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8395B1 -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 및 그것을 구비한 디지털텔레비전 수신기 - Google Patents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 및 그것을 구비한 디지털텔레비전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8395B1
KR100998395B1 KR1020067005310A KR20067005310A KR100998395B1 KR 100998395 B1 KR100998395 B1 KR 100998395B1 KR 1020067005310 A KR1020067005310 A KR 1020067005310A KR 20067005310 A KR20067005310 A KR 20067005310A KR 100998395 B1 KR100998395 B1 KR 100998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digital television
type
television receiv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5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9228A (ko
Inventor
마사히로 다카토리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079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9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8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8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6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receiving on more than one standard at wi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13P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3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ersonal Computer [P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8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8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 H04N21/4181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for conditional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8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 H04N21/4183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providing its own processing capabilities, e.g. external module for video de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07Interfacing a plurality of external cards, e.g. through a DVB Common Interface [DVB-C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Structure Of Receivers (AREA)

Abstract

DTV용 모듈(1)은, CPU(19)와, 디코더(2)와, CA 인터페이스 회로(3)를 포함한다. 디코더(2)는 머더보드(101)에 설치된 복조기(12)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에 대하여 복호화 처리를 실행해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CA 인터페이스 회로(3)는 CA 모듈(14)에 PC 카드 소켓(13)을 통하여 접속되고, 복조기(12)와 CA 모듈(14)과 디코더(18)와 CPU(19)와의 사이에 송수신되는 복수의 신호의 입력 및 출력 처리를 실행한다. CPU(19)는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의 방송 방식 또는 CA 모듈(14)의 종류에 대응하여 CA 모듈(14)의 종류에 적합하도록 상기 복수의 신호의 종류를 절환함으로써 CA 인터페이스 회로(3)를 제어한다.

Description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 및 그것을 구비한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DIGITAL TELEVISION RECEIVER MODULE AND DIGITAL TELEVISION RECEIV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예로서, 텔레비전 수상기, 퍼스널 컴퓨터, 휴대용 단말 장치,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광 디스크 등의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리코더 장치 등의,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을 수신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이하, DTV라고 한다)를 위한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과, 그것을 구비한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일본, 북미, 유럽을 비롯하여, 텔레비전 방송의 디지털화가 개시되어서, 각각의 나라나 지역의 방송 규격에 따른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수신기가 판매되고 있다. 예로서,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에 대해서는, 나라나 지역에 따라서, 서비스 내용이나, 도입시의 기술 수준 등이 상이하므로, 이하의 3가지의 규격을 권고하고 있다. 유럽에서는, DVB-T(Digital Video Broadcasting-Terrestrial) 방식이 채용되고, 미국에서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이 채용되고, 일본 국내에서는,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ing-Terrestrial)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중국에서는, 유럽에서의 DVB-T 를 기본으로 한 방식으로 규격화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규격에 있어서의 영상과 음성의 압축 방식은, 모두 MPEG-2 규격에 따른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전송 방식도 MPEG-2_TS 신호(트랜스포트 스트림) 규격에 따르고 있다. 따라서, DTV에서의 영상 및 음성의 복호기는, 인터페이스 및 회로를, 모든 나라나 지역에서 공통화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현재,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에서 채용되고 있는 MPEG-2나, 금후 채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ITU의 H.264 등의 압축 방식은, 기본적으로, 모션 벡터(motion vector)를 검출하여, 모션을 예측하고, 부호화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압축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복호하는 복호기는, 단일 하드웨어와, CPU와, CPU상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로써 실현할 수 있다. 각각의 방식에서의 상세한 규격의 차이는 소프트웨어의 변경으로써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해당 모듈의 메이커는, 수신 신호가 복조기에 의해서 MPEG-2_TS 신호로 복조된 후의 후단(後段) 회로, 즉, 복호기의 하드웨어 회로에 있어서는, 전 세계 공통의 디코더를 제품화할 수 있어서, 양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텔레비전 방송파 신호를 안테나 등을 통하여 수신한 후, MPEG-2_TS 신호로 복조될 때까지의 부분의 회로를, 프런트엔드(front-end) 회로라고 하지만, 프런트엔드 회로에서의 튜너 및 복조기에 있어서는, 나라나 지역 특유의 전파 정책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아서, 각각 상이한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복조기에서의 복조 방식은, DVB-T 방식 및 ISDB-T 방식에서는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직교 진폭 변조) 방식을 채용하고 있고, ATSC 방식에서는 VSB(Vestigial Side Band; 잔류 측파대)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프런트엔드 회로와 디코더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CA(Conditional Access; 조건부 액세스)부는 외부에 부착한 조건부 액세스 모듈(이하, CA 모듈이라고 한다)과 일체적으로 동작한다. CA부에 있어서는, 비지니스와도 관련되므로, 암호화 방식, CA 모듈과의 인터페이스 규격과 함께, 비지니스 영역, 시장마다 방식이 상이한 경우가 많다. DVB-T 방식에서는 CI(Common Interface; 이하, 공통 인터페이스라고 한다)를 채용하고 있고, 미국의 오픈 케이블 규격에 따른 케이블 텔레비전 방송에서는 케이블 카드 인터페이스를 채용하고, ISDB-T 방식에서는, IC 카드 인터페이스를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모두 단자 규격에 있어서, 물리적 규격 및 전기적 규격이 상이한 CA 모듈을 접속한다. 따라서, 종래에,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의 메이커는, 전 세계 공통의 디코더와, 각 나라나 각 지역마다의 프런트엔드 회로 모듈과, 각 시장마다의 CA부를 조합하여, 각 시장용의, 구성이 상이한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를 제품화하여 동작을 보증하였다.
또한, CI에 대해서는 비특허문헌 1에 기재되고, 케이블 카드(구명칭 POD)에 대해서는 비특허문헌 2에 기재되고, IC 카드 인터페이스에 대해서는, 비특허문헌 3에 기재되어 있다.
한편, CA부를 결합함으로써, 복수의 시장에도 대응하는 시도도 검토되어 있다(예로서,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은, 각각의 CA 모듈을 접속할 수 있는 복수의 CA 모듈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복수의 CA 모듈 인터페이스는,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출원공개 P2000-36820A.
특허문헌 2: 국제출원공개 WO01/047267.
비특허문헌 1: EUROPEAN STANDARD EN50221, Common Interface Specification for Conditional Access and other Digital Video Broadcasting Decoder Applications, English Version, Ref. No. EN50221: 1996E, February 1997.
비특허문헌 2: AMERICAN STANDARD ANSI/SCTE28 2001(Formerly DVS 295), HOST-POD Interface Standard, Engineering Committee Digital Video Subcommittee, Society of Cable Telecommunications Engineers, 2001.
비특허문헌 3: ISO7816-1 Standard, asynchronous smartcard information, Version 1.00, last revised on June 12, 1995.
비특허문헌 4: PC Card Standard, Volume 2, Electrical Specification, PCMCIA/JEITA, 2001.
비특허문헌 5: SCTE40 2001(Formerly DVS 313), Digital Cable Network Interface Standard, Engineering Committee Digital Video Subcommittee, Society of Cable Telecommunications Engineers, 2001.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그러나, 상기와 같은 상황에서는, 각 나라나 각 지역마다 프런트엔드 회로 모듈이 상이하고, 그리고 각 시장마다 CA 모듈의 물리적 규격, 전기적 규격이 상이하므로,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의 메이커는, 전 세계 공통의 디코더와, 각 나라나 각 지역마다의 프런트엔드 회로 모듈과, 각 시장마다의 CA 모듈 인터페이스를 조합하여, 각 나라나 각 지역, 각 시장용으로 구성이 상이한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를 제품화하였다. 따라서, 제품화할 때마다, 디코더와 프런트엔드 회로 모듈과 CA 모듈 인터페이스를 실장한 기판의 설계와, 동작 보증에 시간이나 비용이 들므로, 제품의 저가격화를 실현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특히, CA 모듈을 포함한 동작은, 각 시장에서 인증 기관에 의한 인증이 필요한 경우가 많고, 제품화할 때마다 인증하는 것은 시간이 걸리고 제조 코스트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의 메이커는, 전 세계 공통의 디코더와, 각 나라나 각 지역마다의 프런트엔드 회로 모듈과, 각 시장마다의 CA 모듈 인터페이스에 추가하여, 네트워크 접속 등의 기능 확장용 LSI를 조합하여, 각 나라나 각 지역의 로 엔드(low-end)로부터 하이 엔드(high-end)까지의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를 제품화하여 왔다. 따라서, 제품화할 때마다, 디코더와 프런트엔드 회로 모듈과 CA 모듈 인터페이스와 기능 확장용 LSI를 실장한 기판의 설계와, 동작 보증에 시간이나 비용이 들므로, 제품의 저가격화를 실현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특허문헌 1의 구성에서는, CA 모듈 인터페이스를 각각 구비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인터페이스 회로나 소켓의 비용이 증대하므로, CA 모듈을 포함한 각 시장 공통의 DTV용 모듈의 실현을 고려하면, 코스트면에서 불리하다. 따라서, 본래 공통화하여 달성하려고 했던 양산 효과에 의한 코스트 다운이 작아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CA 모듈과의 접속 단자 수는, 구비하고 있는 인터페이스의 수에 따라서 증가한다. 단자 수에는, 예로서, CI 카드와, 케이블 카드의 단자 수는 각각 68 단자이지만, 이러한 2 종류의 CA 모듈 인터페이스만으로 최소한 136개의 단자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CA 모듈과의 접속 단자 수가 증대하므로, CA 모듈을 포함한 각 시장 공통의 DTV용 모듈의 실현을 고려한 경우, 소형화하는 데에 있어서 불리하게 된다. 따라서, 모듈화하여 소형화를 실현하는 데에 있어서 단자 수가 장애 요인이 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특히, 모듈의 실현 형태를 반도체 칩화, 다층 구조의 인쇄 배선 기판화 등, 초소형화를 실현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반도체 칩이나 인쇄기판의 면적에 대하여, 접속 단자가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이 매우 커진다. 이것은 접속 단자의 소형화는, 단자에 접속되는 배선의 간격이나 접속하는 공법에도 영향을 받으므로,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접속 단자 수가 증가하면 접속 단자의 면적에 따라서 칩이나 인쇄기판의 면적이 결정되는 경우도 있어서, 소형화를 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각 나라나 각 지역의 프런트엔드 회로 및 각 시장의 CA 모듈을 직접적으로 접속할 수 있고, 종래 기술에 비교하여 간단하고 또한 염가로 제조할 수 있는 DTV용 모듈 및 그것을 구비한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각 나라나 각 지역의 프런트엔드 회로 및 각 시장의 CA 모듈과 기능 확장 보드를 직접적으로 접속할 수 있고, 종래 기술에 비교하여 간단하고 또한 염가로 제조할 수 있는 DTV용 모듈 및 그것을 구비한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은,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를 수신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를 위한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에 있어서,
서로 상이한 방송 방식의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외부 기판 중 1개의 외부 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복수의 단자를 갖는 제1접속 수단과,
상기 외부 기판에 설치된 복조기로부터 상기 제1접속 수단을 통하여 입력되는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에 대하여 복호화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1접속 수단을 통하여 출력하는 복호화 수단과,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서로 상이한 전기적 규격을 갖는 복수 종류의 조건부 액세스 모듈 중 1개의 조건부 액세스 모듈에 상기 제1접속 수단을 통하여 접속되고, 또한 상기 복조기, 상기 복호화 수단 및 상기 제어 수단에 접속되어서, 상기 복조기와, 상기 조건부 액세스 모듈과, 상기 복호화 수단과, 상기 제어 수단과의 사이에 송수신되는 복수의 신호의 입력 및 출력 처리를 실행하는 인터페이스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이 입력되는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의 방송 방식과 이 접속되는 조건부 액세스 모듈의 종류 중 최소한 한쪽에 대응하여, 이 접속되는 조건부 액세스 모듈의 전기적 규격에 적합하도록, 상기 제1접속 수단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신호의 종류를 절환함으로써,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은, 상기 복조기로부터 상기 제1접속 수단을 통하여 입력되는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를, 상기 제1접속 수단을 통하여 상기 조건부 액세스 모듈에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복호화 수단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은, 복수의 버퍼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각각의 버퍼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입력 및 출력 처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조건부 액세스 모듈이 상기 제1접속 수단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지 않을 때, 상기 조건부 액세스 모듈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상기 제어 수단에 출력하도록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복수 종류의 조건부 액세스 모듈 중 제1종류의 조건부 액세스 모듈이 상기 제1접속 수단을 통하여 접속되었을 때, 상기 접속된 조건부 액세스 모듈로부터 상기 제1접속 수단을 통하여 입력되는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를 상기 복호화 수단에 출력하도록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제1전원 전압을 상기 제1접속 수단을 통하여 상기 접속된 조건부 액세스 모듈에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어드레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상기 제1전원 전압으로써 상기 제1접속 수단을 통하여 상기 접속된 조건부 액세스 모듈에 출력하도록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제1종류의 조건부 액세스 모듈은, 공통 인터페이스의 조건부 액세스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복수 종류의 조건부 액세스 모듈 중 제2종류의 조건부 액세스 모듈이 상기 제1접속 수단을 통하여 접속된 초기 상태일 때에, 제2전원 전압을 상기 제1접속 수단을 통하여 상기 접속된 조건부 액세스 모듈에 출력하고, 상기 접속된 조건부 액세스 모듈로부터 상기 제1접속 수단을 통하여 입력되는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를 상기 복호화 수단에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어드레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상기 제2전원 전압으로써 상기 제1접속 수단을 통하여 상기 접속된 조건부 액세스 모듈에 출력하도록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복수 종류의 조건부 액세스 모듈 중 제2종류의 조건부 액세스 모듈이 상기 제1접속 수단을 통하여 접속된 초기 상태 이후의 동작 상태일 때에, 상기 접속된 조건부 액세스 모듈로부터 상기 제1접속 수단을 통하여 입력되는 클록 신호를 상기 복호화 수단에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복조기로부터 상기 제1접속 수단을 통하여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제1접속 수단을 통하여 상기 접속된 조건부 액세스 모듈에 출력하고, 상기 접속된 조건부 액세스 모듈로부터 상기 제1접속 수단을 통하여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제1접속 수단을 통하여 상기 복조기에 출력하도록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제2종류의 조건부 액세스 모듈은, 케이블 카드의 조건부 액세스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에 있어서, 제3종류의 조건부 액세스 모듈을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 및 상기 제어 수단에 접속하는 별개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제3종류의 조건부 액세스 모듈은 IC 카드의 조건부 액세스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에 있어서,
(a) 상기 제1접속 수단이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에 접속된 제1상태와,
(b) 상기 제1접속 수단이 상기 별개의 인터페이스 수단에 접속된 제2상태를 선택적으로 절환하는 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은, 복수 층의 기판을 구비하고, 제1의 신호 배선층 기판과, 제2의 신호 배선층 기판과의 사이에, 복수의 박막 콘덴서를 실장한 콘덴서층 기판과, 복수의 박막 저항을 실장한 저항층 기판을 끼워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에 있어서,
(a) 제1종류의 복조기와, 상기 제1종류의 조건부 액세스 모듈을 접속할 수 있는 제2접속 수단을 구비하고, 제1방송 방식에 따른 제1종류의 외부 기판과,
(b) 제2종류의 복조기와, 상기 제2종류의 조건부 액세스 모듈을 접속할 수 있는 제2접속 수단을 구비하고, 제2방송 방식에 따른 제2종류의 외부 기판 중 하나에 상기 제1접속 수단을 통하여 접속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외부 기판으로부터 상기 제1접속 수단을 통하여 입력되는 종별 데이터 신호에 따라서, 상기 외부 기판의 종류 및 상기 입력되는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의 방송 방식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방송 방식에 따라서, 상기 복호화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제1접속 수단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신호의 종류를 절환함으로써,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에 있어서, 상기 종별 데이터 신호는, 상기 외부 기판에서 접지 도체와 접속되어 있는가 아닌가에 의한, 상기 외부 기판의 종류에 따라서 상이하게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에 있어서, 상기 종별 데이터 신호는, 상기 외부 기판에 실장된 메모리에, 상기 외부 기판의 종류에 따라서 상이하게 저장된 데이터를 판독한 데이터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또한,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에 있어서, 상기 방송 방식은, DVB-T 방식과, ATSC 방식과, ISDB-T 방식 중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의 기능을 확장하기 위한 서로 상이한 기능을 갖는 복수 종류의 기능 확장 기판을 접속하기 위한 제3접속 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에 있어서, 상기 기능 확장 보드는,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기능 확장 기판과, CATV의 헤드 엔드(head end)에 접속하기 위한 CATV 모뎀 기능 확장 기판 중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는,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과, 상기 외부 기판을 구비한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로서,
상기 외부 기판은,
제1종류의 복조기와,
제1종류의 조건부 액세스 모듈을 접속하는 제2접속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외부 기판은, 제1방송 방식에 따른 제1종류의 외부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는,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과, 상기 외부 기판을 구비한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로서,
상기 외부 기판은,
제1종류의 복조기와,
제1종류의 조건부 액세스 모듈을 접속하는 제2접속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외부 기판은, 제1방송 방식에 따른 제1종류의 외부 기판이며,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은, 제1종류의 상기 기능 확장 기판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판은,
서로 상이한 복수 종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각각 대응하여 상이한 종류의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는 복수 종류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중 하나를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와, CRT 디스플레이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는,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과, 상기 외부 기판을 구비한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로서,
상기 외부 기판은,
제1종류의 복조기와,
제1종류의 조건부 액세스 모듈을 접속하는 제2접속 수단과,
제1종류의 디스플레이를 접속하는 제1종류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기판은, 제1방송 방식에 따라서, 제1종류의 디스플레이에 접속하는 제1종류의 외부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는,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과, 상기 외부 기판을 구비한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로서,
상기 외부 기판은,
제1종류의 복조기와,
제1종류의 조건부 액세스 모듈을 접속하는 제2접속 수단과,
제1종류의 디스플레이를 접속하는 제1종류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기판은, 제1방송 방식에 따라서, 제1종류의 디스플레이에 접속하는 제1종류의 외부 기판이며,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은, 제1종류의 상기 기능 확장 기판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은 제1유전체 기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부 기판은 제2유전체 기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유전체 기판의 유전율은 상기 제1유전체 기판의 유전율보다도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DTV용 모듈에 의하면, 각 나라나 각 지역 공통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동시에, 각 나라나 각 지역의 프런트엔드 회로 및 각 시장의 CA 모듈을 직접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DTV용 모듈은, 각 나라나 각 지역의 프런트엔드 회로 및 각 시장의 CA 모듈과 접속하여 동작하는 것을 보증할 수 있다.
또한, DTV용 모듈에 접속할 수 있도록 적합한 머더보드(motherboard)를 각 나라나 각 지역, 각 시장마다 준비함으로써, DTV용 모듈을 머더보드에 접속하여, 각 나라나 각 지역, 각 시장용의 수신기를 제품화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의 메이커는, 본 발명에 의한 DTV용 모듈을 이용하면, 각 나라나 각 지역마다의 프런트엔드 회로 모듈과 각 시장의 CA 모듈의 소켓을 실장한 머더보드를 설계함으로써, 각 나라나 각 지역, 각 시장용의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를 용이하게 제품화할 수 있다. 또한, DTV용 모듈로써, CA 모듈을 포함한 동작에 대하여 각 시장의 인증 기관에 의한 인증을 받아 두면, 제품마다 인증하는 시간이나 비용도 절약할 수 있다. 그 결과, 메이커의 제품화 코스트의 삭감이 가능하게 되어서,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의 저가격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DTV용 모듈에 의하면, 각 시장의 전기적 규격이 상이한 복수 종류의 CA 모듈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회로나 소켓을 공통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 코스트를 증대시키는 일 없이, CA 인터페이스를 포함한 전 세계에 대응하는 DTV용 모듈을 실현하여 제품화할 수 있으므로, 양산 효과에 의한 코스트 다운을 할 수 있어서,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의 보급에 공헌할 수 있다.
또한, CA 모듈과의 접속 단자 수를 증대시키지 않고, CA 인터페이스를 포함한 DTV용 모듈을 실현할 수 있으므로, 모듈화에 의해서 소형·경량화할 수 있어서, 휴대형 수신기나 차량 탑재 수신기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의 보급에 공헌할 수 있다. 각 나라나 각 지역의 프런트엔드 회로 및 각 시장의 CA 모듈과 접속하는 것에 따른 단자 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특히 모듈의 실현 형태를 반도체 칩화, 다층 구조의 인쇄 배선 기판화 등 초소형화를 실현하는 경우에, 접속 단자의 면적에 따라서 칩이나 인쇄기판의 면적이 결정되어서, 소형화를 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의한 DTV용 모듈에 의하면, 네트워크 기능 확장 보드를 접속함으로써 네트워크 관련 기능을 구비할 수 있는 동시에, CATV 모뎀 기능 확장 보드를 접속함으로써 CATV 모뎀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의 메이커는, 본 발명에 의한 DTV용 모듈을 이용하면, 각 지역마다의 프런트엔드 회로와 각 시장의 CA 모듈의 각각의 소켓을 실장한 머더보드와 기능 확장용 보드를 설계함으로써, 머더보드와 기능 확장용 보드를 조합하여, 각 지역, 시장용의 로 엔드로부터 하이 엔드까지의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를 용이하게, 더욱이 종래기술에 비교하여 저가격으로 소형·경량으로 제품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의한 텔레비전 수신기에 있어서, DTV용 모듈(1)을 머더보드(101)에 실장하고, 머더보드(101)를 수신기 케이스(104) 내에 실장할 때의 텔레비전 수신기의 일부 분해 실장도.
도 2는 도 1의 DTV용 모듈(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DTV용 모듈(1)의 이면도(裏面圖).
도 4는 도 1의 DTV용 모듈(1)의 다층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의 DTV용 모듈(1) 및 머더보드(101)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도 1의 DTV용 모듈(1)에 형성된 CA 인터페이스 회로(3)의 구성을 나 타내는 회로도.
도 7은 도 6의 CPU(19)로부터 각각의 버퍼(33 내지 43)에 공급되는 이네이블(enable) 제어 신호 D, E, F, H, J, K의 온/오프 상태의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6의 각각의 버퍼(33 내지 43) 및 PC 카드에 공급되는 전원 전압의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6의 CPU(19)에 의해서 실행되는 CA 모듈 삽입 검출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의한 텔레비전 수상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분해 배면도(背面圖).
도 11은 도 10의 DTV용 모듈(1) 및 머더보드(201)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2는 도 11의 각 제어 전압 V1, V2의 설정치의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도 6의 CA 인터페이스 회로(3)를 사용했을 때의 도 11의 시스템에 있어서, CPU(19)로부터 각각의 버퍼(33 내지 43)에 공급되는 이네이블 제어 신호 D, E, F, H, J, K의 온/오프 상태의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도 6의 CA 인터페이스 회로(3)를 사용했을 때의 도 11의 시스템에 있어서, 도 6의 각각의 버퍼(33 내지 43) 및 PC 카드에 공급되는 전원 전압의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의한, DTV용 모듈(1)과, 이 DTV용 모듈(1)에 접속되는 세계 각 나라용 머더보드(201-1, 201-2, 201-3)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6은 제3실시형태에 의한 시스템에 있어서, 일본의 ISDB-T 방식을 사용하는 IC 카드와, 유럽의 DVB-T 방식을 사용하는 CI 카드와, 북미의 오픈 케이블 방식을 사용하는 케이블 카드를 포함하는 CA 모듈(14)의 입출력 신호 및 단자의 테이블의 제1부분을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도 16의 테이블의 제2부분을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도 16의 테이블의 제3부분을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도 15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206)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8)에 출력되는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 및 단자의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도 15의 각 복조기(12-1, 12-2, 12-3)로부터의 MPEG-2TS 신호의 각각의 상세한 신호 및 단자의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의한, DTV용 모듈(1)과, 이 DTV용 모듈(1)에 접속되는 세계 각 나라용 머더보드(201-1, 201-2, 201-3)와, 네트워크 기능 확장 보드(401)와, CATV 모뎀 기능 확장 보드(411)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의한, DTV용 모듈(1)과, 이 DTV용 모듈(1)에 접속되는 세계 각 나라용 머더보드(201-1, 201-2, 201-3)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부호의 설명)
1: DTV용 모듈
2: 디코더 LSI
3: CA 인터페이스 회로
3B: 버퍼
4: 메모리
5: VCXO
6: ROM
7: 콘덴서
9: 땜납 볼(ball)
10: 메모리
12, 12-1, 12-2, 12-3: 복조기
12A: 안테나
13: PC 카드 소켓
13-1: IC 카드 소켓
13-2: CI 카드 소켓
13-3: 케이블 카드 소켓
14: CA 모듈
18: 디코더
19: CPU
19B: 버스(bus)
22: IC 카드 인터페이스
22B: 버퍼
23: IC 카드 커넥터
24, 25: 신호선
31: 전원 전압 절환 스위치
31A, 31B, 32: 전원 단자
33, 34, 35, 36, 37, 38, 39, 40, 40A, 40B, 41, 42, 43: 버퍼
51, 52: 신호 배선층 기판
53: 콘덴서층 기판
54: 접지 도체층 기판
55: 저항층 기판
56: 전원층 기판
57, 58: 신호 배선층 기판
61: 박막 콘덴서
62: 박막 저항
101: 머더보드(motherboard)
102, 102-1, 102-2, 102-3: 프런트엔드 회로
103: 전원 유닛
104: 수신기 케이스
104a: 표시부
105: 소켓
106: AV 출력 회로
201, 201-1, 201-2, 201-3: 머더보드
202: 프런트엔드 회로
203: 전원 유닛
204: 텔레비전 수상기
204D: 디스플레이
205: 소켓
206: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207: 지지대
208: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209-1, 209-2, 209-3: EEPROM
401: 네트워크 기능 확장 보드
402: 이더넷(ethernet) 인터페이스
403: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404: 통신 컨트롤러
411: CATV 모뎀 기능 확장 보드
412: 케이블 모뎀
Rp1, Rp2: 풀업(pull-up) 저항
T1, T2, T3, T4, T5, T6: 접속 단자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였다.
(제1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의한 텔레비전 수신기에 있어서, DTV용 모듈(1)을 머더보드(101)에 실장하고, 머더보드(101)를 수신기 케이스(104) 내에 실장할 때의 텔레비전 수신기의 일부 분해 실장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의 DTV용 모듈(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DTV용 모듈(1)의 이면도(裏面圖)이다. 또한, 도 4는 도 1의 DTV용 모듈(1)의 다층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제1실시형태에서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특히 셋탑(settop) 박스에 있어서의 DTV용 모듈(1)을 텔레비전 수신기에 실장한 일례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1에서, 텔레비전 수신기를 위한 DTV용 모듈(1)은 유전체 기판으로 구성된 머더보드(101)의 위치(1A)에 실장되고, 이 머더보드(101)는, 수신기 케이스(104)의 위치(101A) 내에 실장된다. 머더보드(101) 상에는, DTV용 모듈(1) 이외에 프런트엔드(front-end) 회로(102)나 AV 출력 회로(106) 등의 회로가 실장되고, 또한, 머더보드(101)에 외부 장치와의 접속을 위한 소켓(105)이 설치된다. 수신기 케이스(104)의 표면에는 텔레비전 수신기의 동작 상태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104a)가 실장되고, 또한, 수신기 케이스(104) 내에 머더보드(101) 등에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유닛(103)이 실장되어 있다.
도 2에서, DTV용 모듈(1)은, 양면에 실장이 가능한 다층 구조의 복수의 인쇄 배선 기판(51 내지 58)(도 4 참조)과, 그것들에 실장되는 부품으로 구성된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DTV용 모듈(1)은, 도 2를 참조하여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표면측의 신호 배선층 기판(51, 52)과, 복수의 박막 콘덴서(61)를 실장한 콘덴서층 기판(53)과, 접지 도체를 실장한 접지 도체층 기판(54)과, 복수의 박막 저항(62)을 실장한 저항층 기판(55)과, 전원 회로 및 그 배선을 실장한 전원층 기판(56)과, 도 3을 실장하여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이면측의 신호 배선층 기판(57, 58)이 적층되어서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DTV용 모듈(1)을 종래 기술에 비교하여 매우 소형으로 얇게 제조할 수 있다. 내층(內層)인 콘덴서층 기판(53) 및 저항층 기판(55)에는, 박막 콘덴서(61)나 박막 저항(62) 이외에, DTV 모듈(1)을 구성하는 부품인 이후에 설명하는 LSI나 메모리의 베어 칩(bare chip)을 실장해도 좋고, 이에 따라서, DTV 모듈(1)에 대하여 내장에 있어서의 부품의 실장율을 높임으로써, DTV용 모듈(1)을 더욱 소형화할 수 있다.
도 2에서, DTV용 모듈(1)의 표면인 부품면에 실장되어 있는 부품은, 각 나라나 각 지역의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에 있어서의 압축 방식에 대응한 디코딩 처리를 실행하는 디코더 LSI(2)와, 각 시장에서의 CA 모듈과 직접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공통 인터페이스인 CA 인터페이스 회로(3)와, 디코더 LSI의 작업용 메모리(working memory)(4)와, 디코더 LSI(2)의 클록을 발생하는 전압 제어 수정 발진기(이하, VCXO라고 한다)(5)와, 디코더 LSI(2) 내의 CPU용 프로그램의 코드 등의 데이터를 기억하는 ROM(6)과, 도시되어 있지 않은 각 부품용의 전원에 접속되는 콘덴서(7)를 포함한다.
도 3에서, DTV용 모듈(1)의 이면(裏面)인 납땜면에 실장되어 있는 부품은, 디코더 LSI의 별개의 작업용 메모리(10)와, DTV용 모듈(1)을 머더보드(101)에 실장할 때에 신호선 및 전원선을 접속하기 위한 단자인 땜납 볼(ball)(9)을 포함한다. DTV용 모듈(1)은, 단체(單體)로, 각 나라나 각 지역의 압축 방식에 대한 복호화 처리를 실행할 수 있고, 각 나라나 각 지역의 복조기(12)를 포함하는 프런트엔드 회로와 접속할 수 있고, 각 시장의 CA 모듈과 접속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코더 LSI(2)는 DTV용 모듈(1)의 부품면의 대략 중앙에 배치되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별개의 작업용 메모리(10)는 DTV용 모듈(1)의 납땜면의 대략 중앙이고 또한 땜납 볼(9)의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디코더 LSI(2)와 별개의 작업용 메모리(10)와의 사이의 배선이 짧아져서 전기 신호의 전파(傳播) 지연 시간이 단축되어 성능이 향상되는 동시에, DTV용 모듈(1)의 납땜면의 실장율을 높일 수 있어서, DTV 모듈(1)의 기판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기판 크기의 소형화에 따라서 저가격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별개의 작업용 메모리(10)를 DTV용 모듈(1)의 납땜면의 중앙에 배치함으로써, 땜납 볼(9)을 그 주위에 상하 및 좌우로 균등하게 배열할 수 있다. 따라서, DTV 모듈(1)의 실장을 균형을 맞추어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DTV용 모듈(1)의 인쇄 배선 기판(51, 52, 53, 55, 57, 58)에 각 부품을 실장하는 형태를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각 부품을 반도체 칩에 실장해서 패키지 내에 수용하여 LSI화해도 좋다.
또한, 도 1을 참조하여, DTV용 모듈(1) 및 머더보드(101)의 수신기 케이스 (104)에의 실장 형태에 대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서, DTV용 모듈(1)은, 각 나라나 각 지역마다의 프런트엔드 회로(102)와, 각 시장마다의 CA 모듈을 접속하기 위한 소켓(105)과,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를 외부 장치에 출력하는 AV 출력 회로(106)가 실장되어 있는 머더보드(101)에 실장된다. 머더보드(101)에는, DTV용 모듈(1)의 이면의 복수의 땜납 볼(9)의 배치에 대응하는 접속용 단자인 복수의 랜드(land)(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어서, 머더보드(101)와 DTV용 모듈(1)은, 리플로(reflow) 공정에 의해서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DTV용 모듈(1)이 연결되어서 접속된 머더보드(101)는, 수신기(104)의 케이스에 전원 유닛(103)과 함께 조립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모리(4)나 메모리(10) 등의 동작 속도가 빠른, 예로서 DRAM으로 구성된 메모리는 DTV용 모듈(1) 측에 있으므로, 머더보드(101)에는 동작 속도가 느린 부품만이 실장된다. DTV용 모듈을 사용하지 않는 종래기술에 의한 텔레비전 수신기에서는, 동일한 인쇄 배선 기판상에 부품을 배치하므로, 인쇄 배선 기판의 성능은, 가장 고속의 메모리에 의해서 결정되었다. 그 때문에, 종래에는 유전율이 낮은 기판을 사용하였지만, 머더보드(101)는, 유전율이 높은 저성능의 인쇄 배선 기판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코스트 다운을 실현할 수 있다. 즉, 머더보드(101)는, DTV용 모듈(1)의 유전체 기판의 유전율보다도 높은 유전율을 갖는 유전체 기판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범용적인 유리 에폭시 기판이나 종이 에폭시 기판 등의 인쇄 배선 기판은, 유전율이 높고 비교적 염가이다. 한편, 저유전율 에폭시 기판이나 불소 기판 등의 인쇄 배선 기판은, 유전율이 낮고 비교적 고가이다. 또한, 인쇄 배선 기판에 있어서 전기 신호의 전파 속도는, 유전율이 낮아지면 빨라진다. 따라서, 동작 속도가 빠른 부품이 실장되는 DTV용 모듈(1)은, 유전율이 낮은 고성능의 인쇄 배선 기판을 사용하고, 동작 속도가 빠른 부품이 실장되지 않는 머더보드(101)는, 유전율이 높고 염가인 인쇄 배선 기판을 사용한다. DTV 모듈(1)과 머더보드(101)에 있어서, 재질, 성능이 상이한 인쇄 배선 기판을 구분하여 사용함으로써, 성능 확보와 코스트 다운을 양립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더욱이 DTV용 모듈(1)에 실장되는 동작 속도가 비교적 빠른 부품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코더 LSI(2)와, 디코더 LSI(2)를 위한 작업용 메모리(4) 등, 클록 주파수가 100 MHz 이상의 LSI나 메모리를 주로 포함한다. 한편, 머더보드(101)에 실장되는 동작 속도가 비교적 느린 부품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런트엔드 회로(102)나 CA 모듈 등, 클록 주파수가 100 MHz를 초과하지 않는 회로 등을 주로 포함한다.
또한, DTV용 모듈(1)의 땜납 볼(9)에 대응하는 랜드를 구비한 머더보드(101)를 각 나라나 각 지역, 각 시장마다 준비함으로써, DTV용 모듈(1)과 접속하여, 각 나라나 각 지역, 각 시장용의 텔레비전 수신기를 제품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DTV용 모듈(1)과 머더보드(101)의 접속 방법으로서, 땜납 볼(9)과 랜드를 이용한 리플로 공정에 의한 방법을 사용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것들이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면, 커넥터나 케이블에 의한 접속 방법 등을 사용해도 좋다.
도 5는, 도 1의 DTV용 모듈(1) 및 머더보드(101)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구성 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DTV용 모듈(1)의 시스템 구성을, 도 5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5에서, 머더보드(101)에는, 안테나(12A)에 접속되는 튜너(도시되어 있지 않음)와 복조기(12)를 포함하는 프런트엔드 회로(102)와, PC 카드 소켓(13)과, IC 카드 소켓(23)과, AV 출력 회로(106)가 실장된다. 여기서, 머더보드(101)에 있어서, PC 카드 소켓(13)과, IC 카드 소켓(23)은 어느 한쪽만을 실장해도 좋다. 또한, DTV용 모듈(1)에는, 디코더(18)와 CPU(19)를 구비한 디코더 LSI(2)와, CA 인터페이스 회로(3)와, 복수의 메모리(4)와, VCXO(5)와, ROM(6)과, IC 카드 인터페이스(22)가 실장된다. 여기서, VCXO(5) 및 메모리(4)는 디코더 LSI(2)에 접속되고, 또한, CPU(19)와, CA 인터페이스 회로(3)와, ROM(6)과, IC 카드 인터페이스(22)는 버스(19B)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머더보드(101)의 프런트엔드 회로(102)는, 안테나(12A)에 접속된 튜너(도시되어 있지 않음)와, 복조기(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런트엔드 회로(102)의 튜너는 안테나(12A)를 통하여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파를 수신하여 소정의 중간 주파 신호로 주파수 변환하고, 복조기(12)는 상기 주파수 변환된 중간 주파 신호를 MPEG-2_TS 신호로 복조하여 DTV용 모듈(1) 내의 CA 인터페이스 회로(3)에 출력한다. DTV용 모듈(1)에서는, MPEG-2_TS 신호와의 인터페이스를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동작하는 것을 보증함으로써, 복조기(12)는, 각각 QAM 방식을 각각 이용한 DVB-T 방식 및 ISDB-T 방식에 따른 복조기와, VSB 방식을 사용한 ATSC 방식에 따른 복조기 중 어느 것이라도, CA 인터페이스 회로(3)에 직접적으로 접속할 수 있 다.
도 2에서의 소켓(105)은, PC 카드 소켓(13)과, IC 카드 소켓(23)을 포함한다. PC 카드 소켓(13)은 CA 모듈(14)을 삽입하는 소켓이다. DVB-T 방식에 있어서의 CI 카드와, 오픈 케이블에 있어서의 케이블 카드는 모두 PC 카드와 동일한 물리적 규격을 가지므로(전기적으로는 각각 상이한 규격을 갖고 있다), 동일한 PC 카드 소켓(13)에 삽입하여 접속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DTV용 모듈(1)에서는, 이러한 CA 모듈(14)과의 접속을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도 이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보증함으로써, CI 카드와 케이블 카드의 어느 것이라도 직접적으로 삽입하여 접속할 수 있다. DTV용 모듈(1)은, 미국이나 유럽의 CA 모듈(14)과 접속하여 동작하는 것을 보증하여 제품화할 수 있다.
CA 인터페이스 회로(3)의 회로 구성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CA 인터페이스 회로(3)는, 그 동작이 CPU(19)에 의해서 제어되고, 복조기(12)로부터의 MPEG-2_TS 신호를 입력하여 디스크램블러 처리 후에 디코더(18)에 출력하는 회로와, CA 모듈(14)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동작하는 것을 보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복조기(12)로부터의 MPEG-2_TS 신호는 PC 카드 소켓(13)을 통하여 CA 모듈(14)에 출력되어서, CA 모듈(14)에 의해서 디스크램블된다. 디스크램블 후의 MPEG-2_TS 신호는, CA 모듈(14)로부터 PC 카드 소켓(13)을 통하여 디코더 LSI(2) 내의 디코더(18)에 출력된다. 또한, CA 인터페이스 회로(3)는, CA 모듈(14) 내의 레지스터나 속성이 기록되어 있는 메모리에 액세스하기 위하여, CPU(19)의 버스(19B)에도 접속된다. 즉, CA 인터페이스 회로(3)는, CA 모듈(14)에, 복조기(12)와, CA 모듈(14)과, 디코더(18)와, CPU(19)와의 사이에 송수신되는 복수의 신호의 입력 및 출력 처리를 실행한다.
IC 카드 소켓(23)은, IC 카드(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삽입하는 소켓이다. ISDB-T 방식의 CA 모듈(14)은, IC 카드와 동일한 물리적 규격 및 전기적 규격을 가지므로, IC 카드 소켓(23)에 접속할 수 있다. IC 카드 인터페이스(22)는 IC 카드 소켓(23)과 CPU(19)의 버스(19B)와의 사이에 삽입되어서, IC 카드 소켓(23)에 접속된 IC 카드와 CPU(19)와의 사이의 신호에 대하여 전기적인 입력 및 출력의 인터페이스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IC 카드의 단자 수는 8이다. DTV용 모듈(1)은, 일본에서의 CA 모듈(14)과도 접속하여 동작하는 것을 보증하여, DTV용 모듈(1)을 제품화할 수 있다.
디코더 LSI(2)는, 하드웨어 엔진인 디코더(18)와 CPU(19)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MPEG-2_TS 신호를 입력하여, MPEG-2_TS 신호를,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복호화하여 출력하는 디코딩 처리를 실행한다. 디코더 LSI(2)는, DVB-T 방식, ATSC, ISDB-T 등의 방식에서의 MPEG-2 규격의 차(差)만큼, 장래 규격화되는 H.264 등에 적응시켜서 MPEG-2_TS 신호를 복호화할 수 있다. 복호화된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는 AV 출력 회로(106)를 통하여 외부 장치에 출력된다.
복수의 메모리(4)는 디코더 LSI(2) 내의 CPU(19) 및 디코더(18)와 접속되어서, CPU(19)의 2차 캐시(cache) 메모리나 그 밖의 애플리케이션용의 작업용 메모리로서 사용되는 동시에, 디코더(18)의 부호화 처리시의 작업용 메모리로서 사용된다. 또한, VCXO(5)는, 디코더(18)가 사용하는 27 MHz의 MPEG-2 시스템 클록 등을 발생하여 디코더 LSI(2)에 출력한다. 또한, ROM(6)은, CPU(19)가 동작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나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고, 그것들을 CPU(19)가 판독해 내도록 CPU(19)의 버스(19B)에 접속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DTV용 모듈(1)은, 단체(單體)로, DVB-T 방식, ISDB-T 방식, ATSC 방식, 및 오픈 케이블 방식에 있어서의 복조기(12), 및 CA 모듈(14)과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동작하는 것을 보증할 수 있는 동시에, DVB-T 방식, ISDB-T 방식, ATSC 방식 및 오픈 케이블 방식 등의 방식에 있어서의 압축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복호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DTV용 모듈(1)에 형성된 CA 인터페이스 회로(3)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6의 CPU(19)로부터 각각의 버퍼(33 내지 43)에 공급되는 이네이블(enable) 제어 신호 D, E, F, H, J, K의 온/오프 상태의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8은 도 6의 각각의 버퍼(33 내지 43) 및 PC 카드에 공급되는 전원 전압의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서의 각각의 버퍼(33 내지 43)의 기호의 기재에 대하여 설명한다. 각각의 버퍼(33 내지 43)의 기호는, 1개 이상의 버퍼가 병렬로 접속된 회로를 나타내고 있다. 병렬로 접속되는 버퍼의 수는, 도 6의 신호선에 신호선 수를 추가 기록하여 나타내고 있다. 또한, 각각의 버퍼(33 내지 43)의 삼각형에 있어서, 삼각형의 가장 작은 예각(銳角)을 갖는 정점(頂点)이 출력측을 나타내고, 그 정점에 대향하는 변이 입력측을 나타내고, 이 삼각형의 수평 방향의 방향이 그 신호의 진행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각각의 버퍼(33 내지 43)의 삼각형을 포함하는 구형(矩形)의 상 변에 전원선이 접속되는 한편, 상기 구형의 하변에, 각각의 버퍼(33 내지 43)의 출력을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CPU(19)로부터의 이네이블 제어 신호의 신호선이 접속된다.
각각의 버퍼(33 내지 43)의 전원선 중에서, 버퍼(33, 34, 35, 36, 40, 42, 43)의 전원선은 ◇로 표시된 전원 단자(32)를 통하여 3.3V의 전원 단자(31A)에 접속되는 한편, PC 카드 소켓(13)에 접속되어 있는 버퍼(37, 38, 39, 40, 41)의 전원선은 전원 전압 절환 스위치(31)의 출력 단자에 접속된다. 또한, 디코더 LSI(2)에는, 전원 단자(31A)로부터의 3.3V의 전원 전압이 공급되어 있다. 3.3V의 전원 단자(31A)는 전원 전압 절환 스위치(31)의 접점 a 측으로 접속되고, 5V의 전원 단자(31B)는 전원 전압 절환 스위치(31)의 접점 b 측으로 접속된다. 전원 전압 절환 스위치(31)의 절환은 CPU(19)의 범용 IO인 IO_[15] 신호에 의해서 제어되어서, 초기 상태에서 전원 전압 절환 스위치(31)는 접점 a 측으로 절환되고, 전원 전압 절환 스위치(31)가 접점 a 측으로 절환되었을 때, 3.3V의 전원 전압이 각각의 버퍼(37, 38, 39, 40, 41)에 공급되는 한편, 전원 전압 절환 스위치(31)가 접점 b 측으로 절환되었을 때, 5V의 전원 전압이 각각의 버퍼(37, 38, 39, 40, 41)에 공급된다. 또한, 전원 단자(31A, 31B)는 DTV용 모듈(1)의 땜납 볼(9) 및 머더보드(101)를 통하여 전원 유닛(103)에 접속된다. CPU(19)는,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PC 카드 소켓에 접속되는 CA 모듈(14) 또는 머더보드(101)로부터의 설정 정보에 따라서 적절한 전원 전압을, 버퍼(37, 38, 39, 40, 41)에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각각의 버퍼(33 내지 43)의 이네이블 제어 신호 D, E, F, H, J, K에 있어서, 이네이블 제어 신호가 온(ON)일 때, 각각의 버퍼(33 내지 43)에 입력되는 입력 신호가 그대로 출력되는 한편, 이네이블 제어 신호가 오프(OFF)일 때, 각각의 버퍼(33 내지 43)에 입력되는 입력 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그 출력 단자가 하이 임피던스 상태로 된다. 즉, 각각의 버퍼(33 내지 43)의 출력 신호는, 이네이블 제어 신호 D, E, F, H, J, K에 의해서 온/오프된다(이하, 각각의 버퍼(33 내지 43)는 온/오프되는 것으로 한다). 각각의 이네이블 제어 신호는, CPU(19)의 범용 IO 포트를 통하여 CPU(19)로부터 출력된다. 여기서, 범용 IO 포트의 단자명을, 도 6에서는, IO_이하의 비트 번호로 나타내고 있다. 즉,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예로서, IO_[13:6]은 IO 포트의 비트 6으로부터 비트 13까지의 신호 비트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에서의 PC 카드 소켓(13)의 단자와의 접속에 대하여는, 물리적인 접속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비특허문헌 4에 규정되어 있는 16 비트 PC 카드의 입출력 및 메모리 카드의 핀(pin) 할당의 단자명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버퍼(42)는 3 회로로 구성된 버퍼이고, 그 입력 단자에는, 오픈 케이블 방식에 따른 복조기(12)로부터의 제어 신호인 DRX, CRX, CTX 신호가 입력되고, 그 출력 단자는, 버퍼(37)의 출력 단자와, PC 카드 소켓(13)의 어드레스 A[9, 8, 4] 단자에 접속된다. 버퍼(42)는, CPU(19)로부터 출력되는 이네이블 제어 신호 H에 의해서 그 온/오프가 제어된다. 또한, 버퍼(42)에는, 3.3V의 전원 전압이 공급된다. 또한, 오픈 케이블 방식에 따른 복조기의 상세에 대해서는, 비특허문헌 4에 기재되어 있다.
버퍼(43)는 3 회로로 구성된 버퍼이고, 그 입력 단자는 PC 카드 소켓(13)의 A[7, 6, 5] 단자와, 버퍼(37)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그 출력 단자로부터 오픈 케이블 방식에 따른 복조기(12)에의 제어 신호인 QTX, ETX, ITX 신호가 출력된다. 버퍼(43)는, CPU(19)로부터 출력되는 이네이블 제어 신호 H에 의해서 그 온/오프가 제어된다. 또한, 버퍼(43)에는, 3.3V의 전원 전압이 공급된다. 또한, 만일 복조기(12)가 오픈 케이블 방식에 따르고 있지 않을 때는 버퍼(42) 및 버퍼(43)는 함께 오프된다.
버퍼(33)는 6 회로로 구성된 버퍼이고, 그 입력 단자는 PC 카드 소켓(13)으로부터의 제어 신호 단자인 WAIT#, CD1#, CD2#, IREQ#, VS1#, VS2# 단자에 접속되고, 그 출력 단자는 CPU(19)의 범용 IO 포트인 IO_[5:0]과 접속된다. 또한, 신호 명칭의 최후에 부여되는 #은 로 액티브(low active) 신호를 나타낸다. 버퍼(33)는, CPU(19)로부터 출력되는 이네이블 제어 신호 K에 의해서 그 온/오프가 제어된다. 또한, 버퍼(33)에는, 3.3V의 전원 전압이 공급된다.
버퍼(34)는 1 회로의 버퍼이고, 그 입력 단자는 PC 카드 소켓(13)의 VS2# 단자에 접속되고, 그 출력 단자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MPEG-2_TS 신호 중의 클록 입력 신호인 TS1_CLK 신호로서 디코더(18)에 출력된다. 버퍼(34)는, CPU(19)로부터 출력되는 이네이블 제어 신호 D에 의해서 그 온/오프가 제어된다. 또한, 버퍼(34)에는, 3.3V의 전원 전압이 공급된다.
버퍼(35)는 1 회로의 버퍼이고, 그 입력 단자는 PC 카드 소켓(13)의 A[14] 단자에 접속되고, 그 출력 단자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MPEG-2_TS 신호 중의 클록 입력 신호인 TS1_CLK로서 디코더(18)에 출력된다. 버퍼(35)는, CPU(19)로부터 출력되는 이네이블 제어 신호 E에 의해서 그 온/오프가 제어된다. 또한, 버퍼(35)에는, 3.3V의 전원 전압이 공급된다.
버퍼(36)는 10 회로로 구성된 버퍼이고, 버퍼(36)의 10 회로 중 8 회로의 입력 단자는, PC 카드 소켓(13)의 데이터 D[15:8] 단자에 접속되고, 그 출력 단자는 디코더(18)에서의 MPEG-2_TS 신호 중의 데이터 입력 신호인 TS1_DATA[7:0]에 접속된다. 또한, 버퍼(36)의 10 회로 중 2 회로의 입력 단자는, PC 카드 소켓(13)의 SPKR# 및 STSCHG# 단자에 접속되고, 그 출력 단자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MPEG-2_TS 신호 중의 유효 신호 및 동기 신호인 TS1_VALID 신호, TS1_SYNC 신호로서 디코더(18)에 출력된다. 버퍼(36)는, CPU(19)로부터 출력되는 이네이블 제어 신호 K에 의해서 그 온/오프가 제어된다. 또한, 버퍼(36)에는, 3.3V의 전원 전압이 공급된다.
버퍼(37)는 6 회로로 구성된 버퍼이고, 그 입력 단자에는, CPU(19)로부터 출력되는 어드레스 신호인 A[10:5] 신호가 입력되고, 그 출력 단자는 PC 카드 소켓(13)의 어드레스 A[9:4] 단자와, 버퍼(42)의 3 비트의 출력 단자와, 버퍼(43)의 3 비트의 입력 단자에 접속된다. 버퍼(37)는, CPU(19)로부터 출력되는 이네이블 제어 신호 F에 의해서 그 온/오프가 제어된다. 또한, 버퍼(37)에는, 전원 전압 절환 스위치(31)로부터 출력되는 전원 전압이 공급된다.
버퍼(38)는 8 회로로 구성된 버퍼이고, 그 입력 단자에는, CPU(19)로부터 출력되는 어드레스 신호인 A[14:11] 신호 및 A[4:1] 신호가 입력되고, 그 출력 단자는 PC 카드 소켓(13)의 어드레스 A[13:10] 및 A[3:0] 단자에 접속된다. 버퍼(38)는, CPU(19)로부터 출력되는 이네이블 제어 신호 J에 의해서 그 온/오프가 제어된 다. 또한, 버퍼(38)에는, 전원 전압 절환 스위치(31)로부터 출력되는 전원 전압이 공급된다.
버퍼(39)는 1 회로의 버퍼이고, 그 입력 단자에는 CPU(19)로부터 출력되는 어드레스 신호인 A[15] 신호가 입력되고, 그 출력 단자는 PC 카드 소켓(13)의 어드레스 A[14]와, 버퍼(35)의 1 비트의 입력 단자에 접속된다. 버퍼(39)는, CPU(19)로부터 출력되는 이네이블 제어 신호 F에 의해서 그 온/오프가 제어된다. 또한, 버퍼(39)에는, 전원 전압 절환 스위치(31)로부터 출력되는 전원 전압이 공급된다.
이상의 어드레스 신호의 접속에 있어서, CPU(19)의 어드레스 신호가 PC 카드 소켓(13)의 어드레스 신호에 대하여, 1 비트만큼 상위로 시프트(shift)되어 있는 것은, CPU(19)로부터 PC 카드 소켓(13)에 접속된 PC 카드 등에 액세스할 때에 워드 액세스하는 시스템 구성을 위한 것이다. 만일 바이트 액세스하는 구성이면, 어드레스 신호를 상위로 시프트시키지 않고 접속한다.
버퍼(40)는 8 회로의 버퍼이고, 쌍방향 버퍼가 병렬로 접속되어서 구성된다. 여기서, 버퍼(40)는, (a) CPU(19)로부터 PC 카드 소켓(13)에의 방향의 완충 처리를 실행하는 버퍼(40A)와, (b) PC 카드 소켓(13)으로부터 CPU(19)에의 방향의 완충 처리를 실행하는 버퍼(40B)를 포함한다. 또한, CPU(19)로부터의 방향 제어 신호(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의해서 신호의 방향이 제어된다. 버퍼(40)의 한쪽의 입출력 단자는 PC 카드 소켓(13)의 데이터 D[7:0] 단자에 접속되고, 버퍼(40)의 다른 쪽의 입출력 단자는 CPU(19)가 입출력하는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D[7:0] 단자와 접속된다. CPU(19)로부터 출력되는 이네이블 제어 신호 J에 의해서 버퍼(40)의 출력의 온/오프가 제어된다. 또한, 버퍼(40A)에는 전원 전압 절환 스위치(31)로부터 출력되는 전원 전압이 공급되고, 버퍼(40B)에는 전원 단자(31A)로부터의 3.3V의 전원 전압이 공급된다.
버퍼(41)는 8 회로의 버퍼이고, 그 입력 단자에는 CPU(19)의 범용 IO 포트로부터의 IO_[13:6] 신호가 입력되고, 그 출력 단자는 PC 카드 소켓(13)의 REG#, WE#, OE#, IOWR#, IORD#, CE1#, CE2#, RESET 단자에 접속된다. 버퍼(41)는, CPU(19)로부터 출력되는 이네이블 제어 신호 J에 의해서 그 온/오프가 제어된다. 또한, 버퍼(41)에는, 전원 전압 절환 스위치(31)로부터 출력되는 전원 전압이 공급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CA 인터페이스 회로(3)에 있어서, 복조기(12)로부터 출력되는 MPEG-2_TS 신호는, PC 카드 소켓(13)을 통하여, 일단 CA 모듈(14)에 입력되어서, CA 모듈(14)에 의해서 디스크램블된 후, 디코더(18)에 출력된다. 스크램블되어 있지 않은 클리어(clear; 소거) 채널 등의 MPEG-2_TS 신호는, CA 모듈(14)을 경유하지 않고 디코더(18)에 출력해도 좋다. 또한, ISDB-T 방식과 같이, CA 모듈(14)을 사용하지 않고 IC 카드를 사용하여 디스크램블하는 경우는, CA 모듈(14)을 경유하지 않고 디코더(18)에 출력해도 좋다. 경로의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신호의 접속으로서는, 복조기(12)로부터 출력되는 MPEG-2_TS 신호 중에서 제어 신호인 유효 신호, 동기 신호, 클록 신호인 VALID, SYNC, CLK 신호는, PC 카드 소켓(13)의 A[25:18] 단자에 출력되는 동시에, MPEG-2_TS 신호 중의 제어 신호인 유효 신호, 동기 신호, 클록 신호인 TS0_VALID, TS0_SYNC, TS0_CLK로서 디코더(18)에 출력된다. 또한, 복조기(12)로부터 출력되는 MPEG-2_TS 신호 중에서 데이터 출력 신호인 DATA[7:0] 신호는, PC 카드 소켓(13)의 A[17:15] 단자에 출력되는 동시에, MPEG-2_TS 신호 중의 데이터 입력 신호인 TS0_DATA[7:0] 신호로서 디코더(18)에 출력된다. 여기서, CPU(19)는, 스크램블되어 있지 않은 클리어 채널인가 아닌가에 대해서는 미리 프로그램 정보 등으로부터 인식할 수 있으므로, 이 인식에 따라서 TS0 신호계 또는 TS1 신호계의 어느 하나의 신호계를 선택하도록 디코더(18)를 설정한다.
또한, 도 6에서, PC 카드 소켓(13)의 단자 중에서, IOIS16#, INPACK#, VPP 단자에 대해서는, 특히 본 발명에 관계되지 않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PC 카드 소켓(13)에서의 전원 단자 Vcc에는, 전원 전압 절환 스위치(31)로부터 출력되는 전원 전압이 공급된다. 또한, PC 카드 소켓(13)에서의 CD1#, CD2#, VS1#, VS2# 단자에는, 전원 단자 Vcc와의 사이에 풀업 저항이 접속된다.
또한, 디코더 LSI(2)에 접속되는 신호 명칭 및 복조기(12)에 접속되는 VALID, SYNC, CLK, DATA[7:0]의 신호 명칭에 대해서는, 설명을 위하여 일례를 나타낸 것뿐이고, 특히 규격 등으로 규정되어 있는 신호가 아니다.
이어서, CPU(19)로부터의 각각의 버퍼(33 내지 43)에 출력되는 이네이블 제어 신호 D, E, F, H, J, K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7은 PC 카드 소켓(13)에 삽입되는 CA 모듈(14)의 종류나 상태에 대한 각각의 이네이블 제어 신호 D, E, F, H, J, K의 설정을 나타낸 표이다. 도 7에서, 이네이블 제어 신호 D, E, F, H, J, K에 의한 각각의 버퍼(33 내지 43)의 온/오프의 설정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A 모듈(14)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이네이블 제어 신호 K가 입력되는 버퍼(33)가 온(ON)으로 되고, 이네이블 제어 신호 K 이외의 이네이블 제어 신호 D, E, F, H, J가 입력되는 버퍼(34 내지 43)가 오프(OFF)가 되도록 제어된다. 이 제어는, CA 모듈(14)이 삽입되었을 때에, 버퍼(34 내지 43)가 온으로 되어 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CPU(19)는, CA 모듈(14)이 삽입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버퍼(33)를 통하여, CD1# 또는 CD2# 단자의 신호 레벨을 모니터함으로써 검출할 수 있다. CA 모듈(14)의 삽입 후에, CI 카드인가 아닌가, 또는 케이블 카드인가 아닌가는, CA 모듈(14) 내의 메모리에 카드의 속성이 기록되어 있으므로, CPU(19)는 그것을 버퍼(40)를 통하여 판독함으로써, 인식할 수 있다. DTV용 모듈(1)은, CA 모듈(14)의 속성을 나타내는 신호를 머더보드(101)로부터 입력한다. CPU(19)는 삽입되어 있는 CA 모듈(14)을 판별함으로써, 나라나 지역, 시장을 인식할 수 있다.
즉, CA 모듈(14)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버퍼(33, 36)가 온으로 되고, 이에 따라서, PC 카드 소켓(13)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인 WAIT#, CD1#, CD2#, IREQ#, VS1# 신호가 버퍼(33)를 통하여 입출력 신호IO_[5:0]으로서 CPU(19)에 출력된다. 또한, PC 카드 소켓(13)으로부터의 데이터 신호 및 제어 신호의 단자인 D[15:8], SPKR#, STSHG# 신호 단자는 버퍼(36)를 통하여 디코더(18)의 TS1_DATA[7:0], TS1-VALID, TS1_SYNC 신호 단자에 접속된다. 이에 따라서, CA 모듈(14)로부터의 데이터 신호 및 제어 신호가 디코더(18)에 전송 가능한 상태로 된다.
CI 카드가 PC 카드 소켓(13)에 삽입되어 있는 경우는, 버퍼(33, 34)는 온으로 되고, 버퍼(35)는 오프로 된다. 이 때, 디코더(18)의 TS1_CLK 신호 단자에는, 버퍼(34)를 통하여 PC 카드 소켓(13)의 VS2# 단자가 접속되어서 클록 신호가 공급된다. 또한, 버퍼(37)는 온으로 되고, 버퍼(42)는 오프로 된다. 이 때, CPU(19)의 CPU_A[10:5] 단자는 버퍼(37)를 통하여 PC 카드 소켓(13)의 A[9:4] 단자에 접속된다. 또한, 버퍼(39)는 온으로 되고, 이 때, CPU(19)의 CPU_A[15] 단자는 버퍼(39)를 통하여 PC 카드 소켓(13)의 A[14] 단자에 접속된다. 또한, 버퍼(40)가 온으로 되므로, CPU(19)의 CPU(19)로부터 어드레스 신호 및 데이터 신호가 PC 카드 소켓(13)에 출력된다.
케이블 카드가 PC 카드 소켓(13)에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케이블 카드의 초기 상태(메모리 상태라고도 한다)에 있어서는, 버퍼(34) 및 버퍼(35)는 오프로 되고, 디코더(18)의 TS1_CLK 단자는, PC 카드 소켓(13)에 접속되지 않는다. 또한, 버퍼(37)는 온으로 되고, 버퍼(42)는 오프로 된다. 이 때, CPU(19)의 CPU_A[10:5] 단자는 버퍼(37)를 통하여 PC 카드 소켓(13)의 A[9:4] 단자에 접속된다. 또한, 버퍼(39)는 온으로 되고, 이 때, CPU(19)의 CPU_A[15] 단자는 버퍼(39)를 통하여 PC 카드 소켓(13)의 A[14]에 접속된다. 또한, 버퍼(40)는 온으로 된다. 이에 따라서, CPU(19)의 CPU(19)로부터 어드레스 신호 및 데이터 신호가 PC 카드 소켓(13)에 출력된다.
케이블 카드가 PC 카드 소켓(13)에 삽입되어 있는 경우로서 초기 상태일 때에 CPU(19)가 PC 카드인 케이블 카드를, 동작 상태로 변화시키는 공지된 "퍼스낼리티·체인지(personality change)" 처리를 실행하였을 때, 케이블 카드는 동작 상태로 된다. 케이블 카드의 이 상태 천이(遷移)에 대해서는, 비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다. 케이블 카드의 동작 상태에 있어서는, 버퍼(34)는 오프로 되고, 버퍼(35)는 온으로 된다. 이 때, PC 카드 소켓(13)의 A[14] 단자는, 버퍼(35)를 통하여 CPU(19)의 TS1_CLK 단자에 접속되어서, PC 카드 소켓(13)으로부터의 클록 신호가 TS1_CLK로서 디코더(18)에 출력된다. 또한, 버퍼(37, 39)는 오프로 되고, 이 때, CPU(19)의 CPU_A[15] 단자는 PC 카드 소켓(13)의 A[14] 단자에 접속되지 않으며, 또한, CPU(19)의 CPU_A[10:5] 단자는 PC 카드 소켓(13)의 A[9:4] 단자에 접속되지 않는다. 또한, 버퍼(42, 43)는 온으로 되고, 복조기(12)로부터의 제어 신호인 DRX, CRX, CTX 신호는, 버퍼(42)를 통하여 PC 카드 소켓(13)의 A[9, 8, 4] 단자에 출력된다. 또한, PC 카드 소켓(13)의 A[7, 6, 5] 단자로부터의 제어 신호인 QTX, ETX, ITX 신호는 버퍼(43)를 통하여 복조기(12)에 출력된다.
이어서, CPU(19)에 의해서 실행되는, 각각의 버퍼(37 내지 41)에 공급되는 전원 전압의 제어 및 PC 카드 소켓(13)의 전원 단자 Vcc에 공급되는 전원 전압의 제어에 대하여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8은 PC 카드 소켓(13)에 삽입되는 CA 모듈(14)의 종류나 상태에 대한 전원 전압 절환 스위치(31)의 설정을 나타낸 표이다. 도 8에서 전원 전압 절환 스위치(31)로부터 각각의 버퍼(37 내지 41) 및 PC 카드 소켓(13)의 전원 단자 Vcc에 출력되는 전원 전압을 나타내고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A 모듈(14)이 PC 카드 소켓(13)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3.3V의 전원 전압이 공급된다. 또한, CI 카드가 PC 카드 소켓(13)에 삽입되어 있는 경우는, 5V의 전원 전압이 공급된다. 또한, 케이블 카드가 PC 카드 소켓(13)에 삽입되어 있는 경우는, 3.3V의 전원 전압이 공급된다.
도 9는 도 6의 CPU(19)에 의해서, 실행되는 CA 모듈 삽입 검출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9에 있어서, 우선, 단계 S1에서 전원 전압 절환 스위치(31)를 접점 a 측으로 절환함으로써, 버퍼(37 내지 41) 및 PC 카드 소켓(13)의 전원 단자 Vcc에 3.3V의 전원 전압을 출력한다. 이어서, 단계 S2에서 오프를 지시하는 이네이블 제어 신호 D, E, F, H, J를 각각 버퍼[34, 35, (37, 39), (42, 43), (38, 40, 41)]에 출력하고, 온을 지시하는 이네이블 제어 신호 K를 버퍼(33, 36)에 출력한다. 그리고, 단계 S3에서 PC 카드 소켓(13)의 CD1# 단자 또는 CD2# 단자에 로 레벨 신호가 검출되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여, YES가 될 때까지, 단계 S3의 처리를 반복하고, YES가 되었을 때, 단계 S4에서 CA 모듈(14)의 삽입을 인식하여, PC 카드 소켓(13)의 VS1# 단자의 신호 레벨을 판독하고, 단계 S5에서 PC 카드 소켓(13)의 VS1# 단자에 로 레벨 신호가 검출되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여, YES인 경우는 단계 S8로 진행하는 한편, NO인 경우는 단계 S6으로 진행한다.
단계 S6에서, CI 카드의 삽입 상태를 인식하고, 전원 전압 절환 스위치(31)를 접점 b 측으로 절환함으로써, 버퍼(37 내지 41) 및 PC 카드 소켓(13)의 전원 단자 Vcc에 5V의 전원 전압을 출력한다. 또한, 단계 S7에서, 온을 지시하는 이네이블 제어 신호 D, F, J를 각각 버퍼[34, (37, 39), (38, 40, 41)]에 출력하고, 이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8에서, 케이블 카드는 초기 상태인 것으로 인식하고, 단계 S9에서, 온을 지시하는 이네이블 제어 신호 F, J를 각각 버퍼[(37, 39), (38, 40, 41)]에 출력한다. 이어서, 단계 S10에서, 케이블 카드를 초기 상태로부터 동작 상태로 변화시키는 "퍼스낼리티·체인지"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단계 S11에서, 케이블 카드는 동작 상태인 것으로 인식하고, 오프를 지시하는 이네이블 제어 신호 F를 버퍼(37, 39)에 출력하고, 온을 지시하는 이네이블 제어 신호 E, H를 각각 버퍼[35, (42, 43)]에 출력하여, 이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의 CA 모듈 삽입 검출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PC 카드 소켓(13)에 삽입된 CA 모듈(14)의 종류를 검출할 수 있고, 적절한 이네이블 제어 신호 D, E, F, H, J, K를 설정하고 또한 전원 전압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PC 카드 소켓(13)의 CD1#, CD2#, VS1# 단자의 규격에 대해서는, 비특허문헌 4에 기재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CA 인터페이스 회로(3)에 있어서의 시스템 구성 및 버퍼 제어에 의하면, PC 카드 소켓(13)에, CI 카드 또는 케이블 카드가 삽입되거나 또는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디코더 LSI(2)와 PC 카드 소켓(13) 사이의 접속 및 접속에 있어서의 전원 전압 레벨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CA 인터페이스 회로(3)를 구비한 DTV용 모듈(1)에 의하면, DTV용 모듈(1)을 각 나라나 각 지역의 프런트엔드 회로(102) 및 각 시장의 CA 모듈(14)의 전기적 규격에 적합하게 할 수 있으므로, 각 나라나 각 지역의 프런트엔드 회로(102) 및 각 시장의 CA 모듈(14)을 직접적으로 접속할 수 있고, 그것들과 접속하여 동작하는 것을 보증하면서 또한 종래기술에 비교하여 저비용으로서 소형·경량으로 제품화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의 메이커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DTV용 모듈(1)을 이용하면, 각 나라나 각 지역마다의 프런트엔드 회로(102)의 모듈과 각 시장의 CA 모듈(14)의 PC 카드 소켓(13)을 실장한 머더보드(101)를 설계함으로써, 각 나라나 각 지역, 각 시장용의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를 용이하고, 또한 종래기술에 비교하여 저비용이면서 또한 소형·경량으로 제품화할 수 있다.
(제2실시형태)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의한 텔레비전 수상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분해 배면도(背面圖)이다.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DTV용 모듈(1)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CA 인터페이스 회로(3)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1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새로운 도면을 이용한 설명에 있어서도,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의 설명을 생략한다.
제2실시형태에 의한 텔레비전 수상기는, 제1실시형태에 의한 DTV용 모듈(1)을 실장하는 것과 함께, 예로서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의 디스플레이(204D)를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 10은 배면도로서, 도 10의 뒤쪽인 표면에 디스플레이(204D)가 탑재된다.
도 10에서, DTV용 모듈(1)은, 각 나라나 각 지역마다의 프런트엔드 회로(202)와, 각 시장마다의 CA 모듈(14)을 접속하기 위한 소켓(205)과, 디지털 음성 신호 또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와 디지털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206)가 실장된 머더보드(201)에 실장된다.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206)는, DTV용 모듈(1)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예로서, 액정 디스플레이, PDP 디스플레이, CRT 디스플레이 등의, 접속되는 디스플레이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고, 디스플레이 측의 접속 규격에 따라서 상이한 회로로써 실현된다. 또한 음성 신호는 디스플레이의 내부 또는 디스플레이의 외부에 설치된 스피커에 출력된다. 머더보드(201)에는, 복수의 땜납 볼(9)의 배치에 대응하는 복수의 랜드가 형성되어서, 머더보드(201)와 DTV용 모듈(1)은, 리플로 공정에 의해서 물리적으로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DTV용 모듈(1)이 접속된 머더보드(201)는, 지지대(207)에 의해서 지지되는 텔레비전 수상기(204)의 케이스에, 전원 유닛(203)과, 디스플레이 구동 유닛(208)과 함께 조립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206)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8)를 통하여 디스플레이(204D)에 접속된다.
DTV용 모듈(1)은 제1실시형태에 의한 DTV용 모듈(1)과 동일한 모듈로써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나라나 지역 및 시장용이라도, 예로서, 액정 텔레비전 수상기, 플라즈마 텔레비전 수상기, CRT 텔레비전 수상기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이한 텔레비전 수상기나 셋탑 박스 등을 제품화할 때에, DTV용 모듈(1)에 대응하는 랜드(land)를 구비한 머더보드(201)를 디스플레이 장치마다 준비함으로써, DTV용 모듈(1)과 접속하여, 각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텔레비전 수상기를 제품화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각 나라나 각 지역, 각 시장마다, 각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텔레비전 수상기를 제품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DTV용 모듈(1)과 머더보드(201)와의 사이의 접속 방법으로서, 땜납 볼과 랜드를 이용한 리플로 공정에 의한 접속 방법을 사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DTV용 모듈(1)과 머더보드(201) 가 물리적으로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면, 커넥터나 케이블에 의한 접속 방법을 사용해도 좋다.
도 11은 도 10의 DTV용 모듈(1) 및 머더보드(201)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도 11의 시스템 구성에 대하여, 도 5의 시스템 구성과의 상위점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11에서, 머더보드(201)는, 안테나(12A)에 접속된 튜너(도시되어 있지 않음)와 복조기(12)를 포함하는 프런트엔드 회로(202)와, CA 모듈(14)이 삽입되는 PC 카드 소켓(13)과, IC 카드 소켓(23)과,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20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PC 카드 소켓(13)과, IC 카드 소켓(23)은 어느 한쪽만을 실장해도 좋다. 또한, 프런트엔드 회로(202)는, 프런트엔드 회로(102)와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CPU(19)에 입력되는 제어 전압 V1, V2의 각각의 신호선(24, 25)은 각각, 풀업 저항(Rp1, Rp2)을 통하여 3.3V의 전압원의 전원 단자 Vcc에 접속되어서 풀업되고, DTV용 모듈(1)의 이면의 땜납 볼(9)을 통하여 머더보드(201)에 접속된다. 머더보드(201) 측은, 접지 도체(GND)에 접속할 것인가 미접속(NC)으로 할 것인가에 따라서, 제어 전압 V1, V2를 각각 로 레벨인 0(전압 0 V에 대응한다) 또는 하이 레벨인 1(전압 3.3V에 대응한다)에 설정할 수 있다. 도 11의 예에서는, 제어 전압 V1은 1에 설정되고, 제어 전압 V2는 0에 설정되어 있다. 머더보드(201)는, 2개의 제어 전압 V1, V2의 레벨의 조합으로써, CPU(19)에 있어서 4개의 동작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즉, CPU(19)는, 머더보드(201)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종별 데이터 신호로서, 2개의 제어 전압 V1, V2를 이용할 수 있다. 예로서, DVB-T 방식을 사용하는 유럽용 머더보드(201)와, ISDB-T 방식을 사용하는 일본용 머더보드(201)와, ATSC 방식 및 오픈 케이블 방식을 사용하는 미국용 머더보드(201)와, DVB-T 방식을 사용하는 중국용 머더보드(201)를 구별하여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머더보드(201)는, 프런트엔드 회로(202)의 종류에 따라서 변경되므로, 프런트엔드 회로(202)가 수신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의 방식에 따라서 머더보드(201)의 종류는 변경된다. 따라서, CPU(19)는, 2개의 제어 전압 V1, V2를 이용함으로써, 머더보드의 종류와 함께, 디코더(18)가 입력되는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의 방송 방식을 식별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1의 각 제어 전압 V1, V2의 설정치의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서, 일본용 머더보드(201)(ISDB-T 방식에 따라서 형성된)에서는, 제어 전압 V1은 0에 설정되고 또한 제어 전압 V2는 0에 설정된다. 또한, 북미에서의 ATSC 방식 및 오픈 케이블용 머더보드(201)(ATSC 방식 및 오픈 케이블 방식에 따라서 형성된)에서는, 제어 전압 V1은 1에 설정되고 또한 제어 전압 V2는 0에 설정된다. 또한, 유럽에서의 DVB-T용 머더보드(201)(DVB-T 방식에 따라서 형성된)에서는, 제어 전압 V1은 0에 설정되고 또한 제어 전압 V2는 1에 설정된다. 그리고 또한, 제어 전압 V1이 1에 설정되고 또한 제어 전압 V2가 1에 설정되어 있을 때는, CPU(19)는 머더보드(201)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CPU(19)는, 머더보드(201)가 DTV용 모듈(1)에 실장되어 있을 때, 제어 전압 V1, V2가 각각 1로부터 변화됨으로써 머더보드(201)의 종류의 변화를 인식하고, 이어서, CPU(19) 는, 제어 전압 V1, V2를 판독하여, 그 레벨에 따라서, 디코더 LSI(2)의 복호화 방식과, CA 인터페이스 회로(3)의 인터페이스 처리 동작 모드의 설정을 실행한다.
이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머더보드의 종류 및 입력되는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의 방송 방식을 식별하는 종별 데이터 신호로서, 2개의 제어 전압 V1, V2를 이용하였지만, 제어 전압의 개수나 식별하는 머더보드의 종류나 수에 제한은 없이, 예로서 3개로 하고, 또한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CRT 디스플레이, 또는 셋탑 박스의 머더보드(201)를 식별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머더보드(201) 측은, 머더보드의 종류 및 입력되는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의 방송 방식을 검출하는 종별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를 실장하고, 이 메모리와 CPU(19)가 접속된 후, CPU(19)는, 상기 메모리로부터 종별 데이터를 판독함으로써 머더보드(201)의 종류 및 입력되는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의 방송 방식을 식별해도 좋다. 또한, 머더보드(201)의 종류 및 입력되는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의 방송 방식을 식별하기 위한 종별 데이터는, 머더보드(201)의 위가 아니라도 좋고, 예로서 머더보드(201)와 접속되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기판 내 또는 PC 카드 소켓(13)에 접속되는 CA 모듈(14) 내의 메모리 내에 저장되어도 좋다. 즉, 머더보드(201) 및 입력되는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의 방송 방식을 식별하기 위한 종별 데이터를 DTV용 모듈(1)의 외부 장치에 저장하고, CPU(19)는, 머더보드(201)를 접속함으로써 그 종별 데이터를 저장한 메모리 등에 액세스하여, 머더보드(201) 및 입력되는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의 방송 방식의 종류를 식별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DTV용 모듈(1)은, 단체(單體)로, DVB-T 방식, ISDB-T 방식, ATSC 방식, 및 오픈 케이블 방식에 있어서의 복조기(12) 및 CA 모듈(14)과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동작을 보증할 수 있는 동시에, DVB-T 방식, ISDB-T 방식, ATSC 방식, 및 오픈 케이블 방식 등의 방식에 있어서의 압축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복호화할 수 있다. 또한,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CRT 디스플레이 및 셋탑 박스의 머더보드와도 접속하여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텔레비전 수상기를 제품화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의 메이커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DTV용 모듈(1)을 이용하면, 각 나라나 각 지역마다의 프런트엔드 회로(202)의 모듈과 각 시장의 CA 모듈(14)용의 PC 카드 소켓(13) 또는 IC 카드 소켓(23)과 각 디스플레이 장치마다의 인터페이스(201)를 실장한 머더보드(201)를 설계함으로써, 각 나라나 각 지역, 각 시장용의 각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를 용이하고, 또한 종래기술에 비교하여 저비용이면서 또한 소형·경량으로 제품화할 수 있다.
도 13은, 도 6의 CA 인터페이스 회로(3)를 사용했을 때의 도 11의 시스템에 있어서, CPU(19)로부터 각각의 버퍼(33 내지 43)에 공급되는 이네이블 제어 신호 D, E, F, H, J, K의 온/오프 상태의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에서는, DTV용 모듈(1)에 접속되는 머더보드(201)의 종류 및 PC 카드 소켓(13)에 삽입되는 CA 모듈(14)의 종류나 상태에 대한 각각의 이네이블 제어 신호 D, E, F, H, J, K의 설정을 나타낸다. 도 13에서 이네이블 제어 신호 D, E, F, H, J, K에 의한 버퍼(33 내지 43)의 온/오프의 설정을 나타내고 있다.
도 13에서, ISDB-T 방식을 사용하는 일본용 머더보드(201)가 DTV용 모듈(1) 에 접속되어 있을 때(제1실시형태에서의 CA 모듈(14)이 삽입되어 있지 않을 때에 대응한다), 이네이블 제어 신호 K 이외의 이네이블 제어 신호 D, E, F, H, J가 인가되는 버퍼(34 내지 43)는 오프가 되도록 제어된다. 이 제어는, ISDB-T 방식에 따른 CA 모듈(14)은 PC 카드 소켓(13)에는 삽입되지 않고, IC 카드 소켓(23)에 삽입되기 때문이다. 만일 다른 시장용의 CA 모듈(14)이 PC 카드 소켓(13)에 삽입되었을 때에 버퍼의 출력이 온으로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CPU(19)는, CA 모듈(14)이 삽입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버퍼(33)를 통하여, CD1# 단자 또는 CD2# 단자의 신호 레벨을 모니터함으로써 검출할 수 있다. CA 모듈(14)의 삽입후에 CI 카드인가 아닌가, 또는 케이블 카드인가 아닌가는, CA 모듈(14) 내의 메모리에 카드의 속성이 기록되어 있으므로, CPU(19)는 그것을 버퍼(40)를 통하여 판독함으로써, 인식할 수 있다. DTV용 모듈(1)은, CA 모듈(14)의 속성을 나타내는 신호를 머더보드(201)로부터 수신한다. 이에 따라서, CPU(19)는 삽입되어 있는 CA 모듈(14)의 종류를 판별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도 6의 CA 인터페이스 회로(3)를 사용하므로, 도 6을 참조하여, 각 방식의 머더보드(201)를 사용할 때의 구체예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DVB-T 방식을 사용하는 유럽용 머더보드(201)가 DTV용 모듈(1)에 접속되어 있을 때(제1실시형태에서의 CI 카드가 삽입되어 있을 때에 대응한다), 버퍼(33, 34)는 온으로 되고, 버퍼(35)는 오프로 된다. 이 때, 디코더(18)의 TS1_CLK 신호 단자에는, 버퍼(34)를 통하여 PC 카드 소켓(13)의 VS2# 단자가 접속되어서 클록 신 호가 공급된다. 또한, 버퍼(37)는 온으로 되고, 버퍼(42)는 오프로 된다. 이 때, CPU(19)의 CPU_A[10:5] 단자는 버퍼(37)를 통하여 PC 카드 소켓(13)의 A[9:4] 단자에 접속된다. 또한, 버퍼(39)는 온으로 되고, 이 때, CPU(19)의 CPU_A[15] 단자는 버퍼(39)를 통하여 PC 카드 소켓(13)의 A[14] 단자에 접속된다. 또한, 버퍼(40)가 온으로 되므로, CPU(19)의 CPU(19)로부터 어드레스 신호 및 데이터 신호가 PC 카드 소켓(13)에 출력된다.
또한, ATSC 방식 및 오픈 케이블 방식을 사용하는 미국용 머더보드(201)가 DTV용 모듈(1)에 접속되고, 케이블 카드가 PC 카드 소켓(13)에 삽입되어 있을 때에, 케이블 카드의 초기 상태인 메모리 상태에서는, 버퍼(34) 및 버퍼(35)는 오프로 되고, 디코더(18)의 TS1_CLK 단자는, PC 카드 소켓(13)에 접속되지 않는다. 또한, 버퍼(37)는 온으로 되고, 버퍼(42)는 오프로 된다. 이 때, CPU(19)의 CPU_A[10:5] 단자는 버퍼(37)를 통하여 PC 카드 소켓(13)의 A[9:4] 단자에 접속된다. 또한, 버퍼(39)는 온으로 되고, 이 때, CPU(19)의 CPU_A[15] 단자는 버퍼(39)를 통하여 PC 카드 소켓(13)의 A[14]에 접속된다. 또한, 버퍼(40)는 온으로 된다. 이에 따라서, CPU(19)의 CPU(19)로부터 어드레스 신호 및 데이터 신호가 PC 카드 소켓(13)에 출력된다.
또한, 케이블 카드가 PC 카드 소켓(13)에 삽입되어 있을 때에, 케이블 카드가 동작 상태로 변화된 소위 케이블 카드 상태에서는, 버퍼(34)는 오프로 되고, 버퍼(35)는 온으로 된다. 이 때, PC 카드 소켓(13)의 A[14] 단자는, 버퍼(35)를 통하여 CPU(19)의 TS1_CLK 단자에 접속되어서, PC 카드 소켓(13)으로부터의 클록 신호가 TS1_CLK로서 디코더(18)에 출력된다. 또한, 버퍼(37, 39)는 오프로 되고, 이 때, CPU(19)의 CPU_A[15] 단자는 PC 카드 소켓(13)의 A[14] 단자에 접속되지 않고, 또한, CPU(19)의 CPU_A[10:5] 단자는 PC 카드 소켓(13)의 A[9:4] 단자에 접속되지 않는다. 또한, 버퍼(42, 43)는 온으로 되고, 복조기(12)로부터의 제어 신호인 DRX, CRX, CTX 신호는, 버퍼(42)를 통하여 PC 카드 소켓(13)의 A[9, 8, 4] 단자에 출력된다. 또한, PC 카드 소켓(13)의 A[7, 6, 5] 단자로부터의 제어 신호인 QTX, ETX, ITX 신호는 버퍼(43)를 통하여 복조기(12)에 출력된다.
이어서, CPU(19)에 의해서 실행되는, 각각의 버퍼(33 내지 43)에 공급되는 전원 제어 및 PC 카드 소켓(13)의 전원 단자 Vcc에 공급되는 전원 제어에 대하여 도 1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도 6의 CA 인터페이스 회로(3)를 사용했을 때의 도 11의 시스템에 있어서, 도 6의 각각의 버퍼(33 내지 43) 및 PC 카드에 공급되는 전원 전압의 테이블을 나타낸다. 즉, 도 14에서는, DTV용 모듈(1)에 접속되는 머더보드(201)의 종류 및 PC 카드 소켓(13)에 삽입되는 CA 모듈(14)의 종류나 상태에 대한 전원 전압 절환 스위치(31)의 설정을 나타낸다. 또한, 도 14에서 전원 전압 절환 스위치(31)로부터 출력되는 전원 전압을 나타내고 있다.
도 14에 있어서, ISDB-T 방식을 사용하는 일본용 머더보드(201)가 DTV용 모듈(1)에 접속될 때, 또는 CA 모듈(14)이 삽입되어 있지 않을 때, 3.3V의 전원 전압이 공급된다. 또한, DVB-T 방식을 사용하는 유럽용 머더보드(201)가 DTV용 모듈(1)에 접속되어 있을 때, 5V의 전원 전압이 공급된다. ATSC 방식 및 오픈 케이블 방식을 사용하는 미국용 머더보드(201)가 DTV용 모듈(1)에 접속되고, 케이블 카드가 PC 카드 소켓(13)에 삽입되어 있을 때에, 3.3V의 전원 전압이 공급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2실시형태에 의한 CA 인터페이스 회로(3)에 있어서의 시스템 구성 및 버퍼 제어는, PC 카드 소켓(13)에 CI 카드 또는 케이블 카드가 삽입되거나 또는 삽입되어 있지 않을 때에, 디코더 LSI(2)와 PC 카드 소켓(13)과의 사이의 전기적 규격, 예로서 접속 및 접속에 있어서의 전압 레벨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ISDB-T 방식을 사용하는 일본용 머더보드(201)와, DVB-T 방식을 사용하는 유럽용 머더보드(201)와, ATSC 방식 및 오픈 케이블 방식을 사용하는 미국용 머더보드(201) 중 어느 하나의 머더보드(201)가 DTV용 모듈(1)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도, 디코더 LSI(2)와 PC 카드 소켓(13)과의 사이의 전기적 규격, 예로서 접속 및 접속에 있어서의 전압 레벨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의 사용 방법을, PC 카드 소켓(13)에 CI 카드 또는 케이블 카드를 삽입하거나 또는 인출할 때는, 미리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의 전원을 낮추어서 실행하도록 한정함으로써, CPU(19)의 제어를 간이화(簡易化)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PC 카드 소켓(13)에 CI 카드 또는 케이블 카드가 삽입되거나 또는 삽입되어 있지 않을 때의, 디코더 LSI(2)와 PC 카드 소켓(13)과의 사이의 전기적 규격의 설정 제어를 생략하고, 머더보드의 종류만으로써, 디코더 LSI(2)와 PC 카드 소켓(13)과의 사이의 전기적 규격의 설정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것은, 각국, 지역마다 사용하는 CA 모듈은 방송 방식에 의해서 규정되어서 결정되어 있음으로써 가능하다.
또한, CPU(19)에 의한 디코더(18)의 제어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ISDB-T 방식을 사용하는 일본용 머더보드(201)가 DTV용 모듈(1)에 접속되어 있을 때에, 복조기(12)로부터 입력되는 MPEG-2_TS 신호에 대하여, ISDB-T 방식에 따른 복호화 방법을 이용하여 복호화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DVB-T 방식을 사용한 유럽용 머더보드(201)가 DTV용 모듈(1)에 접속되어 있을 때에, 복조기(12)로부터 입력되는 MPEG-2_TS 신호에 대하여, DVB-T 방식에 따른 복호화 방법을 이용하여 복호화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ATSC 방식 및 오픈 케이블 방식을 사용하는 미국용 머더보드(201)가 DTV용 모듈(1)에 접속되어 있을 때에, 복조기(12)로부터 입력되는 MPEG-2_TS 신호에 대하여 ATSC 방식에 따른 복호화 방법을 이용하여 복호화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로 변환한다.
(제3실시형태)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의한 DTV용 모듈(1)과, 이 DTV용 모듈(1)에 접속되는 각 나라용 머더보드(201-1, 201-2, 201-3)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3실시형태는, 제2실시형태의 변형예이고, 제2실시형태와의 상위점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제3실시형태에 의한 DTV용 모듈(1)은, 3 종류의 머더보드(201-1, 201-2, 201-3)의 어느 하나와 접속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DTV 모듈(1)에 있어서, IC 카드 인터페이스(22)와 CA 인터페이스 회로(3)를, 공통의 접속 단자 T3에 통합하여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5를 참조하여 접속 단자 T3과, CA 인터페이스 회로(3) 또는 IC 카드 인터페이스(22)와의 사이의 접속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IC 카드 인터페이스(22)의 접속 단자 측 T3에 버퍼(22B)를 설치하고, CA 인터페이스 회로(3)의 접속 단자 T3 측에 버퍼(3B)를 설치한다. 여기서, CPU(19)의 제어에 의해서 이 버퍼(3B, 22B)가 온/오프된다. 각각의 버퍼(3B, 22B)의 접속 단자 T3 측은, 접속 단자 T3에 접속된다.
CPU(19)는,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ISDB-T 방식을 사용하는 일본용 머더보드(201-1)가 접속되어 있을 때에, 버퍼(22B)를 온하고, 버퍼(3B)를 오프한다. 이 때, 접속 단자 T3의 전기적 규격은, IC 카드를 사용하는 방식에 따르고, IC 카드 인터페이스(22)에 의해서 결정되는 IC 카드의 전기적 규격이 된다. 한편, CPU(19)는, CI 카드를 사용하는 유럽용 머더보드(201-2) 또는 케이블 카드를 사용하는 북미용 머더보드(201-3)가 접속되어 있을 때에, 버퍼(22B)를 오프하고, 버퍼(3B)를 온한다. 이 때, 접속 단자 T3의 전기적 규격은, 케이블 카드 또는 CI 카드를 사용하는 방식에 따르고, CA 인터페이스 회로(3)에 의해서 결정되는 케이블 카드 또는 CI 카드의 전기적 규격이 된다. 이에 따라서, IC 카드 인터페이스(22)와 CA 인터페이스 회로(3)는 접속 단자 T3을 겸용하게 된다. 즉, 머더보드(201-1)가 DTV용 모듈(1)에 접속되었을 때, IC 카드 소켓(13-1)과 IC 카드 인터페이스(22)가 접속되어서 IC 카드 인터페이스(22)가 동작하는 한편, 머더보드(201-2 또는 201-3)가 DTV용 모듈(1)에 접속되었을 때, CI 카드 소켓(13-2) 또는 케이블 카드 소켓(13-3)이 CA 인터페이스 회로(3)에 접속되어서 CA 인터페이스 회로(3)가 동작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DTV 모듈(1)의 접속 단자 T1 내지 T5를 용도별로 그룹화하여, 각각의 머더보드(201-1, 201-2, 201-3)에 대하여 공통인 규격을 이용하여 접속하는 것이다. 접속 단자 T1 내지 T5는,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이 그룹화되어 있다.
(a) 디코더(18)로부터 출력되어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206)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8)에 입력되는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의 접속 단자 T1.
(b) 머더보드(201-1, 201-2, 201-3)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종별 데이터의 정보를 CPU(19)에 입력하기 위한 제어 전압 V1, V2의 접속 단자 T4, T5.
(c) 각 나라나 각 지역의 각각의 수신지용의 복조기(12-1, 12-2, 12-3)에 접속되고, 이들 복조기(12-1, 12-2, 12-3)로부터 CA 인터페이스 회로(3)에 입력되는 MPEG-2_TS 신호의 접속 단자 T2.
(d) 각각의 CA 모듈(14)에 접속되는 IC 카드 소켓(13-1), CI 카드 소켓(13-2), 케이블 카드 소켓(13-3)에 접속되는 소켓의 입출력 신호의 접속 단자 T3.
여기서, 접속 단자 T3은, 상기한 바와 같이, 버퍼(3B) 또는 버퍼(22B)를 통하여, CA 인터페이스 회로(3) 또는 IC 카드 인터페이스(22)에 접속된다.
도 15에서, 일본용 머더보드(201-1)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206)와, 안테나(12A)에 접속된 튜너(도시되어 있지 않음)와 일본용 복조기(12-1)를 구비한 프런트엔드 회로(202-1)와, IC 카드 소켓(13-1)과, 접지 도체의 전위를 각각 갖는 제어 전압 V1, V2를 출력하는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DTV 모듈(1)과 일본용 머더보드(201-1)가 접속된 경우는, CPU(19)는 제어 전압 V1, V2를 판독하여, 일본용 머더보드(201-1)가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또한, ISDB-T 방식의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가 입력되어 있는 것으로 인식하여, 일본용 복조기(12-1)로부터 접속 단자 T2를 통하여 입력되는 MPEG-2_TS 신호에 대하여, ISDB-T 방식에 따른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의 복호화 처리를 실행하도록 디코더(18)를 설정한다. 또한, CPU(19)는, 상기한 바와 같이, IC 카드 소켓(13-1)을, 접속 단자 T3 및 버퍼(22B)를 통하여 IC 카드 인터페이스(22)에 접속시킨다. 이 때,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206)는, DTV용 모듈(1)의 디코더(18)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접속 단자 T1을 통하여 수신하여, 소정의 인터페이스 처리를 한 후,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8)를 통하여 디스플레이(204D)에 출력한다.
또한, 유럽용 머더보드(201-2)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206)와, 안테나(12A)에 접속된 튜너(도시되어 있지 않음)와 유럽용 복조기(12-2)를 구비한 프런트엔드 회로(202-2)와, CI 카드 소켓(13-2)과, 접지 도체의 전위를 갖는 제어 전압 V1 및 미접속으로서 DTV용 모듈(1) 측의 전원 전압 Vcc를 갖는 제어 전압 V2를 출력하는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DTV 모듈(1)과 유럽용 머더보드(201-2)가 접속된 경우는, CPU(19)는 제어 전압 V1, V2를 판독하여, 유럽용 머더보드(201-2)가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또한, DVB-T 방식의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가 입력되어 있는 것으로 인식하여, 유럽용 복조기(12-2)로부터 접속 단자 T2를 통하여 입력되는 MPEG-2_TS 신호에 대하여, DVB-T 방식에 따른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의 복호화 처리를 실행하도록 디코더(18)를 설정한다. 또한, CPU(19)는, 상기한 바와 같이, CI 카드 소켓(13-2)을, 접속 단자 T3 및 버퍼(3B)를 통하여 CA 인터페이스 회로(3)에 접속시키는 동시에 CA 인터페이스 회로(3)의 동작 모드를 DVB-T 방식에 설정한다. 이 때,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206)는, DTV용 모듈(1)의 디코더(18)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접속 단자 T1을 통하여 수신하여, 소정의 인터페이스 처리를 한 후,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8)를 통하여 디스플레이(204D)에 출력한다.
또한, 북미용 머더보드(201-3)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206)와, 안테나(12A)에 접속된 튜너(도시되어 있지 않음)와 북미용 복조기(12-3)를 구비한 프런트엔드 회로(202-3)와, 케이블 카드 소켓(13-3)과, 미접속으로서 DTV용 모듈(1) 측의 전원 전압 Vcc를 갖는 제어 전압 V1 및 접지 도체의 전위를 갖는 제어 전압 V2를 출력하는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DTV 모듈(1)과 북미용 머더보드(201-3)가 접속된 경우는, CPU(19)는 제어 전압 V1, V2를 판독하여, 북미용 머더보드(201-3)가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또한, ATSC 방식 및 오픈 케이블 방식의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가 입력되어 있는 것으로 인식하여, 북미용 복조기(12-3)로부터 접속 단자 T2를 통하여 입력되는 MPEG-2_TS 신호에 대하여, ATSC 방식에 따른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의 복호화 처리를 실행하도록 디코더(18)를 설정한다. 또한, CPU(19)는, 상기한 바와 같이, 케이블 카드 소켓(13-3)을, 접속 단자 T3 및 버퍼(3B)를 통하여 CA 인터페이스 회로(3)에 접속시키는 동시에 CA 인터페이스 회로(3)의 동작 모드를 오픈 케이블 방식에 설정한다. 이 때,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206)는, DTV용 모듈(1)의 디코더(18)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접속 단자 T1을 통하여 수신하여, 소정의 인터페이스 처리를 한 후,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8)를 통하여 디스플레이(204D)에 출력한다.
도 16, 도 17 및 도 18은, 제3실시형태에 의한 시스템에 있어서, 일본에서의 ISDB-T 방식을 사용하는 IC 카드와, 유럽에서의 DVB-T 방식을 사용하는 CI 카드와, 북미에서의 오픈 케이블 방식을 사용하는 케이블 카드를 포함하는 CA 모듈(14)의 입출력 신호 및 단자의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8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각 방식의 CA 모듈을, 접속 단자 T3을 이용하여 DTV용 모듈(1)에 대하여 공통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방식에 따라서, 입출력 신호 및 단자가 변경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9는 도 15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206)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208)에 출력되는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 및 단자의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각각의 머더보드(201-1, 201-2, 201-3)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206)를, 접속 단자 T1을 이용하여 DTV용 모듈(1)에 대하여 공통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방식에 따라서, 신호 및 단자가 변경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0은 도 15의 각각의 복조기(12-1, 12-2, 12-3)로부터의 MPEG-2TS 신호의 각 상세 신호 및 단자의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각 복조기(12-1, 12-2, 12-3)를, 접속 단자 T2를 이용하여 DTV용 모듈(1)에 대하여 공통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방식에 따라서, 신호 및 단자가 변경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각각의 CA 모듈(14) 또는 IC 카드에 소켓(13-1, 13-2, 13-3)을 통하여 접속되는 접속 단자 T3은, 상기한 바와 같이, 머더보드(201-1, 201-2, 201-3)의 종류, 또는, CA 모듈(14) 또는 IC 카드에 따라서, DTV용 모듈(1) 측의 전기적 규격을 변경할 수 있지만, 물리적인 접속 단자 T3의 구조는 동일하게 되어 있다. 다른 접속 단자 T1, T2, T4, T5의 물리적인 구조도 각각의 머더보드(201-1, 201-2, 201-3)에 대하여 동일하다. 따라서, DTV 모듈(1)에 대하여, 각 나라나 각 지역의 각 수신지별 머더보드(201-1, 201-2, 201-3)를 간단히 바꾸어 부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CA 인터페이스 회로(3)를 구비한 DTV용 모듈(1)에 의하면, 각 나라나 각 지역의 프런트엔드 회로(202-1, 202-2, 202-3) 및 각 시장의 CA 모듈(14)인 IC 카드, CI 카드 또는 케이블 카드를 직접적으로 접속할 수 있고, 그것들과 접속하여 동작하는 것을 보증하면서 또한 종래기술에 비교하여 저비용으로서 소형·경량으로 제품화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의 메이커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DTV용 모듈(1)을 이용하면, 각 나라나 각 지역마다의 프런트엔드 회로(202-1, 202-2, 202-3)와 각 시장의 CA 모듈(14)의 소켓(13-1, 13-2, 13-3)을 실장한 머더보드(201-1, 201-2, 201-3)를 설계함으로써, 각 나라나 각 지역, 각 시장용의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를 용이하고, 또한 종래기술에 비교하여 저가격이면서 또한 소형·경량으로 제품화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의 메이커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DTV용 모듈(1)을 이용하면, 각 나라나 각 지역마다의 프런트엔드 회로(202-1, 202-2, 202-3)와 각 시장의 CA 모듈(14)의 소켓(13-1, 13-2, 13-3)과 각 디스플레이(204D)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206)를 실장한 머더보드(201-1, 201-2, 201-3)를 설계함으로써, 각 나라나 각 지역, 각 시장용, 각 디스플레이(204D)의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를 용이하고, 또한 종래기술에 비교하여 저가격이면서 또한 소형·경량으로 제품화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의한, DTV용 모듈(1)과, 이 DTV용 모듈(1)에 접속되는 각 나라용 머더보드(201-1, 201-2, 201-3)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3실시형태에서는, 각 나라용 머더보드(201-1, 201-2, 201-3)에서, 제어 전압 V1, V2의 각각의 신호선(24, 25)을 접지 도체(GND)에 접속할 것인가 미접속(NC)으로 할 것인가에 따라서, 머더보드(201-1, 201-2, 201-3)의 종류를 설정하는 종별 데이터 신호를 준비하였지만,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머더보드(201-1, 201-2, 201-3) 내에, 제어 전압 V1, V2의 설정 데이터를 기억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인 EEPROM(209-1, 209-2, 209-3)을 실장하여, CPU(19)가 EEPROM(209-1, 209-2, 209-3)으로부터 종별 데이터를 판독함으로써, 종별 데이터 신호를 발생시켜서, 머더보드(201-1, 201-2, 201-3)의 종류를 검출해도 좋다. 또한, 제1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도 9의 CA 모듈 삽입 검출 처리에 의해서, PC 카드 소켓(13)에 삽입된 CA 모듈(14)의 종류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이 검출 결과에 따라서, 각 나라용 머더보드(201-1, 201-2, 201-3)의 종류를 검출해도 좋다. 여기서, CA 모듈(14)의 종류의 검출이나 부호화 방식의 검출은, 제1실시형태의 방법과, 제2실시형태의 방법과, 제3실시형태의 방법과, 제3실시형태의 변형예의 방법 중 최소한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여 실행해도 좋다.
(제4실시형태)
도 21은,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의한 DTV용 모듈(1)과, 이 DTV용 모듈(1)에 접속되는 각 나라용 머더보드(201-1, 201-2, 201-3)와, 네트워크 기능 확장 보드(401)와, CATV 모뎀 기능 확장 보드(411)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4실시형태는, 제3실시형태의 변형예이고, 제3실시형태에 비교하여, CPU(19)의 버스(19B)에 접속된 접속 단자 T6을 추가로 구비하고, 이 접속 단자 T6에, 네트워크 기능 확장 보드(401) 또는 CATV 모뎀 기능 확장 보드(411)를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이 상위점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1에서, CPU(19)는, 그 버스(19B) 및 접속 단자 T6을 통하여, 네트워크 기능 확장 보드(401) 내의 통신 컨트롤러(404) 또는 CATV 모뎀 기능 확장 보드(411)의 케이블 모뎀(412)에 접속되고, CPU(19)는 이러한 컨트롤러(404) 또는 케이블 모뎀(412)과 어드레스 신호 및 데이터 신호 등의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을 실행한다. 또한, 접속 단자 T6의 버스(19B) 측에, 예로서 PCI 버스를 구비한 브리지 회로(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삽입하고, PCI 버스에, 네트워크 기능 확장 보드(401) 또는 CATV 모뎀 기능 확장 보드(411)를 접속해도 좋다.
네트워크 기능 확장 보드(401)는, DTV 모듈(1)에 네트워크 관련 기능을 확장하는 경우에 접속하기 위한 보드이고, 통신 컨트롤러(404)와, 이더넷 인터페이스(402)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403)를 구비하고 있다. DTV 모듈(1)을 네트워크 기능 확장 보드(401)와 조합함으로써, 네트워크 관련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네트워크 관련 기능이라는 것은, 예로서, 네트워크 기능 확장 보드(401)를 인터넷 등의 광대역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통신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시청하는 주 문형 비디오(video on demand) 등의 서비스를 받기 위한 기능이다.
이더넷 인터페이스(402)는 네트워크에 접속되어서, 통신 패킷의 송수신을 실행한다. 이더넷 인터페이스(402)는, 통신 컨트롤러(404)의 제어에 따라서, 예로서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패킷으로 형성된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한 후,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403)에 저장한다. 통신 컨트롤러(404)는, CPU(19)로부터의 지시 신호에 따라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403)에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를 판독하여 접속 단자 T6 및 버스(19B)를 통하여 CA 인터페이스 회로(3) 및 디코더(18)에 출력하고, 그 후, CPU(19)의 제어에 의해서 복호화 및 표시 처리가 실행된다. 또한, 콘텐츠 데이터를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403)에 일시적으로 저장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CPU(19)를 통하여 메모리(4)에 출력하여 저장해도 좋다.
또한, CATV 모뎀 기능 확장 보드(411)는 케이블 모뎀(412)을 구비하고, DTV 모듈(1)에 CATV 모뎀 기능을 확장하는 경우에 접속하기 위한 보드이다. DTV 모듈(1)을 CATV 모뎀 기능 확장 보드(411)와 조합함으로써, CATV 모뎀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CATV 모뎀 기능이라는 것은, 예로서, CATV의 헤드 엔드에 접속된 서버로부터, 게임 등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하는 기능이다. 케이블 모뎀(412)은, CATV의 헤드 엔드에 접속되어서, 통신 패킷의 송수신을 실행한다. 케이블 모뎀(412)은, CPU(19)의 지시 신호에 따라서, 예로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복수의 패킷으로 형성된 소프트웨어 데이터를 수신한 후, 접속 단자 T6, 버스(19B), 및 CPU(19)를 통하여 메모리(4)에 출력하여 저장하고, 그 후, 이 소프트웨어가 CPU(19)에 의해서 실행된다.
이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능 확장용 보드(401 또는 411)를 DTV 모듈(1)에 접속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머더보드(201-1, 201-2, 201-3)를 통하여 접속해도 좋다. 즉, DTV 모듈(1)에 있어서의 기능 확장용 보드(401 또는 411)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 단자는, 일단 머더보드(201-1, 201-2, 201-3)의 접속 단자에 접속된 후, 기능 확장용 보드(401 또는 411)에 접속된다.
이러한 네트워크 관련 기능이나 CATV 모뎀 기능은, 더욱 고기능을 희망하는 사용자에 대하여 제공되는 하이 엔드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에서 요구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DTV 모듈(1)에 기능 확장용 보드(401 또는 411)를 조합하는 구성은, 기능 확장하지 않은 로 엔드 텔레비전 수신기로부터, 기능 확장 가능한 하이 엔드 텔레비전 수신기로 용이하게 전개할 수 있다. 또한, 공통 접속 단자 T6을 이용하여 어느 쪽인가의 기능 확장 보드(401 또는 411)를 접속할 수 있으므로, 확장하는 기능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기능 확장에 의해서 대응되는 서비스에 대해서는, 실시되고 있는 나라나 지역을 미리 알고 있으므로, CPU(19)는, 머더보드(201-1, 201-2, 201-3)를 식별하기 위한 소정의 제어 전압을 판독하여, 수신지마다 기능 확장할 것인가 아닌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로서, 일본에 있어서 서비스가 실시되고 있는 경우는, CPU(19)는, 일본용 머더보드(201-1)가 DTV용 모듈(1)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인식하여 기능 확장용 보드의 접속을 허가할 수 있다. 한편, 일본 이외에 있어서 서비스가 실시되지 않고 있는 경우는, CPU(19)는, 일본용 머더보드(201-1)가 DTV용 모듈(1)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여 기능 확장용 보드의 접속을 금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CA 인터페이스 회로(3)를 구비한 DTV용 모듈(1)에 의하면, 제1 내지 제3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갖는 동시에, 네트워크 기능 확장 보드(401)를 접속함으로써 네트워크 관련 기능을 구비할 수 있고, 또한 CATV 모뎀 기능 확장 보드(411)를 접속함으로써 CATV모뎀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접속 단자 T6의 물리적 및 전기적인 구조는 동일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DTV 모듈(1)에 대하여, 기능 확장 보드(401, 411)의 어느 하나를 간단히 바꾸어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의 메이커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DTV용 모듈(1)을 이용하면, 각 지역마다의 프런트엔드 회로(202-1, 202-2, 202-3)와 각 시장의 CA 모듈(14)의 각각의 소켓(13-1, 13-2, 13-3)을 실장한 머더보드(201-1, 201-2, 201-3)와 기능 확장용 보드(401, 411)를 설계함으로써, 각 지역, 각 시장용의 로 엔드로부터 하이 엔드까지의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를 용이하고, 또한 종래기술에 비교하여 저가격이면서 또한 소형·경량으로 제품화할 수 있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DTV용 모듈에 의하면, 각 나라나 각 지역, 각 시장용,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를 용이하게 제품화할 수 있고, 양산 효과에 의해서 코스트 다운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를 소형·경량화할 수 있으므로, 이 DTV용 모듈(1)을 휴대형 수신기나 차량 탑재 수신기 등에 적용함으로써,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의 보급에 공헌할 수 있다. 또한, DTV용 모듈은,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 퍼스널 컴퓨터, 휴대형 단말 장치, 또는 리코더 장치 등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을 수신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 등에 대하여도 유용하다.

Claims (28)

  1.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를 수신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를 위한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에 있어서,
    서로 상이한 방송 방식의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외부 기판 중 1개의 외부 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복수의 단자를 갖는 제1접속 수단과,
    상기 외부 기판에 설치된 복조기로부터 상기 제1접속 수단을 통하여 입력되는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에 대하여 복호화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1접속 수단을 통하여 출력하는 복호화 수단과,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서로 상이한 전기적 규격을 갖는 복수 종류의 조건부 액세스 모듈 중 1개의 조건부 액세스 모듈에 상기 제1접속 수단을 통하여 접속되고, 또한 상기 복조기, 상기 복호화 수단 및 상기 제어 수단에 접속되어서, 상기 복조기와, 상기 조건부 액세스 모듈과, 상기 복호화 수단과, 상기 제어 수단과의 사이에 송수신되는 복수의 신호의 입력 및 출력 처리를 실행하는 인터페이스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입력되는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의 방송 방식과 상기 접속되는 조건부 액세스 모듈의 종류 중 최소한 한쪽에 대응하여, 상기 접속되는 조건부 액세스 모듈의 전기적 규격에 적합하도록, 상기 제1접속 수단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복수의 신호 중 최소한 하나의 신호의 전기적 규격을 변경하여 상기 신호의 종류를 절환함으로써,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은, 상기 복조기로부터 상기 제1접속 수단을 통하여 입력되는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를, 상기 제1접속 수단을 통하여 상기 조건부 액세스 모듈에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복호화 수단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은 복수의 버퍼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각각의 버퍼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입력 및 출력 처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조건부 액세스 모듈이 상기 제1접속 수단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지 않을 때, 상기 조건부 액세스 모듈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상기 제어 수단에 출력하도록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복수 종류의 조건부 액 세스 모듈 중 제1종류의 조건부 액세스 모듈이 상기 제1접속 수단을 통하여 접속되었을 때, 상기 접속된 조건부 액세스 모듈로부터 상기 제1접속 수단을 통하여 입력되는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를 상기 복호화 수단에 출력하도록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제1전원 전압을 상기 제1접속 수단을 통하여 상기 접속된 조건부 액세스 모듈에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어드레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상기 제1전원 전압으로써 상기 제1접속 수단을 통하여 상기 접속된 조건부 액세스 모듈에 출력하도록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종류의 조건부 액세스 모듈은, 공통 인터페이스의 조건부 액세스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
  8.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복수 종류의 조건부 액세스 모듈 중 제2종류의 조건부 액세스 모듈이 상기 제1접속 수단을 통하여 접속된 초기 상태일 때에, 제2전원 전압을 상기 제1접속 수단을 통하여 상기 접속된 조건부 액세스 모듈에 출력하고, 상기 접속된 조건부 액세스 모듈로부터 상기 제1접속 수단을 통하여 입력되는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를 상기 복호화 수단에 출력하는 동 시에,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어드레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상기 제2전원 전압으로써 상기 제1접속 수단을 통하여 상기 접속된 조건부 액세스 모듈에 출력하도록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복수 종류의 조건부 액세스 모듈 중 제2종류의 조건부 액세스 모듈이 상기 제1접속 수단을 통하여 접속된 초기 상태 이후의 동작 상태일 때에, 상기 접속된 조건부 액세스 모듈로부터 상기 제1접속 수단을 통하여 입력되는 클록 신호를 상기 복호화 수단에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복조기로부터 상기 제1접속 수단을 통하여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제1접속 수단을 통하여 상기 접속된 조건부 액세스 모듈에 출력하고, 상기 접속된 조건부 액세스 모듈로부터 상기 제1접속 수단을 통하여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제1접속 수단을 통하여 상기 복조기에 출력하도록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종류의 조건부 액세스 모듈은, 케이블 카드의 조건부 액세스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3종류의 조건부 액세스 모듈을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 및 상기 제어 수단에 접속하는 별개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종류의 조건부 액세스 모듈은, IC 카드의 조건부 액세스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
  13. 제11항에 있어서,
    (a) 상기 제1접속 수단이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에 접속된 제1상태와,
    (b) 상기 제1접속 수단이 상기 별개의 인터페이스 수단에 접속된 제2상태를 선택적으로 절환하는 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
  1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은, 복수 층의 기판을 구비하고, 제1의 신호 배선층 기판과, 제2의 신호 배선층 기판과의 사이에, 복수의 박막 콘덴서를 실장한 콘덴서층 기판과, 복수의 박막 저항을 실장한 저항층 기판을 끼워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
  1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제1종류의 복조기와, 상기 제1종류의 조건부 액세스 모듈을 접속할 수 있는 제2접속 수단을 구비하고, 제1방송 방식에 따른 제1종류의 외부 기판과,
    (b) 제2종류의 복조기와, 상기 제2종류의 조건부 액세스 모듈을 접속할 수 있는 제2접속 수단을 구비하고, 제2방송 방식에 따른 제2종류의 외부 기판 중 하나에 상기 제1접속 수단을 통하여 접속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
  1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외부 기판으로부터 상기 제1접속 수단을 통하여 입력되는 종별 데이터 신호에 따라서, 상기 외부 기판의 종류 및 상기 입력되는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의 방송 방식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방송 방식에 따라서, 상기 복호화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제1접속 수단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신호의 종류를 절환함으로써,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종별 데이터 신호는, 상기 외부 기판에서 접지 도체와 접속되어 있는가 아닌가에 의한, 상기 외부 기판의 종류에 따라서 상이하게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종별 데이터 신호는, 상기 외부 기판에 실장된 메모리에, 상기 외부 기판의 종류에 따라서 상이하게 저장된 데이터를 판독한 데이터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방식은, DVB-T 방식과, ATSC 방식과, ISDB-T 방식 중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
  2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의 기능을 확장하기 위한 서로 상이한 기능을 갖는 복수 종류의 기능 확장 기판을 접속하기 위한 제3접속 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확장 기판은,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기능 확장 기판과, CATV의 헤드 엔드에 접속하기 위한 CATV 모뎀 기능 확장 기판 중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
  2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과, 상기 외부 기판을 구비한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로서,
    상기 외부 기판은,
    제1종류의 복조기와,
    제1종류의 조건부 액세스 모듈을 접속하는 제2접속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외부 기판은, 제1방송 방식에 따른 제1종류의 외부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
  23. 제20항에 기재된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과, 상기 외부 기판을 구비한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로서,
    상기 외부 기판은,
    제1종류의 복조기와,
    제1종류의 조건부 액세스 모듈을 접속하는 제2접속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외부 기판은, 제1방송 방식에 따른 제1종류의 외부 기판이며,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은, 제1종류의 상기 기능 확장 기판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판은,
    서로 상이한 복수 종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각각 대응하여 상이한 종류의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는 복수 종류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중 하나를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 디스플레이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와, CRT 디스플레이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
  26. 제20항에 기재된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과, 상기 외부 기판을 구비한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로서,
    상기 외부 기판은,
    제1종류의 복조기와,
    제1종류의 조건부 액세스 모듈을 접속하는 제2접속 수단과,
    제1종류의 디스플레이를 접속하는 제1종류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기판은, 제1방송 방식에 따라서, 제1종류의 디스플레이에 접속하는 제1종류의 외부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
  27. 제20항에 기재된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과, 상기 외부 기판을 구비한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로서,
    상기 외부 기판은,
    제1종류의 복조기와,
    제1종류의 조건부 액세스 모듈을 접속하는 제2접속 수단과,
    제1종류의 디스플레이를 접속하는 제1종류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기판은, 제1방송 방식에 따라서, 제1종류의 디스플레이에 접속하는 제1종류의 외부 기판이며,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은, 제1종류의 상기 기능 확장 기판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
  28.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은 제1유전체 기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부 기판은 제2유전체 기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유전체 기판의 유전율은 상기 제1유전체 기판의 유전율보다도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
KR1020067005310A 2003-09-19 2004-09-21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 및 그것을 구비한 디지털텔레비전 수신기 KR1009983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27788 2003-09-19
JP2003327788 2003-09-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9228A KR20060079228A (ko) 2006-07-05
KR100998395B1 true KR100998395B1 (ko) 2010-12-03

Family

ID=34372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5310A KR100998395B1 (ko) 2003-09-19 2004-09-21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 및 그것을 구비한 디지털텔레비전 수신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108889B2 (ko)
EP (1) EP1675389B1 (ko)
JP (1) JP4603980B2 (ko)
KR (1) KR100998395B1 (ko)
CN (1) CN100413332C (ko)
WO (1) WO20050298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20179B2 (en) * 2004-01-29 2009-11-17 Comcast Cable Holdings, Llc System and method for security processing media streams
EP1814321B1 (en) * 2004-11-12 2013-01-30 Panasonic Corporation Digital television receiver circuit module
US8756626B2 (en) 2005-12-22 2014-06-17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the host-pod interface of a digital television or other digital audio/video receiver for new services
EP1830569A1 (en) * 2006-03-02 2007-09-05 Twinhan Technology Co., Ltd. Dual interface conditional access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2008004998A (ja) * 2006-06-20 2008-01-10 Sharp Corp 映像表示機器及び映像表示機器のセットアップ方法
TW200922185A (en) * 2007-09-26 2009-05-16 Packetvideo Corp System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multimedia on a mobile device
CN101398763B (zh) * 2007-09-27 2012-11-2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脑主板及其开机方法
US7792156B1 (en) * 2008-01-10 2010-09-07 Rosum Corporation ATSC transmitter identifier signaling
CN102497520B (zh) * 2011-12-07 2013-11-06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Ci卡及ca卡兼容系统的供电控制系统及其供电方法
US20130162608A1 (en) * 2011-12-27 2013-06-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upgra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and display system
CN102547424B (zh) * 2012-01-05 2014-04-16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检测ci卡接口兼容ca卡的方法
KR102057975B1 (ko) 2013-06-03 2019-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 확장 키트 및 제어 방법
RU168100U1 (ru) * 2016-06-17 2017-01-18 Абылай Оспан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ема и обработки цифрового телевизионного сигнала
CN111373664B (zh) * 2017-11-28 2022-07-29 索尼半导体解决方案公司 调谐器模块和接收装置
CN110753255B (zh) * 2018-07-24 2022-07-29 扬智科技股份有限公司 传输串流接收装置及其时钟频率设定方法
CN109194997A (zh) * 2018-09-06 2019-01-11 深圳康荣电子有限公司 一种兼容全球数字电视制式的装置及方法
CN114679556A (zh) * 2022-03-28 2022-06-28 深圳铭薪房车科技有限公司 全球多制式合一智能系统电视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1801A (ja) 1997-12-09 1999-11-30 Sony United Kingdom Ltd デジタルビデオ受信機、限定受信モジュール及び転送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9659A (en) * 1977-05-30 1979-10-02 Rca Corporation Multiple standard television sync generator
GB2332314B (en) * 1997-12-09 2001-05-16 Sony Uk Ltd Interface for a receiver and method of arrangement thereof
DE19838628A1 (de) * 1998-08-26 2000-03-02 Ibm Erweiterte Chipkarten-Kommunikationsarchitektur und Verfahren zur Kommunikation zwischen Chipkartenanwendung und Datenträger
US6340997B1 (en) * 1998-04-08 2002-01-22 Microsoft Corporation Worldwide television tuning system with object-based tuning control modules
US6690797B1 (en) * 1998-07-28 2004-02-10 Thomson Licensing S.A. Descrambling device for the use of several conditional access sub-systems
EA200100654A1 (ru) * 1998-12-11 2001-12-24 Паратек Майкровэйв, Инк. Электрически перестраиваемые фильтры с диэлектрическими варакторами
WO2000059210A1 (en) 1999-03-30 2000-10-05 Sony Electronics, Inc. System for interfacing multiple conditional access devices
WO2001006443A1 (en) 1999-07-15 2001-01-25 Thomson Licensing S.A.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two different types of integrated circuit cards with a single connector
US6470284B1 (en) * 1999-08-05 2002-10-22 02 Micro International Limited Integrated PC card host controller for the detection and operation of a plurality of expansion cards
ES2225240T3 (es) * 1999-10-06 2005-03-16 Thomson Licensing S.A. Metodo de acceso a datos de audio/video transmitidos y protegidos segun diferentes sistemas de acceso condicional a traves de un mismo apar ato.
WO2001037546A2 (en) 1999-11-19 2001-05-25 Scm Microsystems Gmbh Digital television methods and apparatus
US6985188B1 (en) * 1999-11-30 2006-01-10 Thomson Licensing Video decoding and channel acquisition system
FR2803160B1 (fr) * 1999-12-22 2002-12-13 Scm Schneider Microsysteme Module d'interfacage pour un hote tel un decodeur, decodeur l'integrant et procede de traitement d'informations pour un hote
GB0026207D0 (en) * 2000-10-26 2000-12-13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Decoder expansion system
US6753758B2 (en) * 2001-01-03 2004-06-22 Gerald Adolph Colman System and method for switching voltage
JP2002300506A (ja) * 2001-04-02 2002-10-11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子情報の画像表示シート、ならびに電子情報の記録および表示システム
US6603080B2 (en) * 2001-09-27 2003-08-05 Andrew Corporation Circuit board having ferrite powder containing layer
CN1413025A (zh) * 2001-10-08 2003-04-23 北京中视联数字系统有限公司 基于数字视音频流的条件接收方法
CN1175666C (zh) * 2001-11-26 2004-11-10 国家广播电影电视总局广播科学研究院 数字电视用户管理系统与多个条件接收系统连接实现方法
ZA200204489B (en) * 2001-12-10 2003-06-09 Uec Technologies Proprietary L Decoder with multiple conditional access facility.
US7398544B2 (en) * 2003-05-12 2008-07-08 Sony Corporation Configurable cableCAR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1801A (ja) 1997-12-09 1999-11-30 Sony United Kingdom Ltd デジタルビデオ受信機、限定受信モジュール及び転送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53411A (zh) 2006-10-25
WO2005029849A1 (ja) 2005-03-31
JPWO2005029849A1 (ja) 2007-11-15
US8108889B2 (en) 2012-01-31
EP1675389A1 (en) 2006-06-28
CN100413332C (zh) 2008-08-20
EP1675389B1 (en) 2020-02-19
EP1675389A4 (en) 2008-12-03
US20070056017A1 (en) 2007-03-08
KR20060079228A (ko) 2006-07-05
JP4603980B2 (ja) 201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88033B2 (ja) デジタルテレビジョン受信機用回路モジュール
KR100998395B1 (ko)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용 모듈 및 그것을 구비한 디지털텔레비전 수신기
US8320822B2 (en) Method and system for single chip satellite set-top box system
US20110273616A1 (en) Television Capable of Implementing Function Extension
US20050105007A1 (en) Interchangeable media input cartridge for home entertainment
JP4079532B2 (ja) インタフェース、接続方法、インタフェース装置及び集積回路
US7811137B2 (en) Network socket connector with built-in IP BOX function
US7225320B2 (en) Control architecture for a high-throughput multi-processor channel decoding system
US20040136364A1 (en) Electronic apparatus
JP4234529B2 (ja) ケーブルモデムモジュール装置及び電子機器
KR100577709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유닛
JP2006520153A (ja) 集積ネットワークインタフェースモジュール
US20080192150A1 (en) Receiving Apparatus
KR100843441B1 (ko) 멀티칩 패키지
KR20210117640A (ko) 튜너 회로 기판
KR100744944B1 (ko) Sip 타입의 디지털 디모듈레이터 패키지
WO2004023811A1 (en) A two-module digital television decoder
WO2009005242A1 (en) Tuner module
US20070066263A1 (en) Digital Signal Receiver With A Built-In Antenna
JP2004310253A (ja) カードアダプター、カードアダプターシステムおよびソフトウェアアップデート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