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7093B1 -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조립체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7093B1
KR100997093B1 KR1020050060067A KR20050060067A KR100997093B1 KR 100997093 B1 KR100997093 B1 KR 100997093B1 KR 1020050060067 A KR1020050060067 A KR 1020050060067A KR 20050060067 A KR20050060067 A KR 20050060067A KR 100997093 B1 KR100997093 B1 KR 100997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scopic
housing
motor
outer pipe
soleno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0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5975A (ko
Inventor
정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50060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7093B1/ko
Publication of KR20070005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5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7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7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1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power actuated adjustment, e.g. with position memo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4Mechanisms for locking columns at selected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5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adjustable by axial displacement, e.g. telescop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개의 모터와 솔레노이드를 이용하여 틸트부와 텔레스코픽부을 전동으로 작동 할 수 있도록 된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아웃터파이프의 일측에 설치된 틸트부(400)와, 아웃터파이프의 타측에 설치된 텔레스코픽부(500)와, 아웃터파이프의 일단에 모터(610)의 회전력을 각각의 틸트부와 텔레스코픽부에 전달하도록 된 구동조립체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구동조립체(600)는 아웃터파이프의 일단에 고정된 하우징(610)과,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된 모터(620)와, 이 모터의 회전축(621)에 의한 회전동력을 일방향으로 전달받도록 회전가능하게 끼워짐과 더불어 틸트동력전달기어와 텔레스코픽부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치합되는 텔레스동력전달기어가 형성된 가동기어(630)와, 전기적인 신호를 받아 가동기어를 축방향으로 밀어부치도록 하우징에 설치된 솔레노이드(640)와, 가동기어에 가해지던 솔레노이드의 가압력이 제거되면 모터의 회전축을 따라 원위치로 이동하도록 하우징과 가동기어의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6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티어링, 컬럼, 틸트, 텔레스코픽, 모터

Description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조립체{Steering column assembly for vehicles }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조립체의 모터조립체에 설치된 일예의 동력전달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조립체를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요부인 모터조립체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모터조립체에 설치된 차동기어를 이용한 구조의 동력전달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도 4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의 메인하우징내에 설치된 차동기어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충격흡수부 200 : 아웃터파이프
300 : 인너파이프 400 : 틸트부
410 : 웜기어 500 : 텔레스코픽부
510 : 웜기어 600 : 구동조립체
610,710 : 하우징 620,720 : 모터
630 : 제1구동장치부 640, 730 : 솔레노이드조립체
650 : 탄성부재 740 : 락클러치
750 : 탄성부재 760 : 차동기어부
762 : 차동기어 762b : 차동기어유니트
본 발명은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개의 모터를 이용하여 틸트와 텔레스코픽을 전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운전석에는 운전자가 차량의 진행방향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스티어링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스티어링 장치는 통상적으로 조향장치와 스티어링 기어 및 링크기구로 이루어지는데, 특히 상기 조향장치는 운전자로 부터 회전토크를 전달받는 스티어링 휠과, 상기 스티어링 휠과 연결된 샤프트와, 이 샤프트가 내설되며 조향장치를 차체에 고정하는 스티어링 컬럼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 지되, 이 스티어링 컬럼은 한쌍의 어퍼·로워 마운팅브라켓에 의해 차체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스티어링 장치에는 운전자의 신체에 맞도록 조향핸들의 위치와 높이를 조절하도록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틸트부와 운전자의 신장에 따라 축방향 상하로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텔레스코픽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스티어링칼럼의 틸트부와 텔레스코픽부를 전동으로 구동하여 조절 할 때에는 틸트부와 텔레스코픽부 각각의 구동메카니즘에 모터가 장착되어 구조가 복잡하고, 또 제작시간이 길며, 중량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한개의 모터를 이용하여 틸트부와 텔레스코픽부를 전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개의 모터와 솔레노이드를 이용하여 틸트와 텔레스코픽을 전동으로 조절할 때 차동기어를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인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조립체는, 아웃터파이프의 일측에 설치된 틸트부와, 상기 아웃터파이프의 타측에 설치된 텔레스코픽부와, 상기 아웃터파이프의 일단에 모터의 회전력을 각각의 틸트부와 텔레스코픽부에 전달하도록 된 구동조립체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조립체는 상기 아웃터파이프의 일단에 고정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틸트작동 및 텔레스코픽 작동을 위한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이 모터의 회전축에 의한 회전동력을 일방향으로 전달받도록 회전가능하게 끼워짐과 더불어 축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틸트부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치합되는 틸트동력전달기어와 텔레스코픽부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치합되는 텔레스동력전달기어가 형성된 가동기어와, 전기적인 신호를 받아 상기 가동기어를 축방향으로 밀어부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솔레노이드와, 상기 가동기어에 가해지던 솔레노이드의 가압력이 제거되면 모터의 회전축을 따라 솔레노이드의 가압력이 작용하지 않던 원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하우징과 가동기어의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조립체는, 아웃터파이프의 일측에 설치된 틸트부와, 상기 아웃터파이프의 타측에 설치된 텔레스코픽부와, 상기 아웃터파이프의 일단에 모터의 회전력을 각각의 틸트부와 텔레스코픽부에 전달하도록 된 구동조립체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조립체는 상기 아웃터파이프의 일단에 고정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틸트작동 및 텔레스코픽 작동을 위한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전기적인 신호를 받아 상기 하우징에 공정된 솔레노이드조립체와, 이 솔레노이드조립체에 결합되어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의해 이동하여 각각의 틸트부와 텔레스코픽부가 회전을 하지 못하도록 결합되는 락클러치와, 상기 락클러치에 일단이 밀착되어 상기 솔레노이드조립체의 가압력이 제거되면 솔레노이드의 가압력이 작용하지 않던 원위치로 이동하도록 설치된 탄성부재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력이 전달되면 상기 틸트부와 텔레스코픽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차동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조립체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차동기어부가 수용되고 모터가 결합되는 메인하우징과, 이 메인하우징과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아웃터파이프에 고정되는 틸트하우징과, 상기 메인하우징과 타측에 결합되고 일측에 상기 아웃터파이프에 고정되는 텔레스코픽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조립체의 모터조립체에 설치된 일예의 동력전달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조립체를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조립체는, 차체에 고정되는 충격흡수부(100)와, 상기 충격흡수부에 설치된 아웃터파이프(200)와, 상기 아웃터파이프의 축방향으로 끼워져 단부에 설치된 스티어링휠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설치된 인너파이프(300)와, 상기 아웃터파이프의 일측에 설치된 틸트부(400)와, 상기 아웃터파이프의 타측에 설치된 텔레스코픽부(500)와, 상기 아웃터파이프의 일단에 모터의 회전력을 각각의 틸트부와 텔레스코픽부에 전달하도록 된 구동조립체(6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상기 구동조립체(600)는 상기 아웃터파이프의 일단에 고정된 하우징(610)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틸트작동 및 텔레스코픽 작동을 위한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모터(620)와, 이 모터의 회전축(621)에 의한 회전동력을 일방향으로 전달받도록 회전가능하게 끼워짐과 더불어 축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틸트부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치합되는 틸트동력전달기어와 텔레스코픽부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치합되는 텔레스동력전달기어가 형성된 가동기어(630)와, 전기적인 신호를 받아 상기 가동기어를 축방향으로 밀어부치도록 상기 하우징 에 설치된 솔레노이드(640)와, 상기 가동기어(630)에 가해지던 솔레노이드의 가압력이 제거되면 모터의 회전축을 따라 솔레노이드의 가압력이 작용하지 않던 원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하우징(610)과 가동기어(630)의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65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틸트부(400)의 웜기어(410)와 텔레스코픽부(500)의 웜기어(510)는 상기 하우징(610)에 설치된다.
따라서 틸트작동시 상기 모터(620)가 구동하게 되면 상기 가동기어(630)가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웜기어(410)를 통해 틸트부(400)로 회전력을 전달하게 됨으로써 틸트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반면에 텔레스코픽 작동시 상기 솔레노이드(640)가 상기 탄성부재(650)의 탄발력에 대향하여 작동하게 되면 상기 가동기어(630)가 이동하여 상기 텔레스코픽부(500)의 웜기어(510)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됨으로써 텔레스코픽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 상기 솔레노이드(640)에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면 상기 탄성부재(650)에 의해 원상태의 위치로 복원되게 된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조립체를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후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요부인 모터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모터조립체에 설치된 차동기어를 이용한 구조의 동력전달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6은 도 4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메인하우징내에 설치된 차동기어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조립체는 아웃터파이프의 일측에 설치된 틸트부(400)와, 상기 아웃터파이프의 타측에 설치된 텔레스코픽부(500)와, 상기 아웃 터파이프의 일단에 모터의 회전력을 각각의 틸트부와 텔레스코픽부에 전달하도록 된 구동조립체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조립체(700)는 상기 아웃터파이프의 일단에 고정된 하우징(710)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틸트작동 및 텔레스코픽 작동을 위한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모터(720)와, 전기적인 신호를 받아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솔레노이드조립체(730)와, 이 솔레노이드조립체에 결합되어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의해 이동하여 각각의 틸트부(400)와 텔레스코픽부(500)가 회전을 하지 못하도록 결합되는 락클러치(740)와, 상기 락클러치에 일단이 밀착되어 상기 솔레노이드조립체의 가압력이 제거되면 솔레노이드의 가압력이 작용하지 않던 원위치로 이동하도록 설치된 탄성부재(750)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력이 전달되면 상기 틸트부와 텔레스코픽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차동기어부(7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710)은 상기 차동기어부(760)가 수용되고 모터(720)가 결합되는 메인하우징(711)과, 이 메인하우징과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아웃터파이프에 고정되는 틸트하우징(712)과, 상기 메인하우징과 타측에 결합되고 일측에 상기 아웃터파이프에 고정되는 텔레스코픽하우징(7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락클러치(740)는 솔레노이드조립체(730)의 로드(731)에 연결고정되어 있으면서 좌우로 각각 외측면으로 돌출된 치차(741,74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치차(741)는 상기 틸트부(40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웜기어(410)과 치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또 상기 치차(742)는 상기 텔레스코픽(50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웜기어(510)과 치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치합됨과 동시에 틸트작동과 텔레스코픽의 작동이 멈추게 된다.
물론 이때 틸트부와 텔레스코픽부 중에서 어느 하나만 치합되므로 틸트작동과 텔레스코픽 작동 중에서 하나만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차동기어부(760)는 모터(72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웜기어(761)와, 이 웜기어(761)와 맞물려서 회전하면서 상기 메인하우징(711)의 내부에 수용되는 차동기어(762)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의 회전력이 웜기어에 전달되면 메인하우징(711)의 내부에 설치된 차동기어(762)가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차동기어(762)는 상기 웜기어(761)와 맞물려 회전하는 베벨기어외측판(762a)과, 이 베벨기어외측판의 내측에 일측이 끼워져 안착되는 차동기어유니트(762b)와, 이 차동기어유니트의 타측에 끼워져 안착되는 하부수용판(762c)과, 이 하부수용판과 차동기어유니트 및 베벨기어외측판을 순차적으로 체결하여 고정하는 체결부재(762d)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720)가 회전하게 되면 웜기어(761)가 회전하게 되고, 이때 상기 솔레노이드조립체(730)가 작동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부재(750)에 의해 락클러치(740)가 웜기어(410)에 치합됨으로 틸트부(400)의 회전을 멈추게 하고, 상기 모터가 회전하여 웜기어에 의해 회전하는 차동기어부(760)에 의해 차동기어(762)가 회전하면서 웜기어(510)가 텔레스코픽부(500)를 작동하여 운전자의 신장에 맞게 칼럼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된다.
한편 상기 솔레노이드조립체(730)가 작동한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부재의 탄 발력에 대향하여 락클러치가 웜기어(510)에 치합됨으로 텔레스코픽(500)의 회전을 멈추게 하고, 상기 모터가 회전하여 웜기어에 의해 회전하는 차동기어부(760)에 의해 차동기어(762)가 회전하면서 웜기어(410)가 틸트부(400)를 작동하여 운전자의 신장에 맞게 칼럼의 높낮이에 따른 틸트각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하나의 모터와 하나의 솔레노이드조립체를 이용하여 차동기어를 적용함으로써 틸트와 텔레스코픽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조립체에 의하면, 한개의 모터와 솔레노이드를 이용하여 틸트와 텔레스코픽을 전동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한개의 모터와 솔레노이드를 이용하여 틸트와 텔레스코픽을 전동으로 조절할 때 차동기어를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을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3)

  1. 아웃터파이프의 일측에 설치된 틸트부(400)와, 상기 아웃터파이프의 타측에 설치된 텔레스코픽부(500)와, 상기 아웃터파이프의 일단에 모터(610)의 회전력을 각각의 틸트부와 텔레스코픽부에 전달하도록 된 구동조립체(600)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구동조립체(600)는 상기 아웃터파이프의 일단에 고정된 하우징(610)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틸트작동 및 텔레스코픽 작동을 위한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모터(620)와, 이 모터의 회전축(621)에 의한 회전동력을 일방향으로 전달받도록 회전가능하게 끼워짐과 더불어 축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틸트부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치합되는 틸트동력전달기어와 텔레스코픽부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치합되는 텔레스동력전달기어가 형성된 가동기어(630)와, 전기적인 신호를 받아 상기 가동기어를 축방향으로 밀어부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솔레노이드(640)와, 상기 가동기어(630)에 가해지던 솔레노이드의 가압력이 제거되면 모터의 회전축을 따라 솔레노이드의 가압력이 작용하지 않던 원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하우징(610)과 가동기어(630)의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6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조립체.
  2. 아웃터파이프의 일측에 설치된 틸트부(400)와, 상기 아웃터파이프의 타측에 설치된 텔레스코픽부(500)와, 상기 아웃터파이프의 일단에 모터(710)의 회전력을 각각의 틸트부와 텔레스코픽부에 전달하도록 된 구동조립체(700)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구동조립체(700)는 상기 아웃터파이프의 일단에 고정된 하우징(710)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틸트작동 및 텔레스코픽 작동을 위한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모터(720)와, 전기적인 신호를 받아 상기 하우징에 공정된 솔레노이드조립체(730)와, 이 솔레노이드조립체에 결합되어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의해 이동하여 각각의 틸트부(400)와 텔레스코픽부(500)가 회전을 하지 못하도록 결합되는 락클러치(740)와, 상기 락클러치에 일단이 밀착되어 상기 솔레노이드조립체의 가압력이 제거되면 솔레노이드의 가압력이 작용하지 않던 원위치로 이동하도록 설치된 탄성부재(750)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력이 전달되면 상기 틸트부와 텔레스코픽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차동기어부(7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조립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710)은 상기 차동기어부(760)가 수용되고 모터(720)가 결합되는 메인하우징(711)과, 이 메인하우징과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아웃터파이프에 고정되는 틸트하우징(712)과, 상기 메인하우징과 타측에 결합되고 일측에 상기 아웃터파이프에 고정되는 텔레스코픽하우징(7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조립체.
KR1020050060067A 2005-07-05 2005-07-05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조립체 KR100997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0067A KR100997093B1 (ko) 2005-07-05 2005-07-05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0067A KR100997093B1 (ko) 2005-07-05 2005-07-05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5975A KR20070005975A (ko) 2007-01-11
KR100997093B1 true KR100997093B1 (ko) 2010-11-30

Family

ID=37871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0067A KR100997093B1 (ko) 2005-07-05 2005-07-05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70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934B1 (ko) 2010-11-08 2013-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통합형 전동조향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0534B1 (ko) 2005-01-03 2006-05-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어를 이용한 틸트·텔레스코픽 모드 변경 타입 모터구동식 조향장치
KR100590700B1 (ko) 2005-05-30 2006-06-19 주식회사 만도 단일 구동 모터를 이용한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0534B1 (ko) 2005-01-03 2006-05-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어를 이용한 틸트·텔레스코픽 모드 변경 타입 모터구동식 조향장치
KR100590700B1 (ko) 2005-05-30 2006-06-19 주식회사 만도 단일 구동 모터를 이용한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5975A (ko) 2007-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61534B2 (ja) 電動チルトステアリング装置
JP6212915B2 (ja) 車両のステアリング装置
US6896089B2 (en) Steer-by-wire steering system with rotation limiter
EP2583878B1 (en)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JPH03570A (ja) 車輛の車輪ステアリング装置
CN112722059A (zh) 用于车辆转向柱的力矩反馈组件
EP1262392B1 (en) Column assist with vibration isolation system
KR100997093B1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조립체
JP2009500219A (ja) ステアバイワイヤ形式の自動車操舵システムに使用し、力をパッシブな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に伝える力伝達装置
KR100580534B1 (ko) 기어를 이용한 틸트·텔레스코픽 모드 변경 타입 모터구동식 조향장치
KR101303460B1 (ko) 차량용 전동 스티어링 장치의 기어 치합 상태 유지장치
JPH1067331A (ja) ケーブル式ステアリング装置
CN112550426A (zh) 用于车辆的转向柱组件
US4862989A (en) Two and four-wheel drive transfer device
KR102106292B1 (ko)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
KR100783748B1 (ko) 단일 모터 구동식 조향 칼럼 장치의 구동장치
KR20070109146A (ko) 자동차의 전동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CN210502847U (zh) 一种转向装置、转向系统及自动驾驶车
JPH09226607A (ja)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用電動機およびこの電動機を用いた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2154443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2291100B1 (ko) 전동조향장치용 모터
JP2010116047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20070065059A (ko) 차량의 조향장치
KR101303491B1 (ko) 차량용 전동 조향 장치의 가공 공차 흡수장치
JP4043138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