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3203B1 - 이동 단말기의 목록 관리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의 목록 관리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3203B1
KR100993203B1 KR1020080107493A KR20080107493A KR100993203B1 KR 100993203 B1 KR100993203 B1 KR 100993203B1 KR 1020080107493 A KR1020080107493 A KR 1020080107493A KR 20080107493 A KR20080107493 A KR 20080107493A KR 100993203 B1 KR100993203 B1 KR 100993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er
list
file list
file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7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8372A (ko
Inventor
박종화
강영희
홍상혁
정승기
김정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7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3203B1/ko
Publication of KR20100048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8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3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3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목록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목록관리화면에서 폴더가 생성되고, 생성된 폴더에 파일목록이 추가되고, 폴더에는 기능 아이콘(Function Icon)이 포함되어, 폴더를 펼치거나 접음으로써 폴더 내의 파일목록을 펼치거나 숨길 수 있는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이동 단말기의 목록 관리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여, 폴더와 폴더 내의 목록을 하나의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으므로, 폴더 내의 목록을 확인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파일목록, 폴더, "+", "-", 기능 아이콘

Description

이동 단말기의 목록 관리방법 및 장치{LIST MANAGING METHOD AND DEVICE OF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목록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있어서, 휴대폰이나 PMP, MP3 등의 이동 단말기는 중요한 부분 중의 하나로 자리 잡고 있다. 거리를 다니면서 음악을 듣거나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영화를 감상하는 등 다용도로 이동 단말기를 활용한다. 특히, 휴대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 역시 MP3를 저장해서 음악을 들을 수 있고, 워드파일 등을 저장하여 글을 읽을 수도 있다.
게다가 최근에 출시되는 이동 단말기들은 많은 파일을 저장하여 하나의 이동 단말기에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파일의 관리는 필수적이다. 도1은 종래의 파일을 관리할 수 있는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인데, 이동 단말기의 음악을 들을 수 있는 음악재생 프로그램으로 진입하여 재생 목록을 분류하기 위하여 폴더에 넣은 경우에 폴더별 세부 항목을 보기위한 예시도이다.
도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 목록을 넣은 폴더를 볼 수 있는 화면에 서 각 폴더의 내부에 어떤 목록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폴더를 선택하여 폴더 내부로 진입하여야 도1의 (b)에서와 같이, 폴더01 내에 어떤 목록들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록 관리가 음악 재생프로그램에서의 목록 관리 화면인 경우에는 하나의 폴더 내에 포함된 음악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폴더 별로 음악을 재생하거나 폴더 내로 진입하여 해당 폴더 안에 포함된 목록에서만 재생시킬 수 있는 목록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해당 폴더로 진입하여야만 폴더 내의 목록을 확인하기 때문에 특정한 파일을 찾기 위해서는 모든 폴더에 각각 진입하여 찾고자 하는 파일이 해당 폴더에 있는지 확인하여야 한다는 문제로 인해 특정한 파일을 찾고자할 때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에 비해 손쉽고 간편한 방법으로 목록을 관리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목록 관리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이동 단말기의 목록 관리방법은 목록을 관리할 수 있는 목록관리화면으로 진입되는 목록 관리화면 진입단계; 상기 목록관리화면 내에 하나 이상의 폴더가 생성되는 폴더 생성단계; 및 상기 폴더형성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폴더 내에 파일목록이 이동되는 파일목록 이동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폴더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하나 이상의 폴더에는, 폴더 내에 추가된 파일목록을 볼 수 있도록 터치 입력에 의해 파일목록을 펼치거나 펼쳐진 파일목록을 터치입력에 의해 숨길 수 있는 기능 아이콘(Function Ico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기능 아이콘은, 폴더 내의 파일목록이 보이지 않도록 파일목록이 숨겨진 상태에서는 "+"로 표시되고, 폴더 내의 파일목록이 보이도록 파일목록이 펼쳐진 상태에서는 "-"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폴더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폴더가 복수인 경우, 하나의 폴더 내의 하나 이상의 파일목록과 상기 하나의 폴더와 다른 폴더 내의 하나 이상의 파일 목록을 같이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폴더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폴더가 복수인 경우, 하나의 폴더 내의 하나 이상의 파일목록과 상기 하나의 폴더와 다른 폴더를 같이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이동 단말기의 목록 관리장치는 하나 이상의 폴더와 폴더 내의 파일목록이 디스플레이되고, 터치 입력으로 입력된 신호를 출력하는 터치스크린부; 상기 터치스크린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폴더와 상기 폴더 내에 이동된 파일목록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터치스크린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폴더에는 폴더 내의 파일목록을 볼 수 있도록 파일목록을 펼거나 펼쳐진 파일목록을 숨길 수 있는 기능 아이콘이 포함되어, 상기 기능 아이콘이 터치 입력에 의해 선택될 때 폴더 내의 파일목록을 펼치거나 축소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터치스크린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폴더가 복수인 경우, 하나의 폴더 내의 하나 이상의 파일목록과 상기 하나의 폴더와 다른 폴더 내의 하나 이상의 파일목록을 같이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폴더가 복수인 경우, 하나의 폴더 내의 하나 이상의 파일목록과 상기 하나의 폴더와 다른 폴더를 같이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폴더와 폴더 내의 목록을 하나의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으므로, 폴더 내의 목록을 확인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폴더와 목록을 하나의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목록의 관리방법을 쉽게 학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구성에 대한 설명>
본 발명에 대한 일실시예로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이동 단말기의 목록 관리장치는 터치스크린부(110), 저장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터치스크린부(110)는 하나 이상의 파일목록이 포함된 폴더가 디스플레이되는데, 폴더는 하나 이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전체목록 안에 여러 개의 폴더가 형성되어 각각의 폴더 내에는 다수의 파일목록이 포함될 수 있다.
저장부(120)는 터치스크린부(110)에 디스플레이되는 폴더가 저장되고, 각 폴더의 내에 포함된 파일목록이 저장된다.
제어부(130)는 각 폴더를 펼치거나 축소시킬 수 있는데, 터치스크린부(110)에 디스플레이되는 폴더의 일측에는 기능 아이콘(Function Icon)이 구비되는데, 터치 입력에 의해 기능 아이콘이 선택되면, 접혀진 폴더는 확장되고, 확장된 폴더는 접혀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폴더가 접혀진 상태에서는 기능 아이콘이 "+"로 표시되어, "+"를 터치하면 접혀진 폴더를 펼쳐 폴더 내에 포함되어 있는 파일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폴더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기능 아이콘이 "-"로 표시되어, "-"를 터치하면 펼쳐진 폴더가 접혀지면서 폴더 내에 파일목록이 보이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하나의 폴더가 펼쳐지고, 다른 폴더가 접혀진 상태에 있는 경우에도 펼쳐진 폴더 내의 파일목록에서 일부가 선택된 상태에서 접혀진 다른 폴더가 선택될 수 있다. 이때, 파일목록이 음악을 재생할 수 있는 콘텐츠인 경우에는 선택된 파일목록과 폴더를 동시에 재생시킬 수 있다.
물론, 파일목록이 접혀진 상태에서도 하나의 폴더가 선택된 경우에 다른 폴더를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파일목록이 음악을 재생할 수 있는 콘텐츠인 경우에는 선택된 폴더를 동시에 재생시킬 수 있다.
이때, 폴더를 선택하는 것은 폴더 내의 파일목록 전체를 선택하는 경우와 동일하기 때문에, 파일목록이 음악을 재생할 수 있는 콘텐츠인 경우에 하나의 폴더를 선택하면 폴더 내의 모든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방법에 대한 설명>
본 발명에 대한 일실시예로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이동 단말기의 목록 관리방법에 대해 도4 및 도5에 도시된 예시도를 참조하여 도3에 도시된 흐름도를 따라 설명하되, 편의상 순서를 붙여 설명한다.
1. 목록 관리화면 진입단계<S301>
목록을 관리할 수 있는 목록관리화면으로 진입한다.
2. 폴더 생성단계<S302>
단계 S301에서 목록관리화면으로 진입된 다음,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폴더가 생성된다. 즉, 단계 S301에서 목록관리화면으로 진입되면, 목록관리화면에는 도4의 (a)에 도신된 바와 같이, 다수의 파일목록이 분류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체가 나열되어 있는데, 이런 상태에서 폴더가 생성된다. 즉, 도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목록이 나열된 상태에서 '폴더01'을 생성하면, 도4의 (b)와 같이 도시된다.
그리고 도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 폴더의 우측에는 "+" 형태로 기능 아이콘(Function Icon)이 마련된다. 그리고 폴더에 파일목록이 이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 기능 아이콘을 터치하면, "+"가 "-"로 표시가 변경되지만, 폴더에는 어떠한 파일목록도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파일목록이 펼쳐지지 않는다.
3. 파일목록 이동단계<S303>
단계 S302에서 폴더가 생성되면, 분류되지 않은 파일목록에서 일부 또는 전체를 선택하여 단계 S302에서 생성된 폴더에 이동할 수 있다. 단계 S302에서 생성된 폴더가 복수인 경우에는 분류되지 않은 파일목록의 일부가 생성된 폴더에 각각 이동될 수 있다.
즉, 도4의 (b)에서처럼 '폴더01'이 생성되었으나, 아직 '폴더01'에 파일이 이동되지 않은 상태이고, '파일목록 01'에서 '파일목록 05'까지 선택하여 '폴더01'에 이동시키면 도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01'에는 '파일목록 01'에서 '파일목록 05'까지의 파일목록이 이동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4의 (c)에는 아직 폴더로 이동되지 않은 파일목록들이 나열되어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방식으로 '폴더2'를 생성하여 나머지 파일목록들을 '폴더2'에 이동시키고, 각 폴더가 접혀지면, 도5의 (a)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때, 도5의 (a)에서 '폴더01'의 일측에 표시된 "+" 기능 아이콘이 터치되면, 도5의 (b)에서와 같은 상태로 '폴더01'이 펼쳐지면서 기능 아이콘은 "+"에서 "-"로 표시가 변경된다.
그리고 도5의 (b)와 같은 상태에서 '폴더01'의 "-" 기능 아이콘이 터치되면, 도5의 (c)에서와 같은 상태로 파일목록이 펼쳐진 '폴더01'이 접히면서 파일목록이 숨겨지면서, 기능 아이콘이 "-"에서 "+"로 표시가 변경된다. 이때, '폴더2'의 "+" 기능 아이콘이 터치되면, '폴더2'가 펼쳐지면서 '폴더2'에 포함된 파일목록이 나타난다.
도5의 (c)에서와 같은 상태에서 '파일목록 06', '파일목록 08', '파일목록 09', 및 '폴더01'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파일목록이 음악 재생 콘텐츠인 경우, '폴더01'에 포함된 파일목록과 '파일목록 06', '파일목록 08' 및 '파일목록 09'을 재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5의 (a)에서와 같이 '폴더01' 및 '폴더2'를 선택하면 '폴더01' 및 '폴더2'에 포함되어 있는 파일목록을 모두 재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위레벨에 해당하는 폴더와 하위레벨에 해당하는 파일목록을 하나의 화면에서 동시에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폴더 내의 파일목록을 확인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파일목록의 선택에 있어서도, 폴더와 파일목록을 같이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음악 콘텐츠를 재생하는 경우에도 폴더 내의 콘텐츠와 다른 폴더에 포함된 콘텐츠를 동시에 재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1은 종래의 파일목록을 관리하는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의 목록 관리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의 목록 관리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의 목록 관리방법에 따라 파일목록을 관리하는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터치스크린부 120: 저장부
130; 제어부

Claims (7)

  1. 분류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파일목록을 관리할 수 있는 목록관리화면으로 진입되는 목록 관리화면 진입단계;
    상기 목록관리화면 내에 하나 이상의 폴더가 생성되는 폴더 생성단계; 및
    상기 폴더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폴더 내에 상기 파일목록이 이동되는 파일목록 이동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폴더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하나 이상의 폴더에는,
    폴더 내에 추가된 파일목록을 볼 수 있도록 터치 입력에 의해 파일목록을 펼치거나 펼쳐진 파일목록을 터치입력에 의해 숨길 수 있는 기능 아이콘(Function Ico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이동 단말기의 목록 관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아이콘은,
    폴더 내의 파일목록이 보이지 않도록 파일목록이 숨겨진 상태에서는 "+"로 표시되고, 폴더 내의 파일목록이 보이도록 파일목록이 펼쳐진 상태에서는 "-"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이동 단말기의 목록 관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폴더가 복수인 경우, 하나의 폴더 내의 하나 이상의 파일목록과 상기 하나의 폴더와 다른 폴더 내의 하나 이상의 파일목록을 같이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이동 단말기의 목록 관리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폴더가 복수인 경우, 하나의 폴더 내의 하나 이상의 파일목록과 상기 하나의 폴더와 다른 폴더를 같이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이동 단말기의 목록 관리방법.
  5. 하나 이상의 폴더와 폴더 내의 파일목록이 디스플레이되고, 터치 입력으로 입력된 신호를 출력하는 터치스크린부;
    상기 터치스크린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폴더와 상기 폴더 내에 이동된 파일목록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터치스크린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폴더에는 폴더 내의 파일목록을 볼 수 있도록 파일목록을 펼거나 펼쳐진 파일목록을 숨길 수 있는 기능 아이콘이 포함되어, 상기 기능 아이콘이 터치 입력에 의해 선택될 때 폴더 내의 파일목록을 펼치거나 축소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이동 단말기의 목록 관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폴더가 복수인 경우, 하나의 폴더 내의 하나 이상의 파일목록과 상기 하나의 폴더와 다른 폴더 내의 하나 이상의 파일목록을 같이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이동 단말기의 목록 관리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폴더가 복수인 경우, 하나의 폴더 내의 하나 이상의 파일목록과 상기 하나의 폴더와 다른 폴더를 같이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이동 단말기의 목록 관리장치.
KR1020080107493A 2008-10-31 2008-10-31 이동 단말기의 목록 관리방법 및 장치 KR100993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7493A KR100993203B1 (ko) 2008-10-31 2008-10-31 이동 단말기의 목록 관리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7493A KR100993203B1 (ko) 2008-10-31 2008-10-31 이동 단말기의 목록 관리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8372A KR20100048372A (ko) 2010-05-11
KR100993203B1 true KR100993203B1 (ko) 2010-11-10

Family

ID=42275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7493A KR100993203B1 (ko) 2008-10-31 2008-10-31 이동 단말기의 목록 관리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32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4478A (ko) * 2011-09-28 2013-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2541A (ko) 2010-08-02 2012-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디바이스에서 폴더 운용 방법 및 장치
KR101250250B1 (ko) * 2011-05-18 2013-04-0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콘텐츠 표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0369A (ja) 2003-12-26 2005-07-14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フォルダ管理装置、フォルダ管理方法、フォルダ管理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US20080141176A1 (en) 2006-12-12 2008-06-12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ogra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0369A (ja) 2003-12-26 2005-07-14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フォルダ管理装置、フォルダ管理方法、フォルダ管理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US20080141176A1 (en) 2006-12-12 2008-06-12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ogra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4478A (ko) * 2011-09-28 2013-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883762B1 (ko) * 2011-09-28 2018-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8372A (ko) 2010-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42519A1 (en) Content Presentation and Interaction Across Multiple Displays
RU2493614C2 (ru) Электронная книга с улучшенными характеристиками
KR101679343B1 (ko) 애플리케이션 스위쳐
US9529492B2 (en) Reproduction of file series
KR101642722B1 (ko) 듀얼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단말 및 그 표시부의 표시 제어 방법
US9219812B2 (en) Mobile terminal
CN103365592B (zh) 执行显示器上的对象的方法和设备
CN103218107B (zh) 用于提供与多个应用程序相关的用户界面的方法和系统
US20130061172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pplication programs
KR102078753B1 (ko) 화면 구성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729691B2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multiple recording of data
US20120240083A1 (en) Electronic device and navigation display method
US20110289457A1 (en) Electronic rea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iewing files
CN105335052B (zh) 信息处理方法及终端设备
MX2011007439A (es) Aparato y metodo para procesar datos.
CN103135898A (zh) 在移动装置中用于管理书相关项的系统和方法
CN101853120A (zh) 一种应用程序的控制菜单的呈现方法、系统及移动终端
CN104503664A (zh) 搜索方法、装置和移动终端
KR100993203B1 (ko) 이동 단말기의 목록 관리방법 및 장치
US786118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navigating page-oriented information assets
KR20150088564A (ko) 음성인식에 기반한 애니메이션 재생이 가능한 전자책 단말기 및 그 방법
US8380755B2 (en) Electronic reader capable of recording comments and amendments and method thereof
US20130198688A1 (en) Electronic device, storage medium and method for searching menu options of the electronic device
KR101303019B1 (ko)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검색화면제공방법
US201202661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associating events with objects in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