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1601B1 - 촬영각도 조절이 용이한 돔카메라 - Google Patents

촬영각도 조절이 용이한 돔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1601B1
KR101001601B1 KR1020100086848A KR20100086848A KR101001601B1 KR 101001601 B1 KR101001601 B1 KR 101001601B1 KR 1020100086848 A KR1020100086848 A KR 1020100086848A KR 20100086848 A KR20100086848 A KR 20100086848A KR 101001601 B1 KR101001601 B1 KR 101001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camera module
fixing
fixed
angle adju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6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일
강상수
김현우
Original Assignee
이창일
김현우
강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일, 김현우, 강상수 filed Critical 이창일
Priority to KR1020100086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16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1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1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모듈의 촬영각도 조절이 용이한 돔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모듈이 장착된 각도조절체의 구면부가 베이스의 내부 대응 수용부에 안착되어 [카메라모듈-각도조절체]의 각도조절이 쉽고 자유롭게 이루어지며, 조절 상태의 고정은 고정수단에 의하여 이루어지되, 특히 상기 고정수단을 이루는 고정체의 내주면부의 곡률이 각도조절체의 외주면 구면부의 곡률 보다 작아 가압체에 의한 고정체의 가압으로 간편하게 조절상태의 고정이 이루어지며, 아울러 외장 케이스를 이루고 통상 천장에 고정되는 보텀케이스와 반구형커버와 결합된 탑케이스의 고정이 퀵커플러에 의하여 이루어져서 작업성이 크게 개선된 촬영각도 조절이 용이한 돔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촬영각도 조절이 용이한 돔카메라는 수용부 및 결합부를 갖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수용부에 안착되는 구면부와 장착부를 갖는 각도조절체; 상기 각도조절체의 장착부에 수용되어 고정되는 카메라모듈; 및 상기 각도조절체의 변위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수단;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촬영각도 조절이 용이한 돔카메라{DOME CAMERA}
본 발명은 카메라모듈의 촬영각도 조절이 용이한 돔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모듈이 장착된 각도조절체의 구면부가 베이스의 내부 대응 수용부에 안착되어 [카메라모듈-각도조절체]의 각도조절이 쉽고 자유롭게 이루어지며,
조절 상태의 고정은 고정수단에 의하여 이루어지되, 특히 상기 고정수단을 이루는 고정체의 내주면부의 곡률이 각도조절체의 외주면 구면부의 곡률 보다 작아 가압체에 의한 고정체의 가압으로 간편하게 조절상태의 고정이 이루어지며,
아울러 외장 케이스를 이루고 통상 천장에 고정되는 보텀케이스와 반구형커버와 결합된 탑케이스의 고정이 퀵커플러에 의하여 이루어져서 작업성이 크게 개선된 촬영각도 조절이 용이한 돔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종래 촬상 장치, 특히 CCTV용 카메라는 방범 및 질서 유지를 위한 수요 증대로 광범위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이중 돔카메라는 엘리베이터 내부나 은행, 백화점 등 각종 상업 매장 내부 천장에 간편하게 설치되며, 특유의 디자인과 컴팩트함으로 인하여 각광 받고 있다.
돔카메라는 초기 장착의 경우, 유비보수, 위치 이동시 주된 촬영 각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카메라 모듈의 각도 조절이 필요하다.
이러한 각도조절 방식 중 유니버설 조인트를 이용한 기술로는 주식회사 제이비이코리아의 실용신안등록 제0200321호(2000년08월08일) [돔형 카메라의 지지 고정장치]가 있는데,
상기 등록고안은 하우징에 수용된 카메라의 하부에 회동축을 통하여 연결된 볼이 홀더에 수용되고, 회동 상태는 스크류를 공구를 이용하여 조여 고정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고안은 사다리 등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천장에 접근하여 반구형 커버를 열고 장착 후 각도를 조절하는 상황을 고려하면 공구를 좁은 하우징 틈새에 공구를 투입하여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쉽지 않다.
또 카메라의 주된 하중을 온전히 작은 볼이 지탱하는 점을 고려하면(카메라모듈의 하중 작용점이 볼에 해당한다) 시간 경과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진동이나 충격에 의하여 카메라의 설정 각도가 바뀔 가능성이 많아 현재 시장에 출시·판매되고 있는 제품 중에는 이러한 방식을 채용하고 있는 것이 없다.
또 이창호의 실용신안등록 제0361948호(2004년09월03일)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돔형 카메라]에는 카메라의 수평각(Pan) 및 경사각(Tilt)에 대한 조절이 자유로워서 카메라 설치 후 감시영역을 변경하더라도 간단한 방식으로 감시각을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돔형 카메라를 제시하고 있는데,
구체적으로 하부케이스의 중앙에 고정 결합되고 상단면에 원형 홈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은 오목하게 형성된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에 씌워지는 원통형상으로 상단면과 일측면이 연통되는 틸트홀을 갖고 일측에 고정부재를 형성하여 지지축에 고정 또는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틸트조절체와,
상기 틸트조절체의 틸트홀을 통해 지지축의 상단면의 홈에 밀착되는 볼과 그 볼의 일측에 연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장부의 일측에 나사가 형성된 지지회동체와,
상기 지지회동체의 일측에 형성된 나사에 중심부가 체결되는 판 형태로 상단면에 카메라하우징이 고정 체결되는 브래킷으로 이루어지고,
특히 상기 틸트조절체는 고정부재인 고정홀과 고정볼트를 통해 지지축의 오목부에 밀착시켜 고정하는 구성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고안은 카메라와 연결된 볼이 틸트조절체에 수용되고, 역시 틸트조절체에 수용된 지지축을 하강시킨 후 이 지지축을 틸트조절체에 관통 결합된 고정볼트를 조여 각도조절 상태를 고정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므로,
카메라모듈의 하중 작용점에 온전히 볼이어서 실용신안등록 제0200321호와 동일한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이러한 카메라모듈 하중의 볼 집중으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복잡한 고정구조를 도입한 것으로 보이며,
역시 각조 조정 후 고정이 어렵고, 이후 추가적인 각도 조정을 위하여 고정볼트를 풀고 조이는 과정도 어렵다.
이에 본 발명은 카메라모듈의 각조조절이 공구 없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카메라모듈의 하중을 충분히 지탱할 수 있는 구조를 가져 각도 조절후에는 시간경과에 따라 통상적인 충격 및 진동에 의하여 고정상태를 유지하여 감시기능에 문제가 없는 돔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카메라모듈이 장착된 각도조절체의 구면부가 베이스의 내부 대응 수용부에 안착되어 [카메라모듈-각도조절체]의 각도조절이 쉽고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는 돔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카메라모듈이 각도조절체에 수용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카메라모듈의 하중 작용점이 각도조절체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카메라모듈을 감싸는 형태이므로 하중 분산이 이루어져서 시간 경과에도 각도조정 후 고정상태의 변동이 발생되지 않는 돔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각도조절상태의 고정은 고정수단에 의하여 이루어지되, 특히 상기 고정수단을 이루는 고정체의 내주면부의 곡률이 각도조절체의 외주면 구면부의 곡률 보다 작아 가압체에 의한 고정체의 가압으로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돔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특히 천장 부근에서 이루어지는 설치 및 유지 보수 작업의 편리성 향상을 위하여 외장 케이스를 이루고 통상 천장에 고정되는 보텀케이스와 반구형커버와 결합된 탑케이스의 고정이 퀵커플러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돔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촬영각도 조절이 용이한 돔카메라는
수용부 및 결합부를 갖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수용부에 안착되는 구면부와 장착부를 갖는 각도조절체;
상기 각도조절체의 장착부에 수용되어 고정되는 카메라모듈; 및
상기 각도조절체의 변위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수단;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촬영각도 조절이 용이한 돔카메라에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각도조절체의 외주면 구면부의 곡률 보다 작은 곡률의 내주면부를 갖고, 상기 각도조절체를 감싸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를 가압하도록 상기 베이스의 결합부에 체결되는 대응 결합부를 갖는 가압체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모듈이 각도조절체에 수용된 상태로 고정되어 카메라모듈의 하중 작용점이 각도조절체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이 작용점이 카메라모듈과 중첩된 위치에 배열되어 있고,
상기 카메라모듈은 상기 각도조절체의 상면 장착부에 결합되는 장착커버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고,
[베이스-각도조절체-카메라모듈-고정수단 결합체]가 수용되는 보텀케이스, 상기 보텀케이스를 덮는 반구형커버, 상기 반구형커버를 고정하는 탑커버, 그리고 상기 탑커버와 상기 보텀케이스를 상호 결합시키는 퀵커플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촬영각도 조절이 용이한 돔카메라는 카메라모듈이 장착된 각도조절체의 구면부가 베이스의 내부 대응 수용부에 안착되어 [카메라모듈-각도조절체]의 각도조절이 쉽고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 카메라모듈이 각도조절체에 수용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카메라모듈의 하중 작용점이 각도조절체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카메라모듈을 감싸는 형태이므로 하중 분산이 이루어져서 시간 경과에도 각도조정 후 고정상태의 변동이 발생되지 않으며,
아울러 각도조절상태의 고정은 고정수단에 의하여 이루어지되, 특히 상기 고정수단을 이루는 고정체의 내주면부의 곡률이 각도조절체의 외주면 구면부의 곡률 보다 작아 가압체에 의한 고정체의 가압으로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나아가 천장 부근에서 이루어지는 설치 및 유지 보수 작업의 편리성 향상을 위하여 외장 케이스를 이루고 통상 천장에 고정되는 보텀케이스와 반구형커버와 결합된 탑케이스의 고정이 퀵커플러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어,
결국 본 발명은 카메라모듈의 각조조절이 공구 없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카메라모듈의 하중을 충분히 지탱할 수 있는 구조를 가져 각도 조절후에는 시간경과에 따라 통상적인 충격 및 진동에 의하여 고정상태를 유지하여 감시기능에 문제가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돔카메라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돔카메라의 결합단면도.
도 3은 관찰방향을 달리한 본 발명의 돔카메라에 대한 분해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촬영각도 조절이 용이한 돔카메라(A)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바퀴(10)의 축공(11) 쪽을 내측으로 정하고, 그 반대쪽을 외측으로 정하며, 마찰저항 감소를 위하여 바퀴(10)에 형성된 양 환홈(15)쪽을 측면으로 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돔카메라(A)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 및 도 3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도면에서 보이는 방항대로 반구형커버(30)쪽을 상부로 정하고, 보텀케이스(10)쪽을 하부로 정한다(실제로는 보텀케이스(10)가 천장에 장착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먼저 촬영각도 조절이 용이한 돔카메라(A)는 크게 베이스(50), 각도조절체(60), 카메라모듈(70), 고정수단(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이들 [베이스-각도조절체-카메라모듈-고정수단 결합체]는 통상 천장에 고정되는 보텀케이스(10)에 내장되고, 이 보텀케이스를 덮는 반구형커버(30)는 탑케이스(20)에 의하여 보텀케이스에 결합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50)는 중공을 갖는 하판(55)과, 이 하판 상부에 이격 돌출된 네 서포트(57), 그리고 각 서포트 상부에 연결된 상부리(59)을 갖는 형상이며,
내부에 수용부(51)를 갖고, 고정수단(60)의 가압체(83)의 체결을 위한 나선형 결합부(53)가 상부링(59)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판(55)은 보텀케이스(10)의 하부 체결공(15)에 볼트(B)를 통하여 결합되도록 체결공(55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링(59)은 상기 나선형 결합부(53) 위로 안착환턱(59A)을 가져,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여기에 고정수단(80)을 이루는 고정체(81)의 피안착환턱(81B)이 접하며 가압체(83)의 체결로 고정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핵심 중 하나인 각도조절체(60)는 특히 외주면 구면부(61)의 곡률이 구의 일부를 자른 것과 같은 일정한 곡률을 가지며,
이 구면부(61)는 베이스(50)의 수용부(51)에 안착되는데, 이 수용부는 실질적으로 베이스 상부링(59)의 내주면에 해당하고, 베이스의 수용부(51)와 각도조절체(60) 구면부(61)의 곡률은 상응하여 각도조절체(60)의 자유로운 각도 변위가 가능하다.
또 상기 각도조절체는 장착부(63)에 카메라모듈(70)을 수용하는데, 이 장착부에는 장착돌기(63A)가 복수(특히 2개)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장착돌기(63A)에 장착커버(65)가 대편에 위치한 두 장착공(65B)을 관통한 볼트(B)에 이하여 고정된다.
또 상기 장착커버(65)에는 실질적으로 카메라모듈이 고정되는데,
카메라모듈(70)의 삽입 수용을 위하여 장착커버는 하부에 복수(특히 4개)의 이격돌기(65A)를 갖고,
이 이격돌기에 카메라모듈(70)의 PCB(73)의 네 모퉁이 관통공(73a)에 관통결합되는 볼트(B)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기 장착커버(65)는 상기 카메라모듈(70)의 주된 각도가 변위되는 쪽으로 트임부(65C)가 형성되어 있어 원활한 각도 조절을 보장한다.
이와 같이 고정상태에서 각도조절체(60)의 상면과 동일평면에 위치하는 장착커버(65)의 하방 돌출 이격돌기(65A) 하단부에 고정된 PCB(73)를 통하여 결국 각도조절체(60)의 내면 장착부(63)에 수용된 상태로 장착되는 카메라모듈(70)은
앞서 언급한 실용신안등록 제0200321호 또는 실용신안등록 제0361948호의 구조가 하중 작용점이 볼(카메라모듈의 하중을 볼이 온전히 감당해야한다)을 에 해당하는 것에 비하여
카메라모듈이 각도조절체에 수용된 상태로 고정되는 방식이어서 카메라모듈의 하중 작용점이 각도조절체의 내부에 위치하고, 이 작용점은 카메라모듈의 외측(상기 실용신안들의 경우)이 아니라 내측에 해당하는 것이어서
그만큼 작용점에 작용하는 하중이 적고,
아울러 카메라모듈을 감싸는 형태이므로 하중 분산이 획기적으로 증대된다.
따라서 시간 경과에도 각도조정 후 고정상태의 변동이 발생되지 않게 되고,
최초 장착시나 유지 보수를 위한 각도조절시에도 각도를 조정하는 것이 무리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카메라모듈이 각도조절체에 수용된 상태로 고정되어 하중 작용점이 각도조절체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이 작용점이 카메라모듈에 내측에 중첩된 형태로 위치하는 방식을 위하여
고정방식은 도시된 장착커버(65)를 이용한 방식 외에도 다양하게 변형선택될 수 있다.
이어 상기 카메라모듈(70)은 공지의 것으로 줌 및 포커스 조절을 위한 두 노브(knob)(71A)(71B)가 구비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 카메라모듈(70)은 야간 조명을 위한 광원으로 IR LED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도조절체의 변위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작업자가 설치 및 유지 보수하기 쉽도록 천장에 고정된 [탑케이스(20)-반구형커버(30) 결합체]를 열고 보텀케이스(10) 하부에 노출된 상태에서 조정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수단(80)은 고정체(81)와 가압체(83)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체(81)는 각도조절체(60)의 외주면 구면부(61)를 가압하여 [각도조절체(60)-카메라모듈(70)-장착커버(65) 결합체]의 각도 변위 상태를 고정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고정체(81)는 상기 각도조절체(60)의 외주면 구면부(61)의 곡률 보다 작은 곡률(업계에서는 속칭 ‘R값’이라고 칭하기도 한다)의 내주면부(81A)를 갖는데,
도 3에서 상부에서 관찰한 [A] 보다는 하부에서 관찰한 [B]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내주면부(81A)는 상부에 치우쳐져 있어 하부로 가압하게 되면
고정체의 내주면부(81A)가 각도조절체(60)의 외주면 구면부(61)를 조이는 형태로 구속하게 되어 각도 변위 상태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또 상기 고정체는 피안착환턱(81B) 상부에 일부 트임부(81C)를 갖는데,
이는 상기 장착커버(65)는 트임부(65C)와 같이 상기 카메라모듈(70)의 주된 각도가 변위되는 쪽으로 형성되어 있어 원활한 각도 조절을 보장함과 아울러,
어느 정도 고정체에 탄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여 각도조절체(60)의 외주면 구면부(61)의 곡률 보다 작은 곡률을 갖는 고정체(81) 내주면부(81A)를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
가압체를 풀어 가압체(83)를 통하여 베이스(50)에 걸려 있을 정도로 한 상태에서
(가압체(83)를 조금만 풀어도 각도조절체(60)의 외주면 구면부(61)를 구속하는 고정체(81)는 내주면부(81A)가 상부에 위치하므로 구면부(61) 구속 압박 상태가 쉽게 해제된다)
약간 뻑뻑한 느낌으로 각도조절체(60), 보다 구체적으로 [각도조절체(60)-카메라모듈(70)-장착커버(65) 결합체]의 각도 변위가 억제된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어 미세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상대적으로 무리없이 부드럽고 미세하게 [각도조절체(60)-카메라모듈(70)-장착커버(65) 결합체]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것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카메라모듈이 각도조절체에 수용된 상태로 고정되어 하중 작용점이 각도조절체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이 작용점이 카메라모듈에 내측에 중첩된 형태로 위치하고 또 하중 분산이 이루어지기 때문이기도 하다.
물론 이러한 억제되고 미세한 각도조절체(60)의 변위에 꼭 트임부(81C)의 도입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고종수단을 이루는 고정체(81)의 압박 및 풀림은 가압체(83)에 의하여 이루어지는데, 가압체의 형상은 링 형상이고 외주면에는 널링부(83C)를 가져 미끄러짐이 방지된다.
또 상기 베이스(50)의 상부링(59)의 상기 나선형 결합부(53) 위에 구비된 안착환턱(59A)에
고정체(81)의 피안착환턱(81B)이 접한 상태에서
베이스(50)의 결합부(53)에 대응 결합부(84A)를 통하여 체결된 가압체(83)를 회전시켜 조이면
가압체의 가압환턱(83B)이 고정체(81)의 피안착환턱(81B)을 안착환턱(59A)에 가압 밀착시키며,
이에 따라 고정체(81)의 내주면부(81A)가 각도조절체(60)의 외주면 구면부(61)를 압박 구속하게 된다.
한편, 보텀케이스(20)에는 [베이스(50)-각도조절체(60)-카메라모듈(70)-고정수단(80) 결합체]가 수용되는데,
구체적으로 베이스(50)의 상기 하판(55)은 체결공(55a)을 관통하는 볼트(b)를 통하여 보텀케이스(10)의 하부 체결공(15)에 고정되는데,
이격 수용을 위하여 하부 체결공(15) 위로는 장방형 돌기 2개가 돌설되어 있다(도 2 및 도 3 [A] 참조).
또 상기 보텀케이스(20)의 측면에는 전원 또는 제어신호용 케이블 도입을 위한 통공(13)이 형성되어 있고, 이 통공에는 별도의 캡이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측면에 형성된 세 장착요홈(11)에는 퀵커플러(40)의 고정패널(41)이 볼트 등을 통하여 고정되도록 체결공(1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반구형커버(30)는 상기 보텀케이스(30)를 덮고, 필요에 따라 블랙코팅이 되어 있어 내장된 카메라모듈 등의 확인이 불가능하도록 하고, 또 카메라렌즈의 감시 영역만은 블랙코팅이 생략되고 투명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반구형커버(30)는 플렌지(31)를 하부에서 가압하고 상기 탑케이스(20) 하면에 결합되는 고정링(33)을 통하여 탑케이스에 결합된다.
상기 탑케이스(20)는 또 미관 향상 및 퀵커플러 결합과 해제 반복에도 변형 또는 파괴되지 않도록 걸림부(21)를 갖는다.
도시된 퀵커플러(40)는 통상 반찬용기에 많이 적용되는 것으로 속칭 ‘매미고리’라고도 하는데,
보텀케이스(20)의 측면 장착요홈(11)의 체결공(17)에 볼트 등을 통하여 고정되는 고정패널(41), 이 고정패널에 힌지 결합된 가동패널(43), 상기 가동패널에 레버(45)를 통하여 결합된 후크(47)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공지된 구조를 갖는다.
또 필요에 따라 상기 퀵커플러(40)에는 록커(49)가 구비되어 있어 임의로 커버(30)를 열지 못하도록 잠금장치를 마련하여 보안 문제 등을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록커 역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을 적용하여 쉽게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퀵커플러를 통하여 통상 천장에 고정되는 보텀케이스와 반구형커버와 결합된 탑케이스의 고정이 퀵커플러에 의하여 이루어져서 설치 및 유지 보수 작업이 쉽게 이루어 질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돔카메라나 기타 감시 카메라와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을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돔카메라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돔카메라 10: 보텀케이스
11: 장착요홈 13: 통공
15,17: 체결공 20: 탑케이스
21: 걸림부 30: 반구형커버
31: 플렌지 33: 고정링
40: 퀵커플러 50: 베이스
51: 수용부 53: 결합부
55: 하판 57: 서포트
59: 상부링 60: 각도조절체
61: 구면부 63: 장착부
65: 장착커버 65A: 이격돌기
65B: 장착공 65C: 트임부
70: 카메라모듈 71A,71B: 노브
73: PCB 80: 고정수단
81: 고정체 81A: 내주면부
81B: 피안착환턱 81C: 트임부
83: 가압체 83A:대응결합부

Claims (4)

  1. 수용부 및 결합부를 갖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수용부에 안착되는 구면부와 장착부를 갖는 각도조절체;
    상기 각도조절체의 장착부에 수용되어 고정되는 카메라모듈; 및
    상기 각도조절체의 변위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수단;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각도조절체의 외주면 구면부의 곡률 보다 작은 곡률의 내주면부를 갖고, 상기 각도조절체를 감싸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를 가압하도록 상기 베이스의 결합부에 체결되는 대응 결합부를 갖는 가압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각도 조절이 용이한 돔카메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모듈이 각도조절체에 수용된 상태로 고정되어 카메라모듈의 하중 작용점이 각도조절체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이 작용점이 카메라모듈과 중첩된 위치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각도 조절이 용이한 돔카메라.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베이스-각도조절체-카메라모듈-고정수단 결합체]가 수용되는 보텀케이스,
    상기 보텀케이스를 덮는 반구형커버,
    상기 반구형커버를 고정하는 탑커버, 그리고
    상기 탑커버와 상기 보텀케이스를 상호 결합시키는 퀵커플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각도 조절이 용이한 돔카메라.
KR1020100086848A 2010-09-06 2010-09-06 촬영각도 조절이 용이한 돔카메라 KR101001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848A KR101001601B1 (ko) 2010-09-06 2010-09-06 촬영각도 조절이 용이한 돔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848A KR101001601B1 (ko) 2010-09-06 2010-09-06 촬영각도 조절이 용이한 돔카메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1601B1 true KR101001601B1 (ko) 2010-12-17

Family

ID=43512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6848A KR101001601B1 (ko) 2010-09-06 2010-09-06 촬영각도 조절이 용이한 돔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160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748B1 (ko) 2012-09-27 2013-04-09 에치디프로 주식회사 돔형 감시카메라의 렌즈 조정장치
WO2019216611A1 (ko) * 2018-05-09 2019-11-14 주식회사 씨티에스시스템 3축 돔형 감시카메라
KR102460215B1 (ko) * 2022-04-07 2022-10-31 디피코어 주식회사 무빙 조명 프로젝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748B1 (ko) 2012-09-27 2013-04-09 에치디프로 주식회사 돔형 감시카메라의 렌즈 조정장치
WO2019216611A1 (ko) * 2018-05-09 2019-11-14 주식회사 씨티에스시스템 3축 돔형 감시카메라
US11094178B2 (en) 2018-05-09 2021-08-17 Cts System Co., Ltd. Triaxial dome-type surveillance camera
JP2021523421A (ja) * 2018-05-09 2021-09-02 シーティーエス システム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Cts System Co., Ltd. 3軸ドーム型監視カメラ
JP6989868B2 (ja) 2018-05-09 2022-01-12 シーティーエス システム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3軸ドーム型監視カメラ
KR102460215B1 (ko) * 2022-04-07 2022-10-31 디피코어 주식회사 무빙 조명 프로젝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0435B2 (en) Image capture device with rotatable lens unit
WO2011161846A1 (ja) ドーム型カメラ
US8379089B2 (en) Support device for camera modules
KR101001601B1 (ko) 촬영각도 조절이 용이한 돔카메라
KR101047156B1 (ko) 적외선 엘이디를 갖는 돔형 감시카메라
KR200386340Y1 (ko) 전방위용 돔형 감시카메라장치
TW201425788A (zh) 雲台裝置
US6860654B1 (en) Lens holding structure for wall-mounted surveillance camera
JP5212409B2 (ja) 監視カメラ装置
KR100994442B1 (ko) 카메라부가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방향 조절이 쉬운 카메라
JP5370035B2 (ja) ドーム型カメラ
WO2022166498A1 (zh) 一种p向调节结构及半球型摄像机
JP5187535B2 (ja) 監視カメラ装置
CN208353461U (zh) 一种摄像头结构及安防壁灯
KR100492121B1 (ko) 돔형상 감시카메라 조립체
CN108696689A (zh) 一种摄像头结构及安防壁灯
KR101875583B1 (ko) 3축 돔형 감시카메라
JP2011193260A (ja) 監視カメラ装置
WO2016011272A2 (en) Selectively orientable static bearing assembly
KR200400178Y1 (ko) 감시 카메라
CN215061795U (zh) 一种星空灯
CN214425802U (zh) 一种360度全方位照明的投光灯
CN214947666U (zh) 一种改进型摄影摄像云台
KR101018881B1 (ko) 감시카메라용 브라켓
KR200445530Y1 (ko) 감시 카메라 모듈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