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7392B1 - 후두부의 과도한 압박감을 해소하는 기능을 가진 일체형으로 마감되는 모자 - Google Patents

후두부의 과도한 압박감을 해소하는 기능을 가진 일체형으로 마감되는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7392B1
KR100997392B1 KR1020080022197A KR20080022197A KR100997392B1 KR 100997392 B1 KR100997392 B1 KR 100997392B1 KR 1020080022197 A KR1020080022197 A KR 1020080022197A KR 20080022197 A KR20080022197 A KR 20080022197A KR 100997392 B1 KR100997392 B1 KR 100997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m
hat
head
hair band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2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7046A (ko
Inventor
변형자
Original Assignee
변형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형자 filed Critical 변형자
Priority to KR1020080022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7392B1/ko
Publication of KR20090097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7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7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7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5/00Fittings or trimmings for hats, e.g. hat-band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 A42B1/0181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2Hats; Caps; Hoods adjustable in size ; Form-fitting or self adjusting head coverings; Devices for reducing hat siz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 A42B1/248Insignia, logos, emblems or the like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햇볕을 차단하는 모자챙을 머리 전방에 고정하고 일측이 개방된 " C " 자형 헤어밴드에 있어서, 뒤통수와 접촉하여 집중적으로 압박하는 탄성리브의 양단부 면적을 확장하기 위하여, 외피와 탄성리브 사이에 판상의 확장 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외피 그리고 마감소재와 함께 봉제하여 고정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자의 상품성을 저해하는 봉제선의 이음부를 육안으로 쉽게 식별되는 후방에서 눈에 잘 띠지 않는 측방 혹은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모자의 후방에는 유선형의 매끄러운 봉제선을 구현하고, 그 자체로서 상품적 가치를 저해하는 봉제선의 이음부는 상표 혹은 로그 등의 액세서리를 이용하여 은폐함으로써, 장식적 기능을 증진하는 헤어밴드 타입의 차광모자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헤어밴드는, 일측이 개방된 양단부를 벌려 머리에 착용하는 " C "자 형태이고, 상기 개구부에는 봉제선의 이음부가 형성되지 않음으로써, 개구부의 가장자리를 통과하는 봉제선은 끊김 없이 일체로 연결되며, 또한 상기 봉제선은, 모자챙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되고, 상기 이음부는 모자챙의 가장자리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이음부에는 상표, 로고 혹은 캐릭터가 부착됨으로써, 이음부가 눈에 띠지 않게 된다.
차광모자, 헤어밴드, 모자챙, 탄성리브, 봉제선

Description

후두부의 과도한 압박감을 해소하는 기능을 가진 일체형으로 마감되는 모자{Device for dissolving occiput pressure of cap}
본 발명은 후두부의 과도한 압박감을 해소하는 기능을 가진 일체형으로 마감되는 모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피와, 외피 사이에 탄성리브를 삽입하고, 그 가장자리에 마감소재를 덧대어 봉제함에 있어서, 봉제선(S)의 시작 부분과 끝 부분이 " C " 자형 탄성리브의 개방부 즉, 후방에 형성되지 않고, 전방 혹은 측방 일측에 형성하여, 후방에서 볼 때 심미감을 해치지 않으며, 전술한 봉제선(S)의 이음부에는 상표나 로고 등을 붙임으로써 이음부가 은폐된 후두부의 과도한 압박감을 해소하는 기능을 가진 일체형으로 마감되는 모자에 관한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차광모자를 장시간 착용하게 되면, 헤어밴드 속에 삽입된 탄성밴드의 탄성력에 의하여 머리를 압박하게 되고, 특히 " C "자형 헤어밴드의 개구부 양단에서 탄성력이 가장 높기 때문에, 사용자의 후두부를 집중하여 압박함으로써, 두통의 원인이 되며, 따라서 상기 양단부의 면적을 확장함으로써 국부적으로 누루는 것을 방지하는 후두부의 과도한 압박감을 해소하는 기능을 가진 일체형으로 마감되는 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자(帽子)는 햇볕이나 비 또는 눈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머리에 착용하는 것으로, 이러한 모자는 그 사용목적이나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의 형태로 분류되고, 사용자의 취향이나 개성에 따라 멋을 연출할 수 있는 수단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한편, 야외에서 자전거 또는 조깅 등의 스포츠를 즐기거나 경기장에서 경기를 관람하는 경우 태양광의 반사현상으로 인해 눈이 심하게 자극되어 사물을 식별할 수 없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며, 특히 야외활동이 많은 하절기에 태양광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태양광에 포함된 자외선은 얼굴 피부의 색소침착, 기미 심지어 화상이나 피부암 등 신체에 치명적인 손상을 일으킨다. 그리고, 최근에는 지구의 오존층 파괴로 인하여 지상으로 조사되는 자외선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자외선으로 인한 피해가 더욱 심각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태양광으로 인한 눈부심 또는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모자챙이 구비된 모자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사용되는 모자(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게 하기 위해 천으로 이루어진 내, 외피 사이에 딱딱한 합성수지 소재의 리브를 삽입한 후 이를 봉제한 헤어밴드(20)와, 상기 헤어밴드(20)의 전방에 봉제 되어 햇볕을 가리게 하는 모자챙(30)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헤어밴드가 채용된 차광모자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차광모자(10)에 의하면, 사용자가 차광모자를 장시간 착용할 때, 헤어밴드(20) 속에 삽입된 딱딱한 리브의 탄성력이 강할 경우, 상기 리브의 끝단부가 사용자의 머리를 계속 압박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머리 통증으로 차광 모자를 장시간 착용할 수 없으며, 특히 헤어밴드(20)의 개방된 양단부가 머리의 후방을 강하게 눌러주기 때문에, 두통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차광모자는 박음질에 의한 직물의 봉제작업시 점선 형태의 봉제선(S)이 외부로 노출되는데다가, 봉제선(S)의 이음부(T) 역시도 외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모자 전체의 심미감이 저해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 모자가 액세서리 처럼 기호품 혹은 장식품으로 선호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봉제선(S)의 이음부(T)는 모자의 장식기능을 저하시키고 모자의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격하함으로써, 결정적으로 모자의 상품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통상 봉제선(S)이 헤어밴드(20)와 모자챙(30)에 각각 별도로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헤어밴드(20)와 모자챙(30)이 일체감을 갖지 못하며, 봉제선(S)이 헤어밴드(20)와 모자챙(30)의 연결부분에서 단절되는 느낌을 갖기 때문에, 심미감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헤어밴드(20)와 모자챙(30)에 봉제선(S)을 따로 제작하게 되면, 작업공정 또한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탄성 정도가 가장 강한 리브의 양단부 압박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머리와 접촉하는 부분의 면적을 최대화하는 후두부의 과도한 압박감을 해소하는 기능을 가진 일체형으로 마감되는 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봉제선의 이음부가 모자의 후방에 위치하면 심미감을 저해하기 때문에 모자의 전방 혹은 측방에 설정하고, 봉제선의 이음부 자체가 모자의 상품성을 저해하기 때문에 이를 은폐하는 후두부의 과도한 압박감을 해소하는 기능을 가진 일체형으로 마감되는 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봉제선이 헤어밴드와 모자챙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헤어밴드와 모자챙의 곡선미를 증가시키고,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후두부의 과도한 압박감을 해소하는 기능을 가진 일체형으로 마감되는 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일측이 개방되고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는 헤어밴드와, 상기 헤어밴드의 전방에 설치되어 햇볕을 가리는 모자챙으로 구성되는 차광모자에 있어서, 상기 헤어밴드는, 내피와 외피 사이에 강도를 보강하는 탄성리브를 삽입한 상태에서 가장자리에 마감소재를 이용하여 마감처리하고, 내피와 외피 그리고 마감소재를 연결하는 봉제선이 형성되며, 상기 봉제선의 시작부분과 끝부분이 만나는 이음부는 헤어밴드의 전방 혹은 측방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모자챙은, 일측이 개방된 개구부의 반대편에서 헤어밴드의 내,외피와 직접 봉제 연결되고, 상기 헤어밴드는, 일측이 개방된 양단부를 벌려 머리에 착용하는 " C "자 형태이고,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를 통과하는 봉제선은 끊김 없이 일체로 연결되며, 적어도 폐쇄된 가장자리의 일측에 상기 시작부분과 끝부분이 형성된다.
상기 봉제선은, 상기 헤어밴드에서 상기 모자챙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되고, 모자챙의 전방을 경유하여 헤어밴드와 다시 연결됨으로써, 헤어밴드와 모자챙의 일체감을 더하고, 상기 이음부는 상기 모자챙의 가장자리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시작부분과 끝부분이 마주하는 이음부에는 상표, 로고 혹은 캐릭터가 부착됨으로써, 상기 이음부가 은폐된다.
상기 탄성리브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내측으로 탄력을 받아 굽어져 있는 "C" 자형이거나 일측이 개방된 타원형상이며, 사용자마다 머리의 둘레가 다르더라도 착용에 지장이 없도록 가요성의 탄성력을 가지며, 상기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개방된 양단부가 머리를 국부적으로 압박하지 않고 분산되도록, 머리와의 접촉면적을 확대하는 확장 플레이트가 더 구비된다.
상기 확장 플레이트는, 판상의 부재로서 상기 외피와 내피 그리고 마감소재와 함께 봉제가능한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확장 플레이트는, 상기 탄성리브보다 적어도 상,하로 5㎜ 이상 넓은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헤어밴드가 모자챙과 연결되 지 않는 부분과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며, 그 재질이 상기 모자챙의 재질과 동일한 합성수지로 제작되고, 상기 외피와 탄성리브 사이에 삽입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머리의 후방과 집중적으로 접촉하여 압박하는 탄성리브의 면적을 확장함으로써 " C " 자형 헤어밴드의 단점을 해결하고 소비자의 편의성을 증진하는 작용효과가 기대된다.
둘째, 모자의 상품성을 저해하는 봉제선의 이음부를 눈에 잘 띠는 후방에서 눈에 잘 띠지 않는 측방으로 이동함으로써, 모자의 후방에는 유선형의 매끄러운 봉제선을 구현하고, 모자의 경제적 가치를 증진하는 작용효과가 기대된다.
셋째, 그 자체로서 상품적 가치를 저해하는 봉제선의 이음부를 상표 혹은 로그 등의 액세서리를 이용하여 은폐함으로써, 장식적 기능을 증진하는 작용효과가 기대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후두부의 과도한 압박감을 해소하는 기능을 가진 일체형으로 마감되는 모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광모자(1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되어 개구부(P)를 구비하고, 개방된 양단부를 벌려 머리에 착용하는 " C " 자형 헤어밴드(110)와, 상기 헤어밴드(110)에 봉제되어 고정되는 모자챙(170)으로 구성된다.
상기 모자챙(170)은 헤어밴드(110)의 전방에 설치되어 햇볕을 가리는 것으로, 그 테두리는 마찰이나 충격으로부터 보호되도록 천과 같은 마감소재로 마감처리됨으로써 봉제선(S)을 형성하고, 모자챙(170)의 가장자리에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와이어가 더 구비되기도 한다. 상기 모자챙(170)은 헤어밴드(110)에 단순히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헤어밴드(110)는 사용자 측에 구비되어 피부와 접촉하는 내피(120)와, 모자챙(170) 측에 구비되는 외피(130)와, 상기 내피(120)와 외피(130)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헤어밴드(110)의 강도를 보강하는 탄성리브(도 7의 140)로 구성된다.
상기 내피(120)와 외피(130)는 천연섬유나 가죽 혹은 합성수지로 직조 편조된 인공섬유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내피(120)의 내측에는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쿠션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쿠션부재는 착용감을 좋게 하기 위하여 압축 스펀지나 솜 혹은 실리콘 패드 등이 사용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봉제선(S)이 헤어밴드(110)에만 국한되어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모자챙(170)에도 함께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즉, 봉제선(S)은 헤어밴드(110)의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되고, 헤어밴드(110)와 모자챙(170)의 연결부분을 경유하여, 모자챙(170)의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됨으로써, 헤어밴드(110)와 모자챙(170)이 일체감을 갖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헤어밴드(110)의 가장자리에는 모자챙(170)의 가장자리와 마찬가지로, 테두리 마감소재가 내피 혹은 외피와 동일 혹은 유사한 재질로 덮어씌워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봉제선(S)은 헤어밴드(110)의 개방된 후방 즉, 개구부(P)에서 마감되는 것이 아니고, 헤어밴드(110)의 가장자리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봉제선(S)의 이음부(T)를 은폐하기 위하여, 이음부(T)에 상표 혹은 로그나 캐릭터 기타 액세서리(160)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봉제선(S)은, 헤어밴드(110)의 가장자리에만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모자챙(170)의 전방 가장자리로 연장될 수 있기 때문에, 봉제선(S)의 제작방법은 헤어밴드(110)와 모자챙(170)을 연결하는 봉제방법에 의한다. 따라서, 봉제선(S)이 헤어밴드(110)에서 모자챙(170)으로 연장되고, 다시 모자챙(170)에서 헤어밴드(110)로 연장됨으로써 헤어밴드(110)와 모자챙(170)이 일체감 있게 느껴지고 선형미를 더 할 수 있게 되며, 그 만큼 마감소재(150)의 봉제방법 또한 개선되는 작용효과가 기대된다.
상기 탄성리브(140)는, 적어도 사용자의 이마를 두를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제작된다. 그 폭은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이마를 압박하지 않을 정도의 넓이로 제작된다. 상기 탄성리브(140)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내측으로 탄력을 받아 굽어져 있는 "C" 자형이거나 일측이 개방된 타원형상을 하고 있다. 따라서 일측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사람마다 머리의 둘레가 다르더라도 착용하는데 아무런 지장이 없다.
그러나, 탄성리브(140)는,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틸렌(PS) 혹은 폴리카보네이트(PC)를 재료로 하는 경질의 합성수지로 성형되고, 경질의 합성수지는 장시간 벌리고 좁히고 반복하더라도 변형되거나 부러지지 않는 가요성의 특징이 있기는 하나, 개방된 단부에서 모자가 머리에서 미끄러지지 않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압박하는 기능이 있게 된다. 따라서, 압박이 지나치면 오히려 두통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모자를 사용하는 것을 꺼리게 된다.
그러므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개구부(P) 즉, 개방된 단부를 확장 플레이트(180)에 의하여 전방 혹은 측방의 넓이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압박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통증은 현저하게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서 좌측 확대 도면에서 보면, 확장 플레이트(180)의 길이가 탄성 리브(140)의 길이보다 상하 모두에서 조금씩 더 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 확장 플레이트(180)이 탄성 리브(140)보다 폭이 더 크게 도시되어 있음을 알수 있다.)
상기 확장 플레이트(180)는, 탄성리브(140)와 같이 경질의 합성수지로 성형하지만, 상기 탄성리브와 같이 탄성을 요건으로 하지 않기 때문에 소정 두께를 갖는 판상의 부재로 구성하되, 봉제선(S)을 형성할 때, 내피(120)와 외피(130) 그리고 마감소재(150)와 동시에 봉제 될 수 있을 정도의 두께로 형성된다. 따라서, 확장 플레이트(180)는, 탄성리브(140)의 넓이보다 상하 5㎜ 이상 커야 한다. 상기 확장 플레이트(180)는, 상기 헤어밴드가 모자챙과 연결되는 부분에는 설치될 필요가 없고, 모자챙이 설치되지 않는 부분에만 설치되고, 각 단부는 라운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재료비를 절약하기 위하여 모자챙(170)을 재단하고 남은 부분을 활용하여 확장 플레이트(180)를 제작한다. 확장 플레이트(180)는 외피(130)와 탄성리브(140) 사이 혹은 내피(120)와 탄성리브(140) 사이에 개재되고, 확장 플레이트(180)가 내측에 설치되면 플레이트의 두께만큼 돌출되어 불편하기 때문에, 외피(130)와 탄성리브(140)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머리의 양측과 후방을 압박함으로써, 머리의 통증을 유발하며, 특히 개방된 부분에서 머리를 가장 강하게 누르기 때문에, 뒤통수 부분을 주로 압박하여 두통의 원인이 되었던 " C " 자형 헤어밴드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뒤통수를 집중적으로 압박하는 부분의 면적을 확장하는 플레이트를 외피와 탄성리브 사이에 더 설치하는 구성을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헤어밴드 타입 차광모자의 구성을 각각 나타내는 정면사시도 및 배면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후두부의 과도한 압박감을 해소하는 기능을 가진 일체형으로 마감되는 모자의 구성을 각각 나타내는 정면사시도 및 배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후두부의 과도한 압박감을 해소하는 기능을 가진 일체형으로 마감되는 모자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후두부의 과도한 압박감을 해소하는 기능을 가진 일체형으로 마감되는 모자의 구성을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부분 절개사시도.
**도면의 주요구성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차광모자 110: 헤어밴드
120: 내피 130: 외피
140: 탄성리브 150: 마감소재
160: 액세서리 170: 모자챙
180: 확장 플레이트 T: 이음부
P: 개구부 S: 봉제선

Claims (9)

  1. 일측이 개방되고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는 헤어밴드와, 상기 헤어밴드의 전방에 설치되어 햇볕을 가리는 모자챙으로 구성되는 차광모자에 있어서,
    상기 헤어밴드는, 내피와 외피 사이에 강도를 보강하는 탄성리브를 삽입한 상태에서 가장자리에 마감소재를 이용하여 마감처리하고, 내피와 외피 그리고 마감소재를 연결하는 봉제선이 형성되며, 상기 봉제선의 시작부분과 끝부분이 만나는 이음부는 상기 헤어밴드의 전방 혹은 측방 일측 또는 상기 모자챙의 가장자리 일측에 형성되며,
    사용자마다 머리의 둘레가 다르더라도 착용에 지장이 없도록 가요성의 탄성력을 가지며, 상기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개방된 양단부가 머리를 국부적으로 압박하지 않고 분산되도록, 머리와의 접촉면적을 확대하는 확장 플레이트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두부의 과도한 압박감을 해소하는 기능을 가진 일체형으로 마감되는 모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자챙은, 일측이 개방된 개구부의 반대편에서 헤어밴드의 내,외피와 직접 봉제 연결되고,
    상기 헤어밴드는, 일측이 개방된 양단부를 벌려 머리에 착용하는 " C "자 형태이고,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를 통과하는 봉제선은 끊김 없이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두부의 과도한 압박감을 해소하는 기능을 가진 일체형으로 마감되는 모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봉제선은, 상기 헤어밴드에서 상기 모자챙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되고, 모자챙의 전방을 경유하여 헤어밴드와 다시 연결됨으로써, 헤어밴드와 모자챙의 일체감을 더하고, 상기 이음부는 상기 모자챙의 가장자리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두부의 과도한 압박감을 해소하는 기능을 가진 일체형으로 마감되는 모자.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부분과 끝부분이 마주하는 이음부에는 상표, 로고 혹은 캐릭터가 부착됨으로써, 상기 이음부가 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두부의 과도한 압박감을 해소하는 기능을 가진 일체형으로 마감되는 모자.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플레이트는, 판상의 부재로서 상기 외피와 내피 그리고 마감소재와 함께 봉제가능한 두께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후두부의 과도한 압박감을 해소하는 기능을 가진 일체형으로 마감되는 모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플레이트는, 상기 탄성리브보다 적어도 상,하로 5㎜ 이상 넓은 폭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후두부의 과도한 압박감을 해소하는 기능을 가진 일체형으로 마감되는 모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플레이트는, 상기 헤어밴드가 모자챙과 연결되지 않는 부분과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후두부의 과도한 압박감을 해소하는 기능을 가진 일체형으로 마감되는 모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플레이트는, 그 재질이 상기 모자챙의 재질과 동일한 합성수지로 제작되고, 상기 외피와 탄성리브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두부의 과도한 압박감을 해소하는 기능을 가진 일체형으로 마감되는 모자.
KR1020080022197A 2008-03-10 2008-03-10 후두부의 과도한 압박감을 해소하는 기능을 가진 일체형으로 마감되는 모자 KR100997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197A KR100997392B1 (ko) 2008-03-10 2008-03-10 후두부의 과도한 압박감을 해소하는 기능을 가진 일체형으로 마감되는 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197A KR100997392B1 (ko) 2008-03-10 2008-03-10 후두부의 과도한 압박감을 해소하는 기능을 가진 일체형으로 마감되는 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7046A KR20090097046A (ko) 2009-09-15
KR100997392B1 true KR100997392B1 (ko) 2010-11-30

Family

ID=41356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2197A KR100997392B1 (ko) 2008-03-10 2008-03-10 후두부의 과도한 압박감을 해소하는 기능을 가진 일체형으로 마감되는 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73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487B1 (ko) * 2009-06-29 2011-09-30 김덕진 모양 변화가 가능하고 개선된 착용감을 가지는 모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8851Y1 (ko) 1999-08-07 2000-02-15 김재덕 말아서 간단히 휴대할 수 있도록 한 선캡
KR200282713Y1 (ko) 2002-04-27 2002-07-22 이호구 모자용 헤드밴드
KR200297339Y1 (ko) 2002-08-31 2002-12-11 안창선 차양모의 헤어밴드
KR200418519Y1 (ko) 2006-03-20 2006-06-14 문재선 차양모자용 헤어밴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8851Y1 (ko) 1999-08-07 2000-02-15 김재덕 말아서 간단히 휴대할 수 있도록 한 선캡
KR200282713Y1 (ko) 2002-04-27 2002-07-22 이호구 모자용 헤드밴드
KR200297339Y1 (ko) 2002-08-31 2002-12-11 안창선 차양모의 헤어밴드
KR200418519Y1 (ko) 2006-03-20 2006-06-14 문재선 차양모자용 헤어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7046A (ko) 2009-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8155B2 (en) Headwear with interwoven gripping fibers
US11357278B2 (en) Compression headwear
US11957199B2 (en) Compression headwear
KR100997392B1 (ko) 후두부의 과도한 압박감을 해소하는 기능을 가진 일체형으로 마감되는 모자
KR200416125Y1 (ko) 모자용 챙
KR100531921B1 (ko) 모자용 챙
KR100598319B1 (ko) 크라운 형태를 유지해주는 모자
KR200459476Y1 (ko) 사이즈 조절 모자
KR100857836B1 (ko) 차양모
KR200297339Y1 (ko) 차양모의 헤어밴드
KR102528551B1 (ko) 쉽게 벗겨지지 않는 모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052741B1 (ko) 뒷목 가리개를 갖는 모자
KR200246436Y1 (ko) 차양모
KR200180250Y1 (ko) 머리띠 겸용 차양모
KR200310575Y1 (ko) 차양모
KR200458395Y1 (ko) 장식기능이 강화된 햇빛가리개 모자
KR20100104128A (ko) 다기능 모자
KR200457736Y1 (ko) 전후방 전개가 가능한 햇빛가리개 모자
KR20230124353A (ko) 귀마개 비니
KR200199240Y1 (ko) 차양모
KR200246446Y1 (ko) 차양모
KR200297334Y1 (ko) 사출 차양모
KR100853273B1 (ko) 수납공간을 갖는 모자
KR200349929Y1 (ko) 차양모
KR200274954Y1 (ko) 차양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