가에 따라 주사신호의 출력을 시작하며, 적어도 하나의 더미 채널과 적어도 하나의 활성 채널로 구성된 출력 채널에 순차적으로 주사신호를 인가하는 제2 단계와, 상기 게이트구동부의 두번째 활성 채널을 통해 게이트라인에 주사신호가 인가되는 시점에 동기하여 데이터구동부가 화상정보의 출력을 시작하는 제3 단계와, 상기 게이트구동부는 각 활성 채널을 통해 각 게이트라인에 순차적으로 주사 신호를 인가하는 제4 단계와, 상기 게이트구동부는 블랭크 시간동안 하나 또는 두개의 더미 채널에 주사신호를 인가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내지 제5 단계들을 반복 구동함으로써, 첫번째 화소 라인의 휘도불균형 현상을 방지하고, 더미 채널과 활성 채널에 동시에 주사신호가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여 액정표시장치의 화질저하를 방지한다.
게이트구동부, 더미 채널, 활성 채널, 게이트 구동 펄스, 휘도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DRIVING METHOD OF LIQUID CRYSTAL DISPLAY}
도 1은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의 화상표시부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3은 일반적인 게이트구동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게이트구동부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해 게이트구동부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게이트구동부 D_CH1',D_CH2': 더미 채널
GSP11: 게이트 구동 펄스 A_CH0'∼A_CHn': 활성 채널
G0'∼Gn': 게이트라인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게이트구동부의 출력 채널의 위치를 변화시키고, 데이터구동부의 화상정보 출력 타이밍을 조절해줌으로써, 첫번째 화소 라인의 휘도불균형 현상과 화질 저하를 개선하도록 한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는 서로 대향하는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Thin Film Transistor Array) 기판과 컬러필터(Color Filter) 기판이 일정한 이격으로 합착되고, 그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기판이 합착된 일정한 공간에 구비된 액정층으로 구성된 액정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과, 상기 액정패널을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에는 종으로 일정한 이격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데이터라인과, 횡으로 일정한 이격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게이트라인이 서로 교차하고, 그 교차하여 구획되는 영역에는 화소가 정의되는데, 상기 화소는 매트릭스 (Matrix)형태로 배열된다.
그리고, 상기 컬러필터 기판에는 상기 화소들이 대응하는 위치에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컬러필터층이 형성되며, 상기 컬러필터층 사이로 빛이 새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화소를 통과하는 빛의 색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컬러필터층 사이에 는 블랙매트릭스(Black Matrix)가 형성된다.
상기 컬러필터 기판 및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의 대향하는 내측 면에는 각각 공통전극과 화소전극이 형성되어 상기 액정층에 전계를 인가한다. 이때, 화소전극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상에 화소별로 형성되는 반면에 공통전극은 컬러필터 기판의 전면에 일체화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공통전극에 전압을 인가한 상태에서 화소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화소들의 광투과율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동부는 게이트구동부와 데이터구동부로 구성된다.
상기 게이트구동부는 게이트라인들에 순차적으로 주사신호를 공급함으로써,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화소들이 1개 라인씩 순차적으로 선택되도록 하고, 그 선택된 1개 라인의 화소들에는 데이터구동부로부터 화상정보가 공급된다.
이와 같이, 화소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을 화소별로 제어하기 위하여 각각의 화소에는 박막트랜지스터와 같은 스위칭소자가 형성되며, 상기 주사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라인의 화상정보를 상기 스위칭소자를 통해 인가받아 화소전극에 인가한다. 그리고,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의 전압차에 의해 액정층에 전계가 형성되어해당 화소의 광투과율이 조절된다.
상기한 바와같은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의 구동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액정표시장치는 서로 교차하여 구획하는 영역에 복수의 화소(40)를 정의하는 복수의 게이트라인(20) 및 복수의 데이터라인(30)과, 복수의 화소(40)들로 구성된 화상표시부(45)와, 상기 게이트라인(20)에 주사신호를 인가하는 게이트구동부(50)와, 상기 데이터라인(30)에 화상정보를 인가하는 데이터구동부(60)로 구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화소(40)에는 상기 게이트라인(20) 및 데이터라인(3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스위칭소자가 구비되며, 공통전극과 함께 액정층에 전계를 인가하기 위한 화소전극이 구비된다.
상기 스위칭소자는 게이트전극이 상기 게이트라인(20)에 접속되고, 소스전극이 상기 데이터라인(30)에 접속된다. 또한, 드레인전극은 상기 화소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와 같은 액정표시장치의 구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데이터구동부(6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디지털 화상정보를 아날로그 화상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라인(30)에 인가한다.
상기 게이트구동부(50)는 매 수평주기(Horizontal Period) 단위로 상기 게이트라인(20)에 순차적으로 주사신호를 인가하면, 주사신호가 인가된 게이트라인(20)에 연결된 스위칭소자들은 턴온(turn on)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데이터구동부(60)로부터 데이터라인(30)에 인가된 화상정보는 스위칭소자들을 통해 화소의 화소전극에 인가된다.
화소전극에 인가된 화상정보와 공통전극에 인가되는 공통전압과의 전압차에 따라 액정층에 형성되는 전계의 강약이 조절되며, 액정층의 광투과율이 그 전계의 강약에 의해 조절되어 화상이 표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액정표시장치의 구동을 화소를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의 화상표시부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화상표시부는 횡으로 일정하게 이격되어 배열되는 복수의 게이트라인(G0∼G2)과, 종으로 일정하게 이격되어 배열되는 복수의 데이터라인(D1,D2)과, 상기 게이트라인(G0∼G2)과 데이터라인(D1,D2)이 교차하여 구획하는 영역에 정의되는 복수의 화소(PX1)로 구성된다.
상기 화소(PX1)에는 박막트랜지스터와 같은 스위칭소자(TFT1)가 구비되어 상기 데이터라인(D1,D2) 및 게이트라인(G0∼G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게이트라인(G0∼G2)에는 게이트구동부로부터 매 수평주기 단위로 고전위의 주사신호가 인가되는데, 상기 고전위의 주사신호가 인가된 게이트라인(G0∼G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위칭소자(TFT1)들은 턴온(turn-on)상태가 된다. 즉, 상기 선택된 게이트라인(G0∼G2)에 공급된 고전위의 주사신호는 화소들에 각각 구비된 스위칭소자(TFT1)의 게이트 전극에 인가되어 그 스위칭소자(TFT1)의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 사이에는 도전채널이 형성된다.
한편, 고전위의 주사신호가 인가된 게이트라인(G0∼G2)을 제외한 나머지 게이트라인(G0∼G2)에는 저전위의 주사신호가 인가된다. 일반적으로 고전위의 주사신호는 20V가 주로 사용되고, 저전위의 주사신호에는 -5V가 주로 사용된다.
상기 선택된 게이트라인(G0∼G2)의 화소들에는 상기 데이터구동부에서 상기 데이터라인(D1,D2)을 통해 화상정보가 공급되고, 그 화상정보는 스위칭소자의 소스 전극에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스위칭소자의 소스 전극에 공급된 화상정보는 주사신호가 인가되는 기간동안 도전채널을 통해 드레인전극에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칭소자(TFT1)의 드레인전극에 공급된 화상정보는 상기 드레인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화소전극에 인가되며, 상기 화소전극에 인가된 화상정보와 공통전극의 공통전압(Vcom) 사이에 액정용량(Clc)이 형성된다. 상기 액정용 량(Clc)에 따라 액정층에 인가되는 전계의 세기가 달라지므로, 액정층의 광투과율이 변화된다.
한편, 화소전극에 인가된 화상정보와 전단 게이트라인에 인가된 저전위 주사신호의 전압차에 의해 상기 화소전극과 게이트라인(G0∼G2)사이에 전하가 충전된다. 이를 스토리지 용량(Cst)이라고 하며, 이와 같이 게이트라인(G0∼G2)과 화소전극사이에 전하를 충전하는 방식을 스토리지-온-게이트(storage-on-gate)방식이라 한다.
액정표시장치는 다음 프레임의 화상정보가 인가될 때까지 발광을 유지하는 홀드 타입(hold type)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스토리지 용량(Cst)에 충전된 화상정보를 저전위 주사신호가 인가되는 동안 화소전극에 인가하여, 이 화소전극에 인가된 화상정보의 전압과 공통전극의 공통전압에 의해 액정의 구동을 유지하게 된다.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는 화상정보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높은 휘도의 하얀색으로 표시되는 노멀리-화이트(normaly white) 모드이다. 이와 같은 노멀리-화이트 모드의 액정표시장치는 화상정보와 공통전압의 전압차가 작을수록 휘도가 높아지는데, 상기와 같은 스토리지-온-게이트 방식에서 충전된 스토리지 용량이 적을수록 화소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이 낮아지게 되어 공통전압과의 전압차가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화상의 휘도는 밝아진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번째 게이트라인(G1)에 주사신호가 인가되면, 스위칭소자(TFT1)가 턴온되어 화상정보가 상기 스위칭소자(TFT1)를 통해 화소전극 에 인가된다. 상기 화소전극에 인가된 화상정보는 전단 게이트라인인 영번째 게이트라인(G0)과의 전압차에 의해 스토리지 용량이 충전된다. 그런데, 상기 영번째 게이트라인(G0)에는 주사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므로, 영번째 게이트라인(G0)은 0V의 전위를 가지게 되고, 화상정보는 0V와의 전압차에 의해 스토리지 용량이 충전된다. 상기 영번째 게이트라인(G0)은 첫번째 게이트라인(G1)과의 연결을 위해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영번째 게이트라인(G0)에는 스위칭소자(TFT1)가 연결되지 않으며, 주사신호가 인가되지 않는다.
한편, 첫번째 게이트라인(G1)에 저전위의 주사신호가 인가되고, 두번째 게이트라인(G2)에 고전위의 주사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두번째 게이트라인(G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스위칭소자(TFT1)을 통해 화상정보가 화소전극에 인가된다. 그리고, 화소전극에 인가된 화상정보는 상기 첫번째 게이트라인(G1)에 인가되는 저전위의 주사신호의 전압과의 전압차에 따라 스토리지 용량이 충전된다. 보통, 저전위 주사신호의 전압으로 -5V의 전압이 인가된다. 이하, 두번째 게이트라인(G2)이하 모든 게이트라인에 대응하는 화소들에는 전단 게이트라인의 저전위 주사신호의 전압과의 전압차에 의해 스토리지 용량이 충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첫번째 게이트라인(G1)에 고전위 주사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그 첫번째 게이트라인(G1)에 대응하는 한 라인의 화소들에는 주사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영번째 게이트라인(G0)에 의해 스토리지 용량이 충전되므로, 상기 첫번째 게이트라인(G1)을 제외한 나머지 게이트라인에 대응하는 화소들에 충전되는 스토리지 용량과 차이가 발생한다.
따라서, 첫번째 게이트라인(G1)에 대응하는 첫번째 화소 라인은 다른 화소 라인들에 비해 휘도가 달라지게 되는 휘도불균형을 초래한다.
한편, 상기 게이트구동부는 시간제어부(미도시)에서 입력되는 게이트 구동 펄스(gate start pulse)에 의해 주사신호의 출력을 시작한다. 데이터구동부는 게이트 구동 펄스에 의해 주사신호의 출력이 시작되기 전까지는 화상정보를 출력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게이트구동부의 구동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일반적인 게이트구동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게이트구동부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게이트구동부(100)는 시간제어부(미도시)로부터 게이트 구동 펄스(GSP1)를 인가받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 구동 펄스(GSP1)에 의해 주사신호의 출력을 시작하여, 각 게이트라인(G1∼Gn)에 순차적으로 주사신호를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동된다.
상기 게이트구동부(100)는 상기 시간제어부로부터 주기적으로 게이트 구동 펄스(GSP1)를 인가받아 주사신호의 출력을 시작하게 된다. 상기 게이트구동부(100)는 첫번째 게이트라인(G1)부터 순차적으로 고전위 주사신호를 인가하며, 나머지 게이트라인에는 저전위 주사신호를 인가하여 유지한다. 즉, 게이트 구동 펄스(GSP1)에 따라 모든 게이트라인(G1∼Gn)에는 저전위 주사신호가 인가되며, 한 라인씩 고전위 주사신호로 천이되는 방식이다.
최근, 액정표시장치는 다양한 해상도를 가진 제품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이 에 따라 게이트구동부도 다양한 수의 출력채널을 가진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액정표시장치의 가로해상도는 게이트라인의 수와 대응하는데, 상기 게이트라인은 게이트구동부의 출력채널과 개별적으로 대응하여 주사신호를 인가받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게이트라인의 수와 게이트구동부의 출력채널의 수가 일치하지 않아서 게이트구동부의 출력채널이 남게되는 경우가 있다. 이때, 남겨지는 출력채널을 더미 채널(dummy channel, D_CH1,D_CH2)이라 하며, 종래에는 게이트구동부의 후단에 그대로 방치해 두었다. 한편, 상기 더미채널(D_CH1,D_CH2)과 반대로 실제적으로 게이트라인(G1∼Gn)에 주사신호를 인가하는 출력채널을 활성채널(active channel, A_CH1∼A_CHn)이라 한다.
상기와 같이 게이트구동부의 후단에 방치된 더미 채널(D_CH1,D_CH2)의 수가 증가하게 되면, 액정표시장치의 불량구동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구동부는 한 프레임이 끝나고 일정한 공백시간이 경과한 후, 새로 인가되는 게이트 구동 펄스에 의해 다음 프레임 구동을 시작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다음 프레임이 시작되기 전까지의 일정한 공백시간을 블랭크 시간(blank time)이라 한다. 상기 블랭크 시간은 미리 설정되며, 임의로 변화시킬 수 없다. 따라서, 블랭크 시간이 경과하고, 다음 게이트 구동 펄스가 인가될때까지 모든 게이트라인(G1∼Gn)에 고전위 주사신호의 인가가 완료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게이트구동부(100)에 남게되는 더미 채널(D_CH1,D_CH2)은 게이트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더미 채널(D_CH1,D_CH2)을 통해 상기 게이트라인(G1∼Gn)에 주사신호가 인가되진 않지만, 상기 게이트구동부(100)는 자 체적으로 더미 채널(D_CH1,D_CH2)에도 정상적인 순서대로 주사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그런데, 블랭크 시간동안 모든 더미 채널에 주사신호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다음 게이트 구동 펄스에 의해 상기 게이트구동부(100)가 주사신호의 출력을 시작하게 되면, 여전히 순차적으로 주사신호가 인가되고 있는 상기 더미 채널과 상기 게이트구동부(100)의 전단의 활성채널(A_CH1∼A_CHn)에 동시에 주사신호가 인가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때, 동시에 두개의 고전위 주사신호가 인가되어 출력이 분산되므로, 상기 활성채널(A_CH1∼A_CHn)을 통해 게이트라인(G1∼Gn)에 전압레벨이 감소된 고전위 주사신호가 인가됨으로써, 원하는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화질저하가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되었으며, 본 발명의 목적은 첫번째 게이트라인에 대응하는 한 라인의 화소들에 표시되는 화상의 휘도불균형 현상을 방지하고, 게이트구동부의 출력채널과 더미채널에서 동시에 인가되는 주사신호에 의해 액정표시장치의 화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게이트구동부에 게이트 구동 펄스가 인가되는 제1 단계와, 상기 게이트구동부가 게이트 구동 펄스의 인가에 따라 주사신호의 출력을 시작하며, 적어도 하나의 더미 채널과 적어도 하나의 활성 채널로 구성된 출력 채널에 순차적으로 주사신호를 인가하는 제2 단계와, 상기 게이트구동부의 두번째 활성 채널을 통해 게이트라인에 주사신호가 인가되는 시점에 동기하여 데이터구동부가 화상정보의 출력을 시작하는 제3 단계와, 상기 게이트구동부는 각 제1 채널을 통해 각 게이트라인에 순차적으로 주사 신호를 인가하는 제4 단계와, 상기 게이트구동부는 블랭크 시간동안 하나 또는 두개의 더미 채널에 주사신호를 인가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내지 제5 단계들을 반복 구동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은 게이트구동부에서 실질적으로 게이트라인에 주사신호를 인가하는 활성채널의 위치를 변화시키고, 실질적으로 게이트라인에 주사신호가 처음 인가되는 시점에 데이터구동부의 화상정보 출력을 동기시켜 첫번째 게이트라인에 대응하는 화소들에 발생하는 휘도불균형 현상을 방지하고, 블랭크 시간동안 모든 더미 채널의 출력이 완료되도록 함으로써, 화질저하를 개선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해 게이트구동부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게이트구동부(200)에 게이트 구동 펄스(GSP11)가 인가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구동부(200)가 인가받은 게이트 구동 펄스(GSP11)에 의해 주사신호의 출력을 시작하여, 더미 채널과 활성 채널로 구성된 출력 채널에 주사신호를 순차적으로 인가하는 단계와, 두번째 활성 채널에 주사신호가 인가되어 게이트라인에 공급되는 시점에 동기하여 데이터구동부에서 화상정보의 출력을 시작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구동부가 다음 게이트 구동 펄스가 인가되기 전인 블랭크 시간동안 적어도 하나의 더미 채널에 순차적으로 주사신호를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게이트구동부(200)는 시간제어부(미도시)로부터 게이트 구동 펄스(GSP11)를 인가받고, 그 게이트 구동 펄스(GSP11)에 따라 주사신호 출력을 시작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게이트구동부(200)에 게이트 구동 펄스(GSP11)가 인가되면, 상기 게이트구동부(200)는 주사신호의 출력을 시작한다. 이때, 상기 게이트구동부(200)의 첫번째 출력채널부터 주사신호를 인가하게 되므로, 전단에 형성된 더미 채널(D_CH1')부터 주사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주사신호는 더미 채널(D_CH1',D_CH2')과 활성 채널(A_CH0'∼A_CHn')을 포함한 모든 출력 채널에 순차적으로 인가되며, 상기 게이트구동부(200) 전단의 더미 채널(D_CH1')에 인가된 주사신호는 다음 출력 채널로 형성된 제 0 번 활성 채널(A_CH0')에 인가된다. 이때, 제 1 번 활성 채널(A_CH1')에 주사신호가 인가되어 제 1 게이트라인(G1')에 공급되면, 데이터구동부(미도시)는 화상정보를 데이터라인에 공급하며, 그 화상정보는 스위칭소자를 통해 화소전극에 인가된다.
여기서, 제 1 게이트라인(G1')은 실질적으로 첫번째 화소들의 라인에 대응하는 첫번째 게이트라인이다.
이와 같이, 제 0번 활성 채널(A_CH0')에 인가된 주사신호가 제 0 게이트라인(G0')에 인가되는 시점이 아니고, 제 1 번 활성 채널(A_CH1')에 인가된 주사신호가 제 1 게이트라인(G1')에 인가되는 시점에 동기하여, 데이터구동부에서 화상정보를 출력하는 것은 제 1 게이트라인(G1')에 대응하는 화소들에 나타나는 휘도불균형 현상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 1 번 활성 채널(A_CH1')을 통해 주사신호가 인가되어 제 1 게이트라인(G1')에 인가될 경우, 상기 제 1 게이트라인(G1')에 연결된 스위칭소자들을 통해 화소전극에 화상정보가 인가되며, 이 화상정보의 전압과 전단 게이트라인, 즉, 제 0 게이트라인(G0')에 인가된 저전위 주사신호 전압과의 전압차에 의해 스토리지 용량이 충전된다.
종래에는 제 0 게이트라인(G0')에 주사신호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로 0V의 전위를 유지하였기 때문에, 화소전극에 인가된 화상정보의 전압은 0V와의 전압차에 의해 스토리지 용량을 충전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전단 게이트라인부터 주사신호를 인가함으로써, 다른 게이트라인에 대응하는 화소에서 충전되는 스토리지 용량과 동일한 전하량이 충전될 수 있도록 하였다. 바꾸어 말하자면, 활성 채널(A_CH0'∼A_CHn')을 통해 실제적으로 주사신호가 인가되는 두번째 게이트라인부터 화상정보를 공급해줌으로써, 첫번째 게이트라인을 스토리지 용량의 충전을 위한 게이트라인으로 사용하였다.
한편, 상기 게이트구동부(200)의 전단 및 후단에는 게이트라인과 실제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더미 채널(D_CH1',D_CH2')이 각각 동일한 수로 구비된다. 종래에 게이트구동부(200)의 후단에 모두 방치해 두었던 더미 채널(D_CH1',D_CH2')을 상기 게이트구동부(200)의 전단과 후단에 동일한 수로 분산시켜 형성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더미 채널(D_CH1',D_CH2')이 짝수개라면, 상기 게이트구동부(200)의 전단과 후단에 동일한 수를 형성하게 되고, 상기 더미 채널(D_CH1',D_CH2')이 홀수개라면, 상기 전단과 후단 중 어느 하나에 더미 채널(D_CH1',D_CH2')을 하나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게이트구동부(200)의 전단 및 후단에 동일한 수나 하나가 차이나도록 상기 더미 채널(D_CH1',D_CH2')을 분산하여 형성한 다음, 상기 게이트구동부(200)를 다음과 같이 동작시킨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게이트구동부(200)의 주사신호가 모든 출력 채널에 순차적으로 인가된 후, 다음 게이트 구동 펄스(GSP11)가 상기 게이트구동부(200)에 인가될때까지의 공백 시간을 블랭크 시간이라 하였다. 그리고,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더미 채널의 수를 2개로 제한하여 도시하였으나, 실제로는 많은 수의 더미 채널들이 남겨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게이트구동부(200)에 동일하게 분산되어 형성된 더미 채널(D_CH1',D_CH2')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구동부(200) 후단에 형성된 더미 채널(D_CH2')에 모두 주사신호가 인가되기 전에 다음 게이트 구동 펄스(GSP11)가 인가되면, 상기 게이트구동부(200)는 주사신호의 출력을 시작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게이트구동부(200)의 전단에도 후단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수의 더미 채널(D_CH1')이 형성되어 있어 전단의 더미 채널(D_CH1') 및 후단의 더미 채널(D_CH2')에 동시에 주사신호가 인가된다. 즉, 동시에 두개씩의 더미 채널(D_CH1',D_CH2')에 순차적으로 주사신호를 인가하므로, 종래의 순차적으로 더 미 채널에 주사신호가 인가되던 것에 비해 2배의 시간이 단축된다. 또한, 동시에 주사신호가 인가되는 채널이 모두 더미 채널(D_CH1',D_CH2')이므로, 게이트구동부(200)의 출력이 분산된다 하더라도 액정표시장치의 화질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에 게이트구동부(200)의 후단의 더미 채널과 전단의 활성 채널에 동시에 주사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발생했던 액정표시장치의 화질 저하를 개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게이트구동부(200)의 더미 채널(D_CH1',D_CH2')의 수가 한개 또는 두개 정도의 적은 수일때는 상기 게이트구동부(200)의 후단에 모두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는 순차적으로 하나의 더미 채널(D_CH1',D_CH2')에 주사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게이트구동부로부터 주사신호를 인가받는 두번째 게이트라인에 고전위 주사신호가 인가되는 시점에 동기하여 데이터구동부로부터 화상정보의 출력을 시작하고, 두번째 게이트라인에 대응하는 화소들의 화소전극에 인가된 화상정보와 첫번째 게이트라인에 인가된 저전위 주사신호와의 전압차에 의해 스토리지 용량이 충전됨으로써, 두번째 게이트라인에 대응하는 첫번째 화소 라인의 휘도불균형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구동부의 전단 및 후단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수로 더미 채널들을 분산하여 형성함으로써, 블랭크 시간을 초과하여 게이트구동부의 주사신호 출력이 시작되더라도 게이트구동부 더미 채널과 활성 채널에 동시에 주사신호가 인가되 는 것을 방지하여, 낮은 출력의 주사신호에 의해 화질이 저하되는 것을 개선할 수 있다.

Claims (6)

  1. 게이트구동부에 게이트 구동 펄스를 인가하는 제1 단계;
    상기 게이트구동부가 게이트 구동 펄스를 인가받아 주사신호의 출력을 시작하며, 적어도 하나의 제 1 채널과 적어도 하나의 제 2 채널로 구성된 출력 채널에 순차적으로 주사신호를 인가하는 제2 단계;
    상기 게이트구동부의 두번째 제 1 채널을 통해 게이트라인에 주사신호가 인가되는 시점과 동기하여 데이터구동부가 화상정보의 출력을 시작하는 제3 단계;
    상기 게이트구동부는 각 제 1 채널을 통해 각 게이트라인에 순차적으로 주사신호를 인가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게이트구동부는 블랭크 시간동안 매 수평주기마다 하나 또는 두개의 제 2 채널에 주사신호를 인가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내지 제5 단계들을 반복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은 게이트라인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주사신호를 인가하는 활성채널이고, 상기 제 2 채널은 게이트라인과 전기적으로 미접속된 더미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구동부의 전단 및 후단에는 각각 동일한 수의 제 2 채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구동부는 블랭크 시간 내에 모든 제 2 채널에 주사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구동부는 전단의 제 2 채널과 후단의 제 2 채널에 동시에 주사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구동부는 제 1 채널에 개별적으로 주사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1020030097969A 2003-12-26 2003-12-26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101003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7969A KR101003586B1 (ko) 2003-12-26 2003-12-26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7969A KR101003586B1 (ko) 2003-12-26 2003-12-26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6659A KR20050066659A (ko) 2005-06-30
KR101003586B1 true KR101003586B1 (ko) 2010-12-22

Family

ID=37257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7969A KR101003586B1 (ko) 2003-12-26 2003-12-26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35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952B1 (ko) * 2006-05-09 2008-11-05 삼성전자주식회사 홀드 타입의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장치 및 방법
KR101375863B1 (ko) 2007-03-08 2014-03-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6659A (ko) 2005-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93629B (zh) 液晶显示装置的驱动方法
US8907883B2 (en) Active matrix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e method thereof
EP0848368B1 (en) Crosstalk reduction in active-matrix display
US710628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858758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US20050041488A1 (en) Electro-optical device, method for driving the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electro-optical device
US20080079703A1 (en) Method of driving the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KR100430100B1 (ko)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US716157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driving method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TWI408648B (zh) 液晶顯示器之驅動方法
CN110728959A (zh) 液晶显示装置
US20060279507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10879500A (zh) 显示基板及其驱动方法、显示面板、显示装置
KR100700016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608884B1 (ko) 액정표시패널의 구동방법
US20060132422A1 (en) Method of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and liquid crystal display
KR20070102125A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003586B1 (ko)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100878235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169050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JP2007171567A (ja) 液晶表示装置
JP7420451B2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駆動方法
KR100972492B1 (ko) 액정표시장치
JP2005115139A (ja) 電気光学装置
KR102323772B1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