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2898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2898B1
KR101002898B1 KR1020030038882A KR20030038882A KR101002898B1 KR 101002898 B1 KR101002898 B1 KR 101002898B1 KR 1020030038882 A KR1020030038882 A KR 1020030038882A KR 20030038882 A KR20030038882 A KR 20030038882A KR 101002898 B1 KR101002898 B1 KR 101002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slide cover
display unit
screen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8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8134A (ko
Inventor
유성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8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2898B1/ko
Publication of KR20040108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8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2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2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부와 슬라이드 커버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커버의 이동위치를 감지하는 슬라이드 동작 감지부와; 상기 슬라이드 커버의 이동위치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 커버가 완전 열림상태 또는 일부 열림상태 또는 완전 닫힘상태 일 때, 전면 또는 일부 면에 해당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슬라이드 커버의 이동위치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 커버가 완전 열림상태 또는 일부 열림상태 또는 완전 닫힘상태 일 때, 상기 표시부의 화면출력 시작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표시부의 전면 또는 일부 면에 해당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슬라이드 커버, 이동통신 단말기, 표시 장치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N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 커버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 커버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 장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슬라이드 커버의 슬라이딩 동작에 따른 표시부의 개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 장치에서 표시 제어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 커버가 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시부를 구비하는 본체와 슬라이딩 이동하여 표시부를 개폐하는 슬라이드 커버로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셀룰라 폰, 디지털 폰, PCS(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 폰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등을 칭하며, 외형상으로 여러 타입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외형에 따라 바 타입(bar type), 플립 타입(flip type), 폴더 타입(folder type)등의 타입으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열거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최근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여러 가지 타입의 단말기도 타입별로 다양하게 구현되어 출시되고 있다. 최근 출시되고 있는 다양한 타입의 단말기들 중 바 타입 단말기의 하나로 표시부를 구비하는 본체와 슬라이딩 이동하여 표시부를 개폐하는 슬라이드 커버로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표시부를 개폐하는 슬라이드 커버로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슬라이드 커버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표시부가 완전히 보일 경우에만 표시부를 이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종래의 슬라이드 커버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슬라이드 커버가 닫혀 있는 경우 표시부를 구동시키지 않으며, 슬라 이드 커버가 열려있는 경우(슬라이드 커버가 슬라이드 이동되어 표시부가 완전히 보일 경우)에만 표시부를 구동시켜 해당 정보를 표시한다.
따라서 슬라이드 커버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슬라이드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기능, 전화번호부 기능 등을 이용하고자 할 때, 슬라이드 커버를 완전히 열어야만 상기 기능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 불편하다. 또한, 사용자는 슬라이드 커버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슬라이드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는 표시부를 전혀 볼 수 없으므로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부를 개폐하는 슬라이드 커버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슬라이드 커버가 완전히 열리지 않은 상태(일부 열린 상태) 및 닫힌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표시부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표시부를 개폐하는 슬라이드 커버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슬라이드 커버의 슬라이딩 위치에 따라 표시부의 화면출력 시작위치를 변경하여 슬라이드 커버가 완전히 열리지 않은 상태(일부 열린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표시부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표시부와 슬라이드 커버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커버의 이동위치를 감지하는 슬라이드 동작 감지부와; 상기 슬라이드 커버의 이동위치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 커버가 완전 열림상태 또는 일부 열림상태 또는 완전 닫힘상태 일 때, 전면 또는 일부 면에 해당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슬라이드 커버의 이동위치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 커버가 완전 열림상태 또는 일부 열림상태 또는 완전 닫힘상태 일 때, 상기 표시부의 화면출력 시작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표시부의 전면 또는 일부 면에 해당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다른 발명은 표시부와 슬라이드 커버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방법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커버의 이동위치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슬라이드 커버의 이동위치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 커버가 완전 열림상태 또는 일부 열림상태 또는 완전 닫힘상태 일 때, 상기 표시부의 전면 또는 일부 면에 해당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 커버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 커버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본체(100)와, 슬라이드 커버(200)와, 슬라이딩 모듈(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100)는 마이크, 키패드 등과 송, 수신된 데이터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 기능을 하는 표시부(103)를 포함한다. 슬라이드 커버(200)는 사용에 따라 상,하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표시부(103)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0)의 표시부(103) 전면에 위치한다. 슬라이딩 모듈(300)은 슬라이드 커버(200)와 결합되고, 슬라이드 커버(200)를 본체(100)의 표시부(103) 전면에서 상, 하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커버(200)가 상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표시부(103)가 개방되면 표시부(103)에 메인화면(103b)을 표시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슬라이드 커버(200)가 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닫힌 상태가 되면 표시부(103)의 일부에 서브화면(103c)을 표시한다. 즉, 슬라이드 커버(200)는 사용에 따라 본체(100)의 상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 표시부(103)를 개방하고, 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 표시부(103)의 개방 정도를 줄이면서 최종적으로 일부만을 개방하도록 되어 있다.
도 3은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 장치는 표시 제어부(400), 슬라이드 동작 감지부(402), 메모리(403), 표시 구동부(408), 표시부(103)로 구성된다.
표시 제어부(400)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표시 동작을 제어하며, 슬라이드 커버(200)의 슬라이드 이동 위치에 따라 표시를 제어한다. 즉, 표시 제어부(400)는 슬라이드 커버(200)의 슬라이드 동작을 감지하고 슬라이드 커버(200)의 슬라이드 이동 위치를 검출한다. 표시 제어부(400)는 슬라이드 이동 위치 검출 결과 슬라이드 커버(200)가 닫힌 상태가 아니면, 슬라이드 이동 위치에 따라 표시부(103)의 화면출력 시작위치를 변경시키고 변경된 화면출력 시작위치부터 메인 화면(103b)을 표시한다. 한편, 표시 제어부(400)는 슬라이드 커버(200)의 슬라이드 이동 위치를 검출한 결과, 슬라이드 커버(200)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힌 상태가 되면 표시부(103)에 서브화면(103c)을 표시한다.
슬라이드 동작 감지부(402)는 상기 슬라이드 커버(200)의 슬라이드 동작을 감지하여 표시 제어부(400)로 전달한다. 즉, 슬라이드 동작 감지부(402)는 슬라이드 커버(200)가 상 또는 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이를 감지하여 표시 제어부(400)로 전달한다. 또한 슬라이드 동작 감지부(402)는 슬라이드 커버(200)가 하 방향으로 완전히 슬라이딩 이동되는지 즉, 닫힌 상태가 되는지 감지하여 표시 제어부(400)로 전달한다.
메모리(403)는 다수의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Read Only Memory) 및 램(RAM: Random Access Memory)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메인 화면정보 저장부(404)와 서브 화면정보 저장부(406)를 구비한다. 메인 화면정보 저장부(404)는 슬라이드 커버(200)가 상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시 표시부(103)에 표시되는 메인화면(103b)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서브 화면정보 저장부(406)는 슬라이드 커버(200)가 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닫힌 상태가 될 경우 표시부(103)의 일부에 표시되는 서브화면(103c)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표시 구동부(408)는 LCD(Liquid Crystal Display)구동부 등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표시 제어부(400)의 제어 하에 표시부(103)를 구동시킨다.
표시부(103)는 LCD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각종 표시 데이터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부(103)는 표시 구동부(408)를 통한 표시 제어부(400)의 제어 하에 슬라이드 커버(200)의 슬라이딩 이동 위치에 따라 메인화면(103b)을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03)는 슬라이드 커버(200)가 닫힌 상태에서 슬라이드의 커버 영역을 벗어난 표시부면에 서브화면(103c)을 표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슬라이드 커버(200)의 슬라이딩 동작에 따른 표시부(103)의 개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의 (a)는 슬라이드 커버(200)가 상 방향으로 완전히 슬라이딩 이동되어 표시부(103)의 전면이 개방된 상태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03)의 전면이 개방된 상태일 경우 표시부(103)에는 메인화면(103b)의 전체가 표시된다. 도 4의 (b)는 슬라이드 커버(200)가 상 또는 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중 표시부(103)의 일부면이 개방된 상태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03)의 일부면이 개방된 상태일 경우 표시부(103)에는 메인화면(103b)의 일부가 표시된다. 도 4의(c) 내지 (d)는 슬라이드 커버(200)가 하 방향으로 완전히 슬라이딩 이동되어 표시부(103) 전면 중 슬라이드 커버(200)의 커버 영역을 벗어난 표시부면만 개방된 상태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슬라이드 커버(200)가 하 방향으로 완전히 슬라이딩 이동된 경우 즉, 닫힌 경우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커버(200)의 커버 영역을 벗어난 표시부면에 서브화면(103c)이 표시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슬라이드 커버(200)가 하 방향으로 완전히 슬라이딩 이동된 경우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커버(200)의 커버 영역을 벗어난 표시부면에 메인화면(103b)의 일부와 보조화면(103c)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 장치에서 표시 제 어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 커버(200)가 열린 상태에서 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표시부(103)에 표시되는 화면의 화면출력 시작위치의 변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 커버(200)를 구비한 단말기의 표시 장치가 슬라이드 커버(200)의 슬라이딩 이동 위치에 따라 표시부(103)에 해당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될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 장치의 화면 표시 방법은 슬라이드 커버(200)가 열린 상태에서 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경우를 일 예로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슬라이드 커버(200)가 열린 상태일 경우 표시부(103)의 전면에 메인화면(103b)이 표시된다. 예를 들어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커버(200)가 열린 상태일 경우 표시부(103)의 사이즈가 X*Y라면 표시부(103)의 화면출력 시작위치는 (0, 0)이다.
표시 제어부(400)는 도 5의 600단계에서 슬라이드 커버(200)의 슬라이드 동작이 감지되는지 판단한다. 제어부(400)는 슬라이드 동작 감지부(402)를 통해 슬라이드 커버(200)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이 감지되면 602단계로 진행한다. 표시 제어부(400)는 602단계에서 슬라이드 동작 감지부(402)를 통해 슬라이드 커버(200)의 슬라이드 이동 위치를 검출한다. 이때 슬라이딩 이동 위치는 슬라이딩 레일에 검출 센서를 설치하여 슬라이드 커버(200)가 슬라이딩 레일에 접촉하는 위치를 이용해 검출될 수 있다.
표시 제어부(400)는 슬라이드 커버(200)의 슬라이드 이동 위치를 검출한 후, 604단계에서 슬라이드 커버(200)가 닫힌 상태가 되는지 판단한다. 이때 슬라이드 커버(200)가 닫힌 상태란 도 6의(c) 및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커버(200)가 하 방향으로 완전히 슬라이딩 이동되어 표시부(103) 전면 중 슬라이드 커버(200)의 커버 영역을 벗어난 표시부면만 개방된 상태를 말한다.
표시 제어부(400)는 슬라이드 커버(200)의 슬라이드 이동 위치를 검출한 결과, 슬라이드 커버(200)가 닫힌 상태가 아니면 608단계로 진행한다. 표시 제어부(400)는 608단계에서 슬라이드 커버(200)의 슬라이드 이동 위치에 따라 표시부(103)의 화면출력 시작위치를 변경하여 메인 화면(103b)을 표시한다. 즉, 표시 제어부(400)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커버(200)의 슬라이드 이동 위치가 표시부(103b)의 (0, 0)에서 (0, Y-a)부분을 덮는 위치라면 표시부(103b)의 화면출력 시작위치를 (0, Y-(a+1))로 변경하여 메인 화면(103b)을 표시한다. 그리고 나서 표시 제어부(400)는 600단계로 되돌아간다.
한편, 표시 제어부(400)는 슬라이드 커버(200)가 닫힌 상태가 되면 606단계에서 표시부(103) 중 슬라이드 커버(200)의 커버 영역을 벗어난 표시부면에 서브화면(103c)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표시 제어부(400)는 슬라이드 커버(200)가 닫힌 상태가 되면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03) 중 슬라이드 커버(200)에 의해 덮힌 부분(좌표수치로 (0, 0)~(0, Y-b))을 제외한 표시부면에 서브화면(103c)을 표시한다. 한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제어부(400)는 도 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힌 부분을 제외한 표시부면의 일부(예컨대 (0, Y-b)~(0, Y-b-c))에 메인 화면(103b)을, 나머지(예컨대 (0, Y-(b+c+1)) ~ (0, Y)에 서브 화면(103c)을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 장치의 화면 표시 방법은 슬라이드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상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열린 상태가 되는 경우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부를 구비하는 본체와 슬라이딩 이동하여 표시부를 개폐하는 슬라이드 커버로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표시 장치는 슬라이드 커버의 슬라이드 동작을 감지하고 슬라이드 커버의 슬라이드 이동 위치를 검출하여 슬라이드 이동 위치 검출 결과 슬라이드 커버가 닫힌 상태이면, 표시부에 서브화면을 표시하며, 슬라이드 커버가 닫힌 상태가 아니면 슬라이드 이동 위치에 따라 표시부의 화면출력 시작위치를 변경시키고 변경된 화면출력 시작위치부터 메인화면을 표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슬라이드 커버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슬라이드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기능, 전화번호부 기능 등을 이용하고자 할 때, 슬라이드 커버를 완전히 열지 않아도 상기 기능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슬라이드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도 슬라이드 커버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표시부면에 보조화면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1)

  1. 표시부와 슬라이드 커버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커버의 이동위치를 감지하는 슬라이드 동작 감지부와,
    상기 슬라이드 커버의 이동위치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 커버가 완전 열림상태 또는 일부 열림상태 또는 완전 닫힘상태 일 때, 전면 또는 일부 면에 해당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슬라이드 커버의 이동위치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 커버가 완전 열림상태 또는 일부 열림상태 또는 완전 닫힘상태 일 때, 상기 표시부의 화면출력 시작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표시부의 전면 또는 일부 면에 해당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동작감지부는,
    상기 슬라이드 커버의 완전 열림상태, 일부 열림상태 및 완전 닫힘상태 일때 상기 슬라이드 커버의 해당 이동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표시제어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슬라이드 커버가 완전 열림상태 일 때 전면에 메인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슬라이드 커버가 일부 열림상태일 때 해당 일부에 메인화면을 표시하며, 상기 슬라이드 커버가 완전 닫힘상태 일 때 서브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커버가 완전 닫힘상태 일 때, 상기 표시부는 메인화면 표시구간과 서브화면 표시구간으로 구분되어 각각에 메인화면과 서브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슬라이드 커버의 이동위치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 커버의 완전 열림상태가 판단되면 상기 표시부의 화면출력 시작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표시부의 전면에 메인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슬라이드 커버의 일부 열림상태가 판단되면 상기 표시부의 화면출력 시작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표시부의 일부 면에 메인화면을 표시하며; 상기 슬라이드 커버의 완전 닫힘상태가 판단되면 상기 표시부의 화면출력 시작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표시부에 서브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슬라이드 커버가 완전 닫힘상태 일 때, 상기 표시부를 메인화면 표시구간과 서브화면 표시구간으로 구분하여 각각에 메인화면과 서브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메인화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인화면정보 저장부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서브화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서브화면정보 저장부를 구비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장치.
  8. 표시부와 슬라이드 커버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방법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커버의 이동위치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슬라이드 커버의 이동위치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 커버가 완전 열림상태 또는 일부 열림상태 또는 완전 닫힘상태 일 때, 상기 표시부의 전면 또는 일부 면에 해당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방법.
  9. 삭제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이,
    상기 슬라이드 커버의 완전 열림상태가 감지되면, 상기 표시부의 화면출력 시작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표시부의 전면에 메인화면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슬라이드 커버의 일부 열림상태가 감지되면, 상기 표시부의 화면출력 시작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표시부의 일부 면에 메인화면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슬라이드 커버의 완전 닫힘상태가 감지되면, 상기 표시부의 화면출력 시작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표시부에 서브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커버의 완전 닫힘상태가 감지되면, 상기 표시부를 메인화면 표시구간과 서브화면 표시구간으로 구분하여 각각에 메인화면과 서브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방법.
KR1020030038882A 2003-06-16 2003-06-16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1002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882A KR101002898B1 (ko) 2003-06-16 2003-06-16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882A KR101002898B1 (ko) 2003-06-16 2003-06-16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8134A KR20040108134A (ko) 2004-12-23
KR101002898B1 true KR101002898B1 (ko) 2010-12-21

Family

ID=37382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8882A KR101002898B1 (ko) 2003-06-16 2003-06-16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28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210B1 (ko) * 2007-07-23 2014-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 및 그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28475A (en) 1997-04-04 2000-10-03 Sony Corporation Wireless telephone with sliding keyboard
JP2002094624A (ja) * 2000-09-19 2002-03-29 Sanyo Electric Co Ltd 無線情報端末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28475A (en) 1997-04-04 2000-10-03 Sony Corporation Wireless telephone with sliding keyboard
JP2002094624A (ja) * 2000-09-19 2002-03-29 Sanyo Electric Co Ltd 無線情報端末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8134A (ko) 2004-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05716B1 (en) Housing arrangement for a portable device wtih a display
EP0678987B1 (en) Portable radio with display
US8326368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5905220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端末機におけるメモ方法及び端末機
US8036724B2 (en) Portable data terminal and function selecting and starting method used therein
US20090154082A1 (en) Electronic device, computer porgram product and control method
KR101166094B1 (ko) 휴대정보처리장치
CN101465894A (zh) 一种移动终端及其显示控制的方法
JP3501710B2 (ja) 携帯電話機
US20070077970A1 (en)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bar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00289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 장치 및 방법
JP2007089004A (ja) 携帯情報端末
US7221559B1 (en) Multipurpose bumper system for a data processing apparatus
US20130005406A1 (en) Mobile electronic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display control program
JP4199730B2 (ja) 移動体通信機
KR20060016369A (ko) 접지를 이용하여 슬라이드의 위치를 감지하는 슬라이드형휴대폰
JP4161561B2 (ja) 移動体端末、そのポインタ制御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KR100594137B1 (ko) 휴대단말기에서 입력모드를 제어하는 방법
KR100715368B1 (ko) 이중화면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0381138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의 메시지 디스플레이 방법
KR20050042308A (ko) 슬라이드의 이동에 따른 메뉴 스크롤 방법 및 이를구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JP2004297648A (ja) 携帯電話機並びにそのメニュー表示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JP2003319036A (ja) 移動通信装置
KR100709813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KR20070066642A (ko) 움직임 감지부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