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8871B1 - 램프의 단자 접속 구조 - Google Patents

램프의 단자 접속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8871B1
KR100998871B1 KR1020080088195A KR20080088195A KR100998871B1 KR 100998871 B1 KR100998871 B1 KR 100998871B1 KR 1020080088195 A KR1020080088195 A KR 1020080088195A KR 20080088195 A KR20080088195 A KR 20080088195A KR 100998871 B1 KR100998871 B1 KR 100998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lamp
crimping
wire
sid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8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9416A (ko
Inventor
구자현
Original Assignee
거영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거영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거영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8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8871B1/ko
Publication of KR20100029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9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8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8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75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 F21V19/008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of straight tubular light sources, e.g. straight fluorescent tubes, soffit lam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5/00Details relating to vessels or to leading-in conductors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5/50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01R33/08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ssels And Coating Film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램프의 단자 접속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형광물질이 도포되어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발광하게 되는 램프(11) 와, 상기 램프(11)와 단자전선(30)의 양측을 커버하는 사이드 커버(12)로 이루어진 램프의 단자 접속 구조에 있어서, 상기 램프(11)를 발광시키도록 램프(11)와 일단이 연결되는 각각의 단자전선(30)의 타단을 압착 단자(40)의 일단에 연결 고정하고, 상기 압착 단자(40)의 타단은 상기 사이드 커버(12)의 외측으로 돌설되도록 하여 형광등기구(20)의 전원전속단자(23)와 접속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압착 단자(40)는 일측이 개구된 원통형의 부재로서, 상기 단자전선(30)과 연결되는 일측 상단에는 삽입된 단자전선(30)을 압착기구로 눌러 압착하는 압착돌기(41)와, 상기 압착돌기(41)의 하부에 압착돌기(41)와 수직한 방향으로 커팅되어 압착되기 쉽도록 형성된 슬릿(42)과, 상기 압착 단자(40)의 중간 외주면에 상기 사이드 커버(12)의 단자 홀(12a)에 삽입될 때 삽입되는 방향으로 뾰족하게 돌설된 다수의 삼각돌기(4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형광 램프를 발광시키도록 연결된 단자전선에 압착단자를 연결하여 형광등기구의 전원접속단자와 접속되는 단자를 형성함으로써, 단자전선의 피복을 벗긴 후, 디핑하고 납땜에 의해 이를 연결하는 공정을 없애 그 접속 공정을 단순화시키고, 사이드 커버의 일측으로 돌설된 한 쌍의 (+) 및 (-)단자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단자선선의 연결과 동시에 한 쌍의 (+) 및 (-)단자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사이드 커버와 형광램 프의 단자전선과의 접속 작업을 간단하게 하는 편리한 효과가 있다.
램프, 단자전선, 압착 단자

Description

램프의 단자 접속 구조{TERMINAL CONNECTING STRUCTURE OF LIGHTING LAMP}
본 발명은 램프의 단자 접속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램프 내의 전선을 (+) 및 (-)단자와 연결시 압착 단자를 이용하여 연결 작업을 단순화시키도록 하여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킨 램프의 단자 접속 구조 램프의 단자 접속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형광램프란 저압의 수은방전으로 방사된 자외선을 형광체에 의해서 가시광선으로 변환시켜 빛을 내는 방전등(放電燈)을 말하는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베이스를 포함한 발광부분을 형광램프라 하고, 안정기/조명기구를 포함한 것을 형광등기구라 하여 구별하기도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형광램프의 개발은 1859년 프랑스에서 처음 시작되었으나 1938년 미국의 G.E. 인만에 의해서 열음극(熱陰極) 형광램프가 실용화되어 39년 뉴욕 만국박람회에서 다수 점등되었다. 일반에게 보급된 것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로 주광색 형광램프, 40W 백색 형광램프 등이 제품화되고, 다시 42년 A.H. 매키그 등에 의해 고안된 할로인산 칼슘 형광물질이 실용화되어 효율이 대폭 향상되었다. 또한, 환형형광램프는 100V 전압으로 점등할 수 있는 30W 램프로서 53년에 개발되어 빠르게 보급되었다.
가장 널리 쓰이는 열음극형 형광램프는 유리관 내벽에 형광물질을 얇게 바르고 필라멘트전극은 텅스텐선의 2중 또는 3중 코일에 열전자를 방출하기 쉬운 바륨, 스트론튬, 칼슘 등의 산화물이 도포(塗布)되어 있으며, 유리관 안에는 소량의 수은과 아르곤이 봉입되어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형광램프의 크기는 와트수로 나타내며, 직관형에는 일반 조명용인 10∼40W, 저(低)와트형의 4∼8W, 고출력형인 60∼110W 및 초고출력형 110∼220W가 있으며, 환형의 형광램프는 20∼40W가 있으며 U자형 형광램프도 있다. 또한, 전구형 형광램프는 전구와 똑같이 비틀어 넣는형 베이스(Edison base)를 가지며, 발광관(發光管)은 안장형, U자형 또는 환형으로 하여 안정기와 일체화되어 있다.
한편, 현재 사용되고 있는 직관형 형광램프의 규격(KS, ISO)은 T8의 경우 관경이 26m/m 로서, 32Watt 용은 길이가 1198m/m 이며, 18Watt 용은 길이가 580m/m 인 것 등이 개발되고 있으며, T5의 경우 관경이 16m/m로서, 28Watt 용은 길이가 1149m/m이며, 14Watt 용은 길이가 549m/m 인 것 등이 개발되는 등 다양한 형태의 길이 및 반경을 갖고 있는 형광램프가 개발되고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광램프의 구조는 형광물질이 도포되어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발광하게 되는 램프(11) 및 상기 램프(11)의 양측을 커버하는 사이드 커버(12)로 구성되어 상기 사이드 커버(12)의 양측으로 돌설된 한 쌍의 (+) 및 (-)단자(13)가 형광등기구(20)의 전원접속단자(23)와 연결되어 고정된 다.
일반적인 형광등기구(20)는 천정면이나 기타 벽면 등에 고정되어 사용되는 것으로서, 회로 기판이 내장 설치되어 있는 본체(21)와, 상기 본체(21)의 양측에 설치되어 형광램프(10)를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결합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마구리(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마구리(22)는 그 안쪽면에 상기 본체(21)의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원접속단자(23)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형광램프(10)의 사이드 커버(12)의 (+) 및 (-)단자(13)와 접속되어 형광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 및 (-)단자(13)의 내측에는 램프(11)와 연결된 단자전선(30)이 연결되는 데, 이 연결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전선(30)의 피복을 벗기고, 노출된 여러 가닥의 구리선을 납액에 침지하는 디핑(dipping)작업을 행한 후 상기 (+) 및 (-)단자(13) 내에 삽입한다.
이와 같이 삽입한 후, (+) 및 (-)단자(13)의 일측면에 고정되도록 납땜(S; Soldering)하여 연결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단자전선(30)을 사이드 커버(12)의 (+) 및 (-)단자(13)와 내부에서 고정함에 있어서, 먼저 단자전선(30)의 연결부 피복을 벗긴 다음 납액에 침지하는 디핑 작업을 거친 후, 상기 (+) 및 (-)단자(13)에 삽입 후 그 부분을 납땜(S)하여 연결을 완료하게 되는 데, 상기와 같은 납땜은 상기 사이드 커버(12) 내에서 이루어지므로, 납땜하는 데 어려움이 있어,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또한 납땜 전에 디핑 작업 공정을 거쳐야 함에 따라 더 많은 작업 시간의 소요가 가중되 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램프 내의 전선을 (+) 및 (-)단자와 연결시 압착 단자를 이용하여 연결 작업을 단순화시키도록 하여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킨 램프의 단자 접속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램프의 단자 접속 구조는, 형광물질이 도포되어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발광하게 되는 램프와, 상기 램프를 커버함과 동시에 램프 내의 단자전선의 양측을 커버하는 사이드 커버로 이루어진 램프의 단자 접속 구조에 있어서, 상기 램프를 발광시키도록 램프와 일단이 연결되는 각각의 단자전선의 타단을 압착 단자의 일단에 연결 고정하고, 상기 압착 단자의 타단은 상기 사이드 커버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형광등기구의 전원전속단자와 접속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램프의 단자 접속 구조에 있어서, 상기 압착 단자는 일측이 개구된 원통형의 부재로서, 상기 단자전선과 연결되는 일측 상단에는 삽입된 단자전선을 압착기구로 눌러 압착하는 압착돌기와, 상기 압착돌기의 하부에 압착돌기와 수직한 방향으로 커팅되어 압착되기 쉽도록 형성된 슬릿과, 상기 압착 단자의 중간 외주면에 상기 사이드 커버의 단자 홀에 삽입될 때 삽입되는 방향으로 뾰족하게 돌출 형성된 다수의 삼각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램프의 단자 접속 구조에 의하면, 형광 램프를 발광시키도록 연결된 단자전선에 압착단자를 연결하여 형광등기구의 전원접속단자와 접속되는 단자를 형성함으로써, 단자전선의 피복을 벗긴 후, 디핑하고 납땜에 의해 이를 연결하는 공정을 없애 그 접속 공정을 단순화시키고, 사이드 커버의 일측으로 돌설된 한 쌍의 (+) 및 (-)단자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단자선선의 연결과 동시에 한 쌍의 (+) 및 (-)단자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사이드 커버와 형광램프의 단자전선과의 접속 작업을 간단하게 하는 편리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램프의 단자 접속 구조를 분해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램프의 단자 접속 구조를 조립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8a는 본 발명의 압착 단자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8b는 본 발명의 압착 단자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형광램프의 구조는 형광물질이 도포되어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발광하게 되는 램프(11) 및 상기 램프(11)의 양측을 커버하는 사이드 커버(12)로 구성된다.
도 6 내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램프의 단자 접속 구조는, 상기 램프(11)를 발광시키도록 램프(11)와 일단이 연결되는 각각의 단자전선(30)의 타단을 압착 단자(40)의 일단에 연결 고정하고, 상기 압착 단자(40)의 타단은 상기 사이드 커버(12)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형광등기구의 전원전속단자(23)와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압착 단자(40)는 일측이 개구된 원통형의 부재로서, 상기 단자전선(30)과 연결되는 일측 상단에는 삽입된 단자전선(30)을 압착기구로 눌러 압착하는 압착돌기(41)와, 상기 압착돌기(41)의 하부에 압착돌기(41)와 수직한 방향으로 커팅되어 압착되기 쉽도록 형성된 슬릿(42)과, 상기 압착 단자(40)의 중간 외주면에 상기 사이드 커버(12)의 단자 홀(12a)에 삽입될 때 삽입되는 방향으로 뾰족하게 돌출 형성된 다수의 삼각돌기(43)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단자전선(30)의 각각에 압착 단자(40)를 매개로 사이드 커버(12)와 결합되어 (+) 및 (-)단자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압착 단자(40)는 단자전선(30)을 연결함과 동시에 사이드 커버(12)의 단자 홀(12a)에 삽입되어 (+) 및 (-)단자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압착 단자(40)를 사용함으로써 단자전선(30)의 피복을 벗기고 바로 압착 단자(40)에 끼워 압착 연결하고, 이 압착 단자(40)의 다른 단은 (+) 및 (-)단자의 역할을 하게 함으로써, 부품수를 단순화시켜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기존에 단자전선(30)의 피복을 벗기고 납액에 침지하는 디핑작업을 한 후, 별도로 사이드 커버(12)에 삽입되어 있는 (+) 및 (-)단자에 납땜에 의해 결합하여 연결 작업을 함에 따른 작업 공정의 번거로움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의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램프의 단자 접속 구조는,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형광램프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한 램프는 형광등형 LED(Light-Emitting Diode) 램프, 냉음극형 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외부 전극 형광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EEFL) 등과 같은 램프도 포함된다.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형광등기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형광램프의 사이드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좌측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램프의 단자 접속 구조를 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램프의 단자 접속 구조를 조립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램프의 단자 접속 구조를 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램프의 단자 접속 구조를 조립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압착 단자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압착 단자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램프 12 : 사이드 커버
12a : 단자 홀 30 : 단자전선
40 : 압착 단자 41 : 압착돌기
42 : 슬릿 43 : 삼각돌기

Claims (2)

  1. 형광물질이 도포되어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발광하게 되는 램프(11)와, 상기 램프(11)의 양측을 커버함과 동시에 상기 램프(11) 내의 단자전선(30)의 양측을 커버하는 사이드 커버(12)로 이루어진 램프의 단자 접속 구조에 있어서,
    상기 램프(11)를 발광시키도록 램프(11)와 일단이 연결되는 각각의 단자전선(30)의 타단을 압착 단자(40)의 일단에 연결 고정하고, 상기 압착 단자(40)의 타단은 상기 사이드 커버(12)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형광등기구의 전원전속단자(23)와 접속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의 단자 접속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단자(40)는 일측이 개구된 원통형의 부재로서, 상기 단자전선(30)과 연결되는 일측 상단에는 삽입된 단자전선(30)을 압착기기로 눌러 압착하는 압착돌기(41)와, 상기 압착돌기(41)의 하부에 압착돌기(41)와 수직한 방향으로 커팅되어 압착되기 쉽도록 형성된 슬릿(42)과, 상기 압착 단자(40)의 중간 외주면에 상기 사이드 커버(12)의 단자 홀(12a)에 삽입될 때 삽입되는 방향으로 뾰족하게 돌출 형성된 다수의 삼각돌기(4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의 단자 접속 구조.
KR1020080088195A 2008-09-08 2008-09-08 램프의 단자 접속 구조 KR100998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195A KR100998871B1 (ko) 2008-09-08 2008-09-08 램프의 단자 접속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195A KR100998871B1 (ko) 2008-09-08 2008-09-08 램프의 단자 접속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9416A KR20100029416A (ko) 2010-03-17
KR100998871B1 true KR100998871B1 (ko) 2010-12-08

Family

ID=42179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8195A KR100998871B1 (ko) 2008-09-08 2008-09-08 램프의 단자 접속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88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193B1 (ko) * 2010-04-12 2011-09-28 신화에코필 주식회사 Led 조명등
KR101020055B1 (ko) * 2010-06-23 2011-03-09 서문원 엘이디 형광등의 접속단자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9416A (ko) 2010-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29914A1 (en) CCFL with a gaseous heat-dissipation means
JPH10208702A (ja) コンパクト蛍光ランプ
JPH09185951A (ja) 蛍光ランプ装置および照明器具
US20090196029A1 (en) Discharge lamp and fixture therefor
KR100998871B1 (ko) 램프의 단자 접속 구조
US11333306B2 (en) Light bulb apparatus
KR200353615Y1 (ko) 형광램프 베이스 연결장치
WO2003083360A1 (fr) Lampe fluorescente compacte a lumiere mixte
JP4737465B2 (ja) 電球形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装置
JP2005108699A (ja) 電球形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器具
JP2005071736A (ja) 電球形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器具
JP2000357450A (ja) 低圧水銀蒸気放電ランプ
JP2006012559A (ja) 蛍光ランプ装置および照明器具
KR20050093970A (ko) 형광램프 베이스 연결장치
JP4288256B2 (ja) 電球形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装置
JP4066581B2 (ja) 電球形蛍光ランプ
JP2003059452A (ja) 電球形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器具
JP4706833B2 (ja) 電球形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装置
JP2006302861A (ja) 電球形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装置
JP4304605B2 (ja) 電球形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装置
KR20100027650A (ko) 전등 소켓의 접속구조
KR200306815Y1 (ko) 형광등 기구용 안정기
CA1141417A (en) Screw-in type lighting unit having a convoluted tridimensional fluorescent lamp
JP2008300241A (ja) 蛍光灯
WO2008127212A1 (fr) Lampe luminescente économiq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