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5800B1 - 조립과 포설이 용이한 대발매트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조립과 포설이 용이한 대발매트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5800B1
KR100995800B1 KR1020100074359A KR20100074359A KR100995800B1 KR 100995800 B1 KR100995800 B1 KR 100995800B1 KR 1020100074359 A KR1020100074359 A KR 1020100074359A KR 20100074359 A KR20100074359 A KR 20100074359A KR 100995800 B1 KR100995800 B1 KR 100995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bamboo
rope
laying
lan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4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귀봉
Original Assignee
최귀봉
주식회사 신아건설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귀봉, 주식회사 신아건설산업 filed Critical 최귀봉
Priority to KR1020100074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58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5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5800B1/ko
Priority to PCT/KR2011/005460 priority patent/WO2012015202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JMECHANICAL WORKING OF CANE, CORK, OR SIMILAR MATERIALS
    • B27J1/00Mechanical working of cane or the like
    • B27J1/003Joining the cane side by sid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28Stressing the soil or the foundation structure while formin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5Geotex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약지반의 육상부에 설치된 이동이 가능한 조립장치와 전동식 결속공구를 이용하여 강성의 대나무와 연성의 로프를 효율적으로 결속함으로써 대발매트의 제작이 용이하고, 또 대발매트가 포설되는 위치에서 대발매트의 조립ㆍ제작이 가능하고 바로 그 자리에서 대발매트의 포설이 가능한 대발매트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한 것이다.
대발매트를 이동이 가능한 조립장치와 전동식 결속공구에 의해 조립이 가능한 구조이므로 현장에서 제작하여 제작된 바로 그 자리에서 현장 포설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작에서부터 포설까지의 단위공기를 대폭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뿐 아니라 구름마찰파이프를 일정간격으로 설치함으로써 토목섬유매트 위의 1차 대발매트의 포설과, 그리고 1차 대발매트위에 격자형태의 2차 대발매트의 포설이 구름마찰파이프로 인해 마찰력이 크게 감소되어 1, 2차 대발매트의 포설을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조립과 포설이 용이한 대발매트의 시공방법{The method constructing a bamboo mat easily on the soft clay surface}
본 발명은 조립과 포설이 용이한 대발매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연약지반의 육상부에 설치된 이동이 가능한 조립장치와 전동식 결속공구를 이용하여 강성의 대나무와 연성의 로프를 효율적으로 결속함으로써 대발매트의 제작이 용이하고, 또 대발매트가 포설되는 위치에서 대발매트의 조립ㆍ제작이 가능하고 바로 그 자리에서 대발매트의 포설이 가능한 대발매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대발매트의 현장 제작에서부터 현장 포설까지의 단위공기가 대폭 감소될 뿐 아니라 이로 인한 포설작업이 효율적이고 경제적이다.
본 발명의 대발매트는 롤상 또는 지그재그 방식의 적층이 가능한 구조이므로 연약지반에 포설된 토목섬유매트 위에 1차 대발매트를 포설하고, 상기 1차 대발매트위에 2차 대발매트를 1차 대발매트에 직각방향으로 설치가 가능하므로 강성이 큰 격자상의 대나무매트와 같이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대발매트는 롤상 또는 지그재그 방식의 적층이 가능한 구조이므로 제작장의 면적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성이 큰 격자상의 대나무매트와 같은 형태의 포설이 용이하다.
토목섬유매트위에 1차 대발매트의 포설시 또는 1차 대발매트위에 2차 대발매트포설시 그 사이에 개재된 구름마찰파이프에 의하여 마찰력이 감소되는 구조이므로 대발매트의 포설이 용이하다.
이와 같이 육상부에 설치된 조립ㆍ결속장치와 결속자동공구에 의하여 대발매트가 조립ㆍ제작되므로 대발매트의 품질이 균일하고 결속선의 길이가 일정하여 대발매트의 포설시 토목섬유 및 대나무의 파손이 방지되어 연약지반 개량기술분야의 적용에 유용한 기술이다.
종래기술로서 연약지반 개량을 위한 대나무 매트의 형태는 크게 2가지형태로 대별된다.
하나의 형태는 대나무를 서로 직각되게 2방향으로 배열하여 이를 서로 결속시킨 구조의 격자상 대나무매트이고, 다른 하나의 형태는 강성의 대나무를 한 방향으로 배열하고 이를 연성의 로프로 결속시킨 대발매트이다.
격자상 대나무매트는 서로 직각되게 강성의 대나무가 평면 격자상 조립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므로 롤상으로 감는다거나 지그재그 방식으로 적층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격자상 대나무매트는 평면상 조립이기 때문에 넓은 부지의 제작장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그뿐 아니라 육상부지에서 격자상 대나무매트가 조립되었다하더라도 넓은 평면상의 대나무매트를 포설될 연약지반까지 어떻게 운반하느냐가 가장 큰 문제점이다.
격자상 대나무매트는 평면상의 조립구조인데다 격자상의 강성구조이므로 롤상으로 감거나 지그재그 방식으로 적층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조립ㆍ결속된 형태 그대로 운반하여야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대나무매트를 포설한 다음에는 담수된 물을 제거한 다음 한쪽에서부터 점진적으로 복토하게 되는데 복토가 완료되기 까지는 수개월에서부터 십수 개월 동안 자외선에 노출되어 대나무 강도는 당초 설계 강도이하로 급격하게 저하하게 되고 이는 설계하중 이하에서도 대나무의 취성파괴가 일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격자망 형태의 대나무조립, 운반 거치 포설을 위한 담수 및 배수등 공사기간이 길어지며 시공이 비효율적이고 비경제적이며 품질관리에도 많은 문제점이 있다.
강성의 격자상구조의 대나무매트를 연약지반까지 운반하는 수단으로는 연약지반에 물을 채워 그 위에 격자상 대나무매트를 띄워 운반하는 것이 유일한 운반수단이었다.
운반이 완료된 후 담수된 물을 제거한 다음 한쪽에서부터 점진적으로 복토하게 되는데 복토가 완료되기까지는 수개월에서부터 십수 개월 동안 격자상 대나무매트는 자외선에 노출되어 대나무 강도는 당초 설계 강도이하로 급격하게 저하되게 되고 이는 설계하중 이하에서도 대나무의 취성파괴가 일어나게 되는 품질관리의 문제점이 있다.
연성의 로프로 결속시킨 대발매트는 격자상 대나무매트가 갖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개발된 것이다.
대발매트는 특허 제932970호로 등록되어있고, 본원 출원인이 개발한 것이다.
대발매트는 강성인 대나무와 연성인 로프가 서로 격자형상을 이루고 있지만 연성의 로프방향으로 롤상으로 감거나 지그재그 방식으로 적층하는 것이 가능하다는데 그 특징이 있다.
대발매트는 롤상 감김이나 지그재그 방식의 적층이 가능하기 때문에 격자상 대나무매트에 비하여 소규모 제작장만으로도 충분히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대발매트는 포설시점부의 대발매트를 포설종점부에 콤바인, 윈치 등을 이용하여 직접 당기면서 포설하기 때문에 시공속도가 빠르고, 안전사고의 위험도 줄어드는 장점을 가진 시공방법이다.
이에 반하여 격자상 대나무매트는 대발매트와는 달리 잡아당겨 포설할 수가 없기 때문에 물을 채워 부유시킨 상태에서 포설해야하는 시공방법이다.
이와 같이 격자상 대나무매트는 연약지반에 물을 채우는 공법이기 때문에 연약지반내의 간극수를 배출시켜 강도증진을 유도하는 지반개량의 본래의 목적에 반하는 방법일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공기손실은 물론 복잡한 공종으로 인한 시공관리측면에서도 악영향과 안전사고의 위험도 우려되는 단점을 갖는 시공방법이다.
본원 출원인은 격자상 대나무매트와는 달리 대발매트는 소규모 제작장만으로 충분하고, 그 포설에 있어서도 와이어의 견인력만으로 대발매트를 연약지반에 포설하는 것이 용이하다는 대발매트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신속하고 효율적이면서 경제적인 대발매트의 제작수단이 아직 개발되어있지 않다는 점에 착안하여 대발매트의 현장제작에서부터 현장 포설까지의 공기를 대폭 감소시키고자 본 발명을 개발하게 된 것이다.
본 발명은 육상부에 설치된 이동식 조립ㆍ결속장치와 결속자동공구에 의하여 강성의 대나무와 연성의 로프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결속하는 대발매트의 현장 제작에서부터 현장 포설까지의 공기를 단위공기로 하여 그 단위공기를 대폭 감소시키고자 함에 첫 번째 목적이 있고,
현장 육상부에서의 대발매트가 롤상 또는 지그재그 방식으로 적층되도록 제작함으로써 제작현장에서 연약지반에 직접 포설이 가능하도록 함에 두 번째 목적이 있으며,
연약지반에 포설된 토목섬유매트 위에 1차 대발매트를 포설하고, 상기 1차 대발매트위에 2차 대발매트를 1차 대발매트에 직각방향으로 설치함으로써 격자상의 대나무매트와 같은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면서 그 설치가 용이하도록 함에 세 번째 목적이 있고,
연약지반에 포설된 토목섬유매트와 그 위에 포설할 1차 대발매트사이에, 그리고 기 포설된 1차 대발매트위에 포설할 2차 대발매트사이에 구름마찰파이프를 일정간격으로 설치함으로써 1, 2차 대발매트의 포설로 인한 마찰력을 감소시켜 그 1, 2차 대발매트의 포설을 용이하도록 함에 네 번째 목적이 있다.
본 발명 조립과 포설이 용이한 대발매트의 시공방법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연약지반의 육상부(A)에 상측에 대나무(30) 및 로프(40)의 보관대(11)와, 이에 연하여 1차 경사면(12)과 수평부(13)로 이어지는 수직 거치대(10)를 설치하는 단계;
⒝ 보관대(11)로부터 풀려나온 로프(40)가 1차 경사면(12)과 수평부(13)에 걸쳐 배치된 상태에서 되어있고 로프(40)위로 보관대(11)로부터 나온 대나무(30)가 1차 경사면(12)을 거쳐 수평부(13)에 이른 상태에서 대나무(30)와 로프(40)의 접점부에 전동식 결속공구(50)의 구멍(53)에 삽입된 ∩자형의 결속철선(20)를 삽입하고, 전동식 결속공구(50)의 회전에 의하여 결속철선(20)으로 대나무(30)와 로프(40)의 접점부가 결속되는 단계;
⒞ 수직 거치대(10)를 거쳐 대나무(30)와 로프(40)의 접점부를 전동식 결속공구(50)에 의하여 반복적으로 결속하면서 조립ㆍ완성된 대발매트를 로프(40)의 진행방향으로 지그재그 방식의 적층 또는 롤(roll)상으로 감는 단계;
⒟ 지그재그 방식의 적층 또는 롤(roll)상의 대발매트를 육상부(A)에 고정하고, 상기 대발매트의 한끝을 타측 육상부(B)에 설치된 윈치수단의 와이어의 한끝에 연결하여 육상부(B)의 와이어를 윈치수단에 의하여 견인하면서 제1의 대발매트(Mp)를 기 포설된 토목섬유매트(70)위에 포설하는 단계;
⒠ 상기 포설된 제1의 대발매트(Mp)에 평행되게 제2의 대발매트(Mp)를 기 포설된 토목섬유매트위에 포설하되 상기 제1의 대발매트와 약간 겹치도록 육상부(A)에서 타측 육상부(B)를 향하여 상기⒟단계의 방법으로 제2의 대발매트(Mp)를 포설하는 단계;
⒡ 육상부(A)에서 타측 육상부(B)를 향하여 상기⒠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3, 4, ㆍㆍㆍn의 대발매트(Mp)를 포설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과 포설이 용이한 대발매트의 시공방법의 구성이다.
여기에다 ⒟단계 및 ⒠단계에서 기 포설된 토목섬유매트(70)와 그 위에 포설될 제1, 2,ㆍㆍㆍn의 대발매트(Mp)사이에 대나무방향과 직각되게 100~200mm의 직경을 갖는 구름마찰파이프(60)를 일정간격으로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과 포설이 용이한 대발매트의 시공방법의 구성이다.
상기의 ⒜단계~⒡단계에다 격자상의 대발매트를 포설하기위한 구성이 추가된 구성은 다음과 같다.
⒢ 상기 ⒡단계를 거쳐 포설이 완료된 대발매트(Mp)위에 대발매트(Mp)와 직각방향으로 ⒝단계~⒞단계와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조립된 지그재그 방식의 적층 또는 롤(roll)상의 대발매트(Mq)를 육상부(A′)에 고정하고, 상기 대발매트(Mq)의 한끝을 타측 육상부(B′)에 설치된 윈치수단의 와이어의 한끝에 연결하여 육상부(B′)의 와이어를 윈치수단에 의하여 견인하면서 기 포설된 대발매트(Mp)위에 제1의 대발매트(Mq)를 포설하는 단계;
⒣ 상기 제1의 대발매트(Mq)에 평행되게 제2의 대발매트(Mq)를 포설하되 제1의 대발매트(Mq)와 약간 겹치도록 육상부(A′)에서 타측 육상부(B′)를 향하여상기⒟단계의 방법으로 제2의 대발매트(Mq)를 대발매트(Mp)위에 포설하는 단계;
⒤ 육상부(A′)에서 타측 육상부(B′)를 향하여 상기⒣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3, 4, ㆍㆍㆍn의 대발매트(Mq)를 포설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과 포설이 용이한 대발매트의 시공방법의 구성이다.
여기에다 ⒢~⒤단계에서 기 포설된 제1, 2,ㆍㆍㆍn의 대발매트(Mp)와 그 위에 포설될 제1, 2,ㆍㆍㆍn의 대발매트(Mq)사이에 제1, 2,ㆍㆍㆍn의 대발매트(Mq)의 대나무방향과 직각되게 100~200mm의 직경을 갖는 구름마찰파이프(60)를 일정간격으로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과 포설이 용이한 대발매트의 시공방법의 구성이 추가된 구성이다.
구름마찰파이프(60)는 중공부를 갖으면서 롤상 감김이 가능한 합성수지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육상부에 설치된 이동식 조립ㆍ결속장치와 결속자동공구에 의하여 강성의 대나무와 연성의 로프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결속하는 구성이므로 대발매트의 현장 제작에서부터 현장 포설까지의 단위공기가 대폭 감소될 뿐 아니라 이로 인해 시공이 경제적이다.
현장 육상부에서의 대발매트를 롤상 또는 일방향 지그재그 방식으로 적층되게 제작되므로 제작현장에서 연약지반에 직접 포설이 가능하게 되어 대발매트의 포설작업이 효율적이다.
연약지반에 포설된 토목섬유매트 위에 1차 대발매트를 포설하고, 상기 1차 대발매트위에 2차 대발매트를 1차 대발매트에 직각방향으로 설치가 가능하므로 강성이 큰 격자상의 대나무매트와 같이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다.
연약지반에 포설된 토목섬유매트와 그 위에 포설할 1차 대발매트사이에, 그리고 기 포설된 1차 대발매트위에 포설할 2차 대발매트사이에 구름마찰파이프를 일정간격으로 설치한 것이므로 포설시 마찰력이 감소되어 1, 2차 대발매트의 포설을 용이하다.
현장 육상부에서의 대발매트를 롤상 또는 일방향 지그재그 방식으로 적층 제작이 가능하고, 또 조립ㆍ결속장치의 규모가 작아 이동이 가능하므로 대발매트가 포설되는 위치에서 대발매트의 조립ㆍ제작이 가능하고 바로 그 자리에서 대발매트의 포설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대발매트가 롤상 또는 일방향 지그재그 방식으로 적층이 가능한 구조이므로 제작장의 면적이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육상부에 설치된 조립ㆍ결속장치와 결속자동공구에 의하여 대발매트가 조립ㆍ제작되므로 대발매트의 품질이 균일하고 결속선의 길이가 일정하여 대발매트의 포설시 토목섬유 및 대나무의 파손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거치대에 대나무(30)와 로프(40)를 올려 대발을 엮어 대발매트를 형성하는 작업과정 예시도
도2는 본 발명의 거치대에 대나무(30)와 로프(40)를 올려 대발을 엮어 롤 형태로 형성하는 작업과정의 측면도
도3은 본 발명의 거치대에 올려진 대나무(30)와 로프(40)를 전동식 결속공구(50)를 이용하여 결속철선로 결속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4는 본 발명의 대나무(30)와 로프(40)를 결속철선로 결속한 상태를 나타낸 요부발췌도
도5는 본 발명의 대발 매트를 이용하여 연약지반에 포설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6은 본 발명의 대발매트를 이용하여 연약지반의 토목섬유매트(70) 위에 1차 대발매트(M1)를 포설한 상태의 예시도
도7은 본 발명의 대발매트를 이용하여 연약지반의 토목섬유매트(70) 위에 1차 대발매트(M1)를 포설한 상태의 측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1차 포설된 대발매트 위에 교차되도록 2차 대발매트를 포설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9는 본 발명의 1차 포설된 대발매트(M1) 위에 교차되도록 2차 대발매트(M2)를 포설하여 연약지반 위에 격자형상의 대발매트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1차 포설된 대발매트 위에 교차되도록 2차 대발매트를 포설한상태의 측단면도
도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대발을 엮기 위한 평상형태의 평면 거치대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실시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약지반 표층보강을 위한 대발 매트 포설 방법에 있어서
⒜ 연약지반(100)의 육상부(A)에 대발 매트를 조립할 수직 거치대(또는 평면 거치대)(10)(10')를 대발매트의 포설 방향으로 설치하는 단계;
⒝ 설치된 수직 거치대(10)위에 다수의 로프(40)를 배열 설치하고 로프(40)와 교차되는 직각방향으로 대나무(30)를 병렬ㆍ배치한 상태에서 대나무(30)와 로프(40)가 만나는 접점부를 전동식 결속공구(50)를 이용하여 ∩자 형태의 결속철선(10)으로 결속ㆍ조립하는 단계;
⒞ 대나무(30)와 로프(40)로 결속된 대발매트를 로프(40)의 진행방향으로 롤(roll)상으로 감는 단계;
⒟ 기 포설된 토목섬유매트(70)위에 대발매트 포설 진행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합성수지 파이프로 된 구름마찰파이프(60)를 설치하는 단계;
⒠ 롤(roll)상의 대발매트(Mp)의 중심부에 삽입된 중심축 양측 단부에 롤상의 대발매트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약지반(100)의 육상부(A)에 고정하고, 이에 대응되는 타측 연약지반(100)의 육상부(B)에 윈치수단을 설치하고 이에 권취된 와이어를 롤(roll)상의 대발매트(Mp)의 한끝과 연결하여 와이어의 견인에 의하여 대발매트가 구름마찰파이프(60)를 슬라이딩되면서 제1의 대발매트(Mp)를 기 포설된 토목섬유매트(70) 위에 포설하는 단계;
⒡ 포설된 제1의 대발매트(Mp)일측에 평행하게 제2의 대발매트(Mp)를 기 포설된 토목섬유매트(70) 위에 설치하되 제1의 대발매트(Mp)의 단부와 겹치도록 연약지반(100)의 육상부(A)에서 타측 육상부(B)를 향하여 ⒠단계의 방법으로 상기 제2의 대발매트(Mp)를 포설하는 단계;
⒢ 연약지반(100)의 육상부(A)에서 타측 육상부(B)를 향하여 제3, 제4, ㆍㆍㆍn의 대발매트(Mp)를 상기 ⒠단계의 방법으로 포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여기에다
⒣ 상기 ⒠단계~⒢단계에서 기 포설된 토목섬유매트(70)와 그 위에 포설될 제1, 2,ㆍㆍㆍn의 대발매트(Mp)사이에는 대나무(30)방향과 직각되게 합성수지 파이프로 된 구름마찰파이프(60)를 일정간격으로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또한,
⒤ ⒣단계에서 기 포설된 대발매트(Mp)와 직각방향으로 대발매트(Mq)를 포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대발매트(Mp)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는 대발매트(Mq)의 포설방법은 대발매트(Mp)의 포설방법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그런데 대발매트(Mp)와 직각방향으로 포설된 대발매트(Mq)가 이루는 형태는 격자상의 대나무매트와 동일한 형태이다. 격자형태는 동일하지만 그 조립구조는 전혀 다르다. 강성인 대나무(30)와 연성인 로프(40)에 의해 조립된 대발매트구조와, 강성인 대나무와 대나무로 조립된 격자상의 대나무매트구조가 전혀 다르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따른 공정별로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공정: 육상부(A)에 거치대를 설치하는 단계
먼저 연약지반(100) 표층보강을 위해 대발매트를 설치할 위치의 연약지반(100) 일측 육상부(A)에 수직 거치대(10) 또는 평면 거치대(10')를 설치한다.
수직 거치대(10)는 작업자가 서서 결속작업을 하는데 유리하다.
수직 거치대(10)의 상부에는 대나무(30)의 조립을 위해 보관ㆍ준비 중으로 대기상태이고, 그 하부에는 롤 형태의 로프(40)가 보관ㆍ준비된 상태이다.
대나무(30)가 로프(40) 위에 설치되어있고, 그 방향은 서로 직각으로 교차된 관계이다.
대나무(30)와 대나무(30)의 간격은 40∼60㎝ 이고, 로프(40)와 로프(40)의 간격은 180~220cm가 바람직하다.
수직 거치대는 연약지반(100) 위로 대발매트가 포설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수직 거치대(10)는 일측에 대나무(30)와 로프(40)를 보관할 수 있도록 보관대(11)가 형성되어있고, 대나무(30)가 굴러서 이동할 수 있도록 1차 경사면(12)을 가지며, 대발매트의 조립은 수평부(13)에서 이루어진다.
수직 거치대 밑은 작업자가 서서 이동이 자유로운 공간이다.
상기 수직 거치대(10)의 작업공간부인 수평부(13)를 지나 수직 거치대(10)의 끝단까지는 2차 경사면(14)을 이루고, 끝단부는 조립된 대발매트를 롤 형태로 감을 수 있도록 반원형의 받침부(15)를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수직거치대(10) 대용으로 평면 거치대(10')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평면 거치대(10')는 평상과 같은 형태로서 작업자가 상부에서 허리를 구부린 상태로 작업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연약지반(100)의 인접 육상(A)의 공간부가 협소할 경우 또는 수직 거치대를 설치할 수 없을 경우 평면 거치대(10')를 사용할 수 있다.
평면 거치대(10')에서 조립된 대발매트는 지그재그 방식의 적층이 가능하다.
제2공정: 수직 거치대(10)에서 대나무(30)와 로프(40)를 결속 및 대발매트 형성 단계
수직 거치대(10) 또는 평면 거치대(10') 중 어느 하나에 배열된 로프(40)와 대나무(30)를 결속하기 위해서는 ∩자 형태의 결속철선(20)을 준비한다.
결속철선(20)은 가운데가 이격된 상부롤러와 하부롤러에 철선를 권선시킨 후 상부롤러와 하부롤러의 이격된 중앙부 양측을 절단하면 ∩자형태의 결속철선(20)을 제조할 수 있다.
수직 거치대나 평면 거치대에 배열된 대나무(30) 상부(또는 하부)와 로프(40)를 ∩자형태의 결속철선(20)내로 삽입되게 한 다음 결속철선(20)의 양단이 전동식 결속공구(50)의 회전축(51)과 연결된 어뎁터(52)의 양측 구멍(53)에 끼워진 상태에서 전동식 결속공구(50)를 구동시키게 되면 꼬아진 결속철선(20)에 의하여 대나무(30)와 로프(40)가 결속되게 된다.
전동식 결속공구(50)의 어뎁터(52)는 전동식 결속공구(50) 말단 회전축(51)에 고정되며, 단면부가 ⊃형 으로 이루어진 어덥터(52)는 중심 양측에 결속철선(20)의 단부가 끼워지도록 구멍(53)이 2개 형성되어있다. 2개의 구멍에 삽입된 결속철선(20)은 전동식 결속공구(50)의 회전에 의하여 꼬아지게 된다.
제3공정 : 합성수지 파이프 된 구름마찰파이프(60)를 설치하는 단계
연약지반(100)에 이미 포설된 토목섬유매트(70)위에 1차 대발매트(Mp)를 포설하기 위해 사전에 대발매트가 포설되는 방향으로 합성수지 파이프 된 구름마찰파이프(60)를 소정간격으로 다수 설치한다.
상기 구름마찰파이프(60)는 운반이 용이하도록 롤 형태로 감겨질 수 있는 재질이면서 그 직경은 100~200mm가 바람직하다. 대나무(30) 직경보다 커야 결속철선(20)의 매듭이 토목섬유매트(70)와 접촉되지 않기 때문이다.
구름마찰파이프(60)는 대발매트 포설시 토목섬유매트(70)가 파손되거나 끌려오지 않도록 하고, 대발매트가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가이드레일과 같은 역할을 한다.
제4공정 : 제1차 대발매트 포설단계
기 설치된 토목섬유매트(70) 위에 합성수지 파이프 된 구름마찰파이프(70)를 설치될 제1차 대발매트의 대나무의 방향과 직각되게 설치하고, 구름마찰파이프(70)위로 제1의 대발매트(Mp)가 슬라이딩 되면서 육상부(A)에서 육상부(B)를 향하여 제1의 대발매트(Mp)가 와이어에 의하여 견인되어 포설된다.
제5공정 : 대발매트(Mp)위에 격자형태로 대발매트(Mq)를 포설하는 단계
대발매트(Mp)는 이미 포설이 완료된 상태이고, 그 위에 격자형태로 대발매트(Mq)를 포설하는 방법은 대발매트(Mp)를 토목섬유매트(70)위에 포설하는 방법과 동일하다.
다만 서로 직교된 방향만 다를 뿐이다.
이하 본 발명의 첨부도면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거치대에 대나무(30)와 로프(40)를 올려 대발을 엮어 대발매트를 형성하는 작업과정 예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거치대에 대나무(30)와 로프(40)를 올려 대발을 엮어 롤 형태로 형성하는 작업과정의 측면도로서, 본 발명의 수직 거치대(10)는 연약지반(100)의 인접 육상(A)에 차후 대발매트 포설방향으로 설치되며, 작업자가 서서 이동과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수직 거치대(10)를 설치한다.
상기 수직 거치대(10) 일측에는 대나무(30)가 보관될 수 있도록 보관대(11)를 구비하고, 대나무(30)를 발로 엮기 위해 보관대(11) 하부에는 롤 형태의 로프(40)가 설치된다.
상기 로프(40)는 수직 거치대 일측에 설치되어 수직 거치대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시켜 대발을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수직 거치대 길이방향 즉 대발매트가 포설되는 방향으로 배열된 로프(40) 위에 보관대(11)에 준비된 대나무(30)를 로프(40)가 배열된 방향과 교차되는 직각방향으로 배열시킨다.
상기 수직 거치대의 로프(40) 위에 배열되는 대나무(30)의 간격은 40∼60㎝ 간격으로 배열한다.
상기 수직 거치대는 일측에 대나무(30)와 로프(40)를 보관할 수 있도록 보관대를 설치하되 이의 보관대에서 대나무(30)가 굴러서 이동할 수 있도록 1차 경사면(12)을 가지며, 대발매트를 형성하기 위해 대나무(30)와 로프(40)를 결속하는 부분은 수평부(13)로 이루어져 작업자가 거치대 밑에서 서서 이동하면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거치대의 작업공간부인 수평부(13)를 지나 수직 거치대(10)의 끝단까지는 2차 경사면(14)을 이루고 끝단부는 엮어진 대발을 롤 형태로 감을 수 있도록 반원형의 받침부(15)를 형성한다.
상기 수직 거치대(10)가 일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하는 것은 역어진 대발매트가 롤 형태로 용이하게 감겨지도록 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의 거치대에 올려진 대나무(30)와 로프(40)를 전동식 결속공구(50)를 이용하여 결속철선로 결속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대나무(30)와 로프(40)를 결속철선로 결속한 상태를 나타낸 요부발췌도이다.
본 발명은 대발매트를 제조하기 위해 수직 거치대에 로프(40)를 여러 줄 나열하고 그 위에 로프(40)와 직교방향으로 대나무(30)를 나열한 후 전동공구를 이용하여 도3과 같이 결속철선(20)로 결속한다.
상기와 같이 결속된 대나무(30)와 로프(40)는 ∩자형의 철사를 상부 대나무(30) 측에서 하부로 걸쳐 지도록 한 다음 전동공구의 회전축에 설치된 컵 형태의 어뎁터(52)의 양측 구멍(53)에 걸쳐진 결속철선(20)의 단부가 끼워지도록 한 후 전동식 결속공구(50)를 구동시켜 회전축을 회전시키면 결속철선의 단부가 도4와 같이 결속된다.
이때 대나무(30)와 로프(40)는 결속철선에 의해 결속된 상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동식 결속공구(50)를 이용하여 대나무(30)와 로프(40)를 결속철선로 결속함으로서 결속철선의 단부가 도4와 같이 꽈배기형태로 결속되면서 결속철선 단부가 돌출되더라도 차후 대발매트를 포설시에는 구름마찰파이프를 설치하여 슬라이딩시키면서 포설하므로 결속철선의 돌출된 단부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다.
도5는 본 발명의 대발 매트를 이용하여 연약지반에 포설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대발매트를 이용하여 연약지반의 토목섬유매트(70) 위에 1차 대발매트(M1)를 포설한 상태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연약지반(100)위의 토목섬유매트(70)에 설치된 구름마찰파이프(60)를 이용하여 제1, 제2, 제3 대발매트(Mp)를 일측에 수평이 되도록 연속적으로 포설하면 1차 대발매트(M1)를 포설하게 된다.
이때 수직거치대의 받침부에 보관된 롤(roll)상의 대발매트는 중심부에 삽입된 중심축인 봉 양측 단부에 롤 상의 대발매트가 회전 가능하도록 수직부재를 연약지반의 육상부(A)에 고정하고, 이에 대응되는 타측 연약지반의 육상부(B)에 설치된 와이어에 의하여 롤(roll)상의 대발매트(Mp)를 잡아당겨 구름마찰파이프를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도5와 같이 1차 대발매트를 포설하기 위한 제1의 대발매트(Mp)를 토목섬유매트(70) 위에 포설한다.
상기 포설된 제1의 대발매트(Mp) 일측에 평행하게 제2의 대발매트(Mp)를 기 포설된 토목섬유매트(70) 위에 설치하되 제1의 대발매트의 단부와 겹치도록 연약지반의 육상부(A)에서 제2의 대발매트(Mp)를 상기 제1의 대발매트 포설 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2의 대발매트를 포설하며,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3의, 제4의, ㆍㆍㆍn의 대발매트(Mp)를 연속적으로 포설하여 연약지반의 토목섬유매트(70)위에 1차 대발 매트(M1)를 포설한다.
이때 1차 대발매트(M1)를 포설함에 있어서, 제1의 대발매트(Mp)와 제2의 대발매트(Mp)를 포설한 후에는 가이드레일로 사용하였던 구름마찰파이프(60)를 철거한 후 다시 제3의, 제4의 대발매트(Mp) 포설 구간에 구름마찰파이프(60)를 설치하여 가이드레일로 이용하여 대발매트를 포설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6과 같이 연약지반의 토목섬유매트(70) 상부에 1차 대발매트(M1)를 설치하게 된다.
도7은 본 발명의 대발매트를 이용하여 연약지반의 토목섬유매트(70) 위에 1차 대발매트(M1)를 포설한 상태의 측단면도로서, 상기 도9를 측단면으로 표시한 것이다.
따라서 도7은 연약지반 위에 토목섬유매트(70)가 위치하고 토목섬유매트(70) 위에는 로프(40)와 대나무(30)가 엮여진 대발매트가 설치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8은 본 발명의 1차 포설된 대발매트 위에 교차되도록 2차 대발매트를 포설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9는 본 발명의 1차 포설된 대발매트(M1) 위에 교차되도록 2차 대발매트(M2)를 포설하여 연약지반 위에 격자형상의 대발매트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기 도6과 도7과 같이 1차 대발매트(M1)가 포설된 상부에 2차 대발매트(M2)를 설치하기 위해 1차 포설된 대발매트(M1) 위에 도8과 같이 2차 대발매트(M2)를포설하기 위한 제1의 대발매트(Mq)를 설치하고, 제1의 대발매트(Mq) 측면에 평행하게 제2의 대발매트(Mq)를 설치하되 제1의 대발매트(Mq)의 단부와 약간 겹치도록 연약지반의 육상부(A,)에서 제2의 대발매트(Mq)를 상기 제1의 대발매트(Mq)설치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2의 대발매트(Mq)를 1차 포설된 대발매트(M1)인 제1의 대발매트(Mp) 상부의 교차방향으로 포설한다.
또한 제3, 4, ㆍㆍㆍn의 대발매트(Mq)를 상기 제1, 제2의 대발매트(Mq) 포설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일측에 연속적으로 포설하여 연약지반 토목섬유매트(70)의 1차 포설된 대발매트(M1) 위에 격자 형상으로 제2차 대발 매트(M2)를 포설한다.
도9는 1차 대발매트를 설치한 상부에 2차 대발매트를 설치하여 격자 형태의 대발매트를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1차 포설된 대발매트 위에 교차되도록 2차 대발매트를 포설한상태의 측단면도로서 상기 도9의 설치상태를 일측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연약지반 위에 토목섬유매트(70)가 설치되고 그 상부에 1차 대발매트가 포설되고 제1차 대발매트 상부에 제2차 대발매트가 위치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대발을 엮기 위한 평상형태의 평면 거치대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대발매트를 제조하기 위한 수직 거치대 대용으로 평면 거치대(10')를 도시한 것이다. 도11의 평면 거치대는 연약지반의 인접 육상의 환경여건상 수직 거치대를 설치하지 못할 경우 평면 거치대를 사용할 수 있음을 예시한 것이다.
10:수직거치대 10':평면거치대
11:보관대 12:1차 경사면
13:수평부 14:2차 경사면
15:받침부 20:결속철선
30:대나무 40:로프
50:전동식 결속공구 60:구름마찰파이프
70:토목섬유 100:연약지반
A,B: 육상부 M1:1차 대발매트
Mp:제1, 2, 3ㆍㆍㆍn의 대발매트
M2:2차대발매트 Mq:제1, 2, 3ㆍㆍㆍn의 대발매트

Claims (6)

  1. ⒜ 연약지반의 육상부(A)에 상측에 대나무(30) 및 로프(40)의 보관대(11)와, 이에 연하여 1차 경사면(12)과 수평부(13)로 이어지는 수직 거치대(10)를 설치하는 단계;

    ⒝ 보관대(11)로부터 풀려나온 로프(40)가 1차 경사면(12)과 수평부(13)에 걸쳐 배치된 상태에서 되어있고 로프(40)위로 보관대(11)로부터 나온 대나무(30)가 1차 경사면(12)을 거쳐 수평부(13)에 이른 상태에서 대나무(30)와 로프(40)의 접점부에 전동식 결속공구(50)의 구멍(53)에 삽입된 ∩자형의 결속철선(20)를 삽입하고, 전동식 결속공구(50)의 회전에 의하여 결속철선(20)으로 대나무(30)와 로프(40)의 접점부를 결속시키는 단계;

    ⒞ 수직 거치대(10)를 거쳐 대나무(30)와 로프(40)의 접점부를 전동식 결속공구(50)에 의하여 반복적으로 결속하면서 조립ㆍ완성된 대발매트를 로프(40)의 진행방향으로 지그재그 방식의 적층 또는 롤(roll)상으로 감는 단계;

    ⒟ 지그재그 방식의 적층 또는 롤(roll)상의 대발매트를 육상부(A)에 고정하고, 상기 대발매트의 한끝을 타측 육상부(B)에 설치된 윈치수단의 와이어의 한끝에 연결하여 육상부(B)의 와이어를 윈치수단에 의하여 견인하면서 제1의 대발매트(Mp)를 기 포설된 토목섬유매트(70)위에 포설하는 단계;

    ⒠ 상기 포설된 제1의 대발매트(Mp)에 평행되게 제2의 대발매트(Mp)를 기 포설된 토목섬유매트위에 포설하되 상기 제1의 대발매트와 약간 겹치도록 육상부(A)에서 타측 육상부(B)를 향하여 상기⒟단계의 방법으로 제2의 대발매트(Mp)를 포설하는 단계;

    ⒡ 육상부(A)에서 타측 육상부(B)를 향하여 상기⒠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3, 4, ㆍㆍㆍn의 대발매트(Mp)를 포설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과 포설이 용이한 대발매트의 시공방법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단계 및 ⒠단계에서 기 포설된 토목섬유매트(70)와 그 위에 포설될 제1, 2,ㆍㆍㆍn의 대발매트(Mp)사이에 대나무방향과 직각되게 100~200mm의 직경을 갖는 구름마찰파이프(60)를 일정간격으로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과 포설이 용이한 대발매트의 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 상기 ⒡단계를 거쳐 포설이 완료된 대발매트(Mp)위에 대발매트(Mp)와 직각방향으로 ⒝단계~⒞단계와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조립된 지그재그 방식의 적층 또는 롤(roll)상의 대발매트(Mq)를 육상부(A′)에 고정하고, 상기 대발매트(Mq)의 한끝을 타측 육상부(B′)에 설치된 윈치수단의 와이어의 한끝에 연결하여 육상부(B′)의 와이어를 윈치수단에 의하여 견인하면서 기 포설된 대발매트(Mp)위에 제1의 대발매트(Mq)를 포설하는 단계;

    ⒣ 상기 제1의 대발매트(Mq)에 평행되게 제2의 대발매트(Mq)를 포설하되 제1의 대발매트(Mq)와 약간 겹치도록 육상부(A′)에서 타측 육상부(B′)를 향하여 상기⒟단계의 방법으로 제2의 대발매트(Mq)를 대발매트(Mp)위에 포설하는 단계;
    ⒤ 육상부(A′)에서 타측 육상부(B′)를 향하여 상기⒣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3, 4, ㆍㆍㆍn의 대발매트(Mq)를 포설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과 포설이 용이한 대발매트의 시공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단계에서 기 포설된 제1, 2,ㆍㆍㆍn의 대발매트(Mp)와 그 위에 포설될 제1, 2,ㆍㆍㆍn의 대발매트(Mq)사이에 제1, 2,ㆍㆍㆍn의 대발매트(Mq)의 대나무방향과 직각되게 100~200mm의 직경을 갖는 구름마찰파이프(60)를 일정간격으로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과 포설이 용이한 대발매트의 시공방법
  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구름마찰파이프(60)는 중공부를 갖으면서 롤상 감김이 가능한 합성수지제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과 포설이 용이한 대발매트의 시공방법
  6. ⒜ 연약지반의 육상부(A)에 평면거치대(10')를 설치하는 단계;

    ⒝ 평면거치대(10')에 로프(40)를 소정간격으로 배열하고, 그 위에 대나무(30)를 설치하고, 대나무(30)와 로프(40)의 접점부에 전동결속공구(50)의 구멍(53)에 삽입된 ∩자형의 결속철선(20)를 삽입하고, 전동결속공구(50)의 회전에 의하여 결속철선(20)으로 대나무(30)와 로프(40)의 접점부를 결속시키는 단계;

    ⒞ 평면거치대(10')위에 배열된 대나무(30)와 로프(40)의 접점부를 전동결속공구(50)에 의하여 반복적으로 결속하면서 조립ㆍ완성된 대발매트를 로프(40)의 진행방향으로 지그재그 방식의 적층 또는 롤(roll)상으로 감는 단계;

    ⒟ 지그재그 방식의 적층 또는 롤(roll)상의 대발매트를 육상부(A)에 고정하고, 상기 대발매트의 한끝을 타측 육상부(B)에 설치된 윈치수단의 와이어의 한끝에 연결하여 육상부(B)의 와이어를 윈치수단에 의하여 견인하면서 제1의 대발매트(Mp)를 기 포설된 토목섬유매트(70)위에 포설하는 단계;

    ⒠ 상기 포설된 제1의 대발매트(Mp)에 평행되게 제2의 대발매트(Mp)를 기 포설된 토목섬유매트위에 포설하되 상기 제1의 대발매트와 약간 겹치도록 육상부(A)에서 타측 육상부(B)를 향하여 상기⒟단계의 방법으로 제2의 대발매트(Mp)를 포설하는 단계;

    ⒡ 육상부(A)에서 타측 육상부(B)를 향하여 상기⒠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3, 4, ㆍㆍㆍn의 대발매트(Mp)를 포설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과 포설이 용이한 대발매트의 시공방법
KR1020100074359A 2010-07-30 2010-07-30 조립과 포설이 용이한 대발매트의 시공방법 KR100995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359A KR100995800B1 (ko) 2010-07-30 2010-07-30 조립과 포설이 용이한 대발매트의 시공방법
PCT/KR2011/005460 WO2012015202A2 (ko) 2010-07-30 2011-07-25 조립과 포설이 용이한 대발매트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359A KR100995800B1 (ko) 2010-07-30 2010-07-30 조립과 포설이 용이한 대발매트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5800B1 true KR100995800B1 (ko) 2010-11-22

Family

ID=43409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4359A KR100995800B1 (ko) 2010-07-30 2010-07-30 조립과 포설이 용이한 대발매트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95800B1 (ko)
WO (1) WO2012015202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0025B1 (ko) * 2016-01-18 2016-09-26 주식회사 한국항만기술단 연약지반 표층처리 보강시공을 위한 격자형 대나무망 공법
CN110055946A (zh) * 2019-04-10 2019-07-26 湖北工业大学 一种编制式土工格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99920B (zh) * 2013-04-08 2016-04-20 同济大学 一种加筋地基
CN105297747A (zh) * 2015-11-03 2016-02-03 三峡大学 一种边坡加固方法及其绿化加固骨架
CN112030936A (zh) * 2020-09-04 2020-12-04 中交天航滨海环保浚航工程有限公司 一种对吹填工程软土地基进行处理的施工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6227Y1 (ko) 2003-08-18 2003-12-18 김의선 연약지반 표층보강용 대나무 매트
KR100802168B1 (ko) 2007-08-09 2008-02-11 (주)우주엔지니어링 대나무를 이용한 도로연약지반의 보강구조
KR100932970B1 (ko) 2008-12-10 2009-12-21 주식회사 신아건설산업 연약지반 표층보강을 위한 대발매트(Mat)구조 및 이를이용한 연약지반 표층보강공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92889B2 (ja) * 2008-05-19 2012-12-05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機
KR101006082B1 (ko) * 2008-10-09 2011-01-07 주식회사 한국항만기술단 대나무망을 이용한 연약지반 표층처리공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6227Y1 (ko) 2003-08-18 2003-12-18 김의선 연약지반 표층보강용 대나무 매트
KR100802168B1 (ko) 2007-08-09 2008-02-11 (주)우주엔지니어링 대나무를 이용한 도로연약지반의 보강구조
KR100932970B1 (ko) 2008-12-10 2009-12-21 주식회사 신아건설산업 연약지반 표층보강을 위한 대발매트(Mat)구조 및 이를이용한 연약지반 표층보강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0025B1 (ko) * 2016-01-18 2016-09-26 주식회사 한국항만기술단 연약지반 표층처리 보강시공을 위한 격자형 대나무망 공법
CN110055946A (zh) * 2019-04-10 2019-07-26 湖北工业大学 一种编制式土工格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15202A3 (ko) 2012-05-03
WO2012015202A2 (ko) 2012-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5800B1 (ko) 조립과 포설이 용이한 대발매트의 시공방법
US20110047914A1 (en) Flexible sheet of bricks for construction of architectural elements, and method for manufacture of said sheet
KR102412430B1 (ko) 토목섬유매트 포설공법
KR20010006243A (ko) 표토 상층을 고정하거나 암석 낙하에 대해 보호하기 위해 엮어진 철망 및 상기 철망을 생산하는 방법과 장치
KR101157638B1 (ko) 아치 블록조립체, 그 제작방법 및 시공방법
KR20150082216A (ko) 프리스트레스드 콘크리트 부품들의 제조를 위한 보강 요소, 프리스트레스드 콘크리트 부품 및 이들의 제조방법
JP5073823B2 (ja) 補強された土構造内での使用が意図された補強安定化ストリップ
KR20140087834A (ko) 조립식 콘크리트 아치리브 시공방법
KR20130087365A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 시스템 및 연장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방법
JP2018080541A (ja) 複合ドレーン体及びそれを使用した水平ドレーン圧密工法
KR101177440B1 (ko) 원거리 원통형 매트 포설 공법
KR100890399B1 (ko) 토목섬유매트권취기를 이용한 토목섬유포설방법
AU2010201324A1 (en) Reinforcement element for absorbing forces of concrete slabs in the area of support elements
CN209780040U (zh) 一种钢筋网及钢筋网片
JP4966994B2 (ja) 基礎杭及び杭基礎の構造
CN209523388U (zh) 一种钢筋网及钢筋网片
JP2001200613A (ja) スダレ式組鉄筋の製法とスダレ式組鉄筋とロール状スダレ式組鉄筋と積層状スダレ式組鉄筋の製法及びスダレ式組鉄筋の施工法
CN210421566U (zh) 一种装配式球形空心板
CN113175196A (zh) 索网施工平台
JP5075888B2 (ja) 住宅地盤の強化方法
EP3040495B1 (en) A floor screed reinforcement a method of using such reinforcement to produce a screeded floor
US7618216B1 (en) Faultline fearless nanotube homes
JP4937945B2 (ja) ポーラス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ユニ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の敷設方法
CN115897658B (zh) 一种加筋挡土墙结构及其施工方法
KR102327190B1 (ko) 사각 기둥 철근 조립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위한 지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