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0908B1 - 기판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기판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0908B1
KR101000908B1 KR1020080134932A KR20080134932A KR101000908B1 KR 101000908 B1 KR101000908 B1 KR 101000908B1 KR 1020080134932 A KR1020080134932 A KR 1020080134932A KR 20080134932 A KR20080134932 A KR 20080134932A KR 101000908 B1 KR101000908 B1 KR 101000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unit
chamber
nozzle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4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6769A (ko
Inventor
정기로
양상희
강기복
백성환
Original Assignee
에이피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피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피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4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0908B1/ko
Publication of KR20100076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6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0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0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23C16/455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used for introducing gases into reaction chamber or for modifying gas flows in reaction chamber
    • C23C16/45563Gas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23C16/46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used for heating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23C16/48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by irradiation, e.g. photolysis, radiolysis, particle radiation
    • C23C16/483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by irradiation, e.g. photolysis, radiolysis, particle radiation using coherent light, UV to IR, e.g. las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tallur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notechn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 기상 증착과 레이저에 의한 반응성 증착을 동시에 수행하여 일 챔버 내에서 두층의 박막을 기판상에 형성할 수 있고, 챔버 및 가스 노즐부의 세정 및 보수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기판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처리 장치는 내부 공간을 갖고, 상측면과 하측면에는 각기 제 1 및 제 2 관통홀이 형성되는 챔버와; 상기 챔버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는 기판 안치부와; 상기 챔버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기판 안치부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판 이송부와; 상기 제 1 관통홀에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이동하는 기판 안치부 상에 위치한 기판에 제 1 공정 가스와 제 2 공정 가스를 각기 분사하는 가스 노즐부와; 상기 제 2 관통홀에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가스 노즐부 하측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기판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제 2 공정 가스가 분사되는 공간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빔 공급부와; 상기 가스 노즐부를 수직 및 수평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 1 관통홀에 탈착시키는 크레인부를 포함한다.
기판, 증착, 레이저, 화학 기상 증착, 레이저 반응성 증착, 윈치

Description

기판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처리 시스템{SUBSTRATE PROCESSING APPRTUS AND SYSTEM}
본 발명은 기판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화학 기상 증착과 레이저에 의한 반응성 증착을 동시에 수행하여 일 챔버 내에서 두층의 박막을 기판상에 형성할 수 있고, 챔버 및 가스 노즐부의 세정 및 보수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기판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태양 전지(Solar Cell)는 태양전지용 웨이퍼 상에 반도체층을 증착하고, 이를 일정 패턴으로 식각하여 제작되었다. 즉, 실리콘 웨이퍼 상에 화학 기상 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또는 물리 기상 증착(Physical Vapor Deposition; PVD) 등의 증착 방법을 통해 다수의 실리콘 반도체층을 증착한다. 그리고, 증착된 실리콘 반도체층을 식각하여 태양 전지를 제작한다.
이러한, 태양 전지용 웨이퍼의 경우 초크랄스키법을 통해 제작되었다. 따라 서, 태양 전지용 웨이퍼의 제조 공정이 복잡한 단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태양 전지용(즉, 태양 전지급) 웨이퍼 제작을 위한 원료의 품귀와 가격 폭등으로 인해 태양 전지용 웨이퍼의 단가가 비싼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해 태양 전지의 생산 단가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최근에는 저가의 기판상에 고품질의 폴리 또는 비정질 실리콘을 증착하여 태양 전지용 기판을 제작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
이경우, 절연성 기판 상에 버퍼층을 형성하고, 버퍼층 상에 실리콘층을 형성하여야 한다. 이를 통해 태양 전지용 기판의 제작 단가를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상기의 방법의 경우 버퍼층을 형성하기 위한 증착 장치와, 실리콘층을 형성하기 위한 증착 장치가 각기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태양 전지 생산을 위한 생산 설비가 증대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최근에는 기판이 대형화되면서 챔버의 크기가 급격하게 대형화 되고 있다. 이에, 부피가 큰 대형 챔버의 상부 커버를 들어올릴 때 그 불안정성이 증가하여 챔버 내부의 유지 보수 작업이 매우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정이 종료된 후에도 대부분의 주요 구성품이 여전히 챔버 내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챔버 내부에 배치된 주요 구성품를 보수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단일 증착 장치로 서로 다른 물성의 두 박막층을 연속적으로 동시에 기판상에 증착시켜 공정을 단순화시키고, 생산 설비를 단순화할 수 있으며, 저가의 기판상에 고품질의 실리콘층을 증착할 수 있는 기판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챔버 내부의 주요 구성품을 손쉽게 분리하여 챔버 및 주요 구성품의 세정 및 보수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기판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처리 장치는 내부 공간을 갖고, 상측면과 하측면에는 각기 제 1 및 제 2 관통홀이 형성되는 챔버와; 상기 챔버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는 기판 안치부와; 상기 챔버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기판 안치부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판 이송부와; 상기 제 1 관통홀에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이동하는 기판 안치부 상에 위치한 기판에 제 1 공정 가스와 제 2 공정 가스를 각기 분사하는 가스 노즐부와; 상기 제 2 관통홀에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가스 노즐부 하측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기판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제 2 공정 가스가 분사되는 공간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빔 공급부와; 상기 가스 노즐부를 수직 및 수평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 1 관통홀에 탈착시키는 크레인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스 노즐부는, 상기 챔버의 상기 제 1 관통홀에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가스 몸체부와; 상기 제 1 공정 가스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분사 노즐과 상기 제 1 분사 노즐 양측에 각기 마련된 복수의 제 1 배기홈을 포함하는 제 1 노즐부와; 상기 제 2 공정 가스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분사 노즐과 상기 제2 분사 노즐 양측에 각기 마련된 복수의 제 2 배기홈을 포함하는 제 2 노즐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노즐부를 각각 승강시키는 제 1 및 제 2 노즐 승강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1 노즐부와 상기 제 2 노즐부는 상기 기판 안치부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노즐부에 각기 상기 제 1 및 제 2 공정 가스를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공정 가스 공급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노즐부를 통해 배기하는 제 1 및 제 2 배기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크레인부는 상기 챔버의 상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레일과; 상기 레일 상에서 활주되는 활주 플레이트와; 상기 활주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윈치와; 일단이 상기 가스 노즐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윈치에 연결되어 상기 윈치의 작동에 의해 상기 가스 노즐부를 승강시키는 와이어를 포함한다.
상기 가열부는 상기 챔버의 상기 제 2 관통홀에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된 가열 몸체부와; 상기 챔버 내측으로 돌출된 상기 가열 몸체부의 실장 공간에 마련된 복수의 가열 수단와; 상기 가열 몸체부를 승강시켜 상기 챔버의 상기 제 2 관통홀 에 탈착시키는 가열 이동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복수의 가열 수단으로 램프 히터를 사용하고, 상기 실장 공간 상측을 차폐하여 상기 램프 히터를 보호하는 윈도우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기판 이송부는 적어도 상기 가스 노즐부의 좌측과 우측에 각기 연장 배치된 좌측 기판 이송부와 우측 기판 이송부를 구비하고, 상기 좌측 및 우측 기판 이송부 각각은, 전후 방향으로 이동력을 제공하는 전후 이동부와; 상기 전후 이동부의 이동력을 상기 기판 이송부에 제공하는 연결부와; 상기 전후 이동부를 감싸는 커버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기판 이송부는 일부가 상기 챔버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커버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기판 안치부의 일측면에 접속 연장된 하측 연결판과, 상기 하측 연결판에서 연장되어 상기 전후 이동부에 접속된 상측 연결판을 구비하고, 상기 상측 연결판에는 레이저 빛이 통과하는 절개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빔 공급부는 상기 레이저 빔을 방출하는 빔 방출부와, 상기 빔 방출부의 대향하는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레이저 빔의 에너지를 흡수하는 빔 소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공정 가스가 상기 레이저 빔에 의해 나노 입자로 분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처리 시스템은 화학 기상 증착과 레이저 반응성 증착을 통해 기판 상에 적어도 2층의 박막층을 연속적으로 동시에 증착하는 증착 장치와; 기판을 소정의 온도까지 예열시키는 예열 장치와; 복수의 기판이 저장되는 로드락 장치와; 상기 예열 장치, 증착 장치, 및 상기 로드락 장치에 각기 접속되어 이들 간에 기판을 이동시키는 이송 장치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증착 장치는, 내부 공간을 갖고, 상측면과 하측면에는 각기 제 1 및 제 2 관통홀이 형성되는 챔버와; 상기 챔버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는 기판 안치부와; 상기 챔버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기판 안치부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판 이송부와; 상기 제 1 관통홀에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이동하는 기판 안치부 상에 위치한 기판에 제 1 공정 가스와 제 2 공정 가스를 각기 분사하는 가스 노즐부와; 상기 제 2 관통홀에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가스 노즐부 하측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기판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제 2 공정 가스가 분사되는 공간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빔 공급부와; 상기 가스 노즐부를 수직 및 수평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 1 관통홀에 탈착시키는 크레인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하는 기판상에 서로 다른 증착법을 통해 서로 다른 막질의 박막층을 단일 챔버로 증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일 챔버로 복수의 박막층을 연속적으로 형성하여 설비단순화는 물론 제작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 기상 증착법으로 제 1 박막층을 기판 전면에 순차적으로 형성하고, 제 1 박막층이 형성되는 동안 연속하여 레이저 반응성 증착법으로 제 1 박막층 상에 제 2 박막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이저 반응성 증착법으로 공정 가스를 나노 입자로 분해하고, 이 나노 입자로 박막층을 형성하여 양질의 균일한 박막층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스 노즐부와 가열부를 챔버와 착탈 가능하도록 배치하여 챔버의 유지 보수는 물론 가스 노즐부와 가열부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크레인부를 이용하여 손쉽게 챔버에서 가스 노즐부를 착탈시킬 수 있어 챔버 및 가스 노즐부의 세정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가의 기판 상에 실리콘 함유 절연막을 형성하고, 그 상측에 실리콘막을 증착하여 이를 실리콘 기판으로 사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실리콘 기판의 제작 단가를 낮출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 처리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2 내지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증착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개념도들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판 처리 시스템은 화학 기상 증착과 레이저 반응성 증착을 통해 기판(10) 상에 적어도 2층의 박막층을 연속적으로 동시에 증착하는 증착 장치(1000)와; 기판(10)을 소정의 온도까지 예열시키는 예열 장치(2000)와; 복수의 기판(10)이 저장된 로드락 장치(3000)와; 상기 예열 장치(2000), 증착 장치(1000), 및 상기 로드락 장치(3000)에 각기 접속되어 이들 간에 기판(10)을 이동시키는 이송 장치(40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기판 처리 시스템은 이송 장치(4000)를 이용하여 로드락 장치(3000)에 위치한 기판(10)을 예열 장치(2000)로 이동시킨다. 예열 장치(2000)는 기판(10)을 소정의 온도, 예를들어 상기 증착 장치(1000)에서 기판(10)을 원하는 온도까지 용이하게 가열할 수 있도록 공정온도보다 조금 낮은 온도까지 예열시킨다. 그리고, 예열된 기판(10)을 증착 장치(1000)로 이동시킨다. 증착 장치(1000)는 화학 기상 증착과 레이저 반응성 증착을 통해 상기 기판(10) 전면에 제 1 박막층과 제 2 박막층을 동시에 연속적으로 증착한다. 이는 제 1 박막층이 상기 기판(10) 전면에 증착되는 동안 상기 제 2 박막층이 상기 제 1 박막층 상측에 증착됨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박막층을 연속적으로 동시에 기판 상에 증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박막이 형성된 기판(10)은 이송 장치(4000)에 의해 로드락 장치(3000)로 이동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열 장치(2000)는 기판(10)을 증착 장치(1000)에 로딩되기 전 기판(10)을 미리 예열시킴에 따라 고온으로 가열되는 증착 장치(1000)에서 기판(10)의 열손상을 방지하고,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기키기 위한 수단이다. 이를 위하여 예열 장치(2000)는 예열 챔버의 내부에 기판(10)이 안착되는 수단 및 기판을 예열시키는 수단이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로드락 장치(3000)는 복수의 기판(10)을 저장한다. 이때, 로드락 장치(3000)는 박막층이 증착되지 않은 기판(10)을 증착 장치(1000)에 제공한다. 그리고, 기판(10) 상의 박막의 형성이 완료된 기판(10)을 제공받는다.
이송 장치(4000)는 대략 사각형 형상으로 제작된다. 여기서, 도면에서와 같이 이송 장치(4000)의 3면 영역에 각기 증착 장치(1000), 예열 장치(2000) 및 로드락 장치(3000)가 부착된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각형 형상, 원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송 장치(4000)는 기판(10)을 이송하는 이송수단(4100)을 구비한다. 이러한 이송수단(4100)을 통해 로드락 장치(3000)의 기판(10)을 예열 장치(2000)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송 장치(4000)는 예열 장치(1000)에서 예열이 완료된 기판(10)을 증착 장치(1000)로 이송시킨다. 또한, 이송 장치(4000)는 증착 장치(1000)에서 박막이 형성된 기판(10)을 로드락 장치(3000)로 이송시킨다. 여기서, 이송 수단(4100)으로 로봇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이송 장치(4000)의 중심점에 대하여 증착 장치(1000), 예열 장치(2000) 및 로드락 장치(3000)가 각기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로봇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여 각 장치에 기판(1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예열 장치(2000), 로드락 장치(3000) 및 이송 장치(4000)는 이미 널리 알려진 기술로서, 시스템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되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상세한 설 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증착 장치(1000)에 관하여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증착 장치(1000)는 내부 공간을 갖는 챔버(1100)와, 챔버(1100)의 내부 공간에 마련된 기판 안치부(1200)와, 챔버(1100) 내에 마련되어 상기 기판 안치부(1200)를 이동시키는 기판 이송부(1300)와, 상기 이동하는 기판(10)에 화학 기상 증착용 공정 가스와 레이저 반응성 증착용 공정 가스를 각기 독립적으로 분사하는 가스 노즐부(1400)와, 상기 가스 노즐부(1400)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기판(10)을 가열하는 가열부(1500)와, 상기 레이저 반응성 증착용 공정 가스가 분사되는 공간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레이저 반응성 증착을 수행하는 빔 공급부(1600)와, 상기 가스 노즐부(1400)를 권취하여 수직 및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크레인부(1800)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챔버(110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챔버(1100)를 고진공으로 할 수 있다.
챔버(110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사각형 통 형상으로 제작된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통 형상이 가능하다. 즉, 원통 및 다각형통 형상들이 가능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1100)의 일 측면에는 기판(10)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1110)가 마련된다. 그리고, 증착 장치(1000)는 상기 출입구(1110)를 차폐하는 슬랏 밸브(1700) 또는 게이트 밸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증착 장 치(1000)는 슬랏 밸브(1700)를 통해 상기 이송 장치(40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와 같이 챔버(1100)의 상측면과 하측면에는 각기 제 1 및 제 2 관통홀(1120, 1130)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관통홀(1120)에 가스 노즐부(1400)가 삽입 장착되고, 제 2 관통홀(1130)에 가열부(1500)가 삽입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2 관통홀(1120, 1130)이 위치하는 내부 공간 영역 즉, 가스 노즐부(1400)와 가열부(1500)의 사이 공간은 막이 증착되는 반응 공간으로 작용한다. 여기서, 상기의 제 1 및 제 2 관통홀(1120, 1130)을 통해 챔버(1100) 내부의 세정은 물론 내부 유지 보수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관통홀(1120)을 차폐하는 가스 노즐부(1400)는 챔버 리드로 작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관통홀(1130)을 차폐하는 가열부(1500)는 챔버 바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슬랏 밸브(1700)에 의해 상기 출입구(1110)가 차폐되고, 가스 노즐부(1400)에 의해 제 1 관통홀(1120)이 차폐되고, 가열부(1500)에 의해 제 2 관통홀(1130)이 차폐된다. 이를 통해 상기 챔버(1100)의 내부 공간이 밀폐된다. 따라서, 상기 가스 노즐부(1400)와 가열부(1500)는 착탈 및 밀봉 가능하도록 챔버(1100)와 결합된다.
기판 안치부(1200)는 기판(10)의 가장자리 영역을 지지하는 사각 프레임 형태로 제작된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시스템내에서 사용되는 기판(1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 타원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기판 안치부(1200)는 내부가 비어 있는 링 형태의 몸체와 몸체의 가장자리에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돌출부의 안 쪽 면은 하향 경사진 면으로 제작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는 상기 돌출부의 한쪽 영역에 기판(10)이 위치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기판(10)의 가장자리 영역이 몸체의 상측면에 접속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판(10)의 중심 영역은 몸체의 빈 내측 중심 공간에 의해 하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열부(1500)에서 발생되는 복사열이 기판(10)에 직접 전도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기판(10)의 가장자리 영역이 상기 돌출부의 경사진 내측면에 접속될 수도 있다.
이러한 기판 안치부(1200)는 기판 이송부(1300)에 의해 전후 방향은 물론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기판 이송부(1300a, 1300b; 1300)를 통해 기판 안치부(1200)를 잡아 전후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하기에서는 2개의 기판 이송부(1300)를 각기 좌측 기판 이송부(1300a) 및 우측 기판 이송부(1300b)로 정의한다. 즉, 좌측과 우측 기판 이송부(1300a, 1300b)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1100)의 상측 양 모서리 영역에 위치한다. 좌측과 우측 기판 이송부(1300a, 1300b)가 기판 안치부(1200)를 양측에서 지지한다. 이를 통해 반응 공간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고, 기판 안치부(1200)를 반응 공간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기판 이송부(1300) 각각은 전후 이동부(1310)와, 전후 이동부(1310)의 이동력을 상기 기판 이송부(1200)에 제공하는 연결부(1320)와, 상기 전후 이동부(1310)를 감싸는 커버부(1330)와, 상기 커버부(133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부(1340)를 구비한다.
전후 이동부(13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1320)를 전후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즉, 전후 이동부(1310)로 LM 가이드 또는 레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후 이동부(1310)는 모터를 구비하고, 모터의 회전력을 전후 방향의 이동력으로 변경하는 기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연결부(1320)는 기판 안치부(1200)의 일측면에 접속 연장된 하측 연결판(1321)과, 상기 하측 연결판(1321)에서 연장되어 상기 전후 이동부(1310)에 접속된 상측 연결판(1322)을 구비한다. 이때, 하측 연결판(1321)과 상측 연결판(1322)은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상측 연결판(1322)에는 절개홈(1323)이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레이저 빔을 이용하기 때문에 레이저 빔을 통과시키기 위한 절개홈(1323)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측 연결판(1321)와 상측 연결판(1322)이 판 형상이 아닌 얇은 복수의 봉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절개홈(1323)을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연결부(1320)는 기판 안치부(1200)와 전후 이동부(1310)에 각기 연결되어, 전후 이동부(1310)의 전후 이동력을 기판 안치부(120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전후 이동부(1310)에 의해 연결부(1320)이 이동하면 이에 접속된 기판 안치부(1200)도 함께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전후 이동부(1310)는 챔버(1100)의 내부 공간 내에 배치된다. 즉, 공정이 수행되는 챔버(1100) 내부 공간에 전후 이동부(1310)이 위치하는 경우 전후 이 동부(1310)의 기계적인 이동에 의해 미세한 파티클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챔버(1100) 내부의 미반응 가스에 의해 전후 이동부(1310)이 손상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후 이동부(1310)를 커버하여 파티클 발생을 최소화하고, 전후 이동부(131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부(1330)으로 전후 이동부(1310)을 감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부(1330)는 전후 이동부(1310)를 수납할 수 있는 내부 빈 영역을 갖는 통 형상의 몸체로 제작된다. 그리고, 몸체의 하측 바닥면에는 연결부(1320)가 이동하는 절개홈이 형성된다. 이때, 전후 이동부(1310)는 커버부(1330)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커버부(1330)는 상하 이동부(1340)에 의해 상하로 이동한다. 이를 통해 커버부(1330)가 상하로 이동하는 경우 커버부(1330)에 접속된 전후 이동부(1310)가 상하로 이동한다. 또한, 전후 이동부(1310)에 접속된 연결부(1320)가 상하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기판 안치부(1200)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하 이동부(1340)는 상하 이동을 위한 승강력을 형성하는 승강부(1341)와, 상기 승강부(1341)의 승강력을 상기 커버부(1330)에 전송하는 접속축부(1342)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부(1341)가 챔버(1100)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접속축부(1342)가 챔버(1100)의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챔버(1100) 내측에 위치한 커버부(1330)에 접속된다. 이때,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접속축부(1342) 둘레를 따라 벨로우즈와 같은 밀봉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상하 이동부(1340)가 챔버(1100)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하 이동부(1340)는 소정의 커버에 의해 차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기판 이송부(1300)의 상하 운동을 통해 챔버(1100)로 로딩된 기판(10)을 기판 안치부(1200)에 안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기판 이송부(1300)의 전후 운동을 통해 기판(10)이 안치된 기판 안치부(1200)를 챔버(1100) 내의 반응 공간으로 이동시켜 기판(10) 상에 박막을 증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별도의 리프트 핀을 이용하여 기판(10)을 기판 안치부(1200)에 안치시킬 경우 상기 상하 이동부(1340)를 생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이동하는 기판 안치부(1200)의 기판(10)에 제 1 공정 가스와 제 2 공정 가스를 각기 순차적으로 분사한다. 이때, 제 1 공정 가스는 화학 기상 증착용 공정 가스이고, 제 2 공정 가스는 레이저 반응성 증착용 공정 가스이다.
즉, 가스 노즐부(1400)를 이용하여 제 1 공정 가스와 제 2 공정 가스를 반응 공간에 연속적으로 분사한다. 따라서, 반응 공간에서 이동하는 기판(10) 상에는 먼저 제 1 공정 가스에 의해 제 1 박막층이 형성되고, 이어서 제 2 공정 가스에 의해 제 1 박막층 상에 제 2 박막층이 연속하여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공정 가스가 레이저 반응성 증착용 공정 가스이고, 제 2 공정 가스가 화학 기상 증착용 가스일 수 있다. 가스 노즐부(1400)가 제 1 공정 가스와 제 2 공정 가스를 반응 공간으로 분사한다.
가스 노즐부(1400)는 챔버(1100)의 제 1 관통홀(1120)에 탈착 가능하도록 배 치되는 가스 몸체부(1410)와, 반응 공간에 제 1 공정 가스를 분사하는 제 1 노즐부(1420)와, 반응 공간에 제 2 공정 가스를 분사하는 제 2 노즐부(1430)와, 제 1 및 제 2 노즐부(1420, 1430)의 상측에 각기 연결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노즐부(1420, 1430)를 승하강시키는 제 1 및 제 2 노즐 이동부(1440a, 1440b)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노즐부(1420)와 제 2 노즐부(1430)는 가스 몸체부(1410) 내에서 상하로 이동될 수 있게 위치한다. 또한, 제 1 노즐부(1420)와 제 2 노즐부(1430)는 기판 안치부(1200) 즉, 기판(10)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가스 몸체부(1410)는 챔버(1100)의 상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1411)와, 상기 밀착부(1411)에서 연장되어 상기 챔버(1100)의 제 1 관통홀(1120)의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412)를 포함한다. 밀착부(1411)는 제 1 관통홀(1120)의 사이즈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1412)는 제 1 관통홀(1120)의 사이즈와 같거나 작은 것이 효과적이다. 밀착부(1411)의 가장자리 영역의 하측면에는 챔버(1100)와 접속하여 밀봉하는 소정의 밀봉 수단(예를 들어, 오링, 가스켓 등)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가스 몸체부(1410)가 챔버(1100)에 밀착됨으로 인해 챔버(1100)의 상측 영역을 밀봉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노즐부(1420, 1430) 각각은 승하강 가능하도록 제작되어 기판(10)과 제 1 노즐부(1420) 또는 제 2 노즐부(1430)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및 제 2 노즐부(1420, 1430) 각각의 상측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노즐부(1420, 1430)를 승하강시키는 제 1 및 제 2 노즐 이동부(1440a, 1440b)가 연결된다. 이때, 제 1 및 제 2 노즐 이동부(1440a, 1440b)는 가스 몸체부(1410)에 장착된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노즐 이동부(1440a, 1440b)는 승하강력을 생성하는 제 1 및 제 2 노즐 승하강부(1441a, 1441b)와, 제 1 및 제 2 노즐 승하강부(1441a, 1441b)의 승하강력을 제 1 및 제 2 노즐부(1420, 1430) 각각에 제공하는 제 1 및 제 2 노즐 승하강축(1442a, 1442b)을 구비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노즐 이동부(1440a, 1440b)를 이용하여 제 1 및 제 2 노즐부(1420, 1430) 각각을 승하강 시킴으로써, 기판(10)과 제 1 노즐부(1420) 또는 제 2 노즐부(1430) 사이의 이격 거리를 각각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제 1 및 제 2 노즐부(1420, 1430)는 각각의 이동부(1440a, 1440b)에 의해 독립적으로 승하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판(10)과 제 1 노즐부(1420) 또는 제 2 노즐부(1430)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박막의 증착 속도 및 막두께를 제어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노즐 이동부(1440a, 1440b)는 제 1 및 제 2 노즐부(1420, 1430)를 승하강 시킬 수 있는 수단이라면 어떠한 수단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나, 예를 들어 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및 제 2 승하강축(1442a, 1442b) 각각에 승하강력을 제공하는 2개의 승하강부(1441a, 1441b)를 마련하였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승하강부를 마련하여, 상기 승하강부를 통해 제 1 및 제 2 승하강축(1442a, 1442b)에 승하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 1 노즐부(14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노즐 몸체(1425)와, 제 1 노즐 몸체(1425)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제 1 공정 가스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공정 가스 노즐(1421)과, 제 1 공정 가스 노즐(1421) 양측에 각기 마련 된 복수의 제 1 커튼 가스 노즐(1422)과, 복수의 제 1 커튼 가스 노즐(1422)의 외측에 각기 마련된 복수의 제 1 배기홈(1423)과, 제 1 공정 가스 노즐(1421), 복수의 제 1 커튼 가스 노즐(1422) 및 복수의 제 2 배기홈(1423)의 사이 공간을 연결하도록 배치되고, 냉각수가 흐르는 냉각 유로(1424)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공정 가스 노즐(1421)은 제 1 공정 가스 공급부(1450a)에 연통되고, 복수의 제 1 커튼 가스 노즐(1422)은 제 1 커튼 가스 공급부(1460a)에 연통된다. 그리고, 복수의 제 1 배기홈(1423)은 제 1 배기부(1470a)에 연통된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 1 냉각 유로(1424)의 일단부는 제 1 냉각수 공급부(미도시)와 연통되고, 다른 일단부는 제 1 냉각수 배출부(미도시)와 연통된다.
이를 통해, 제 1 공정 가스 공급부(1450a)를 통해 제 1 공정 가스 노즐(1421)에 제공된 제 1 공정 가스는 기판(10)에 분사된다. 이때, 제 1 공정 가스로 반응 가스와 원료 가스를 각기 사용하는 경우, 제 1 공정 가스 노즐(1421)은 반응 가스 분사 노즐(미도시)과 원료 가스 분사 노즐(미도시)로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공정 가스 공급부(1450a) 또한, 원료 가스 공급부(미도시)와 반응 가스 공급부(미도시)로 분리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응 가스와 원료 가스를 외부에서 혼합한 다음 제 1 공정 가스 노즐(1421)에 반응 가스와 원료 가스가 혼합된 제 1 공정 가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원료 가스와 반응 가스의 화학적 반응에 의해 발생된 제 1 공정 가스는 이동하는 기판(10) 상에 증착되어 제 1 박막층을 형성한다. 이때 제 1 커튼 가스 공급부(1460a)를 통해 복수의 제 1 커튼 가스 노즐(1422)에 제공된 커튼 가스는 외부의 기체가 제 1 공정 가스가 분사되는 영역으로 침입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커튼 가스에 의해 외부의 기체가 제 1 공정 가스가 분사되는 영역에 유입되지 않음에 따라, 막질이 좋은 제 1 박막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 1 커튼 가스 노즐(1422)의 양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배기홈(1423)은 증착되지 못한 제 1 공정 가스 및 제 1 커튼 가스를 배기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제 1 공정 가스 및 커튼 가스가 넓게 퍼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냉각 유로(1424)를 통해 흐르는 냉각수는 제 1 공정 가스 노즐(1421), 복수의 제 1 커튼 가스 노즐(1422) 및 제 1 배기홈(1423)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냉각 유로(1424)에 의해 제 1 공정 가스 노즐(1421), 복수의 제 1 커튼 가스 노즐(1422) 및 복수의 제 1 배기홈(1423)이 쿨링됨에 따라 고온에서도 증착 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
제 2 노즐부(14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노즐 몸체(1435)와, 제 2 노즐 몸체(1435)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제 2 공정 가스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공정 가스 노즐(1431)과, 제 2 공정 가스 노즐(1431) 양측에 각기 마련된 복수의 제 2 커튼 가스 노즐(1432)과, 복수의 제 2 커튼 가스 노즐(1432)의 외측에 각기 마련된 복수의 제 2 배기홈(1433)과, 제 2 공정 가스 노즐(1431), 복수의 제 2 커튼 가스 노즐(1432) 및 복수의 제 2 배기홈(1433)의 사이 공간을 연결하도록 배치되고, 냉각수가 흐르는 냉각 유로(1434)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2 공정 가스 노즐(1431)은 제 2 공정 가스 공급부(1450b)에 연통되고, 제 2 커튼 가스 노즐(1432)은 제 2 커튼 가스 공급부(1460b)에 연통된다. 그리고, 제 2 배기홈(1433) 은 제 2 배기부(1470b)에 연통된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 2 냉각 유로(1434)의 일단부는 제 2 냉각수 공급부(미도시)와 연통되고, 다른 일단부는 제 2 냉각수 배출부(미도시)와 연통된다.
따라서, 제 2 공정 가스 공급부(1450b)를 통해 제 2 공정 가스 노즐(1431)에 제공된 제 2 공정 가스는 상기 제 2 공정 가스 노즐(1431) 하측의 반응 공간에 분사된다. 이때, 분사된 제 2 공정 가스는 레이저 빔과 반응하여(예를 들어, 레이저 빔에 의해 분해되어) 나노 입자를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된 나노 입자가 이동하는 기판(10) 상에 증착하여 제 2 박막층을 형성하게 된다. 커튼 가스 공급부(1460b)를 통해 제 2 커튼 가스 노즐(1432)에 제공된 커튼 가스는 외부의 기체가 제 2 공정 가스가 분사되는 영역으로 침입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커튼 가스에 의해 외부의 기체가 제 2 공정 가스가 분사되는 영역에 유입되지 않음에 따라 막질이 좋은 제 2 박막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 2 커튼 가스 노즐(1432)의 양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배기홈(1433)은 증착되지 못한 제 2 공정 가스 및 제 2 커튼 가스를 배기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제 2 공정 가스 및 커튼 가스가 넓게 퍼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제 2 냉각 유로(1434)를 통해 흐르는 냉각수는 제 2 공정 가스 노즐(1431), 복수의 제 2 커튼 가스 노즐(1432) 및 제 2 배기홈(1433)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제 2 냉각 유로(1434)에 의해 제 2 공정 가스 노즐(1431), 복수의 제 2 커튼 가스 노즐(1432) 및 복수의 제 2 배기홈(1433)이 쿨링됨에 따라 고온에서도 증착 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레이저 빔을 통해 한정된 공간 내에서 제 2 공정 가스를 반응시킬 수 있다. 즉, 레이저 빔(즉, 광빔)을 통해 가스가 반응하는 영역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나노 분말 형태의 증착이 수행됨으로 인해 균일한 박막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레이저 빔에 의한 분해는 레이저 복사(즉, 열)분해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기판(10)은 제 2 분사 노즐(1431) 하측을 통과하여 이동한다. 따라서, 기판(10) 전면에 제 2 박막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판(10)의 이동 속도, 제 1 공정 가스의 분사 속도, 레이저 빔의 세기 그리고, 기판(10)의 가열 온도에 따라 제 2 박막층의 증착율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빔 공급부(1600)는 레이저 빔을 방출하는 빔 방출부(1610)와, 빔 방출부(1610)의 반대편에 위치하여 빔의 에너지를 흡수하는 빔 소거부(1620)를 구비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 방출부(1610)의 일측이 챔버(1100) 내측으로 돌출되어 레이저 빔을 제 2 노즐부(1430)의 제 2 공정 가스 노즐(1431)의 하측 영역으로 조사한다. 이를 통해, 제 2 공정 가스 노즐(1431)에서 분사되는 제 2 공정 가스는 그 하측 영역에서 레이저 빔에 의해 나노 입자로 분해한다. 빔 소거부(1620)의 일부도 챔버(1100) 내측으로 돌출되어 제 2 공정 가스 분해 이후 진행하는 레이저 빔을 소거한다.
이때, 빔 방출부(161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레이저 생성부와, 레이저 생성부의 광을 포커싱하여 빔을 생성하는 광학계와, 상기 챔버(1100) 내측에 마련된 윈도우를 구비한다. 이때, 광학계는 적어도 하나의 볼록 렌즈를 구비한다. 여기서, 레이저 생성부로 CO2 레이저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빔 소거부(1620)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레이저 빔을 분사시키는 광학계와, 분산된 레이저 광을 흡수하는 광 흡수부와, 광 흡수부를 냉각시키는 냉각부 그리고, 챔버(1100) 내측에 마련된 윈도우를 구비한다. 상기 광학계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 렌즈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기판(10) 표면에 나노 입자를 증착시켜 제 2 박막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판(10)에 제 1 공정 가스를 분사하여 제 1 박막층을 형성하고, 제 2 공정 가스와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제 2 박막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기판(10)이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가스 노즐부(1400) 하측 영역(즉, 반응 공간 영역)에 마련된 가열부(1500)를 두어 이동하는 기판(10)을 가열한다.
가열부(1500)는 챔버(1100)의 제 2 관통홀(1130)에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가열 몸체부(1510)와, 상기 챔버(1100) 내측으로 돌출된 가열 몸체부(1510)에 마련된 실장 공간(1513)에 마련된 복수의 가열 수단(1520)과, 상기 가열 몸체부(1510)를 승강시켜 챔버(1100)의 제 2 관통홀(1130)에 탈착시키는 가열 이동부(1530)를 포함한다. 그리고, 가열 몸체부(1510)의 실장 공간 상측을 덮어 상기 가열 수단(1520)을 보호하는 윈도우부(1540)를 더 구비한다.
가열 몸체부(1510)는 챔버(1100)의 하측면(즉, 바닥면)에 밀착되는 가열 밀 착부(1511)와, 상기 가열 밀착부(1511)에서 연장되어 상기 챔버(1100)의 제 2 관통홀(1130) 내측(즉, 반응 공간)으로 돌출된 가열 돌출부(1512)와, 상기 가열 돌출부(1512)의 상측 영역에 마련된 실장 공간(1513)을 구비한다. 실장 공간(1513)은 가열 돌출부(1512)의 중앙 영역이 리세스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열 밀착부(1511)는 제 2 관통홀(1130)의 사이즈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돌출부(1512)는 제 2 관통홀(1130)의 사이즈와 같거나 작은 것이 효과적이다. 가열 밀착부(1511)의 가장자리 영역의 하측면에는 챔버(1100)와 접속하여 밀봉하는 소정의 밀봉 수단(예를 들어, 오링, 가스켓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열 몸체부(1510)가 챔버(1100)에 밀착됨으로 인해 챔버(1100)의 하측 영역(즉, 바닥면)을 밀봉할 수 있다.
여기서, 가열 몸체부(1510)는 가열 이동부(1530)에 의해 승강한다.
가열 이동부(1530)는 승하강력을 생성하는 가열 승하강부(1531)와, 가열 승하강부(1531)의 승하강력을 상기 가열 몸체부(1510)에 제공하는 가열 승하강축(1532)을 구비한다. 여기서, 가열 이동부(1530)로 실린더를 사용하거나 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열 몸체부(1510)의 실장 공간(1513) 내측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가열 수단(1520)이 마련된다. 가열 수단(1520)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램프 히터를 사용한다. 즉, 실장 공간(1513) 내에 복수의 램프 히터를 배치시킨다. 이때, 램프 히터는 복사열을 이용하여 그 상측의 물체를 가열한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기 히터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실장 공간(1513) 상측에는 가열 수단(1520)을 보호하기 위한 윈도우부(1540)이 배치된다. 윈도우부(1540)는 복사열을 투과시키는 물질로 제작된다. 바람직하게는 유리 또는 석영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를 통해 가열 수단(1520)의 복사열의 손실없이 오염되기 쉬운 가열 수단(1520)을 보호할 수 있다. 이는 챔버(1100) 내측으로 돌출된 가열부(1500)에 의해 가열 수단(1520) 또한 챔버(1100) 내측 공간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가열부(1500)를 통해 본 실시예에서는 기판 이송부(1300)에 의해 이동하는 기판(10)을 300 내지 1200도의 온도 범위 내에서 가열을 할 수 있다. 상기 가열 온도는 기판(10) 상에 증착될 박막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스 노즐부(1400)는 챔버(1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크레인부(1800)에 의해 일체로 권취되어 수직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챔버(1100)의 제 1 관통홀(1120)에 탈착되어 제 1 관통홀(1120) 영역 외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크레인부(1800)는 상기 챔버(1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레일(1810)과; 상기 레일(1810) 상에서 활주되는 활주 플레이트(1820)와; 상기 활주 플레이트(1820)에 구비되는 윈치(1830)와; 상기 윈치(1830)의 작동에 의해 상기 가스 노즐부(1400)를 승강시키는 와이어(1840)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레일(1810)은 상기 챔버(1100)의 제 1 관통홀(1120)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상기 챔버(1100)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활주 플레이트(1820)는 상기 레일(1810)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 고, 그 상면에 상기 윈치(1830), 와이어(1840) 및 상기 와이어(1840)가 지지되는 지주(1850)가 설치되는 공간을 마련한다. 상기 활주 플레이트(1820)는 상기 레일(1810)을 따라 활주되는 수단이라면 어떠한 수단이라도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레일(1810)을 따라 가이드 되어 이동되는 LM 가이드를 사용하였다.
상기 지주(1850)는 상기 활주 플레이트(1820)의 상면에 입설되어 상기 와이어(1840)를 지지한다. 이때 상기 지주(1850)는 활주 플레이트(1820)에서 수직으로 입설된 다음 상기 챔버(1100)의 제 1 관통홀(1120)을 향하여 수평으로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지주(1850)의 소정 위치, 예를 들어 단부 및 중간부분에는 상기 와이어(1840)가 직접 지지되는 다수개의 폴리(1851)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물론 상기 지주(1850)는 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와이어(1840)를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1840)는 일단이 상기 가스 노즐부(14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윈치(1830)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1840)의 일단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후크가 구비되어 가스 노즐부(1400)에 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가스 노즐부(1400)의 상면에는 상기 와이어(1840)를 연결시키기 위하여 상기 후크가 연결되는 연결 프레임(1480)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 프레임(1480)은 상기 가스 몸체부(1410)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윈치(1830)는 모터(미도시)의 동작에 의해 드럼(1831)을 회전시켜 와이어(1840)를 감거나 풀어주는 장치로서, 상기 와이어(1840)를 감거나 풀어줄 수 있 으면 어떠한 구성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이에, 전술했던 바와 같이 가스 노즐부(1400)가 윈치(1830)의 작용에 의해 와이어(1840)가 감기면서 제 1 관통홀(1120)의 상측으로 승강하면, 활주 플레이트(1820)를 이용하여 가스 노즐부(1400) 전체를 수평이동시킨다. 이때, 가스 노즐부(1400)를 제 1 관통홀(1120) 영역 외측, 바람직하게는 챔버(1100) 영역을 벋어나도록 이동시킨다. 이로 인해, 가스 노즐부(1400)는 챔버(1100)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며, 상기 제 1 관통홀(1120)은 완전히 개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챔버(1100)의 내부 뿐만 아니라 가스 노즐부(1400)의 유지 보수 작업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증착 장치(1000)에 유입된 기판(10)은 기판 이송부(1300)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동하는 기판(10)은 가스 노즐부(1400)와 빔 공급부(1600)에 의해 기판(10) 상에 제 1 박막층과 제 2 박막층이 연속하여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증착 장치(1000)를 통해 제 1 및 제 2 박막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크레인부(1800)의 윈치(1830)를 작동하여 가스 몸체부(1410)를 하강시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스 몸체부(1410)가 챔버(1100)의 제 1 관통홀(1120)을 완전히 밀폐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노즐 이동부(1440a, 1440b)를 이용하여 제 1 노즐부(1420) 또는 제 2 노즐부(1430) 각각을 승강 또는 하강시켜 기판(10)과 제 1 및 제 2 노즐부(1420, 1430)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한다. 이어서, 증착 장치(1000) 내의 기판 이송부(1300)를 이용하여 기판(10)이 안착된 기판 안착부(1200)를 제 1 노즐부(1420)의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제 1 노즐부(1420)를 통해 제 1 공정 가스(예를 들어, SiH4, NH4 및 N2 가스)를 기판(10)의 앞쪽 영역 상에 분사한다. 이때, 기판(10)은 가열부(1600)에 의해 고온(약 600도 이상)으로 가열된다. 따라서, 기판(10)의 앞쪽 영역은 열에 의해 제 1 공정 가스가 반응하여 기판(10) 상면에, 예를 들어 SiNx층으로 이루어진 제 1 박막층이 형성된다. 계속하여 기판(10)이 진행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 기판(10)의 중간 쪽 영역(즉, 진행 방향의 중심 영역)이 가스 노즐부(1400)의 제 1 노즐부(1420)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로 인해, 기판(10) 상면에 SiNx층이 형성된다. 그리고 기판(10)을 계속하여 이송시키면, SiNx층이 형성된 기판(10)의 앞쪽 영역이 제 2 노즐부(1430)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제 2 노즐부(1430)는 제 2 공정 가스(예를 들어 SiH4)를 분사한다. 분사된 제 2 공정 가스는 레이저빔에 의해 분해되어 Si 나노 입자를 생성한다. 그리고 Si 나노 입자가 SiNx층 상면에 부착되어 Si층으로 이루어진 제 2 박막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기판(10)을 일 방향으로 이동시켜 화학 기상 증착법으로 기판(10)의 전면에 순차적으로 SiNx로 이루어진 제 1 박막층을 형성한다. 그리고, 기판(10) 이동에 의해 기판(10) 상에 형성된 제 1 박막층 상면에 레이저 반응성 증착법으로 Si층으로 이루어진 제 2 박막층을 연속해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과정으로 기판(10)의 처리가 이루어졌다면, 크레인부(1800)를 이용하여 챔버(1100)에서 가스 노즐부(1400)를 분리함에 따라 챔버(1100) 및 가스 노즐부(1400)의 세정 및 보수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부(1800)의 윈치(1830)를 이용하여 와이어(1840)를 감음에 따라 가스 몸체부(1410)를 승강시킨다. 이때, 챔버(1100)의 제 1 관통홀(1120)이 개방될 수 있도록 가스 몸체부(1410)를 승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주 플레이트(1820)를 레일(1810) 상에서 활주시켜 가스 노즐부(1400)가 제 1 관통홀(1120) 영역 외측으로 이탈되도록 이동시킨다. 이때, 가스 노즐부(1400)를 챔버(1100) 영역을 완전히 벋어나도록 이동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로 인해, 제 1 관통홀(1120)은 완전히 개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증착 공정이 종료된 후, 작업자가 챔버(1100) 내부 뿐만 아니라 가스 노즐부(1400)의 유지 보수 작업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후술되는 측허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은 다양하게 번형 및 수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 처리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2 내지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증착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0 : 증착 장치 1100: 챔버
1200: 기판 안치부 1300: 기판 이송부
1400 : 가스 노즐부 1500: 가열부
1600: 빔 공급부 1800 : 크레인부

Claims (13)

  1. 내부 공간을 갖고, 상측면과 하측면에는 각기 제 1 및 제 2 관통홀이 형성되는 챔버와;
    상기 챔버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는 기판 안치부와;
    상기 챔버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기판 안치부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판 이송부와;
    상기 제 1 관통홀에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이동하는 기판 안치부 상에 위치한 기판에 제 1 공정 가스와 제 2 공정 가스를 각기 분사하는 가스 노즐부와;
    상기 제 2 관통홀에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가스 노즐부 하측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기판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제 2 공정 가스가 분사되는 공간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빔 공급부와;
    상기 가스 노즐부를 수직 및 수평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 1 관통홀에 탈착시키는 크레인부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스 노즐부는,
    상기 챔버의 상기 제 1 관통홀에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가스 몸체부와;
    상기 제 1 공정 가스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분사 노즐과 상기 제 1 분사 노즐 양측에 각기 마련된 복수의 제 1 배기홈을 포함하는 제 1 노즐부와;
    상기 제 2 공정 가스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분사 노즐과 상기 제2 분사 노즐 양측에 각기 마련된 복수의 제 2 배기홈을 포함하는 제 2 노즐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노즐부를 각각 승강시키는 제 1 및 제 2 노즐 승강부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노즐부와 상기 제 2 노즐부는 상기 기판 안치부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기판 처리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노즐부에 각기 상기 제 1 및 제 2 공정 가스를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공정 가스 공급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노즐부를 통해 배기하는 제 1 및 제 2 배기부를 더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부는,
    상기 챔버의 상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레일과;
    상기 레일 상에서 활주되는 활주 플레이트와;
    상기 활주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윈치와;
    일단이 상기 가스 노즐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윈치에 연결되어 상기 윈치의 작동에 의해 상기 가스 노즐부를 승강시키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챔버의 상기 제 2 관통홀에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된 가열 몸체부와;
    상기 챔버 내측으로 돌출된 상기 가열 몸체부의 실장 공간에 마련된 복수의 가열 수단과;
    상기 가열 몸체부를 승강시켜 상기 챔버의 상기 제 2 관통홀에 탈착시키는 가열 이동부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열 수단으로 램프 히터를 사용하고,
    상기 실장 공간 상측을 차폐하여 상기 램프 히터를 보호하는 윈도우부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판 이송부는 적어도 상기 가스 노즐부의 좌측과 우측에 각기 연장 배치된 좌측 기판 이송부와 우측 기판 이송부를 구비하고,
    상기 좌측 및 우측 기판 이송부 각각은,
    전후 방향으로 이동력을 제공하는 전후 이동부와;
    상기 전후 이동부의 이동력을 상기 기판 이송부에 제공하는 연결부와;
    상기 전후 이동부를 감싸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기판 이송부는 일부가 상기 챔버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커버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기판 안치부의 일측면에 접속 연장된 하측 연결판과, 상기 하측 연결판에서 연장되어 상기 전후 이동부에 접속된 상측 연결판을 구비하고, 상기 상측 연결판에는 레이저 빛이 통과하는 절개홈이 마련된 기판 처리 장치.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빔 공급부는 상기 레이저 빔을 방출하는 빔 방출부와, 상기 빔 방출부의 대향하는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레이저 빔의 에너지를 흡수하는 빔 소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공정 가스가 상기 레이저 빔에 의해 나노 입자로 분해되는 기판 처리 장치.
  12. 화학 기상 증착과 레이저 반응성 증착을 통해 기판 상에 적어도 2층의 박막층을 연속적으로 동시에 증착하는 증착 장치와;
    기판을 소정의 온도까지 예열시키는 예열 장치와;
    복수의 기판이 저장되는 로드락 장치와;
    상기 예열 장치, 증착 장치, 및 상기 로드락 장치에 각기 접속되어 이들 간에 기판을 이동시키는 이송 장치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시스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증착 장치는,
    내부 공간을 갖고, 상측면과 하측면에는 각기 제 1 및 제 2 관통홀이 형성되는 챔버와;
    상기 챔버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는 기판 안치부와;
    상기 챔버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기판 안치부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판 이송부와;
    상기 제 1 관통홀에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이동하는 기판 안치부 상에 위치한 기판에 제 1 공정 가스와 제 2 공정 가스를 각기 분사하는 가스 노즐부와;
    상기 제 2 관통홀에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가스 노즐부 하측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기판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제 2 공정 가스가 분사되는 공간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빔 공급부와;
    상기 가스 노즐부를 수직 및 수평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 1 관통홀에 탈착시키는 크레인부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시스템.
KR1020080134932A 2008-12-26 2008-12-26 기판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처리 시스템 KR101000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932A KR101000908B1 (ko) 2008-12-26 2008-12-26 기판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932A KR101000908B1 (ko) 2008-12-26 2008-12-26 기판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6769A KR20100076769A (ko) 2010-07-06
KR101000908B1 true KR101000908B1 (ko) 2010-12-13

Family

ID=42638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4932A KR101000908B1 (ko) 2008-12-26 2008-12-26 기판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09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0466A (ko) * 2013-05-29 2014-12-09 (주)브이앤아이솔루션 박막 증착 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리니어소스
KR102010477B1 (ko) * 2013-06-12 2019-08-13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박막 증착 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리니어소스
WO2015130138A1 (ko) * 2014-02-27 2015-09-03 (주)브이앤아이솔루션 얼라이너 구조 및 얼라인 방법
KR20150101906A (ko) * 2014-02-27 2015-09-04 (주)브이앤아이솔루션 얼라이너 구조 및 얼라인 방법
KR102406754B1 (ko) * 2014-11-20 2022-06-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잉크젯 프린트 장치 및 잉크젯 프린트 방법
KR102334112B1 (ko) * 2014-11-20 2021-12-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잉크젯 프린트 장치 및 잉크젯 프린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6769A (ko) 2010-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0908B1 (ko) 기판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처리 시스템
CN110494968B (zh) 用于制造半导体装置的设备和方法
CN110323156A (zh) 衬底处理设备和方法
US20120171632A1 (en) Device and treatment chamber for thermally treating substrates
TWI676207B (zh) 用於光激發製程之設備
CN1643322A (zh) 热处理系统和可成形的垂直腔
CN103456661A (zh) 用于半导体的uv固化系统
KR101043009B1 (ko) 실리콘 도트 형성방법 및 장치 및 실리콘 도트 및 절연막부착 기판의 형성방법 및 장치
US20230098442A1 (en) Support Plate for Localized Heating in Thermal Processing Systems
EP1348483A1 (en) Excimer uv photo reactor
KR101680291B1 (ko) 증착 장치 및 증착 방법
KR101099735B1 (ko) 기판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처리 방법
KR101031315B1 (ko) 기판 처리 시스템
KR20160075344A (ko)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TWI422045B (zh) Cigs太陽能電池製程之設備及方法
KR101912886B1 (ko) 가스 분사 장치, 이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설비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처리 방법
US20220195601A1 (en) Workpiece Processing Apparatus with Gas Showerhead Assembly
KR101063245B1 (ko) 분사 유닛 및 증착 장치
CN102191486B (zh) 激光加工装置
US11837447B2 (en) Workpiece processing apparatus with plasma and thermal processing systems
US20130284097A1 (en) Gas distribution module for insertion in lateral flow chambers
KR101031316B1 (ko) 가열 장치 및 기판 처리 장치
KR101413525B1 (ko)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KR101064873B1 (ko) 기판 처리 장치 및 방법
JP2004282099A (ja) 基板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