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1379B1 - Ofdma/tdd 시스템에서의 멀티홉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의 송신 방법 - Google Patents

Ofdma/tdd 시스템에서의 멀티홉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의 송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1379B1
KR101001379B1 KR1020100020130A KR20100020130A KR101001379B1 KR 101001379 B1 KR101001379 B1 KR 101001379B1 KR 1020100020130 A KR1020100020130 A KR 1020100020130A KR 20100020130 A KR20100020130 A KR 20100020130A KR 101001379 B1 KR101001379 B1 KR 101001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erminal
link
data transmission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0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해린
마백일
강석진
전필성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0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13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1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1379B1/ko
Priority to EP10196651A priority patent/EP236729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04W40/248Connectivity information upd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04B7/2606Arrangements for base station coverage control, e.g. by using relays in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7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dedicated repeater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OFDMA/TDD 시스템에서의 멀티홉 통신을 위한 단말의 송신 방법은, 전송 프레임이 복수 개의 중계 링크들과 복수 개의 데이터 전송 링크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a) 상기 중계 링크들 중 어느 하나의 중계 링크를 통하여 다른 단말로부터의 데이터가 수신되거나, 자신이 기지국으로 전송할 데이터가 발생하면 상기 데이터를 버퍼에 저장하는 단계; 및 (b) 기지국과의 홉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전송 링크들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 전송 링크를 통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중계 링크들 중 다른 중계 링크를 통하여 다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OFDMA/TDD 시스템에서의 멀티홉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의 송신 방법{Multi-hop communication method for OFDMA/TDD system and transmission method of terminal}
본 발명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 OFDMA)에서의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간 분할 복신(Time Division Duplexing : TDD)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OFDMA 시스템에서의 멀티홉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무선 채널에서 고속 데이터 전송에 유용한 방식으로 OFDM 전송 방식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상기 OFDM 방식은 멀티-캐리어(Multi-Carrier)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직렬로 입력되는 심벌(Symbol)열을 병렬 변환하여 이들 각각을 상호 직교성을 갖는 다수의 부반송파(sub-carrier)들, 즉 다수의 부반송파 채널(sub-carrier channel)들로 변조하여 전송하는 멀티캐리어 변조(MCM : Multi Carrier Modulation) 방식의 일종이다.
한편, 업링크(up-link) 및 다운링크(down-link)를 구별하는 방식의 하나인 TDD는 현재 와이브로(Wibro)에서와 같이 2.3GHz 대역 휴대 인터넷 방식에 적용/연구되고 있으며 UMB(Ultra Mobile Broadband) 시스템에서도 고려되고 있다.
상기 TDD 방식은 기지국과 이동 단말이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있어서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주파수 사용 효율을 증대시키고, 시간적으로는 다른 슬롯을 할당함으로써 양방향 전송을 지원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기존의 TDD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OFDMA 시스템은 3홉 이상의 멀티홉 통신을 지원하지 않으며 단말들이 이동하는 경우 실시간 데이터 전송을 위한 QoS를 보장받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와이브로 시스템에서는 기지국과 단말 간의 2홉 통신을 위해서 중계국(relay station)을 사용하며, IEEE 802.11 DCF 기반의 멀티홉 네트워크는 백오프(backoff)에 기반한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 방식으로서, 홉수의 제한은 없으나 각 단말이 확률적으로 채널을 점유하므로 QoS가 보장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TDD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OFDMA 시스템에서 홉수의 제한이 없는 새로운 멀티홉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OFDMA/TDD 시스템에서의 멀티홉 통신을 위한 단말의 송신 방법은, 전송 프레임이 복수 개의 중계 링크들과 복수 개의 데이터 전송 링크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a) 상기 중계 링크들 중 어느 하나의 중계 링크를 통하여 다른 단말로부터의 데이터가 수신되거나, 자신이 기지국으로 전송할 데이터가 발생하면 상기 데이터를 버퍼에 저장하는 단계; 및 (b) 기지국과의 홉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전송 링크들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 전송 링크를 통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중계 링크들 중 다른 중계 링크를 통하여 다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b) 단계는, (b1) 기지국과의 홉수가 1인 경우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어느 하나의 데이터 전송 링크를 통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b2) 기지국과의 홉수가 1인 아닌 경우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다른 중계 링크를 통하여 상기 다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중계 링크들은 주파수 대역이 동일하고 시간 대역이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전송 링크들은 시간 대역이 동일하고 주파수 대역이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OFDMA/TDD 시스템에서의 멀티홉 통신 방법은, 전송 프레임이 복수 개의 중계 링크들과 복수 개의 데이터 전송 링크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a) 제1 단말이 자신의 제1 데이터를 제1 중계 링크를 통하여 제3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b) 제2 단말이 자신의 제2 데이터를 제2 중계 링크를 통하여 상기 제3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3 단말이 상기 제1 데이터, 상기 제2 데이터, 및 자신의 제3 데이터를 각각 제1 데이터 전송 링크, 제2 데이터 전송 링크, 및 제3 데이터 전송 링크를 통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중계 링크 및 상기 제2 중계 링크는 주파수 대역이 동일하고 시간 대역이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데이터 전송 링크, 상기 제2 데이터 전송 링크, 및 상기 제3 데이터 전송 링크는 시간 대역이 동일하고 주파수 대역이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OFDMA/TDD 시스템에서의 멀티홉 통신 방법은, 전송 프레임이 복수 개의 중계 링크들과 복수 개의 데이터 전송 링크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a) 제1 단말이 자신의 제1 데이터를 제1 중계 링크를 통하여 제2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데이터 및 자신의 제2 데이터를 각각 제2 중계 링크 및 제3 중계 링크를 통하여 제3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3 단말이 상기 제1 데이터, 상기 제2 데이터, 및 자신의 제3 데이터를 각각 제1 데이터 전송 링크, 제2 데이터 전송 링크, 및 제3 데이터 전송 링크를 통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중계 링크, 상기 제2 중계 링크, 및 상기 제3 중계 링크는 주파수 대역이 동일하고 시간 대역이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데이터 전송 링크, 상기 제2 데이터 전송 링크, 및 상기 제3 데이터 전송 링크는 시간 대역이 동일하고 주파수 대역이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된 본 발명에 의하면, TDD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OFDMA 시스템에서 홉수의 제한이 없는 멀티홉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FDMA/TDD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FDMA/TDD 시스템에서의 멀티홉 통신을 위한 TDD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FDMA/TDD 시스템에서의 멀티홉 통신을 위하여 임의의 단말에서 수행되는 데이터 송신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FDMA/TDD 시스템에서의 멀티홉 통신 방법에 따라 1홉 통신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이를 시간-주파수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FDMA/TDD 시스템에서의 멀티홉 통신 방법에 따라 2홉 통신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이를 시간-주파수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FDMA/TDD 시스템에서의 멀티홉 통신 방법에 따라 3홉 통신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이를 시간-주파수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각각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FDMA/TDD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OFDMA/TDD 시스템은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110) 및 여러 개의 이동 단말들(120, ..., 160)이 하나의 망을 구성한다. 기지국(110)과 단말들(120, ..., 160)은 제어 링크와 애드 혹(ad-hoc) 링크를 사용하여 서로 정보를 교환하여 주기적으로 망을 구성하고 관리한다. 기지국(110)은 제어 링크와 애드 혹(ad-hoc) 링크를 이용하여 단말들의 링크 상태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하며, 멀티홉 데이터 전송을 위한 최적의 경로를 탐색하고, 그에 따라 각 단말에게 중계 링크와 데이터 전송 링크를 할당한다. 중계 링크와 데이터 전송 링크에 관하여는 뒤에서 자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FDMA/TDD 시스템에서의 멀티홉 통신을 위한 TDD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다. 하나의 프레임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링크, 복수 개의 중계 링크들, 애드 혹 링크, 복수 개의 데이터 전송 링크들로 이루어진다.
제어 링크와 애드 혹 링크는 멀티홉 토폴로지 업데이트 및 최적 경로의 탐색 등 망 구성 및 관리를 위하여 사용된다. 기지국은 제어 링크를 통하여 기지국과 단말 간 시각 동기를 유지하기 위한 정보를 전송하고, 각 단말에게 주기적로 망 구성과 운용에 필요한 메시지를 전송한다. 각 단말은 애드 혹 링크를 통하여 망 구성을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고 최적 경로 탐색을 위한 링크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
제어 링크 프리앰블은 기지국과 단말 간의 시각 동기화 역할을 한다. 제어 링크 프리앰블을 수신한 단말은 동일한 PN 코드를 이용하여 상관(correlation)을 수행함으로써 기지국과 시각을 동기화한다.
애드 혹 링크 프리앰블은 제어 링크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으로서 각 단말로부터 송출된다. 기지국은 각 단말 별로 부여된 고유의 PN 코드를 이용하여 업링크 메시지의 송신 단말을 식별하고, RTT(round trip time)를 분석하여 해당 단말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lead/lag 타임을 설정한다. 또한, 타 단말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SNR을 추정하여 해당 단말과의 링크 상태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최적의 멀티홉 경로를 탐색한다.
중계 링크는 기지국과 멀티홉으로 연결된 단말이 중계 단말에게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중계 단말이란 다른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또 다른 단말 또는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말을 의미한다. 중계 링크는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 대역이 동일하고 시간 대역은 서로 다르며, 기지국과 멀티홉으로 연결된 단말들마다 각각 할당된다. 이때 중계 링크는 하나의 단말에 복수 개가 할당될 수 있다. 기지국은 최적의 멀티홉 경로를 탐색한 뒤, 각 단말에 중계 링크를 할당하고 제어 링크를 통하여 각 단말에 통지한다. 예컨대, 도 1을 참조하면, 단말(120, 130, 140)은 기지국과 1홉으로 연결되며, 단말(150, 160)은 기지국과 2홉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단말(150, 160)에 서로 다른 중계 링크가 각각 할당된다.
데이터 전송 링크는 기지국과 1홉으로 연결된 단말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데이터 전송 링크는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대역이 동일하고 주파수 대역이 서로 다르며, 전송되는 데이터의 근원지를 기준으로 각 데이터마다 데이터 전송 링크가 할당된다. 기지국은 최적의 멀티홉 경로를 탐색한 뒤, 데이터 전송 링크의 할당 정보를 제어 링크를 통하여 기지국과 1홉으로 연결된 단말에게 통지한다. 예컨대, 도 1을 참조하면, 근원지(source)가 단말(130)인 데이터에는 데이터 전송 링크 #1이 할당되고, 근원지가 단말(160)인 데이터에는 데이터 전송 링크 #2가 할당되고, 기지국은 이러한 할당 정보를 단말(130)에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단말(130)은 중계 링크를 통하여 단말(16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 뒤, 자신의 데이터는 데이터 전송 링크 #1을 통하여, 그리고 단말(160)로부터의 데이터는 데이터 전송 링크 #2를 통하여 동시에 기지국(110)으로 전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FDMA/TDD 시스템에서의 멀티홉 통신을 위하여 임의의 단말에서 수행되는 데이터 송신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단말이 idle 상태에 있다가, 수신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자신이 중계 노드에 해당하는지 확인한다(310단계). 수신 인터럽트는 다른 단말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에 발생한다. 자신이 중계 노드인지는 제어 링크를 통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이미 받은 정보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중계 노드로 확인되면, 단말은 수신된 데이터를 자신이 가지고 있는 송신 버퍼에 저장한다(320단계). 중계 노드가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수신된 데이터를 폐기한다(315단계).
또한, 단말은 idle 상태에 있다가, 송신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즉 단말 자신이 기지국에 전송할 데이터가 발생하면, 발생된 데이터를 송신 버퍼에 저장한다(320단계).
다시 단말이 idle 상태에 있다가, 타이머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우선 기지국과의 홉수가 1홉인지 확인한다(325단계). 타이머 인터럽트는 단말 내부에 구비된 타이머에 의해 주기적으로 발생하며, 타 단말 또는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타이밍을 결정한다. 기지국과의 홉수 역시 제어 링크를 통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이미 받은 정보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325단계의 확인 결과, 기지국과의 홉수가 1홉으로 확인되면, 현재 시간이 데이터 전송 링크에 속하는지 확인하고(330단계), 그러한 경우 송신 버퍼에 저장된 각 데이터를 각 데이터마다 할당된(즉, 데이터의 근원지 주소에 따라 할당된) 데이터 전송 링크를 통하여 기지국으로 동시에 전송한다(335단계). 송신 버퍼에는 자신이 기지국으로 전송할 데이터만이 저장되어 있거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타 단말로부터 수신되어 중계할 데이터만이 저장되어 있거나, 자신이 기지국으로 전송할 데이터와 타 단말로부터 수신되어 중계할 데이터가 함께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335단계가 수행되면, 송신 버퍼는 비워지고 단말은 다시 idle 상태로 복귀한다. 330단계에서 현재 시간이 데이터 전송 링크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다시 idle 상태로 복귀한다.
325단계의 확인 결과, 기지국과의 홉수가 1홉이 아닌 것으로, 즉 멀티 홉인 것으로 확인되면, 현재 시간이 자신에게 할당된 중계 링크에 속하는지 확인한다(340단계). 그러한 경우 해당 중계 링크를 통하여 다른 중계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한다(345단계). 345단계가 수행되면, 송신 버퍼는 비워지고 단말은 다시 idle 상태로 복귀한다. 325단계에서 현재 시간이 중계 링크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다시 idle 상태로 복귀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FDMA/TDD 시스템에서의 멀티홉 통신 방법에 따라 1홉 통신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이를 시간-주파수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단말 3, 2, 1은 각각 데이터 #1, #2, #3을 기지국으로 보내고자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단말 1, 2, 3은 각각 기지국과 1홉으로 연결되며, 따라서 중계 링크는 사용되지 않는다. 단말 3, 2, 1에서 각각 데이터 송신 요청이 발생하면, 단말 3, 2, 1은 각각 데이터 전송 링크가 시작되는 시점에서 송신 버퍼에 저장된 자신의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이때 서로 다른 데이터 전송 링크, 즉 시간 대역이 동일하고 주파수 대역이 서로 다른 각 데이터 전송 링크를 사용하여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FDMA/TDD 시스템에서의 멀티홉 통신 방법에 따라 2홉 통신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이를 시간-주파수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단말 3, 2, 1은 각각 데이터 #1, #2, #3을 기지국으로 보내고자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 1은 기지국과 1홉으로 연결되며, 단말 2 및 3은 각각 기지국과 2홉으로 연결된다. 단말 1은 중계 단말에 해당하고, 단말 2 및 3은 기지국으로부터 각각 중계 링크 #1, #2를 할당받게 된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단말 3에서 데이터 #1의 송신 요청이 발생하면, 단말 3은 중계 링크 #1을 통하여 중계 단말인 단말 1로 데이터 #1을 전송한다. 단말 2에서 데이터 #2의 송신 요청이 발생하면, 단말 2는 중계 링크 #2를 통하여 중계 단말인 단말 1로 데이터 #2를 전송한다. 그러면 단말 1의 버퍼에는 데이터 #1과 데이터 #2가 저장된다. 단말 1에서는 또한 자신이 기지국으로 전송할 데이터 #3이 발생되며, 데이터 #3은 데이터 #1, #2와 함께 송신 버퍼에 저장된다.
데이터 전송 링크가 시작되는 시점에서 단말 1은 송신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 #1, #2, #3을 각각 미리 할당된 데이터 전송 링크 #1, #2, #3을 통하여 동시에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FDMA/TDD 시스템에서의 멀티홉 통신 방법에 따라 3홉 통신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이를 시간-주파수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단말 7, 4, 1은 각각 데이터 #1, #2, #3을 기지국으로 보내고자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 1은 기지국과 1홉으로 연결되고, 단말 4는 기지국과 2홉으로 연결되며, 단말 7은 기지국과 3홉으로 연결된다. 단말 1 및 4는 중계 단말에 해당한다. 단말 7은 기지국으로부터 중계 링크 #1을 할당받고, 단말 4는 중계 링크 #2, #3을 할당받게 된다. 단말 4는 단말 1로 자신의 데이터와 단말 7로부터의 데이터를 송신하여야 하므로 두 개의 중계 링크를 할당받게 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단말 7에서 데이터 #1의 송신 요청이 발생하면 단말 7은 중계 링크 #1을 통하여 중계 단말인 단말 4로 데이터 #1을 전송한다. 데이터 #1은 단말 4의 송신 버퍼에 저장된다. 단말 4는 중계 링크 #2를 통하여 데이터 #1을 단말 1로 전송하고, 자신의 데이터 #2의 송신 요청이 발생하면 중계 링크 #3를 통하여 데이터 #2를 단말 1로 전송한다. 단말 1은 단말 4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1, #2를 송신 버퍼에 저장하고, 또한 자신이 기지국으로 전송할 데이터 #3이 발생되면 데이터 #3을 데이터 #1, #2와 함께 송신 버퍼에 저장한다.
데이터 전송 링크가 시작되는 시점에서 단말 1은 송신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 #1, #2, #3을 각각 미리 할당된 데이터 전송 링크 #1, #2, #3을 통하여 동시에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상기 도 4 내지 9를 통하여 1홉, 2홉, 3홉 통신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되었으나, 4홉 이상의 통신 역시 이상 설명된 바와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OFDMA/TDD 시스템에서의 멀티홉 통신을 위한 단말의 송신 방법으로서,
    전송 프레임이 복수 개의 중계 링크들과 복수 개의 데이터 전송 링크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a) 상기 중계 링크들 중 어느 하나의 중계 링크를 통하여 다른 단말로부터의 데이터가 수신되거나, 자신이 기지국으로 전송할 데이터가 발생하면 상기 데이터를 버퍼에 저장하는 단계; 및
    (b) 기지국과의 홉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전송 링크들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 전송 링크를 통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중계 링크들 중 다른 중계 링크를 통하여 다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송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기지국과의 홉수가 1인 경우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어느 하나의 데이터 전송 링크를 통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b2) 기지국과의 홉수가 1이 아닌 경우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다른 중계 링크를 통하여 상기 다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송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중계 링크들은 주파수 대역이 동일하고 시간 대역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송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전송 링크들은 시간 대역이 동일하고 주파수 대역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송신 방법.
  5. OFDMA/TDD 시스템에서의 멀티홉 통신 방법으로서,
    전송 프레임이 복수 개의 중계 링크들과 복수 개의 데이터 전송 링크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a) 제1 단말이 자신의 제1 데이터를 제1 중계 링크를 통하여 제3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b) 제2 단말이 자신의 제2 데이터를 제2 중계 링크를 통하여 상기 제3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3 단말이 상기 제1 데이터, 상기 제2 데이터, 및 자신의 제3 데이터를 각각 제1 데이터 전송 링크, 제2 데이터 전송 링크, 및 제3 데이터 전송 링크를 통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홉 통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계 링크 및 상기 제2 중계 링크는 주파수 대역이 동일하고 시간 대역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홉 통신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전송 링크, 상기 제2 데이터 전송 링크, 및 상기 제3 데이터 전송 링크는 시간 대역이 동일하고 주파수 대역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홉 통신 방법.
  8. OFDMA/TDD 시스템에서의 멀티홉 통신 방법으로서,
    전송 프레임이 복수 개의 중계 링크들과 복수 개의 데이터 전송 링크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a) 제1 단말이 자신의 제1 데이터를 제1 중계 링크를 통하여 제2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데이터 및 자신의 제2 데이터를 각각 제2 중계 링크 및 제3 중계 링크를 통하여 제3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3 단말이 상기 제1 데이터, 상기 제2 데이터, 및 자신의 제3 데이터를 각각 제1 데이터 전송 링크, 제2 데이터 전송 링크, 및 제3 데이터 전송 링크를 통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홉 통신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계 링크, 상기 제2 중계 링크, 및 상기 제3 중계 링크는 주파수 대역이 동일하고 시간 대역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홉 통신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전송 링크, 상기 제2 데이터 전송 링크, 및 상기 제3 데이터 전송 링크는 시간 대역이 동일하고 주파수 대역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홉 통신 방법.
KR1020100020130A 2010-03-05 2010-03-05 Ofdma/tdd 시스템에서의 멀티홉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의 송신 방법 KR101001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130A KR101001379B1 (ko) 2010-03-05 2010-03-05 Ofdma/tdd 시스템에서의 멀티홉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의 송신 방법
EP10196651A EP2367295A1 (en) 2010-03-05 2010-12-22 Multi-hop communication method for OFDMA/TDD system and transmission method of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130A KR101001379B1 (ko) 2010-03-05 2010-03-05 Ofdma/tdd 시스템에서의 멀티홉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의 송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1379B1 true KR101001379B1 (ko) 2010-12-14

Family

ID=43512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0130A KR101001379B1 (ko) 2010-03-05 2010-03-05 Ofdma/tdd 시스템에서의 멀티홉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의 송신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2367295A1 (ko)
KR (1) KR1010013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54741B (zh) * 2013-12-26 2024-03-15 索尼公司 移动终端、以及移动终端之间协作传输的实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18891B2 (en) * 2003-03-31 2007-05-15 Nortel Networks Limited Multi-hop intelligent relaying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a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based wireless access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67295A1 (en) 2011-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8454B2 (en) System for enabling mobile coverage extension and peer-to-peer communications in an ad hoc network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for
US7142527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ssion scheduling using network membership information and neighborhood information
US8391254B2 (en) Channel configuration and bandwidth allocation in multi-hop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s
US80501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acket transmissions within wireless networks to enhance network formation
JP4921492B2 (ja) 多重ホップ中継方式の広帯域無線アクセス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中継サービスを支援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20150023342A1 (en) Method for operating of peer aware communication network
WO20060962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node in an ad-hoc communication system
US20130089011A1 (en) Cognitive mobile time division duplex ad-hoc network
KR101905372B1 (ko) D2d 동기화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amruzzaman et al. An energy efficient QoS routing protocol for cognitive radio ad hoc networks
KR101781193B1 (ko) 무선 망에서 노드들에게 시간 동기 전달을 지원하는 통신 방법
JP2004248210A (ja) 無線通信方法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CN109996189B (zh) 用于广播消息的协同重复的系统
JP2008219526A (ja) 無線端末
KR101751757B1 (ko) 트리형 네트워크 기반 타임슬롯 및 주파수 슬롯 할당 방법
Kamruzzaman et al. Dynamic TDMA slot reservation protocol for cognitive radio ad hoc networks
EP13711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ssion scheduling using network membership information and neighborhood information
KR101001379B1 (ko) Ofdma/tdd 시스템에서의 멀티홉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의 송신 방법
JP4911388B2 (ja) 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20080028264A (ko) Mmr 네트워크 상에서의 멀티 홉 프레임 운용과 프레임전달을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Zheng et al. A collision-free resident channel selection based solution for deafness problem in the cognitive radio networks
Lee et al. OLSR-MC: A proactive routing protocol for multi-channel wireless ad-hoc networks
JP4492966B2 (ja) Ieee802.16における中継局を介した接続識別子付与方法、プログラム、中継局及び基地局
WO2012176633A1 (ja) 異種システム間交換機及び異種システム間交換方法
KR101001378B1 (ko) Ofdma/tdd 시스템에서 망구조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