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0804B1 - 고압배전반용 부스바 고정클램프 - Google Patents

고압배전반용 부스바 고정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0804B1
KR101000804B1 KR1020100086383A KR20100086383A KR101000804B1 KR 101000804 B1 KR101000804 B1 KR 101000804B1 KR 1020100086383 A KR1020100086383 A KR 1020100086383A KR 20100086383 A KR20100086383 A KR 20100086383A KR 101000804 B1 KR101000804 B1 KR 101000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bar
bus bar
epoxy insulator
clamp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6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복현
Original Assignee
동일산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일산전(주) filed Critical 동일산전(주)
Priority to KR1020100086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08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0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0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14Supporting insulators
    • H01B17/16Fastening of insulators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14Supporting insulators
    • H01B17/18Supporting insulators for very heavy conductors, e.g. bus-bars, ra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4Parti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ducts and adapted for sliding or rolling current col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Bus-B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배전반용 부스바 고정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폭시 애자에 부스바가 고정되도록 결합시킴으로써, 종래의 에폭시 애자에 부스바를 고정하기 위해 형성된 홀가공을 부스바에 하지 않아 에폭시 애자에 부스바를 고정하기가 쉬우며 부스바의 단면적 손실이 없어 에폭시 애자에 부스바를 고정하기가 쉬우며, 상기 부스바의 통전전류 용량이 증가하고, 상기 부스바의 재사용이 가능하며, 그로 인해 제조비용 및 인력손실을 절감하고, 상기 고정클램프가 에폭시 애자가 연결된 상태에서 부스바에 탈부착이 용이하여 에폭시 애자의 위치를 원하는 부스바의 위치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고압배전반용 부스바 고정클램프{High-tension distributing board of Busbar Clamp}
본 발명은 고압배전반용 부스바 고정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폭시 애자에 부스바가 고정되도록 결합시킴으로써, 종래의 에폭시 애자에 부스바를 고정하기 위해 형성된 홀가공을 부스바에 하지 않아 에폭시 애자에 부스바를 고정하기가 쉬우며 부스바의 단면적 손실이 없어 에폭시 애자에 부스바를 고정하기가 쉬우며, 상기 부스바의 통전전류 용량이 증가하고, 상기 부스바의 재사용이 가능하며, 그로 인해 제조비용 및 인력손실을 절감하고, 상기 고정클램프가 에폭시 애자가 연결된 상태에서 부스바에 탈부착이 용이하여 에폭시 애자의 위치를 원하는 부스바의 위치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고압배전반용 부스바 고정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배전반은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의 전력을 안전하게 부하에 공급하기 위한 전기설비로써, 외부와 차단된 상태로 변전실의 기초대에 설치된다.
이렇듯, 상기 배전반은 전기 수요가 나날이 증가하고 전기설비가 첨단화 대형화되는 추세여서 배전반의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상기 배전반은 발전소, 변전소 등의 운전 및 제어, 전동기의 운전을 수행하기 위하여 한전과 같은 전력회사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분배하거나, 전력을 필요로 하는 공장, 빌딩, 병원, APT단지 및 각종 산업 시설 등에 설치되어 전력회사로부터 공급되는 특별고압(특고압)의 전력을 실제 사용하는 각종 설비 및 장비의 정격에 맞는 낮은 전압 및 정격 용량(고압 또는 저압)으로 변환하여 분배하는 설비이다.
이와 같은 배전반은 다양한 형태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하나의 배전반이 독립적으로 전력회사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분배하게 되거나, 주배전반과 부속배전반을 포함하는 다수개의 배전반이 서로 결합되어 전력회사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분배하게 된다.
이러한, 배전반은 케이스 내에 주 차단기와 보조 차단기 및 변환장치 등의 각종 유니트가 설치되고 그 유니트 들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장치로, 건물 등의 옥내 배선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배분하여 옥내의 각 요소로 재공급함과 동시에 전력공급을 개폐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배전반에는 각각의 유니트들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분배하기 위한 다수개의 부스바(bus-bar)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부스바는 일측이 주 차단기의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전력을 유도하는 모선 부스바와, 상기 모선 부스바에 연결되어 분배받은 전력을 각각의 보조 차단기 및 변환기에 공급하는 자선 부스바로 구성되며, 상기 자선 부스바에는 모선 부스바에 접속하여 전력을 분배받기 위한 연결구가 구비되어 있다.
그런데, 현재 1개의 배전반에 많게는 약 20개 정도의 에폭시(epoxy) 애자가 부스바에 설치되는데, 상기 1개의 애자당 2개의 고정홀을 부스바에 가공하여 취부함으로써, 제조인건비 상승과 모선부스바의 단면적 손실로 인한 통전전류 저하로 정격용량보다 규격이 큰 동부스바를 사용해야하고, 그로 인해 배전반의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에폭시 애자에 부스바가 고정되도록 결합시킴으로써, 종래의 에폭시 애자에 부스바를 고정하기 위해 형성된 홀가공을 부스바에 하지 않아 에폭시 애자에 부스바를 고정하기가 쉬우며 부스바의 단면적 손실이 없어 에폭시 애자에 부스바를 고정하기가 쉬우며, 상기 부스바의 통전전류 용량이 증가하고, 상기 부스바의 재사용이 가능하며, 그로 인해 제조비용 및 인력손실을 절감하는 고압배전반용 부스바 고정클램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고정클램프가 에폭시 애자가 연결된 상태에서 부스바에 탈부착이 용이하여 에폭시 애자의 위치를 원하는 부스바의 위치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고압배전반용 부스바 고정클램프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배전반에 공급된 전력을 상기 배전반 내부로 구비되는 각 장치로 분배하기 위하여 부스바에 에폭시 애자를 연결하는 고압배전반용 부스바 고정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애자의 상측면에 형성된 연결부가 삽입되도록 삽입홀이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는 하단면과;
상기 부스바가 결합되어 내측에 구비되도록 하단면의 양측부에 각각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양측면과;
상기 양측면의 상측부에 각각 상호 대응되는 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양측면 사이에 구비된 부스바의 상부면이 지지되는 상단면과;
상기 상단면이 상호 대응되는 끝단부에 각각 상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부스바가 양측면 사이에 결합시, 부스바의 폭에 따라 양측으로 탄성적으로 벌어지는 가이드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배전반용 부스바 고정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압배전반용 부스바 고정클램프는 에폭시 애자에 부스바가 고정되도록 결합시킴으로써, 종래의 에폭시 애자에 부스바를 고정하기 위해 형성된 홀가공을 부스바에 하지 않아 에폭시 애자에 부스바를 고정하기가 쉬우며 부스바의 단면적 손실이 없어 에폭시 애자에 부스바를 고정하기가 쉬우며, 상기 부스바의 통전전류 용량이 증가하고, 상기 부스바의 재사용이 가능하며, 그로 인해 제조비용 및 인력손실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고정클램프가 에폭시 애자가 연결된 상태에서 부스바에 탈부착이 용이하여 에폭시 애자의 위치를 원하는 부스바의 위치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스바와 에폭시 애자와 고정클램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램프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스바에 연결되는 고정클램프를 나타낸 연결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배전반에 공급된 전력을 상기 배전반 내부로 구비되는 각 장치로 분배하기 위하여 부스바에 에폭시 애자를 연결하는 고압배전반용 부스바 고정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애자의 상측면에 형성된 연결부가 삽입되도록 삽입홀이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는 하단면과;
상기 부스바가 결합되어 내측에 구비되도록 하단면의 양측부에 각각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양측면과;
상기 양측면의 상측부에 각각 상호 대응되는 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양측면 사이에 구비된 부스바의 상부면이 지지되는 상단면과;
상기 상단면이 상호 대응되는 끝단부에 각각 상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부스바가 양측면 사이에 결합시, 부스바의 폭에 따라 양측으로 탄성적으로 벌어지는 가이드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스바와 에폭시 애자와 고정클램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램프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스바에 연결되는 고정클램프를 나타낸 연결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압배전반용 부스바 고정클램프(50)는 스테인리스(STS) 철판소재로 금형 제작하여 하단면(10), 양측면(20), 상단면(30), 가이드대(4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에폭시(EPOXY) 애자(2)와 하나씩 연결된 상태에서 부스바(1)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부스바(1)에 부착되는 에폭시 애자(2)의 위치를 원하는 부스바(1)의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클램프(50)의 하단면(10)은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는데, 상기 부스바(1)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변경이 가능하고, 상기 하단면(10)에는 에폭시 애자(2)가 삽입되도록 삽입홀(11)이 하단면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에폭시 애자(2)는 도 3를 참고하여, 삽입홀(11)에 삽입되도록 상측면에 연결부(3)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3)는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면서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홀(11)에 삽입 후, 고정볼트 등의 고정부재에 의해 결합되고, 그로 인해 상기 에폭시 애자(2)가 고정클램프(50)의 하단면(10)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렇듯, 상기 삽입홀(11)은 에폭시 애자(2)의 연결부(3) 개수와 형태에 따라 달라지며, 상기 에폭시 애자(2)의 연결부(3)는 고정클램프(50)에 고정된 상태에서 부스바(1)에 고정클램프(50)가 연결되면 부스바(1)와 접촉되어 상호 통전된다.
상기 고정클램프(50)의 양측면(20)은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면(10)의 양측부에 각각 직각으로 절곡되고, 상기 하단면(10)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양측면(20)의 사이에는 부스바(1)가 결합시, 상기 부스바(1)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양측면(20)의 높이는 양측면(20) 사이에 구비되는 부스바(1)와 하단면(10)에 고정되는 에폭시 애자(2)의 연결부(3)가 상호 접촉될 수 있는 높이로 제작되어 상기 부스바(1)가 양측면(20) 사이에 구비시, 자연스럽게 항시 에폭시 애자(2)의 연결부(연결부에 연결되는 고정볼트)와 접촉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클램프(50)의 상단면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면(20)의 상측부에 각각 상호 대응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데, 상기 양측면(20)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양측면(20)이 상호 대응되는 방향으로 각각 소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되고, 그로 인해, 상기 상단면(30)은 단면상 중앙부에 관통홀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단면(30)은 양측면(20) 사이에 구비된 부스바(1)의 상부면이 지지되는데, 즉, 상기 부스바(1)가 상측으로 이탈시, 상단면(30)이 부스바(1)의 상부면과 접촉되면서 상기 부스바(1)가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대(4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클램프(50)의 상단면(30)이 상호 대응되는 끝단부에 각각 상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대(40)는 상단면(30)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부스바(1)의 폭에 따라 양측으로 탄성적으로 벌어지며, 상기 가이드대(40)의 끝단부는 부스바(1)에 의해 용이하게 탄성적으로 벌어지도록 단면상 깔때기 형태로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대(40)의 작동 형태 즉, 부스바(1)에 결합되는 고정클램프(50)에 대한 작동방법을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전반 내부에 부스바(1)가 고정 설치되어 외부의 전력이 통전된 상태이고, 상기 에폭시 애자(2)가 고정된 고정클램프(50)가 부스바(1)의 하측방향으로 부착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대(40)가 처음 부스바(1)의 하단부와 접촉되는데, 이때, 상기 가이드대(40)의 양측은 부스바(1)의 폭에 따라 양쪽면이 탄성력에 의해 벌어지고, 상기 부스바(1)는 가이드대(40) 사이를 지나쳐 고정클램프(50)의 내측 즉, 양측면(20) 사이에 구비된다.
그렇게 상기 고정클램프(50)의 양측면(20)에 부스바(1)가 구비되면, 상기 가이드대(40)는 탄성력에 의해 다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고, 그로 인해, 상기 고정클램프(50)의 상단면(30)이 부스바(1)의 상부면에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고정클램프(50)의 양측면(20)도 부스바(1)의 양측부를 압박한다.
이렇듯, 상기 가이드대(40)가 부스바(1)에 의해 벌어질 시, 양측면(20)의 한쪽면이 벌어져 에폭시 애자(2)가 고정된 고정클램프(50)를 부스바(1)에 용이하게 부착하며, 상기 부스바(1)가 양측면(20) 사이에 구비시, 가이드대(40)와 양측면(20)의 한쪽면이 탄성적으로 제자리에 위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클램프(50)를 부스바(1)에서 탈착시, 인위적으로 사용자가 가이드대(40)를 양측으로 벌린 상태에서 고정클램프(50)를 부스바(1)의 하측방향으로 이송시켜 탈착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고정클램프(50)에 의해 에폭시 애자(2)를 부스바(1)에 손쉽게 탈부착시킬 수 있고, 종래에 부스바(1)에 홀가공을 하지 않아 부스바(1)의 단면적 손실이 없어 에폭시 애자에 부스바를 고정하기가 쉬우며 부스바(1)의 통전전류 용량이 증가하고, 상기 부스바(1)의 재사용이 가능하며, 그로 인해 제조비용 및 인력손실을 절감하는 등 뛰어난 효과가 발생한다.
10 : 하단면 11 : 삽입홀
20 : 양측면 30 : 상단면
40 : 가이드대 50 : 고정클램프

Claims (5)

  1. 배전반에 공급된 전력을 상기 배전반 내부로 구비되는 각 장치로 분배하기 위하여 부스바(1)에 에폭시 애자(2)를 연결하는 고압배전반용 부스바 고정클램프(50)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애자(2)의 상측면에 형성된 연결부(3)가 삽입되도록 삽입홀(11)이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는 하단면(10)과;
    상기 부스바(1)가 결합되어 내측에 구비되도록 하단면(10)의 양측부에 각각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양측면(20)과;
    상기 양측면(20)의 상측부에 각각 상호 대응되는 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양측면(20) 사이에 구비된 부스바(1)의 상부면이 지지되는 상단면(30)과;
    상기 상단면(30)이 상호 대응되는 끝단부에 각각 상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부스바(1)가 양측면(20) 사이에 결합시, 부스바(1)의 폭에 따라 양측으로 탄성적으로 벌어지는 가이드대(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배전반용 부스바 고정클램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대(40)의 끝단부는 부스바(1)에 의해 용이하게 탄성적으로 벌어지도록 단면상 깔때기 형태로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배전반용 부스바 고정클램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애자(2)의 연결부(3)는 삽입홀(11)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클램프(50)의 하단면에 고정되고, 상기 연결부(3)와 결합된 고정볼트는 고정클램프(50)의 양측면(20) 사이에서 부스바(1)의 하부면과 접촉되어 상호 통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배전반용 부스바 고정클램프.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램프(50)는 스테인리스 철판소재로 금형 제작하여 하단면(10), 양측면(20), 상단면(30), 가이드대(4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대(40)가 부스바(1)에 의해 벌어질 시, 양측면(20)도 동일하게 양측으로 벌어져 에폭시 애자(2)를 부스바(1)에 용이하게 탈부착하며, 상기 부스바(1)가 양측면(20) 사이에 구비시, 가이드대(40)와 양측면(20)이 탄성적으로 제자리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배전반용 부스바 고정클램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램프(50)는 에폭시 애자(2)와 하나씩 연결된 상태에서 부스바(1)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부스바(1)에 부착된 에폭시 애자(2)의 위치를 원하는 부스바(1)의 위치에 용이하게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배전반용 부스바 고정클램프.
KR1020100086383A 2010-09-03 2010-09-03 고압배전반용 부스바 고정클램프 KR101000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383A KR101000804B1 (ko) 2010-09-03 2010-09-03 고압배전반용 부스바 고정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383A KR101000804B1 (ko) 2010-09-03 2010-09-03 고압배전반용 부스바 고정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0804B1 true KR101000804B1 (ko) 2010-12-13

Family

ID=43512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6383A KR101000804B1 (ko) 2010-09-03 2010-09-03 고압배전반용 부스바 고정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080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3965B1 (ko) 2005-06-30 2006-01-23 (주)제일피앤피 분,배전반용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의 접속 고정장치
KR100783130B1 (ko) 2006-09-19 2007-12-07 (주)제일피앤피 분,배전반의 차단기용 고정 프레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3965B1 (ko) 2005-06-30 2006-01-23 (주)제일피앤피 분,배전반용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의 접속 고정장치
KR100783130B1 (ko) 2006-09-19 2007-12-07 (주)제일피앤피 분,배전반의 차단기용 고정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0652B2 (en) Optimally shaped bus connector
KR101024727B1 (ko) 산업용 분전반용 분기 접속자 키트 및 이를 구비하는 산업용 분전반
EP2670006B1 (en) Plug-in type bus bar
MX2012006532A (es) Mordaza conectable, optimizada, modular.
DE59602669D1 (de) Schienenkanalsystem einer niederspannungs-schaltanlage
US8921701B2 (en) Modular insulator for busbar support and method of assembling
KR20080003842U (ko) 배전반
CN205195048U (zh) 母线套件
US3211960A (en) Insulating mounting block and circuit interrupting device
KR100672960B1 (ko) 부스바 지지대
KR100712245B1 (ko) 분전반
KR101301964B1 (ko) 다각형 부스바와 이의 유동방지 지지대를 구비한 배전반
KR20090006691U (ko) 부스바 연결용 컨넥터
KR200331163Y1 (ko) 배전반
KR102030652B1 (ko) 전원 분배장치
KR20090100706A (ko) 산업용 분전반용 분기 접속자 키트 및 이를 구비하는산업용 분전반
KR200393273Y1 (ko) 배전반의 수직모선 접속용 컨넥터
KR101000804B1 (ko) 고압배전반용 부스바 고정클램프
KR101044288B1 (ko) 부스바용 커넥터를 활용한 수배전반
KR101287616B1 (ko) 수배전반용 부스바 고정클램프
US10418751B1 (en) Lug and terminal assemblies, power distribution assemblies, and methods
KR101251605B1 (ko) 수배전반 및 분전반의 부스바 접속장치
KR101885709B1 (ko) 전원 분배장치
WO2009048427A1 (en) Bus-bar arrangement for electric distribution
KR20180000846U (ko) 배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