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2150B1 - 이동통신 단말 간의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 간의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2150B1
KR101002150B1 KR20080083417A KR20080083417A KR101002150B1 KR 101002150 B1 KR101002150 B1 KR 101002150B1 KR 20080083417 A KR20080083417 A KR 20080083417A KR 20080083417 A KR20080083417 A KR 20080083417A KR 101002150 B1 KR101002150 B1 KR 101002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terminal
messaging service
service
calle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83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4728A (ko
Inventor
남광호
김민
김성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20080083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2150B1/ko
Publication of KR20100024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4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2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215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 간의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간의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메시징 서비스를 통해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발신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발신 메시지에 포함된 착신자 정보를 통해 착신 단말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 결과 착신 단말이 메시징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발신 메시지를 착신 단말이 인식 가능한 메시지로 변환하는 단계와, 변환된 발신 메시지를 착신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IM 서비스를 통해 발신된 발신 메시지의 착신 단말이 IM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이를 SMS/MMS 등 문자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연동시킴으로써 IM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단말과 IM 서비스 지원 단말 간의 메시지 교환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MS(IP Multimedia Subsystem), IM(Instant Messaging) 서비스, 메신저, 메시지 연동, SMS, MMS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 간의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STANT MESSAGING SERVICE BETWEEN MOBILE TERMINALS}
본 발명은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 간의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무선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사용자 간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다양한 기술이 제공되고 있다. 대표적인 메시지 전달 기술로서 이메일이나 휴대폰의 문자메시지 서비스를 들 수 있는데, 이러한 이메일 또는 문자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전달되는 메시지는 메일 또는 문자를 받은 상대방이 이를 열어보기 전에는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없고, 상대방이 메시지 내용을 확인한 후 그에 대한 회신을 보내는 방식이므로 비실시간으로 메시지가 교환되는 특징이 있다.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는 이와 달리 온라인 상태에 있는 사용자와 즉각적으로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는 서비스로서, 실시간으로 편리하게 메시지 교환이 가능하여 일상 생활 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이동통신 분야에서는 최근에 IMS(IP Multimedia Subsystem)에 기반한 IM(Instant Messaging) 서비스가 개발되어 상용 서비스 중에 있다. IM 서비스는 기존의 개인용 컴퓨터에서 사용되던 인스턴트 메신저를 모바일용으로 컨버전 되었던 메신저와는 달리 이동통신 단말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로서 이동통신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라면 누구든지 간에 실시간으로 대화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제공되는 메시징 서비스이다. 이는 현재 '폰메신저' 등의 이름으로 각 이동통신사에 의해 제공되고 있으며, 향후에는 각 이동통신사의 IM 메신저가 하나로 통합되어 제공될 예정이다. 이러한 IM 서비스는 IMS를 기반으로 하여 동작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는 IMS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에서만 IM 서비스가 이용 가능하다.
한편 IMS를 지원하지 않는 비 IMS 지원 단말의 경우, 다시 두 가지 종류의 단말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플랫폼 기반(예를 들면, WIPI)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IM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한 단말이고, 다른 하나는 이러한 플랫폼도 탑재되지 않아서 SMS/MMS 등의 문자메시지 서비스만이 가능한 단말이다. 전자의 경우에는 플랫폼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IMS 지원 단말과의 IM 서비스를 통한 메시지 교환이 가능하지만, 후자의 경우에는 IM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IMS 지원 단말에서 IM 서비스를 통해 보내온 메시지를 볼 수 없다. 따라서 후자의 경우 SMS/MMS가 아닌 IM 서비스를 통한 메시지 교환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IM 서비스를 통해 발신된 발신 메시지의 착신 단말이 IM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이를 SMS/MMS 등 문자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연동시킴으로써 IM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단말과 IM 서비스 지원 단말 간의 메시지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IM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단말에까지 IMS 기반의 IM 서비스를 제공하여 대부분의 사용자로 하여금 IM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IMS 기반의 서비스 확대에 기여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간의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시징 서비스를 통해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발신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 메시지에 포함된 착신자 정보를 통해 착신 단말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착신 단말이 상기 메시징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발신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이 인식 가능한 메시지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된 발신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간의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시징 서비스를 통해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발신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송수신부와, 상기 발신 메시지에 포함된 착신자 정보를 이용하여 착신 단말의 종류를 확인하는 메시지 확인부와,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착신 단말이 상기 메시징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발신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이 인식 가능한 메시지로 변환하는 메시지 변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시지 송수신부는 상기 변환된 발신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IM 서비스를 통해 발신된 발신 메시지의 착신 단말이 IM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이를 SMS/MMS 등 문자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연동시킴으로써 IM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단말과 IM 서비스 지원 단말 간의 메시지 교환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IM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단말에까지 IMS 기반의 IM 서비스를 제공하여 대부분의 사용자로 하여금 IM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IMS 기반의 서비스 확대에 기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개인휴대통신단말기(PCS), 개인용디지털단말기(PDA), 스마트폰, 차세대이동통신단말기(IMT-2000) 등과 같이 개인이 휴대하면서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메시지는 SMS(Short Message Service), EMS(Enhanced Messaging Service),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등에서 사용되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의미의 용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망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발신 단말(10a)은 IMS 기반의 단말로서 IM 서비스를 지원하며, 이에 따른 메신저(예를 들면, KTF의 폰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이다. 발신 단말(10a)은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메시지를 착신 단말(10b, 10c)에 전송하여 메시지를 교환하고자 한다. 여기서 착신 단말(10b)은 IMS 단말로서 발신 단말(10a)과 같 이 IM 서비스가 제공되며, 다른 착신 단말(10c)은 IMS 기반이 아닌 비 IMS 단말이다. 본 발명에 의한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은 발신 단말(10a)이 IM 서비스를 통해 보낸 발신 메시지의 착신 단말이 비 IMS단말(10c)일 경우, 이 발신 단말(10a)과 착신 단말(10c) 간의 메시지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발신 단말(10a)에서 발신된 발신 메시지는 IMS 인에이블러(IMS Enabler, 100)에 전달된다. IMS 인에이블러(100)는 3GPP/ 3GPP2/ ITU등의 IMS 인프라를 이용하여 다양한 응용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인에이블러로서, IETF, 3GPP, OMA등에서 표준화된 규격을 제공한다. IMS 인에이블러(100)는 IMS 기반의 메시징 기능, 프레즌스(Presence) 서비스, XDMS 기능 등을 제공한다.
IMS 인에이블러(100)에 전달된 발신 메시지는 다시 SCIM(Service Capability Interaction Manager, 102)로 전달된다. SCIM(102)은 IMS 아키텍처 내에서 어플리케이션 서버 플랫폼 사이의 서비스 전달을 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SCIM(102)은 IMS 표준 장비로서 SIP 중개자(broker) 역할, 즉, 다른 장치로부터 전달된 SIP 메시지를 IMS 인에이블러(100)로 또는 그 반대로 라우팅 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도 1에서 SCIM(102)에는 메시지 라우팅 로직이 존재하는데, 이 로직은 IMS 인에이블러(100)로부터 전달된 발신 메시지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 발신 메시지의 착신 단말(10b, 10c)이 IMS 지원 단말인지 아닌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착신 단말(10b)이 IMS 지원 단말인 경우 SCIM(102)은 발신 메시지를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104)로 전달하고, 양 단말(10a, 10b)이 모두 IMS 지원 단말로서 IM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므로 일반적인 IM 서비스 절차에 따른 메시지 교환이 일어 나게 된다. CSCF(104)는 단말기 사용자가 SIP 프로토콜을 통해 ICDS에 접속하여 개인화된 컨텐츠를 제공받을 때, 인입호 관문, 호 제어, 서빙 프로파일 관리 및 주소 처리 기능 등을 수행한다. CSCF(104)는 프락시와 사용자 에이전트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컨텐츠 사용자가 IMS 망에 접속하는 첫 포인트 지점인 P-CSCF(Proxy CSCF), 레지스트 역할을 하며 등록된 종점의 세션을 제어하는 S-CSCF(Serving CSCF) 및 S-CSCF를 컨텐츠 사용자가 실행하는 SIP 등록에 할당하는 I-CSCF(Interrogating CSCF)를 가지며, 이와 관련된 사항은 이미 알려진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만약 착신 단말(10c)이 IMS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SCIM(102)은 발신 메시지를 본 발명에 의한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106)로 전달하게 된다.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106)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메시지 송수신부(106a), 메시지 확인부(106b) 및 메시지 변환부(106c)를 포함한다. SCIM(102)에 의해 전달된 발신 메시지는 우선 메시지 송수신부(106a)를 통하여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106)로 수신된다. 그 다음, 메시지 확인부(106b)는 발신 메시지에 포함된 착신자 정보를 이용하여 착신 단말의 종류를 확인하게 된다. 여기서 착신 단말의 종류란 착신 단말이 발신 단말의 메시징 서비스, 예를 들어 IMS에 기반한 IM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인지 그렇지 않은 단말인지를 뜻하는 것이다.
메시지 확인부(106b)의 착신 단말 종류 확인 결과, 착신 단말(10c)이 발신 단말(10a)의 메시징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메시지 변환부(106c)는 발신 메시지를 착신 단말(10c)이 인식 가능한 메시지로 변환하게 된다. 발신 메시지를 변 환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신 메시지에는 발신 단말(10a)의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 발신 단말(10a)의 전화번호에 발신 메시지가 상기 메시징 서비스를 통해 발신되었음을 나타내는 변환 표시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IMS를 지원하지 않는 착신 단말(10c)의 경우 IM 서비스에 의한 메시지 교환은 불가하나, SMS 또는 MMS와 같은 문자메시지 서비스는 가능하다. 따라서 발신 단말(10a)이 IM 서비스를 통해 발신한 발신 메시지를 착신 단말(10c)이 인식 가능한 SMS 또는 MMS 메시지로 변환하여 착신 단말(10c)에 전송하는 것이다. 이 때, 발신 메시지에 포함된 발신 단말의 전화번호를 그대로 착신 단말(10c)로 보내게 되면, 착신 단말(10c)의 사용자가 이 발신 메시지를 보고 그에 대해 회신 메시지를 보내게 될 경우 발신 단말(10a)의 IM 서비스가 아닌 SMS 또는 MMS 서비스를 통해 회신 메시지가 전송될 것이다. 따라서 발신 메시지에 포함된 발신자 전화번호에 변환 표시 정보를 부가하여 착신 단말(10c) 사용자가 회신시 SMS 또는 MMS 서비스가 아닌 IM 서비스를 거쳐서 회신 메시지를 발신 단말(10a)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만약 발신 단말(10a)의 전화번호가 "010-555-5555"라면, 메시지 변환부(106c)는 이 전화번호를 "#특번*param1*param2*전화번호" 와 같은 형식으로 변환한다. 예를 들면 "#12345*5678987*9393*010-555-5555" 와 같은 식이다. 여기서 특번은 이 발신 메시지가 일반 SMS 또는 MMS가 아닌 IM 서비스에 의해 전송된 메시지임을 뜻한다. 따라서 착신 단말(10c) 사용자가 이 발신 메시지에 대해 그대로 회신 메시지를 보낼 경우, 이 특번에 의하여 회신 메시지는 SMS 또는 MMS 시스템(108)에 보내져 그대로 SMS 또는 MMS로 전송되는 것이 아니라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106)를 거쳐 IM 서비스를 통해 발신 단말(10a)로 전송되는 것이다. 또한 param1, param2와 같은 파라메터들은 IM 서비스에서 발신 단말(10a)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던 대화 세션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이 세션 정보를 통해 회신 메시지가 해당 대화 세션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렇게 변환 표시 정보에 의해 변환된 발신 메시지는 메시지 송수신부(106a)를 통하여 착신 단말(10c)에 전송된다. 메시지 송수신부(106a)는 변환된 발신 메시지를 SMS/MMS 시스템(108)로 전송하고 SMS/MMS 시스템(108)은 별도의 SMS/MMS 처리 과정을 거쳐 변환된 발신 메시지를 착신 단말(10c)에 전송하게 된다.
한편, 비 IMS 단말의 경우에도 WIPI 등의 플랫폼에 의하여 IM 서비스가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는 단말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메시지 확인부(106b)의 착신 단말 종류 확인 후 착신 단말(10c)에 IM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이 명령 메시지에 의하여 착신 단말(10c)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를 위한 안내 페이지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발신 메시지를 수신한다(200). 이 발신 메시지는 소정의 메시징 서비스, 예를 들면 IMS에 의한 IM 서비스를 통하여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것이다. 발신 메시지를 수신한 후, 발신 메시지에 포함된 착신 단말의 정보를 확인하고, 이 정보를 통하여 착신 단말의 종류를 확인한다(202). 이 확인 단계는 착신 단말이 IMS에 의한 IM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인지, 지원하지 않는 단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단계 202의 확인 결과를 통해 착신 단말이 상기 메시징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확인한다(204). 만약 착신 단말이 상기 메시징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인 경우에는 상기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 메시지를 착신 단말에 전송한다(206). 이 실행 명령에 의하여 착신 단말은 상기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예를 들면 폰메신저를 실행하거나, 착신 단말에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를 위한 안내 페이지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단계 204에서 착신 단말이 상기 메시징 서비스를 지원하는 경우에는, 먼저 발신 메시지를 착신 단말이 인식 가능한 메시지로 변환하는 단계를 수행한다(208). 이 발신 메시지 변환 단계는 여러가지 방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발신 메시지에 포함된 발신자 전화번호에 특수한 식별자로 이루어진 변환 표시 정보를 부가하는 방법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앞에서 언급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208을 통하여 발신 메시지를 변환한 후에는 이 변환된 발신 메시지를 착신 단말에 전송한다. 이 또한 여러가지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착신 단말이 인식 가능한 SMS 또는 MMS 시스템을 통하여 변환된 발신 메시지를 착신 단말에 전송하는 것이다. 이로써 소정의 메시징 서비 스, 예를 들면 IM 서비스에 의해 발신 단말에서 보내진 발신 메시지는 IM 서비스가 불가능한 착신 단말에서 SMS 또는 MMS 등의 문자메시지 형태로 보여지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해 전송된 발신 메시지에 대한 회신 메시지를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해 발신 메시지를 전송받은 착신 단말의 사용자는 이 발신 메시지에 대한 회신 메시지를 작성하고 이를 그대로 전송할 것이다. 이 때, 착신 단말 사용자는 SMS 또는 MMS 등으로 변환된 문자 메시지 형태의 발신 메시지를 받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회신 메시지 또한 SMS나 MMS의 형태로 보내질 것이다. 따라서 먼저 이 착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회신 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300).
회신 메시지 수신 후, 이를 다시 발신 메시지에서 인식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수신된 회신 메시지를 발신 단말의 메시징 서비스를 통해 인식 가능한 메시지로 변환한다(302). 이는 도 1을 통해 설명한 특번 및 대화 세션 정보 등의 변환 표시 정보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변환된 회신 메시지를 발신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IM 서비스를 지원하는 발신 단말과 IM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착신 단말 간의 메시지 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발신 단말에서는 IM 서비스를 통해 발신 메시지를 착신 단말에 전송한다(400). 그러면, IM 서비스를 처리하는 IM 인에이블러에서 이 발신 메시지를 수신 하게 되고, IM 인에이블러는 이를 SCIM으로 전송한다(402). SCIM에 포함된 메시지 라우팅 로직은 발신 메시지 내에 포함된 착신자 정보를 분석하여 착신 단말이 IMS 를 지원하는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404). 만약 착신 단말이 IMS를 지원하는 경우라면 당연히 IM 서비스를 지원하므로 SCIM은 발신 메시지를 CSCF에 전송하고(406), CSCF는 발신 메시지를 IMS 지원 가능한 착신 단말로 전송(408)함으로써 발신 단말이 전송한 발신 메시지가 착신 단말에 도달한다.
단계 404에서 착신 단말이 IMS를 지원하지 않는 단말로 판단된 경우, SCIM은 발신 메시지를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전송한다(410). 발신 메시지를 전송 받은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는 착신 단말이 IM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412). 만약 착신 단말이 IM 서비스를 지원한다면,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는 IM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 메시지를 착신 단말에 전송한다(414). 만약 착신 단말이 IM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다면,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는 발신 메시지의 발신자 번호에 특수 식별자, 예를 들면 앞에서 설명했던 특번 및 대화 세션 정보 관련 파라메터를 추가하고(416), 이렇게 변환된 발신 메시지를 착신 단말에 전송(418)함으로써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 메시지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IM 서비스를 통해 발신된 발신 메시지의 착신 단말이 IM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이를 SMS/MMS 등 문자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연동시킴으로써 IM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단말과 IM 서비스 지원 단말 간의 메시지 교환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IM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단말에까지 IMS 기반의 IM 서비스를 제공하여 대부분의 사용자로 하여금 IM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IMS 기반의 서비스 확대에 기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는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성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판독되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한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기록매체(CD, DVD와 같은 유형적 매체뿐만 아니라 반송파와 같은 무형적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망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해 전송된 발신 메시지에 대한 회신 메시지를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

Claims (12)

  1. 이동통신 단말간의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시징 서비스를 통해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발신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 메시지에 포함된 착신자 정보를 통해 착신 단말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착신 단말이 상기 메시징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발신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이 인식 가능한 메시지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된 발신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된 발신 메시지는
    상기 발신 메시지가 상기 메시징 서비스를 통해 발신되었음을 나타내는 변환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 간의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징 서비스는
    아이피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P Multimedia Subsystem : IMS) 기반의 인스턴트 메시징(Instant Messaging : IM)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 간의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표시 정보는
    상기 발신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발신 단말의 식별 정보에 추가되는 특수 식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 간의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상기 변환된 발신 메시지에 대한 회신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회신 메시지를 상기 메시징 서비스를 통해 인식 가능한 메시지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된 회신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 간의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 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착신 단말이 상기 메시징 서비스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 간의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7. 이동통신 단말간의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시징 서비스를 통해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발신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송수신부와,
    상기 발신 메시지에 포함된 착신자 정보를 이용하여 착신 단말의 종류를 확인하는 메시지 확인부와,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착신 단말이 상기 메시징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발신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이 인식 가능한 메시지로 변환하는 메시지 변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시지 송수신부는 상기 변환된 발신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변환된 발신 메시지는
    상기 발신 메시지가 상기 메시징 서비스를 통해 발신되었음을 나타내는 변환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 간의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징 서비스는
    아이피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P Multimedia Subsystem : IMS) 기반의 인스턴트 메시징(Instant Messaging : IM)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 간의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
  9. 삭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표시 정보는
    상기 발신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발신 단말의 식별 정보에 추가되는 특수 식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 간의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송수신부는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상기 변환된 발신 메시지에 대한 회신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징 서비스를 통해 인식 가능하도록 상기 메시지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상기 회신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 간의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송수신부는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착신 단말이 상기 메시징 서비스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 간의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
KR20080083417A 2008-08-26 2008-08-26 이동통신 단말 간의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002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83417A KR101002150B1 (ko) 2008-08-26 2008-08-26 이동통신 단말 간의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83417A KR101002150B1 (ko) 2008-08-26 2008-08-26 이동통신 단말 간의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4728A KR20100024728A (ko) 2010-03-08
KR101002150B1 true KR101002150B1 (ko) 2010-12-17

Family

ID=42176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83417A KR101002150B1 (ko) 2008-08-26 2008-08-26 이동통신 단말 간의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21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601B1 (ko) 2010-10-15 2016-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메시지 수신 장치 및 방법
KR101225362B1 (ko) * 2011-04-01 2013-01-22 인포뱅크 주식회사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거치지 않는 기업형 메시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03227B1 (ko) * 2013-03-08 2013-09-04 주식회사 스마트미디어랩 복수 개의 그룹에 대한 공지 시스템
KR102396634B1 (ko) 2015-09-18 2022-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 수신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13432A2 (fr) * 2006-03-24 2007-10-11 Orange France Procede et systeme de transmission d'un message instantane vers un termin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13432A2 (fr) * 2006-03-24 2007-10-11 Orange France Procede et systeme de transmission d'un message instantane vers un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4728A (ko) 2010-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6548B1 (ko)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네트워크에서단말의 성능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8327024B2 (en) System and method for SMS/IP interoperability
EP2028815A1 (en) The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the message service data
CN101631388B (zh) 一种基于无线网络的多方视频共享方法及系统
US9124469B2 (en) System and method to initiate a presence driven peer to peer communications session on non-IMS and IMS networks
CN101627642A (zh) 用于提供融合消息服务的系统和方法
EP1839421A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emergency calls in a packet switched radio access network
CN101325740A (zh) 实现会话初始协议消息与短消息互通的方法、装置及系统
JP2007533245A (ja) 移動通信端末間のメッセージ連動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CN102342076A (zh) 通信网络中的能力查询处理
KR101002150B1 (ko) 이동통신 단말 간의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90006120A (ko) 단말기로 인스턴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00421430C (zh) 一种基于ip网多媒体子系统的消息业务实现方法
KR100922953B1 (ko)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에서 호 변경 요청의 처리 방법 및 시스템
CN101370172A (zh) 不同类型的消息业务通信的处理方法、系统和设备
KR20080075636A (ko) 스케줄 메시징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CN101442722B (zh) 基于sip协议的消息在传统网络中路由的方法和设备
CN101374248A (zh) 即时消息的处理方法及装置
CN101925016B (zh) 一种实现消息处理通知传送的方法及系统
KR20100063838A (ko)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WO2008022990A1 (en) Gateway and method for routing messages
KR20200026166A (ko) 발신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1355429A (zh) 提供用户代理能力信息的方法及装置
KR100819154B1 (ko) 이동통신 망에서의 실시간 주소록 업데이트 방법 및 시스템
WO2009054614A1 (en) Method for interworking between a cpm service and a non-cpm ser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