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9205B1 - 스파크 플러그 - Google Patents

스파크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9205B1
KR100999205B1 KR1020080044442A KR20080044442A KR100999205B1 KR 100999205 B1 KR100999205 B1 KR 100999205B1 KR 1020080044442 A KR1020080044442 A KR 1020080044442A KR 20080044442 A KR20080044442 A KR 20080044442A KR 100999205 B1 KR100999205 B1 KR 100999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electrode
spark plug
guide
electrode
spa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4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8570A (ko
Inventor
하명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4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9205B1/ko
Publication of KR20090118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8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9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9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3/00Sparking plugs
    • H01T13/20Sparking plug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electrodes or insulation
    • H01T13/32Sparking plug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electrodes or insulation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earthed electr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3/00Sparking plugs
    • H01T13/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3/00Sparking plugs
    • H01T13/02Details
    • H01T13/04Means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parking plugs

Landscapes

  • Spark Plu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파크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스파크 플러그의 조립시에 접지전극을 과도한 충격으로부터 적절히 보호해서 접지전극의 휨이나 손상을 방지하여 스파크 플러그가 제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중심전극과 소정 크기의 스파크 갭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접지전극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접지전극을 보호하는 가이드가 상기 접지전극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스파크 플러그, 접지전극, 가이드, 중심전극

Description

스파크 플러그{Spark plug}
본 발명은 스파크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한 접지전극의 휨이나 손상을 방지하도록 가이드가 형성된 스파크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스파크 플러그는 내연기관의 실린더헤드에 장착되어, 배터리를 접속한 1차 코일을 단속하여 2차 코일에서 발생한 고압전류를 스파크 플러그의 중심전극으로 유도해서 실린더에 맞춤된 접지전극 사이에 스파크를 일으켜 연료를 점화하는 기능을 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파크 플러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전극(1)에 대해 소정 크기의 스파크 갭을 두고 접지전극(2)이 배치되고, 상기 중심전극(1)은 절연체(3)에 의해 감싸여져서 보호되며, 접지전극(2)은 주체금구(4)에 일체로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되게 부착된다.
상기 주체금구(4)에는 상기 절연체(3)가 삽입되어 조립되고, 상기 주체금구(4)의 외주에는 실린더헤드에 스파크 플러그를 장착할 때에 가스가 누출되지 않도록 개스킷(5)이 끼워져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파크 플러그는 점화 코일에서 만들어 낸 고전압을 전달받아 실린더내에서 연료에 불꽃을 발생시켜 직접적으로 폭발을 이끌어내 엔진이 구동되게 함에 따라 대단히 가혹한 조건 하에서 작동하고 있으므로, 내열성과 내식성, 방열성, 열전도성, 전기 절연성 등이 요구되는 불꽃 방전성능과 전극 소모가 적어야 하는 특성을 가져야 한다.
상기 스파크 갭은 적정한 갭을 유지되어야 방전이 이루어지지 않고 연소의 착화가 안정되며, 방사성이 향상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스파크 플러그를 실린더 헤드에 조립할 때에 작업자의 실수로 스파크 플러그를 떨어뜨리거나 혹은 과도한 충격을 가하게 되면, 스파크 플러그의 접지전극(2)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전극(1) 쪽으로 휘어져서 접지전극과 중심전극사이의 스파크 갭이 통상적으로 1.1mm 정도로 적정하게 유지되지 못하여, 방전이 이루어지고, 연진의 연료를 점화하는 과정에 실화가 발생되어 연소가 불안정해질 뿐만 아니라 방사성도 악화되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스파크 플러그의 조립시에 접지전극을 과도한 충격으로부터 적절히 보호해서 접지전극의 휨이나 손상을 방지하여 스파크 플러그가 제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스파크 플러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심전극과 소정 크기의 스파크 갭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접지전극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접지전극을 보호하는 가이드가 상기 접지전극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가이드는 양측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의 가이드바디를 구비하고, 상기 접지전극은 상기 가이드바디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연장된 다음에 반경방향으로 절곡되어 대체로 L자 형상을 이루며, 상기 접지전극의 수평한 절곡부는 상기 중심전극과 소정 크기의 스파크 갭을 형성하면서 상기 가이드바디의 외측 가장자리면보다 내측으로 낮게 위치된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파크 플러그에 의하면, 접지전극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에 접지전극이 일체로 형성되어, 접지전극 측으로 외부로부터 과도한 충격이 가해져도 상기 가이드가 접지전극을 충격으로부터 적절히 보호해 줌으로써, 접지전극의 충격에 의한 휨이나 손상을 확실하게 방지하고, 접지전극과 중심전극 사이의 스파크 갭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해서 점화 및 연소의 안정성을 도모하고, 화염전파도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파크 플러그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즉 중심전극(11)에 대해 소정 크기의 스파크 갭을 두고 접지전극(12)이 배치되고, 상기 중심전극(11)은 절연체(13)에 의해 감싸여져서 보호되며, 상기 접지전극(12)은 주체금구(14)에 일체로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되게 부착된다.
상기 절연체(13)는 주체금구(14)에 삽입되어 조립되고, 상기 주체금구(14)의 외주에는 실린더헤드에 스파크 플러그를 장착할 때에 가스가 누출되지 않도록 개스킷(15)이 끼워져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접지전극(12)은 가이드(16)에 일체로 형성되는 데, 상기 가이드(16)는 양측면이 개구된 크기가 작은 원통 형상의 가이드바디(16a)와, 이 가이드바디(16a)의 원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로 형성된 윈도우(16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바디(16a)에는 상기 접지전극(12)이 일체로 형성되는 데, 상기 접지전극(12)은 상기 가이드바디(16a)의 윈도우(16b) 사이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연장된 다음에 반경방향으로 절곡되어 대체로 L자 형상을 이루며, 상기 접지전극(12)의 수평한 절곡부(12a)는 상기 중심전극과 일정 크기의 스파크 갭을 형성하면서 상기 가이드바디(16a)의 외측 가장자리면(16c)보다 내측으로 낮게 위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접지전극 쪽으로 외부의 충격이 가해져도 상기 접지전극(12)은 가이드바디(16a)의 내측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충격을 가이드바디(16a)가 담당해서 접지전극에 외부의 충격이 직접 가해지지 않도록 접지전극(12)을 적절히 보호하여 접지전극(12)의 휨이나 손상을 확실하게 방지해주게 된다.
상기 가이드바디(16a)는 상기 접지전극(12)과 동일한 니켈 혹은 니켈 합금강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주체금구(14)의 선단부에 삽입되어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되게 부착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16)는 스파크 플러그에 의해 연소의 점화가 이루어져 화염이 발생될 때에 가이드바디(16a)에 의해 형성되는 원형 채널이 화염의 원활한 전파를 조장하여 연소의 안정성을 도모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파크 플러그의 상세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스파크 플러그가 충격을 받아서 변형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파크 플러그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중심전극 12-접지전극
13-절연체 14-주체금구
15-개스킷 16-가이드

Claims (4)

  1. 측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을 이루고, 원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윈도우를 형성한 가이드바디를 구비한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바디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연장된 다음에 반경방향으로 절곡되어 대체로 L자 형상을 이루며, 중심전극과 소정 크기의 스파크 갭을 형성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의 안쪽으로 수용되어 상기 가이드를 통해 보호되고, 상기 가이드와 일체로 형성된 접지전극;으로 구성된 스파크 플러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지전극의 수평한 절곡부는 상기 중심전극과 소정 크기의 스파크 갭을 형성하면서 상기 가이드바디의 외측 가장자리면보다 내측으로 낮게 위치된 특징으로 하는 스파크 플러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지전극은 상기 가이드바디의 윈도우 사이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연장된 다음에 반경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스파크 플러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와 접지전극은 니켈 혹은 니켈 합금으로 이 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크 플러그.
KR1020080044442A 2008-05-14 2008-05-14 스파크 플러그 KR100999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442A KR100999205B1 (ko) 2008-05-14 2008-05-14 스파크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442A KR100999205B1 (ko) 2008-05-14 2008-05-14 스파크 플러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8570A KR20090118570A (ko) 2009-11-18
KR100999205B1 true KR100999205B1 (ko) 2010-12-07

Family

ID=41602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4442A KR100999205B1 (ko) 2008-05-14 2008-05-14 스파크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92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88062B (zh) * 2010-06-23 2012-01-25 宁波大叶园林设备有限公司 有散热翅和弯电极的汽油发动机火花塞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8570A (ko) 2009-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5371B2 (en) Spark plug
US8047172B2 (en) Plasma jet ignition plug
JP4948515B2 (ja) プラズマジェット点火プラグ
JP4975173B1 (ja) 内燃機関の点火コイル装置
JP5149295B2 (ja) スパークプラグ
JP4648485B1 (ja) スパークプラグ
US20120007488A1 (en) Plasma jet ignition plug
JP2010118236A (ja) 内燃機関の点火プラグ
KR100999205B1 (ko) 스파크 플러그
US10811851B1 (en) Spark plug
US8558442B2 (en) Plasma jet ignition plug
JP2006049207A (ja) 内燃機関用スパークプラグ
US8215277B2 (en) Spark plug
US8912715B2 (en) Spark plug
JP2014238999A (ja) 内燃機関用のスパークプラグ
US20160218486A1 (en) Spark plug
US8269405B1 (en) Neutral electrode spark plug
US8791627B2 (en) Spark plug configured to reduce the occurance of flashover
JP6661245B2 (ja) 点火プラグ
JP5519581B2 (ja) スパークプラグ
US20220077661A1 (en) Spark plug
KR100588074B1 (ko) 내연기관용 점화플러그
JP5421473B2 (ja) スパークプラグ
KR100924298B1 (ko) 점화 플러그의 접지전극 장착방법
JP2021093293A (ja) スパークプラ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