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9637B1 - 도장 작업용 도어 스테이장치 - Google Patents

도장 작업용 도어 스테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9637B1
KR100999637B1 KR1020080103305A KR20080103305A KR100999637B1 KR 100999637 B1 KR100999637 B1 KR 100999637B1 KR 1020080103305 A KR1020080103305 A KR 1020080103305A KR 20080103305 A KR20080103305 A KR 20080103305A KR 100999637 B1 KR100999637 B1 KR 100999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inner panel
pipe member
vehicle body
st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3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4016A (ko
Inventor
김남엽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3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9637B1/ko
Publication of KR20100044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4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9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9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18Anti-tamp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작업용 도어 스테이장치는, 도어의 인너 판넬과 차체에 연결되게 구성되며, 상기 인너 판넬의 차체 대응면에 형성된 장착홀을 통해 장착되어, 차체의 도장 작업시 상기 도어의 열림 및 닫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ⅰ)상기 인너 판넬 내부에서 그 인너 판넬의 차체 대응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일측 개방단이 상기 장착홀과 상호 연결되는 파이프부재와, ⅱ)일측 단부가 상기 장착홀을 통해 상기 파이프부재의 내부로 삽입되고, 다른 일측 단부가 차체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로드부재와, ⅲ)상기 로드부재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 시 상기 파이프부재의 다른 일측 개방단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판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장, 도어, 차체, 스테이, 인너 판넬, 파이프부재, 로드부재, 판 스프링

Description

도장 작업용 도어 스테이장치 {DOOR STAY DEVICE FOR PAINTING PROCESS}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도장 작업용 도어 스테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의 도장 작업시 도어의 열림 및 닫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도장 작업용 도어 스테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생산공정에 있어서 도장 공정은 차체가 완성된 후, 차체의 부식을 방지하고, 방음과 함께 미관을 수려하게 하여 상품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상기 도장 공정에서 전처리 공정을 통과한 보디는 방청과 표면 광택의 인자가 되는 하도(전착)공정과, 실러를 도포한 후 도료의 내 치핑성, 평활성, 내후성을 갖게 하는 중도공정, 및 미관 상의 광택감을 주는 상도공정과 클리어 공정 등을 통하여 차체에 도장막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도장 공정에서는 도어가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어와 차체 사이에 도어 스테이장치를 설치하게 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상기 도어 스테이장치는 도 5에서와 같이, 스프링 강으로 이루어지는 선재의 중앙부를 밴딩 처리하여 밴딩부(101)를 형성하고, 이 밴딩 부(101)를 중심으로 나누어지는 양측 선재의 각 일측을 내향하여 대칭 절곡시켜 절곡부(103)를 형성하며, 이 절곡부(103)를 중심으로 밴딩부(101) 측에 제1 걸림부(105)를 형성하고, 반대쪽에 제2 걸림부(107)를 형성하는 스테이(121)로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스테이(121)의 각 선단은 볼트로서 구성되는 회전축(109)을 통해 장착 브라켓(111)에 힌지 결합된다.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 기술의 도어 스테이장치는 도 6에서와 같이 장착 브라켓(111)이 체결 볼트(B)를 통해 차체(1)의 필러(2) 측에 고정되고, 스테이(121)의 밴딩부(101)와 제1 걸림부(105)가 도어(3)의 인너 판넬(5)에 형성된 장착홀(7)에 삽입되어 제1 걸림부(105)가 장착홀(7)의 내측 부위에 규제되고 제2 걸림부(107)가 장착홀(7)의 외측 부위에 규제됨으로써 도어(3)의 열림 상태를 유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서는 스테이(121)이 도어(3)의 인너 판넬(5) 외부에서 장착홀(7)의 가장자리부에 마찰이 이루어지며 장착되고, 그 스테이(121)의 제1 걸림부(105)가 장착홀(7)의 내측 부위에 규제되고 제2 걸림부(107)가 장착홀(7)의 외측 부위에 규제되기 때문에, 상기 제1 걸림부(105) 및 제2 걸림부(107)에 의해 장착홀(7) 부위의 강판이 변형됨으로써 후공정의 조립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고, 상기 변형된 강판의 도막이 박리되거나 금속 가루와 같은 이물질 등이 차체를 오염시켜 결과적으로는 외관 불량을 발생시킨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상기에서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도어의 고정을 위한 마찰 부위를 변경하여 인너 판넬의 장착홀 가장자리부에 간섭되지 않고 도어의 열림 및 닫힘을 규제하며, 도어의 열림 각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도장 작업용 도어 스테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작업용 도어 스테이장치는, 도어의 인너 판넬과 차체에 연결되게 구성되며, 상기 인너 판넬의 차체 대응면에 형성된 장착홀을 통해 장착되어, 차체의 도장 작업시 상기 도어의 열림 및 닫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ⅰ)상기 인너 판넬 내부에서 그 인너 판넬의 차체 대응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일측 개방단이 상기 장착홀과 상호 연결되는 파이프부재와, ⅱ)일측 단부가 상기 장착홀을 통해 상기 파이프부재의 내부로 삽입되고, 다른 일측 단부가 차체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로드부재와, ⅲ)상기 로드부재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 시 상기 파이프부재의 다른 일측 개방단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판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도장 작업용 도어 스테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부재는 양단이 개방된 형태로서 이루어지며, 상기 일측 개방단의 가장자리에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에 상기 인너 판넬과의 볼트 체결을 위한 볼트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장 작업용 도어 스테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파이프부재의 내부와 상호 연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장 작업용 도어 스테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부재는 상기 인너 판넬에 형성된 위치 결정홀에 대응하여 상기 플랜지부에 형성되는 위치 결정핀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장 작업용 도어 스테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재는 상기 다른 일측 단부에 상기 차체와의 볼트 체결을 위한 볼트 체결부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장 작업용 도어 스테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볼트 체결부는 힌지핀을 통해 상기 로드부재의 다른 일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도장 작업용 도어 스테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양단부에 상기 파이프부재의 외경 보다 상대적으로 큰 산 형태의 절곡부를 지니며, 상기 로드부재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작업용 도어 스테이장치에 의하면, 로드부재가 인너 판넬의 장착홀 가장자리부에 간섭되지 않고 판 스프링의 탄성력, 및 그 판 스프링과 파이프부재와의 마찰을 통해 도어의 열림 및 닫힘을 규제하므로, 장착홀 부위의 손상 및 이물질에 의한 오염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로드부재가 인너 판넬의 장착홀 가장자리부에 간섭되지 않으므로, 종래 기술과 달리 장착홀 부위가 변형되는 것을 막고, 장착홀 부위의 도막이 박리되면서 녹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장착홀 부위의 변형을 방지함에 따라 후 공정인 의장 공정에서의 조립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파이프부재와 판 스프링 상호 간의 마찰에 의해 도어의 열림 및 닫힘을 규제할 수 있으므로, 도어의 열림 각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작업용 도어 스테이장치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작업용 도어 스테이장치(100)는 차체(1)의 도장 공정 즉, 도어(3)의 외판 도장을 실시하는 중도 및 상도 공정, 또는 도어(3)의 내부에 실러를 도포하는 실러 도포 공정에 적용된다.
이러한 도장 작업용 도어 스테이장치(100)는 차체의 도장 작업시 상기 도어(3)의 열림 및 닫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도어 스테이장치(100)는 도어(3)의 인너 판넬(5)과 차체(1)에 연결되게 구성되며, 그 인너 판넬(5)의 차체 대응면에 형성된 장착홀(7)을 통해 장착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작업용 도어 스테이장치(100)는 인너 판넬(5)의 장착홀(7) 가장자리부에 간섭되지 않고 도어(3)의 열림 및 닫힘을 규제하며, 그 도어(3)의 열림 각도를 자유롭게 조정 가능한 구조로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도어 스테이장치(100)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파이프부재(10)와, 로드부재(30)와, 판 스프링(5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구성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파이프부재(10)는 도장 작업시 도어(3)의 열림 및 닫힘을 유지하기 위한 도어측 지그(jig)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부재(10)는 도어(3)의 인너 판넬(5) 내부에서 그 인너 판넬(5)의 차체 대응면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즉, 상기 파이프부재(10)는 종래 기술과 달리 인너 판넬(5)의 장착홀(7)을 통해 그 인너 판넬(5)의 외부에서 내부로 장착되지 않고, 인너 판넬(5)의 내부에서 상기 차체 대응면에 장착된다.
이러한 파이프부재(10)는 양단이 개방된 관 형태로서 이루어지며, 일측 개방단이 인너 판넬(5)의 장착홀(7)과 상호 연결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파이프부재(10)는 일측 개방단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플랜지부(11)와, 인너 판넬(5)에 형성된 위치 결정홀(9)에 대응하여 플랜지부(11)에 형성 되는 위치 결정핀(15)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플랜지부(11)는 파이프부재(10)의 일측 개방단 가장자리에 용접 설치되는 것으로, 그 파이프부재(10)의 내부와 상호 연통하는 관통홀(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부(11)는 인너 판넬(5)과의 볼트 체결을 위한 볼트홀(13)이 형성되는데, 볼트홀(13)은 인너 판넬(5)의 차체 대응면에 형성된 체결홀(8)과 상호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체결홀(8)에 대응하는 플랜지부(11)의 반대쪽 면에는 볼트(B)가 체결되는 웰드 너트(N)가 설치된다.
상기 위치 결정핀(15)은 파이프부재(10)의 장착 시, 그 파이프부재(10)의 장착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것으로, 언급한 바 있는 인너 판넬(5)의 위치 결정홀(9)에 끼워질 수 있는 핀 부재로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로드부재(30)는 도장 작업시 도어(3)의 열림 및 닫힘을 유지하기 위한 도어측 지그(jig)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로드부재(30)는 일정 길이를 지닌 바아 형태로서 이루어지며, 일측 단부가 인너 판넬(5)의 장착홀(7)을 통하여 파이프부재(10)의 내부로 삽입되고, 다른 일측 단부가 차체(1)의 필러 측에 연결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로드부재(30)는 다른 일측 단부에 차체(1)와의 볼트 체결을 위한 볼트 체결부(31)가 구성되는 바, 그 볼트 체결부(31)는 볼트(B)가 체결될 수 있는 볼트홀(미도시)이 형성되고, 볼트 타입의 힌지핀(33)을 통하여 로드부재(30)의 다른 일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판 스프링(50)은 도어(3)의 열림 및 닫힘에 의해 파이프부재(10)를 통해 탄성 변형되면서 그 파이프부재(10)의 내부에서 내주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도어(3)의 열림 상태를 유지하고, 파이프부재(10)의 다른 일측 개방단에 걸림이 이루어지며 도어(3)의 닫힘 상태를 유지케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판 스프링(50)은 일정 폭을 지니며 라운드 형태로 절곡된 스프링 강으로 이루어지며, 그 라운드 부위가 로드부재(30)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판 스프링(50)은 도어(3)의 열림 및 닫힘 동작에 따라 파이프부재(10)의 다른 일측 개방단에 의해 탄성 변형된다.
이러한 판 스프링(50)은 양단부에 파이프부재(10)의 외경 보다 상대적으로 큰 산 형태의 절곡부(51)를 지니며, 로드부재(30)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작업용 도어 스테이장치(100)에 의하면, 파이프부재(10)는 인너 판넬(5)의 내부에서 차체의 대응면에 볼트(B)를 통해 결합되고, 로드부재(30)는 일측 단부가 인너 판넬(5)의 장착홀(7) 및 파이프부재(10)의 관통홀(12)을 통해 그 파이프부재(1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다른 일측 단부가 볼트 체결부(31)를 통해 차체(1)의 필러 측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장 작업 시, 도어(3)를 열게 되면, 도 4a에서와 같이 로드부재(30)는 인너 판넬(5)의 장착홀(7) 가장자리부에 간섭되지 않고 파이프부재(10)의 관통홀(12)을 통해 인출되며, 판 스프링(50)은 파이프부재(10)의 다른 일 측 개방단에 의해 탄성 변형되면서 파이프부재(10)의 내주면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며 그 내주면에 마찰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는 파이프부재(10)의 내주면으로 작용하는 판 스프링(50)의 탄성력 및 마찰력에 의해 도어(3)의 열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그 도어(3)의 열림 각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장 작업 시, 도어(3)를 닫게 되면, 도 4b에서와 같이 로드부재(30)는 인너 판넬(5)의 장착홀(7) 가장자리부에 간섭되지 않고 파이프부재(10)의 내부로 삽입되고, 판 스프링(50)은 파이프부재(10)의 다른 일측 개방단을 빠져 나오며 복원되고, 그 판 스프링(50)의 절곡부(51)가 파이프부재(10)의 다른 일측 개방단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는 판 스프링(50)의 절곡부(51)가 파이프부재(10)의 다른 일측 개방단에 걸림으로 도어(3)의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로드부재(30)가 인너 판넬(5)의 장착홀(7) 가장자리부에 간섭되지 않고 판 스프링(50)의 탄성력, 및 그 판 스프링(50)과 파이프부재(10)와의 마찰을 통해 도어(3)의 열림 및 닫힘을 규제하므로, 장착홀(7) 부위의 손상 및 이물질에 의한 오염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로드부재(30)가 인너 판넬(5)의 장착홀(7) 가장자리부에 간섭되지 않으므로, 종래 기술과 달리 장착홀(7) 부위가 변형되지 않고, 그 장착홀(7) 부위의 도막이 박리되면서 녹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장착홀(7) 부위의 변형을 방지함에 따라 후 공정인 의장 공정에서의 조립 장애를 야기 시키지 않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파이프부재(10)와 판 스프링(50) 상호 간의 마찰에 의해 도어(3)의 열림 및 닫힘을 규제할 수 있으므로, 도어(3)의 열림 각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작업용 도어 스테이장치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작업용 도어 스테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작업용 도어 스테이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스테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스테이장치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Claims (7)

  1. 도어의 인너 판넬과 차체에 연결되게 구성되며, 상기 인너 판넬의 차체 대응면에 형성된 장착홀을 통해 장착되어, 차체의 도장 작업시 상기 도어의 열림 및 닫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도장 작업용 도어 스테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너 판넬 내부에서 그 인너 판넬의 차체 대응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일측 개방단이 상기 장착홀과 상호 연결되는 파이프부재;
    일측 단부가 상기 장착홀을 통해 상기 파이프부재의 내부로 삽입되고, 다른 일측 단부가 차체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로드부재; 및
    상기 로드부재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 시 상기 파이프부재의 다른 일측 개방단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판 스프링
    을 포함하며,
    상기 로드부재는 상기 다른 일측 단부에 상기 차체와의 볼트 체결을 위한 볼트 체결부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작업용 도어 스테이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부재는,
    양단이 개방된 형태로서 이루어지며, 상기 일측 개방단의 가장자리에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에 상기 인너 판넬과의 볼트 체결을 위한 볼트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작업용 도어 스테이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파이프부재의 내부와 상호 연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작업용 도어 스테이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부재는,
    상기 인너 판넬에 형성된 위치 결정홀에 대응하여 상기 플랜지부에 형성되는 위치 결정핀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작업용 도어 스테이장치.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체결부는 힌지핀을 통해 상기 로드부재의 다른 일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작업용 도어 스테이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양단부에 상기 파이프부재의 외경 보다 상대적으로 큰 산 형태의 절곡부를 지니며, 상기 로드부재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작업용 도어 스테이장치.
KR1020080103305A 2008-10-21 2008-10-21 도장 작업용 도어 스테이장치 KR100999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305A KR100999637B1 (ko) 2008-10-21 2008-10-21 도장 작업용 도어 스테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305A KR100999637B1 (ko) 2008-10-21 2008-10-21 도장 작업용 도어 스테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4016A KR20100044016A (ko) 2010-04-29
KR100999637B1 true KR100999637B1 (ko) 2010-12-08

Family

ID=42218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3305A KR100999637B1 (ko) 2008-10-21 2008-10-21 도장 작업용 도어 스테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96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86796B1 (fr) * 2013-04-16 2018-11-21 Exsto Thermoplastics Dispositif pour maintenir une portière d'un véhicule automobile dans une position entrebâillée
KR101713883B1 (ko) * 2016-08-23 2017-03-09 임병옥 차량용 도어스테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15443A (en) 1977-03-19 1978-10-07 Tokico Ltd Spr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15443A (en) 1977-03-19 1978-10-07 Tokico Ltd Spr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4016A (ko) 201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5195B2 (en) Integrated hinge and temporary door checker
US6656278B2 (en) Door positioning article
KR100653823B1 (ko) 도장작업용 도어 스테이
US6928696B2 (en) Actuator for improving seal for overhead doors
JP2002533252A (ja) 車両ドア支柱ボタン
AU2016331497B2 (en) Hinge assembly with self lubricated pin with roller assembly
KR100999637B1 (ko) 도장 작업용 도어 스테이장치
US5826306A (en) Sliding door center adjustable hinge
JP5251599B2 (ja) スライドドアの支持装置
US20040111833A1 (en) Vehicle door hinge
KR200391313Y1 (ko) 도장작업용 도어 스테이
US5524324A (en) Door hinge with an integrated locking device
KR100628954B1 (ko) 차량의 개폐 부품 도장용 스테이
JP3738419B2 (ja) 車両用開閉体のヒンジ装置、及びこのヒンジ装置を備える開閉装置
KR100394646B1 (ko) 차량의 도어 체커 스테이
KR100482495B1 (ko) 슬라이딩 도어의 센터 롤러암 구조
KR200388557Y1 (ko) 차량의 개폐 부품 도장용 스테이
JPH0737747U (ja) 自動車のドア取付装置
JP2007501152A (ja) ワイパアーム、特に車両の窓清拭用ワイパの製造方法
KR100427343B1 (ko) 도장 작업용 도어 스테이
KR101484717B1 (ko) 도어 체커 일체형 도어 힌지장치
US20040078931A1 (en) Door jig assembly for use during manufacture of a vehicle
US7197797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vehicle door hinge
FI86213B (fi) Gaongjaern.
CN210828778U (zh) 一种用于门窗的自动合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