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2239B1 - 슬롯 구동 방식의 문합장치 - Google Patents

슬롯 구동 방식의 문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2239B1
KR101002239B1 KR1020100060286A KR20100060286A KR101002239B1 KR 101002239 B1 KR101002239 B1 KR 101002239B1 KR 1020100060286 A KR1020100060286 A KR 1020100060286A KR 20100060286 A KR20100060286 A KR 20100060286A KR 101002239 B1 KR101002239 B1 KR 101002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anastomosis
groove
guide
guid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0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웅
궁요안
지대원
장광석
Original Assignee
(주)트리플씨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트리플씨메디칼 filed Critical (주)트리플씨메디칼
Priority to KR1020100060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22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2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2239B1/ko
Priority to US13/093,065 priority patent/US8777970B2/en
Priority to EP11169469.1A priority patent/EP2399529A3/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17/111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of the digestive tract, e.g. bowels or oesophag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2017/1103Approxim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2017/1107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f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2017/1125Forceps, specially adapted for performing or assisting anastom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2017/1132End-to-end connection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문합장치는 제1 문합링이 고정되는 제1 헤드; 제2 문합링이 고정되는 제2 헤드; 상기 제1 헤드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문합링이 상부를 향하는 해제위치와 상기 제1 및 제2 문합링이 서로 마주보는 대기위치로 전환되며, 대체로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태로 형성되는 제1 회전그루브를 가지는 제1 가이드바; 상기 제2 헤드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문합링이 상부를 향하는 해제위치와 상기 제1 및 제2 문합링이 서로 마주보는 대기위치로 전환되며, 대체로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태로 형성되는 제2 회전그루브를 가지는 제2 가이드바;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바와 대체로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1 및 제2 회전그루브를 따라 각각 이동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돌기를 가지는 회전구동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돌기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회전그루브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바는 상기 대기위치 및 상기 해제위치로 전환된다.

Description

슬롯 구동 방식의 문합장치{SLOT DRIVE TYPE ANASTOMOSIS DEVICE}
본 발명은 문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롯 내에서 구동되어 문합링을 체결하는 문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혈관이나 장과 같은 관상기관은 봉합사 등을 이용하여 단부들을 봉합하는 방법을 통해 서로 접속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방법은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고 정교한 봉합기술의 습득은 장기간의 수련기간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제안된 방법 중 하나가 문합링을 이용한 문합방법이다. 예를 들어, 문합링을 혈관에 끼워 혈관의 단부에 고정하고, 문합링과 문합링을 서로 체결하는 방법을 통해 혈관을 용이하게 문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합술의 장점은 첫째, 봉합사를 이용한 혈관 봉합처럼 정확하고 숙련된 술기 습득에 필요한 수련시간을 많이 필요로 하지 않고, 둘째, 혈관 문합 자체에 소요되는 시간이 2-3분으로 짧게 걸리며, 셋째, 시술 후 추적 관찰 결과가 봉합사를 이용한 미세혈관 봉합법과 비교해서 뒤떨어지지 않고, 넷째 수혜부와 공여부 혈관 직경 차이가 크게 발생할 시에도 쉽게 문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섯째, 제한된(협소한) 공간에서도 쉽게 문합을 시행할 수 있는 등 여러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관상조직(예를 들어, 혈관, 대장 또는 소장과 같은)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문합할 수 있는 문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교하고 신속한 문합이 가능한 문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문합장치는 제1 문합링이 고정되는 제1 헤드; 제2 문합링이 고정되는 제2 헤드; 상기 제1 헤드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문합링이 상부를 향하는 해제위치와 상기 제1 및 제2 문합링이 서로 마주보는 대기위치로 전환되며, 대체로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태로 형성되는 제1 회전그루브를 가지는 제1 가이드바; 상기 제2 헤드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문합링이 상부를 향하는 해제위치와 상기 제1 및 제2 문합링이 서로 마주보는 대기위치로 전환되며, 대체로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태로 형성되는 제2 회전그루브를 가지는 제2 가이드바;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바와 대체로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1 및 제2 회전그루브를 따라 각각 이동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돌기를 가지는 회전구동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돌기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회전그루브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바는 상기 대기위치 및 상기 해제위치로 전환된다.
상기 회전구동체는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바의 후단부가 각각 삽입되는 제1 및 제2 회전슬롯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돌기는 상기 제1 및 제2 회전슬롯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회전그루브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바는 대체로 나란한 제1 전방로드 및 제1 후방로드, 그리고 상기 제1 전방로드와 상기 제1 후방로드를 연결하는 제1 연결로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가이드바는 대체로 나란한 제2 전방로드 및 제2 후방로드, 그리고 상기 제2 전방로드와 상기 제2 후방로드를 연결하는 제2 연결로드를 구비하되, 상기 문합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바가 삽입되는 제1 및 제2 가압슬롯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연결로드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 헤드가 근접한 근접위치 및 상기 제1 및 제2 헤드가 이격된 이격위치로 전환시키는 이동구동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후방로드는 상기 제1 헤드와 동일한 제1 회전축을 가지고, 상기 제1 전방로드는 상기 제1 회전축으로부터 편심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제2 후방로드는 상기 제2 헤드와 동일한 제2 회전축을 가지고, 상기 제2 전방로드는 상기 제2 회전축으로부터 편심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로드는 상기 제1 가이드바가 상기 대기위치에 있을 때 전방을 향해 외측경사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연결로드는 상기 제2 가이드바가 상기 대기위치에 있을 때 전방을 향해 외측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후방로드는 상기 제1 회전그루브 및 상기 제1 회전그루브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후방로드의 길이방향과 대체로 나란한 제1 이동그루브를 가지며, 상기 제2 후방로드는 상기 제2 회전그루브 및 상기 제2 회전그루브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후방로드의 길이방향과 대체로 나란한 제2 이동그루브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그루브 및 상기 제1 이동그루브의 길이는 상기 회전구동체 및 상기 이동구동체의 이동거리와 대체로 일치할 수 있다.
상기 이동구동체는 상기 제1 및 제2 헤드에 고정된 제1 및 제2 문합링을 상기 제1 및 제2 헤드로부터 분리하는 가압바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로드는 탄성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바는 대체로 나란한 제1 전방로드 및 제1 후방로드, 그리고 상기 제1 전방로드와 상기 제1 후방로드를 연결하는 제1 연결로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가이드바는 대체로 나란한 제2 전방로드 및 제2 후방로드, 그리고 상기 제2 전방로드와 상기 제2 후방로드를 연결하는 제2 연결로드를 구비하되, 상기 회전구동체는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바가 각각 삽입되며 상기 제1 및 제2 회전그루브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돌기가 설치되는 제1 및 제2 회전슬롯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구동체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로드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 헤드가 근접한 근접위치 및 상기 제1 및 제2 헤드가 이격된 이격위치로 전환시키는 이동구동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바는 상기 제1 회전그루브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 회전축과 대체로 나란한 제1 이동그루브를 가지며, 상기 제2 가이드바는 상기 제2 회전그루브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2 회전축과 대체로 나란한 제2 이동그루브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바는 상기 제1 회전그루브로부터 연장되는 제1 이동그루브를 가지고, 상기 제2 가이드바는 상기 제2 회전그루브로부터 연장되는 제2 이동그루브를 가지며, 상기 제1 이동그루브는 상기 제1 전방로드와 나란한 제1 전방그루브 및 상기 제1 연결로드와 나란한 제1 연결그루브, 그리고 상기 제1 후방로드와 나란한 제1 후방그루브를 가지고, 상기 제2 이동그루브는 상기 제2 전방로드와 나란한 제2 전방그루브 및 상기 제2 연결로드와 나란한 제2 연결그루브, 그리고 상기 제2 후방로드와 나란한 제2 후방그루브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관상조직(예를 들어, 혈관, 대장 또는 소장과 같은)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문합할 수 있다. 특히, 하나의 동작을 통해 문합링의 체결이 가능하므로, 불필요한 동작으로 인한 시술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합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문합장치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회전구동체 및 레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제2 홀더 및 제2 연결바, 그리고 제2 가이드바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이동구동체 및 가압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이동구동체의 이동에 따른 제1 및 제2 가이드바의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체 및 가압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홀더 및 제2 연결바, 그리고 제2 가이드바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합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한 구동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한 제1 홀더 및 제1 연결바, 그리고 제1 가이드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 및 도 18은 구동체의 이동에 따른 제1 가이드바의 이동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9는 도 14에 도시한 구동체 및 구동축, 그리고 레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 내지 도 22는 레버의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22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혈관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유리피판술에 의한 재건술이나 절단된 혈관의 문합, 그리고 대장/소장 문합, 심장 질환, 그밖의 관상기관의 문합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종류의 미세수술에 응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합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문합장치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합장치는 제1 및 제2 홀더(12,22)를 구비하며, 제1 및 제2 홀더(12,22)는 'U'자 형상을 가진다. 제1 및 제2 문합링(R1,R2)은 개방된 전단부를 통해 제1 및 제2 홀더(12,22)에 각각 고정되며, 문합하고자 하는 두 개의 혈관의 단부는 제1 및 제2 문합링(R1,R2)에 각각 고정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홀더(12,22)는 제1 및 제2 문합링(R1,R2)이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여 서로 이격된 상태('대기위치' 또는 '이격위치')에서 서로를 향해 접근하며, 이를 통해 제1 및 제2 문합링(R1,R2)은 상호체결되어 두 개의 혈관은 문합될 수 있다. 문합링의 형상이나 체결방식에 관한 내용은 공지된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문합장치는 제1 및 제2 홀더(12,22)에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 종동바(14,24)와 제1 및 제2 종동바(14,24)에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 가이드바(16,26)를 더 포함한다. 제1 및 제2 가이드바(16,26)는 후술하는 회전구동체(42,44)에 의해 회전가능하며, 후술하는 이동구동체(62)에 의해 서로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종동바(14,24)는 제1 및 제2 가이드바(16,26)의 회전 및 이동에 의해 구동되어 제1 및 제2 가이드바(16,26)와 함께 회전 및 이동하며, 이로 인해 제1 및 제2 홀더(12,22)는 회전 및 이동할 수 있다.
문합장치는 상부케이스(34) 및 하부케이스(32)를 더 포함하며, 상부케이스(34)는 제1 및 제2 가이드바(16,26)의 상부에 위치하고, 하부케이스(32)는 제1 및 제2 가이드바(16,26)의 하부에 위치한다. 제1 및 제2 가이드바(16,26)는 상부케이스(34) 및 하부케이스(32)에 의해 제공된 내부공간에 실장된다.
문합장치는 이동구동체(62) 및 가압바(64)를 더 포함하며, 이동구동체(62)는 상부케이스(34) 및 하부케이스(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한다. 이동구동체(62)는 후술하는 회전구동체(42,44)의 전방에 위치하여 회전구동체(42,44)의 이동시 함께 이동하며, 제1 및 제2 가이드바(16,26)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제1 및 제2 가이드바(16,26)를 서로를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상세한 내용은 후술함). 가압바(64)의 후단은 이동구동체(62)에 연결되며, 이동구동체(62)와 함께 이동하여 제1 및 제2 홀더(12,22)에 고정된(또는 제1 및 제2 홀더(12,22)의 이동에 의해 체결된) 제1 및 제2 문합링(R1,R2)을 제1 및 제2 홀더(12,22)로부터 분리해 낸다.
문합장치는 회전구동체(42,44) 및 레버(40)를 더 포함하며, 회전구동체(42,44)는 하부구동체(42) 및 상부구동체(44)를 구비한다. 회전구동체(42,44)는 레버(40)의 동작에 의해 상부케이스(34) 및 하부케이스(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며, 제1 및 제2 가이드바(16,26)의 후단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제1 및 제2 가이드바(16,26)를 회전시킨다(상세한 내용은 후술함). 레버(40)는 링 모양을 가지며, 시술자는 레버(40)에 손가락을 삽입한 상태에서 레버(40)를 용이하게 작동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회전구동체 및 레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구동체(42,44)는 하부구동체(42) 및 상부구동체(44)를 구비하며, 회전구동체(42,44)는 하부구동체(42) 및 상부구동체(44)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하부구동체(42)는 하부중간벽(43)에 의해 제1 및 제2 하부슬롯(42a,42b)으로 구획되며, 제1 및 제2 가이드바(16,26)의 후단부는 제1 및 제2 하부슬롯(42a,42b)을 따라 이동한다. 마찬가지로, 상부구동체(44)는 상부중간벽(45)에 의해 제1 및 제2 상부슬롯(44a,44b)으로 구획되며, 제1 및 제2 가이드바(16,26)의 후단부는 제1 및 제2 상부슬롯(44a,44b)을 따라 이동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하부가이드돌기(46a,46b)는 제1 및 제2 하부슬롯(42a,42b) 상에 형성되며, 제1 및 제2 상부가이드돌기(48a,48b)는 제1 및 제2 상부슬롯(44a,44b) 상에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바(16)의 후단부는 제1 하부슬롯(42a) 및 제1 상부슬롯(44a)에 의해 형성된 제1 회전슬롯을 따라 이동하며, 제2 가이드바(26)의 후단부는 제2 하부슬롯(42b) 및 제2 상부슬롯(44b)에 의해 형성된 제2 회전슬롯을 따라 이동한다. 이때, 제2 하부가이드돌기(46b) 및 제2 상부가이드돌기(48b)가 제2 가이드바(26)의 제2 가이드그루브(27a,27b)를 따라 이동하면서 제2 가이드바(26)를 회전시키며, 이로 인해 제2 가이드바(26)는 회전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바(16)도 동일한 방식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제2 홀더 및 제2 연결바, 그리고 제2 가이드바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제2 홀더 및 제2 연결바, 그리고 제2 가이드바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이하의 설명은 제1 홀더 및 제1 연결바, 그리고 제1 가이드바에 대하여 대체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다만 제1 홀더 및 제1 연결바, 그리고 제1 가이드바는 제2 홀더 및 제2 연결바, 그리고 제2 가이드바와 상부케이스(34) 및 하부케이스(32)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룬다. 따라서, 제1 홀더 및 제1 연결바, 그리고 제1 가이드바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홀더(22)는 지면과 대체로 나란한 상태 또는 지면으로부터 약간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며, 이때, 제2 문합링(R2)은 제2 홀더(22)의 개방된 단부를 통해 제2 홀더(22)에 고정될 수 있다('해제위치'). 제2 가이드바(26)는 제2 전방로드(26a) 및 제2 후방로드(26c), 그리고 제2 전방로드(26a)와 제2 후방로드(26c)를 연결하는 제2 연결로드(26b)를 구비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종동바(24)는 제2 후방로드(26c)와 동일한 회전축(또는 중심축)을 가지므로, 제2 후방로드(26c)의 회전시 동일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 종동바(24)는 제2 전방칼라(collar)(28a) 및 제2 후방칼라(28b)를 구비하며, 제2 전방칼라(28a)와 제2 후방칼라(28b) 사이에는 이격된 공간이 형성된다. 도 2에 도시한 전방벽(36)은 제2 전방칼라(28a)와 제2 후방칼라(28b)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에 삽입되며, 제2 전방칼라(28a) 및 제2 후방칼라(28b)는 전방벽(36)의 전후에 각각 위치하여 제2 종동바(24)가 전후로 유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따라서, 제2 종동바(24)는 전방벽(36) 상에서 회전 및 이동할 수 있다.
제2 전방로드(26a)는 회전축으로부터 편심되도록 위치하며, 제2 홀더(22)가 해제위치에 있을 때, 제2 전방로드(26a)의 하부면은 하부를 향해 일정 거리(d) 만큼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후방로드(26c)는 제2 가이드그루브(27a,27b)를 가지며(2개의 제2 가이드그루브(27a,27b)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180°회전대칭을 이루며, 각각 제2 하부가이드돌기(46b) 및 제2 상부가이드돌기(48b)에 대응됨), 제2 가이드그루브(27a,27b)는 제2 이동그루브(27a) 및 제2 회전그루브(27b)를 가진다. 제2 이동그루브(27a)는 제2 후방로드(26c)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되며, 제2 회전그루브(27b)는 제2 이동그루브(27a)의 후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제2 후방로드(26c)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 모양으로 형성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회전그루브(27b)는 제2 후방로드(26c)의 전방을 향해 시계방향으로 감기는 형상이며, 제2 회전그루브(27b)는 후단으로부터 전단에 이르기까지 회전축(또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정한 위상(θ)을 가진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하부가이드돌기(46b) 및 제2 상부가이드돌기(48b)는 제2 가이드그루브(27a,27b)에 삽입되며, 앞서 설명한 회전구동체(42,44)가 전후로 이동함에 따라 제2 하부가이드돌기(46b) 및 제2 상부가이드돌기(48b)는 제2 가이드그루브(27a,27b)를 따라 이동한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제2 가이드바(26)의 회전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홀더(22)가 대기위치에 놓여진 상태에서, 제2 하부가이드돌기(46b) 및 제2 상부가이드돌기(48b)는 제2 회전그루브(27b)의 후단에 위치한다.
이후, 회전구동체(42,44)가 전진함에 따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하부가이드돌기(46b) 및 제2 상부가이드돌기(48b)는 회전구동체(42,44)와 함께 전진하며, 이때, 제2 회전그루브(27b)를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하므로, 제2 후방로드(26c)는 반시계방향(도 5의 좌측에서 보았을 때)으로 회전한다. 이는 제2 하부가이드돌기(46b) 및 제2 상부가이드돌기(48b)가 회전구동체(42,44)에 고정된 상태이며, 제2 회전그루브(27b)(또는 제2 후방로드(26c))의 위치가 제2 하부가이드돌기(46b) 및 제2 상부가이드돌기(48b)에 의해 구속되기 때문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하부가이드돌기(46b) 및 제2 상부가이드돌기(48b)가 제2 회전그루브(27b)의 전단에 위치하면, 제2 후방로드(26c)는 앞서 설명한 위상(θ) 만큼 회전을 완료하며, 도 4에서 해제위치에 위치했던 제2 홀더(22)는 대기위치(또는 이격위치)에 놓인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이동구동체 및 가압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8 및 도 9는 이동구동체의 이동에 따른 제1 및 제2 가이드바의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구동체(62)는 제1 및 제2 이동슬롯(63a,63b)을 가지며, 제1 및 제2 가이드바(16,26)는 제1 및 제2 이동슬롯(63a,63b)에 삽입되어 제1 및 제2 이동슬롯(63a,63b)을 따라 이동한다.
가압바(64)의 후단은 이동구동체(62)에 연결되며, 이동구동체(62)와 함께 이동하여 제1 및 제2 홀더(12,22)에 고정된(또는 제1 및 제2 홀더(12,22)의 이동에 의해 체결된) 제1 및 제2 문합링(R1,R2)을 제1 및 제2 홀더(12,22)로부터 분리해 낸다. 탄성체(64a)(예를 들어, 코일스프링과 같은)는 가압바(64)의 상부에 설치되며, 일단은 이동구동체(62)에 접하고 타단은 상부케이스(32)의 전방벽에 접한다. 탄성체(64a)는 전방을 향해 이동한 이동구동체(62)에 의해 압축되며, 시술이 완료되면 이동구동체(62)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이동구동체(62)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고하여 제1 및 제2 전방로드(16a,26a)의 이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하부가이드돌기(46b) 및 제2 상부가이드돌기(48b)가 제2 회전그루브(27b)의 전단에 위치하면, 제1 및 제2 홀더(12,22)가 대기위치(또는 이격위치)에 놓이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전방로드(16a,26a)의 외측면은 제1 및 제2 후방로드(16c,26c)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며, 제1 및 제2 연결로드(16b,26b)는 전방을 향해 외측경사지도록 배치된다. 이때, 이동구동체(62)의 제1 및 제2 이동슬롯(63a,63b)은 제1 및 제2 후방로드(16c,26c)의 전단에 위치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40)를 밀어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이동구동체(62)는 하부구동체(42)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며, 제1 및 제2 이동슬롯(63a,63b)은 전방을 향해 이동하면서 제1 및 제2 연결로드(16b,26b)의 측면과 제1 및 제2 전방로드(16a,26a)의 측면을 차례로 가압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전방로드(16a,26a)의 전단은 서로를 향해 접근한다(화살표로 표시). 이때, 제1 및 제2 연결로드(16b,26b)는 제1 및 제2 이동슬롯(63a,63b)의 가압에 의해 변형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제1 및 제2 연결로드(16b,26b)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이동구동체(62)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면, 제1 및 제2 전방로드(16a,26a)의 전단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와 달리, 제1 및 제2 전방로드(16a,26a)도 탄성체(elastic body)일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종동바(14,24)의 전단도 서로를 향해 접근하며(화살표로 표시), 제1 및 제2 홀더(12,22)는 제1 및 제2 종동바(14,24)에 의해 서로를 향해 접근한다('근접위치').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1 및 제2 홀더(12,22)에 각각 고정된 제1 및 제2 문합링(R1,R2)은 접근하여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이동구동체(62)에 연결된 가압바(64)는 서로를 향해 이동한 제1 및 제2 홀더(12,22)의 사이를 통해 삽입되며, 제1 및 제2 홀더(12,22)의 이동에 의해 체결된 제1 및 제2 문합링(R1,R2)을 제1 및 제2 홀더(12,22)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체 및 가압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홀더 및 제2 연결바, 그리고 제2 가이드바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는 도 10에 도시한 구동체(162) 및 도 11에 도시한 가이드바(126a,126b,126c)를 통해 변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구별되는 내용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며, 생략된 설명은 앞서 설명한 내용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체(162)는 제1 및 제2 슬롯(163a,163b)을 가진다. 제2 슬롯(163b)의 측면에는 제2 가이드돌기(146)가 형성되며(제1 슬롯의 측면에도 동일한 형태의 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생략함), 제2 가이드돌기(146)는 후술하는 제2 가이드그루브(127a,127b)를 따라 이동하면서 제2 전방로드(126a) 및 제2 후방로드(126c)를 회전시키며, 이로 인해 제2 전방로드(126a) 및 제2 후방로드(126c)는 회전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홀더(122)는 지면과 대체로 나란한 상태 또는 지면으로부터 약간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며, 이때, 제2 문합링(R2)은 제2 홀더(122)의 개방된 단부를 통해 제2 홀더(122)에 고정될 수 있다('해제위치').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종동바(124)는 제2 후방로드(126c)와 동일한 회전축(또는 중심축)을 가지므로, 제2 후방로드(126c)의 회전시 동일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2 종동바(124)는 제2 전방칼라(128a) 및 제2 후방칼라(128b)을 구비한다.
제2 전방로드(126a)는 회전축으로부터 편심되도록 위치하며, 제2 홀더(122)가 해제위치에 있을 때, 제2 전방로드(126a)의 하부면은 하부를 향해 일정 거리(d) 만큼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그루브(127a,127b)는 제2 이동그루브(127a) 및 제2 회전그루브(127b)를 가진다. 제2 이동그루브(127a)는 제2 전방로드(126a)로부터 제2 연결로드(126b)를 거쳐 그리고 제2 후방로드(126c)에 이르도록 형성되며,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홀더(122)가 대기위치(또는 이격위치)에 놓인 상태에서, 제2 이동그루브(127a)는 제2 전방로드(126a) 및 제2 후방로드(126c)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제2 회전그루브(127b)는 제2 후방로드(126c)에 형성되며, 제2 후방로드(126c)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 모양으로 형성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회전그루브(127b)는 제2 이동그루브(127a)의 후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제2 후방로드(126c)의 전방을 향해 시계방향으로 감기는 형상이며,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회전그루브(127b)는 후단으로부터 전단에 이르기까지 회전축(또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정한 위상(θ)을 가진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돌기(146)는 제2 가이드그루브(127a,127b)에 삽입되며, 앞서 설명한 구동체(162)가 전후로 이동함에 따라 제2 가이드돌기(146)는 제2 가이드그루브(127a,127b)를 따라 이동한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제2 전방로드(126a) 및 제2 후방로드(126c)의 회전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설명은 제1 전방로드 및 제1 후방로드에 대하여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방로드 및 제1 후방로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홀더(122)가 대기위치에 놓여진 상태에서, 제2 가이드돌기(146)는 제2 회전그루브(127b)의 후단에 위치한다.
이후, 구동체(162)가 전진함에 따라,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돌기(146)는 구동체(162)와 함께 전진하며, 이때, 제2 회전그루브(127b)를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하므로, 제2 후방로드(126c)는 반시계방향(도 12의 좌측에서 보았을 때)으로 회전한다. 이는 제2 가이드돌기(146)가 구동체(162)에 고정된 상태이며, 제2 회전그루브(127b)(또는 제2 후방로드(126c))의 위치가 제2 가이드돌기(146)에 의해 구속되기 때문이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돌기(146)가 제2 회전그루브(127b)의 전단에 위치하면, 제2 후방로드(126c)는 앞서 설명한 위상(θ) 만큼 회전을 완료하며, 도 11에서 해제위치에 위치했던 제2 홀더(122)는 대기위치(또는 이격위치)에 놓인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합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합장치는 제1 및 제2 홀더(212,222)를 구비하며, 제1 및 제2 홀더(212,222)는 'U'자 형상을 가진다.
문합장치는 제1 및 제2 홀더(212,222)에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 종동바(214,224)와 제1 및 제2 종동바(214,224)에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 가이드바(216,226)를 더 포함한다. 제1 및 제2 가이드바(216,226)는 후술하는 구동체(262)에 의해 회전 및 이동이 가능하다. 제1 및 제2 종동바(214,224)는 제1 및 제2 가이드바(216,226)의 회전 및 이동에 의해 구동되어 제1 및 제2 가이드바(216,226)와 함께 회전 및 이동하며, 이로 인해 제1 및 제2 홀더(212,222)는 회전 및 이동할 수 있다.
문합장치는 하부케이스(234)를 더 포함하며, 하부케이스(234)는 제1 및 제2 가이드바(216,226)의 하부에 위치한다. 제1 및 제2 가이드바(216,226)는 하부케이스(234)에 의해 제공된 내부공간에 실장된다.
문합장치는 구동체(262) 및 가압바(264)를 더 포함하며, 구동체(262)는 하부케이스(234)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한다. 구동체(262)는 후술하는 레버(240)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며, 제1 및 제2 가이드바(216,226)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제1 및 제2 가이드바(216,226)를 회전시키거나 서로를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
문합장치는 구동축(241) 및 레버(240)를 더 포함하며, 구동축(241)의 후단은 레버(240)에 연결되어 레버(240)와 함께 회전한다. 구동축(241)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홈(241a)을 가지며, 구동체(262)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262a)에 체결된다. 따라서, 시술자는 레버(40)를 돌려 구동축(241)을 회전시킴으로써 구동체(262)를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한 구동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체(262)는 중간벽(261)에 의해 구획된 제1 및 제2 슬롯(262a,262b)을 가지며, 앞서 설명한 제1 및 제2 가이드바(216,226)는 제1 및 제2 슬롯(262a,262b)을 따라 이동한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가이드돌기(266a, 266b)는 제1 및 제2 슬롯(262a,262b) 상에 형성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가이드돌기(266a)는 제1 가이드그루브(217a,217b,217c,217d)를 따라 이동하면서 제1 가이드바(216)를 회전시키거나 이동시킨다(제2 가이드돌기(266b)도 동일함).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한 제1 홀더 및 제1 연결바, 그리고 제1 가이드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7 및 도 18은 구동체의 이동에 따른 제1 및 제2 가이드바의 이동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홀더(212)는 지면과 대체로 나란한 상태 또는 지면으로부터 약간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며, 이때, 제1 문합링(R1)은 제1 홀더(212)의 개방된 단부를 통해 제1 홀더(212)에 고정될 수 있다('해제위치').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종동바(214)는 제2 후방로드(216c)와 동일한 회전축(또는 중심축)을 가지므로, 제1 후방로드(216c)의 회전시 동일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전방로드(216a)는 회전축으로부터 편심되도록 위치하며,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홀더(212)가 대기위치(또는 이격위치)에 있을 때, 제1 전방로드(216a)의 외측면은 외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그루브(217a,217b,217c,217d)는 제1 이동그루브(217a,217b,217c) 및 제1 회전그루브(217d)를 가진다. 제1 이동그루브(217a,217b,217c)는 제1 전방로드(216a)로부터 제1 연결로드(216b)를 거쳐 그리고 제1 후방로드(216c)에 이르도록 형성되며,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전방로드(216a) 및 제1 연결로드(216b), 그리고 제1 후방로드(216c)에 각각 형성된 제1 이동그루브(217a,217b,217c)는 제1 전방로드(216a) 및 제1 연결로드(216b), 그리고 제1 후방로드(216c)와 각각 대체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제1 회전그루브(217d)는 제2 후방로드(126c)에 형성되며, 제1 이동그루브(217a,217b,217c)의 후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제2 후방로드(126c)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 모양으로 형성된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회전그루브(217d)는 제1 후방로드(216c)의 전방을 향해 반시계방향으로 감기는 형상이며,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회전그루브(217d)는 후단으로부터 전단에 이르기까지 회전축(또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정한 위상(θ)을 가진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돌기(266a)는 제1 가이드그루브(217a,217b,217c,217d)에 삽입되며, 앞서 설명한 구동체(262)가 전후로 이동함에 따라 제1 가이드돌기(266a)는 제1 가이드그루브(217a,217b,217c,217d)를 따라 이동한다.
이하, 도 17 및 도 18을 참고하여 제1 가이드바(216)의 회전방식 및 이동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설명은 제2 가이드바(226)에 대하여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가이드바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홀더(212)가 대기위치에 놓여진 상태에서, 제1 가이드돌기(266a)는 제1 회전그루브(217d)의 후단에 위치한다.
이후, 구동체(262)가 전진함에 따라,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돌기(266a)는 구동체(262)와 함께 전진하며, 이때, 제1 회전그루브(217d)를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하므로, 제1 후방로드(216c)는 반시계방향(제1 후방로드(216c)의 후단쪽에서 보았을 때)으로 회전한다. 이는 제1 가이드돌기(266a)가 구동체(262)에 고정된 상태이며, 제1 회전그루브(217d)(또는 제1 후방로드(216c))의 위치가 제1 가이드돌기(266a)에 의해 구속되기 때문이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돌기(266a)가 제1 회전그루브(217d)의 전단에 위치하면, 제1 후방로드(216c)는 앞서 설명한 위상(θ) 만큼 회전을 완료하며, 도 17에서 해제위치에 위치했던 제1 홀더(212)는 대기위치(또는 이격위치)에 놓인다.
이후, 구동체(262)가 계속하여 전진함에 따라, 제1 가이드돌기(266a)는 제1 이동그루브(217c,217b,217a)를 따라 차례로 이동한다. 이때, 제1 이동그루브(217c,217b,217a)(또는 제1 연결로드(216b) 및 제1 전방로드(216a))의 위치는 제1 가이드돌기(266a)에 의해 구속되므로, 앞서 도 9에 대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전방로드(216a)는 제2 전방로드(216b)를 향해 접근하며, 제1 가이드바(216) 및 제1 종동바(214)는 제2 가이드바(226) 및 제2 종동바(224)를 향해 접근한다.
도 19는 도 14에 도시한 구동체 및 구동축, 그리고 레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추(250)는 구동축(241) 상에 설치되며, 하부케이스(234) 상에 설치되어 하부케이스(234) 상에서 회전하되, 전후진은 하부케이스(234)에 의해 제한된다. 구동축(241)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홈(241a)을 가지며, 구동체(262)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262a)에 체결된다. 따라서, 시술자가 레버(40)를 돌려 구동축(241)을 회전시키면, 회전추(250)에 의해 구동축(241)의 전후진이 제한된 상태에서 구동체(262)를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2는 레버의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는 레버(40)를 밀어 회전구동체(42,44)를 전진시키거나(도 2), 레버(240)를 회전시켜 구동체(262)를 전진시키는 방법을 채택하였다. 그러나, 이와 다른 방법을 통해 구동체를 전진시킬 수 있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234)에 손잡이(234a)를 설치하고 손잡이(234a)의 전방에 트리거(240)를 설치할 수 있다. 트리거(240)는 하부케이스(234)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며, 트리거(240)의 일단은 링크(240a)에 의해 구동체(262)에 연결될 수 있다.
시술자가 손잡이(234a)를 감싸 쥔 상태에서 트리거(240)를 당기면, 트리거(240)가 회전하면서 링크(240a)에 의해 구동체(262)를 전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트리거 방식은 지렛대의 원리를 통해 작은 힘으로도 큰 힘을 얻을 수 있으므로, 시술자의 과도한 힘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리거(240)의 일단에 가압부재(예를 들어, 고무와 같은)(240c)를 설치하고, 트리거(240)를 당겼을 때 가압부재(240c)에 의해 구동체(262)의 후단을 직접 가압함으로써 구동체(262)를 전진시킬 수 있다.
이때, 하부케이스(234)의 상부에 제공된 상부케이스(232)는 트리거(240)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둘레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홀들(231)을 가질 수 있으며, 트리거(240)에 돌출되도록 설치된 스토퍼(240b)가 고정홀들(231)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삽입됨으로써 트리거(24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문합과정에서 구동체(262)의 전진을 일시적으로 중단하여 문합을 중단한다거나, 구동체(262)가 일시적으로 후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토퍼(240b)는 트리거(240)에 제공된 안전레버(240d)를 통해 제어할 수 있으며, 안전레버(240d)를 눌러 스토퍼(240b)를 고정홀(231)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또한,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234)에 복수의 트리거들(440)을 힌지(H)를 통해 회전가능하도록 고정설치하고, 트리거들(441,442)에 각각 연결된 링크들(443,444)을 보조링크들(445,446)을 통해 구동체(262)에 각각 연결할 수 있다. 시술자는 트리거들(440)을 움켜쥠으로써 링크들(443,444) 및 보조링크들(445,446)의 회전에 의해 구동체(262)를 전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12,22 : 홀더 14,24 : 종동바
16,26 : 가이드바 17,27 : 가이드그루브
32,34 : 케이스 40 : 레버
42,44 : 회전동체 42a,42b : 하부회전슬롯
43 : 하부중간벽 44a,44b : 상부회전슬롯
45 : 상부중간벽 46a,46b : 하부가이드돌기
48a,48b : 상부가이드돌기 64 : 가압바

Claims (14)

  1. 제1 문합링이 고정되는 제1 헤드;
    제2 문합링이 고정되는 제2 헤드;
    상기 제1 헤드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문합링이 상부를 향하는 해제위치와 상기 제1 및 제2 문합링이 서로 마주보는 대기위치로 전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태로 형성되는 제1 회전그루브를 가지는 제1 가이드바;
    상기 제2 헤드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문합링이 상부를 향하는 해제위치와 상기 제1 및 제2 문합링이 서로 마주보는 대기위치로 전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태로 형성되는 제2 회전그루브를 가지는 제2 가이드바; 및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바와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1 및 제2 회전그루브를 따라 각각 이동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돌기를 가지는 회전구동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돌기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회전그루브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바는 상기 대기위치 및 상기 해제위치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체는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바의 후단부가 각각 삽입되는 제1 및 제2 회전슬롯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돌기는 상기 제1 및 제2 회전슬롯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회전그루브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바는 나란한 제1 전방로드 및 제1 후방로드, 그리고 상기 제1 전방로드와 상기 제1 후방로드를 연결하는 제1 연결로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가이드바는 나란한 제2 전방로드 및 제2 후방로드, 그리고 상기 제2 전방로드와 상기 제2 후방로드를 연결하는 제2 연결로드를 구비하되,
    상기 문합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바가 삽입되는 제1 및 제2 가압슬롯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연결로드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 헤드가 접근하여 상기 제1 및 제2 문합링이 서로 체결되는 근접위치 및 상기 제1 및 제2 헤드가 이격되어 상기 제1 및 제2 문합링이 서로 분리되는 이격위치로 전환시키는 이동구동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방로드는 상기 제1 헤드와 동일한 제1 회전축을 가지고, 상기 제1 전방로드는 상기 제1 회전축으로부터 편심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제2 후방로드는 상기 제2 헤드와 동일한 제2 회전축을 가지고, 상기 제2 전방로드는 상기 제2 회전축으로부터 편심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로드는 상기 제1 가이드바가 상기 대기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전방로드를 향해 외측경사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연결로드는 상기 제2 가이드바가 상기 대기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전방로드를 향해 외측경사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방로드는 상기 제1 회전그루브 및 상기 제1 회전그루브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후방로드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제1 이동그루브를 가지며,
    상기 제2 후방로드는 상기 제2 회전그루브 및 상기 제2 회전그루브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후방로드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제2 이동그루브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그루브 및 상기 제1 이동그루브의 길이는 상기 회전구동체 및 상기 이동구동체의 이동거리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구동체는 상기 제1 및 제2 헤드에 고정된 제1 및 제2 문합링을 상기 제1 및 제2 헤드로부터 분리하는 가압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로드는 탄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바는 나란한 제1 전방로드 및 제1 후방로드, 그리고 상기 제1 전방로드와 상기 제1 후방로드를 연결하는 제1 연결로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가이드바는 나란한 제2 전방로드 및 제2 후방로드, 그리고 상기 제2 전방로드와 상기 제2 후방로드를 연결하는 제2 연결로드를 구비하되,
    상기 회전구동체는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바가 각각 삽입되며 상기 제1 및 제2 회전그루브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돌기가 설치되는 제1 및 제2 회전슬롯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구동체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로드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 헤드가 접근하여 상기 제1 및 제2 문합링이 서로 체결되는 근접위치 및 상기 제1 및 제2 헤드가 이격되어 상기 제1 및 제2 문합링이 서로 분리되는 이격위치로 전환시키는 이동구동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방로드는 상기 제1 헤드와 동일한 제1 회전축을 가지고, 상기 제1 전방로드는 상기 제1 회전축으로부터 편심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제2 후방로드는 상기 제2 헤드와 동일한 제2 회전축을 가지고, 상기 제2 전방로드는 상기 제2 회전축으로부터 편심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바는 상기 제1 회전그루브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 회전축과 나란한 제1 이동그루브를 가지며,
    상기 제2 가이드바는 상기 제2 회전그루브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2 회전축과 나란한 제2 이동그루브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로드는 상기 제1 가이드바가 상기 대기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전방로드를 향해 외측경사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연결로드는 상기 제2 가이드바가 상기 대기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전방로드를 향해 외측경사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바는 상기 제1 회전그루브로부터 연장되는 제1 이동그루브를 가지고,
    상기 제2 가이드바는 상기 제2 회전그루브로부터 연장되는 제2 이동그루브를 가지며,
    상기 제1 이동그루브는 상기 제1 전방로드와 나란한 제1 전방그루브 및 상기 제1 연결로드와 나란한 제1 연결그루브, 그리고 상기 제1 후방로드와 나란한 제1 후방그루브를 가지고,
    상기 제2 이동그루브는 상기 제2 전방로드와 나란한 제2 전방그루브 및 상기 제2 연결로드와 나란한 제2 연결그루브, 그리고 상기 제2 후방로드와 나란한 제2 후방그루브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장치.
KR1020100060286A 2010-06-25 2010-06-25 슬롯 구동 방식의 문합장치 KR101002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286A KR101002239B1 (ko) 2010-06-25 2010-06-25 슬롯 구동 방식의 문합장치
US13/093,065 US8777970B2 (en) 2010-06-25 2011-04-25 Slot drive type anastomosis device
EP11169469.1A EP2399529A3 (en) 2010-06-25 2011-06-10 Slot drive type anastomosis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286A KR101002239B1 (ko) 2010-06-25 2010-06-25 슬롯 구동 방식의 문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2239B1 true KR101002239B1 (ko) 2010-12-21

Family

ID=43513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0286A KR101002239B1 (ko) 2010-06-25 2010-06-25 슬롯 구동 방식의 문합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777970B2 (ko)
EP (1) EP2399529A3 (ko)
KR (1) KR1010022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10140A1 (en) * 2009-10-30 2013-05-02 National Yang-Ming University Anastomosis system
US20200205834A1 (en) * 2019-01-02 2020-07-02 Covidien Lp End-to-end anastomosis instrument and method
US20220000482A1 (en) 2019-05-07 2022-01-06 Easyflomicro Inc. Apparatuses for anastomosis of tubular vessels and related method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42495A2 (en) 2006-04-06 2007-10-10 Synovis Life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ssembly for anastomonsi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308169B (ko) * 1961-12-26 1969-02-03 J Healey
US3316914A (en) * 1963-02-14 1967-05-02 Michael B Collito Surgical methods and devices for anastomosis
SE431609B (sv) * 1982-06-24 1984-02-20 Unilink Ab Kirurgiskt instrument for astadkommande av anastomos och festelement herfor
US4917091A (en) * 1982-06-24 1990-04-17 Unilink Ab Annular fastening means
US4607637A (en) * 1983-07-22 1986-08-26 Anders Berggren Surgical instrument for performing anastomosis with the aid of ring-like fastening elements and the fastening elemen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US4635636A (en) * 1985-06-18 1987-01-13 Cornell Research Foundation, Inc. Microspike surgical approximator
US6514263B1 (en) * 2000-08-30 2003-02-04 Ethicon Endo-Surgery, Inc. Helical needle and suture combination having a strain relief element
EP1469781B1 (en) * 2002-01-09 2016-06-29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Apparatus for endoscopic colectomy
US6905504B1 (en) * 2002-02-26 2005-06-14 Cardica, Inc. Tool for performing end-to-end anastomosis
KR100982581B1 (ko) 2008-08-12 2010-09-16 (주)트리플씨메디칼 회전병진이동방식의 관상기관 문합장치
KR101001625B1 (ko) 2008-08-13 2010-12-17 (주)트리플씨메디칼 기어식 관상기관 문합장치
KR100995794B1 (ko) 2008-09-25 2010-11-22 (주)트리플씨메디칼 구동기어들을 구비하는 관상기관 문합장치
KR20100060286A (ko) 2008-11-27 2010-06-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대쉬패널 보강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42495A2 (en) 2006-04-06 2007-10-10 Synovis Life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ssembly for anastomons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319916A1 (en) 2011-12-29
EP2399529A3 (en) 2013-06-12
EP2399529A2 (en) 2011-12-28
US8777970B2 (en) 2014-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75664C2 (ru) Шарнирно поворачиваемые хирургические инструменты с отдельными и отличающимися закрывающей и пусковой системами
RU2577762C2 (ru) Хирургический инструмент с избирательно шарнирно поворачиваемым концевым эффектом
US10835254B2 (en) Powered surgical circular stapler
RU2497467C2 (ru) Хирургический инструмент, одноразовый загрузочный модуль и узел кожуха хирургического инструмента и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хирургического инструмента
RU2709134C2 (ru) Узел хирургического инструмента, содержащий системы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блокировки
US9782164B2 (en) Suturing instrument with multi-mode cartridges
US8398566B2 (en) Biopsy needles
RU2600203C2 (ru) Хирургические инструменты с шарнирным и вращающимся концевым эффектором
JP2019502464A (ja) 係止並進可能なピンを備えた外科用ステープラ
KR102649259B1 (ko) 복강경 봉합 시스템
EP2522282A1 (en) Surgical stapling and cutting instrument with articulatable end effector
CN105078533A (zh) 手术仪器
US20130245676A1 (en) Surgical Instrument with Articulation Mechanism
JP2013220350A (ja) 2ストローク発射シーケンスを利用する輪状吻合ステープル留め装置
US20160367240A1 (en) Barbed suture dispenser
JP2016509890A (ja) 再使用可能構成要素を有する外科手術用ステープル留め装置
KR101002239B1 (ko) 슬롯 구동 방식의 문합장치
JP2009045450A (ja) 柔軟な駆動機構を備えた外科用器具
JP2011025029A (ja) 曲線の組織接触表面を有する外科用器具
EP2170174A1 (en) Apparatus for stapling and incising tissue
US11819212B2 (en) Staple forming features for circular surgical stapler
TWI401057B (zh) 吻合環施用器之螺桿梢控制
KR20120026678A (ko) 슬롯 구동 방식의 문합장치
RU2720296C2 (ru) Хирургические концевые эффекторы с закрывающими элементами для браншей с кулачковым приводом двойного действия
US9867608B1 (en) Suturing instrument with circular needle mo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