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6545B1 - 다중 세그먼트 도체 및 이 도체를 구비한 전력 케이블 - Google Patents

다중 세그먼트 도체 및 이 도체를 구비한 전력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6545B1
KR100996545B1 KR1020080107934A KR20080107934A KR100996545B1 KR 100996545 B1 KR100996545 B1 KR 100996545B1 KR 1020080107934 A KR1020080107934 A KR 1020080107934A KR 20080107934 A KR20080107934 A KR 20080107934A KR 100996545 B1 KR100996545 B1 KR 100996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gment
conductor
wires
center
b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7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8671A (ko
Inventor
권영국
이병광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227540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9654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7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6545B1/ko
Publication of KR20100048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8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6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6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4Concentric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H01B7/0208Cables with several layers of insulat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06Constructional features relating to th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2Power cables with screens or conductive layers, e.g. for avoiding large potential gradients
    • H01B9/027Power cables with screens or conductive layers, e.g. for avoiding large potential gradients composed of semi-conducting layers

Landscapes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리켄 타입의 다중 세그먼트 중심 도체를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다중 세그먼트 도체가, 여러개의 나도체 소선과 여러개의 절연 코팅 소선이 결합되어 다층의 원형 엘리먼트를 형성하는 중심 세그먼트와; 상기 중심 세그먼트의 외주에 접한 상태로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여러개의 나도체 소선과 여러개의 절연 코팅 소선이 결합되어 다층의 부채꼴형 엘리먼트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곽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나도체 소선과 직접적으로 접하는 다른 나도체 소선의 최대 갯수가 2개 이하이고, 상기 외곽 세그먼트들은 상기 중심 세그먼트를 중심으로 일정한 피치(Pi)를 갖고 나선형으로 꼬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력 케이블, 밀리켄 타입, 다중 세그먼트

Description

다중 세그먼트 도체 및 이 도체를 구비한 전력 케이블{Multi-segmental Conductor And Electric Power Cab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력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중 세그멘트 도체(Multi-segmental Conductor)를 구비한 전력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전력 수요의 증대에 부응하기 위하여 전력 케이블의 도체 사이즈(size)가 점진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최근에는 단면적이 2,000㎟ 이상(특히, 5,000 ~ 6,000㎟)인 도체가 전력 케이블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대구경 도체는 표면 효과(Skin Effect)로 인한 AC(Alternating Current) 손실을 가진다. 즉, 표면 효과로 인해 AC 저항이 증가하게 되고, 결국 전송 용량의 증가에 제한이 가해진다. 이러한 AC 손실을 줄이기 위해, 예를 들어, 밀리켄 타입의 도체(Milliken-type Conductor)와 같은 다중 세그멘트 도체(Multi-segmental Conductor)가 개발되었다.
상기 다중 세그먼트 도체의 구조에 대해서는 미국 특허 제 4,207,427 호(이하,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 2001-76537 호, 미국 특허 제 5.094,703 호 및 일본 특개평 11-306882 호(이하, 특허 문헌 2)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도 1은 상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밀리켄 타입(Milliken-type)의 도체를 구비한 종래의 전력 케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특허 문헌 1의 전력 케이블(1)의 중심부에는 절연유의 통로 역할을 하기 위한 중심 채널(2)이 구비되어 있다. 이 중심 채널(2)은 6개의 세그먼트(4-9)로 이루어진 밀리켄 타입의 도체(3)에 의해 둘러 싸이고, 각 세그먼트(4-9)는 다수의 절연 소선들을 포함한다. 내부 반도전층(10)이 이 도체(3)의 외부에 배치되고, 내부 반도전층(10)은 다시 절연층(11)에 의해 둘러 싸인다.
상기 절연층(11) 외부에는 외부 반도전층(12)이 배치되고, 이 외부 반도전층(12)은 다시 납 차폐층(13)에 의해 둘러 싸인다. 납 차폐층(13)의 외부에는 차례대로 인장층(Reinforcing layer)(14)과 플라스틱 물질의 외부 시스(15)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특허 문헌 2의 전력 케이블은 밀리켄 도체의 각 세그먼트를 구성하는 소선들을 층간 절연층으로 분할하는 구성을 개시한다. 특히, 특허 문헌 2의 소선 표면에는 산화 피막이 형성되어 있다.
전력 케이블용 밀리켄 타입의 도체를 구성하는 소선으로서 나도체 소선(Bare Wire), 산화 피막 소선(Oxidised Wire) 및 에나멜 코팅 소선(Enamelled Wire)이 모두 사용 가능하다.
실험 결과, 나도체 소선이나 산화 피막 소선에 비해 에나멜 코팅 소선의 표피 효과 계수가 매우 낮게 측정되었다. 따라서, 대부분의 제조사들은 밀리켄 타입의 도체를 구성하는 소선으로 에나멜 코팅 소선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도체를 구성하는 세그먼트의 소선들을 전부 에나멜 코팅 소선으로만 채울 경우, 도체와 이 도체를 둘러싸는 내부 반도전층 사이에 유기 전압이 발생되어 연선 공정중에 에나멜 코팅층이 손상될 위험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유기 전압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소선의 배치와 배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밀리켄 타입의 도체를 구성하는 세그먼트들의 꼬임 피치가 도체의 형상을 균일하게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하고, 나도체 소선을 코팅하는 절연 물질층의 두께와 나도체 소선의 외경을 적절히 설계하는 것에 의해 제조 과정에서의 절연층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표피 효과 계수를 최소화시키는 소선의 배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체의 형상을 균일하게 유지하면서 제조 공정 중에 소선의 절연층이 쉽게 손상되지 않는 다중 세그먼트 도체를 설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전력을 전송하는 다중 세그먼트 도체는, 여러개의 나도체 소선과 여러개의 절연 코팅 소선이 결합되어 다층의 원형 엘리먼트를 형성하는 중심 세그먼트와; 상기 중심 세그먼트의 외주에 접한 상태로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여러개의 나도체 소선과 여러개의 절연 코팅 소선이 결합되어 다층의 부채꼴형 엘리먼트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곽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나도체 소선과 직접적으로 접하는 다른 나도체 소선의 최대 갯수가 2개 이하이고, 상기 외곽 세그먼트들은 상기 중심 세그먼트를 중심으로 일정한 피치(Pi)를 갖고 나선형으로 꼬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른 전력 케이블은 상기 일 양태에 따른 다중 세그먼트 도체를 그 중심부에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꼬임 피치(Pi)는 아래의 관계식을 만족한다.
5Wi 〈 Pi〈 50Wi
(여기서, Pi : 꼬임 피치, Wi : 외곽 세그먼트의 최대폭)
또한, 상기 절연 코팅 소선은 나도체 소선에 일정한 두께의 절연막을 도포하 여 제조하고, 상기 절연막의 두께(t)는 아래의 관계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0.003di 〈 t〈 0.03di
(여기서, t : 절연막의 두께, di : 나도체 소선의 외경)
또한, 상기 절연막은 적어도 한 층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절연막을 구성하는 물질은 폴리비닐포르말,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실리콘, 에폭시, 나일론, 페녹시, 폴리에스테르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이미드, 폴리히단토인 및 폴리히단토인에스테르이미드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곽 세그먼트는 3개 이상, 특히 6개인 것인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세그먼트 도체를 적용하는 것에 의해 소선 절연층에서유발되는 유기 전압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도체의 형상을 균일하게 유지하고, 제조 과정에서 절연층이 벗겨지거나 핀홀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중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동등한 구성요소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세그먼트 도체를 구비한 전력 케이블의 단면 구성도이고, 도 3은 다중 세그먼트 도체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은 다중 세그먼트 타입의 중심 도체(100)와, 이 중심 도체(100)의 외주에 차례대로 배치되는 내부 반도전층(200), 절연층(210), 외부 반도전층(220), 납 차폐층(230) 및 외부 시스(240)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 반도전층(200)은 예를 들어, 반도전성 폴리에틸렌 등과 같은 반도전 컴파운드로 이루어지는데, 가교 폴리에틸렌(XLPE : Cross Linking Polyethylene) 재질의 절연층(230)과 함께 동시 압출된다.
상기 외부 반도전층(240)은 내부 반도전층(200)과 마찬가지로 반도전성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고, 이 외부 반도전층(240)의 외주에는 차례대로 납 차폐층(230)과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 High Density Polyethylene) 재질의 외부 시스(240)가 배치된다.
상기 중심 도체(100)는 밀리켄 타입(Milliken type)의 다중 세그먼트 도체로서 도 3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상기 중심 도체(100)는 중심부에 위치하는 1개의 중심 세그먼트(110)와 이 중심 세그먼트(110)의 외주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6개의 외곽 세그먼트(112~117)로 구성된다. 상기 중심 세그먼트(110)와 상기 외곽 세그먼트들은 세그먼트간 절연지(121~127)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격리된다. 이 세그먼트간 절연지(121~127)는 크라프트지와 같은 팽윤성 테이프로서 전기 절연성을 갖는다.
상기 세그먼트간 절연지(121~127)를 개재하여 중심 세그먼트(110)와 외곽 세그먼트(112~117)들이 서로 인접하게 접촉하고, 상기 외곽 세그먼트(112~117)는 상기 중심 세그먼트(110)를 중심으로 일정한 피치를 갖고, 나선형으로 꼬여 있다.
이와 같이, 외곽 세그먼트(112~117)를 중심 세그먼트(110)에 대해 나선형으 로 꼬는 경우, 너무 작은 피치로 꼬게 되면, 세그먼트를 구성하는 소선이 튀어 올라오게 되고, 반대로 너무 큰 피치로 꼬면, 소선간 간격이 넓어져 도체의 형상을 균일하게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외곽 세그먼트(112~117)의 꼬임 피치는 아래의 관계식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6 참조)
5Wi 〈 Pi〈 50Wi
(여기서, Pi : 꼬임 피치, Wi : 외곽 세그먼트의 최대폭)
아래의 표 1은 중심 세그먼트의 외주에 방사상으로 접촉하는 외곽 세그먼트들(최대폭 : 12mm)을 서로 다른 피치로 꼬아 복수개의 중심 도체들을 제작하고, 그 중심 도체들의 외곽 형상을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피치[mm] 54 61.2 240 420 540 660
최대폭[mm] 12 12 12 12 12 12
외관
(여기서, ○ : 양호, ■ : 소선이 튀어나옴, ▲ : 형상 불균일)
상기 표 1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외곽 세그먼트(114)의 꼬임 피치(Pi)는 외곽 세그먼트의 최대폭(Wi)의 5배 보다는 크고, 50배 보다는 작아야한다.
또한, 도 2의 경우, 외곽 세그먼트의 갯수가 6개인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외곽 세그먼트는 3개 이상이면 충분하다.
상기 중심 세그먼트(110)는 도 4와 같이 구형(求刑)으로 이루어지는데, 여러개의 나도체 소선(150)과 절연 코팅 소선(151)을 적절히 배치하여 하나의 엘리먼트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외곽 세그먼트(112~117)는 도 5와 같이 여러개의 나도체 소선(150)과 절연 코팅 소선(151)이 배치되어 하나의 부채꼴 형상의 엘리먼트를 형성한다.
상기 중심 세그먼트(110) 및 외곽 세그먼트(112~117)는 복수개의 층으로 이루어지고, 각 층간에는 도 3과 같이 층간 절연지(130)가 개재된다.
이 층간 절연지(130)로는 크라프트지와 같은 비도전 팽윤성 테이프를 사용한다.
상기 중심 세그먼트(110)와 외곽 세그먼트(112~117)를 형성할 때, 나도체 소선(150)만으로 구성하면 표피 효과 계수가 높아짐으로서 AC 저항이 증가하게 되고, 절연 코팅 소선(151)만으로 구성하면, 중심 도체(100)와 내부 반도전층(200) 사이에 유기 전압이 유발되어 절연층이 파괴된다. 따라서, 세그먼트를 구성하는 소선은 나도체 소선과 절연 코팅 소선을 적절히 섞어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중심 세그먼트(110)와 외곽 세그먼트(112~117)는 나도체 소선(150)과 절연 코팅 소선(151)이 적절하게 혼합되어 있다. 실험 결과, 하나의 나도체 소선(150)과 직접적으로 인접하는 다른 나도체 소선(150)의 갯수가 최대 2개 이하일 때, 표피 효과 계수가 낮은 값으로 억제되었다. 따라서, 표피 효과 계수를 낮게 유지하면서 유기 전압의 유발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기준이 되는 나도체 소선(150)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다른 나도체 소선(150)의 갯수가 최대 2개 이하가 되도록 나도체 소선(150)과 절연 코팅 소선(151)을 배치하여야 한다.
아래의 표 2는 세그먼트를 구성하는 나도체 소선과 직접 접촉하는 다른 나도체 소선의 갯수(n)를 달리하면서 중심 도체의 표피 효과 개수(R)를 측정한 것이다.
n 0 1 2 3 4 5 6
R 1.03 1.05 1.09 1.25 1.38 1.45 1.48
(여기서, n : 접촉 나도체 소선의 갯수, R=Rac/Rdc : 표피 효과 계수)
상기 표 2로부터 확인 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접촉 나도체 소선의 갯수가 2개를 초과하는 경우, 표피 효과 계수가 급격하게 커진다. 따라서, 중심 도체의 세그먼트(즉, 중심 세그먼트 및 외곽 세그먼트)를 구성하는 나도체 소선과 직접 접촉하는 다른 나도체 소선의 갯수(n)는 최대 2개 이하가 되어야 한다.
또한, 중심 세그먼트(110)와 외곽 세그먼트(112~117)에 적용되는 절연 코팅 소선(151)은 도 7과 같은 단면 구조를 갖는다. 즉, 절연 코팅 소선(151)은 나도체 소선(151a)의 외주에 일정한 두께(t=do - di)의 절연 물질층(151b)을 도포하는 것에 의해 완성된다.
이 절연 물질층(151b)은 제조 과정에서 소선간, 세그먼트간 또는 가이드 롤러와의 기계적 압축력과 마찰력에 의해 절연 물질층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절연 물질층은 제조 과정에서의 기계적 접촉이나 압력에 의해 손상되지 않을 정도의 두께를 가져야 한다.
실험 결과, 절연 코팅 소선(151)의 절연 물질층(151b)은 아래의 관계식을 만족하도록 그 두께를 설정하여야 한다.
0.003di ≤ n〈 0.03di
(여기서, t = do - di : 절연 물질층의 두께, di : 나도체 소선의 외경)
즉, 외경이 2.5mm, 2.9mm, 3.3mm인 나도체 소선에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절연 물질층을 형성한 절연 코팅 소선들을 시험편으로 제작하고, 이 시험편들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핀홀 시험을 수행하였다.
[핀홀 시험]
1. 시험 상태 : 특별히 지정하지 않는 한 KS A 0006에 규정된 상온, 상습(온도 20±15℃, 습도 65±20%)으로 한다.
2. 핀홀
길이 약 6m의 시험편을 취하여 규정온도를 유지한 항온조에서 약 10분간 가열 처리한다. 가열 처리 후에는 시험편을 구부리거나 당기거나 하지 않고, 페놀프탈레인의 3% 알코올 용액의 적당량을 떨어뜨린 0.2% 식염수 속에 시험편중 약 5m의 길이를 담그고, 액을 양극, 시험편의 도체를 음극으로 하여 12V의 직류 전압을 1분간 가하여 발생하는 핀홀의 수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3에 나타내었다.
di
[mm]
t/di
0.002 0.003 0.005 0.01 0.02 0.03 0.04 0.05
2.5 × × × ×
2.9 × × ×
3.3 × × × ×
(여기서, ○ : 양호, × : 핀홀 발생)
상기 표 3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조 과정에서의 물리적 접촉이나 충돌로 인해 핀홀이나 벗겨짐이 발생하지 않는 절연 물질층의 두께(t)는 나도체 소선의 외경(di)의 0.003배 이상이어야 하지만, 나도체 소선의 외경(di)의 0.03배 보다는 작아야 한다.
또한, 상기 나도체 소선으로는 연동선, 주석도금 연동선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절연 물질층을 구성하는 절연 도료로서는 폴리비닐포르말(polyvinyl-formal resin),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실리콘, 에폭시, 나일론, 페녹시, 폴리에스테르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이미드, 폴리히단토인, 폴리히단토인에스테르이미드 등이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은 도 2와 같이 중심 도체의 외주를 내부 반도전층, 절연층, 외부 반도전층, 납차폐층 및 외부 시스가 차례대로 둘러싸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의 전력 케이블이 이러한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전력 케이블은 특허 문헌 1(도 1 참조)의 전력 케이블과 같이 인장층을 더 포함하거나 특허 문헌 2의 전력 케이블과 같이 와이어 실드(wire shield)나 억제 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력 케이블은 납 차폐층이 생략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전력 케이블은 도 3과 같은 구조의 다중 세그먼트 타입의 중심 도체를 구비하고 있다면, 어떤 구조도 채택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상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의 밀리켄 타입의 중심 도체를 구비한 전력 케이블의 종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종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단면 사시도.
도 4는 중심 세그먼트에 대한 확대도.
도 5는 외곽 세그먼트에 대한 확대도.
도 6은 외곽 세그먼트의 최대 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절연 코팅 소선의 종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중심 세그먼트 112~117 : 외곽 세그먼트
121~127 : 절연지 150 : 나도체 소선
151 : 절연 코팅 소선

Claims (18)

  1. 전력 케이블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전력을 전송하는 다중 세그먼트 도체로서,
    상기 도체는,
    여러개의 나도체 소선과 여러개의 절연 코팅 소선이 결합되어 다층의 원형 엘리먼트를 형성하는 중심 세그먼트와;
    상기 중심 세그먼트의 외주에 접한 상태로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여러개의 나도체 소선과 여러개의 절연 코팅 소선이 결합되어 다층의 부채꼴형 엘리먼트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곽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나도체 소선과 직접적으로 접하는 다른 나도체 소선의 최대 갯수가 2개 이하이고,
    상기 외곽 세그먼트들은 상기 중심 세그먼트를 중심으로 일정한 피치(Pi)를 갖고 나선형으로 꼬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세그먼트 도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치(Pi)가 아래의 관계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세그먼트 도체.
    5Wi 〈 Pi〈 50Wi
    (여기서, Pi : 꼬임 피치, Wi : 외곽 세그먼트의 최대폭)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코팅 소선은 나도체 소선에 일정한 두께의 절연막을 도포하여 제조하며,
    상기 절연막의 두께(t)가 아래의 관계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세그먼트 도체.
    0.003di 〈 t〈 0.03di
    (여기서, t : 절연막의 두께, di : 나도체 소선의 외경)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은 적어도 한 층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세그먼트 도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을 구성하는 물질이 폴리비닐포르말,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실리콘, 에폭시, 나일론, 페녹시, 폴리에스테르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이미드, 폴리히단토인 및 폴리히단토인에스테르이미드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세그먼트 도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 세그먼트가 3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세그먼트 도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세그먼트와 외곽 세그먼트 사이 및 외곽 세그먼트들 사이에 각각 절연 필름이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세그먼트 도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세그먼트와 상기 외곽 세그먼트들의 각 층간에 절연 필름이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세그먼트 도체.
  9. 다중 세그먼트 타입의 중심 도체를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중심 도체는,
    여러개의 나도체 소선과 여러개의 절연 코팅 소선이 결합되어 다층의 원형 엘리먼트를 형성하는 중심 세그먼트와;
    상기 중심 세그먼트의 외주에 접한 상태로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여러개의 나도체 소선과 여러개의 절연 코팅 소선이 결합되어 다층의 부채꼴형 엘리먼트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곽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나도체 소선과 직접적으로 접하는 다른 나도체 소선의 최대 갯수가 2개 이하이고,
    상기 외곽 세그먼트들은 상기 중심 세그먼트를 중심으로 일정한 피치(Pi)를 갖고 나선형으로 꼬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피치(Pi)가 아래의 관계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5Wi 〈 Pi〈 50Wi
    (여기서, Pi : 꼬임 피치, Wi : 외곽 세그먼트의 최대폭)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코팅 소선은 나도체 소선에 일정한 두께의 절연막을 도포하여 제조하며,
    상기 절연막의 두께(t)가 아래의 관계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0.003di 〈 t〈 0.03di
    (여기서, t : 절연막의 두께, di : 나도체 소선의 외경)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은 적어도 한 층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을 구성하는 물질이 폴리비닐포르말,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실리콘, 에폭시, 나일론, 페녹시, 폴리에스테르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이미드, 폴리히단토인 및 폴리히단토인에스테르이미드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 세그먼트가 3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세그먼트와 외곽 세그먼트 사이 및 외곽 세그먼트들 사이에 각각 절연 필름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세그먼트와 상기 외곽 세그먼트들의 각 층간에 각각 절연 필름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도체 주변에는 차례대로 내부 반도전층, 절연층, 외부 반도전층 및 외부 시스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반도전층과 상기 외부 시스 사이에는 납 차폐층이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KR1020080107934A 2008-10-31 2008-10-31 다중 세그먼트 도체 및 이 도체를 구비한 전력 케이블 KR100996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7934A KR100996545B1 (ko) 2008-10-31 2008-10-31 다중 세그먼트 도체 및 이 도체를 구비한 전력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7934A KR100996545B1 (ko) 2008-10-31 2008-10-31 다중 세그먼트 도체 및 이 도체를 구비한 전력 케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8671A KR20100048671A (ko) 2010-05-11
KR100996545B1 true KR100996545B1 (ko) 2010-11-24

Family

ID=42275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7934A KR100996545B1 (ko) 2008-10-31 2008-10-31 다중 세그먼트 도체 및 이 도체를 구비한 전력 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65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99518B1 (de) * 2017-12-13 2021-12-08 Nexans Elektrischer leiter aus massiven segment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3008U (ja) 1982-07-16 1984-03-21 昭和電線電纜株式会社 着雪防止電線
JPS6273505A (ja) 1985-09-26 1987-04-04 株式会社フジクラ ケ−ブル導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3008U (ja) 1982-07-16 1984-03-21 昭和電線電纜株式会社 着雪防止電線
JPS6273505A (ja) 1985-09-26 1987-04-04 株式会社フジクラ ケ−ブル導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8671A (ko) 2010-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4579B1 (ko) 다심 케이블
US10249412B2 (en) Composite cable
US6374141B1 (en) Multi-lead bioelectrical stimulus cable
EP2951840B1 (en) Cable having a sparse shield
ES2896019T3 (es) Conductor continuamente transpuesto
US20160295754A1 (en) Magnetic shielding str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agnetic-shielding braided sleeve and magnetic shielded cable using the same
CN102017018A (zh) 电线及其制造方法
CN104952547A (zh) 探测电缆和使用该探测电缆的线束
CN103282972A (zh) 导线屏蔽结构
EP2346050B1 (de) Zugfester elektrischer Leiter
KR20120057823A (ko) 라미네이팅 동판 시스를 갖는 전력케이블
KR100996545B1 (ko) 다중 세그먼트 도체 및 이 도체를 구비한 전력 케이블
CA2968829C (en) Metal clad cable having parallel laid conductors
JPH0561726B2 (ko)
RU2180772C2 (ru) Нагревательный кабель
JP2011228298A (ja) 多心ケーブル
JP3606141B2 (ja) 同軸素線、同軸ケーブル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EP2843670A1 (en) Coiled cable
KR20150085447A (ko) 전력케이블 및 전력케이블의 도체 제작방법
CN209691431U (zh) 一种耐高压耐高辐射剂量率的长寿命补偿电缆
US9431726B2 (en) Multi-core cable
KR20010013227A (ko) 동축케이블, 다심케이블 및 그것을 사용한 전자기기
CN112750560A (zh) 一种改进型心电图仪电缆及其制备方法
CN110580975A (zh) 一种耐水绕组线及其制造方法
CN211455345U (zh) 耐弯曲型细径绝缘电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1209

Effective date: 20120523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