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3072B1 - 태양광 조명출력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태양광 조명출력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3072B1
KR101003072B1 KR1020100058018A KR20100058018A KR101003072B1 KR 101003072 B1 KR101003072 B1 KR 101003072B1 KR 1020100058018 A KR1020100058018 A KR 1020100058018A KR 20100058018 A KR20100058018 A KR 20100058018A KR 101003072 B1 KR101003072 B1 KR 101003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lighting
time
battery
sun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8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건국
Original Assignee
테크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크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테크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8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30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3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3072B1/ko
Priority to PCT/KR2011/004410 priority patent/WO2011159108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016Circuit arrangements of general character for the devices
    • H01L31/02019Circuit arrangements of general character for the devic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2021Circuit arrangements of general character for the devic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 조명출력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원 온/오프 스위치가 "온"되어 전원전압이 공급되면 제어부 내 마이컴은 축전지의 주변온도를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서브루틴과, 태양광 전지판에서 발전되는 전압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서브루틴, 축전지의 충/방전 전압을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충/방전을 제어하는 서브루틴을 동시에 수행함은 물론 사용자가 장치의 초기 설치 후 조명상태 검사 서브루틴 수행을 원하는지, 작동 초기화 및 일몰/일출 데이터 초기화 서브루틴의 수행을 원하는지 및, 비상전원 출력제어 서브루틴 수행을 원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을 실시하되, 상기 축전지 주변온도 검출 서브루틴을 수행한 결과 얻어진 온도 데이터는 축전지 충/방전 제어 서브루틴 수행시 축전지 온도에 따라 결정되는 설정 기본 전압 데이터 산정에 이용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태양광 전지판 전압 상태검출 서브루틴을 수행한 결과 충전시작 준비 완료상태이면 축전지 충/방전 전압 검출 서브루틴의 축전지 온도에 따라 결정되는 설정 기본 전압 데이터 산정하는 단계를 실시하도록 하되, 일몰 또는 일출상태로 판정되면 축전지 방전시 부하량에 따른 동작제어 서브루틴을 실시하도록 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축전지에 충전된 전압을 보다 효율적이면서도 장기간 사용할 수 있고, 또 축전지 자체가 과충전 및 과방전에 의해 열화되어 수명이 짧아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축전지의 온도보상을 통한 충,방전 제어가 가능하고, 특히 각 나라별 또는 계절별 또는 위치별로 서로 다른 일몰 및 일출시간에 맞춰 조명 및 충전제어를 실시할 수 있어 제품의 사용성과 작동에 따른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각종 작동 상태를 표시램프들을 통해 한 눈으로 파악할 수 있어 제품의 설치시 각종 상태 점검을 포함하여 유지/보수를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비상시 비상전원 공급단자를 통해 랜턴이나 전동 공구 또는 각종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들을 연결시켜 전원전압을 공급시켜 주거나 충전시킬 수 있으므로 태양광 조명출력 제어장치 자체에 대한 사용성 또한 대폭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태양광 조명출력 제어방법{Photovoltaic illumination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태양광 조명출력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이컴을 이용한 인공지능 제어를 통해 조명의 점/소등을 16단계로 퍼지 제어(예를 들어 비례제어(PID), 펄스폭(PWM)제어, F/F(이하 "온/오프"라 약칭함) 제어)하고, 과충전 및 과방전을 방지할 수 있으며, 축전지의 온도보상을 통한 충,방전 제어가 가능하고, 각 나라별 또는 계절별 또는 위치별로 다른 일몰 및 일출시간에 맞춰 조명 및 충전제어가 가능하며, 각종 작동 상태를 한 눈으로 파악할 수 있고, 설치 및 고장에 따른 점검이 용이하며, 비상시 축전지에 충전된 전압을 다른 기기를 구동시킬 수 있는 비상전원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최근 들어 자연과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친환경적이고 자연을 훼손하지 않는 신 재생 에너지로써 태양광 발전 시스템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서 널리 적용되고 있는 태양광 발광다이오드 가로등 및 보안등 등은 그린시설과 공원 산책로 등과 같이 전기 가설이 난해한 지형과 전기가설시 막대한 설치비가 드는 곳에 설치되어 경제적인 면과 실용적인 면 및 경관 예술적인 면에서 많을 효과를 보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통상 태양 빛을 충분히 받을 수 있는 낮에 태양광 전지판을 이용하여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킨 후 제어기를 통해 이를 축전지에 충전시켜 두었다가 야간에 제어기를 통해 조명등 등을 구동시키는데 필요한 전력으로 공급시켜 주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서 사용된 제어기에서는 일조량이 정해진 량 이상 충분히 조사되는 일조시간 대에만 축전지를 충전시켰다가 정해진 일몰시간부터 일조시간 대 까지는 축전지에 충전된 전압을 각종 전기기기(예를 들어 발광다이오드 가로등 및 보안등 등; 이하 "조명"이라 총칭함) 공급시켜 주는 단순 온/오프 제어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축전지에 저장된 에너지가 많이 소모되어 제품 구성 시 축전지 용량과 태양광 발전 모듈의 용량을 크게 해야할 뿐만 아니라 단위 시간당 많은 전류를 소모함으로 축전지의 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 축전지에 대한 온도 보상제어 없이 단순히 과충전 및 과방전에 대해서만 제어를 실시하므로 축전지의 충/방전 중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없어, 축전지의 수명이 크게 단축되고, 충/방전 효율 역시 크게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 나라별 또는 계절별 설치 위치별로 서로 다른 일몰 및 일출시간을 갖는데도 불구하고 종래에는 미리 설정시켜 둔 일몰 및 일출시간에 맞추어 단순히 조명은 온/오프 제어하고 있어 조명 및 충전 제어에 따른 신뢰도와 축전지 자체의 수명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과 동일 장소에서도 각각의 위치가 다른 장소, 예를 들어 건물에 가려지는 위치에 설치된 장치와 가로수, 건물 등의 가림이 없는 트인 장소의 장치끼리 점등과 소등이 되는 시간 차이가 크게 나면서, 시각적 혼란을 주는 환경적 언밸런스 감이 느껴지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각종 작동 상태를 표시해 주는 표시램프들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제품의 설치시 각종 상태 점검을 포함하여 유지/보수가 매우 힘들고, 특히 야외 활동 중 일상생활에서 흔히 사용되는 휴대폰이나,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은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들의 충전기능을 포함하여 각종 공구나 랜턴 등에 전원전압을 공급시켜 줄 수 있는 어떠한 장치도 구비되어 있지 않아 야외에서 필요에 따라 태양광 발전조명장치에 내설되어 있는 축전지의 전압을 이용하여 이들을 충전시키거나 구동시킬 수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마이컴을 이용한 인공지능 제어 및 사용자의 자유로운 선택을 통해 조명의 점/소등 제어를 16단계로 퍼지 제어(예를 들어 PID, PWM, 온/오프 제어)할 수 있고, 또한 축전지의 과충전 및 과방전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축전지의 온도보상을 통한 충,방전 제어가 가능하고, 각 나라별 또는 계절별 또는 위치별로 서로 다른 일몰 및 일출시간에 맞춰 조명 및 충전제어가 가능하며, 각종 작동 상태를 표시램프들을 통해 한 눈으로 파악할 수 있고, 설치 및 고장에 따른 점검이 용이하며, 비상시 축전지에 충전된 전압을 다른 기기를 구동시킬 수 있는 비상전원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태양광 조명출력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태양광 조명출력 제어장치는, 낮에 태양광 전지판을 통해 빛에너지가 전기에너지로 변환되어 입력되면 그 전압 및 전류가 어느 정도인지를 판단하고 이를 충전 회로부로 전달하는 태양광 전지판 전압 검출부와; 상기 태양광 전지판 전압 검출부를 통해 입력되는 태양광 전지판의 출력전압이 축전지의 충전에 필요한 최저 전압 이상일 때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축전지를 충전시켜 주는 충전 회로부와;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축전지에 충전되어 있는 전압을 전기 부하들로 방전시켜 주는 방전 회로부와; 사용자가 각종 정보를 선택 및 입력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신호 입력 및 설정부와; 상기 태양광 전지판 전압 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전압 및 축전지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각부를 구성하고 있는 부품들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으로 정전압 정류시켜 주는 정전압 정류부와; 부하와 축전지 및 주위온도를 검출하여 제어부로 전달하는 온도검출센서와; 마이컴을 구비하고 상기 태양광 전지판 전압 검출부와 충전 회로부, 방전 회로부 및 온도검출센서의 상태정보와 신호 입력 및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입력정보를 입력받고 자체 내에 기입력되어 있는 제어프로그램을 수행하여 태양광 조명에 따른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각종 상태 정보를 발광다이오드 점/소등 및 불빛 색상 변화로 표시해 주는 작동상태 표시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태양광 전지판 전압 검출부는 2조의 태양광 전지판 입력단자와, 태양광 전지판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이 정해진 값 이상으로 상승하기 시작하는 일출상태 및 정해진 값 이하로 저하되기 시작하는 일몰상태를 판단하여 제어부로 전달하는 일몰 및 일출 전압 검출부, 태양광 전지판으로부터 입력되는 전류를 검출하여 제어부로 전달하는 태양광 전지판 전류 감지부 및 수개의 릴레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충전 회로부에는 축전지 전압 검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방전 회로부에는 조명력전류 감지부를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전 회로부의 출력단자에는 비상전원 제어용 릴레이와 비상전원 공급단자를 더 설치하여 랜턴이나 전동 공구 또는 각종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들에 전원전압을 공급시켜 주거나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신호 입력 및 설정부에는 전원 온/오프 스위치와, 딥 스위치를 통해 사용자가 일몰 및 일출에 따른 전압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일몰 및 일출전압 설정 스위치, 딥 스위치를 통해 사용자가 조명으로 출력되는 전압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 출력전압 설정 스위치, 일몰 및 일출 데이터 리셋 스위치 및 조명 테스트 스위치를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신호 입력 및 설정부에는 비상전원 공급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을 온/오프시킬 수 있는 비상전원 출력 스위치를 더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상태 표시부에는 일출 및 충전상황 표시램프와, 일몰 및 방전상황 표시램프, 직렬 및 병렬 충전 표시램프, 과방전 및 과충전 상태 표시램프, 태양전지 및 축전지 상태 표시램프, 부하상태 및 부위온도 상황 표시램프를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작동상태 표시부에 비상전원 상태 표시램프 및 SMPS 구동 표시램프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방법은, 전원 온/오프 스위치가 "온"되어 전원전압이 공급되면 제어부 내 마이컴은 축전지의 주변온도를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서브루틴과, 태양광 전지판에서 발전되는 전압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서브루틴, 축전지의 충/방전 전압을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충/방전을 제어하는 서브루틴을 동시에 수행하되, 상기 축전지 주변온도 검출 서브루틴을 수행한 결과 얻어진 온도 데이터는 축전지 충/방전 제어 서브루틴 수행시 축전지 온도에 따라 결정되는 설정 기본 전압 데이터 산정에 이용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태양광 전지판 전압 상태검출 서브루틴을 수행한 결과 충전시작 준비 완료상태이면 축전지 충/방전 전압 검출 서브루틴의 축전지 온도에 따라 결정되는 설정 기본 전압 데이터 산정하는 단계를 실시하도록 하되, 일몰 또는 일출상태로 판정되면 축전지 방전시 부하량에 따른 동작제어 서브루틴을 실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에서 전원이 "온"되면 사용자가 장치의 초기 설치 후 조명상태 검사 서브루틴 수행을 원하는지, 작동 초기화 및 일몰/일출 데이터 초기화 서브루틴의 수행을 원하는지 및, 비상전원 출력제어 서브루틴 수행을 원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을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축전지 주변온도 검출 서브루틴은 축전지의 현재온도 및 변화되는 온도 값이 마이컴에 기 설정되어 있는 상한온도, 하한온도, 실시간 대비 온도가 급상승하는지 및 실시간으로 온도가 변하는지를 순차적으로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검출한 결과 축전지의 온도가 상한온도 또는 하한온도이면 리셋 스위치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축전지의 충전 및 방전을 중지시키고 작동상태 표시부 내에 설치되어 있는 과방전 및 과충전 상태 표시램프를 점등시키는 단계와; 상기에서 검출한 결과 축전지의 온도가 실시간 대비 급상승하고 있으면 충전 및 방전을 일시 정지시킨 다음 1분당 온도가 3-5℃ 이상 상승하고 있으면 과방전 및 과충전 상태 표시램프를 점등시키고, 1분당 온도가 3-5℃ 미만 상승하고 있으면 충전 및 방전을 재개시하되, 방전 재개시는 펄스폭변조(PWM)제어를 통해 이전에 방전중이던 전류량 대비 50% 감소시켜 실시하고, 충전은 PWM제어를 통해 이전에 풀(Full) 충전이었을 경우 보조 충전으로, 보조 충전이었을 경우는 트리클 충전으로, 트리클 충전이었을 경우는 충전 중단으로 변경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검출한 결과 축전지의 온도가 실시간으로 변화되고 있으면 ±1℃ 변동에 따라 축전지 정격전압의 1/500[V]로 전압을 반비례 합산시켜 주는 방식으로 축전지의 전압관리를 온도보상으로 변화시켜 주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태양광 전지판 발전전압 검출 서브루틴은, 정해진 시간의 카운팅을 실시하면서 일몰/일출에 따라 기 설정된 기준전압과 태양광 전지판의 현재 출력전압을 상호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정해진 시간인 36시간 이상 기준전압 이하이면 충,방전 중단 후 리셋 스위치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작동상태 표시부 내에 설치되어 있는 태양전지 상태 표시램프를 점검상태로 점등시키는 단계와; 상기에서 비교한 결과 태양광 전지판의 출력전압이 1-5분 이상 기준전압 이상일 경우에는 충전시작 준비를 완료하고 작동상태 표시부 내에 설치되어 있는 일출 및 충전상황 표시램프를 점등시키는 단계와; 그러나 상기에서 비교한 결과 태양광 전지판의 출력전압이 1-5분 이상 기준전압 이하일 경우에는 작동상태 표시부 내에 설치되어 있는 일몰 및 방전상황 표시램프를 점등시키고, 총 일몰시간 저장을 위한 시간 데이터 및 조명출력 조절 타이밍을 위한 시간 데이터를 카운팅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일몰시간 데이터를 설정함에 있어서 제품의 설치시 하루간 총 일몰시간으로 "10시간"을 표준으로 설정하며, 이후 매일 일출시간을 24시간에서 감산한 값을 10일 동안 누적 저장한 다음 10으로 나누어 "11일째 일몰"시간으로 삼으며, 11일 경과 후는 맨 첫날 1일차(11일 전)의 데이터를 버리고 11일 차의 데이터를 적용하여 "다음날 적용할 신규 일몰" 시간으로 삼되, 상기와 같은 기억과 연산의 반복은 전원이 "온"되어 있는 동안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축전지의 충/방전 제어 서브루틴은, 축전지 충/방전 전압을 실시간으로 검출하면서 정해진 시간의 카운팅을 실시함은 물론 상기 축전지 주변온도 검출 서브루틴을 수행한 결과 얻어진 온도 데이터와 태양광 전지판 전압 검출을 통해 판정된 일몰 및 일출 상태 데이터를 이용하여 축전지 전압 검출 값과 온도에 따라 설정된 기준전압을 상호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정해진 시간인 36시간 이상 축전지의 전압이 0.5V 이하 변동되었으면 충,방전 중단 후 리셋 스위치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작동상태 표시부 내에 설치되어 있는 축전지 상태 표시램프를 점등시키는 단계와; 상기에서 비교한 결과 축전지 전압(Vbat) ≤ 과방전 전압(VDLO)이면 조명출력용 전력제어소자 및 릴레이를 "오프"시켜 일몰상태에서 조명출력중인 것을 즉시 차단하고 과방전 상태 표시램프를 점등시켜 주는 단계와; 상기에서 비교한 결과 축전지 전압(Vbat) ≤ 과방전될 수 있는 하한전압(VDL)이거나, 축전지 전압(Vbat) ≥ 과방전될 수 있는 상한전압(VDH)이면 조명출력용 전력제어소자와 릴레이 및 디밍 제어용 전력제어소자를 "온"시켜 일몰상태에서 조명출력을 "온"시켜 주고 일몰 및 방전상황 표시램프를 점등시켜 주는 단계와; 상기에서 비교한 결과 축전지 전압(Vbat) ≤ 급속충전 구간전압(VCQ)이면 충전 제어용 전력제어소자를 "풀 온"시켜 일출상태에서 급속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일출 및 충전상황 표시램프를 점등시켜 주는 단계와; 상기에서 비교한 결과 축전지 전압(Vbat) ≥ 급속충전 종지전압(VCQF)이면 급속충전을 중단시키고 충전 제어용 전력제어소자를 펄스폭 제어방식을 통해 "온"시켜 보조충전을 시작하며 일출 및 충전상황 표시램프를 점등시켜 주는 단계와; 상기에서 비교한 결과 축전지 전압(Vbat) ≤ 보조충전 종지 및 트리클 충전 시작전압(VCTS)이면 보조충전을 중단시키고 충전 제어용 전력제어소자를 펄스폭 제어방식을 통해 "온"시켜 트리클 충전을 시작하며 일출 및 충전상황 표시램프를 점등시켜 주는 단계와; 상기에서 비교한 결과 축전지 전압(Vbat) ≥ 충전 종지전압(VCF)이면 충전 제어용 전력제어소자를 "오프"시켜 충전을 완료시키는 단계와; 상기에서 비교한 결과 축전지 전압(Vbat) ≥ 방전 복귀전압(VDRC)이면 축전지가 방전 가능한 상태로 인식하고 과방전 상태 해제 후 방전 대기하고, 과방전 상태 표시램프를 소등시켜 주는 단계와; 상기에서 비교한 결과 축전지 전압(Vbat) ≥ 과충전 전압(VCUO)이면 충전 제어용 전력제어소자의 구동을 차단하여 충전을 중지시키고 과방전 상태 표시램프를 점등시켜 주는 단계와; 상기에서 비교한 결과 축전지 전압(Vbat) ≤ 발광다이오드 구동용 SMPS의 전원전압(VDSM)이면 일몰상태에서 조명이 작동되다가 축전지 전압이 하강한 것으로 인식하고 조명출력용 전력제어소자와 릴레이, 디밍 제어용 전력제어소자 및 계통연계 릴레이를 "온"시켜 계통연계 장치인 발광다이오드 구동용 SMPS를 연결시켜 줌과 동시에 일몰 및 방전상황 표시램프와 SMPS 구동 표시램프를 점등시켜 주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태양광 전지판 전압 상태검출 서브루틴을 수행한 결과 일몰 또는 일출상태로 판정되어 실시되는 축전지 방전시 부하량에 따른 동작제어 서브루틴은, 마이컴에 기 입력된 제어 데이터와 선택된 조명출력 제어 모드에 따라 조명을 온/오프 모드로 제어하거나, 온/오프 및 펄스폭 모드로 제어 또는 온/오프와 펄스폭 및 비례 제어모드 중 어느 한 모드로 제어를 실시하되, 상기와 같이 조명출력을 제어하던 중 계속해서 조명출력 전류를 실시간으로 검출, 설정 값과 비교하여 조명출력 전류가 설정 값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조명출력 차단 이후 리셋 스위치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부하상태 표시램프를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온/오프 제어모드는 일몰 검출 후 조명을 점등시킨 후 정해진 제 1의 시간(예를 들어 6시간)이 경과 되는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검출한 결과 정해진 제 1의 시간이 경과 되면 조명을 소등시키고 타임 카운터에 기억된 총 일몰시간에서 정해진 제 2의 시간(예를 들어 2시간) 전인지를 계속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검출한 결과 타임 카운터에 기억된 총 일몰시간에서 정해진 제 2의 시간 전이면 조명을 점등시키고 타임 카운터 값이 제 2시간을 경과 하는지를 계속 검출하여 정해진 제 2의 시간이 경과되면 조명을 소등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온/오프 및 펄스폭 제어모드는 일몰 검출 후 조명을 점등하고 펄스폭 제어를 100% 실시하면서 정해진 제 3의 시간(예를 들어 4시간)이 경과 되는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검출한 결과 정해진 제 3의 시간이 경과 되면 일몰 검출 후 조명에 대한 펄스폭 제어를 80%로 실시하면서 다시 정해진 제 3의 시간이 경과 되는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검출한 결과 두 번째 정해진 제 3의 시간이 경과 되면 일몰 검출 후 조명에 대한 펄스폭 제어를 60%로 실시하면서 정해진 제 2의 시간이 경과 되는지를 계속 검출하여 정해진 제 2의 시간이 경과되면 조명을 소등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온/오프와 펄스폭 및 비례제어 모드는 일몰 검출 후 조명을 점등하고 펄스폭 제어를 100% 실시하면서 정해진 제 3의 시간(예를 들어 4시간)이 경과 되는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검출한 결과 정해진 제 3의 시간이 경과 되었으면 조명을 점등시키되, 태양광 전지판의 출력전압을 검출 연산하여 그 값에 따라 조명을 비례 제어하는 단계;와; 조명 출력의 비례제어 중 태양광 전지판에서 일출전압이 검출되는지를 계속 검출하여 일출전압이 검출되면 조명을 소등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태양광 전지판의 출력전압을 검출 연산하여 그 값에 따라 조명을 비례 제어할 때 "일몰 검출 설정전압"을 기준으로 하여 조명을 PWM 제어할 때 그 출력이 50-70%가 되도록 작동시키는 것을 최저 밝기 기준으로 하고, 태양광 전지판의 전압이 0.2V 감소될 때마다 조명 출력은 1%씩 증가시키고, 이와 반대로 0.2V 증가될 때마다 1%씩 조명 출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조명상태 검사 서브루틴은 사용자에 의해 조명 테스트 스위치가 첫 번째 "온"되면 정해진 제 4의 시간(예를 들어 30분)을 카운팅 시작하며 조명 전원출력 릴레이를 "온"시키고 펄스폭 제어방식을 통해 조명을 100%로 점등시키고, 조명 테스트 스위치가 정해진 제 4의 시간 이내에 두 번째 "온"되면 조명 전원출력 릴레이의 "온"상태를 유지시키며 펄스폭 제어방식을 통해 조명을 75%로 점등시키며, 조명 테스트 스위치가 정해진 제 4의 시간 이내에 세 번째 "온"되면 조명 전원출력 릴레이의 "온"상태를 유지시키며 펄스폭 제어방식을 통해 조명을 50%로 점등시키되, 조명 테스트 스위치가 정해진 제 4의 시간 이내에 네 번째 "온"되거나 조명 테스트 스위치가 첫 번째 "온"된 이후 제 4의 시간이 경과된 경우에는 조명 전원출력 릴레이를 "오프"시키고 조명에 대한 펄스폭 제어를 정지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 초기화 및 일몰/일출 데이터 초기화 서브루틴은, 사용자에 의해 일몰 및 일출 데이터 리셋 스위치 신호가 입력되면 스위치의 누름 시간을 계수하여 0.5초 이하이면 에러 체크 감지상태 데이터를 초기화시켜 주고, 1초 이상이면 에러 체크 감지상태 데이터를 포함하여 자체 내에 기 저장되어 있는 일출 및 일몰시간 데이터를 초기화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상전원 출력제어 서브루틴은, 사용자에 의해 비상전원 출력 스위치가 첫 번째 "온"되면 정해진 제 4의 시간(예를 들어 30분)을 카운팅 시작하며 비상전원 출력용 릴레이를 "온"시켜 비상전원 공급단자를 통해 축전지 전압을 출력시켜 줌과 동시에 비상전원 상태 표시램프를 점등시켜 주고, 비상전원 출력 스위치가 정해진 제 4의 시간 이내에 두 번째 "온"되거나 제 4의 시간이 경과된 경우에는 비상전원 출력용 릴레이를 "오프"시켜 줌과 동시에 비상전원 상태 표시램프를 소등시켜 주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태양광 조명출력 제어함에 있어서 마이컴을 이용한 인공지능 제어 및 사용자의 자유로운 선택을 통해 조명의 점/소등 제어를 16단계로 퍼지 제어(예를 들어 PID, PWM, 온/오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축전지에 충전된 전압을 보다 효율적이면서도 장기간 사용할 수 있고, 또 축전지 자체가 과충전 및 과방전에 의해 열화되어 수명이 짧아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축전지의 온도보상을 통한 충,방전 제어가 가능하고, 특히 각 나라별 또는 계절별 또는 위치별로 서로 다른 일몰 및 일출시간에 맞춰 조명 및 충전제어를 실시할 수 있어 제품의 사용성과 작동에 따른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각종 작동 상태를 표시램프들을 통해 한 눈으로 파악할 수 있어 제품의 설치시 각종 상태 점검을 포함하여 유지/보수를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비상시 비상전원 공급단자를 통해 랜턴이나 전동 공구 또는 각종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들을 연결시켜 전원전압을 공급시켜 주거나 충전시킬 수 있으므로 태양광 조명출력 제어장치 자체에 대한 사용성 또한 대폭 증대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방법이 실시된 태양광 조명출력 제어장치의 평면도 및 전기적인 결선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 방법이 적용된 태양광 조명출력 제어장치의 전체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플로우챠트.
도 4는 본 발명 방법 중 축전지 주변온도 검출 서브루틴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5는 본 발명 방법 중 태양광 전지판 발전전압 검출 서브루틴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6은 본 발명 방법 중 축전지의 충/방전 제어 서브루틴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7은 본 발명 방법 중 축전지 방전시 부하량에 따른 동작제어 서브루틴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8은 본 발명 방법 중 조명상태 검사 서브루틴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9는 본 발명 방법 중 작동 초기화 및 일몰/일출 데이터 초기화 서브루틴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10은 본 발명 방법 중 비상전원 출력제어 서브루틴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11은 본 발명 방법에서 적용한 조명출력 제어 시간 플로우챠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방법이 실시된 태양광 조명출력 제어장치의 평면도 및 전기적인 결선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 방법이 적용된 태양광 조명출력 제어장치의 전체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삭제
이에 따르면 본 발명 방법이 적용된 태양광 조명출력 제어장치는 기본적으로 태양광 전지판(1)과, 태양광 전지판 전압 검출부(2), 충전 회로부(3), 방전 회로부(4), 신호 입력 및 설정부(5), 정전압 정류부(10), 온도검출센서(6), 제어부(7) 및 작동상태 표시부(8)를 포함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상기 태양광 전지판 전압 검출부(2)는 2조의 태양광 전지판 입력단자(21)와, 태양광 전지판(1)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이 정해진 값 이상으로 상승하기 시작하는 일출상태 및 정해진 값 이하로 저하되기 시작하는 일몰상태를 판단하여 제어부(7)로 전달하는 일몰 및 일출 전압 검출부(22), 태양광 전지판(1)으로부터 입력되는 전류를 검출하여 제어부(7)로 전달하는 태양광 전지판 전류 감지부(23) 및 수개의 릴레이(RY1)-(RY3)를 구비하고, 낮에 태양광 전지판(1)을 통해 빛에너지가 전기에너지로 변환되어 입력되면 그 전압 및 전류가 어느 정도인지를 판단하고 이를 충전 회로부(3) 등으로 전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충전 회로부(3)는 축전지 전압 검출부(31)를 구비하고 상기 태양광 전지판 전압 검출부(2)를 통해 입력되는 태양광 전지판(1)의 출력전압이 축전지(9)의 충전에 필요한 최저 전압 이상일 때 제어부(7)의 제어를 받아 축전지(9)를 충전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 상기 방전 회로부(4)는 조명전류 감지부(41)와 조명출력 제어용 릴레이(RY4)를 구비하고 제어부(7)의 제어를 받아 상기 축전지(9)에 충전되어 있는 전압을 조명을 포함하는 각종 전기 부하들로 방전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방전 회로부(4)의 출력단자에는 비상전원 제어용 릴레이(RY5)와 비상전원 공급단자(42)를 더 설치하여 주게 되면, 랜턴이나 전동 공구 등과 같이 비상시 사용할 수 있는 각종 기기들에 전원전압을 공급시켜 줄 수도 있고, 또한 각종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 등의 충전에 필요한 전압을 공급시켜 줄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신호 입력 및 설정부(5)는 사용자가 각종 정보를 선택 및 입력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신호 입력 및 설정부(5)에는 사용자가 전원을 온/오프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원 온/오프 스위치(51)와, 딥 스위치를 통해 사용자가 일몰 및 일출에 따른 전압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일몰 및 일출전압 설정 스위치(52), 딥 스위치를 통해 사용자가 조명으로 출력되는 전압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 출력전압 설정 스위치(53), 일몰 및 일출 데이터 리셋 스위치(54) 및 조명 테스트 스위치(55)를 구비한 것을 기본으로 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비상전원 공급단자(42)를 통해 출력되는 비상전원 전압을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비상전원 출력 스위치(56)를 더 구비한 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정전압 정류부(10)는 태양광 전지판 전압 검출부(2)에서 출력되는 전압 및 축전지(9)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각부를 구성하고 있는 부품들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으로 정전압 정류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상기 온도검출센서(6)는 조명을 포함한 각종 부하와 축전지(9) 및 주위온도를 검출하여 제어부(7)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7)는 마이컴(71)을 구비하고 상기 태양광 전지판 전압 검출부(2)와 충전 회로부(3), 방전 회로부(4) 및 온도검출센서(6)의 상태정보와 신호 입력 및 설정부(5)에 의해 설정된 입력정보를 입력받고 자체 내에 기입력되어 있는 제어프로그램을 수행하여 태양광 조명제어에 따른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 상기 작동상태 표시부(8)는 제어부(7)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각종 상태 정보를 발광다이오드의 점/소등 및 불빛 색상 변화로 표시해 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작동상태 표시부(8)에는 일출 및 충전상황 표시램프(81)와, 일몰 및 방전상황 표시램프(82), 직렬 및 병렬 충전 표시램프(83)(84), 과방전 및 과충전 상태 표시램프(85)(86), 태양전지 및 축전지 상태 표시램프(87)(88), 부하상태 및 부위온도 상황 표시램프(89)(90)를 구비한 것을 기본으로 하면서, 필요에 따라서는 비상전원 상태 표시램프(91)와 외부에서 발광다이오드 구동용으로 연결되는 SMPS에 대한 작동상태를 표시해 주는 SMPS 구동 표시램프(92)가 더 구비된 형태를 갖게 된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것으로 이에 따르면 본 발명 방법은, 전원 온/오프 스위치(51)가 "온"되어 전원전압이 공급되면 제어부(7) 내 마이컴(71)은 크게 축전지의 주변온도를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서브루틴(S1)과, 태양광 전지판에서 발전되는 전압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서브루틴(S2), 축전지의 충/방전 전압을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충/방전을 제어하는 서브루틴(S3)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기본적인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상기 축전지 주변온도 검출 서브루틴(S1)을 수행한 결과 얻어진 온도 데이터는 축전지 충/방전 제어 서브루틴(S3) 수행시 축전지의 온도에 따라 결정되는 설정 기본 전압 데이터 산정에 이용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태양광 전지판 전압 상태검출 서브루틴(S2)을 수행한 결과 축전기의 충전시작 준비 완료상태이면 축전지 충/방전 전압 검출 서브루틴(S3)의 축전지 온도에 따라 결정되는 설정 기본 전압 데이터 산정하는 단계를 실시하도록 하되, 일몰 또는 일출상태로 판정되면 축전지 방전시 부하량에 따른 동작제어 서브루틴(S5)을 실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전원이 "온"되면, 전술한 서브루틴 이외에도 사용자가 장치의 초기 설치 후 조명상태 검사 서브루틴(S6) 수행을 원하는지, 작동 초기화 및 일몰/일출 데이터 초기화 서브루틴(S7)의 수행을 원하는지 및, 비상전원 출력제어 서브루틴(S8) 수행을 원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을 더 실시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한편, 상기에 있어서 축전지 주변온도 검출 서브루틴(S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이컴(71)은 축전지(9)의 현재온도 및 변화되는 온도 값을 입력받아 자체 내에 기 설정되어 있는 상한온도와, 하한온도, 실시간 대비 온도가 급상승하는지 및 실시간으로 온도가 변하는지를 순차적으로 검출(S11)-(S14)하여 그 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이 축전지에 대한 충,방전 제어를 실시하게 된다.
먼저, 상기에서 축전지의 온도를 검출한 결과 축전지의 온도가 상한온도 또는 하한온도이면 리셋 스위치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축전지의 충전 및 방전을 중지시키고(S15a) 작동상태 표시부(8) 내에 설치되어 있는 과방전 및 과충전 상태 표시램프(85)(86)를 점등(S15b)시키게 된다.
그런데, 상기에서 검출한 결과 축전지의 온도가 실시간 대비 급상승하고 있으면 충전 및 방전을 일시 정지(S16)시킨 다음 1분당 온도가 3-5℃ 이상 상승하고 있으면(S17) 과방전 및 과충전 상태 표시램프(85)(86)를 점등시키고(S15b), 1분당 온도가 3-5℃ 미만 상승하고 있으면 충전 및 방전을 재개시하되(S18a), 방전 재개시는 펄스폭변조(PWM)제어를 통해 이전에 방전중이던 전류량 대비 50% 감소시켜 실시하고(S18b), 충전은 PWM제어를 통해 이전에 풀(Full) 충전이었을 경우 보조 충전으로, 보조 충전이었을 경우는 트리클 충전으로, 트리클 충전이었을 경우는 충전 중단으로 변경 제어(S18c)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에서 검출한 결과 축전지(9)의 온도가 실시간으로 변화되고 있으면 ±1℃ 변동에 따라 축전지 정격전압의 1/500[V]로 전압을 반비례 합산시켜 주는 방식으로 축전지의 전압관리를 온도보상으로 변화시켜 주게 된다(S19).
이와 같이 축전지 주변온도를 검출하여 검출되는 온도에 따라 상기와 같은 제어를 실시하게 되면, 축전지의 충/방전 중에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축전지의 수명을 대폭 연장할 수 있고, 또 온도에 따른 축전지의 충/방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데, 특히 방전 중 온도가 과대하게 급상승하게 될 때 50% 내외로 출력전류를 감소시켜 줌으로써 축전지의 수명을 대폭 연장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태양광 전지판 발전전압 검출 서브루틴(S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 전지판(1)으로부터 출력전압이 입력되면 이를 실시간으로 검출하며 정해진 시간(예를 들어 36시간)의 카운팅을 실시(S21)하면서 일몰/일출에 따라 기 설정된 기준전압과 태양광 전지판의 현재 출력전압을 상호 비교(S22)한 다음 그 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은 제어를 실시하게 된다.
먼저, 상기에서 정해진 시간인 36시간 이상 태양광 전지판의 현재 출력전압이 기준전압 이하이면(S23) 충,방전 중단 후 리셋 스위치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작동상태 표시부(8) 내에 설치되어 있는 태양전지 상태 표시램프(87)를 점검상태로 점등(S24)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에서 비교한 결과 태양광 전지판(1)의 출력전압이 1-5분 이상 기준전압 이상인 일출 모드일 경우(S22b)에는 충전시작 준비를 완료하고(S25) 작동상태 표시부(8) 내에 설치되어 있는 일출 및 충전상황 표시램프(81)를 점등(S26)시키되, 상기에서 비교한 결과 태양광 전지판의 출력전압이 1-5분 이상 기준전압 이하인 일몰 모드일 경우(S22a)에는 작동상태 표시부(8) 내에 설치되어 있는 일몰 및 방전상황 표시램프(82)를 점등(S27)시키고, 총 일몰시간 저장을 위한 시간 데이터 및 조명출력 조절 타이밍을 위한 시간 데이터를 카운팅(S28)하게 된다.
이때, 일몰시간 데이터의 설정은, 제품의 설치시 하루간 총 일몰시간으로 "10시간"을 표준으로 설정하고, 이후 매일 일출시간을 24시간에서 감산한 값을 10일 동안 누적 저장한 다음, 10으로 나누어 "11일째 일몰"시간으로 삼으며, 11일 경과 후는 맨 첫날 1일차(즉, 11일 전)의 데이터를 버리고 11일 차의 데이터를 적용하여 "다음날 적용할 신규 일몰" 시간으로 삼는 과정을 전원이 "온"되어 있는 동안 반복실시 하게 된다.
이와 같이 태양광 전지판 발전전압 검출 서브루틴에서 태양광 전지판의 출력전압 검출을 검출하여 만약 정해진 시간이상 기준전압 이하가 검출되면 태양광 전지판의 이상으로 판단하고 점검을 점검할 수 있도록 표시램프를 점등시켜 주고, 일몰 또는 일출 전압으로 검출되면 그에 대응하여 일몰 및 일출 상황 표시램프를 점등시켜 줌으로써 사용자가 이들 표시램프의 점등상태만을 보고도 태양광 전지판의 발전전압 상태를 쉽게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축전지의 충/방전 제어 서브루틴(S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전지 충/방전 전압(Vbat)을 실시간으로 검출하면서 정해진 시간(예를 들어 36시간)의 카운팅을 시작(S31)함은 물론 상기 축전지 주변온도 검출 서브루틴(S1)을 수행한 결과 얻어진 온도 데이터와 태양광 전지판 전압 검출을 통해 판정된 일몰 및 일출 상태 데이터(즉, 태양광 전지판 발전전압 검출 서브루틴(S2)에서 충전시작 준비 완료(S25)시점에서 얻어진 데이터)를 이용하여 축전지 전압 검출 값과 온도에 따라 설정된 기준전압을 상호 비교(S32)한 다음 그 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은 제어를 실시하게 된다.
먼저, 상기에서 정해진 시간인 36시간 이상 축전지의 전압이 0.5V 이하 변동되었으면(S33) 충,방전 중단 후 리셋 스위치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작동상태 표시부(8) 내에 설치되어 있는 축전지 상태 표시램프(88)를 점등(S34)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에서 비교한 결과 축전지 전압(Vbat) ≤ 과방전 전압(VDLO; 예를 들어 12V 시스템의 경우 11V/Rt 25℃)이면(S35) 조명출력용 전력제어소자(FET) 및 릴레이(RY4)를 "오프"시켜 일몰상태에서 조명출력중인 것을 즉시 차단하고(S35a) 과방전 상태 표시램프(85)를 점등(S35b)시켜 주고, 상기에서 비교한 결과 축전지 전압(Vbat) ≤ 과방전될 수 있는 하한전압(VDL)이거나(S36), 축전지 전압(Vbat) ≥ 과방전될 수 있는 상한전압(VDH)이면(S37) 조명출력용 전력제어소자(FET)와 릴레이(RY4) 및 디밍 제어용 전력제어소자(FET)를 "온"시켜 일몰상태에서 조명출력을 "온"시켜 주고(S36a) 일몰 및 방전상황 표시램프를 점등(S36b)시켜 주게 된다.
또, 상기에서 비교한 결과 축전지 전압(Vbat) ≤ 급속충전 구간전압(VCQ)이면(S38) 충전 제어용 전력제어소자(FET)를 "풀 온"시켜 일출상태에서 급속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고(S38a) 일출 및 충전상황 표시램프를 점등(S38b)시켜 주고, 축전지 전압(Vbat) ≥ 급속충전 종지전압(VCQF)이면(S39) 급속충전을 중단시키고 충전 제어용 전력제어소자를 펄스폭 제어방식을 통해 "온"시켜 보조충전을 시작하며(S39a) 일출 및 충전상황 표시램프를 점등(S39b)시켜 주며, 축전지 전압(Vbat) ≤ 보조충전 종지 및 트리클 충전 시작전압(VCTS)이면(S40) 보조충전을 중단시키고 충전 제어용 전력제어소자(FET)를 펄스폭 제어방식을 통해 "온"시켜 트리클 충전을 시작하며(S40a) 일출 및 충전상황 표시램프를 점등(S40b)시켜 주게 된다.
또한, 상기에서 비교한 결과 축전지 전압(Vbat) ≥ 충전 종지전압(VCF)이면(S41) 충전 제어용 전력제어소자(FET)를 "오프"시켜 충전을 완료(S41a)시키고, 축전지 전압(Vbat) ≥ 방전 복귀전압(VDRC)이면(S42) 축전지가 방전 가능한 상태로 인식하고 과방전 상태 해제 후 방전 대기하고(S42a) 과방전 상태 표시램프(85)를 소등(S42b)시켜 주며, 또한 상기에서 비교한 결과 축전지 전압(Vbat) ≥ 과충전 전압(VCUO)이면(S43) 충전 제어용 전력제어소자(FET)의 구동을 차단하여 충전을 중지시키고(S43a) 과방전 상태 표시램프(85)를 점등(S43b)시켜 주되, 상기에서 비교한 결과 축전지 전압(Vbat) ≤ 발광다이오드 구동용 SMPS의 전원전압(VDSM)이면(S44) 일몰상태에서 조명이 작동되다가 축전지 전압이 하강한 것으로 인식하고 조명출력용 전력제어소자(FET)와 릴레이, 디밍 제어용 전력제어소자(FET) 및 계통연계 릴레이를 "온"시켜 계통연계 장치인 발광다이오드 구동용 SMPS를 연결시켜 줌과 동시에 일몰 및 방전상황 표시램프(82)와 SMPS 구동 표시램프(92)를 점등(S44b)(S44c)시켜 주게 된다.
이때, 상기에서 언급된 전압들의 크기는 VDLO < VDL < VDSM < VSM < VDRC < VCQF < VCTS < VCF < VDH < VCUO 순이 되고, 또한 상기에서 언급된 급속충전은 대체적으로 축전지의 전압이 시간당 전류용량의 80-100%로 충전시키는 것을 의미하고, 보조충전은 10-30%로 충전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트리클 충전은 10% 이하로 충전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축전지의 충/방전 제어 서브루틴(S3)에서는 상기 축전지 주변온도 검출 서브루틴(S1)을 수행한 결과 얻어진 축전지 온도 데이터와 일몰 및 일출 상태에 따라 변화되는 태양광 전지판 전압을 이용하여 축전지의 온도에 따라 결정되는 설정 기본 전압 데이터 산정함에 따라 축전지의 온도보상을 통한 충,방전 제어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태양광 전지판 전압 상태검출 서브루틴(S2)을 수행한 결과 일몰 또는 일출상태로 판정되어 실시되는 축전지 방전시 부하량에 따른 동작제어 서브루틴(S5)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컴(71)에 기 입력된 제어 데이터와 선택된 조명출력 제어 모드에 따라 조명을 온/오프 모드로 제어(S511)하거나, 온/오프 및 펄스폭 모드로 제어(S512) 또는 온/오프와 펄스폭 및 비례 제어모드(S513) 중 어느 한 모드로 제어를 실시(S51)하되, 상기와 같이 조명출력을 제어하던 중 계속해서 조명출력 전류를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설정 값과 비교(S52)하여, 그 결과 조명출력 전류가 설정 값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조명출력 차단 이후 리셋 스위치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부하상태 표시램프(89)를 점등(S53)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온/오프 제어모드(S511)는 일몰 검출 후 조명을 점등(S511-1)시킨 후 정해진 제 1의 시간(예를 들어 6시간)이 경과 되는지를 계속 검출(S511-2)하여, 정해진 제 1의 시간이 경과 되면 조명을 소등(S511-3)시키고 타임 카운터에 기억된 총 일몰시간에서 정해진 제 2의 시간(예를 들어 2시간) 전인지를 계속 검출(S11-4)하게 된다. 그 결과 타임 카운터에 기억된 총 일몰시간에서 정해진 제 2의 시간(즉, 2시간) 전이면 조명을 점등(S511-5)시키고 타임 카운터 값이 제 2시간을 경과 하는지를 계속 검출(S511-6)하여 정해진 제 2의 시간이 경과되면 조명을 소등(S511-7)시키게 된다.
즉, 온/오프 제어모드(S511)에서는 일몰 후 일출까지의 시간을 10시간으로 정하고, 정해진 일몰시간이 되면 6시간 동안 조명을 점등시키다가 소등시키되, 정해진 일출시간 2시간 전이되면 일출시까지인 2시간동안 조명을 점등시켰다가 자동 소등시키는 형태를 갖는데, 이는 도 11에 도시된 타임 플로우챠트 중 선택번호 "2"에 해당한다.
물론, 이와 같은 조명 점,소등 시간은 어느 한 예를 들은 것에 불과하여 이에 한정할 수 없는 것으로, 이 밖에도 상기 온/오프 제어모드에서 도 11에 도시된 플로우챠트 중 선택번호 "0"과 같이 일몰 후 4시간 동안만 조명을 점등시킬 수도 있고, 또 선택번호 "1"과 같이 일몰 후 4시간 동안 조명을 점등시킨 후 소등시켰다가 일출 전 2시간 동안 조명을 점등시킨 후 소등시킬 수도 있으며, 또한 선택번호 "3"과 같이 일몰이 검출되면 그 시간부터 정해진 일출시간까지 계속 조명을 점등시킬 수도 있고, 선택번호 "4"와 같이 일몰이 검출되면 그 시간부터 12시간 동안 조명을 점등(단, 12시간 이전이라도 일출이 검지되면 조명을 소등)시킬 수도 있다.
또, 상기한 온/오프 및 펄스폭 제어모드(S512)는 일몰 검출 후 조명을 점등하고 펄스폭 제어를 100% 실시(S512-1)하면서 정해진 제 3의 시간(예를 들어 4시간)이 경과 되는지를 검출(S512-2)하여, 정해진 제 3의 시간이 경과 되면 일몰 검출 후 조명에 대한 펄스폭 제어를 80%로 실시(S512-3)하면서 다시 정해진 제 3의 시간이 경과 되는지를 검출(S512-4)하게 된다. 그 결과 두 번째 정해진 제 3의 시간이 경과 되면 일몰 검출 후 조명에 대한 펄스폭 제어를 60%로 실시(S512-5)하면서 정해진 제 2의 시간이 경과 되는지를 계속 검출(S512-6)하여 정해진 제 2의 시간이 경과되면 조명을 소등(S512-7)시키게 된다.
즉, 온/오프 및 펄스폭 병행 제어모드(S511)에서는 일몰 후 일출까지의 시간을 10시간으로 정한 상태에서 일몰이 검지되면 초기 4시간 동안 조명을 100%로 점등시키다가 4시간이 경과되면 다시 4시간 동안에는 조명을 80%로 감소시켜 점등시키고, 나머지 2시간 동안은 60%로 조명의 조도를 감소시켜 점등시킨 후 소등시키는 형태를 갖는데, 이는 도 11에 도시된 타임 플로우챠트 중 선택번호 "9"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조명의 점,소등 시간 및 조도량 변화 값에 대한 수치는 단순한 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할 뿐 이에 한정할 수 없으며, 이 밖에도 도 11에 도시된 플로우챠트 중 선택번호 "5" 내지 "8"과 "9" 및 "A" 내지 "C"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조명의 점/소등 시간과 조도량 변화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오프와 펄스폭 및 비례제어 모드(S513)는, 일몰 검출 후 조명을 점등하고 펄스폭 제어를 100% 실시(S513-1)하면서 정해진 제 3의 시간(예를 들어 4시간)이 경과 되는지를 검출(S513-2)하여, 그 결과 정해진 제 3의 시간이 경과 되었으면 조명을 점등시키되, 태양광 전지판의 출력전압을 검출 연산하여 그 값에 따라 조명을 비례 제어(즉, 상기 태양광 전지판(1)의 출력전압을 검출 연산하여 그 값에 따라 조명을 비례 제어할 때 "일몰 검출 설정전압"을 기준으로 하여 조명을 PWM 제어하되, 그 출력이 50-70%가 되도록 작동시키는 것을 최저 밝기 기준으로 하고, 태양광 전지판의 전압이 0.2V 감소될 때마다 조명 출력은 1%씩 증가시키고, 이와 반대로 0.2V 증가될 때마다 1%씩 조명 출력을 감소시키는 제어)를 실시(S513-3)하되, 상기와 같이 조명 출력의 비례제어 중 태양광 전지판에서 일출전압이 검출되는지를 계속 검출(S513-4)하여 일출전압이 검출되면 조명을 소등(S513-5)시키게된다.
상기한 온/오프와 펄스폭 및 비례제어 병행 모드(S513)에 따른 예시는 도 11에 도시된 타임 플로우챠트 중 선택번호 "D"에 해당하며, 이와 같은 조명의 점,소등 시간 및 조도량 자동제어 값에 대한 수치는 이에 한정할 수 없으며, 이 밖에도 도 11에 도시된 플로우챠트 중 선택번호 "E" 및 "F"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조명의 점/소등 시간과 조도량 변화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이컴을 이용한 인공지능 제어를 통해 조명 출력을 16단계로 퍼지 제어(즉, 온/오프 모드 또는 온/오프 및 펄스폭 모드로 또는 온/오프와 펄스폭 및 비례 제어모드 중 어느 한 모드로 제어)하여 다양화시켜 주게 되면, 에너지 절감 및 빛 환경 유해 문제 개선 및 축전지 용량 감소화 및 원가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즉, 보행자나 통행 차량, 기타 비 활동적인 시간대에 조명을 몇십% 약하게 하거나(PWM & 온/오프 제어), 태양광 전지판의 전압을 검출하여 그 검출 전압을 기준으로 주위가 밝을 때 조명을 약하게 해 줌으로서(온/오프 & 펄스폭 & 비례제어), 축전지에 저장된 에너지를 적게 소모시킬 수 있어 제품 구성 시 축전지 용량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위 시간당 적은 전류를 소모함으로 축전지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조명상태 검사 서브루틴(S6)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온/오프 스위치(51)가 "온"된 후 사용자에 의해 조명 테스트 스위치(55)가 첫 번째로 "온"되면(S62) 정해진 제 4의 시간(예를 들어 30분)을 카운팅 시작하며(S61) 조명 전원출력 릴레이를 "온"시키고(S62a) 펄스폭 제어방식을 통해 조명을 100%로 점등(S62b)시키고, 조명 테스트 스위치(55)가 정해진 제 4의 시간 이내에 두 번째 "온"되면(S63) 조명 전원출력 릴레이의 "온"상태를 유지(S63a)시키며 펄스폭 제어방식을 통해 조명을 75%로 점등(S63b)시킨다. 또한, 조명 테스트 스위치(55)가 정해진 제 4의 시간 이내에 세 번째 "온"되면(S64) 조명 전원출력 릴레이의 "온"상태를 유지(S64a)시키며 펄스폭 제어방식을 통해 조명을 50%로 점등(S64b)시키되, 조명 테스트 스위치(55)가 정해진 제 4의 시간 이내에 네 번째 "온"되거나(S65) 조명 테스트 스위치(55)가 첫 번째 "온"된 이후 제 4의 시간이 경과된 경우(S66)에는 조명 전원출력 릴레이를 "오프"시키고(S65a) 조명에 대한 펄스폭 제어를 정지(S65b)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 장치의 설치자 또는 사용자는 조명 테스트 스위치(55)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조명의 출력상태를 정확히 점검하고, 고장시 필요한 조치를 즉시 추할 수 있어 조명의 점검에 따른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작동 초기화 및 일몰/일출 데이터 초기화 서브루틴(S7)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일몰 및 일출 데이터 리셋 스위치(54) 신호가 입력되면(S71) 스위치의 누름 시간을 계수(S72)하여, 만약 0.5초 이하이면 마이컴(71) 내 기 기억되어 있는 에러 체크 감지상태 데이터를 초기화시켜 주고(S73), 1초 이상이면 마이컴(71) 내에 기 기억되어 있는 에러 체크 감지상태 데이터를 포함하여 일출 및 일몰시간 데이터를 초기화(S74)시켜 주게 되므로 마이컴이 기 입력된 각종 데이터를 포함하여 각종 에러 발생시 해당 에러를 고장 수리한 후 기 점등되어 있는 각종 표시램프들을 원활히 소등시켜 주는 등 원상태로 쉽게 돌려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비상전원 출력제어 서브루틴(S8)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온/오프 스위치(51)가 "온"된 후 사용자에 의해 비상전원 출력 스위치(56)가 첫 번째로 "온"되면(S81) 정해진 제 4의 시간(예를 들어 30분)을 카운팅 시작하며(S82) 비상전원 출력용 릴레이를 "온"시켜(S83) 비상전원 공급단자(42)를 통해 축전지 전압을 출력(S84)시켜 줌과 동시에 비상전원 상태 표시램프(91)를 점등시켜 주고(S85), 비상전원 출력 스위치(56)가 정해진 제 4의 시간 이내에 두 번째 "온"되거나(S86) 제 4의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비상전원 출력 스위치(56)가 두 번째 "온"되지 않아 카운터가 자동 정지되면(S87) 비상전원 출력용 릴레이를 "오프"시켜 줌과 동시에 비상전원 상태 표시램프(91)를 소등(S88)시켜 준다.
따라서, 비상시 비상전원 공급단자(42)를 통해 랜턴이나 전동 공구 또는 각종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들을 연결시켜 전원전압을 공급시켜 주거나 충전시킬 수 있으므로 태양광 조명출력 제어장치 자체에 대한 사용성 또한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비상전원은 최대 제 4의 시간인 30분만 공급되고 자동으로 차단되므로 축전지(9)에 충전되어 있는 전압을 불필요하게 소모시킴으로 인해 실제로 전원을 공급시켜 주고자 하는 조명기구를 구동시키지 못하게 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르면 태양광 전지판의 전압 차이, 설치 장소의 위도 및 기후 차이, 설치 장소의 그늘짐의 정도 차이, 태양전지 패널의 유리면 노화(흐려짐)에 따른 차이를, 민족 나라 마다의 일몰 일출의 명암 느낌 차이를 감안하여 태양광 발전 조명 장치의 개별로 일몰 일출 변환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종래 대부분 태양광 전지판의 출력 전압이 6V 근사치가 검출되면 일몰/일출 변환으로 검출 기준 값으로 잡았는데, 그동안 태양광 조명장치가 고가의 조명 장치라 희소성이 있어 보통 한 장소에 시범적으로 1-2대 정도의 소량만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검출의 오차를 쉽게 인지하지 못하였지만, 근래 태양광 발전 제품의 가격이 인하되면서 태양광 가로등처럼 한 구간(수십 ~ 수백 km)에 다수의 수량을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는 경우가 많아졌으며, 다수의 수량을 설치 한 후 일몰 일출 검출에 따른 시간적(타이밍) 오차로 여러 개의 태양 전지 조명 장치가 시간 차이를 갖으면서 켜지거나 꺼지는 눈에 거슬리는 현상을 볼 수 있다. 즉, 동일한 시간, 동일한 장소, 동일한 위도 상의 위치이더라도, 백야 현상이 있는 지역이거나, 주변에 광고판이 있는 경우이거나, "가로수나 빌딩" 등에 가리는 위치와, "사방이 트인 곳" 등에 설치된 것의 전압 차이로 기인하는 것인데,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고, 다양한 전압별로 따로 생산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모델 통합 생산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 태양광 전지판
2 : 태양광 전지판 전압 검출부 21 : 태양광 전지판 입력단자
22 : 일몰 및 일출 전압 검출부 23 : 태양광 전지판 전류 감지부
3 : 충전 회로부 31 : 축전지 전압 검출부
4 : 방전 회로부 41 : 조명전류 감지부
42 : 비상전원 공급단자
5 : 신호 입력 및 설정부 51 : 전원 온/오프 스위치
52 : 일몰 및 일출전압 설정 스위치 53 : 조명 출력전압 설정 스위치
54 : 일몰 및 일출 데이터 리셋 스위치
55 : 조명 테스트 스위치 56 : 비상전원 출력 스위치
6 : 온도검출센서
7 : 제어부 71 : 마이컴
8 : 작동상태 표시부 81 : 일출 및 충전상황 표시램프
82 : 일몰 및 방전상황 표시램프 83,84 : 직렬 및 병렬 충전 표시램프
85,86 : 과방전 및 과충전 상태 표시램프
87,88 : 태양전지 및 축전지 상태 표시램프
89,90 : 부하상태 및 부위온도 상황 표시램프
91 : 비상전원 상태 표시램프 92 : SMPS 구동 표시램프
9 : 축전지 10 : 정전압 정류부
RY1-RY5 : 릴레이

Claims (2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전원 온/오프 스위치가 "온"되어 전원전압이 공급되면 제어부 내 마이컴은 축전지의 주변온도를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서브루틴과, 태양광 전지판에서 발전되는 전압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서브루틴, 축전지의 충/방전 전압을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충/방전을 제어하는 서브루틴을 동시에 수행함은 물론 사용자가 장치의 초기 설치 후 조명상태 검사 서브루틴 수행을 원하는지, 작동 초기화 및 일몰/일출 데이터 초기화 서브루틴의 수행을 원하는지 및, 비상전원 출력제어 서브루틴 수행을 원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을 실시하되,
    상기 축전지 주변온도 검출 서브루틴을 수행한 결과 얻어진 온도 데이터는 축전지 충/방전 제어 서브루틴 수행시 축전지 온도에 따라 결정되는 설정 기본 전압 데이터 산정에 이용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태양광 전지판 전압 상태검출 서브루틴을 수행한 결과 충전시작 준비 완료상태이면 축전지 충/방전 전압 검출 서브루틴의 축전지 온도에 따라 결정되는 설정 기본 전압 데이터 산정하는 단계를 실시하도록 하되, 일몰 또는 일출상태로 판정되면 축전지 방전시 부하량에 따른 동작제어 서브루틴을 실시하도록 하되,
    상기 축전지 주변온도 검출 서브루틴은,
    축전지의 현재온도 및 변화되는 온도 값이 마이컴에 기 설정되어 있는 상한온도, 하한온도, 실시간 대비 온도가 급상승하는지 및 실시간으로 온도가 변하는지를 순차적으로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검출한 결과 축전지의 온도가 상한온도 또는 하한온도이면 리셋 스위치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축전지의 충전 및 방전을 중지시키고 작동상태 표시부 내에 설치되어 있는 과방전 및 과충전 상태 표시램프를 점등시키는 단계와;
    상기에서 검출한 결과 축전지의 온도가 실시간 대비 급상승하고 있으면 충전 및 방전을 일시 정지시킨 다음 1분당 온도가 3-5℃ 이상 상승하고 있으면 과방전 및 과충전 상태 표시램프를 점등시키고, 1분당 온도가 3-5℃ 미만 상승하고 있으면 충전 및 방전을 재개시하되, 방전 재개시는 펄스폭변조(PWM)제어를 통해 이전에 방전중이던 전류량 대비 50% 감소시켜 실시하고, 충전은 PWM제어를 통해 이전에 풀(Full) 충전이었을 경우 보조 충전으로, 보조 충전이었을 경우는 트리클 충전으로, 트리클 충전이었을 경우는 충전 중단으로 변경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검출한 결과 축전지의 온도가 실시간으로 변화되고 있으면 ±1℃ 변동에 따라 축전지 정격전압의 1/500[V]로 전압을 반비례 합산시켜 주는 방식으로 축전지의 전압관리를 온도보상으로 변화시켜 주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조명출력 제어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전지판 발전전압 검출 서브루틴은,
    정해진 시간의 카운팅을 실시하면서 일몰/일출에 따라 기 설정된 기준전압과 태양광 전지판의 현재 출력전압을 상호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정해진 시간인 36시간 이상 기준전압 이하이면 충,방전 중단 후 리셋 스위치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작동상태 표시부 내에 설치되어 있는 태양전지 상태 표시램프를 점검상태로 점등시키는 단계와;
    상기에서 비교한 결과 태양광 전지판의 출력전압이 1-5분 이상 기준전압 이상일 경우에는 충전시작 준비를 완료하고 작동상태 표시부 내에 설치되어 있는 일출 및 충전상황 표시램프를 점등시키는 단계와;
    그러나 상기에서 비교한 결과 태양광 전지판의 출력전압이 1-5분 이상 기준전압 이하일 경우에는 작동상태 표시부 내에 설치되어 있는 일몰 및 방전상황 표시램프를 점등시키고, 총 일몰시간 저장을 위한 시간 데이터 및 조명출력 조절 타이밍을 위한 시간 데이터를 카운팅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조명출력 제어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일몰시간 데이터를 설정함에 있어서 제품의 설치시 하루간 총 일몰시간으로 "10시간"을 표준으로 설정하며, 이후 매일 일출시간을 24시간에서 감산한 값을 10일 동안 누적 저장한 다음 10으로 나누어 "11일째 일몰"시간으로 삼으며, 11일 경과 후는 맨 첫날 1일차(11일 전)의 데이터를 버리고 11일 차의 데이터를 적용하여 "다음날 적용할 신규 일몰" 시간으로 삼는 과정을 전원이 "온"되어 있는 동안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조명출력 제어방법.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축전지의 충/방전 제어 서브루틴은,
    축전지 충/방전 전압을 실시간으로 검출하면서 정해진 시간의 카운팅을 실시함은 물론 상기 축전지 주변온도 검출 서브루틴을 수행한 결과 얻어진 온도 데이터와 태양광 전지판 전압 검출을 통해 판정된 일몰 및 일출 상태 데이터를 이용하여 축전지 전압 검출 값과 온도에 따라 설정된 기준전압을 상호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정해진 시간인 36시간 이상 축전지의 전압이 0.5V 이하 변동되었으면 충,방전 중단 후 리셋 스위치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작동상태 표시부 내에 설치되어 있는 축전지 상태 표시램프를 점등시키는 단계와;
    상기에서 비교한 결과 축전지 전압(Vbat) ≤ 과방전 전압(VDLO)이면 조명출력용 전력제어소자 및 릴레이를 "오프"시켜 일몰상태에서 조명출력중인 것을 즉시 차단하고 과방전 상태 표시램프를 점등시켜 주는 단계와;
    상기에서 비교한 결과 축전지 전압(Vbat) ≤ 과방전될 수 있는 하한전압(VDL)이거나, 축전지 전압(Vbat) ≥ 과방전될 수 있는 상한전압(VDH)이면 조명출력용 전력제어소자와 릴레이 및 디밍 제어용 전력제어소자를 "온"시켜 일몰상태에서 조명출력을 "온"시켜 주고 일몰 및 방전상황 표시램프를 점등시켜 주는 단계와;
    상기에서 비교한 결과 축전지 전압(Vbat) ≤ 급속충전 구간전압(VCQ)이면 충전 제어용 전력제어소자를 "풀 온"시켜 일출상태에서 급속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일출 및 충전상황 표시램프를 점등시켜 주는 단계와;
    상기에서 비교한 결과 축전지 전압(Vbat) ≥ 급속충전 종지전압(VCQF)이면 급속충전을 중단시키고 충전 제어용 전력제어소자를 펄스폭 제어방식을 통해 "온"시켜 보조충전을 시작하며 일출 및 충전상황 표시램프를 점등시켜 주는 단계와;
    상기에서 비교한 결과 축전지 전압(Vbat) ≤ 보조충전 종지 및 트리클 충전 시작전압(VCTS)이면 보조충전을 중단시키고 충전 제어용 전력제어소자를 펄스폭 제어방식을 통해 "온"시켜 트리클 충전을 시작하며 일출 및 충전상황 표시램프를 점등시켜 주는 단계와;
    상기에서 비교한 결과 축전지 전압(Vbat) ≥ 충전 종지전압(VCF)이면 충전 제어용 전력제어소자를 "오프"시켜 충전을 완료시키는 단계와;
    상기에서 비교한 결과 축전지 전압(Vbat) ≥ 방전 복귀전압(VDRC)이면 축전지가 방전 가능한 상태로 인식하고 과방전 상태 해제 후 방전 대기하고, 과방전 상태 표시램프를 소등시켜 주는 단계와;
    상기에서 비교한 결과 축전지 전압(Vbat) ≥ 과충전 전압(VCUO)이면 충전 제어용 전력제어소자의 구동을 차단하여 충전을 중지시키고 과방전 상태 표시램프를 점등시켜 주는 단계와;
    상기에서 비교한 결과 축전지 전압(Vbat) ≤ 발광다이오드 구동용 SMPS의 전원전압(VDSM)이면 일몰상태에서 조명이 작동되다가 축전지 전압이 하강한 것으로 인식하고 조명출력용 전력제어소자와 릴레이, 디밍 제어용 전력제어소자 및 계통연계 릴레이를 "온"시켜 계통연계 장치인 발광다이오드 구동용 SMPS를 연결시켜 줌과 동시에 일몰 및 방전상황 표시램프와 SMPS 구동 표시램프를 점등시켜 주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조명출력 제어방법.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전지판 전압 상태검출 서브루틴을 수행한 결과 일몰 또는 일출상태로 판정되어 실시되는 축전지 방전시 부하량에 따른 동작제어 서브루틴은,
    마이컴에 기 입력된 제어 데이터와 선택된 조명출력 제어 모드에 따라 조명을 온/오프 모드로 제어하거나, 온/오프 및 펄스폭 모드로 제어 또는 온/오프와 펄스폭 및 비례 제어모드 중 어느 한 모드로 제어를 실시하되, 상기와 같이 조명출력을 제어하던 중 계속해서 조명출력 전류를 실시간으로 검출, 설정 값과 비교하여 조명출력 전류가 설정 값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조명출력 차단 이후 리셋 스위치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부하상태 표시램프를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조명출력 제어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온/오프 제어모드는,
    일몰 검출 후 조명을 점등시킨 후 정해진 제 1의 시간이 경과 되는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검출한 결과 정해진 제 1의 시간이 경과 되면 조명을 소등시키고 타임 카운터에 기억된 총 일몰시간에서 정해진 제 2의 시간 전인지를 계속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검출한 결과 타임 카운터에 기억된 총 일몰시간에서 정해진 제 2의 시간 전이면 조명을 점등시키고 타임 카운터 값이 제 2시간을 경과 하는지를 계속 검출하여 정해진 제 2의 시간이 경과되면 조명을 소등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조명출력 제어방법.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온/오프 및 펄스폭 제어모드는,
    일몰 검출 후 조명을 점등하고 펄스폭 제어를 100% 실시하면서 정해진 제 3의 시간이 경과 되는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검출한 결과 정해진 제 3의 시간이 경과 되면 일몰 검출 후 조명에 대한 펄스폭 제어를 80%로 실시하면서 다시 정해진 제 3의 시간이 경과 되는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검출한 결과 두 번째 정해진 제 3의 시간이 경과 되면 일몰 검출 후 조명에 대한 펄스폭 제어를 60%로 실시하면서 정해진 제 2의 시간이 경과 되는지를 계속 검출하여 정해진 제 2의 시간이 경과되면 조명을 소등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조명출력 제어방법.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온/오프와 펄스폭 및 비례제어 모드는,
    일몰 검출 후 조명을 점등하고 펄스폭 제어를 100% 실시하면서 정해진 제 3의 시간이 경과 되는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검출한 결과 정해진 제 3의 시간이 경과 되었으면 조명을 점등시키되, 태양광 전지판의 출력전압을 검출 연산하여 그 값에 따라 조명을 비례 제어하는 단계;와;
    조명 출력의 비례제어 중 태양광 전지판에서 일출전압이 검출되는지를 계속 검출하여 일출전압이 검출되면 조명을 소등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조명출력 제어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전지판의 출력전압을 검출 연산하여 그 값에 따라 조명을 비례 제어할 때 "일몰 검출 설정전압"을 기준으로 하여 조명을 PWM 제어할 때 그 출력이 50-70%가 되도록 작동시키는 것을 최저 밝기 기준으로 하고, 태양광 전지판의 전압이 0.2V 감소될 때마다 조명 출력은 1%씩 증가시키고, 이와 반대로 0.2V 증가될 때마다 1%씩 조명 출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조명출력 제어방법.
  2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조명상태 검사 서브루틴은,
    사용자에 의해 조명 테스트 스위치가 첫 번째 "온"되면 정해진 제 4의 시간을 카운팅 시작하며 조명 전원출력 릴레이를 "온"시키고 펄스폭 제어방식을 통해 조명을 100%로 점등시키고, 조명 테스트 스위치가 정해진 제 4의 시간 이내에 두 번째 "온"되면 조명 전원출력 릴레이의 "온"상태를 유지시키며 펄스폭 제어방식을 통해 조명을 75%로 점등시키며, 조명 테스트 스위치가 정해진 제 4의 시간 이내에 세 번째 "온"되면 조명 전원출력 릴레이의 "온"상태를 유지시키며 펄스폭 제어방식을 통해 조명을 50%로 점등시키되, 조명 테스트 스위치가 정해진 제 4의 시간 이내에 네 번째 "온"되거나 조명 테스트 스위치가 첫 번째 "온"된 이후 제 4의 시간이 경과된 경우에는 조명 전원출력 릴레이를 "오프"시키고 조명에 대한 펄스폭 제어를 정지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조명출력 제어방법.
  2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작동 초기화 및 일몰/일출 데이터 초기화 서브루틴은,
    사용자에 의해 일몰 및 일출 데이터 리셋 스위치 신호가 입력되면 스위치의 누름 시간을 계수하여 0.5초 이하이면 에러 체크 감지상태 데이터를 초기화시켜 주고, 1초 이상이면 에러 체크 감지상태 데이터를 포함하여 자체 내에 기 저장되어 있는 일출 및 일몰시간 데이터를 초기화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조명출력 제어방법.
  2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비상전원 출력제어 서브루틴은,
    사용자에 의해 비상전원 출력 스위치가 첫 번째 "온"되면 정해진 제 4의 시간을 카운팅 시작하며 비상전원 출력용 릴레이를 "온"시켜 비상전원 공급단자를 통해 축전지 전압을 출력시켜 줌과 동시에 비상전원 상태 표시램프를 점등시켜 주고, 비상전원 출력 스위치가 정해진 제 4의 시간 이내에 두 번째 "온"되거나 제 4의 시간이 경과된 경우에는 비상전원 출력용 릴레이를 "오프"시켜 줌과 동시에 비상전원 상태 표시램프를 소등시켜 주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조명출력 제어방법.






KR1020100058018A 2010-06-18 2010-06-18 태양광 조명출력 제어방법 KR101003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018A KR101003072B1 (ko) 2010-06-18 2010-06-18 태양광 조명출력 제어방법
PCT/KR2011/004410 WO2011159108A2 (ko) 2010-06-18 2011-06-16 태양광 조명출력 제어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018A KR101003072B1 (ko) 2010-06-18 2010-06-18 태양광 조명출력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3072B1 true KR101003072B1 (ko) 2010-12-21

Family

ID=43513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8018A KR101003072B1 (ko) 2010-06-18 2010-06-18 태양광 조명출력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03072B1 (ko)
WO (1) WO2011159108A2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193B1 (ko) * 2015-01-08 2015-05-04 주식회사 미지에너텍 태양광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5067485A1 (en) * 2013-11-08 2015-05-14 Koninklijke Philips N.V. Battery powered lighting system
KR20180058115A (ko) * 2016-11-23 2018-05-31 (주)위너에코텍 엘이디 조명장치용 디밍제어장치의 전기적 연결 방법
EP3295769A4 (en) * 2015-07-27 2018-12-05 Abonyi, István Method for optimizing efficiency of optical semiconductor devices
CN114554653A (zh) * 2020-11-24 2022-05-27 深圳市法马新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太阳能交通指示灯
WO2022119306A1 (ko) * 2020-12-01 2022-06-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원 구동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88794A (zh) * 2012-05-09 2013-11-13 林敏协 一种一体式人体红外感应调光太阳能灯
ITBZ20130050A1 (it) * 2013-10-10 2015-04-11 Sunforlife S R L Ottimizzatore per stringhe fotovoltaiche, tramite metodo innovativo di condivisione della carica che agisce in parallelo alle stringhe ovvero preservandone l'originale collegamento serie
CN105757595A (zh) * 2016-01-06 2016-07-13 中国科学院浙江数字内容研究院 一种可充电影视灯
CN106439716B (zh) * 2016-08-31 2021-07-30 牟小波 一种太阳能人体控制感应器及控制方法
CN110320897A (zh) * 2019-08-15 2019-10-11 厦门城光联链科技有限公司 一种太阳能路灯控制器生产测试工装及测试方法
CN111934376A (zh) * 2020-07-29 2020-11-13 江阴华慧源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低压输入恒压输出太阳能控制器的控制方法
CN112103575B (zh) * 2020-09-18 2021-06-25 江苏工程职业技术学院 一种基于动态扫描的储能管理系统
CN112344789B (zh) * 2020-11-06 2023-05-02 成都蓉视通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作战现场的演练设备及系统
CN112821534A (zh) * 2020-12-31 2021-05-18 湖北中恒汽车装备有限公司 一种应用于带光伏发电房车的48v电源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967B1 (ko) * 2002-04-24 2004-10-14 헥스파워시스템(주) 태양광 발전용 전력조절기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2006005979A (ja) * 2004-06-15 2006-01-05 Sony Corp 電源装置及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8116A (ja) * 1996-05-17 1997-11-28 Shinko Electric Co Ltd 太陽発電装置
KR20050104285A (ko) * 2004-04-28 2005-11-02 주식회사 에이.엘.인더스트리 솔라 조명장치에 적합한 제어장치 및 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967B1 (ko) * 2002-04-24 2004-10-14 헥스파워시스템(주) 태양광 발전용 전력조절기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2006005979A (ja) * 2004-06-15 2006-01-05 Sony Corp 電源装置及び電子機器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67485A1 (en) * 2013-11-08 2015-05-14 Koninklijke Philips N.V. Battery powered lighting system
US10094525B2 (en) 2013-11-08 2018-10-09 Philips Lighting Holding B.V. Battery powered lighting system
KR101516193B1 (ko) * 2015-01-08 2015-05-04 주식회사 미지에너텍 태양광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3295769A4 (en) * 2015-07-27 2018-12-05 Abonyi, István Method for optimizing efficiency of optical semiconductor devices
KR20180058115A (ko) * 2016-11-23 2018-05-31 (주)위너에코텍 엘이디 조명장치용 디밍제어장치의 전기적 연결 방법
KR101990874B1 (ko) * 2016-11-23 2019-09-30 (주)위너에코텍 엘이디 조명장치용 디밍제어장치의 전기적 연결 방법
CN114554653A (zh) * 2020-11-24 2022-05-27 深圳市法马新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太阳能交通指示灯
CN114554653B (zh) * 2020-11-24 2023-12-26 深圳市法马新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太阳能交通指示灯
WO2022119306A1 (ko) * 2020-12-01 2022-06-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원 구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59108A3 (ko) 2012-05-18
WO2011159108A2 (ko) 2011-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3072B1 (ko) 태양광 조명출력 제어방법
CN104541579B (zh) 荧光灯型led照明设备及其开关灯模式的切换方法
KR102151525B1 (ko) 커패시터를 이용한 태양광 가로등 제어기
CN106797134A (zh) 蓄电系统以及蓄电方法
CN101776240B (zh) 一种应急照明系统及方法
CN102221174A (zh) 节能照明系统和实现过程
KR101638599B1 (ko) 조명등 전원 제어 장치
US20180268689A1 (en) Safety light apparatus and method
CN103812148A (zh) 一种移动电源
US20080094024A1 (en) Power Supply Circuit of Dual Purpose Chargeable Accumulator
CN202713735U (zh) 一种多功能太阳能路灯系统
JP4552536B2 (ja) 独立電源装置
US7839115B2 (en) Power switching apparatus for natural energy power supply
KR20040052657A (ko) 솔라모듈을 이용한 자발광 시스템용 제어장치
CN203980118U (zh) 一种光伏消防应急标志灯
US20160308358A1 (en) Light System with Energy Management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292522B1 (ko) 임피던스 매칭형 태양광 충방전 제어장치, 조명등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86588A (ko) 스마트 폰으로 원격 제어되는 태양광 가로등에 관한 것
KR101054495B1 (ko) 도로 태양광 led 표시등
KR101022168B1 (ko) 태양전지모듈용 전원관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012673B1 (ko) 태양광발전 자동제어장치
KR101243694B1 (ko) 이종 축전지를 포함하는 전력 저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가로등
KR100609481B1 (ko) 자연에너지를 이용한 가로등 제어장치
KR101035020B1 (ko) 조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명 방법
KR102151524B1 (ko) 커패시터를 이용한 태양광 가로등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