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5648B1 - 하우스용 환풍기 - Google Patents

하우스용 환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5648B1
KR100995648B1 KR1020080029094A KR20080029094A KR100995648B1 KR 100995648 B1 KR100995648 B1 KR 100995648B1 KR 1020080029094 A KR1020080029094 A KR 1020080029094A KR 20080029094 A KR20080029094 A KR 20080029094A KR 100995648 B1 KR100995648 B1 KR 100995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house
opening
ventilation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9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3465A (ko
Inventor
장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안그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안그린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안그린테크
Priority to KR1020080029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5648B1/ko
Publication of KR20090103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3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5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5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6Electric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스용 환풍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환기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환기구 상부 외측에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갖고 적층된 제1팬과 제2팬으로 이루어지는 이중날개부를 갖고, 비동작시 상기 제1팬과 제2팬이 펼쳐져 상기 환기구를 밀폐하고 작동시 상기 제1팬과 제2팬이 포개져 상기 환기구를 개방하면서 회전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의 회전방향을 선택적으로 조작하고, 상기 송풍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그리고 상기 송풍팬에 결합되어 상기 이중날개부의 제1팬과 제2팬이 펼쳐지거나 포개지면서 상기 하우징의 환기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이중날개부의 개폐를 조작하기 위한 개폐조작부를 포함하는 하우스용 환풍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환기구를 효율적으로 밀폐하거나 개방할 수 있기 때문에 하우스 내부 및 외부 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하우스, 환풍기, 원격모니터링

Description

하우스용 환풍기{An Equipment of a ventilating used in house}
본 발명은 하우스용 환풍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스 내부 및 외부 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면서 하우스 내부환경을 제어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원격 제어가 가능한 하우스용 환풍기에 관한 것이다.
하우스는 가축들이 사육되는 축사나 농작물이 재배되는 비닐하우스를 통칭하는 포괄적인 용어로서, 일반 가옥에 비해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갖는 건물을 의미한다.
하우스에는 가축과 농작물들이 생육하는데 필요한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도록 하우스 내부의 공기를 환기시키는 환기구가 설치된다. 환기구는 하우스의 외관을 형성하는 비닐 일부를 말아 올려 하우스의 일측을 외부와 관통시키거나 일정한 크기를 갖도록 하우스에 미리 설치된 개구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환기구는 자연적인 바람의 흐름에 의해 하우스 내부의 공기와 외부의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로써 하우스 내부의 온도, 습도 등이 조절된다.
그러나 상기 환기구는 하우스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단순한 개구부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어디까지나 자연적인 온도, 바람 등에 의해 하우스 내부 환 경을 조성할 수 밖에 없다. 즉, 환기구가 형성된 하우스는 순환되는 공기의 양이나 온도 등을 적극적으로 조절하지 못하고 외부에 처한 환경조건에 따라 하우스 내부의 환경을 조성시킬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하우스에는 공기를 강제로 송풍시킬 수 있는 환풍기가 설치된다. 그리고 환풍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하우스의 환기구에 설치하여 강제적으로 내부의 공기를 외부의 공기로 순환시키는 방식으로 하우스 내부의 환경을 조절한다.
상기 환풍기는 전술한 환기구만 형성된 하우스에 비해 강제적으로 하우스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적극적으로 하우스 내부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환풍기 역시 하우스에 형성된 환기구에 설치됨에 따라 그 환기구를 완전히 밀폐하지 못하므로 환풍기가 동작되지 않더라도 환기구를 통해 공기흐름이 발생된다. 그러므로 환풍기가 설치된 하우스는 그 내부 환경을 완전하게 통제하지 못하는 문제는 여전히 존재한다.
한편, 이와 같은 하우스는 주로 파이프 형태의 프레임과 프레임을 덮는 비닐 등 약한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하우스 외부의 큰 환경변화에 매우 취약함을 보인다. 예를 들어, 태풍, 폭설 등이 발생하면 하우스는 바람과 눈의 힘에 큰 손상을 입거나 붕괴될 수 있다. 이는 하우스가 외부의 환경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수단에 있어서 거의 무방비 상태나 마찬가지임을 반증한다.
이와 같이, 하우스는 전술한 경우들처럼 하우스 내부 및 외부환경에 적극적 으로 대처하지 못하기 때문에 본 출원인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면서 보다 효율적으로 하우스를 관리할 수 있는 본 발명을 제안하기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스 내부 및 외부 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하우스용 환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폰 등으로 하우스 내부 및 외부 환경을 원격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적극적으로 하우스 환경에 대처할 수 있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하우스용 환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일 형태인, 환기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환기구 상부 외측에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갖고 적층된 제1팬과 제2팬으로 이루어지는 이중날개부를 갖고, 비동작시 상기 제1팬과 제2팬이 펼쳐져 상기 환기구를 밀폐하고 작동시 상기 제1팬과 제2팬이 포개져 상기 환기구를 개방하면서 회전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의 회전방향을 선택적으로 조작하고, 상기 송풍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그리고 상기 송풍팬에 결합되어 상기 이중날개부의 제1팬과 제2팬이 펼쳐지거나 포개지면서 상기 하우징의 환기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이중날개부의 개폐를 조작하기 위한 개폐조작부를 포함하는 하우스용 환풍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송풍팬은, 복수의 제1블레이드가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팬; 그리고 상호 이격된 복수의 제2블레이드를 구비하며, 상기 모터에 결합되고 상기 제1팬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조작부는, 상기 제1팬에 고정되고 상기 제2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원판과, 상기 회전원판과 상기 제2팬의 이동범위를 조절하는 이동조절부 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조절부재는, 상기 회전원판의 내측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한 쌍의 장공; 상기 장공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면서 상기 제2팬에 고정되는 스톱핀; 그리고 일측이 상기 회전원판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제2팬에 고정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팬 또는 제2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블레이드에 결합되는 절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는 방수모터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른 형태인 하우스에 설치되며 외부와 연통되는 환기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환기구 상부 외측에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갖고 적층된 제1팬과 제2팬으로 이루어지는 이중날개부를 갖고, 비동작시 상기 제1팬과 제2팬이 펼쳐져 상기 환기구를 밀폐하고 작동시 상기 제1팬과 제2팬이 포개져 상기 환기구를 개방하면서 회전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의 회전방향을 선택적으로 조작하고, 상기 송풍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그리고 상기 송풍팬에 결합되어 상기 이중날개부의 제1팬과 제2팬이 펼쳐지거나 포개지면서 상기 하우징의 환기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이중날개부의 개폐를 조작하기 위한 개폐조작부; 상기 하우스 내부 및 외부의 온도 및 풍속에 따라 상기 송풍팬을 작동시키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제어부를 원격으로 조정하도록 하는 원격조종부를 포함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하우스용 환풍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우스의 내부 및 외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하우스 외부의 풍속을 측정하는 풍속측정계; 그리고 상기 온도센서 또는 상기 풍속측정계의 측정결과에 따라 상기 모터를 작동시키는 마이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안테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원격조종부는, 상기 안테나를 통 해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는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휴대폰인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스용 환풍기는, 송풍팬으로 직접 환기구를 밀폐하거나 개방할 수 있기 때문에 하우스의 내부 및 외부환경에 보다 빠르고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하우스용 환풍기는, 상기 효과 이외에도 실시간으로 하우스 내부 및 외부환경을 모니터링 할 수 있기 때문에 환경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목적들의 본 발명들은 하우스의 태풍 및 폭설 등의 큰 피해를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우스용 환풍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하우스용 환풍기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스용 환풍기(1)는 환기구(10a)가 형성된 하우징(10)과, 상기 환기구(10a)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공기를 순환시키는 이중날개부(21)를 구비하는 송풍팬(20)과, 상기 송풍팬(20)을 회전시키는 모터(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10)은 환풍기(1)의 주된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서, 하우징(10)에는 하우스(미도시)의 외부와 내부를 연통시키도록 하는 환기구(10a)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0)은 내부에 원형의 환기구(10a)를 형성하도록 내부가 빈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진다. 물론, 하우징(10)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이러한 하우징(10)에 형성된 환기구(10a)에서, 그 상부는 송풍팬(20)이 회전할 때 공기가 하우스 밖으로 유출되는 유출구가 되며 그 하부는 공기의 유입구가 된다. 반대로, 송풍팬(20)이 역회전할 때에는 환기구(10a)의 상부는 공기의 유입구가 되며 환기구(10a)의 하부는 공기의 유출구가 될 것이다.
그리고 하우징(10)은 하우스의 천장이나 측면 등에 설치될 수 있는데, 하우스에는 상기 하우징(10)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로 개구부(미도시)를 형성하여 상기 개구부에 상기 하우징(10)이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하우스는 상기 하우징(10)의 환기구(10a)를 통해 외부와 연통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우징(10)은 하우스 내부의 습기나 하우스 외부의 빗물 등에 의해 부식되지 않도록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이나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하우징(10), 보다 상세하게는 환기구(10a)의 내부에는 송풍팬(20)이 설치된다. 송풍팬(20)은 상기 환기구(10a)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하우스 내부를 외부로부터 밀폐시키거나 하우스의 내부와 외부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즉, 송풍팬(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구(10a)의 상부에 설치되어 비동작시에는 환기구(10a)를 밀폐하게 된다. 그리고 송풍팬(20)은 작동시에는 환기구(10a)를 개방하면서 회전하게 된다(도 5 참조).
송풍팬(20)은 제1팬(23)과 제2팬(25)으로 이루어지는 이중날개부(21)를 구비한다. 상기 이중날개부(21)는 제1팬(23)과 제2팬(25)이 서로 펼쳐지거나 포개질 수 있기 때문에 환기구(10a)를 밀폐하거나 개방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송풍팬(20)의 하부에는 송풍팬(2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30)가 설치된다. 모터(30)는 그 축(31)이 환기구(10a)의 상부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모터(30)의 축(31)에는 상부에 위치한 송풍팬(20)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모터(30)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이 가능한 정/역 모터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역회전이 가능한 모터는 송풍팬(20)의 회전방향을 선택적으로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환기구(10a)를 통해 하우스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거나 하우스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다.
한편, 일반적인 모터(30)는 장기간 사용되면 습기에 의해 부식되면서 녹(rust) 등 이물질이 발생한다. 이러한 이물질은 송풍팬(20)에 의해 순환되면서 하우스 내부를 오염시킬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 모터(30)로 방수모터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터(30)로 방수모터가 사용되면 모터(30)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하우스 내부 환경을 장기간동안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터(30)는 이물질 차단부재(15)에 의해 하우징(10) 내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물질 차단부재(15)는 중심에 빈 공간이 형성된 그릴(grill) 형태로 환기구(10a)에 대응되는 크기로 제작되어 볼트(미도시), 용접 등 결합수단을 통해 하우징(10)과 모터(30)를 고정한다.
즉, 이물질 차단부재(15)의 중심에는 모터(30)를 배치하여 고정시키고 외주 부분을 상기 하우징(10)의 내벽에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이물질 차단부재(15)는 상기 모터(30)와 함께 하우징(10)의 내부에 고정된다.
그리고 이물질 차단부재(15)는 그릴 형태로 제작되므로 이물질을 차단하더라도 공기는 환기구(10a)로 원활하게 유입되거나 유출될 수 있다. 즉, 하우스 내부의 식물의 잎이나 부유물 등이 공기와 함께 환기구(10a)로 진입될 경우 이물질 차단부재(15)는 이물질을 통과하지 못하게 저지하면서 공기만을 유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물질 차단부재(15)는 이물질에 의해 모터(30)의 축(31) 또는 송풍팬(2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물질 차단부재(15)에 의해 외부로부터 하우스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하우스 내부의 환경은 보다 쾌적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0)의 하부에는, 환기구(10a) 내부에 결합되어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에어가이드(17)가 설치된다. 에어가이드(17)는 복수의 블레이드(17a)가 방사상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환기구(10a)를 통과하는 공기는 에어가이드(17)를 통해 하우징(10)의 수직방향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안내되면서 하우스 내부 및 외 부로 순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송풍팬(20)에 결합되어 송풍팬(20)의 이중날개부(21)가 펼쳐지거나 포개지면서 하우징(10)의 환기구(10a)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이중날개부(21)의 개폐를 조작하는 개폐조작부(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개폐조작부(4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그 전에 전술한 이중날개부(21)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송풍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송풍팬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2의 송풍팬이 포개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송풍팬(20)의 이중날개부(21)는 상부에 배치되는 제1팬(23)과, 상기 제1팬(23)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모터(30)의 축(31)에 결합되는 제2팬(25)으로 이루어진다.
참고로, 앞으로 자주 사용하게 될 '펼쳐진다'는 단어의 의미는 이중날개부(21)를 구성하는 제1팬(23)과 제2팬(25)이 각각의 개방된 공간을 없애도록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를 의미한다. 도 1 및 도 2에는 펼쳐진 이중날개부(21)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이중날개부(21)는 송풍팬(20)이 회전하지 않을 때(모터(30)의 비동작시) 펼쳐진 상태에 놓이며, 이에 따라 하우징(10)의 환기구(10a)는 밀폐된 상태가 된다.
반대로 '포개진다'는 단어의 의미는 이중날개부(21)의 제1팬(23)과 제2 팬(25)의 접촉면적이 크게 되도록 제1팬(23)의 제1블레이드(23a)들과, 하부에 위치한 제2팬(25)의 제2블레이드(25a)들이 중첩된 상태를 의미한다. 이때, 제1팬(23)과 제2팬(25)의 중첩된 제1블레이드(23a)와 제2블레이드(25b)들 사이에는 개방된 공간들이 존재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이중날개부(21)는 포개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이중날개부(21)는 송풍팬(20)이 회전하면 포개지게 되며, 이중날개부(21)가 포개질 경우 하우징(10)의 환기구(10a)는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이중날개부(21)를 구성하는 제1팬(23)과 제2팬(25)에 대해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팬(23)은 하우징(10)의 환기구(10a) 상부 외측에 위치된다. 제1팬(23)은 중심체(23b)와, 중심체(23b)의 둘레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결합된 복수의 제1블레이드(23a)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중심체(23b)는 하부가 개구된 원기둥, 즉 사발(bowl) 형태로 제작되어 제1팬(23)의 몸체를 형성한다. 제1블레이드(23a)는 복수개가 상호 이격되도록 상기 중심체(23b)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제1블레이드(23a)들 사이에는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며, 이러한 개방된 공간에 제2팬(25)의 제2블레이드(25a)가 위치되면서 상기 제1팬(23)과 제2팬(25)은 서로 펼쳐지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중심체(23b)의 외주면에는 볼트공(24b)이 복수개 관통 형성되는데, 볼트공(24b)에는 볼트(24a)가 삽입되면서 중심체(23b)를 후술할 회전원판(41)에 결 합된다.
제2팬(25)은 중심판(25b)과, 중심판(25b)에 방사상으로 결합된 복수의 제2블레이드(25a)를 구비한다. 중심판(25b)은 원판 형태로 제작되어, 후술할 회전원판(41)이 회전가능하게 놓여진다. 중심판(25b)에는 모터(30)의 축(31)이 결합되는 축공(25c)과, 후술할 스톱핀(43a)이 결합되는 한 쌍의 스톱핀결합공(43d)이 형성된다.
그리고 중심판(25b)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팬(23)과 대응되는 복수의 제2블레이드(25a)가 결합된다. 상기 제1팬(23)과 마찬가지로 제2팬(25)의 복수개의 제2블레이드(25a)들 사이에도 개방된 공간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블레이드(23a,25a)의 개수는 임의로 선택할 수 있으며, 원하는 풍속 및 풍향에 따라 그 크기와 모양을 변형하여 제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팬(23) 및 제2팬(25)에 6개의 각 블레이드(23a,25a)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도시하였다.
한편, 상기 제1팬(23)와 제2팬(2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블레이드(23a, 25a)들에는 송풍팬(20)의 회전시 풍향을 조절하기 위한 절곡부(26)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팬(23)의 제1블레이드(23a)에 하향 경사지도록 절곡된 절곡부(26)가 결합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중날개부(21)가 포개졌을 경우, 제1팬(23)의 제1블레이드(23a)에 결합된 절곡부(26)에 의해 바람의 방향이 안내된다.
또한, 이중날개부(21)가 펼쳐질 경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팬(23)의 절곡부(26)는 그 일부가 제2팬(25)의 제2블레이드(25a)의 하부면에 접촉되면서 각 블레이드(23a, 25a)들의 간격을 보다 더 밀폐하는 역할도 겸할 수 있다.
한편, 개폐조작부(40)는 상기 이중날개부(21)의 제1팬(23)과 제2팬(25)의 사이에 결합되어 이중날개부(21)를 상호 포개지거나 펼쳐지도록 그 개폐를 조작한다.
개폐조작부(40)는 상기 제1팬(23)과 제2팬(25)의 사이에 위치하면서 제1팬(23)과 제2팬(25)을 상대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전원판(41)과, 상기 회전원판(41)의 이동 범위를 조절하는 이동조절부재(43)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원판(41)은 상기 이중날개부(21)의 중앙영역에 위치하게 되는데, 제1팬(23)에 고정되고 제2팬(25)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회전원판(41)은 상부가 개구된 사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팬(23)의 중심체(23b)가 외측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팬(23)의 중심체(23b)보다 작은 크기로 제작된다.
회전원판(41)의 외주면에는 상술한 제1팬(23)의 중심체(23b)와의 결합시 볼트(24a)가 삽입되는 볼트결합공(41a)이 복수개 형성된다. 이에, 제1팬(23)과 회전원판(41)은 볼트(24a)에 의해 결합되면서 상호 고정되므로, 회전원판(41)은 제1팬(23)과 일체로 움직일 수 있다.
그리고 회전원판(41)의 중앙에는 모터(30)의 회전축(31)이 삽입되는 중심축공(41c)이 형성된다. 회전원판(41)은 제2팬(25)의 중심판(25b)에 놓여지면서 모터(30)의 축(31)이 회전원판(41)의 중심공(41c)에 결합됨에 따라 제2팬(2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동조절부재(43)는 상기 회전원판(41)과 제2팬(25)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원판(41)과 상기 제2팬(25)이 서로 포개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이동범위를 제한한다.
이동조절부재(43)는, 보다 상세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원판(41)에 형성되는 적어도 한 쌍의 장공(43b)과, 상기 장공(43b)과 대응되도록 제2팬(25)에 형성된 한 쌍의 스톱핀결합공(43d)과, 각각이 상기 장공(43b)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면서 상기 제2팬(25)의 스톱핀결합공(43d)에 고정되는 한 쌍의 스톱핀(43a)과, 일측이 상기 회전원판(41)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제2팬(25)에 고정되는 토션스프링(43c)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장공(43b)은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회전원판(41)의 하면에 내측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대향되게 한 쌍이 마주보도록 관통형성된다. 그리고 스톱핀(43a)은 각 장공(43b)에 삽입되면서 제2팬(25)의 스톱핀결합공(43d)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스톱핀(43a)의 머리부분은 장공(43b)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장공(43b)에서 스톱핀(43a)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회전원판(41)이 제2팬(25)에 대해 회전할 경우, 회전원판(41)의 장공(43b)의 길이방향을 따라 스톱핀(43a)은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이에, 상기 회전원판(41)은 좌우 회전할 수 있는 이동범위가 상기 장공(43b)의 길이만큼 제한된다. (참고로, 회전원판(41)은 모터(30)의 축(31)과 결합되면서 제2팬(25)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고 전술한 바 있다.)
그리고 토션스프링(43c)은 일단부가 회전원판(41)의 하면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제2팬(25)의 중심판(25b) 상면에 고정되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범위가 제한되는 회전원판(41)을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여기서, 토션스프링(43c)은 회전원판(41)에 고정된 제1팬(23)과 제2팬(25)이 서로 펼쳐진 상태로서 이중날개부(21)를 구성하는 위치에서 회전원판(41)에 탄성력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명의 편의상, 이중날개부(21)가 펼쳐지면서 환기구(10a)를 폐쇄하는 위치를 '폐쇄위치'라고 칭하고, 이중날개부(21)가 포개지면서 환기구(10a)를 개방하는 위치를 '개방위치'라고 칭하기로 한다.
폐쇄위치에서 스톱핀(43a)은 장공(43b)의 한 방향의 끝단에 위치하게 되며, 개방위치에서 스톱핀(43a)은 장공(43b)의 다른 방향의 끝단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에 점선(개방위치)과 실선(폐쇄위치)으로 각각 도시된 토션스프링(43c)과 장공(43b)의 위치를 참조한다.
상기 회전원판(41)을 '폐쇄위치'에서 반시계방향(좌측)으로 힘을 가하여 회전시키면, 스톱핀(43a)은 장공(43b)의 한 방향 끝단에서 다른 방향의 끝단으로 이동한다. 즉, 회전원판(41)은 '개방위치'로 이동하면서 이중날개부(21)는 도 5와 같이 포개진 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때, 가한 힘을 해제하면 토션스프링(43c)의 탄성복원력이 작용하여 회전원판(41)은 시계방향(우측)으로 회전하면서 다시 '폐쇄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러한 원리로 모터(30)에 의해 송풍팬(20)이 회전하게 되면 원심력에 의해 회전원판(41)이 제2팬(25)에 대해 이동하면서 '개방위치'로 이동한다. 즉, 이중날 개부(21)는 펼쳐진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개진 상태로 변환되면서 회전한다.
이와 같이 개폐조작부(40)를 구비하는 송풍팬(20)은 모터(30)에 의해 회전하지 않을 때에는 이중날개부(21)는 펼쳐진 상태에 놓이므로 환기구(10a)를 밀폐하게 되고, 송풍팬(20)이 회전할 때에는 이중날개부(21)가 포개진 상태에 놓이므로 하우징(10)의 환기구(10a)는 개방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우스용 환풍기(1)는 환기구(10a)를 선택적으로 밀폐하거나 개방하도록 동작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는 환풍기가 동작하지 않을 때 환기구를 통해 공기흐름이 발생됨에 따라 그 내부 환경을 완전하게 통제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하우스용 환풍기의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하우스 내부 및 외부의 환경을 제어할 수 있는 본 발명인 원격제어가 가능한 하우스용 환풍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하우스용 환풍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환풍기(1)의 구성들과, 상기 송풍팬(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0)와, 상기 하우스의 상태를 먼 거리에서 모니터링하면서 제어부(50)를 조종할 수 있는 원격조종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50)는 하우스의 내부 및 외부 환경에 따라 송풍팬(20)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어부(50)는 모터(3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우징(10)에 구현되거나 하우징(10)과 별도로 구성되어 하우스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50)는 온도센서(51)와, 풍속측정계(53)와, 마이컴(55)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온도센서(51)는 하우스의 내부 및 외부 온도를 측정한다. 상기 온도센서(51)로써 하우스의 내부 및 외부에 설치되는 PT 온도센서가 채용될 수 있다. 온도센서(51)는 하우스 내부 및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온도 데이터를 후술할 마이컴(55)으로 전달하여 하우스 내부가 설정된 온도로 유지되는지 살필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온도센서(51)로 측정된 하우스 온도를 마이컴(55)에서 설정된 온도와 비교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50)는 하우스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송풍팬(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풍속측정계(53)는 하우스 내부 및 외부의 풍속을 측정하도록 하우스 내부와 외부에 각각 설치된다. 하우스 내부에 설치되는 풍속측정계(53)를 통해 환풍기(1)가 동작할 때 하우스 내부에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측정할 수 있으며, 하우스 외부에 설치되는 풍속측정계(53)를 통해 하우스 외부의 공기 유속을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풍속측정계(53)는 측정된 풍속 데이터를 마이컴(55)에 전달하는데, 하우스 외부의 큰 환경변화인 태풍을 감지할 때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그리고 마이컴(55)은 전술한 온도센서(51), 풍속측정계(53)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들을 전달받아 미리 설정 입력된 데이터과 서로 비교하여 환풍기(1)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마이컴(55)은 이러한 데이터의 비교 분석에 따라 하우스 내 부를 설정된 온도, 습도 등이 유지될 수 있도록 모터(30)를 구동시킴으로써 송풍팬(20)을 회전시키게 된다. 여기서, 마이컴(55)은 사용자에 의해 적정한 하우스 내부의 온도, 습도, 풍속 등을 설정 입력받는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어부(50)는 버튼 입력방식 등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상기 환풍기(1)의 동작을 수동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미리 설정된 하우스 내부의 온도, 습도 등 데이터 값과 실시간 측정한 데이터 값을 비교하면서 하부의 내부의 환경이 설정된 데이터 값을 유지하도록 자동으로 환풍기(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원격조종부(60)는 상기 환풍기(1)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한 사용자가 무선으로 제어부(50)를 조종하도록 하여 환풍기(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끔 한다.
이러한 원격조종부(60)는 전술한 제어부(50)의 구성에 더 포함되는 안테나(57)와, 상기 안테나(57)를 통해 제어부(50)와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는 단말기(6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안테나(57)는 하우스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50)의 온도센서(51) 및 풍속측정계(53)로부터 각각 측정된 데이터들과, 상기 마이컴(55)에 미리 설정 입력된 데이터와, 상기 마이컴(55)을 통해 분석된 데이터 신호들을 단말기(63)로 송신하거나 단말기(63)로부터 명령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63)는 상기 안테나(57)를 통해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 및 송신할 수 있는 휴대폰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테나(57)와 단말기(50)는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에 의한 쌍방통신을 주고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휴대폰 등 단말기(63)를 통해 하우스로부터 먼거리에서 하우스 내부의 온도, 풍속 등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공된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는 제어부(50)의 동작을 제어하는 명령 신호를 보냄으로써 환풍기(1)를 동작시키거나 동작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도 7a 및 7b는 도 6의 환풍기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하우스용 환풍기를 태풍 및 폭설에 대비하여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전술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태풍으로 인한 하우스의 피해는 하우스 내부와 외부의 유속의 차이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풍(Typhoon Wind)이 하우스(H)의 상부를 빠른 유속으로 지나가게 되면 하우스(H)의 상부에는 부압(Po)이 발생하여 하우스(H)를 덮는 비닐과 프레임이 뽑혀 날아가 버리게 된다.
이러한 태풍(Typhoon Wind)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태풍(Typhoon Wind)에 의한 부압(Po)에 상당하도록 하우스 내부에 부압(Pi)을 생성시켜야 한다.
이에 따라, 하우스(H) 외부에서 태풍(Typhoon Wind)이 발생하면, 하우스(H)의 일측에 설치된 본 발명의 하우스용 환풍기(1)는 송풍팬(20)이 개구부(10a)를 개방하면서 하우스(H)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토출시키도록 작동한다. 그리고 하우 스(H) 외부에 설치된 풍속측정계(53)를 통해 측정된 태풍(Typhoon Wind)의 유속에 따라 하우스(H) 외부로 토출할 공기의 양이 산정될 수 있다.
이렇게 측정된 태풍(Typhoon Wind)의 풍속에 대응하도록 송풍팬(20)을 사용하여 하우스(H) 내부의 공기를 하우스(H) 외부로 토출하면, 하우스(H) 내부에는 태풍(Typhoon Wind)에 의해 발생하는 부압(Po)에 상당하는 부압(Pi)을 얻을 수 있으므로 태풍(Typhoon Wind)에 의해 하우스(H)의 비닐과 프레임이 뽑혀 날아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본 발명의 하우스용 환풍기가 설치된 하우스는 태풍(Typhoon Wind)에 의한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하우스는 폭설에 의해서도 붕괴되는 피해를 입게 된다. 폭설에 의한 하우스의 피해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Snow)이 점점 하우스(H)의 상부에 쌓이면서 압력(Po)이 하우스(H) 내부로 작용함에 따라 하우스(H)가 그 압력을 이기지 못해서 발생한다. 이때, 폭설에 의한 피해는 하우스(H) 상부에 쌓인 눈(Snow)을 치울 시간적 여유가 없이 많은 양의 눈(Snow)이 짧은 시간에 한꺼번에 쌓이기 때문에 피해는 더욱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따라서, 하우스(H) 내부를 일정 크기의 양압(Pi, Positive Pressuer)으로 유지시키게 되면, 하우스(H)의 상부에 계속 쌓이는 폭설의 하중(Po)에도 불구하고 오랜 시간을 견딜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술한 태풍의 예와는 달리 송풍팬(20)을 통해 하우스(H)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켜 하우스(H) 내부에 양압(Pi)을 발생시킨다. 통상적으로 하우스(H)는 돔(dome) 형태로 구성되므로 하우스(H) 내부에 양압이 발생되면 하우 스(H)를 풍선처럼 더욱 부풀린 상태로 만들 수 있다.
따라서, 내부에 일정한 크기로 양압이 유지된 하우스(H)의 상부가 눈(Snow)이 더욱 잘 미끄러지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우스(H) 상부에 쌓인 눈(Snow)의 압력을 더 오랜 시간 견딜 수 있게 되므로 눈(Snow)을 제거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본 발명은 환풍기의 원격 제어가 가능한 원격조정부(60)를 통해서 하우스(H)로부터 먼 거리의 사용자가 태풍 및 폭설에 대비하여 환풍기(1)를 제어할 수 있음도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송풍팬으로 직접 환기구를 밀폐하거나 개방할 수 있기 때문에 하우스(H)의 내부 및 외부환경에 보다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먼거리의 사용자가 하우스(H) 내부 및 외부환경 변화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우스용 환풍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하우스용 환풍기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송풍팬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송풍팬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2의 송풍팬이 포개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하우스용 환풍기의 구성도; 그리고
도 7a 및 7b는 도 6의 환풍기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환풍기 10 : 하우징
10a: 환기구 20 : 송풍팬
21 : 이중날개부 23 : 제1팬
23a: 제1블레이드 25 : 제2팬
25a: 제2블레이드 26 : 절곡부
30 : 모터 40 : 개폐조작부
41 : 회전원판 43: 이동부재
50 : 제어부 51 : 온도센서
53 : 풍속측정계 55 : 마이컴
57 : 안테나 60 : 원격조종부
63 : 단말기

Claims (10)

  1. 환기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환기구 상부 외측에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갖고 적층된 제1팬과 제2팬으로 이루어지는 이중날개부를 갖고, 비동작시 상기 제1팬과 제2팬이 펼쳐져 상기 환기구를 밀폐하고 작동시 상기 제1팬과 제2팬이 포개져 상기 환기구를 개방하면서 회전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의 회전방향을 선택적으로 조작하고, 상기 송풍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그리고
    상기 송풍팬에 결합되어 상기 이중날개부의 제1팬과 제2팬이 펼쳐지거나 포개지면서 상기 하우징의 환기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이중날개부의 개폐를 조작하기 위한 개폐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스용 환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은,
    복수의 제1블레이드가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팬; 그리고
    상호 이격된 복수의 제2블레이드를 구비하며, 상기 모터에 결합되고 상기 제1팬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스용 환풍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조작부는,
    상기 제1팬에 고정되고 상기 제2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원판과,
    상기 회전원판과 상기 제2팬의 이동범위를 조절하는 이동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스용 환풍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조절부재는,
    상기 회전원판의 내측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한 쌍의 장공;
    상기 장공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면서 상기 제2팬에 고정되는 스톱핀; 그리고
    일측이 상기 회전원판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제2팬에 고정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스용 환풍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팬 또는 제2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블레이드에 결합되는 절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스용 환풍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방수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스용 환풍기.
  7. 하우스에 설치되며 외부와 연통되는 환기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환기구 상부 외측에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갖고 적층된 제1팬과 제2팬으로 이루어지는 이중날개부를 갖고, 비동작시 상기 제1팬과 제2팬이 펼쳐져 상기 환기구를 밀폐하고 작동시 상기 제1팬과 제2팬이 포개져 상기 환기구를 개방하면서 회전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의 회전방향을 선택적으로 조작하고, 상기 송풍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그리고
    상기 송풍팬에 결합되어 상기 이중날개부의 제1팬과 제2팬이 펼쳐지거나 포개지면서 상기 하우징의 환기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이중날개부의 개폐를 조작하기 위한 개폐조작부;
    상기 하우스 내부 및 외부의 온도 및 풍속에 따라 상기 송풍팬을 작동시키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제어부를 원격으로 조정하도록 하는 원격조종부를 포함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하우스용 환풍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우스의 내부 및 외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하우스 외부의 풍속을 측정하는 풍속측정계; 그리고
    상기 온도센서 또는 상기 풍속측정계의 측정결과에 따라 상기 모터를 작동시키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하우스용 환풍기.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안테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원격조종부는, 상기 안테나를 통해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하우스용 환풍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휴대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하우스용 환풍기.
KR1020080029094A 2008-03-28 2008-03-28 하우스용 환풍기 KR100995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094A KR100995648B1 (ko) 2008-03-28 2008-03-28 하우스용 환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094A KR100995648B1 (ko) 2008-03-28 2008-03-28 하우스용 환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3465A KR20090103465A (ko) 2009-10-01
KR100995648B1 true KR100995648B1 (ko) 2010-11-19

Family

ID=41532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9094A KR100995648B1 (ko) 2008-03-28 2008-03-28 하우스용 환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56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352B1 (ko) * 2013-09-06 2014-11-18 구광모 온실의 복합환경제어시스템
KR101600034B1 (ko) * 2015-04-20 2016-03-04 (주)한국송풍기엔지니어링 송풍기의 풍량 조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39478B1 (en) 2008-12-30 2014-06-03 Pvt Solar, Inc. Integrated thermal module and back plate structure and related methods
US9103563B1 (en) 2008-12-30 2015-08-11 Sunedison, Inc. Integrated thermal module and back plate structure and related methods
KR102356859B1 (ko) 2019-09-26 2022-02-03 장승호 비닐 온실의 열손실 방지를 위한 천장 환풍기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7057B1 (ko) 2000-07-19 2002-10-18 주식회사 신안그린테크 비닐 하우스용 공기 교반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7057B1 (ko) 2000-07-19 2002-10-18 주식회사 신안그린테크 비닐 하우스용 공기 교반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352B1 (ko) * 2013-09-06 2014-11-18 구광모 온실의 복합환경제어시스템
KR101600034B1 (ko) * 2015-04-20 2016-03-04 (주)한국송풍기엔지니어링 송풍기의 풍량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3465A (ko) 200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5648B1 (ko) 하우스용 환풍기
NL2011217C2 (en) Greenhouse having an air mixing chamber which is equipped with a heating unit at an ambient air inlet.
US201102533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nsing air flow, carbon dioxide or volatile organic compound in residential building
SE1000435A1 (sv) System och metod för att ventilera ett avgränsat utrymme
JP6403043B2 (ja) 住宅内温度制御装置
DK179084B1 (en) A roof window system comprising a ventilation assembly and method of operating such a ventilation assembly
KR102282451B1 (ko) 시스템 루버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
ES2576734T3 (es) Dispositivo y procedimiento para la refrigeración de espacios cerrados
US9551502B2 (en) Hybrid ventilation apparatus capable of both natural and forced ventilation
KR101998640B1 (ko) 통풍경로를 제어하는 환기시스템 및 환기방법
US9970671B2 (en) Bulkhead assemblies and methods for air conditioner units
EP3309468B1 (en) A roof window system comprising a ventilation assembly with an exhaust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a ventilation assembly of such a roof window system
JP5085193B2 (ja) 外気取り入れ装置
KR200309757Y1 (ko) 환기공 개폐장치 및 이를 적용한 환풍기
KR101932513B1 (ko) 건축물의 실내공기 배출용 환풍기 및 그것을 포함하는 환풍장치
US4167898A (en) Illumination and ventilation system for buildings
WO2020053479A1 (en) Exhaust-air blower and exhaust-air system of a building
JP4428135B2 (ja) 換気装置
JP2003021385A (ja) 換気装置
JP2813910B2 (ja) 自然開閉換気口装置
KR200424327Y1 (ko) 환기장치
JP2006194455A (ja) 換気装置
KR101472719B1 (ko) 일체형 점검구를 갖는 천정카세트형 팬코일 유니트
KR102615252B1 (ko) 고장 유무 감지기능을 갖는 창틀 장착형 환기 장치
US318912A (en) Ventil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4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