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5272B1 - Junction box - Google Patents

Junction box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5272B1
KR100995272B1 KR1020080049254A KR20080049254A KR100995272B1 KR 100995272 B1 KR100995272 B1 KR 100995272B1 KR 1020080049254 A KR1020080049254 A KR 1020080049254A KR 20080049254 A KR20080049254 A KR 20080049254A KR 100995272 B1 KR100995272 B1 KR 100995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icator
insertion hole
bus bar
main body
cassett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92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123269A (en
Inventor
고민규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9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5272B1/en
Publication of KR20090123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32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5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52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션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전장품이 실장되는 메인몸체(30)의 내부를 관통하여 제1삽입홀(35)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몸체(30)의 하부에 결합되는 버스바커버(50)에 상기 제1삽입홀(35)과 연통되는 제2삽입홀(53)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삽입홀(53)에는 인디케이터(60)가 이동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카세트블록(70)이 버스바커버(50)의 저면에 결합되는 과정 중 상기 카세트블록(70)에 의해 상기 인디케이터(60)가 밀어올려져 상기 카세트블록(70)의 위치를 확인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1삽입홀(35)과 제2삽입홀(53)의 각각의 입구부(37,55)에는 챔퍼(37',55')가 형성되어 상기 인디케이터(6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인디케이터(60)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걸이부(63,65)를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형성하여 인디케이터(60)의 조립방향성을 제거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카세트블록이 정확하게 조립되었는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정션박스의 신뢰성이 확보되고, 정션박스의 조립작업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unction box.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insertion hole 35 is formed by penetrating the inside of the main body 30 in which various electric appliances are mounted, and the first and second bus bar covers 50 are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30. The second insertion hole 53 communicating with the insertion hole 35 is formed. The indicator 60 is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holes 53 so as to be movable, and the cassette block 70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us bar cover 50 by the cassette block 70. The indicator 60 is pushed up to confirm the position of the cassette block 70. Chamfers 37 'and 55' are formed at inlets 37 and 55 of the first insertion hole 35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53, respectively, to facilitate the insertion of the indicator 60. .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hook parts 63 and 65 formed at both ends of the indicator 60 are formed at positions opposite to each other to remove the assembly direction of the indicator 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visually check whether the cassette block is assembled correctly, thereby ensuring the reliability of the junction box and making it easier to assemble the junction box.

정션박스, 카세트블록, 인디케이터 Junction Box, Cassette Block, Indicator

Description

정션박스{Junction box}Junction box

본 발명은 정션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다수개의 휴즈, 릴레이 및 전자 부품등이 설치되어 구성되는 정션박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unction box, and more particularly, to a junction box in which a plurality of fuses, relays and electronic components are installed therein.

정션박스는 예를 들면,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장치로 전원과 제어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정션박스의 내부에는 많은 휴즈와 릴레이 그리고 전자부품들이 설치된다.Junction boxes, for example, are used in automobiles, and can transmit power and control signals to various devices used in automobiles. To this end, many fuses, relays and electronic components are installed inside the junction box.

따라서, 상기 휴즈와 릴레이 및 전자부품을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많은 와이어가 정션박스의 내부로 연결된다. 상기 휴즈와 릴레이 및 전자부품들은 정션박스 내부의 회로기판 등에 실장되어 있고, 상기 부품들과 상기 와이어 사이의 연결을 위해 다수개의 커넥터가 구비된다.Accordingly, many wires ar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junction box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use, the relay, and the electronic component to the outside. The fuses, relays, and electronic components are mounted on circuit boards inside the junction box, and a plurality of connectors are provided for connection between the components and the wires.

도 1에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정션박스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junction box according to the prior art.

이에 따르면, 정션박스의 골격은 메인몸체(1)가 형성한다. 상기 메인몸체(1)는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메인몸체(1)에는 릴레이나 휴즈와 같은 다양한 전장 품(2)이 장착된다. According to this, the skeleton of the junction box is formed by the main body (1). The main body 1 is formed in an approximately hexahedral shape as shown to be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ynthetic resin. The main body 1 is equipped with a variety of electrical appliances (2) such as relays or fuses.

상기 메인몸체(1)에는 버스바조립체(5)가 결합된다. 상기 버스바조립체(5)는 다수개의 절연판이 적층되고 버스바(7)가 설치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도 1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상기 메인몸체(1)의 하방에 결합된다. The bus bar assembly 5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 The bus bar assembly 5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insulating plates and having a bus bar 7 installed therein. The bus bar assembly 5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 when viewed in FIG. 1.

상기 버스바조립체(5)에는 버스바커버(10)가 결합된다. 상기 버스바커버(10)는 상기 버스바(7)를 사이에 두고 상기 메인몸체(1)와 결합되어, 상기 버스바조립체(5)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The bus bar cover 10 is coupled to the bus bar assembly 5. The bus bar cover 1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 with the bus bar 7 therebetween, and serves to fix the bus bar assembly 5.

상기 버스바커버(10)의 일측에는 카세트블록(15)이 결합된다. 상기 카세트블록(15)의 중앙에는 조립볼트(B)와 나사결합되는 결합부(17)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조립볼트(B)가 상기 메인몸체(1), 버스바조립체(5) 및 버스바커버(10)를 관통하여 상기 결합부(17)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카세트블록(15)이 상기 버스바커버(10)의 저면에 밀착 고정된다. 상기 카세트블록(15)이 상기 버스바커버(10)의 저면에 밀착되면, 상기 카세트블록(15)의 내부에 구비되는 터미널(미도시)과 상기 버스바(7)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cassette block 15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bus bar cover 10. The center of the cassette block 15 is formed to protrude a coupling portion 17 is screwed with the assembly bolt (B). The assembly bolt (B) is fastened to the coupling part 17 through the main body 1, the bus bar assembly 5 and the bus bar cover 10, the cassette block 15 is the bus bar cover It is closely attached to the bottom of 10. When the cassette block 15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bus bar cover 10, a terminal (not shown) provided in the cassette block 15 and the bus bars 7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메인몸체(1)에는 제1커버(20)와 제2커버(25)가 결합된다. 상기 제1 및 제2커버(20,25)는 서로 결합되어 상기 메인몸체(1) 및 버스바조립체(5), 그리고 버스바커버(1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The first cover 20 and the second cover 25 are coupled to the main body 1. The first and second covers 20 and 25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protect the main body 1, the bus bar assembly 5, and the bus bar cover 10.

이러한 구성의 정션박스에서 카세트블록(15)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버스바조립체(5)와 버스바커버(10)가 조립된 메인몸체(1)를 상기 카세트블록(15)이 안착되어 있는 제2커버(25) 위에 얹어 놓는다. 다음으로 상기 조립볼트(B)를 체결 하는데, 이때 상기 카세트블록(15)이 딸려 올라가 상기 버스바커버(10)의 저면에 밀착됨으로써 카세트블록(15)의 조립이 완료된다. Referring to the assembly process of the cassette block 15 in the junction box of this configuration, first, the cassette block 15 is seated on the main body (1) assembled with the bus bar assembly 5 and the bus bar cover 10. The second cover 25 is placed on it. Next, the assembly bolt (B) is fastened. At this time, the cassette block 15 comes up and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bus bar cover 10 to complete the assembly of the cassette block 15.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정션박스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junction box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has the following problems.

종래기술에 의하면 정션박스의 조립과정 중 상기 카세트블록(15)이 상기 제2커버(25)에 의해 가려진 상태에서 상기 조립볼트(B)의 체결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작업자가 상기 버스바커버(10)에 상기 카세트블록(15)이 정확하게 조립되었는지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렵다.According to the related art, since the fastening operation of the assembly bolt B is performed in the state in which the cassette block 15 is covered by the second cover 25 during the assembly process of the junction box, the operator has the bus bar cover 10 It is difficult to visually check whether the cassette block 15 is assembled correctly.

이로 인해 상기 카세트블록(15)과 상기 버스바커버(10)가 오조립되면, 상기 버스바조립체(5)의 버스바(7)들과 상기 카세트블록(15) 내부의 터미널들과의 전기적인 연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As a result, when the cassette block 15 and the bus bar cover 10 are incorrectly assembled,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bus bars 7 of the bus bar assembly 5 and the terminals inside the cassette block 15 is performed. There is a problem with the connection not working properly.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조립볼트의 체결과정에서 카세트블록이 정확하게 조립되었는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인디케이터가 구비된 정션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o provide a junction box having an indicator that can be visually confirmed whether the cassette block is assembled correctly during the fastening of the assembly bol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디케이터의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acilitate the assembly of the indicator.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장품이 실장되고 내부를 관통하여 제1삽입홀이 형성되는 메인몸체; 상기 메인몸체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삽입홀과 연통되는 제2삽입홀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버스바커버; 상기 메인몸체와 상기 버스바커버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조립볼트에 의해 상기 버스바커버의 저면에 밀착되게 결합되는 카세트블록; 상기 제1삽입홀 및 제2삽입홀의 내부에 일정거리 이동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상기 조립볼트가 체결되는 과정 중 상기 카세트블록에 의해 밀어올려져 상기 카세트블록의 위치를 확인시키는 인디케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인디케이터의 외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삽입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턱에 걸어지는 걸이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걸이부는 상기 인디케이터의 조립방향성을 제거하기 위하여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쌍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메인몸체의 하방으로 개구되는 상기 제1삽입홀의 제1입구부와, 상기 버스바커버의 상방으로 개구되는 상기 제2삽입홀의 제2입구부에는 각각 챔퍼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main body is mounted on the electrical equipment is formed through the first insertion hole is formed; A bus bar cover which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is formed to penetrate a second inser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insertion hole; A cassette block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us bar cover by an assembly bolt fastened through the main body and the bus bar cover;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hole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so as to move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assembly bolt is pushed up by the cassette block during the fastening process is configured to include an indicator for confirming the position of the cassette block and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dicator is formed with a hook portion that is hooked to the engaging jaw protruding in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holes, the hook portion is formed to be paired in a position facing each other to remove the assembly direction of the indicator And a chamfer is formed at each of the first inlet portion of the first insertion hole opening downwardly of the main body and the second inlet portion of the second insertion hole opening upwardly of the bus bar cover. .

상기 인디케이터는 직육면체의 바아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이부는 상기 인디케이터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인디케이터의 대각방향의 모서리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의 단부에 구비되는 제1걸이부와, 상기 인디케이터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대각방향과 직교하는 대각방향의 모서리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제2가이드홈의 단부에 구비되는 제2걸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dicator is formed in the shape of a bar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the hook portion is formed at one end of the indicator and is provided at an end portion of the first guide groove which is formed at each corner of the diagonal direction of the indicator, and the And a second hook portion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indicator and provided at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guide groove formed at each corner portion of the diagon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agonal direction.

상기 인디케이터는 직육면체의 바아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이부는 상기 인디케이터의 일단부 모서리부분에 모두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의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1걸이부와, 상기 인디케이터의 타단부 모서리부분에 모두 형성되는 제2가이드홈의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2걸이부로 구성된다. The indicator is formed in the shape of a bar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the hook portion includes a first hook portion formed at each end of a first guide groove formed at both edges of one end of the indicator, and at both edge portions of the other end of the indicator. It is composed of a second hook portion formed on each end of the second guide groove is formed.

삭제delete

상기 걸림턱은 제1삽입홀에 형성되는 제1걸림턱과, 상기 제2삽입홀에 형성되는 제2걸림턱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걸림턱은 상기 인디케이터가 상기 카세트블록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인디케이터의 일단부가 상기 메인몸체의 외면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2걸림턱은 상기 인디케이터가 자중에 의하여 상기 버스바커버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위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locking jaw comprises a first locking jaw formed in the first insertion hole and a second locking jaw formed in the second insertion hole, and the first locking jaw is in a state in which the indicator is supported by the cassette block. Is formed at a position such that one end of the indicator forms the same plane as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second catching jaw is formed at a position such that the indicator protrudes out of the bus bar cover by its own weight do.

본 발명에 의하면, 인디케이터가 메인몸체와 버스바커버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인디케이터의 일단이 버스바커버의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가 조립볼트의 체결에 의해 카세트블록이 상기 버스바커버의 저면과 가까워지면서, 카세트블록이 인디 케이터의 일단을 밀어 올리고, 카세트블록이 상기 버스바커버의 저면과 완전히 밀착되면, 상기 인디케이터의 타단이 메인몸체와 동일 평면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인디케이터의 위치를 통해서 카세트블록이 상기 버스바커버의 정확한 위치에 안착되었는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다. 따라서 카세트블록의 장착여부가 용이하게 확인되므로, 정션박스의 조립공수가 줄어들고 정션박스의 신뢰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icator is installed through the main body and the bus bar cover, one end of the indicator protrudes below the bus bar cover, the cassette block is clos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us bar cover by fastening the assembly bolt. As the cassette block pushes up one end of the indicator and the cassette block is completely in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bus bar cover, the other end of the indicator is coplanar with the main body. As such, it is possible to visually check whether the cassette block is seated at the correct position of the bus bar cover through the position of the indicator. Therefore, the mounting of the cassette block is easily confirmed, thus reducing the assembly labor of the junction box and ensuring the reliability of the junction box.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인디케이터가 삽입되는 메인몸체의 제1삽입홀과 버스바커버의 제2삽입홀에 각각 챔퍼가 형성되어 인디케어터가 제1 및 제2삽입홀에 용이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제1걸이부와 제2걸이부를 인디케이터의 양단부에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형성하여 인디케이터의 조립방향성을 제거하였다. 따라서 인디케이터, 메인몸체와 버스바조립체의 조립이 용이해져 작업공수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chamfer is formed in each of the first insertion hole of the main body into which the indicator is inserted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of the bus bar cover, so that the indicator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hole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hook portion and the second hook portion are formed at opposite ends of the indicator to remove the direction of assembly of the indicator. Therefore, the assembly of the indicator, the main body and the bus bar assembly is easy,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labor.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정션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면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junction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정션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메인몸체와 버스바커버가 조립된 상태가 단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인디케이터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5 및 도 6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카세트블록이 삽입되는 과정이 단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junction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body and the bus bar cover assembled stat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dicator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and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cassette block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정션박스의 골격은 메인몸체(30)가 형성한다. 상기 메인몸체(30)는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메인몸체(30)에는 릴레이나 휴즈와 같은 다양한 전장품(32)이 장착된다.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skeleton of the junction box is formed by the main body 30. The main body 30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ynthetic resin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as shown in FIG. The main body 30 is equipped with a variety of electrical appliances 32, such as relays or fuses.

상기 메인몸체(30)에는 볼트체결부(33)가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볼트체결부(33)의 내부에는 조립볼트(B)가 체결되는 관통홀(34)(도 3참고)이 상기 메인몸체(3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볼트체결부(33)의 내부에 상기 관통홀(34)과 인접하게는 후술할 인디케이터(60)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1삽입홀(35)이 형성된다. 상기 제1삽입홀(35)은 상기 메인몸체(3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1삽입홀(35)의 내면에는 제1걸림턱(36)이 형성된다. 상기 제1걸림턱(36)은 후술할 인디케이터(60)에 형성된 제1걸이부(63)가 걸어져, 상기 인디케이터(60)가 상기 제1삽입홀(35)에서 상기 메인몸체(30)의 상부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걸림턱(36)은 카세트블록(70)의 완전조립에 의해 상기 인디케이터(60)가 카세트블록(70)에 의해 지지된 상태일 때 상기 인디케이터(60)의 일단부가 상기 메인몸체(30)의 외면과 연속되는 평면을 이루도록 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The main body 3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bolted fastening portion 33. The through-hole 34 (see FIG. 3) through which the assembly bolt B is fastened is formed through the main body 30 in the bolt fastening portion 33. In addition, a first insertion hole 35 into which a portion of the indicator 6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s formed adjacent to the through hole 34 in the bolt fastening portion 33. The first insertion hole 35 is formed through the main body 30. A first catching jaw 36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insertion hole 35. The first catching jaw 36 is the first hook portion 63 formed on the indicator 60 to be described later is hooked, the indicator 60 is the first insertion hole 35 of the main body 30 It does not fall to the top. To this end, the first catching jaw 36 has one end of the indicator 60 when the indicator 60 is supported by the cassette block 70 by the complete assembly of the cassette block 70. It is formed at a position to form a plane continuous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30).

한편, 상기 메인몸체(30)의 저면을 향하여 개구되는 상기 제1삽입홀(35)의 제1입구부(37)에는 제1챔퍼(37')가 형성된다. 상기 제1챔퍼(37')에 의해 상기 제1입구부(37)는 상기 메인몸체(30)의 하방을 향하여 점점 확개되는 형상이 된다. On the other hand, a first chamfer 37 'is formed in the first inlet portion 37 of the first insertion hole 35 opening toward the bottom of the main body 30. The first inlet 37 is gradually expanded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30 by the first chamber 37 '.

상기 메인몸체(30)에는 버스바조립체(40)가 결합된다. 상기 버스바조립체(40)는 다수개의 절연판이 적층되고, 다수개의 버스바(42)가 설치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도 2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상기 메인몸체(30)의 하방에 결합된다.The bus bar assembly 4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30. The bus bar assembly 40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insulating plates and installing a plurality of bus bars 42. As shown in FIG. 2, the bus bar assembly 40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30.

상기 버스바조립체(40)에는 버스바커버(50)가 결합된다. 상기 버스바커버(50)는 상기 버스바(42)를 사이에 두고 상기 메인몸체(30)와 결합되어, 상기 버스바조립체(4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The bus bar cover 50 is coupled to the bus bar assembly 40. The bus bar cover 5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30 with the bus bar 42 therebetween, and serves to fix the bus bar assembly 40.

도 3과 도 5를 중심으로, 상기 버스바커버(50)의 저면에는 후술할 카세트블록(70)의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안착부(51)가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51)는 카세트블록(70)이 상기 조립볼트(B)에 의해 상기 메인몸체(30)쪽으로 잡아당겨졌을 때, 상기 카세트블록(70)이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3 and 5, the bottom surface of the bus bar cover 50 is formed such that a seating portion 51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assette block 70 to be described later is recessed. The seating part 51 serves to fix the cassette block 70 so that the cassette block 70 does not flow when the cassette block 70 is pulled toward the main body 30 by the assembly bolt B.

상기 안착부(51)의 중앙에는 결합홈(52)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52)은 카세트블록(70)이 상기 안착부(51)에 완전히 안착되었을 때, 후술할 카세트블록(70)의 결합부(72)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A coupling groove 52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eating part 51. The coupling groove 52 is a portion into which the coupling portion 72 of the cassette block 7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when the cassette block 70 is completely seated in the seating portion 51.

상기 버스바커버(50)를 관통하여서는 제2삽입홀(53)이 형성된다. 상기 제2삽입홀(53)은 상기 메인몸체(30)의 제1삽입홀(35)과 상기 안착부(51)를 연통시킨다. 상기 제2삽입홀(53)의 내부에는 인디케이터(60)의 일부가 삽입된다. The second insertion hole 53 is formed through the bus bar cover 50. The second insertion hole 53 communicates the first insertion hole 35 of the main body 30 with the seating part 51. A portion of the indicator 6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hole 53.

그리고 도 3과 같이, 상기 제2삽입홀(53) 내면에 제2걸림턱(54)이 형성된다. 상기 제2걸림턱(54)은 상기 제2삽입홀(53)에 삽입되는 인디케이터(60)에 형성된 제2걸이부(65)가 걸어져, 상기 인디케이터(60)가 상기 버스바커버(50)의 하방으로 빠지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2걸림턱(54)은 인디케이터(60)의 단부가 걸어져 자중에 의해 상기 버스바커버(5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인디케이터(60)의 제2걸이부(65)가 상기 제2걸림턱(54)에 걸어진 상태 에서는 상기 인디케이터(60)의 단부가 상기 안착부(51) 내부로 돌출된다.(도 5참고)3, a second locking jaw 54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insertion hole 53. The second catching jaw 54 has a second hook portion 65 formed in the indicator 60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hole 53, so that the indicator 60 is the bus bar cover 50. Do not fall below. The second catching jaw 54 is formed at a position at which an end of the indicator 60 is hooked to protrude out of the bus bar cover 50 by its own weight. Therefore, in the state in which the second hook portion 65 of the indicator 60 is hooked on the second catching jaw 54, the end of the indicator 60 protrudes into the seating portion 51. Reference)

상기 버스바커버(50)의 상면을 향하여 개구되는 상기 제2삽입홀(53)의 제2입구부(55)에는 제2챔퍼(55')가 형성된다. 상기 제2챔퍼(55')에 의해 상기 제2입구부(55)는 상기 메인몸체(30)의 하방을 향하여 점점 확개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A second chamfer 55 ′ is formed in the second inlet portion 55 of the second insertion hole 53, which opens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bus bar cover 50. The second inlet part 55 is formed by the second chamfer 55 ′ in a shape that gradually expands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30.

상기 메인몸체(30)와 버스바커버(50)의 결합에 의해 서로 연통된 상기 제1 및 제2삽입홀(35, 53)에는 인디케이터(60)가 삽입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인디케이터(60)의 일단부(61a)는 상기 메인몸체(30)의 제1삽입홀(35)에, 상기 인디케이터(60)의 타단부(61b)는 상기 버스바커버(50)의 제2삽입홀(53)에 각각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인디케이터(60)는 상기 제1 및 제2삽입홀(35,53) 내에 일정거리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The indicator 60 is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holes 35 and 53 which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by the coupling of the main body 30 and the bus bar cover 50. More precisely, one end 61a of the indicator 60 is in the first insertion hole 35 of the main body 30, and the other end 61b of the indicator 60 is the busbar cover 50. Are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holes 53, respectively. The indicator 60 is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holes 35 and 53 so as to be movabl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인디케이터(60)는 상기 조립볼트(B)의 체결에 의해 후술할 카세트블록(70)이 상기 안착부(51)에 정확히 안착되었는지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즉, 도 5와 같이, 카세트블록(70)이 안착부(51)에 안착되기 전에는 상기 인디케이터(60)가 상기 제1 및 제2삽입홀(35,53)에 삽입되어 자중에 의해 상기 타단부(61b)가 상기 안착부(51)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이다. 그러나 상기 카세트블록(70)이 상기 안착부(51)에 정확히 안착되면, 상기 카세트블록(70)이 상기 인디케이터(60)를 밀어 올리는데, 이때 상기 인디케이터(60)의 일단부(61a)가 상기 볼트체결부(33)의 바닥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게 되어 작업자가 이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The indicator 60 serves to indicate whether the cassette block 70 to be described later is correctly seated on the seating part 51 by the fastening of the assembly bolt (B). That is, as shown in FIG. 5, before the cassette block 70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51, the indicator 60 is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holes 35 and 53,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aused by its own weight. 61b is a state which protrudes to the said mounting part 51. FIG. However, when the cassette block 70 is correctly seated on the seating part 51, the cassette block 70 pushes up the indicator 60, at which one end 61a of the indicator 60 is the bolt. It becomes coplanar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fastening portion 33 can be recognized by the operator.

상기 인디케이터(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육면체의 바아 형 상의 몸체부(61)가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몸체부(61)의 일단부(61a)에는 대각방향의 모서리에 각각 제1가이드홈(62)이 상기 몸체부(61)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길이 형성된다. 상기 제1가이드홈(62)은 상기 인디케이터(6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그리고 상기 제1가이드홈(62)의 단부에는 제1걸이부(63)가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4, the indicator 60 forms a skeleton of a bar-shaped body portion 61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t one end 61a of the body portion 61, first guide grooves 62 are formed at predetermined edges in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61 at diagonal corners, respectively. The first guide groove 62 guides the movement of the indicator 60. In addition, a first hook portion 63 is formed at an end of the first guide groove 62.

그리고 상기 몸체부(61)의 타단부(61b)에는 상기 대각방향과 직교하는 대각방향의 모서리에 각각 제2가이드홈(64)이 상기 몸체부(61)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길이 형성된다. 상기 제2가이드홈(64)의 단부에는 제2걸이부(65)가 형성된다. In addition, second end grooves 64 are formed at predetermined length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61 at corners of the diagon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agonal direction at the other end portion 61b of the body portion 61. A second hook portion 65 is formed at an end of the second guide groove 64.

이와 같이 상기 인디케이터(60)에 제1 및 제2가이드홈(62,64)을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형성하는 이유는, 상기 인디케이터(60)의 조립방향성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인디케이터(60)는 제1 및 제2가이드홈(62,64)이 서로 반대위치에 형성되므로, 상기 인디케이터(60)를 상기 인디케이터(60)의 길이방향을 가상의 축으로 하여 180°회전시키는 것과, 상기 인디케이터(60)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반대로 하여도 제1 및 제2삽입홀(35,53)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인디케이터(60)를 상기 메인몸체(30)와 버스바커버(50)에 조립할 때 조립방향을 고려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줄어든다. 여기에서 인디케이터(60)의 조립방향성을 제거한다 함은, 인디케이터(60)을 회전시키거나 그 양단부를 반대로 한 상태로 상기 제1 및 제2삽입홀(35, 53)에 삽입하여도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는 것을 의미한다. As such, the reason why the first and second guide grooves 62 and 64 are formed in the indicator 60 at positions opposite to each other is to remove the direction of assembly of the indicator 60. That is,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since the first and second guide grooves 62 and 64 are formed at opposite positions from each other, the indicator 60 has the virtual ax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dicator 60.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holes 35 and 53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holes 35 and 53 even if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indicator 60 are reversed. Therefore, when the worker assembles the indicator 60 to the main body 30 and the bus bar cover 50, the trouble of having to consider the assembly direction is reduced. In this case, the removal of the assembly direction of the indicator 60 may be performed by inserting the indicator 60 into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holes 35 and 53 while rotating the indicator 60 or opposite ends thereof. It means to exercise.

그리고 상기 인디케이터(60)가 상기 제1 및 제2삽입홀(35,53)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제1걸이부(63)와 제2걸이부(65)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걸림 턱(36)과 제2걸림턱(54) 사이의 거리보다 작게 형성된다.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hook portion 63 and the second hook portion 65 is such that the indicator 60 is movable within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holes 35 and 53. It is formed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36 and the second locking jaw (54).

한편, 카세트블록(70)은 상기 버스바커버(50)에 결합된다. 상기 카세트블록(70)은 도 2와 같이 대략 납작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중앙에 상기 결합홈(52)에 삽입되는 결합부(72)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72)의 내부에는 상기 조립볼트(B)와 나사결합되는 너트(N)가 설치된다. 상기 카세트블록(70)의 상기 결합부(72)를 중심으로 양측에는 상기 버스바조립체(40)의 버스바들과 결합되는 커넥터(73)가 구비된다. 상기 조립볼트(B)와 상기 너트(N)가 체결됨에 의해, 상기 카세트블록(70)은 상기 안착부(51)에 안착되어 상기 버스바커버(50)의 저면에 밀착된다. On the other hand, the cassette block 70 is coupled to the bus bar cover 50. The cassette block 7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flat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s shown in FIG. 2, and a coupling portion 72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52 protrudes from the center of the cassette block 70. And the inside of the coupling portion 72 is a nut (N) is screwed with the assembly bolt (B) is installed. The connector 73 is coupled to both bus bars of the bus bar assembly 40 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part 72 of the cassette block 70. By the assembly bolt (B) and the nut (N) is fastened, the cassette block 70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5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bus bar cover (50).

한편, 상기 메인몸체(30)에는 제1커버(80)가 결합된다. 상기 제1커버(80)는 상기 메인몸체(30) 및 버스바조립체(40), 그리고 버스바커버(50)를 사이에 두고 후술할 제2커버(90)와 결합되어 이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Meanwhile, a first cover 8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30. The first cover 80 is coupled to the second cover 90 to be described later with the main body 30 and the bus bar assembly 40 and the bus bar cover 50 interposed therebetween to serve to protect them. .

상기 메인몸체(3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커버(80)는 제2커버(90)와 결합된다. 상기 제2커버(90)는 상기 제1커버(80)와 결합되어, 상기 메인몸체(30), 버스바조립체(40) 등을 차폐하여 보호함과 동시에, 차량 내부에 고정되는 부분이다. The first cover 80 is coupled to the second cover 90 with the main body 30 therebetween. The second cover 90 is coupled to the first cover 80 to shield and protect the main body 30, the bus bar assembly 40, and the like, and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정션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junction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정션박스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상기 버스바조립체(40)와 버스바커버(50)를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인디케이터(60)의 타단부(61b)를 상기 버스바커버(50)의 제2삽입홀(53)에 삽입시킨다. 이때, 상기 인 디케이터(60)의 제2걸이부(65)가 상기 제2삽입홀(53)의 제2걸림턱(54)에 걸어지며, 자중에 의해 상기 인디케이터(60)의 타단부(61b)는 상기 버스바커버(50)의 안착부(51) 내부로 소정 길이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인디케이터(60)의 일단부(61a)는 상기 버스바커버(50)의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이다. 이때, 상기 인디케이터(60)의 양단부를 뒤집어서 삽입하더라도 동일한 상태가 된다. Looking at the assembly process of the junction box with reference to Figures 2 to 6, first, the bus bar assembly 40 and the bus bar cover 50 is coupled. Next, the other end 61b of the indicator 6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hole 53 of the bus bar cover 50. At this time, the second hook portion 65 of the indicator 60 is hooked to the second locking jaw 54 of the second insertion hole 53, the other end of the indicator 60 by its own weight ( 61b) protrudes a predetermined length into the seating portion 51 of the bus bar cover 50. One end 61a of the indicator 60 protrudes upward of the bus bar cover 50. At this time, even if both ends of the indicator 60 is inserted upside down is in the same state.

한편, 제2커버(90)에 카세트블록(70)을 안착시킨다. 상기 카세트블록(70)이 안착된 제2커버(90)에 상기 인디케이터(60)가 삽입된 버스바조립체(40) 및 버스바커버(50)를 조립한다. 그러면, 도 5와 같이 카세트블록(70)의 상단이 상기 버스바커버(50)의 안착부(51)에 삽입되고, 상기 카세트블록(70)의 결합부(72)는 상기 버스바커버(50)의 결합홈(52)에 삽입된다. Meanwhile, the cassette block 70 is seated on the second cover 90. The bus bar assembly 40 and the bus bar cover 50 into which the indicator 60 is inserted are assembled into the second cover 90 on which the cassette block 70 is seated. Then, the upper end of the cassette block 70 as shown in Figure 5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portion 51 of the bus bar cover 50, the coupling portion 72 of the cassette block 70 is the bus bar cover 50 It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52) of.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메인몸체(30)를 상기 버스바조립체(40)의 상부에 위치시킨 후 상기 메인몸체(30)를 하방으로 내려 상기 버스바조립체(40)와 결합시키는데, 이때 상기 메인몸체(30)의 제1삽입홀(35)에 상기 버스바커버(50)의 상방으로 돌출된 상기 인디케이터(60)의 일단부(61a)가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제1삽입홀(35)의 입구부에 형성된 제1챔퍼(37')에 의해 상기 인디케이터(60)의 일단부(61a)가 용이하게 삽입된다. In this state, the main body 30 is positioned above the bus bar assembly 40, and then the main body 30 is lowered to be coupled with the bus bar assembly 40. In this case, the main body 30 One end 61a of the indicator 60 protruding upward of the bus bar cover 50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hole 35 of 30. One end 61a of the indicator 60 is easily inserted by the first chamfer 37 'formed at the inlet of the first insertion hole 35.

그리고 상기 메인몸체(30)의 관통홀(34)에 조립볼트(B)를 삽입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볼트(B)가 체결되기 전에는 상기 인디케이터(60)의 타단부(61b)가 자중에 의하여 상기 버스바커버(50)의 안착부(51) 내부로 돌출된다. And the assembly bolt (B)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34 of the main body (30). This state i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5, before the assembly bolt B is fastened, the other end portion 61b of the indicator 60 protrudes into the seating portion 51 of the bus bar cover 50 by its own weight.

상기 카세트블록(70)을 조립하기 위해 상기 조립볼트(B)를 상기 카세트블록(70) 내부에 설치된 너트(N)와 체결시킨다. 그러면, 상기 카세트블록(70)이 점점 상기 메인몸체(30)를 향하여 잡아당겨지면서 상기 인디케이터(60)를 밀어올린다. 상기 조립볼트(B)가 완전히 체결되면, 상기 카세트블록(70)은 상기 안착부(51)의 저면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인디케이터(60)의 일단부(61a)는 상기 볼트체결부(33)와 동일한 평면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인디케이터(60)의 일단부(61a)가 상기 볼트체결부(33)와 동일한 평면을 이루었는지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카세트블록(70)에 정확히 조립되었는지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In order to assemble the cassette block 70, the assembly bolt (B) is fastened with a nut (N) installed inside the cassette block (70). Then, the cassette block 70 pushes up the indicator 60 while being gradually pulled toward the main body 30. When the assembly bolt (B) is completely fastened, the cassette block 70 is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51). At this time, one end 61a of the indicator 60 forms the same plane as the bolt fastening portion 33. Therefore, the operator can check whether the one end portion 61a of the indicator 60 is exactly assembled with the cassette block 70 by visually confirming whether the bolt fastening portion 33 has the same plane. This state is shown in FIG.

상기 카세트블록(70)이 정확히 조립되면, 상기 인디케이터(60)의 제1걸이부(63)가 상기 제1걸림턱(37)에 걸어져 상기 인디케이터(60)가 상기 메인몸체(30)의 상방으로 탈거되지 않도록 되며, 동시에 상기 인디케이터(60)의 타단부(61b)가 상기 카세트블록(70)의 상면에 의해 지지되므로 상기 인디케이터(60)가 버스바커버(50)의 하방으로도 탈거되지 않도록 된다. When the cassette block 70 is assembled correctly, the first hook portion 63 of the indicator 60 is hooked to the first catching jaw 37 so that the indicator 60 is located above the main body 30. At the same time, the other end 61b of the indicator 60 is support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cassette block 70 so that the indicator 60 is not removed even under the busbar cover 50. do.

마지막으로 작업자는 상기 제1커버(80)를 상기 제2커버(90)에 결합하여, 상기 메인몸체(30) 및 버스바조립체(40) 등을 외부로부터 차폐시킨다. Finally, the operator couples the first cover 80 to the second cover 90 to shield the main body 30 and the bus bar assembly 40 from the outside.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is capable of many modifications and alterations, all of which ar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self-evident.

상기 인디케이터(60)의 형상은 조립방향성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면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인디케이터(60)가 직육면체의 바아형상으로 형성된다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디케이터의 횡단면 형상이 대략 원형으로 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인디케이터의 몸체부 형상에 상관없이 인디케이터의 조립방향성이 제거되기 위해서는 인디케이터에 형성되는 걸이부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쌍을 이루도록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The indicator 60 may have various shapes as long as it can remove the assembly direction. For example, although the indicator 6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bar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ndicator may have a substantially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However, in order to remove the assembly direction of the indicator,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body portion of the indicator, the hooks formed on the indicator should be formed in pairs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다른 실시예로, 인디케이터의 몸체부가 직육면체의 바아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몸체부의 네 모서리에 각각 가이드홈이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길이 요입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 모두에 걸이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 있다. 물론 제1 및 제2삽입홀의 내부에 상기 걸이부가 걸어지는 걸림턱이 각각 형성될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인디케이터를 90도 회전시키거나 인디케이터의 양단부를 반대로 하여 사용하더라도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body portion of the indicator is formed in the shape of a bar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the guide grooves are formed in each of the four corners of the body portion in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the hook portion is formed in each of the guide grooves have. Of course, the engaging jaw to which the hook portion is hooked will be formed inside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holes, respectively. In this way, even if the indicator is rotated by 90 degrees or both ends of the indicator are used in reverse, the same function is exhibited.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정션박스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junction box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정션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junction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메인몸체와 버스바커버의 조립상태를 보인 단면사시도.Figure 3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of the main body and the bus bar cove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인디케이터를 보인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dicato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카세트블록이 결합되는 과정을 보인 단면사시도.5 and 6 are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cassette block is coupl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30: 메인몸체 33: 볼트체결부30: main body 33: bolt connection

35: 제1삽입홀 36: 제1걸림턱35: first insertion hole 36: first locking jaw

37: 제1입구부 37': 제1챔퍼37: first inlet 37 ': first chamfer

40: 버스바조립체 50: 버스바커버40: bus bar assembly 50: bus bar cover

51: 안착부 52: 결합홈51: seating portion 52: coupling groove

53: 제2삽입홀 54: 제1걸림턱53: second insertion hole 54: first locking jaw

55: 제2입구부 55': 제2챔퍼55: second inlet 55 ': second chamfer

60: 인디케이터 61: 몸체부60: indicator 61: body

62: 제1가이드홈 63: 제1걸이부62: first guide groove 63: first hook portion

64: 제2가이드홈 65: 제2걸이부64: second guide groove 65: second hook portion

70: 카세트블록 72: 결합부70: cassette block 72: coupling portion

B: 조립볼트 N: 너트B: Assembly bolt N: Nut

Claims (5)

전장품이 실장되고 내부를 관통하여 제1삽입홀이 형성되는 메인몸체;A main body in which the electronic device is mounted and penetrates the inside to form a first insertion hole; 상기 메인몸체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삽입홀과 연통되는 제2삽입홀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버스바커버;A bus bar cover which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is formed to penetrate a second inser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insertion hole; 상기 메인몸체와 상기 버스바커버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조립볼트에 의해 상기 버스바커버의 저면에 밀착되게 결합되는 카세트블록;A cassette block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us bar cover by an assembly bolt fastened through the main body and the bus bar cover; 상기 제1삽입홀 및 제2삽입홀의 내부에 일정거리 이동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상기 조립볼트가 체결되는 과정 중 상기 카세트블록에 의해 밀어올려져 상기 카세트블록의 위치를 확인시키는 인디케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hole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so as to move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assembly bolt is pushed up by the cassette block during the fastening process is configured to include an indicator for confirming the position of the cassette block and , 상기 인디케이터의 외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삽입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턱에 걸어지는 걸이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걸이부는 상기 인디케이터의 조립방향성을 제거하기 위하여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쌍을 이루도록 형성되고,The outer surface of the indicator is formed with a hook portion that is hooked to the engaging jaw protruding in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holes, the hook portion is formed to be paired in a position facing each other to remove the assembly direction of the indicator , 상기 메인몸체의 하방으로 개구되는 상기 제1삽입홀의 제1입구부와, 상기 버스바커버의 상방으로 개구되는 상기 제2삽입홀의 제2입구부에는 각각 챔퍼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And a chamfer formed at each of the first inlet portion of the first insertion hole opening downwardly of the main body and the second inlet portion of the second insertion hole opening upwardly of the bus bar co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직육면체의 바아형상으로 형성되고,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dicator is formed in the shape of a bar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상기 걸이부는 상기 인디케이터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인디케이터의 대각방향의 모서리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의 단부에 구비되는 제1걸이부와,A first hook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indicator and provided at an end portion of the first guide groove formed at an edge portion of a diagonal direction of the indicator; 상기 인디케이터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대각방향과 직교하는 대각방향의 모서리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제2가이드홈의 단부에 구비되는 제2걸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Junction box,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hook portion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indicator and provided at the end of the second guide groove respectively formed in the corner portion of the diagonal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agonal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직육면체의 바아형상으로 형성되고,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dicator is formed in the shape of a bar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상기 걸이부는 상기 인디케이터의 일단부 모서리부분에 모두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의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1걸이부와,The hook portion and the first hook portion is formed at each of the end of the first guide groove which is formed in all the corners of one end of the indicator, 상기 인디케이터의 타단부 모서리부분에 모두 형성되는 제2가이드홈의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2걸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Junction box,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econd hook portion formed in each of the end of the second guide groove which is formed at both the corner of the other end of the indicator. 삭제delete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제1삽입홀에 형성되는 제1걸림턱과, 상기 제2삽입홀에 형성되는 제2걸림턱으로 구성되고,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locking jaw is composed of a first locking jaw formed in the first insertion hole, and a second locking jaw formed in the second insertion hole, 상기 제1걸림턱은 상기 인디케이터가 상기 카세트블록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인디케이터의 일단부가 상기 메인몸체의 외면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The first catching jaw is formed at a position such that one end of the indicator forms the same plane as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while the indicator is supported by the cassette block, 상기 제2걸림턱은 상기 인디케이터가 자중에 의하여 상기 버스바커버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위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The second catching jaw is a junction box, characterized in that the indicator is formed in a position to protrude out of the bus bar cover by its own weight.
KR1020080049254A 2008-05-27 2008-05-27 Junction box KR1009952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254A KR100995272B1 (en) 2008-05-27 2008-05-27 Junction bo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254A KR100995272B1 (en) 2008-05-27 2008-05-27 Junction box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269A KR20090123269A (en) 2009-12-02
KR100995272B1 true KR100995272B1 (en) 2010-11-19

Family

ID=41685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9254A KR100995272B1 (en) 2008-05-27 2008-05-27 Junction box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5272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0296B1 (en) * 2004-08-20 2006-02-0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A junction box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0296B1 (en) * 2004-08-20 2006-02-0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A junction box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269A (en) 2009-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1700B2 (en) Junction box and junction box forming method
JP5221255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EP2600469B1 (en) Circuit-terminal connecting device
KR100952773B1 (en) Terminal for connecting bus bar to printed circuit board
CA2761025C (en) Bracket structure in electrical junction box
JP4398931B2 (en) Electronic component built-in connector and wiring body with electronic component built-in connector
US20180076586A1 (en) Bus bar header assembly
US7845959B2 (en) Component position assurance element for a power distribution block
US6176735B1 (en) Accommodation block for an electrical connection box and an electrical connection box comprising the block
KR20130004412U (en) Electronic device package box
US8710377B2 (en) Electric connection box
JP2010074955A (en) Electric connection box
US20180130627A1 (en) Fuse adapter assembly
KR100995272B1 (en) Junction box
US10374370B2 (en) Electronic unit attaching structure
KR100734053B1 (en) Terminal assembling structure for junction box and method thereof
KR101001887B1 (en) Box for car
US20140287629A1 (en) Plug-type element
KR200449503Y1 (en) Junction box
EP1577982B1 (en) Electrical junction box and continuity inspection jig assembly fitted on the electrical junction box
US20230069530A1 (en) Electrical junction box
KR200432452Y1 (en) Bus-bar assembly
CN109921249B (en) Circuit body member, electric connection box and wire harness
KR200453090Y1 (en) Electronics housing
KR101754878B1 (en) Joint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