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3593B1 - 안전성이 향상된 방충망 - Google Patents

안전성이 향상된 방충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3593B1
KR100993593B1 KR1020080064327A KR20080064327A KR100993593B1 KR 100993593 B1 KR100993593 B1 KR 100993593B1 KR 1020080064327 A KR1020080064327 A KR 1020080064327A KR 20080064327 A KR20080064327 A KR 20080064327A KR 100993593 B1 KR100993593 B1 KR 100993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main body
screen
guide
insect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4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4253A (ko
Inventor
임번상
Original Assignee
임번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번상 filed Critical 임번상
Priority to KR1020080064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3593B1/ko
Publication of KR20100004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3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3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성이 향상된 방충망에 관한 것으로, 테두리(100)와 테두리(100)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망체(200)로 방충망이 이루어지되, 방충망의 상·하부 테두리(100)에 가이드레일 삽입홈(111)을 갖춘 가이드레일 삽입부(110)가 형성되어, 상·하부 테두리(100)의 가이드레일 삽입홈(111)에 문틀(M)의 상·하부 가이드레일(M1)이 이동가능하게 끼워져서 맞물리는 미닫이식 방충망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 삽입부(110)를 구성하는 구획판(120)에 삽입구멍(h)이 형성되는 한편, 둘레면에 가이드홀(312a)이 형성되고, 상면이 개구되어 가이드레일 삽입부(110)의 삽입구멍(h)에 삽입고정되는 수용부(312)와, 수용부(312)의 둘레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가이드레일 삽입부(110)의 구획판(120)에 체결고정되는 체결부(311)를 갖춘 본체(310)와; 본체(310) 수용부(312)의 가이드홀(312a)에 삽입고정되는 돌부(323)를 갖추고서 본체(310) 수용부(312)에 수직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하게 삽입고정되는 삽입부(322)와, 가이드레일(M1)이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레일 수용홈(321a)을 갖추고서 삽입부(322)의 상부에 구비되는 걸림부(321)를 갖춘 이동블록(320) 및; 본체(310)의 수용부(312)에 내설되어, 이동블록(320)을 상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프링(S)을 포함하는 이탈방지부재(300)가 더 구비되어, 방충망의 이탈이 방지되고, 또한 방충망을 문틀(M)에 착탈함에 있어서 어떠한 추가작업이나 방해 없이 수월하게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안전성이 향상된 방충망{Insect net to improve the safety}
본 발명은 방충망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문틀의 방충망 가이드레일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미닫이식 방충망에 있어서, 방충망이 문틀의 방충망 가이드레일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이탈방지되도록 하는 안전성이 향상된 방충망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방충망은 파리나 모기, 나방 따위 벌레들이 날아 들어오지 못하도록 창이나 문틀에 설치되는 망구조물로서, 종래 문틀의 방충망 가이드레일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미닫이식 방충망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에 의하면, 테두리(100)와, 테두리(11)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망체(200)로 방충망이 이루어지되, 방충망의 상·하부 테두리에 가이드레일 삽입홈(111)을 갖춘 가이드레일 삽입부(110)가 형성되어, 가이드레일 삽입홈(111)에 문틀의 방충망 가이드레일(M1)이 끼워져서, 방충망이 문틀(M)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방충망은, 문틀(M)과의 마찰로 인해서, 방충망을 옆으로 밀어서 위치이동시킬 때 큰 소음이 발생되거나, 방충망의 이동이 방해되는 등의 문제가 초래되지만, 롤러 등의 부재를 이용하여 방충망과 문틀(M) 간의 마찰을 최소화하고, 마찰 부위를 마찰소음발생이 적은 재료로 하는 등의 방법으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 있다.
또한, 미닫이식 방충망은 기밀유지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지만, 다양한 소재의 밀봉부재를 활용하여 이러한 문제도 손쉽게 해소하고 있다.
한편, 미닫이식 방충망은, 전면방향이나 후면방향으로부터 외력이 가해지게 되면, 방충망의 상·하부 테두리가 문틀(M)의 상·하부 가이드레일(M1)에 걸쳐져서 지지된다.
이때, 방충망의 하부 테두리(100)는 자중에 의해서 문틀(M)의 하부 가이드레일(M1)에 견고하게 맞물려 지지되지만, 방충망의 상부 테두리(100)는 문틀(M)의 상부 가이드레일(M1)에 살짝 걸쳐질 수밖에 없으므로{방충망을 들어올려서, 방충망의 상부 테두리(100)를 문틀(M)의 상부 가이드레일(M1)에 끼워 맞춰 방충망의 하부 테두리(100)가 문틀(M)의 하부 가이드레일(M1)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한 후, 들어올렸던 방충망을 내려놓아서, 방충망의 상부 테두리(100)와 문틀(M)의 상부 가이드레일(M1)간의 맞물림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방충망의 하부 테두리(100)가 문틀(M)의 하부 가이드레일(M1)에 맞물려 고정되도록 하는 조립구조이므로}, 방충망의 전면방향이나 후면방향으로부터 외력이 가해지면, 방충망의 상부 테두리(100)나 문틀(M)의 상부 가이드레일(M1)이 파손·변형되면서 방충망이 문틀(M)로부터 이탈되는 문제가 초래된다.
실제로 근래에, 아파트 등에서 방충망의 이탈로 인해서 어린이 등이 추락해서 사망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지 못하여, 방충망이 문틀(M)로부터 이탈되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이로 인해서 방충망 이용자의 안전이 심각하게 위협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하여 발명된 것으로, 방충망을 문틀에 편리하게 착탈할 수 있으면서, 방충망을 문틀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안전성이 향상된 방충망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테두리와 테두리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망체로 방충망이 이루어지되, 방충망의 상·하부 테두리에 가이드레일 삽입홈을 갖춘 가이드레일 삽입부가 형성되어, 상·하부 테두리의 가이드레일 삽입홈에 문틀의 상·하부 가이드레일이 이동가능하게 끼워져서 맞물리는 미닫이식 방충망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 삽입부를 구성하는 구획판에 삽입구멍이 형성되는 한편, 둘레면에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면이 개구되어 가이드레일 삽입부의 삽입구멍에 삽입고정되는 수용부와, 수용부의 둘레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가이드레일 삽입부의 구획판에 체결고정되는 체결부를 갖춘 본체와; 본체 수용부의 가이드홀에 삽입고정되는 돌부를 갖추고서 본체 수용부에 수직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하게 삽입고정되는 삽입부와, 가이드레일이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레일 수용홈을 갖추고서 삽입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걸림부를 갖춘 이동블록 및; 본체의 수용부에 내설되어, 이동블록을 상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이탈방지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동블록의 삽입부에 스프링의 안착을 위한 스프링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동블록의 삽입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방충망의 상부 테두리에 이탈방지부재가 구비되어, 방충망의 전방이나 후방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방충망의 이탈이 방지되고, 또한 방충망을 문틀에 착탈함에 있어서 어떠한 추가작업이나 방해 없이 수월하게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성이 향상된 방충망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충망의 일예를 도시한 바, 종래 기술을 도시한 도 1 및 도 2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테두리(100)와 테두리(100)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망체(200)로 방충망이 이루어지되, 방충망의 상·하부 테두리(100)에 가이드레일 삽입홈(111)을 갖춘 가이드레일 삽입부(110)가 형성되어, 상·하부 테두리(100)의 가이드레일 삽입홈(111)에 문틀(M)의 상·하부 가이드레일(M1)이 이동가능하게 끼워져서 맞물리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안전성이 향상된 방충망은, 상부 테두리(100)에 고 정되는 본체(310)과, 본체(310)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블록(320)과, 본체(310)과 이동블록(320) 사이에 설치되어 이동블록(320)을 탄발지지하는 스프링(S)를 갖춘 이탈방지부재(300)가 구비된 구조로 되어 있다.
우선, 상기 상부 테두리(100)는 내부가 구획판(120)에 의해 가이드레일 삽입부(110)와 수용부 삽입부(130)으로 구획된다. 이때, 구획판(120)은 상하로 관통된 삽입구멍(h)이 형성되어, 가이드레일 삽입부(110)와 수용부 삽입부(130)가 연통된다.
상기 이탈방지부재(300)는 플라스틱 재질로, 테두리(100)의 구획판(120)에 고정되는 본체(310)과, 본체(310)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블록(320)과, 본체(310)과 이동블록(320) 사이에 배치되어 이동블록(320)을 탄발지지하는 스프링(S)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310)은 체결부재(B)를 매개로 테두리의 구획판(120)에 체결되는 체결부(311)와, 체결부(311)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체결부(311)와 'T' 자 형상을 이루는 수용부(312)로 구성된다. 여기서 체결부재(B)는 통상의 볼트가 사용된다.
이때 상기 수용부(312)는 상면이 개구되며, 외면에 가이드홀(312a)이 상하로 형성되며, 구획판(120)의 삽입구멍(h)을 관통하여 상부 테두리(100)의 수용부 삽입부(130)에 배치된다.
상기 이동블록(320)은, 상면이 개구된 'ㄷ' 자 형상으로 내부에 가이드레일 수용홈(321a)이 구비된 걸림부(321)와, 하면이 개구된 원기둥 형상으로 내부에 스프링 수용홈(322a)이 구비되며 걸림부(321)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삽입부(322)와, 삽입부(322)의 하단에 구비되어 측방으로 돌출되는 돌부(32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부(322)는, 하방으로 절개된 절개홈(322b)이 측면에 구비되어, 측방향으로 일정한 탄성력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돌부(323)는 이동블록(320)의 삽입부(321)가 본체(310)의 삽입부 수용부(312a)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측방으로 경사지며, 이동블록(320)의 행정거리를 제한하기 위해 단턱이 진다.
상기 스프링(S)은, 일단부가 본체(310)의 수용부(312)에 안착되며, 타단부가 이동블록(320)의 스프링 수용홈(322a)에 수용되어, 이동블록(320)을 상방으로 탄발지지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충망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인 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충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이탈방지부재(300)의 조립을 살펴보면, 스프링(S)을 본체(310)의 수용부(312)에 안착시킨 후, 이동블록(320)의 삽입부(322)를 본체(310)의 수용부(312)에 삽입시킨다.
이때, 이동블록(320)의 돌부(323)가 본체(310)의 수용부(312) 상면에 닿으면, 이동블록(320)의 삽입부(322)는 중심부를 향해 수축되어 본체(310)의 수용부(312)로 삽입되고, 돌부(323)는 본체(310)의 가이드홀(312a)에 끼워진다.
여기서, 이동블록(320)의 삽입부(322)가 본체(310)의 수용부(312)에 삽입되면, 스프링(S)의 상부가 이동블록(320)의 스프링 수용홈(322a)에 수용되면서, 이동 블록(320)을 상방으로 탄발지지한다.
상기와 같이 이탈방지부재(300)가 조립된 상태에서, 본체(310)의 체결부(311)를 상부 테두리(100)의 구획판(120)에 고정시키면, 이동블록(320)은 스프링(S)에 의해 탄발지지되어 걸림부(321)가 상부 테두리(100)의 가이드레일 삽입부(110)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이동블록(320)의 돌부(323)는 본체(310)의 가이드홀(312a)의 상단에 걸려 이동블록(320)이 본체(3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방충망을 문틀(M)에 삽입하기 위해, 이동블록(320)의 가이드레일 수용홈(321a)을 문틀(M)의 상부 가이드레일(M1)에 삽입하면, 이동블록(320)은 도 6과 같이 상부 가이드레일(M1)에 의해 눌려져 스프링(S)를 가압하면서 하강한다.
계속해서, 방충망을 밀어올린 후 방충망을 문틀(M)에 밀어 넣어, 방충망의 하부 테두리(100)를 문틀(M)의 하부 가이드레일(M1)에 끼우면, 방충망은 문틀(M)에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입설된다.
상기 방충망이 문틀(M)에 입설될 시 방충망은 그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고, 상부 테두리(100)와 문틀(M)의 상부 가이드레일(M1)의 상하 공간이 일정간격 이격되는데, 이때, 이동블록(320)이 도 7과 같이 스프링(S)의 탄발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하여 방충망의 상부 테두리(100)와 문틀(M)의 상부 가이드레일(M1) 사이 이격 공간을 최소화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성이 향상된 방충망은, 방충망이 문 틀(M)에 설치되면, 방충망의 하부 테두리(100)는 문틀(M)의 하부 가이드레일(M1)에 의해 고정되고, 방충망의 상부 테두리(100)는 이동블록(320)의 걸림부(321)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횡방향으로 힘을 받아도 문틀(M)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충망의 경우, 방충망을 문틀(M)에 설치하거나, 문틀(M)로부터 방충망을 분리할 때, 이탈방지부재(300)에 의해서 착탈작업이 방해되는 일은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
도 1은 문틀에 방충망이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방충망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충망의 이탈방지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충망의 이탈방지부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방충망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A-A 단면도이고,
도 6(a,b) 및 도 7(a,b)는 본 발명에 따른 방충망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100; 테두리 110; 가이드레일 삽입부
111; 가이드레일 삽입홈 120; 구획판
130; 수용부 삽입부 200; 망체
300; 이탈방지부재 310; 본체
311; 체결부 312; 수용부
312a; 가이드홀 320; 이동블록 321; 걸림부 321a; 가이드레일 수용홈 322; 삽입부 322a; 스프링 수용홈 322b; 절개홈 323; 돌부 M; 문틀 M1; 가이드레일 B; 체결부재 S; 스프링
h; 삽입구멍

Claims (3)

  1. 테두리(100)와 테두리(100)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망체(200)로 방충망이 이루어지되, 방충망의 상·하부 테두리(100)에 가이드레일 삽입홈(111)을 갖춘 가이드레일 삽입부(110)가 형성되어, 상·하부 테두리(100)의 가이드레일 삽입홈(111)에 문틀(M)의 상·하부 가이드레일(M1)이 이동가능하게 끼워져서 맞물리는 미닫이식 방충망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 삽입부(110)를 구성하는 구획판(120)에 삽입구멍(h)이 형성되는 한편,
    둘레면에 가이드홀(312a)이 형성되고, 상면이 개구되어 가이드레일 삽입부(110)의 삽입구멍(h)에 삽입고정되는 수용부(312)와, 수용부(312)의 둘레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가이드레일 삽입부(110)의 구획판(120)에 체결고정되는 체결부(311)를 갖춘 본체(310)와; 본체(310) 수용부(312)의 가이드홀(312a)에 삽입고정되는 돌부(323)를 갖추고서 본체(310) 수용부(312)에 수직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하게 삽입고정되는 삽입부(322)와, 가이드레일(M1)이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레일 수용홈(321a)을 갖추고서 삽입부(322)의 상부에 구비되는 걸림부(321)를 갖춘 이동블록(320) 및; 본체(310)의 수용부(312)에 내설되어, 이동블록(320)을 상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프링(S)을 포함하는 이탈방지부재(3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이 향상된 방충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블록(320)의 삽입부(322)에 스프링(S)의 안착을 위한 스프링 수용홈(32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이 향상된 방충망.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블록(320)의 삽입부(322)에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홈(322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이 향상된 방충망.
KR1020080064327A 2008-07-03 2008-07-03 안전성이 향상된 방충망 KR100993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327A KR100993593B1 (ko) 2008-07-03 2008-07-03 안전성이 향상된 방충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327A KR100993593B1 (ko) 2008-07-03 2008-07-03 안전성이 향상된 방충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253A KR20100004253A (ko) 2010-01-13
KR100993593B1 true KR100993593B1 (ko) 2010-11-10

Family

ID=41813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4327A KR100993593B1 (ko) 2008-07-03 2008-07-03 안전성이 향상된 방충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35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1024A (ko) * 2019-03-18 2020-09-28 김태연 외력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는 방범창 프레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662Y1 (ko) 2005-12-16 2006-03-09 오가람 방충창틀의 흔들림 방지구
KR100636988B1 (ko) 2004-06-18 2006-10-23 임번상 미닫이문
KR100718187B1 (ko) 2005-10-27 2007-05-15 권기팔 창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6988B1 (ko) 2004-06-18 2006-10-23 임번상 미닫이문
KR100718187B1 (ko) 2005-10-27 2007-05-15 권기팔 창틀
KR200410662Y1 (ko) 2005-12-16 2006-03-09 오가람 방충창틀의 흔들림 방지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1024A (ko) * 2019-03-18 2020-09-28 김태연 외력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는 방범창 프레임
KR102259625B1 (ko) * 2019-03-18 2021-06-02 김태연 외력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는 방범창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253A (ko) 2010-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35079A (en) Pet door assembly
US5946856A (en) Pet door having a security cover
KR101548669B1 (ko) 롤 방충망의 잠금장치
KR101593156B1 (ko) 미세방충망 고정구조
US5657592A (en) Pet door having a centrally mounted door flap
KR100993593B1 (ko) 안전성이 향상된 방충망
KR101882763B1 (ko) 분리형 방충망을 구비한 창틀 구조체
KR200410662Y1 (ko) 방충창틀의 흔들림 방지구
KR100952573B1 (ko) 방충망 이탈방지장치
KR102010885B1 (ko) 방충망 이탈방지용 클립
US5782037A (en) Pet door having a security cover
KR101008836B1 (ko) 방충창용 모서리 연결재
KR101180902B1 (ko) 방충망이 형성되어 있는 아케이드용 갤러리 창호
KR101657659B1 (ko) 방충망 잠금구용 안전장치
KR20160052996A (ko) 롤방충망의 프레임에 장착되는 록킹구조
KR102206070B1 (ko) 방충창 이탈방지용 스토퍼 및 이를 구비한 창호
JP6944396B2 (ja) 建具
US20050205219A1 (en) Non pull cord operated blind structure
KR200381606Y1 (ko) 방충망 잠금 장치
KR200398852Y1 (ko) 방충망 이탈방지재
KR101831282B1 (ko) 방충망용 잠금장치
KR101415151B1 (ko) 방충창용 창틀
KR101328268B1 (ko) 권취식 방충망
KR200325655Y1 (ko) 방충망의 안전 지지장치
KR102033553B1 (ko) 방충망 이탈 방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