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6010B1 - 연속으로 배치된 조명수단을 구비한 반사장치 - Google Patents

연속으로 배치된 조명수단을 구비한 반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6010B1
KR100996010B1 KR1020057007953A KR20057007953A KR100996010B1 KR 100996010 B1 KR100996010 B1 KR 100996010B1 KR 1020057007953 A KR1020057007953 A KR 1020057007953A KR 20057007953 A KR20057007953 A KR 20057007953A KR 100996010 B1 KR100996010 B1 KR 100996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luminaire
central axis
reflectors
lumina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7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4670A (ko
Inventor
한스-베르너 프리에트리히 브리제
Original Assignee
한스-베르너 프리에트리히 브리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스-베르너 프리에트리히 브리제 filed Critical 한스-베르너 프리에트리히 브리제
Publication of KR20050084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4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6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6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25Combination of two or more reflectors for a singl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4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21V7/06Optical design with parabolic curv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9/0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0Lamp housings
    • G03B21/2066Reflectors in illumination b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사진 및 영화분야에 사용되는 반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반사장치는 서로 내부에 배치되고서 이 반사장치의 영역에 바람직하기로는 반사장치의 중심축에 배치된 두 반사기(11,14)를 구비함과 더불어, 적어도 하나의 조명수단을 수용하는 캐리어부재(12)를 구비한다. 하지만, 종래의 반사장치는 한정된 특성에만 적당하고 사진촬영된 목표물은 반사기의 전형적인 특성만 가질 수 있다고 하는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반사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수단(20)이 추가로 설치되고, 두 조명수단이 중심축(18)에 가까이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그림자가 다양한 방식으로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사장치는 콘트라스트의 전체 범위를 조절할 수 있는데,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은 반사장치에서 선명한 빛과 부드러운 빛의 부분이 조절될 수 있어서, 임의의 특성이 하나의 동일한 반사장치를 이용하여 조절될 수 있다.

Description

연속으로 배치된 조명수단을 구비한 반사장치 {Reflector arrangement comprising successively arranged illumination means}
본 발명은 사진과 영화분야에서 그림자를 조절하기 위한 반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제1반사기와 이 제1반사기 내부에 배치된 제2반사기를 구비하되, 이들 두 반사기는 반사장치의 영역에 그리고 바람직하기로 그 중심축 상에 배치되어 있음과 더불어, 중심축 근처에 하나가 다른 하나의 뒤에 배치된 두 조명수단 및, 적어도 하나의 조명수단을 수용하는 캐리어부재를 구비한다.
이러한 반사장치 또는 헤드램프장치를 독일 특허 197 49 181호에서 찾아볼 수 있지만, 이 장치는 짙은 비임과 원거리 비임 사이를 변화시키도록 작용한다. 다른 분야에서는, 이러한 종류의 공지된 반사장치는 그림자를 조절하기 위해 특히 사진 또는 영화분야에 이용된다. 반사장치의 중심축의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수단을 운반하는 캐리어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비추어질 목표물은 조명수단과 반사기에 의해 빛나게 된다. 그 과정 중에, 반사기에서 반사된 광선을 포함하는 조명수단의 광방사(光放射)는 목표물에 그림자를 나타내게 된다.
하지만, 사진분야에서는 가능한 변화될 수 있는 목표물을 재현할 수 있어야 한다. 더구나, 콘트라스트(contrast)의 범위는 정확히 조절될 수 있고, 매우 광범위하게 즉 그림자가 없음에서부터 짙은 그림자까지 걸쳐 있게 된다. 이는 예컨대 짙은 또는 선명한 그림자가 투명하게 될 정도로 밝아져서 아주 어두운 영역이 뉘앙스(nuance)로 조절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종래의 반사장치가 사용되면, 반사기의 특정한 그림자 또는 변화가 적은 그림자가 각각의 경우에만 생성될 것이다. 다시 말해서, 반사기유니트는 그림자의 특성을 결정하여서, 별도의 반사장치가 각 특성에 따라 사용되어야 한다. 이제, 이들 그림자 즉 어두운 그림자나, 밝은 그림자, 빛이 퍼지게 하는 그림자 등을 변화시키기 위해서, 통상 반사기나, 브라이트너(brightener), 산광기 등이 추가로 사용된다. 추가적인 반사기나, 브라이트너, 산광기, 또는 다른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초과비용이 소요됨과 더불어, 측광(側光)이 반사기에 의해 생성될 때 추가적인 그림자를 발생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원하는 사진의 품질을 얻기 위해서는 여러 반사기나, 브라이트너, 산광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 많은 구조물이 구비되어야 한다.
독일 특허 DE 38 09 333호로부터 보조반사기가 주반사기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사진램프가 알려져 있다.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여러 램프를 수용하기 위한 캐리어가 구비된다. 그러나, 이 램프는 그림자를 매우 제한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그림자의 개별적인 조절, 특히 특성과 콘트라스트의 조절을 보장하는 반사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목적은 전술된 종류의 반사장치에 의해 성취되는 바, 여기서 캐리어부재는 조명수단을 위한 초점유니트로 구성되어 이 초점유니트가 외부의 반사기에 대해 반사기들의 중심축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제2반사기는 초점유니트에 있는 조명수단의 영역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조명특성이 변화할 수 있는데, 선명한 그림자를 생성하는 직광선의 비율과, 그림자를 밝게 하는 간접적인 반사광선의 비율이 변화될 수 있다. 한편으로 외부의 보다 큰 반사기에 대한 추가적인 반사기의 위치와, 다른 한편으로 조명수단에 대한 추가적인 반사기의 위치에 따라, 상이한 콘트라스트가 얻어지거나 조절될 수 있다. 추가적인 반사기가 광선의 일부를 차단하여서, 외부의 보다 큰 반사기에서의 충돌을 방지하게 된다. 그 결과, 반사광의 비율이 줄어든다. 한편으로, 외부의 반사기에 의해 반사된 광선이 많을수록, 그림자를 밝게 하는 효과가 커지게 된다. 동일한 중심축의 영역에 바람직하기로는 동일한 중심축에 2개의 반사기를 배치함으로써, 중심이 같은 밝기가 성취되고 균일한 조명특성이 생성된다. 2개의 조명수단을 배치함으로써, 한쪽 조명수단이 그림자를 밝게 하는 소위 "부드러운" 빛을 발생시킬 수 있고 다른쪽 조명수단이 선명한 그림자를 형성하는 소위 "선명한" 빛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그림자의 콘트라스트의 다양한 조절이 확보된다. 2개의 반사기와 함께 2개의 조명수단을 조합함으로써, 전체 콘트라스트의 대폭, 즉 독점적으로 선명한 그림자와 높은 콘트라스트를 가진 빛 뿐만 아니라 독점적으로 부드러운 그림자와 낮은 콘트라스트를 가진 빛이 조절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추가적인 반사기는 캐리어부재 또는 초점유니트의 중심축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럼이동가능하여서, 직접적인 발광과 간접적인 발광의 비율과, 선명한 그림자 또는 빛, 부드러운 그림자 또는 빛이 개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사기 조합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 조명수단은 별도로 조절될 수 있어서, 빛의 특성이 각각의 조명수단의 광도 또는 명암도를 매개로 추가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반사기유니트 또는 반사장치에 의해 훨씬 더 큰 다양성이 바람직한 조명도에 대하여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적어도 하나의 조명수단의 영역에는 필터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필터부재 또는 필터부재들의 조합에 의해, 특히 대단히 가변적인 색상그림자가 관련되는 한 추가적인 조절들이 이루어진다. 여러 가지의 상이한 색상필터에 의해 더욱 바람직한 색조가 혼합될 수 있어서, 사진은 본 발명에 따른 반사장치의 예비조절에 의해 간단히 원하는 특성을 갖도록 독창적으로 얻어질 수 있다. 마무리는 완전히 필요없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음 설명과 청구범위로 명확하게 될 것인 바,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배경과 함께 비추어진 물체와 반사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배경과 함께 비추어진 물체와 다른 실시예의 반사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반사장치를 상세히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반사장치를 상세히 도시한 측면도이다.
아래에 설명되는 반사장치(10)는 사진 또는 영화에서 특히 조명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도 1에는 필수적으로 제1반사기(11)와, 캐리어부재(12), 조명수단(13) 및, 제2반사기(14)로 구성된 반사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조명수단(13)은 바람직하기로 한쪽 조개껍질의 형상으로 된 제1반사기(11)의 개구부 쪽으로 향하고 있는 원통형 캐리어부재(12)의 자유끝(15)에 배치된다. 조명수단(13)의 반대쪽에 있는 캐리어부재(12)의 자유끝(16)에는 조명수단(13)을 작동시키기 위해 콘센트에 연결되거나 전지로 작동되는 전원(17)이 있다. 이 전원(17)은 제어가능하거나 조절가능하여서 광선(25,26)의 광도 또는 명암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작은 제2반사기(14)가 캐리어부재(12)의 영역에 있는 큰 제1반사기(11)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두 반사기(11,14)는 캐리어부재(12)의 영역에 그리고 바람직하기로는 동일한 중심축(18) 상에 설치된다. 이 경우에, 두 반사기(11,14)의 개구부는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고 있다. 캐리어부재(12)는 제1반사기(11)에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조명수단(13)을 위한 초점유니트(22)를 형성한다. 상기 제2반사기(14)는 조명수단(13)의 영역에 있는 초점유니트(22)에 배치되는데, 이 제2반사기(1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명수단(13)을 덮어씌우거나 이 조명수단(13)에 의해 생성된 광선(25,26)을 덮어가리게 된다. 이는 조명수단(13)의 광선(25,26)이 제1반사기(11)의 내부에 충돌하는 것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방지하게 됨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제2반사기(14)는 광선(25,26)을 분할하게 되어서, 광선들 중 한쪽 광선(25)이 제1반사기(11)에 충돌하여 낮은 콘트라스트를 가진 "부드러운" 그림자 또는 "부드러운" 빛을 생성하게 된다. 광선들 중 다른쪽 광선(26)은 제2반사기(14) 자체에 의해 반사되어 높은 콘트라스트를 가진 "선명한" 그림자 또는 "선명한" 빛을 생성한다.
제2반사기(14)는 아주 가변적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는데, 조명수단(13)이 제2반사기(14)로 완전히 둘러싸여 광선(25)이 외부의 제1반사기(11)에 측면으로 충 돌할 수 없는 위치에서, 조명수단(13)의 모든 광선(25)이 방해받지 않고 제1반사기(11)에 충돌할 수 있는 위치까지 있을 수 있다. 그 길이방향으로 즉 중심축(18)에 평행하게 초점유니트(22)를 위치시킴으로써, 반사된 광선(25)의 비율이 제1반사기(11)에 의해 변화될 수 있고, 광선(26)의 비율은 제2반사기(14)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제2반사기(14)가 제1반사기(11) 내부에 깊숙이 위치될수록, 즉 초점유니트(22)가 더욱 뒤로 이동될수록 제1반사기(11)에서 반사된 빛의 비율이 커지게 되는데, 그 결과 조명수단(13)에 의해 방사된 빛은 부드러운 조명느낌을 일으킨다. 한편, 초점유니트(22)가 최대로 이동해 나아가서 제2반사기(14)가 제1반사기(11)에 광선(25)이 충돌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하여 제2반사기(14)에 반사된 광선(26)만 방사되면, 선명하고 어두운 그림자가 목표물에 생성된다.
조명수단(13)의 영역에 있는 제2반사기(14)의 바람직한 구조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제2반사기(14)는 초점유니트(22)의 자유끝(15)에 설치되어, 조명수단(13)을 1/4 정도 둘러싸게 된다. 다시 말해서, 조명수단(13)의 약 3/4되는 부분이 제2반사기(14) 밖으로 돌출하여서, 광선의 대부분이 광선(25)과 같이 외부의 제1반사기(11)에 충돌할 수 있다. 하지만, 원하는 특성에 따라 조명수단(13)에 대한 제2반사기(14)의 임의의 다른 위치도 가능하다.
제2반사기(14)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2반사기(14)는 캐리어부재(12) 또는 초점유니트(22)에 있는 슬리이브(23)나 이와 유사한 것에 미끄럼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으로 초점유니트(22)의 위치선정과, 다른 한편으로 제2반사기(14)의 위치선정을 덧붙임으로써, 콘트라스트의 무제한적이고 무한히 가변적 인 조절가능성을 확보하게 된다. 좀 더 정확히 말하면, 반사장치(10)의 특성이 원하는 대로 조절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반사장치에 본질적으로 상응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반사장치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동일한 참조부호가 동일한 부재에 부여되어 있다. 그러나, 이 실시예는 추가로 반사장치가 다른 조명수단(20)을 갖추고 있다. 두 조명수단(13,20)은 캐리어부재(12) 또는 초점유니트(22)의 영역에서 하나가 다른 하나의 뒤에 배치되어 있는데, 자유끝(15)에서 시작하는 조명수단(20)은 조명수단(13)의 뒤에 위치된다. 이상적으로, 조명수단(13,20)은 하나가 다른 하나의 뒤에 일직선으로 정렬되어 있다. 제2반사기(14)는 앞쪽 조명수단(13)의 영역에 설치된다.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반사기(14)는 바람직한 구조에서 조명수단(13)을 완전히 둘러싸고 있다. 이는 조명수단(13)이 완전히 제2반사기(14)의 내부에 배치되어 그 밖으로 돌출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한편으로 제2반사기(14)를 조절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초점유니트(22)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원하는 구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제2반사기(14)에 의해 차폐된 앞쪽 조명수단(13)은 주로 선명한 그림자를 생성하도록 작용하는 반면, 조명수단(20)은 주로 부드러운 그림자를 생성하도록 작용한다.
두 조명수단(13,20)이 중심축(18)의 부근에 위치되고, 각각 별도의 전원(17,21)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기로, 두 조명수단(13,20)은 공통의 중심축(18)에 위치된다. 선택적으로, 두 조명수단(13,20)이 공통의 전원에 연결되고서 단지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별도의 제어 즉 스위치를 온(on) 또는 오프(off)시키는 것이라도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아주 가변적인 조명조건이 조절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한 실시예에서, 조명수단(13,20)은 서로로부터 벗어나 있어서, 중심축(18)은 평행하게 진행하되 서로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거나, 서로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 있을 수 있다. 또한, 반사기들(11,14)도 도시된 실시예의 대안으로 서로로부터 벗어나 있거나 서로에 대해 경사져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필터부재가 적어도 한쪽 조명수단(13,20)의 영역에 구비된다. 캐리어부재(12) 또는 초점유니트(22)의 자유끝(15)에는 조명수단(13)을 위해 여러 필터(27)를 위한 용기를 갖춘 보통의 플러그 접속식 필터(24)가 구비된다. 이 플러그 접속식 필터(24)는 제2반사기(14)의 영역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된다. 하나 또는 다중 필터(27)가 용기 내에 삽입되어, 광선(25,26)의 아주 다채로운 색상혼합이 선택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조명수단(20)도 통상의 원통형 필터(28)를 구비하여, 조명수단(20)의 광선(25)이 색상을 넣어 나타내어질 수 있다.

Claims (14)

  1. 제1반사기(11)와 이 제1반사기(11)의 내부에 배치된 제2반사기(14)를 구비하되, 이들 두 반사기(11,14)는 반사장치(10)의 영역에 그리고 그 중심축(18) 상에 배치되어 있음과 더불어, 중심축(18) 근처에 하나가 다른 하나의 뒤에 배치된 두 조명수단(13,20) 및, 적어도 하나의 조명수단(13,20)을 수용하는 캐리어부재(12)를 구비하는, 사진 및 영화분야에서 그림자를 조절하도록 된 반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부재(12)는 조명수단(13,20)을 위한 초점유니트(22)로 구성되어, 이 초점유니트(22)가 외부의 제1반사기(11)에 대해 반사기들(11,14)의 중심축(18)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제2반사기(14)는 초점유니트(22)에 있는 조명수단(13)의 영역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반사기(14)는 초점유니트(22)에서 중심축(18)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수단(13,20)은 초점유니트(22)를 갖춘 유니트로 되어 중심축(18)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수단(13)은 초점유니트(22)의 자유끝(15)에 설치되고, 상기 조명수단(20)은 그 뒤에 일직선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수단(13,20)은 중심축(18)에서 벗어나 있거나, 서로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조명수단(13,20)은 개별적으로 조절될 수 있어서, 광도 또는 명암도가 개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조명수단(13,20)은 별도의 전원(17,21)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명수단(13,20)의 영역에 필터부재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조명수단(13,20)은 필터(24,2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24,28)는 교환가능한 필터(27)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기들(11,14)은 중심축(18)에서 벗어나 있거나, 서로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장치.
KR1020057007953A 2002-11-06 2003-11-05 연속으로 배치된 조명수단을 구비한 반사장치 KR1009960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52283.9 2002-11-06
DE10252283A DE10252283B3 (de) 2002-11-06 2002-11-06 Reflektoranordn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4670A KR20050084670A (ko) 2005-08-26
KR100996010B1 true KR100996010B1 (ko) 2010-11-22

Family

ID=32308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7953A KR100996010B1 (ko) 2002-11-06 2003-11-05 연속으로 배치된 조명수단을 구비한 반사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234836B2 (ko)
EP (1) EP1567804B1 (ko)
JP (1) JP4275072B2 (ko)
KR (1) KR100996010B1 (ko)
AT (1) ATE326662T1 (ko)
AU (1) AU2003301828A1 (ko)
DE (2) DE10252283B3 (ko)
HK (1) HK1085260A1 (ko)
WO (1) WO2004042274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62394A (en) * 1917-03-03 1918-04-09 Lillie E Schickerling Vehicle-lamp.
US4757425A (en) * 1985-11-25 1988-07-12 The F. J. Westcott Co. Photographic light diffuser
US4729065A (en) * 1987-04-24 1988-03-01 Arriflex Corporation Photography light
JPH02288001A (ja) 1989-04-26 1990-11-28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ランプ装置
DE4023408A1 (de) * 1990-07-23 1992-01-30 Delma Elektro Med App Operationsleuchte
US5582479A (en) * 1995-03-01 1996-12-10 Eppi Lighting, Inc. Dual reflector high bay lighting system
DE19749181C2 (de) 1997-11-07 2003-08-14 Audi Ag Kraftfahrzeugscheinwerfer mit variierbarer Lichtstärkeverteilung
JP3986759B2 (ja) * 2001-01-16 2007-10-03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26340A1 (en) 2006-06-15
US7234836B2 (en) 2007-06-26
EP1567804A1 (de) 2005-08-31
KR20050084670A (ko) 2005-08-26
JP2006505899A (ja) 2006-02-16
JP4275072B2 (ja) 2009-06-10
WO2004042274A1 (de) 2004-05-21
AU2003301828A1 (en) 2004-06-07
DE50303401D1 (de) 2006-06-22
EP1567804B1 (de) 2006-05-17
HK1085260A1 (en) 2006-08-18
ATE326662T1 (de) 2006-06-15
DE10252283B3 (de) 2004-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40879B1 (en) Lamps and reflector arrangement for color mixing
US663477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near led lighting
EP2561274B1 (en) Background light effects led light fixture with light guided second light sources
US6079849A (en) Lighting device
US20090052189A1 (en) Led spotlight
US20050135106A1 (en) Fresnel lens spotlight with coupled variation of the spacing of lighting elements
JP2006269182A (ja) 照明装置及びスポットライト
US20050243544A1 (en) Light emitting diode (LED) flashlight
US6746133B2 (en) Luminaire
KR100996010B1 (ko) 연속으로 배치된 조명수단을 구비한 반사장치
US20050135096A1 (en) Fresnel spotlight
JP2006079991A (ja) Led式光源装置及びスポットライト
WO2005106323A1 (en) Variable colour lighting
US6520662B1 (en) Projector particularly for projecting light in infinite colors, with high-power beam
US11835223B2 (en) Luminaire for generating direct lighting and indirect lighting
CN217235495U (zh) 照明装置
CN110319375B (zh) 照明装置
JP2024037181A (ja) 間接照明のためのモジュラーシステム
CN118057073A (zh) 用于生成在远距离处的高可见度光束的灯具
JP2022181287A (ja) 照明器具
US5209557A (en) Photographic light
JP2021034250A (ja) 照明装置
JP2006260947A (ja) 固体発光式照明装置及びスポットライト
GB2151418A (en) An illuminator and circuit arrangement therefor
JP2005100723A (ja) Led式光源装置及びスポットライ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