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5866B1 - Apparatus for producing roller used in caterpilla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oducing roller used in caterpill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5866B1
KR100995866B1 KR1020100043351A KR20100043351A KR100995866B1 KR 100995866 B1 KR100995866 B1 KR 100995866B1 KR 1020100043351 A KR1020100043351 A KR 1020100043351A KR 20100043351 A KR20100043351 A KR 20100043351A KR 100995866 B1 KR100995866 B1 KR 100995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crawler
unit
stopper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33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류기승
차용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흥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흥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흥국
Priority to KR1020100043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586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5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58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3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balls; for ro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14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 F27B9/2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the charge moving in a substantially straight path tunnel furnace
    • F27B9/24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the charge moving in a substantially straight path tunnel furnace being carried by a conveyor
    • F27B9/2407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the charge moving in a substantially straight path tunnel furnace being carried by a conveyor the conveyor being constituted by rollers (roller hearth furn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3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9/36Arrangements of heating devices
    • F27B2009/3607Heaters located above the track of the char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unnel Furnaces (AREA)

Abstract

PURPOSE: A device for manufacturing a roller for an endless track is provided to easily perform a maintenance work by simplifying the structure of a transferring unit and to improve productivity by automatically performing a drawing process. CONSTITUTION: A device(100) for manufacturing a roller for an endless track is composed of a transferring unit(110), a transferring control unit(120), an inlet unit(140), and an outlet unit(180). Rollers(20) are placed on the transferring unit. The transferring unit comprises multiple conveyor rollers(113). The transferring control unit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rollers. The inlet unit is vertically moved and has a push rod(145). The push rod pushes the rollers to a heating unit(160). The outlet unit has an outlet rod. The outlet rod discharges the rollers to outside the heating unit.

Description

무한궤도용 롤러 제조장치 {APPARATUS FOR PRODUCING ROLLER USED IN CATERPILLAR}Crawler roller manufacturing equipment {APPARATUS FOR PRODUCING ROLLER USED IN CATERPILLAR}

본 발명은 무한궤도용 롤러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무한궤도용 롤러 자체의 무게에 의해 무한궤도용 롤러를 가열부 측으로 공급하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무한궤도용 롤러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wler roller manufacturing apparatus, more specifically for crawler tracks including a feeder for supplying the crawler roller to the heating part by the weight of the crawler roller itself without using a separate power It relates to a roller manufacturing apparatus.

굴삭기와 같은 무한궤도용 차량에는 무한궤도의 움직임을 지지하기 위해 다수의 롤러가 사용된다. 즉, 무한궤도의 상부를 지지하고 처짐을 방지하는 상부 롤러 또는 캐리어 롤러(carrier roller), 무한궤도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롤러 또는 트랙 롤러(track roller),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로켓(sprocket) 및 아이들러 휠(idler wheel)이 사용된다.In a crawler vehicle such as an excavator, a plurality of rollers are used to support the crawler movement. That is, an upper roller or carrier roller suppor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caterpillar and preventing sagging, a lower roller or track roller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caterpillar, a sprocket and an idler generating a driving force. An idler wheel is us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무한궤도형 차량 또는 중장비의 주행용 트랙구조는 트랙 프레임(10) 하측에 설치되어 주행시 장비의 고중량을 트랙을 통해 지면에 대해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4~7개로 형성된 하부 롤러(20, track roller), 트랙프레임(10) 상측에 설치되어 트랙의 처짐을 방지하며 원활한 주행을 유도하는 1개 또는 2개로 형성된 상부 롤러(30, carrier roller), 주행시 트랙을 지지하는 아이들러 휠(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 1, the track structure for driving a general tracked vehicle or heavy equipment is formed in the track frame 10 is formed of four to seven to uniformly distribute the heavy weight of the equipment to the ground through the track during driving One or two upper rollers (30, carrier roller) formed on the lower roller (20, track roller), the upper track frame 10 to prevent sagging of the track and induce smooth running, idler for supporting the track during driving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wheel 40.

여기서, 하부 롤러(20) 및 상부 롤러(30) 등에는 트랙의 하중이 걸리는 등 큰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높은 강도를 가져야 하며, 이를 위해서 열처리 등을 작업을 거치게 된다.Here, the lower roller 20, the upper roller 30, etc., because a large force is applied to the load of the track, etc. should have a high strength, for this purpose is subjected to heat treatment and the like.

열처리를 위해 우선 롤러(20,30) 등을 가열부로 공급해야 하는데, 작업의 효율을 높이고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컨베이어 벨트 타입의 이송부를 이용하여 롤러를 가열부로 공급한다. 이 때, 컨베이어 벨트 위에 놓여지는 롤러의 개수가 많고 롤러의 하중이 직접 컨베이어 벨트에 가해지는데, 이러한 하중을 이기고 다수의 롤러를 이송하기 위해서는 컨베이어 벨트에 별도의 동력을 공급해야 한다. 이로 인해, 종래의 경우는 컨베이어 벨트의 구동에 많은 전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For heat treatment, first, the rollers 20 and 30 should be supplied to the heating unit, and the rollers are supplied to the heating unit using a conveyor belt type transfer unit in order to increase work efficiency and increase productivity. At this time, the number of rollers placed on the conveyor belt is large and the load of the roller is directly applied to the conveyor belt. In order to overcome such a load and transfer a plurality of rollers, a separate power must be supplied to the conveyor belt. For this reason, the conventional case has a problem that a lot of power is consumed to drive the conveyor belt.

또한, 모든 롤러들이 동일한 열처리 특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일정한 공정 순서 또는 시간에 따라 롤러들이 가열부에 공급되어야 하는데, 종래의 경우는 컨베이어 벨트에서 가열부로 들어가는 롤러들이 균일하게 공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order for all the rollers to have the same heat treatment characteristics, the rollers must be supplied to the heating unit according to a certain process order or time. In the conventional case, rollers entering the heating unit from the conveyor belt are not uniformly supplied.

또한, 가열부에서 가열된 롤러들은 신속하게 수냉각부로 이동되어야 하는데, 종래의 경우에는 가열된 롤러를 가열부에서 수냉각부로 신속하게 이송하지 못하고 공기 중에서 일정 정도 냉각되어 열처리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rollers heated in the heating part should be moved to the water cooling part quickly. In the conventional case, the heated rollers are not quickly transferred from the heating part to the water cooling part, but are cooled to some extent in the air, thereby reducing the heat treatment efficiency. there was.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별도의 동력을 공급하지 않더라도 무한궤도용 롤러를 가열부 쪽으로 이송할 수 있는 이송부를 구비한 무한궤도용 롤러 제조장치를 제공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rawler roller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a transport unit capable of transporting the crawler roller toward the heating unit even without a separate power supp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무한궤도용 롤러를 가열부에 공급할 수 있는 무한궤도용 롤러 제조장치를 제공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rawler roller manufacturing apparatus that can supply the crawler roller to the heating unit at regular time intervals.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일정 수량 이상의 무한궤도용 롤러가 가열부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무한궤도용 롤러 제조장치를 제공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rawler roller manufacturing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crawler rollers to enter the heating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가열된 무한궤도용 롤러를 신속하게 가열부에서 인출시킬 수 있는 무한궤도용 롤러 제조장치를 제공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rawler roller manufacturing apparatus capable of quickly withdrawing the heated crawler roller from the heating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송되는 롤러의 자중을 이용하여 롤러를 이송하는 무한궤도용 롤러 제조장치를 제공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rawler roller manufacturing apparatus for transporting the roller by using the weight of the roller to be transported.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한궤도용 롤러 제조장치는, 무한궤도용 롤러가 놓이며, 상기 무한궤도용 롤러가 그 자중에 의해서 이송되도록 경사지게 배열된 다수개의 컨베이어 롤러들을 구비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출구 측에 제공되고, 서로 교대로 승강하는 제1스토퍼 및 제2스토퍼를 구비하여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상기 무한궤도용 롤러의 이송을 단속하는 이송 제어부; 상기 이송부와 마주 보도록 상기 이송 제어부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고, 상기 이송 제어부를 차례로 통과한 상기 무한궤도용 롤러를 상기 이송부에서 상기 무한궤도용 롤러를 가열하는 가열부 안으로 밀어 넣는 푸쉬 로드를 구비하는 인입부; 및 상기 인입부와 마주 보도록 상기 가열부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하 및 전후 ㅂ방향으로 움직이고, 상기 가열부에서 가열된 상기 무한궤도용 롤러를 상기 가열부 외부로 배출시키는 인출 로드를 구비하는 인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는 상기 가열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상기 컨베이어 롤러들이 배열될 수 있다.In the caterpillar roller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 caterpillar roller is placed, a plurality of conveyor rollers arranged inclined so that the caterpillar roller is transported by its own weight Transfer unit having a; A transfer control unit provided at an exit side of the transfer unit and having a first stopper and a second stopper alternately lifting up and down to intercept the transfer of the crawler roller transferred by the transfer unit; A push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ransfer control unit so as to face the transfer unit and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front-rear direction, and pushing the crawler roller passing through the transfer controller into the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crawler roller in the transfer unit. An inlet having a rod; And a drawing par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eating part so as to face the inlet part and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ront and rear ㅂ directions, and having a drawing rod for discharging the crawler roller heated in the heating part to the outside of the heating part. And the conveying roller may be arranged such that the conveying portion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heating portion.

상기와 같이 무한궤도용 롤러의 자중 즉 자체 무게에 의해 롤러를 가열부 쪽으로 이송하기 때문에 무한궤도용 롤러를 이송하는데 별도의 동력이 필요 없으며 제작 과정에 소요되는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인입부의 푸쉬 로드가 상하로 움직이기 때문에 푸쉬 로드에 의해 무한궤도용 롤러의 이송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전후로 움직이기 때문에 무한궤도용 롤러를 가열부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rollers are transferred to the heating unit by the weight of the crawler rollers, that is, their own weight, no extra power is required to transport the crawler rollers, thereby reducing the power required for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addition, since the push rod of the inlet portion moves up and down, the feed rod of the crawler roll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sturbed by the push rod, and the roller of the crawler roller can be fed into the heating portion because it moves back and forth.

삭제delete

상기 이송 제어부는 상기 무한궤도용 롤러의 이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공되는 제1제어부 및 제2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제어부 및 상기 제2제어부는 각각 상기 무한궤도용 롤러의 이송을 단속하는 제1스토퍼 및 제2스토퍼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교대로 작동하는 적어도 2개의 제어부 또는 스토퍼를 구비함으로써, 가열부에 공급되는 무한궤도용 롤러들이 일정한 수량 공급되게 제어할 수 있으며 일정 수량을 초과하는 무한궤도용 롤러가 가열부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transfer control unit includes a first control unit and a second control unit provid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transfer direction of the crawler roller, wherein the first control unit and the second control unit intermittently feed the crawler rollers. A first stopper and a second stopper may be provided. By providing at least two control parts or stoppers alternately operating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crawler rollers supplied to the heating unit to be supplied in a constant quantity and to prevent the crawler rollers exceeding the predetermined quantity from being supplied to the heater. can do.

상기 제1스토퍼 및 상기 제2스토퍼가 모두 하강하고 상기 제1스토퍼와 상기 제2스토퍼 사이에 상기 무한궤도용 롤러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가열부와 근접한 상기 스토퍼가 먼저 상승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가열부와 가까이에 위치하는 무한궤도용 롤러부터 순차적으로 가열부로 공급될 수 있다.The stopper close to the heating part may first rise in a state where both the first stopper and the second stopper are lowered and the roller having a crawler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stopper and the second stopper. For this reason, it can be supplied to a heating part sequentially from the crawler roller located near the heating part.

상기 제1제어부 또는 상기 제2제어부의 일측에는 상기 제1스토퍼 상기 제2스토퍼 사이에 상기 무한궤도용 롤러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스토퍼 사이에 위치하는 무한궤도용 롤러에 유무에 따라 제1스토퍼 또는 제2스토퍼를 교대로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One side of the first control unit or the second control unit may be provided with a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re is a roller for the crawler between the first stopper and the second stopper. As a result, the first stopper or the second stopper can be raised or lowered alternately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crawler roller positioned between the stoppers is present.

상기 푸쉬 로드에는 상기 무한궤도용 롤러와 접촉하는 푸쉬 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푸쉬 부재에는 상기 무한궤도용 롤러가 상기 푸쉬 부재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푸쉬 부재가 무한궤도용 롤러를 감싸는 상태로 가열부에 무한궤도용 롤러를 공급할 수 있다.The push rod may be provided with a push member in contact with the crawler roller, and the push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 departure preventing portion for preventing the crawler roller from escaping from the push member. For this reason, the crawler roller can be supplied to a heating part in a state in which the push member surrounds the crawler roller.

삭제delete

또한, 상기 인입부의 후방 끝단 바닥면에는 상기 무한궤도용 롤러가 상기 인입부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ar end bottom surface of the inlet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crawler roller is present in the inlet portion.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무한궤도용 롤러가 놓이며, 상기 무한궤도용 롤러가 그 자중에 의해 이송되도록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도록 배열된 다수의 컨베이어 롤러들을 구비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출구 측에 제공되고, 서로 교대로 승강하는 제1스토퍼 및 제2스토퍼를 구비하여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상기 무한궤도용 롤러의 이송을 단속하는 이송 제어부; 상기 이송부와 마주 보도록 상기 이송 제어부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고, 상기 이송 제어부를 차례로 통과한 상기 무한궤도용 롤러를 상기 이송부에서 상기 무한궤도용 롤러를 가열하는 가열부 안으로 밀어 넣는 푸쉬 로드를 구비하는 인입부; 및 상기 인입부와 마주 보도록 상기 가열부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하 및 전후 ㅂ방향으로 움직이고, 상기 가열부에서 가열된 상기 무한궤도용 롤러를 상기 가열부 외부로 배출시키는 인출 로드를 구비하는 인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2개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각각의 영역에서 상기 무한궤도용 롤러가 이송되는, 무한궤도용 롤러 제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rawler roller is placed, a plurality of conveyor rollers arranged to have different heights so that the crawler roller is transported by its own weight Transfer unit provided; A transfer control unit provided at an exit side of the transfer unit and having a first stopper and a second stopper alternately lifting up and down to intercept the transfer of the crawler roller transferred by the transfer unit; A push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ransfer control unit so as to face the transfer unit and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front-rear direction, and pushing the crawler roller passing through the transfer controller into the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crawler roller in the transfer unit. An inlet having a rod; And a drawing par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eating part so as to face the inlet part and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ront and rear ㅂ directions, and having a drawing rod for discharging the crawler roller heated in the heating part to the outside of the heating part. It includes, the conveying portion may be divided into at least two area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rawler roller manufacturing apparatus, wherein the crawler rollers are transported in each area.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 이송부의 길이 방향 양측에는 상기 무한궤도용 롤러가 상기 이송부의 길이 방향 가운데 부분을 따라 이송되도록 상기 무한궤도용 롤러를 안내하는 롤러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Roller guide parts for guiding the crawler rollers may b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conveyance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crawler roller is transported along the middle portion of the convey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이송부의 가운데 부분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이송부를 구획하는 가이드 격벽이 형성되며, 상기 롤러 가이드부는 상기 무한궤도용 롤러가 상기 가이드 격벽을 따라 이송되게 안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한궤도용 롤러가 이송부의 가운데 부분을 따라 이송됨으로써 인입부와 무한궤도용 롤러가 정확한 위치에서 만날 수 있다.A guide partition wall may be formed at a center portion of the conveyance part to partition the conveyance part along a length direction, and the roller guide part may guide the roller for the crawler to be transported along the guide partition wall. As such, the crawler roller is transported along the center portion of the transporter, whereby the lead portion and the crawler roller can meet at the correct position.

상기 무한궤도용 롤러와 접촉하는 상기 롤러 가이드부의 일측단에는 상기 무한궤도용 롤러가 상기 가이드 격벽을 따라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절곡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절곡부재를 형성함으로써, 무한궤도용 롤러의 외면과 가이드부의 접촉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안정적인 이송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 bending member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roller guide part in contact with the crawler roller to guide the crawler roller along the guide partition wall. By forming the bending member,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secur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crawler roller and the guide portion, and maintain a stable conveying state.

삭제delete

상기 절곡부재와 상기 가이드 격벽 사이의 거리는 상기 이송부의 전방을 향하여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bending member and the guide partition wall may be formed to be smaller toward the front of the transfer unit.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한궤도용 롤러 제조장치는 별도의 동력 없이 이송되는 무한궤도용 롤러의 자체 무게를 이용하기 때문에 소요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고 생산 비용을 줄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rawler roller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and production costs because it uses its own weight of the crawler roller transported without a separate power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한궤도용 롤러 제조장치는 복수개의 컨베이어 롤러를 아이들 상태로 설치하기 때문에 이송부의 구조가 단순하고 유지 보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The crawler roller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stall a plurality of conveyor rollers in an idle state, thereby simplifying the structure of the conveying unit and improving maintenance convenien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한궤도용 롤러 제조장치는 이송부와 가열부 사이에 설치된 적어도 2개의 스토퍼를 사용하여 가열부로 공급되는 무한궤도용 롤러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무한궤도용 롤러를 가열부에 공급할 수 있고, 일정 수량 이상의 무한궤도용 롤러가 가열부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rawler roller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at least two stoppers installed between the transfer part and the heating part to adjust the number of the crawler rollers supplied to the heating part, and thus for the crawler at regular time intervals. The roller can be supplied to the heating unit,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ollers for crawlers having a predetermined quantity or more from entering the heating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한궤도용 롤러 제조장치는 가열부에서 가열된 무한궤도용 롤러가 공기 접촉하는 시간을 최대한 줄여 열처리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rawler roller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vented from reducing the heat treatment performance by reducing the time that the crawler roller heated in the heating portion in air contact as possib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한궤도용 롤러 제조장치는 가열부로 무한궤도용 롤러를 공급하는 것에서부터 가열부에서 가열된 롤러를 인출하는 공정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작업자의 신체 상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 crawler roller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productivity because it can automatically perform the process of drawing the roller heated in the heating unit from supplying the crawler roller to the heating unit. Can prevent physical injury.

도 1은 일반적인 무한궤도 차량의 주행용 트랙을 도시한 일부 발췌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한궤도용 롤러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따른 제조장치의 공급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따른 공급부의 롤러 가이드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따른 제조장치의 이송 제어부를 도시한 전면 사시도,
도 6은 도 2에 따른 제조장치의 이송 제어부를 도시한 후면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도 2에 따른 제조장치의 인입부의 작동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7에 따른 인입부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10 및 도 11은 도 2에 따른 제조장치의 인출부의 작동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artial excerpt diagram showing a driving track of a typical crawler vehicle,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crawler 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a supply unit of th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oller guide part of a supply part according to FIG. 3;
5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ansfer control unit of th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FIG. 2;
6 is a rear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ransfer control unit of th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FIG. 2;
7 and 8 are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inlet portion of th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FIG.
9 is a plan view showing a part of the lead-in portion according to FIG.
10 and 11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lead portion of th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FIG.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한궤도용 롤러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따른 제조장치의 공급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따른 공급부의 롤러 가이드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crawler 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 supply unit of th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FIG. 2, and FIG. 4 is a roller of the supply unit according to FIG.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guide part.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한궤도용 롤러 제조장치(100)는 무한궤도용 롤러(20)가 놓여지는 다수의 컨베이어 롤러들(113)을 구비하며 무한궤도용 롤러(20)의 자중에 의해 무한궤도용 롤러(20)를 이송하는 이송부(110), 이송부(110) 상에 제공되며 이송부(110)에 놓인 무한궤도용 롤러(20)의 이송을 단속(斷續)하는 이송 제어부(120), 이송부(110)에 의해 이송된 무한궤도용 롤러(20)를 가열하는 가열부(160), 이송 제어부(120)와 가열부(160) 사이에 제공되며 이송부(110)를 통과한 무한궤도용 롤러(20)를 가열부(160)로 공급하는 인입부(140) 및 가열부(160)의 전방에 제공되며 가열부(160)에서 가열부(160)의 전방으로 무한궤도용 롤러(20)를 인출하는 인출부(180)를 포함한다.2, the crawler roller manufactu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conveyor rollers 113 on which the crawler roller 20 is placed, the crawler roller ( The transfer part 110 which transfers the crawler roller 20 by the weight of 20) is provided on the transfer part 110, and the transfer of the crawler roller 20 which is provided on the transfer part 110 is interrupted. The transfer control unit 120, the heating unit 160 for heating the crawler roller 20 transported by the transfer unit 110, is provided between the transfer control unit 120 and the heating unit 160 and the transfer unit 110 It is provided in front of the inlet portion 140 and the heating portion 160 for supplying the crawler roller 20 for passing through the heating portion 160, and infinitely in front of the heating portion 160 in the heating portion 160. And a lead-out part 180 for pulling out the raceway roller 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한궤도용 롤러 제조장치(100)는 하부 롤러(20) 및 상부 롤러(30)의 제조에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부 롤러(20)를 제조하는 장치에 대해서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호칭은 무한궤도용 롤러(20)라고 한다.The crawler roller manufactu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the manufacture of both the lower roller 20 and the upper roller 30, the lower roller 20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elow. The apparatus to manufacture is demonstrated to an example. In addition, the name is called a crawler roller 20.

단조 과정을 거쳐 형성된 무한궤도용 롤러(20)는 도시된 롤러(20)를 서로 용접하기 전에 강도를 높이기 위해 열처리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무한궤도용 롤러(20)를 가열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110)를 거쳐 공급된 롤러(20)는 가열부(160)에서 일정한 온도로 일정 시간 동안 가열된다. 가열부(160)는 다수의 무한궤도용 롤러(20)를 연속적으로 가열할 수 있는 로(furnace)의 일종으로 대략 육면체 형상을 하며, 내면에는 다수개의 내화 벽돌(미도시)이 제공될 수 있다. The crawler roller 20 formed through the forging process must undergo a heat treatment process to increase the strength before welding the illustrated rollers 20 to each other. To this end, first, the process of heating the crawler roller 20 has to go through. As shown in FIG. 2, the roller 20 supplied through the transfer unit 110 is heated at a constant temperature in the heating unit 160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heating unit 160 is a kind of furnace capable of continuously heating a plurality of crawler rollers 20 and has a substantially hexahedron shape, and a plurality of fire bricks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thereof. .

또한, 내화 벽돌의 표면에는 발열을 위한 다수개의 히터(H)들이 상하로 일정하게 배치될 수 있다. 히터(H)들의 하부에는 무한궤도용 롤러(20)들을 이동시키기 위한 컨베이어 벨트(CB)가 제공되며, 컨베이어 벨트(CB)는 내열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CB)는 다수개의 벨트 롤러(BR)들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으며, 컨베이어 벨트(CB) 양단의 풀리(미도시)는 모터(M)와 체인(C)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모터(M)의 구동력이 컨베이어 벨트(CB)로 연결되고, 다수개의 벨트 롤러(BR)들을 구비하여 컨베이어 벨트(CB)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가열부(160)의 전방 및 후방에는 도어(162,164) 및 도어(162,164)의 개폐를 위한 유압 실린더(161,163)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heaters (H) for heat generation may be regularly arranged on the surface of the refractory brick. The lower portion of the heaters (H) is provided with a conveyor belt (CB) for moving the crawler rollers 20, the conveyor belt (CB) may be formed of a high heat resistance material. The conveyor belt CB may be supported by a plurality of belt rollers BR, and pulleys (not shown) at both ends of the conveyor belt CB may be connected to the motor M and the chain C. Due to this configuration,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M is connected to the conveyor belt (CB),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lurality of belt rollers BR to prevent sagging of the conveyor belt (CB). On the other hand, the front and rear of the heating unit 160 may be formed with the hydraulic cylinders (161,16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s (162, 164) and the doors (162, 164).

이송부(110)는 컨베이어 지지대(111)의 상부에 나란하게 배열된 다수개의 컨베이어 롤러(11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다수개의 컨베이어 롤러(113)들은 가열부(160)를 향하여 하향(下向) 경사(傾斜)지도록 배열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컨베이어 롤러(113)의 후단부의 높이(H1)가 전단부의 높이(H2) 보다 크다. 컨베이어 롤러(113)들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도록 연속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The conveying unit 110 includes a plurality of conveyor rollers 113 arranged side by side on the conveyor support 111, the plurality of conveyor rollers 113 downward toward the heating unit 160. It may be arranged to be inclined. Referring to FIG. 3, the height H1 of the rear end of the conveyor roller 113 is greater than the height H2 of the front end. The conveyor rollers 113 may be arranged continuously to have different heights.

또한, 이송부(110)의 컨베이어 롤러(113)들은 외부 동력에 의해 강제 구동되는 것이 아니며, 아이들(idle) 상태이다. 따라서, 무한궤도용 롤러(20)를 이송부(110)의 후단 쪽 컨베이어 롤러(113) 위에 놓으면, 무한궤도용 롤러(20)들의 자중 즉, 그 자체의 무게에 의해 이송부(110)의 전단 쪽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와 같이 무한궤도용 롤러(20)의 자중 즉 자체 무게에 의해 롤러(20)를 가열부(160) 쪽으로 이송하기 때문에 무한궤도용 롤러(20)를 이송하는데 별도의 동력이 필요 없으며 제작 과정에 소요되는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veyor rollers 113 of the transfer unit 110 are not forcibly driven by external power and are in an idle state. Therefore, when the crawler roller 20 is placed on the conveyor roller 113 at the rear end of the transporter 110, the crawler roller 20 moves toward the front end of the transporter 110 by its own weight, that is, its own weight. do. As such, since the roller 20 is transferred toward the heating unit 160 by the own weight of the crawler roller 20, that is, its own weight, a separate power is not required to transport the crawler roller 20 and is required for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save power.

다시 설명하면, 이송부(110)는 별도의 동력 없이 무한궤도용 롤러(20)에 가해지는 중력을 이용하여 무한궤도용 롤러(20)를 가열부(160) 쪽으로 이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송부(110)가 별도의 외부 동력을 소모하지 않기 때문에 제조 장치(100)의 작동에 소요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고, 이송부(110)의 구성이 단순하기 때문에 이송부(110)의 유지 보수에 들어가는 시간 및 노력을 줄일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transfer unit 110 may transfer the crawler roller 20 toward the heating unit 160 by using gravity applied to the crawler roller 20 without additional power. In this way, since the transfer unit 110 does not consume separate external power,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manufacturing apparatus 100 can be reduced, and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transfer unit 110 is simple, maintenance of the transfer unit 110 is required. You can save time and effort.

한편, 가열부(160)는 일정 온도에서 일정 시간 동안 무한궤도용 롤러(20)를 가열해야 하는데, 가열부(160)의 내부로 공급되는 롤러(20)가 일정한 패턴으로 공급되지 않으면 열처리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가열부(160)의 컨베이어 벨트(CB)는 일정한 속도로 구동되기 때문에 벨트(CB)에 의해서 이동되는 롤러(20) 역시 일정한 시간 동안 가열될 수 있다. 이 때, 가열부(160) 내부로 들어 오는 모든 무한궤도용 롤러(20)를 균일하게 가열하기 위해서는 모든 롤러(20)들이 동일한 시간 동안 가열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이웃하는 롤러(20)와의 간격이 항상 일정해야 한다. 이를 위해, 인입부(140)는 일정한 시간 마다 무한궤도용 롤러(20)를 가열부(160) 안으로 공급해야 하며, 이송부(110)에서 인입부(140)로 이동되는 롤러(20)의 이송상태를 제어해야 한다. 이를 위해 이송 제어부(120)가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110)는 이송되는 무한궤도용 롤러(20)들의 자중을 이용하여 롤러(20)를 이송하기 때문에 무한궤도용 롤러(20)들이 서로 밀착한 상태로 이송될 수 있다. 따라서, 이송부(110)의 출구 측(즉, 인입부와 연결되는 부분)에서 롤러(20)가 차례로 배출되도록 조절하지 않으면 다수개의 롤러(20)들이 서로 밀착한 상태로 배출될 것이고, 이로 인해 인입부(140)에도 많은 롤러(20)들이 서로 밀착된 상태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런 경우, 가열부(160) 내부로 공급되는 롤러(20)들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할 수도 있고, 인입부(140) 일정한 시간마다 롤러(20)를 가열부(160)에 밀어 넣지 못할 수도 있으며, 이는 결국 열처리 불량으로 이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eating unit 160 has to heat the crawler roller 20 for a predetermined time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f the roller 20 supplied into the heating unit 160 is not suppli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is poor heat treatment May occur. In addition, since the conveyor belt CB of the heating unit 160 is driven at a constant speed, the roller 20 moved by the belt CB may also be he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At this time, in order to uniformly heat all the crawler rollers 20 coming into the heating unit 160, all the rollers 20 should be heated for the same time, and for this purpose, the distance between the neighboring rollers 20 It must always be constant. To this end, the inlet 140 must supply the crawler roller 20 into the heating unit 160 at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conveying state of the roller 20 moved from the conveyer 110 to the inlet 140. Must be controlled. For this purpose, the transfer control unit 120 may be necessary. Since the transfer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fers the rollers 20 using the weights of the crawler rollers 20 to be transported, the crawler rollers 20 may be transport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Can be. Therefore, if the roller 20 is not adjusted to be sequentially discharged from the outlet side (that is, the portion connected with the inlet) of the conveying unit 110, the plurality of rollers 20 will be discharg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by pulling in Many rollers 20 may also flow into the portion 140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is case, the intervals of the rollers 20 supplied into the heating unit 160 may not be kept constant, and the inlet unit 140 may not push the roller 20 into the heating unit 160 at a predetermined time. This may, in turn, lead to poor heat treatment.

이를 위해 이송부(110)의 출구 측에 이송 제어부(120)를 설치할 수 있다. 이송 제어부(120)는 서로 교대로 작동하는 제1스토퍼(123) 및 제2스토퍼(128)를 포함하고 프레임(125,130) 및 스토퍼 실린더(121,12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스토퍼(123)와 제2스토퍼(128) 사이에는 스토퍼의 교차 작동을 위한 센서(131)가 구비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transfer control unit 120 may be installed on the outlet side of the transfer unit 110. The transfer control unit 120 may include a first stopper 123 and a second stopper 128 that alternately operate with each other, and may include frames 125 and 130 and stopper cylinders 121 and 126. In addition, a sensor 131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stopper 123 and the second stopper 128 for the crossover operation of the stopper.

이송 제어부(120)에 의해서 이송이 제어된 무한궤도용 롤러(20)는 인입부(140)에 의해서 가열부(160)의 내부로 강제 유입될 수 있다. 인입부(140)는 지지프레임(150), 지지프레임(150)에 장착되는 수직실린더(141) 및 수평실린더(142), 수직실린더(141)에 의해 상하로 작동하는 피스톤(143), 피스톤(143)에 수직으로 연결된 푸쉬 로드(145) 및 푸쉬 로드(145)의 일단에 형성되어 무한궤도용 롤러(20)와 접촉하는 푸쉬 부재(146)를 포함할 수 있다. 푸쉬 부재(146)의 하부에는 무한궤도용 롤러(20)를 이송하는 그물 모양의 컨베이어 벨트(156)가 구비되며, 그물 모양 컨베이어 벨트(156) 양단에는 롤러(20)의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133,136)가 설치될 수 있다.The crawler roller 20 controlled by the transfer control unit 120 may be forced into the heating unit 160 by the inlet unit 140. The inlet portion 140 may include a support frame 150, a vertical cylinder 141 and a horizontal cylinder 142 mounted on the support frame 150, a piston 143 and a piston operated vertically by the vertical cylinder 141. The push rod 145 vertically connected to the 143 and the push member 146 formed at one end of the push rod 145 may contact the crawler roller 20. The lower portion of the push member 146 is provided with a mesh-shaped conveyor belt 156 for transporting the crawler roller 20, a sensor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the roller 20 on both ends of the mesh-shaped conveyor belt 156 ( 133 and 136 may be installed.

한편, 가열부(160)에서 배출된 롤러(20)는 인출부(180)에 의해서 신속하게 열처리부(미도시)로 공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출부(180)는 프레임(190), 프레임(190)에 수직으로 설치된 실린더(181), 실린더(181)에 연결되어 상하로 움직이는 피스톤(182), 피스톤(182)의 일단에 수평으로 연결된 인출로드(183), 인출로드(183)의 일단에 장착된 인출부재(18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실린더(181)는 구동 모터(185) 및 이에 연결된 볼스크류(186)에 의해 신속하게 전후 방향으로 인출로드(183) 및 인출부재(184)를 움직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oller 20 discharged from the heating unit 160 may be quickly supplied to the heat treatment unit (not shown) by the withdrawal unit 180. To this end, the lead unit 180 is connected to the frame 190, the cylinder 181 vertically installed on the frame 190, the piston 182 moving up and down connected to the cylinder 181, horizontal to one end of the piston 182 It may include a withdrawal rod 183 connected to, the withdrawal member 184 mounted on one end of the withdrawal rod (183). At this time, the cylinder 181 may move the withdrawal rod 183 and the withdrawal member 184 quickly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by the drive motor 185 and the ball screw 186 connected thereto.

도면 부호 153은 그물 모양의 컨베이어 벨트(156)와 가열부(160)의 컨베이어 벨트(CB)를 연결하는 브릿지이다.Reference numeral 153 denotes a bridge connecting the mesh conveyor belt 156 and the conveyor belt CB of the heating unit 160.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이송부(110), 이송 제어부(120), 인입부(140) 및 인출부(180)에 대해서 보다 자세히 살펴 본다.Hereinafter, the transfer unit 110, the transfer control unit 120, the introduction unit 140, and the extraction unit 18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110)는 복수개의 컨베이어 롤러(113)들이 컨베이어 지지대(111)에 설치되며, 컨베이어 롤러(113)는 그 길이 방향이 무한궤도용 롤러(20)의 이송 방향과 교차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이송부(110)의 길이 방향 양측에는 무한궤도용 롤러(20)가 이송부(110)의 길이 방향 가운데 부분을 따라 이송되도록 무한궤도용 롤러(20)를 안내하는 롤러 가이드부(190)가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conveying unit 110 includes a plurality of conveyor rollers 113 installed on the conveyor support 111, and the conveyor roller 113 has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crawler roller 20. It is installed to intersect with. Here, the roller guide portion 190 for guiding the crawler roller 20 so that the crawler roller 20 is transported along the center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porter 110 is provided at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porter 110. Can be.

도 3을 참조하면, 이송부(110)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2개의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으며, 영역 구획을 위해 이송부(110)의 길이 방향 가운데 부분에는 가이드 격벽(112)이 형성될 수 있다. 컨베이어 롤러(113)의 회전축(114)의 일단이 가이드 격벽(112)에 삽입되게 형성함으로써 컨베이어 롤러(113)가 회전 가능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무한궤도용 롤러(20)들은 가이드 격벽(112)에 그 외면의 일부가 접촉한 상태로 이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인입부(140)의 푸쉬 부재(146)와 롤러(20)가 정확한 위치에서 서로 만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송부(110)에 놓인 롤러(20)들이 가이드 격벽(112)이 있는 이송부(110)의 가운데 부분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이송부(110)의 양단 가장 자리에는 롤러 가이드부(19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가이드부(190)와 가이드 격벽(112) 사이의 거리가 이송부(110)의 전방 출구 쪽을 향하여 점점 작아지기 때문에 롤러(20)는 롤러 가이드부(190)에 의해 자연히 가이드 격벽(112) 쪽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한궤도용 롤러(20)가 이송부(110)의 가운데 부분에 형성된 가이드 격벽(112)을 따라 이송됨으로써 인입부(140)와 무한궤도용 롤러(20)가 정확한 위치에서 만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transfer unit 110 may be divided into at least two regions along its length direction, and a guide partition wall 112 may be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transfer unit 1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fer unit 110 to divide the region. . One end of the rotating shaft 114 of the conveyor roller 113 is inserted into the guide partition wall 112 so that the conveyor roller 113 can maintain a rotatable state. Meanwhile, the crawler rollers 20 are preferably transported in a state where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rawler rollers 20 is in contact with the guide partition wall 112. Thus, the push member 146 and the roller 20 of the lead portion 140 can meet each other at the correct position. As such, the roller guides 190 may b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transfer unit 110 so that the rollers 20 placed on the transfer unit 110 move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transfer unit 110 having the guide partition wall 112. Can be. As shown in FIG. 3,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roller guide portion 190 and the guide partition wall 112 becomes smaller toward the front exit side of the conveying portion 110, the roller 20 is connected to the roller guide portion 190. It can be naturally guided toward the guide partition wall (112). As such, the crawler roller 20 is transported along the guide partition wall 112 form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transporter 110, whereby the inlet 140 and the crawler roller 20 may meet at the correct position.

한편, 롤러 가이드부(190)는 무한궤도용 롤러(20)의 외경 크기에 따라 위치 변경이 가능하도록 이송부(1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외경 또는 크기에 무관하게 무한궤도용 롤러(20)가 이송부(110)의 가운데 부분 또는 가이드 격벽(112)을 따라 이송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롤러 가이드부(190)는 무한궤도용 롤러(20)의 크기에 따라 실선과 같이 위치하거나 점선과 같이 위치할 수 있다. 롤러 가이드부(190)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고정할 때 장착 레버(117,118)를 이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oller guide part 190 may be installed in the conveying part 110 to change the position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outer diameter of the crawler roller 20. Accordingly, the crawler roller 20 may be transported along the center portion of the transfer part 110 or the guide partition wall 112 regardless of the outer diameter or size. Referring to FIG. 3, the roller guide unit 190 may be positioned like a solid line or a dotted lin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rawler roller 20. The mounting levers 117 and 118 may be used when changing 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roller guide part 190.

도 4를 참조하여 롤러 가이드부(190)에 대해 보다 자세히 살펴 본다. 도 4를 참조하면, 롤러 가이드부(190)의 일측단에는 이송부(110)의 가이드 격벽(112)과 나란하게 형성된 절곡부재(19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절곡부재(193)를 구비함으로써, 무한궤도용 롤러(20)의 외면과 롤러 가이드부(190)의 접촉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절곡부재(193)와 가이드 격벽(112) 사이의 거리는 이송부(110)의 전방을 향하여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4 looks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roller guide portion 190. Referring to FIG. 4, one side end of the roller guide unit 190 may include a bending member 193 formed in parallel with the guide partition wall 112 of the transfer unit 110. By providing such a bending member 193,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crawler roller 20 and the roller guide portion 190 can be sufficiently secured. 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bending member 193 and the guide partition wall 112 may be formed to be smaller toward the front of the transfer unit (110).

한편, 절곡부재(193)의 전방단에는 가이드 격벽(112)과 나란하게 제공되는 보조 가이드(197)가 형성될 수 있다. 보조 가이드(197)는 절곡부재(193)를 벗어난 무한궤도용 롤러(20)가 가이드 격벽(112)과 계속 접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안내해 주는 부재로서, 절곡부재(193)의 끝단에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절곡부재(193)의 끝단에는 체결공(195)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도록 보조 가이드(197)에는 장공(198a,198b)이 형성되며, 체결부재(199a,199b)가 체결공(195) 및 장공(198a,198b)을 통과하면서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장공(198a,198b)은 일정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거나 복수개로 형성되어, 롤러 가이드부(190)에서의 위치 또는 길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Meanwhile, an auxiliary guide 197 may be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bending member 193 to be parallel to the guide partition wall 112. The auxiliary guide 197 is a member for guiding the roller 20 for crawling out of the bending member 193 to keep in contact with the guide partition wall 112 and adjusting the length at the end of the bending member 193. This can be installed to enable. To this end, a fastening hole 195 is formed at the end of the bending member 193 and long holes 198a and 198b are formed in the auxiliary guide 197 so as to correspond thereto, and the fastening members 199a and 199b are fastening holes 195. And may be fastened to each other while passing through the long holes 198a and 198b. Here, the long holes (198a, 198b)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or formed in plurality, it is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position or length in the roller guide portion 190.

또한, 롤러 가이드부(190)에는 이송부(110)의 컨베이어 지지대(111)에 가이드부(190)를 고정하기 위한 장착공(191,192)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중 가이드부(190)의 앞쪽 부분에 형성된 장착공(191)은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슬롯 또는 장공 형태로 형성되는데, 이로 인해 이송부(110) 상에서 롤러 가이드부(190)의 상대 위치를 가변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부(190)의 후방 쪽에 형성된 장착공(192)을 기준으로 롤러 가이드부(190)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ller guide portion 190 may be provided with mounting holes (191,192) for fixing the guide portion 190 to the conveyor support 111 of the transfer unit (110). Of these, the mounting hole 191 form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190 is formed in the form of a slot or a long hol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hereby chang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roller guide portion 190 on the conveying portion (110). have. 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roller guide unit 190 may be varied based on the mounting hole 192 formed at the rear side of the guide unit 190.

한편, 컨베이어 롤러(113)들은 무동력 상태로 작동하는 피동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컨베이어 롤러(113)들 중 일부는 동력 없이 무한궤도용 롤러(20)에 의해 아이들(idle) 상태로 작동하는 피동 롤러로 구성될 수 있고, 일부는 별도의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 롤러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conveyor rollers 113 may include driven rollers that operate in a non-powered state. That is, some of the conveyor rollers 113 may be configured as driven rollers operated in an idle state by the crawler roller 20 without power, and some may be in the form of driving rollers for supplying separate power. It may be configured.

도 5는 도 2에 따른 제조장치의 이송 제어부를 도시한 전면 사시도, 도 6은 도 2에 따른 제조장치의 이송 제어부를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5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ansfer control unit of th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FIG. 2, and FIG. 6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ansfer control unit of th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FIG.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이송 제어부(120)는 이송부(110)의 롤러 컨베이어(113) 상에 위치하도록 컨베이어 지지대(111)에 설치 고정될 수 있다. 5 and 6, the transfer control unit 120 may be fixed to the conveyor support 111 to be positioned on the roller conveyor 113 of the transfer unit 110.

이송 제어부(120)는 무한궤도용 롤러(20)의 이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공되는 제1제어부 및 제2제어부를 포함하며, 제1제어부 및 상기 제2제어부는 각각 무한궤도용 롤러(20)의 이송을 단속하는 제1스토퍼(123) 및 제2스토퍼(128)를 구비하며, 제1 및 제2스토퍼(123,128)는 각각 제1프레임(125) 및 제2프레임(13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스토퍼(123,128)는 제1 및 제2프레임(125,130)에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데, 이를 위해 제1 및 제2프레임(125,130)에는 각각 제1 및 제2 스토퍼실린더(121,126)가 설치될 수 있다. The feed control unit 120 includes a first control unit and a second control unit provid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eed direction of the crawler roller 20, and the first control unit and the second control unit each use the crawler roller 20. And a first stopper 123 and a second stopper 128 for interfering with the transfer of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123 and 128 to be installed in the first frame 125 and the second frame 130, respectively. Can be.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123 and 128 move up and down in the first and second frames 125 and 130. For this purpose,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cylinders 121 and 126 are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first and second frames 125 and 130, respectively. Can be installed.

제1 및 제2스토퍼실린더(121,126)와 제1 및 제2스토퍼(123,128) 사이에는 각각 스토퍼 피스톤(122,128)이 각각 형성되며, 피스톤(122,128)은 실린더(121,126)에 공급된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피스톤(122,128)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피스톤(122,128)의 승강 운동을 보조하는 가이드 로드(124a)가 설치되고, 프레임(125,130)에는 가이드 로드(124a)의 미끄럼 운동을 위한 가이드 하우징(124b)이 제공될 수 있다.Stopper pistons 122 and 128 are respectively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topper cylinders 121 and 126 and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123 and 128, respectively, and the pistons 122 and 128 are form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supplied to the cylinders 121 and 126, respectively. Can move up and down. Guide rods 124a are provid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pistons 122 and 128 to assist the lifting movements of the pistons 122 and 128, and the guides 124b for sliding the guide rods 124a are provided on the frames 125 and 130. Can be.

한편, 제1 및 제2스토퍼(123,128)에는 무한궤도용 롤러(20)와 스토퍼(123,128)의 접촉충격 완화를 위한 완충부재(123b)가 형성될 수 있다. 무한궤도용 롤러(20)는 그 자체의 무게에 의해 움직이면서 제1스토퍼(123) 및 제2스토퍼(128)와 접촉하기 때문에 롤러(20)와의 접촉 충격에 의해 제1스토퍼(123) 및 제2스토퍼(128) 또는 무한궤도용 롤러(20)가 파손될 수도 있는데, 완충부재(123b)를 구비함으로써 이러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및 제2스토퍼(123,128)는 수평부재(123c)와 수직부재(123a)를 포함하며, 완충부재(123b)는 수직부재(123a)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buffer members 123b may b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123 and 128 to mitigate contact shocks between the crawler roller 20 and the stoppers 123 and 128. Since the crawler roller 20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stopper 123 and the second stopper 128 while moving by its own weight, the first stopper 123 and the second by the impact of contact with the roller 20. The stopper 128 or the crawler roller 20 may be damaged, and the breaker 128 may be prevented by providing the shock absorbing member 123b.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123 and 128 may include a horizontal member 123c and a vertical member 123a, and the buffer member 123b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vertical member 123a.

또한, 제1프레임(125)의 일측에는 무한궤도용 롤러(20)의 이송 상태, 예를 들면, 무한궤도용 롤러(20)가 제1스토퍼(123)에 의해 걸렸는지 여부 등을 작업자가 육안으로 관찰하거나 관측 센서를 설치하기 위한 관측창(125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제2프레임(130)의 경우에도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first frame 125, the operator visually checks the transport state of the crawler roller 20, for example, whether the crawler roller 20 is caught by the first stopper 123, etc. Observation window 125a for observing or installing an observation sensor may be formed, which may be formed even in the case of the second frame 130.

여기서, 제1스토퍼(123) 및 제2스토퍼(128)는 교대로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스토퍼(123)가 하강하면 제2스토퍼(128)는 상승하거나, 그 반대의 경우로 작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교대로 작동하는 적어도 2개의 제어부 또는 스토퍼(123,128)를 구비함으로써, 가열부(160)에 공급되는 무한궤도용 롤러(20)들이 일정한 수량씩 공급되게 제어할 수 있으며 일정 수량을 초과하는 무한궤도용 롤러(20)가 가열부(160)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Here, the first stopper 123 and the second stopper 128 may operate alternately. For example, when the first stopper 123 descends, the second stopper 128 may move up or vice versa. As such, by having at least two control units or stoppers 123 and 128 alternately operating, the crawler rollers 20 supplied to the heating unit 160 may be controlled to be supplied in a predetermined quantity and exceeding a predetermined quantit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rawler roller 20 from being supplied to the heating unit 160.

제1스토퍼(123) 및 제2스토퍼(128)는 도 3에 도시된 이송부(110)의 구획당 1개씩의 롤러(20)만 가열부(160)에 공급되도록 교대 작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스토퍼(123)와 제2스토퍼(128) 사이의 간격은 무한궤도용 롤러(20)의 최대 외경과 유사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제1스토퍼(123)와 제2스토퍼(128) 사이에 2개 이상의 무한궤도용 롤러(20)가 맞닿은 상태로 존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무한궤도용 롤러(20)가 자체의 무게에 가해지는 중력에 의해 이송부(110) 상에서 미끄러지며 이송되기 때문에 무한궤도용 롤러(20)들이 일렬로 서로 맞닿은 상태로 이송 제어부(120)를 통과하게 된다. 이 때, 제1 및 제2스토퍼(123,128) 사이에는 이송부(110)의 각 이송 영역당(도 3 참조) 1개의 무한궤도용 롤러(20)가 위치해야 하는데, 제1스토퍼(123)와 제2스토퍼(128) 사이의 간격이 롤러(20)의 외경 보다 크면 2개 이상의 롤러(20)가 스토퍼(123,128)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이런 경우 인입부(14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할 수도 있다.The first stopper 123 and the second stopper 128 may alternately operate such that only one roller 20 per section of the transfer unit 110 shown in FIG. 3 is supplied to the heating unit 160. To this end,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topper 123 and the second stopper 128 is preferably similar to the maximum outer diameter of the crawler roller 2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wo or more crawler rollers 20 in contact with each other between the first stopper 123 and the second stopper 128. Since the crawler roller 20 slides on the transport unit 110 by gravity applied to its own weight, the crawler roller 20 passes through the transport control unit 120 in a state where the crawler rollers 20 abut in line. . At this tim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123 and 128, one endless roller 20 for each transport area of the transfer unit 110 (see FIG. 3) should be located. If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stoppers 128 is great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roller 20, two or more rollers 20 may be located between the stoppers (123, 128), in this case the inlet 140 may not operate normally. .

제1스토퍼(123) 및 제2스토퍼(128)가 모두 하강하고 제1스토퍼(123)와 제2스토퍼(128) 사이에 무한궤도용 롤러(20)가 위치한 상태에서 가열부(160)와 근접한 제2스토퍼(128)가 먼저 상승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가열부(160)와 가까이에 위치하는 무한궤도용 롤러(20)부터 순차적으로 가열부(160)로 공급될 수 있다.The first stopper 123 and the second stopper 128 are both lowered and close to the heating unit 160 with the crawler roller 20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stopper 123 and the second stopper 128. The second stopper 128 may rise first. Thus, the rollers 20 may be sequentially supplied to the heating unit 160 from the crawler roller 20 positioned near the heating unit 160.

이와 같이, 제1 및 제2스토퍼(123,128)가 순차 또는 교대로 작동할 수 있도록 제1제어부 또는 제2제어부의 일측에는 제1스토퍼(123)와 제2스토퍼(128) 사이에 무한궤도용 롤러(20)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13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및 제2스토퍼(123,128) 사이에 무한궤도용 롤러(20)가 있는지 여부에 따라 제1스토퍼(123) 또는 제2스토퍼(128)를 교대로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oller for crawling between the first stopper 123 and the second stopper 128 on one side of the first control unit or the second control unit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123 and 128 may operate sequentially or alternately. A sensor 131 may be provided to detect whether 20 is present. Therefore, the first stopper 123 or the second stopper 128 may be alternately raised or lowered depending on whether the crawler roller 20 i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123 and 128.

예를 들면, 센서(131)에 의해 롤러(20)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되면, 제2스토퍼(128)가 하강하고 제1스토퍼(123)는 상승하여 스토퍼(123,128) 사이에 1개의 롤러(20)가 공급되게 할 수 있다. 만약, 센서(131)에 의해 롤러(20)가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제1스토퍼(123)는 하강하여 무한궤도용 롤러(20)가 추가적으로 제1 및 제2스토퍼(123,128) 사이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2스토퍼(128)는 상승하여 제1 및 제2스토퍼(123,128) 사이에 있던 롤러(20)를 인입부(140) 쪽으로 보내게 된다.For example, when it is detected by the sensor 131 that the roller 20 does not exist, the second stopper 128 is lowered and the first stopper 123 is raised to raise one roller (between the stoppers 123 and 128). 20) can be supplied. If it is detected by the sensor 131 that the roller 20 exists, the first stopper 123 descends and the crawler roller 20 is additionally suppli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123 and 128. The second stopper 128 is raised to send the roller 20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123 and 128 toward the inlet 140.

도 7 및 도 8은 도 2에 따른 제조장치의 인입부의 작동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7에 따른 인입부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7 and 8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inlet portion of th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Figure 2, Figure 9 is a plan view showing a part of the inlet portion according to FIG.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제조장치(100)의 인입부(140)는 이송 제어부(120)를 통과한 무한궤도용 롤러(20)를 가열부(160)의 내부로 강제로 밀어 넣는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7 to 9, the inlet 140 of the roller manufactur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ats the roller 160 for the crawler roller 20 that has passed through the transfer control unit 120. It can be said to be forcibly pushed into the inside.

인입부(140)는 그물 모양 컨베이어 벨트(156)의 상단에 제공되는 인입지지 프레임(150), 인입지지프레임(150)에 장착되는 수직실린더(141) 및 수평실린더(142), 수직실린더(141)에 의해 상하로 작동하는 피스톤(143), 피스톤(143)에 수직으로 연결된 푸쉬 로드(145) 및 푸쉬 로드(145)의 일단에 형성되어 무한궤도용 롤러(20)와 접촉하는 푸쉬 부재(146)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tracting unit 140 includes an inlet support frame 150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mesh conveyor belt 156, a vertical cylinder 141 and a horizontal cylinder 142 mounted on the inlet support frame 150, and a vertical cylinder 141. The push member 146 formed on one end of the piston 143, the push rod 145 vertically connected to the piston 143 and the push rod 145 by vertically operating by the contact rollers 20 ) May be included.

푸쉬 부재(146)는 수직실린더(141)에 의해 무한궤도용 롤러(20)의 후방에서 상하로 움직이며, 하강하여 무한궤도용 롤러(20)의 후면을 접촉 지지한 상태에서 수평실린더(142)에 의해 전방으로 움직이면서 롤러(20)를 가열부(160)에 밀어 넣을 수 있다.The push member 146 moves up and down from the rear of the crawler roller 20 by the vertical cylinder 141, and descends to the horizontal cylinder 142 in a state in which the rear surface of the crawler roller 20 is in contact with and supported. The roller 20 can be pushed into the heating unit 160 while moving forward.

도 7을 참조하면, 인입지지프레임(150)의 무한궤도용 롤러(20)의 이송방향으로 형성된 부분의 내면에는 가이드 레일(151)이 함몰 형성되고, 가이드 레일(151) 상에서 롤러 이송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는 슬라이딩 부재(153)가 제공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153)의 좌우측 단부에는 플랜지(154)가 절곡 형성되고, 이 플랜지(154)와 가이드 레일(151)이 접촉하면서 미끄럼 운동이 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7, a guide rail 151 is recessed in an inner surface of a portion formed in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crawler roller 20 of the retracting support frame 150 along the roller conveying direction on the guide rail 151. A movable sliding member 153 may be provided. A flange 154 is bent at left and right ends of the sliding member 153, and the flange 154 and the guide rail 151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allow sliding.

한편, 슬라이딩 부재(153)의 상부에는 수직실린더(141)가 설치되며 수직실린더(141)에는 피스톤(143)이 연결되고, 피스톤(143)의 끝단에는 인입 지지플레이트(147)가 장착될 수 있다. 인입 지지플레이트(147)의 하면에는 푸쉬 로드(145)가 연결되며 푸쉬 로드(145)의 수직으로 절곡된 단부에는 푸쉬 부재(146)가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푸쉬 로드(145)의 절곡 단부와 푸쉬 부재(146) 사이에는 결합 플레이트(148)가 제공될 수도 있다.Meanwhile, a vertical cylinder 141 may be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liding member 153, a piston 143 may be connected to the vertical cylinder 141, and an inlet support plate 147 may be mounted at an end of the piston 143. . The push rod 145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traction support plate 147, and the push member 146 may be mounted at the vertically bent end of the push rod 145. Here, a coupling plate 148 may be provided between the bent end of the push rod 145 and the push member 146.

또한, 슬라이딩 부재(153)에는 수직실린더(141) 및 피스톤(143)과 나란하게 가이드 로드(146a) 및 가이드 로드(146a)의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하우징(146b)이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푸쉬 부재(146)는 슬라이딩 부재(153)에 장착 고정된 수직실린더(141)의 작동에 의해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liding member 153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housing 146b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guide rod 146a and the guide rod 146a in parallel with the vertical cylinder 141 and the piston 143. As such, the push member 146 may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operation of the vertical cylinder 141 mounted to the sliding member 153.

한편, 푸쉬 부재(146)의 전후 방향 움직임은 슬라이딩 부재(153)가 전후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가능하다. 이를 위해 슬라이딩 부재(153)를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기 위한 수평실린더(142)가 인입지지프레임(150)에 장착 고정될 수 있다. 수평실린더(142)에 연결된 피스톤(144)이 슬라이딩 부재(153)의 측부에 연결 고정됨으로써 수평실린더(142)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153) 자체가 전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수평실린더(142)는 실린더 고정부재(149a,149b)에 의해 인입지지프레임(150)에 장착 고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ront-rear movement of the push member 146 is possible by the sliding member 153 mov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To this end, a horizontal cylinder 142 for moving the sliding member 153 in the front-rear direction may be fixed to the inlet support frame 150. Since the piston 144 connected to the horizontal cylinder 142 is fixed to the side of the sliding member 153, the sliding member 153 itself may move in the front-rear direction by the horizontal cylinder 142. The horizontal cylinder 142 may be fixed to the inlet support frame 150 by the cylinder fixing members 149a and 149b.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실린더(142)는 고정되어 있으나, 수직실린더(141)는 슬라이딩 부재(153)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수직실린더(141)에 의해 푸쉬 부재(146)가 상승한 상태에서 무한궤도용 롤러(20)가 푸쉬 부재(146)의 앞쪽에 위치하면 수직실린더(141)에 의해 푸쉬 부재(146)가 하강한다. 이 상태에서 수평실린더(142)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153)가 전진함으로써 푸쉬 부재(146)가 롤러(20)를 가열부(160)로 밀어 넣을 수 있다.As shown in FIG. 7 and FIG. 8, the horizontal cylinder 142 is fixed, but the vertical cylinder 141 may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together with the sliding member 153. When the crawler roller 20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push member 146 while the push member 146 is raised by the vertical cylinder 141, the push member 146 is lowered by the vertical cylinder 141. In this state, the sliding member 153 moves forward by the horizontal cylinder 142 so that the push member 146 can push the roller 20 into the heating unit 160.

여기서, 그물 모양 컨베이어 벨트(156) 양단에는 롤러(20)의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들(133,136)이 설치될 수 있다. 센서들(133,136)에 의해서 수직실린더(141) 및 수평실린더(14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인입부(140)의 후방 끝단 바닥면에 무한궤도용 롤러(20)가 인입부(140)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들(133,136)을 구비하여 수직실린더(141) 및 수평실린더(142)의 작동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Here, sensors 133 and 136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roller 20 may b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mesh conveyor belt 156. The sensors 133 and 136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vertical cylinder 141 and the horizontal cylinder 142. That is, the vertical cylinder 141 and the horizontal cylinder (with the sensors 133 and 136 for detecting whether the crawler roller 20 is present in the inlet 140 on the bottom end of the rear end of the inlet 140). The operating state of the 142 can be controlled.

상기한 바와 같이, 인입부(140)의 푸쉬 로드(145) 또는 푸쉬 부재(146)가 상하로 움직이기 때문에 푸쉬 로드(145) 또는 푸쉬 부재(146)에 의해 무한궤도용 롤러(20)의 이송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전후로 움직이기 때문에 무한궤도용 롤러(20)를 가열부(160)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ush rod 145 or the push member 146 of the inlet portion 140 moves up and down, the feed roller 20 is moved by the push rod 145 or the push member 146. This can be prevented and can move forward and backward so that the crawler roller 20 can be supplied into the heating unit 160.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쉬 로드(145)의 일단에 장착 고정된 푸쉬 부재(146)에는 무한궤도용 롤러(20)가 푸쉬 부재(146)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146b)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탈방지부(146b)는 무한궤도용 롤러(20)의 외경과 적어도 2곳에서 접촉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푸쉬 부재(146)가 무한궤도용 롤러(20)를 감싸는 상태로 가열부(160)에 무한궤도용 롤러(20)를 공급하거나 밀어 넣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이탈방지부(146b)는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삼각형 모양의 변 사이에 무한궤도용 롤러(20)가 위치하게 함으로써, 무한궤도용 롤러(20)가 푸쉬 부재(146)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9, the push member 146 fixed to one end of the push rod 145, the departure prevention portion 146b for preventing the crawler roller 20 from escaping from the push member 146 ) May be formed. Here, the departure preventing part 146b may be formed in contact with at least two locations with the outer diameter of the crawler roller 20. Thus, the push member 146 may supply or push the crawler roller 20 to the heating unit 160 while the push member 146 surrounds the crawler roller 20. For example, the departure preventing part 146b is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and the crawler roller 20 is positioned between the sides of the triangle, so that the crawler roller 20 leaves the push member 146. Can be prevented.

또한, 이탈방지부(146b)의 선단에는 무한궤도용 롤러(20)와의 접촉 충격을 방지하는 탄성부재(146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146a)를 구비함으로써 푸쉬 부재(146)와 무한궤도용 롤러(20)의 외면 사이에 일정한 마찰력이 생기게 하여 무한궤도용 롤러(20)의 이송 과정에서 무한궤도용 롤러(20)가 푸쉬 부재(146)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n elastic member 146a may be formed at the tip of the release preventing part 146b to prevent contact impact with the crawler roller 20. By providing the elastic member 146a, a constant friction force is generated between the push member 146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rawler roller 20, so that the crawler roller 20 is moved during the transport of the crawler roller 20. Slip in the push member 146 can be prevented.

도 10 및 도 11은 도 2에 따른 제조장치의 인출부의 작동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인출부(180)는 프레임(190), 프레임(190)에 수직으로 설치된 실린더(181), 실린더(181)에 연결되어 상하로 움직이는 피스톤(182), 피스톤(182)의 일단에 수평으로 연결된 인출로드(183), 인출로드(183)의 일단에 장착된 인출부재(18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실린더(181)는 구동 모터(185) 및 이에 연결된 볼스크류(186)에 의해 신속하게 전후 방향으로 인출로드(183) 및 인출부재(184)를 움직일 수 있다.10 and 11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lead portion of th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FIG. 10 and 11, the lead-out unit 180 is connected to the frame 190, a cylinder 181 vertically installed on the frame 190, a cylinder 181 connected to the cylinder 181, and a piston 182. The lead rod 183 may be horizontal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182, and the lead member 184 mounted to one end of the lead rod 183 may be included. At this time, the cylinder 181 may move the withdrawal rod 183 and the withdrawal member 184 quickly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by the drive motor 185 and the ball screw 186 connected thereto.

인출지지프레임(170)의 무한궤도용 롤러(20)의 이송방향으로 형성된 부분의 내면에는 가이드 레일(171)이 함몰 형성되고, 가이드 레일(171) 상에서 롤러(20)의 이송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는 슬라이딩 부재(188)가 제공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188)의 좌우측 단부에는 플랜지(189)가 절곡 형성되고, 이 플랜지(189)와 가이드 레일(171)이 접촉하면서 미끄럼 운동이 가능하다. A guide rail 171 is recessed in an inner surface of a portion formed in the feed direction of the crawler roller 20 of the pull-out support frame 170, and may move along the feed direction of the roller 20 on the guide rail 171. Sliding member 188 may be provided. A flange 189 is bent at left and right ends of the sliding member 188, and the flange 189 and the guide rail 171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allow sliding.

한편, 슬라이딩 부재(188)의 상부에는 수직실린더(181)가 설치되며 수직실린더(181)에는 피스톤(182)이 연결되고, 피스톤(182)의 끝단에는 인출 지지플레이트(172)가 장착될 수 있다. 인출 지지플레이트(172)의 하면에는 인출 로드(183)가 연결되며 인출 로드(183)의 단부에는 인출 부재(184)가 장착될 수 있다. Meanwhile, a vertical cylinder 181 may be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liding member 188, a piston 182 may be connected to the vertical cylinder 181, and a withdrawal support plate 172 may be mounted at an end of the piston 182. . A withdrawal rod 183 may be connected to a lower surface of the withdrawal support plate 172, and an withdrawal member 184 may be mounted at an end of the withdrawal rod 183.

또한, 슬라이딩 부재(188)에는 수직실린더(181) 및 피스톤(182)과 나란하게 형성된 가이드 로드(187a) 및 가이드 로드(187a)의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하우징(187b)이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출 부재(184)는 슬라이딩 부재(188)에 장착 고정된 수직실린더(181)의 작동에 의해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liding member 188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rod 187a and a guide housing 187b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guide rod 187a formed in parallel with the vertical cylinder 181 and the piston 182. As described above, the drawing member 184 may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operation of the vertical cylinder 181 mounted and fixed to the sliding member 188.

한편, 인출 부재(184)의 전후 방향 움직임은 슬라이딩 부재(188)가 전후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가능하다. 이를 위해 슬라이딩 부재(188)를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기 위한 구동 모터(185)가 인출지지프레임(170)에 장착 고정될 수 있다. 구동 모터(185)에는 볼스크류(186)가 연결되고 볼스크류(186)의 일단이 슬라이딩 부재(188)의 측부에 연결 고정됨으로써 구동 모터(185)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188) 자체가 전후 방향으로 빠른 속도로 움직일 수 있다. 구동 모터(185)는 모터 고정부재(미도시)에 의해 인출지지프레임(170)에 장착 고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ront-rear movement of the drawing member 184 is possible by the sliding member 188 mov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To this end, the driving motor 185 for moving the sliding member 188 in the front-rear direction may be fixed to the pull-out support frame 170. The ball screw 186 is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185 and one end of the ball screw 186 is fixedly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sliding member 188 so that the sliding member 188 itself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by the drive motor 185. Can move at high speed. The driving motor 185 may be fixed to the pull-out support frame 170 by a motor fixing member (not shown).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모터(185)는 인출 지지프레임(170)에 고정되어 있으나, 수직실린더(181)는 슬라이딩 부재(188)와 함께 전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수직실린더(181)에 의해 인출 부재(184)가 상승한 상태에서 무한궤도용 롤러(20)가 인출 부재(184)의 앞쪽에 위치하면 수직실린더(181)에 의해 인출 부재(184)가 하강한다. 이 상태에서 구동 모터(185)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188)가 신속하게 전진함으로써 인출 부재(184)가 롤러(20)를 끌어 내어 가열부(160)에서 벗어나게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0 and 11, the driving motor 185 is fixed to the pull-out support frame 170, but the vertical cylinder 181 may move forward and backward with the sliding member 188. If the crawler roller 20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drawing member 184 in a state where the drawing member 184 is raised by the vertical cylinder 181, the drawing member 184 is lowered by the vertical cylinder 181. In this state, the sliding member 188 advances rapidly by the drive motor 185, so that the drawing member 184 can pull the roller 20 out of the heating unit 160.

인출부(180)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구동 모터(185) 및 볼스크류(186)를 이용하여 가열부(160)에서 무한궤도용 롤러(20)를 신속하게 인출시켜서 무한궤도용 롤러(20)의 냉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속으로 회전하는 구동 모터(185)를 구비함으로써 가열된 무한궤도용 롤러(20)를 가열부(160)에서 신속하게 인출시킬 수 있고, 가열된 무한궤도용 롤러(20)가 공기 중에 노출되는 시간을 줄여 가열된 무한궤도용 롤러(20)가 공랭(空冷)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drawing unit 180 quickly draws the crawler roller 20 from the heating unit 160 by using the driving motor 185 and the ball screw 186 rotating at a high speed, so that the crawler roller 20 Cooling can be prevented. As such, by providing the drive motor 185 rotating at a high speed, the heated crawler roller 20 can be quickly drawn out from the heating unit 160, and the heated crawler roller 20 is placed in the air. By reducing the exposure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eated crawler roller 20 from air cooling.

여기서, 인출 부재(184)는 무한궤도용 롤러(20)의 외면을 감싸는 후크 모양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withdrawal member 184 may be formed in a hook shape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rawler roller 2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specific embodiment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the like.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wi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0: 무한궤도용 롤러 제조장치 110: 이송부
113: 컨베이어 롤러 120: 이송 제어부
123,128: 스토퍼 140: 인입부
146: 푸쉬부재 160: 가열부
180: 인출부 190: 롤러 가이드부
20: 무한궤도용 롤러 CB: 컨베이어 벨트
BR: 벨트 롤러 H: 히터
100: track roller manufacturing apparatus 110: transfer unit
113: conveyor roller 120: transfer control
123,128: stopper 140: inlet
146: push member 160: heating portion
180: lead out portion 190: roller guide portion
20: track roller CB: conveyor belt
BR: Belt Roller H: Heater

Claims (17)

무한궤도용 롤러가 놓이며, 상기 무한궤도용 롤러가 그 자중에 의해서 이송되도록 경사지게 배열된 다수개의 컨베이어 롤러들을 구비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출구 측에 제공되고, 서로 교대로 승강하는 제1스토퍼 및 제2스토퍼를 구비하여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상기 무한궤도용 롤러의 이송을 단속하는 이송 제어부;
상기 이송부와 마주 보도록 상기 이송 제어부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고, 상기 이송 제어부를 차례로 통과한 상기 무한궤도용 롤러를 상기 이송부에서 상기 무한궤도용 롤러를 가열하는 가열부 안으로 밀어 넣는 푸쉬 로드를 구비하는 인입부; 및
상기 인입부와 마주 보도록 상기 가열부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하 및 전후 ㅂ방향으로 움직이고, 상기 가열부에서 가열된 상기 무한궤도용 롤러를 상기 가열부 외부로 배출시키는 인출 로드를 구비하는 인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는 상기 가열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상기 컨베이어 롤러들이 배열되는, 무한궤도용 롤러 제조장치.
A feeder having a crawler roller and having a plurality of conveyor rollers arranged inclined such that the crawler roller is transported by its own weight;
A transfer control unit provided at an exit side of the transfer unit and having a first stopper and a second stopper alternately lifting up and down to intercept the transfer of the crawler roller transferred by the transfer unit;
A push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ransfer control unit so as to face the transfer unit and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front-rear direction, and pushing the crawler roller passing through the transfer controller into the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crawler roller in the transfer unit. An inlet having a rod; And
A drawing par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eating part so as to face the inlet part and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front and rear ㅂ direction, and having a drawing rod for discharging the crawler roller heated by the heating part to the outside of the heating part. ,
The conveyor roller is a roller manufacturing apparatus, the conveying unit is arranged such that the conveyor rollers ar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heating uni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제어부는 상기 무한궤도용 롤러의 이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공되는 제1제어부 및 제2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제어부 및 상기 제2제어부는 각각 상기 무한궤도용 롤러의 이송을 단속하는 제1스토퍼 및 제2스토퍼를 구비하는, 무한궤도용 롤러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ransfer control unit includes a first control unit and a second control unit provid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transfer direction of the crawler roller,
And the first control unit and the second control unit each include a first stopper and a second stopper for intermittent transfer of the crawler rollers.
삭제dele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토퍼 및 상기 제2스토퍼가 모두 하강하고 상기 제1스토퍼와 상기 제2스토퍼 사이에 상기 무한궤도용 롤러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가열부와 근접한 상기 스토퍼가 먼저 상승하는, 무한궤도용 롤러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3,
In the state where both the first stopper and the second stopper descends and the crawler roller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stopper and the second stopper, the stopper roller close to the heating unit first rises. Manufacturing equipmen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 또는 상기 제2제어부의 일측에는 상기 제1스토퍼 상기 제2스토퍼 사이에 상기 무한궤도용 롤러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되는, 무한궤도용 롤러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3,
One side of the first control unit or the second control unit is provided with a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re is the crawler roller between the first stopper and the second stopper, crawler roller manufacturing apparatus.
삭제dele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로드에는 상기 무한궤도용 롤러와 접촉하는 푸쉬 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푸쉬 부재에는 상기 무한궤도용 롤러가 상기 푸쉬 부재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가 형성된, 무한궤도용 롤러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push rod is formed with a push member in contact with the crawler roller, the push member is a roller for manufacturing a crawler, formed with a departure preventing portion for preventing the crawler roller from escaping from the push memb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부의 후방 끝단 바닥면에는 상기 무한궤도용 롤러가 상기 인입부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된, 무한궤도용 롤러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rear end bottom surface of the inlet portion is provided with a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crawler roller is present in the inlet portion, crawler roller manufacturing apparatus.
삭제delete 삭제delete 무한궤도용 롤러가 놓이며, 상기 무한궤도용 롤러가 그 자중에 의해 이송되도록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도록 배열된 다수의 컨베이어 롤러들을 구비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출구 측에 제공되고, 서로 교대로 승강하는 제1스토퍼 및 제2스토퍼를 구비하여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상기 무한궤도용 롤러의 이송을 단속하는 이송 제어부;
상기 이송부와 마주 보도록 상기 이송 제어부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고, 상기 이송 제어부를 차례로 통과한 상기 무한궤도용 롤러를 상기 이송부에서 상기 무한궤도용 롤러를 가열하는 가열부 안으로 밀어 넣는 푸쉬 로드를 구비하는 인입부; 및
상기 인입부와 마주 보도록 상기 가열부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하 및 전후 ㅂ방향으로 움직이고, 상기 가열부에서 가열된 상기 무한궤도용 롤러를 상기 가열부 외부로 배출시키는 인출 로드를 구비하는 인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2개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각각의 영역에서 상기 무한궤도용 롤러가 이송되는, 무한궤도용 롤러 제조장치.
A transport unit having a crawler roller and having a plurality of conveyor rollers arranged to have different heights such that the crawler roller is transported by its own weight;
A transfer control unit provided at an exit side of the transfer unit and having a first stopper and a second stopper alternately lifting up and down to intercept the transfer of the crawler roller transferred by the transfer unit;
A push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ransfer control unit so as to face the transfer unit and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front-rear direction, and pushing the crawler roller passing through the transfer controller into the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crawler roller in the transfer unit. An inlet having a rod; And
A drawing par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eating part so as to face the inlet part and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front and rear ㅂ direction, and having a drawing rod for discharging the crawler roller heated by the heating part to the outside of the heating part. ,
The conveying unit is partitioned into at least two regions along its longitudinal direction, in which each of the crawler rollers, crawler roller manufacturing apparatu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길이 방향 양측에는 상기 무한궤도용 롤러가 상기 이송부의 길이 방향 가운데 부분을 따라 이송되도록 상기 무한궤도용 롤러를 안내하는 롤러 가이드부가 형성된, 무한궤도용 롤러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An orbital roller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a roller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orbital rollers such that the orbital rollers are transported along a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eede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가운데 부분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이송부를 구획하는 가이드 격벽이 형성되며,
상기 롤러 가이드부는 상기 무한궤도용 롤러가 상기 가이드 격벽을 따라 이송되게 안내하는, 무한궤도용 롤러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conveying portion is formed a guide partition wall partitioning the conveying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roller guide unit for crawling roller manufacturing apparatus for guiding the crawler roller is transported along the guide partition wall.
삭제delet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무한궤도용 롤러와 접촉하는 상기 롤러 가이드부의 일측단에는 상기 무한궤도용 롤러가 상기 가이드 격벽을 따라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절곡부재가 형성된, 무한궤도용 롤러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4,
At one end of the roller guid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roller for crawler rollers, a bending member for guiding the roller to be transported along the guide partition wall, crawler roller manufacturing apparatus.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재와 상기 가이드 격벽 사이의 거리는 상기 이송부의 전방을 향하여 작아지는, 무한궤도용 롤러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6,
Distance between the bending member and the guide partition wall is a roller manufacturing apparatus for orbit, the smaller toward the front of the conveying portion.
KR1020100043351A 2010-05-10 2010-05-10 Apparatus for producing roller used in caterpillar KR1009958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351A KR100995866B1 (en) 2010-05-10 2010-05-10 Apparatus for producing roller used in caterpill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351A KR100995866B1 (en) 2010-05-10 2010-05-10 Apparatus for producing roller used in caterpilla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5866B1 true KR100995866B1 (en) 2010-11-22

Family

ID=43409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3351A KR100995866B1 (en) 2010-05-10 2010-05-10 Apparatus for producing roller used in caterpill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5866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235B1 (en) 2012-11-29 2014-04-17 주식회사 디씨에프 트랙 Testing apparatus for roller of excavator and testing method for it
KR101941517B1 (en) * 2018-09-06 2019-01-23 한상훈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roller
KR102298568B1 (en) * 2020-08-25 2021-09-06 박동명 Manufacturing method of rotor for power transfer
KR102304841B1 (en) * 2021-03-26 2021-09-24 (주)리빙글로리 Automatic heat treatment equipment for edge of metal cooking po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235B1 (en) 2012-11-29 2014-04-17 주식회사 디씨에프 트랙 Testing apparatus for roller of excavator and testing method for it
KR101941517B1 (en) * 2018-09-06 2019-01-23 한상훈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roller
KR102298568B1 (en) * 2020-08-25 2021-09-06 박동명 Manufacturing method of rotor for power transfer
KR102304841B1 (en) * 2021-03-26 2021-09-24 (주)리빙글로리 Automatic heat treatment equipment for edge of metal cooking po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5866B1 (en) Apparatus for producing roller used in caterpillar
CN103818679B (en) Holding means and include its induction system
CN100546727C (en) Automatic bearing cleaning machine
CN104925535B (en) Automatic pipe feeding device
CN107963401B (en) Belt conveyor of dismouting fuselage does not shut down
KR101192636B1 (en) Apparatus for heating roller used in caterpillar
CN106516686A (en) Tray lifting and conveying mechanism
CN204310421U (en) A kind of mine belt conveyor
CN105091596B (en) A kind of stove gate device of multilayer heat-treatment furnace
RU168118U1 (en) CONVEYOR LOADER
CN107939421A (en) Complete-section tunnel boring machine section of jurisdiction fast discharging storage device
US20200158435A1 (en) Facility for longitudinal sealing up wind boxes in travelling grate facilities
JP5503270B2 (en) Veneer veneer drying method and veneer veneer drying apparatus
CN100529608C (en) Shelf-lifting belt type ice conveyer
CN108147312B (en) Automatic lifting device of special transfer trolley
CN103410560B (en) Short distance leather belt reshipment machine
WO2012149595A1 (en) A conveyor belt
CN105480643A (en) Movable belt bracket device for preventing coal scattering for mine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US2967316A (en) Apparatus for removing burden from a blast furnace
KR101156646B1 (en) Vertical cure oven
CN212449205U (en) Movable belt conveyor
JP379845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lying incinerated material
KR102028617B1 (en) Apparatus for emergency charging of cokes charging equipment and this method of installation
KR100952377B1 (en) Furnace
CN207890969U (en) A kind of special transfer trolley apparatus for automatically lif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