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1030B1 - 아웃로터발전기 - Google Patents

아웃로터발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1030B1
KR101001030B1 KR1020100052872A KR20100052872A KR101001030B1 KR 101001030 B1 KR101001030 B1 KR 101001030B1 KR 1020100052872 A KR1020100052872 A KR 1020100052872A KR 20100052872 A KR20100052872 A KR 20100052872A KR 101001030 B1 KR101001030 B1 KR 101001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oil
synthetic resin
outer rotor
outer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2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길
심민석
김동곤
박근준
Original Assignee
(주)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설텍 filed Critical (주)설텍
Priority to KR1020100052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10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1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1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7Ro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02K1/2786Outer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02K15/03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having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10Applying solid insulation to windings, stators or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12Impregnating, heating or drying of windings, stators, rotors or mach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1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02K21/2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rotating around the armatures, e.g. flywheel magneto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30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32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아웃로터발전기 및 아웃로터발전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고정자의 외륜을 직물지와 코일을 합성수지에 함침한 구조로 성형함으로써, 정원 형상으로 정확한 치수로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영구자석과 가장 적합한 간격으로 이격시킬 수 있으며, 상기 코일은 권취된 상태에서 상기 합성수지에 함침되는 구조가 되기 때문에, 코일과 영구자석이 접촉되어 쇼트가 발생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합성수지에는 직물지가 함침된 상태이므로 상기 외륜이 갈라지거나 부서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아웃로터발전기 및 상기 아웃로터발전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아웃로터발전기 및 아웃로터발전기의 제조방법{Permanet magnet generator of out rotor typ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ermanet magnet generator of out rotor type}
본 발명은 아웃로터발전기 및 아웃로터발전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코일의 강인한 권선이 가능하며, 코일과 영구자석과의 접촉을 방지하여 양질의 전기에너지를 발전할 수 있는, 아웃로터발전기 및 아웃로터발전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웃로터발전기(1)는 코일(15)이 권선된 고정자(10)가 구성되고, 상기 고정자(10)를 수용하여 회전하는 원통형의 아웃로터(2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자(10)는 어떤 대상에 고정되는 샤프트(11)와 상기 샤프트(11)에 고정되어 회전하며 전방으로 개방되는 외륜(13)과 상기 외륜(13)에 감기는 코일로 구성된다.
상기 아웃로터(20)는 상기 샤프트(11)의 전방 종단부에 회전하도록 지지되는 전방커버(21)와 상기 전방커버(21)에 결합되어 상기 외륜(13) 및 샤프트(11)를 수용하는 원통형의 외측플랜지(22)가 구성되고, 상기 샤프트(11)에 회동하도록 지지되어 상기 외츨플랜지(22)의 후방에 고정되는 후방커버(24)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커버(21)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외륜(13)의 내측방에 수용되는 원통형의 내측플랜지(23)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플랜지(22)의 내측면과 내측플랜지(23)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코일(15)에 대향하는 영구자석(25, 26)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아웃로터(20)가 외력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외측플랜지(22)와 내측플랜지(23)가 회전하게 되어, 상기 코일(15)에 전기장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코일(15)에 전선을 연결하면, 전기 에너지를 인가받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아웃로터(20)를 회전시키는 예는 상기 아웃로터(20)에,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블레이드(미도시)를 부착할 수도 있고, 흐르는 물의 유속에 의해 회전하는 프로펠러(미도시)를 장착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자연계에 존재하는 에너지를 상기 아웃로터(20)를 회전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상기 코일이 견고하게 외륜에 감기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외륜에 코일이 감긴 상태에서 상기 아웃로터가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면, 아웃로터 내부에서는 고속으로 바람이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서 상기 코일에는 회전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이 장시간 지속될 경우, 상기 코일에는 인장응력이 발생하게 되어 단선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단선현상은 전기의 인가로 발생되는 저항열에 의해서 코일이 연화되는 것에 의해 더욱 가속화됨은 물론이다. 이렇게 단선됨으로써 더 이상 전기의 전도는 불가능하게 되고, 권선 상태가 해체되어 더 이상 발전기로서의 기능을 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았다.
둘째, 상기 외륜에 코일을 감은 상태에서 상기 권선된 코일의 외측둘레는 정원이 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코일을 와인딩할 때, 정확한 치수로 정원의 형상으로 감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영구자석과 코일이 접촉되는 지점이 자주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전기쇼트로 인해서 전기를 발생시킬 수 없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영구자석과 코일과의 간격을 적정치수보다 크게 할 수밖에 없었고, 이처럼, 영구자석과 코일의 간격을 크게 하다 보니, 효율적으로 양질의 전기에너지를 생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한 아웃로터발전기는, 코일이 구성된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를 수용하여 회전하는 원통형의 아웃로터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자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어 회전하며 전방으로 개방되는 원통형이며 상기 코일이 구성되는 외륜으로 구성되고, 상기 아웃로터는 상기 샤프트의 전방 종단부에 회전하도록 지지되는 판상의 전방커버와, 상기 전방커버에 부착되어 상기 외륜 및 샤프트를 수용하는 관형상으로서 내측면에 영구자석이 부착된 외측플랜지와, 상기 전방커버에 부착되어 상기 외륜의 내측방에 수용되는 관형상으로서 외측면에 영구자석이 부착된 내측플랜지와, 상기 샤프트가 관통되고 상기 샤프트에 회동하도록 지지되어 상기 외츨플랜지의 후방에 고정되는 판상의 후방커버로 구성되는 아웃로터발전기에 있어서; 상기 외륜은 샤프트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원판형상인 샤프트홀더와, 상기 샤프트홀더의 테두리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벽으로 구성되고, 상기 측벽은 관형상으로 둘러진 코일과, 상기 코일을 둘러싼 직물지와, 상기 직물지와 코일을 포함하여 관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홀더에 부착되는 합성수지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아웃로터발전기의 제조방법은, 코일을 압착하여 밴드처럼 성형하는 코일압착단계와, 상기 코일압착단계에서 성형된 코일이 샤프트 둘레에 배치되도록 구성하여 고정자를 제작하는 고정자제작단계와, 판상의 전방커버에, 관형상이고 외측면에 영구자석이 부착된 내측플랜지를 고정하는 내측플랜지고정단계와, 상기 전방커버에, 상기 샤프트가 내측플랜지를 관통하여 회동하도록 장착하는 고정자장착단계와, 관형상으로서 내측면에 영구자석이 부착된 외측플랜지를, 상기 내측플랜지를 수용하도록 상기 전방커버에 고정하는 외측플랜지고정단계와, 상기 샤프트를 관통하여 상기 외측플랜지의 후방에 판상의 후방커버를 고정하는 후방커버고정단계가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자제작단계는 상면이 형성된 원통형의 코어를 구비하고, 상기 코어의 상면에 원판 형상으로서 상기 샤프트가 고정되는 샤프트홀더를 로딩하고, 상기 코어 둘레에 직물지를 감고, 상기 코일이 상기 직물지에 쌓여진 상태로 코어 둘레를 감도록 하고, 상기 코어 둘레에, 상기 코일과 직물지를 수용하도록, 원통형의 금형을 씌우고, 상기 금형과 코어 사이에 용융된 합성수지를 부어서 충전하고, 상기 합성수지가 충전된 코어와 금형을 건조기에 넣어서 상기 합성수지가 응고시키고, 상기 코어와 금형을 분리하고, 상기 샤프트홀더에 샤프트를 고정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아웃로터발전기는, 고정자의 외륜이 합성수지로 성형되므로 정원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정확한 치수로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영구자석과 가장 적합한 간격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 즉,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가급적 근접하는 상태가 바람직한데, 이러한 간격 유지가 가능하기 때문에, 양질의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코일은 권취된 상태에서 상기 합성수지에 함침됨으로써 와인딩된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단선되거나 해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합성수지에 코일이 함침된 상태이기 때문에 코일과 영구자석이 접촉되어 쇼트가 발생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합성수지에는 직물지가 함침된 상태이므로 상기 외륜이 갈라지거나 부서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아웃로터발전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아웃로터발전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아웃로터발전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아웃로터발전기의 제조방법에서 코일압착단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아웃로터발전기의 제조방법에서 코일이 압착되어 변형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아웃로터발전기의 제조방법에서 고정자제작단계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코어 위에 샤프트 홀더를 로딩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b)는 코어 둘레에 직물지를 두른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아웃로터발전기의 제조방법에서 고정자제작단계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6의 (b) 상태에서 직물지 사이에 코일이 개재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d)는 (b)의 상태에서 코어에 금형을 씌우고 금형과 코어 사이에 용융된 합성수지를 주입하여 외륜을 성형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아웃로터발전기의 제조방법에서 고정자제작단계를 도시한 것으로서, 외륜에 샤프트를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아웃로터발전기의 제조방법으로서 (f)는 전방커버에 내측플랜지를 고정한 내측플랜지 고정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g)는 (f)의 상태에서 전방커버에 샤프트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고정자장착단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아웃로터발전기의 제조방법으로서(h)는 외측플랜지고정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i)는 후방커버고정단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아웃로터발전기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블록도.
도 12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아웃로터발전기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아웃로터발전기 및 아웃로터발전기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아웃로터발전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아웃로터발전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아웃로터발전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아웃로터발전기의 제조방법에서 코일압착단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아웃로터발전기의 제조방법에서 코일이 압착되어 변형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아웃로터발전기의 제조방법에서 고정자제작단계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코어 위에 샤프트 홀더를 로딩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b)는 코어 둘레에 직물지를 두른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아웃로터발전기의 제조방법에서 고정자제작단계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6의 (b) 상태에서 직물지 사이에 코일이 개재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d)는 (b)의 상태에서 코어에 금형을 씌우고 금형과 코어 사이에 용융된 합성수지를 주입하여 외륜을 성형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아웃로터발전기의 제조방법에서 고정자제작단계를 도시한 것으로서, 외륜에 샤프트를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아웃로터발전기의 제조방법으로서 (f)는 전방커버에 내측플랜지를 고정한 내측플랜지 고정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g)는 (f)의 상태에서 전방커버에 샤프트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고정자장착단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아웃로터발전기의 제조방법으로서(h)는 외측플랜지고정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i)는 후방커버고정단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아웃로터발전기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아웃로터발전기(90)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아웃로터발전기(90)는 코일(128)이 구성된 고정자(100)가 구성되고, 상기 고정자(100)를 수용하여 회전하는 원통형의 아웃로터(20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자(100)는 어떤 대상에 고정되는 샤프트(110)와 상기 샤프트(110)에 고정되어 회전하며 전방(후술하는 전방커버 쪽 방향)으로 개방되는 원통형의 외륜(120)과 상기 외륜(120)에 코일(128)이 구성된다.
상기 아웃로터(200)는 상기 샤프트(110)의 전방 종단부에 회전하도록 지지되는 판상의 전방커버(210)와, 상기 전방커버(210)에 결합되어 상기 외륜(120) 및 샤프트(110)를 수용하는 관형상의 외측플랜지(220)가 구성되고, 상기 샤프트(110)가 관통되고 상기 샤프트에 회동하도록 지지되어 상기 외츨플랜지(220)의 후방에 고정되는 판상의 후방커버(240)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커버(210)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외륜(120)의 내측방에 수용되는 관형상의의 내측플랜지(230)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플랜지(220)의 내측면과 내측플랜지(230)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코일(128)에 대향하는 영구자석(223, 235)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아웃로터발전기(90)의 외륜(120)에 견고하게 코일(128)이 구성되고, 상기 외륜(120)이 정확한 치수의 정원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영구자석(223, 235)과 코일(128)이 접촉되어 쇼트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외륜(120)을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상기 외륜(120)은 샤프트(110)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원판형상인 샤프트홀더(121)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홀더(121)의 테두리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벽(126)이 구성된다. 상기 측벽(126)은 관형상으로 둘러진 코일(128)과, 상기 코일(128)을 둘러싼 직물지(127)와, 상기 직물지(127)와 코일(128)을 포함하여 관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홀더(121)에 부착되는 합성수지(129)로 구성된다.
상기 샤프트(110)에는 축심 방향으로 형성되어 후방으로 개방됨으로써 후술하는 전선(130)을 후방으로 인출하는 안내홈(117)이 형성되고, 외륜(120)에 대응되는 쪽에 상기 안내홈(117)으로 연통됨으로써 후술하는 전선(130)이 인입되는 관통구(115)가 천공된다. 그리고, 상기 합성수지(129)를 관통하여 상기 코일(128)에 연결되고, 상기 관통구(115)와 안내홈(117)을 통해 후방으로 인출되는 전선(13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129)가 샤프트홀더(121)에 견고하게 결합하도록 상기 합성수지(129)에 테두리 방향으로 개방되는 홈(125)이 형성되고, 상기 합성수지(129)가 상기 홈(125)에 충전되어 응고되어 구성된다.
상기 합성수지(129)는 일례로서 성형성이 용이하고, 응고 시, 강성을 구비하며, 용융 후 굳을 때 접착력이 강할 뿐만 아니라, 내열성이 우수하고 변이온도가 높은 재질로 선정하는데, 에폭시가 바람직하다. 상기 합성수지(129)는 용융 상태에서 응고되어 형성된 것으로서 금형에 의해 정확한 정원으로 성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샤프트(110)를 어떤 대상에 고정한 후, 상기 아웃로터(200)에 블레이드(미도시) 또는 프로펠러(미도시)를 장착하여 상기 아웃로터(200)를 풍력이나 조력 등에 의해 회전시킬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아웃로터(200)가 회전하면서 외륜(120)과 영구자석(223, 235) 사이에는 전기장이 형성되면서, 상기 전선(130)을 통해 전기에너지의 인출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외륜(120)은 합성수지(129)로 성형되므로 정원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정확한 치수로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영구자석(223, 235)과 가장 적합한 간격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가급적 근접하는 상태가 바람직한데, 이러한 간격 유지가 가능하기 때문에, 양질의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128)은 권취된 상태에서 상기 합성수지(129)에 의해 와인딩된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단선되거나 해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합성수지(129)에 코일(128)이 함침된 상태이기 때문에 코일(128)과 영구자석(223, 235)이 접촉되어 쇼트가 발생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합성수지(129)에는 직물지(127)가 함침된 상태이므로 상기 측벽(126)이 갈라지거나 부서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일(128)이 샤프트(110) 둘레에 견고하게 와인딩된 상태가 된다.
상기 아웃로터발전기(90)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코일(128)을 압착하여 밴드처럼 성형하는 코일압착단계(S1)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코일압착단계(S2)에서 성형된 코일(128)이 샤프트(110) 둘레에 배치되도록 구성하여 고정자(100)를 제작하는 고정자제작단계(S2)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판상의 전방커버(210)에, 관형상이고 외측면에 영구자석(235)이 부착된 내측플랜지(230)를 고정하는 내측플랜지고정단계(S3)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전방커버(210)에, 상기 샤프트(110)가 내측플랜지(230)를 관통하여 회동하도록 장착하는 고정자장착단계(S4)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관형상으로서 내측면에 영구자석(223)이 부착된 외측플랜지(220)를, 상기 내측플랜지(230)를 수용하도록 상기 전방커버(210)에 고정하는 외측플랜지고정단계(S5)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110)를 관통하여 상기 외측플랜지(220)의 후방에 판상의 후방커버(240)를 고정하는 후방커버고정단계(S6)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각 공정단계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코일압착단계(S1)를 살펴보면, 상기 코일(128)은 구리선이 둥글게 다수 회 감긴 코일유니트(U)가 반복되어 형성된 것으로서 각 코일유니트(U)의 구리선은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코일(128)을 압착기(300)로 압착하여 밀도가 높은 밴드형상의 코일(128)을 형성한다.
상기 압착기(300)는 일례로서 상기 압착되기 전의 코일(128)이 놓여지도록 홈(325)이 형성된 하판(320)이 구성되고, 상기 하판(320)의 상부에서 상기 코일(128)을 압착하는 상판(310)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판(320)에 나선축(330)이 수직으로 고정되고, 상기 상판(310)에는 상기 나선축(330)이 관통하는 홀(313)이 구성되며, 상기 나선축(330)에 체결되는 너트(340)가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나선축(330)이 홀(313)을 관통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너트(340)를 상기 나선축(330)에 체결하여 죄게 되면, 상판(310)이 하판(320)에 놓여진 코일(128)을 압축하게 되는 것이다.
압착되는 예는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다수개의 코일유니트(U)가 연결되어 형성된 코일(128)이 압착에 의해 비스듬히 누워지면서 겹쳐져서 압착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밴드 형상이 된다. 따라서, 코일유니트(U)가 조밀하게 압착된 코일(128)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자제작단계(S2)는 도 6의 (a)에서처럼, 상면이 형성된 원통형의 코어(400)를 구비한 후, 상기 코어(400)의 상면에 원판 형상으로서 상기 샤프트(110)가 고정되는 샤프트홀더(121)가 로딩되도록 하는데 상기 샤프트홀더(121)는 내측에서 바깥테두리 방향으로 개방된 홈(125)이 형성된 것이다. 이 상태에서 도 6의 (b)에서처럼, 상기 코어(400) 둘레에 직물지(127)를 감도록 한다. 그리고, 도 7의 (c)에서처럼, 상기 압축된 코일(128)이 상기 직물지(127)에 쌓여진 상태로 코어(400) 둘레를 감도록 한다. 그리고나서, 도 7의 (b)에서처럼, 상기 코어(400) 둘레에, 상기 코일(128)과 직물지(127)를 수용하도록, 원통형의 금형(500)이 씌워지도록 한다. 그리고나서, 용융된 합성수지(129)를 금형(500)과 코어(400) 사이에 부어서 충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합성수지(129)는 일례로서 성형성이 용이하고, 응고 시, 강성을 구비하며, 용융 후 굳을 때 접착력이 강할 뿐만 아니라, 내열성이 우수하고 변이온도가 높은 재질로 선정한다. 상기 합성수지(129)는 용융 상태에서 응고되어 형성된 것으로서 금형에 의해 정확한 정원으로 성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합성수지(129)는 일례로서 에폭시가 바람직한데, 열경화성플라스틱의 하나로서 빨리 굳으며, 접착력이 강해서 샤프트홀더(121)에 잘 부착되며, 응고 시, 강도가 좋아서 잘 손상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나서, 상기 코어(400)와 금형(500)을 건조기에 넣어서 상기 합성수지가 응고되도록 한다. 이때, 합성수지(129)는 상기 샤프트홀더(121)의 홈(125)에 흘러들어가서 응고됨으로써 합성수지(129)가 보다 견고하게 샤프트홀더(121)에 부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금형(500)은 일례로서 다수 개로 분할된 것으로서 볼트에 의해 조합이 가능한 것이다. 이렇게 해서 합성수지(129)가 응고되면, 상기 금형(500)과 코어(400)를 분리함으로써, 도 8에서처럼, 외륜(120)이 형성된다. 상기 외륜(120)의 크기는 상기 내측플랜지(230)를 수용하고, 외측플랜지(220)에 수용되는 크기가 된다.
상기 외륜(120)의 샤프트홀더(121)에 샤프트(110)를 관통시켜 고정시킴으로써 고정자(100)의 제작이 완료된다. 상기 샤프트(110)와 샤프트홀더(121)의 고정예는 상기 샤프트(110)에 플랜지(113)를 형성하여 상기 플랜지(113)와 샤프트홀더(121)를 부착함으로써 가능하다. 부착은 용접 내지는 볼트에 의해서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제조방법에 의하면 샤프트(110) 둘레에 직물지(127)와 코일(128)이 함침된 합성수지(129)가 원통면으로 형성된 것이 된다.
상기 샤프트(110)에는 축심 방향으로 형성되어 후방으로 개방됨으로써 후술하는 전선(130)을 후방으로 인출하는 안내홀(117)을 형성하고, 외륜(120)에 대응되는 쪽에 상기 안내홈(117)으로 연통되는 관통구(115)를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코일(128)에 연결된 전선(130)이 상기 관통구(115)를 통해서 안내홀(117)을 지나 외부로 인출함으로써 고정자(100)의 제작이 완료된다.
상기 고정자장착단계(S4)는 상기 전방커버(210)에 베어링(213)을 장착한 후, 상기 샤프트(110)가 상기 베어링(213)에 끼워져서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외륜(120)은 상기 내측플랜지(230)를 수용하도록 하는데, 내측플랜지(230)에 부착된 영구자석(235)과 일정간격이 유지되도록 상기 외륜(120)과 내측플랜지(230)의 치수를 정하도록 한다.
상기 외측플랜지고정단계(S5)에서는 상기 외측플랜지(220)의 내경을 상기 외륜(120)을 수용하면서 상기 영구자석(223)에 접촉하지 않도록 크기를 정한다.
상기 후방커버고정단계(S6)에서는 상기 후방커버(240)에 베어링(215)을 장착한 수, 상기 샤프트(110)가 상기 베어링(215)을 관통하여 장착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기재한 아웃로터 발전기(90)의 구성에서 기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아웃로터 발전기의 제작방법이 가능하다.
90: 아웃로터발전기 100: 고정자
110 샤프트 115: 관통구
117: 안내홀 120: 외륜
121: 샤프트홀더 126: 측벽
127: 직물지 128: 코일
129: 합성수지 130: 전선
200: 아웃로터 210: 전방커버
220: 외측플랜지 223, 235 영구자석
230: 내측플랜지 240: 후방커버
300: 압착기 310: 상판
320: 하판 400: 코어
500: 금형

Claims (3)

  1. 코일(128)이 구성된 고정자(100)와,
    상기 고정자(100)를 수용하여 회전하는 원통형의 아웃로터(200)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자(100)는 샤프트(110)와,
    상기 샤프트(110)에 고정되어 회전하며 전방으로 개방되는 원통형이며 상기 코일(128)이 구성되는 외륜(120)으로 구성되고,
    상기 아웃로터(200)는 상기 샤프트(110)의 전방 종단부에 회전하도록 지지되는 판상의 전방커버(210)와,
    상기 전방커버(210)에 부착되어 상기 외륜(120) 및 샤프트(110)를 수용하는 관형상으로서 내측면에 영구자석(223)이 부착된 외측플랜지(220)와,
    상기 전방커버(210)에 부착되어 상기 외륜(120)의 내측방에 수용되는 관형상으로서 외측면에 영구자석(235)이 부착된 내측플랜지(230)와,
    상기 샤프트(110)가 관통되고 상기 샤프트(110)에 회동하도록 지지되어 상기 외츨플랜지(220)의 후방에 고정되는 판상의 후방커버(240)로 구성되는 아웃로터발전기(90)에 있어서;
    상기 외륜(120)은 샤프트(110)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원판형상인 샤프트홀더(121)와,
    상기 샤프트홀더(121)의 테두리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벽(126)으로 구성되고,
    상기 측벽(126)은 관형상으로 둘러진 코일(128)과,
    상기 코일(128)을 둘러싼 직물지(127)와,
    상기 직물지(127)와 코일(128)을 포함하여 관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홀더(121)에 부착되는 합성수지(129)로 구성되고,
    상기 합성수지(129)가 샤프트홀더(121)에 견고하게 결합하도록 상기 합성수지(129)에 테두리 방향으로 개방되는 홈(125)이 형성되고, 상기 합성수지(129)가 상기 홈(125)에 충전되어 응고되어 구성되고,
    상기 샤프트(110)에 축심 방향으로 형성되어 후방으로 개방되는 안내홈(117)과,
    상기 샤프트(110)는 외륜(120)에 대응되는 쪽에 상기 안내홈(117)으로 연통되는 관통구(115)와,
    상기 합성수지(129)를 관통하여 상기 코일(128)에 연결되고, 상기 관통구(115)와 안내홈(117)을 통해 후방으로 인출되는 전선(1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로터발전기.
  2. 삭제
  3. 삭제
KR1020100052872A 2010-06-04 2010-06-04 아웃로터발전기 KR101001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2872A KR101001030B1 (ko) 2010-06-04 2010-06-04 아웃로터발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2872A KR101001030B1 (ko) 2010-06-04 2010-06-04 아웃로터발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1030B1 true KR101001030B1 (ko) 2010-12-15

Family

ID=43512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2872A KR101001030B1 (ko) 2010-06-04 2010-06-04 아웃로터발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103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7139B1 (ko) * 2017-12-28 2019-04-09 주식회사 나스켐 휴대용 자가발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듈
KR101967141B1 (ko) * 2017-12-28 2019-04-09 주식회사 나스켐 휴대용 자가발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듈
KR101985216B1 (ko) 2018-12-14 2019-06-04 대흥기전주식회사 서지전압의 유입 방지와 파형 왜형율이 향상된 교류 발전기
KR102038615B1 (ko) * 2018-08-22 2019-10-30 최외철 고효율 발전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68053A (ja) * 1985-09-20 1987-03-27 Toshiba Corp 永久磁石回転電機
JP2000004572A (ja) * 1998-04-13 2000-01-07 Hitachi Metals Ltd リニアモ―タ
KR100421726B1 (ko) * 1996-05-21 2004-06-23 비주얼 컴퓨팅 시스템스 코포레이션 연동하는분할코일어레이및그사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68053A (ja) * 1985-09-20 1987-03-27 Toshiba Corp 永久磁石回転電機
KR100421726B1 (ko) * 1996-05-21 2004-06-23 비주얼 컴퓨팅 시스템스 코포레이션 연동하는분할코일어레이및그사용장치
JP2000004572A (ja) * 1998-04-13 2000-01-07 Hitachi Metals Ltd リニアモ―タ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7139B1 (ko) * 2017-12-28 2019-04-09 주식회사 나스켐 휴대용 자가발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듈
KR101967141B1 (ko) * 2017-12-28 2019-04-09 주식회사 나스켐 휴대용 자가발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듈
WO2019132254A1 (ko) * 2017-12-28 2019-07-04 주식회사 나스켐 휴대용 자가발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듈
WO2019132255A1 (ko) * 2017-12-28 2019-07-04 주식회사 나스켐 휴대용 자가발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듈
KR102038615B1 (ko) * 2018-08-22 2019-10-30 최외철 고효율 발전장치
KR101985216B1 (ko) 2018-12-14 2019-06-04 대흥기전주식회사 서지전압의 유입 방지와 파형 왜형율이 향상된 교류 발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1030B1 (ko) 아웃로터발전기
JP2806570B2 (ja) 電動機の凸極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電動機要素
US3002261A (en) Method of assembling a dynamoelectric machine
US6362544B2 (en) Electromagnetic device with embedded windings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CA1124998A (fr) Procede pour la realisation d'une armature magnetique a structure divisee et armature ainsi obtenue
JP5902726B2 (ja) 回転電機ステータ
KR102177969B1 (ko) 고정자 플레이트의 오버몰딩
CN106487136B (zh) 横向场激励电机的纤维复合合成材料的转子及其制造方法
CN101208850A (zh) 电动机定子
EP2889988B1 (en) Coil, rotating electrical machi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il
CN101557129A (zh) 电动马达部件的制造
CN201623555U (zh) 一种磁钢的固定结构
RU2654523C2 (ru) Короткозамкнутый ротор и стержень с прорезью
US20090183357A1 (en) Magnetic powder metal composite core for electrical machines
JP2014241663A (ja) 樹脂成形部を有する電動機ステータの製造方法、電動機ステータおよび電動機
CN107002817A (zh) 用于储能的飞轮
JP2011234537A (ja) 回転電機用ボビン、回転電機及び回転電機用ボビンの製造方法
WO2001093406A1 (fr) Machine electrique tournante et procede de fabrication des bobines
WO2011040982A1 (en) "brushless motor-generator"
JP2019140897A (ja) 防水モーターのステーターの製造方法及び防水モーターのステーター
US20090045692A1 (en) Capped stator core wedge and related method
US20160020661A1 (en) Electrical machine rotor provided with at least one hoop for retention of the chignons of the winding, and corresponding electrical machine
CN207218407U (zh) 电机绕组端部固定结构
CN210380444U (zh) 一种水轮发电机转子极间连接线固定机构
CN104823364A (zh) 旋转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