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2849B1 - 강화유리 도어의 손잡이 - Google Patents

강화유리 도어의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2849B1
KR100992849B1 KR1020080068078A KR20080068078A KR100992849B1 KR 100992849 B1 KR100992849 B1 KR 100992849B1 KR 1020080068078 A KR1020080068078 A KR 1020080068078A KR 20080068078 A KR20080068078 A KR 20080068078A KR 100992849 B1 KR100992849 B1 KR 100992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door
rod
handle
band
spa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8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7440A (ko
Inventor
김명호
Original Assignee
김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호 filed Critical 김명호
Priority to KR1020080068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2849B1/ko
Publication of KR20100007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2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2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15Knobs or handles which do not operate the bolt or lock, e.g. non-movable;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문(G)의 외부와 내부에서 대향되게 설치되는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유리문(G)상에 분할된 형태로 형성되어 결합수단(15)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고, 각각의 끝단부에 고정공(11)(21)을 구비하는 로드(10)(20); 상기 로드(10)(20)의 고정공(11)(21)상에 무드볼트(34)에 의해 고정되는 밴드(31)와 스페이서(32)를 일체로 개재하고, 내부에 볼트(35)로 고정되는 조임블록(33)을 구비하는 외측지지구(30); 및 상기 외측지지구(30)의 밴드(31)와 대응되게 밴드(41)와 스페이서(42)를 개재하여 볼트(44)에 의해 결합되고, 내부에서 조임블록(33)에 조임링(43)을 나선 체결하여 고정되는 내측지지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손잡이를 구성하는 로드를 다분할함과 함께 외ㆍ내측지지구를 서로 결합되게 형성함에 따라, 각 로드의 색상, 재질을 달리 조합할 수 있어 심미감을 높여 장식성이 뛰어나고, 장시간 사용시에도 로드의 견고함과 결합력이 떨어지지 않는 효과를 제공한다.
유리, 도어, 유리문, 손잡이, 로드, 분할, 심미감, 장식성, 견고함

Description

강화유리 도어의 손잡이{Handle for glass door}
본 발명은 강화유리 도어의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손잡이를 구성하는 로드를 다분할함과 함께 외ㆍ내측지지구를 서로 결합되게 형성함에 따라, 각 로드의 색상, 재질을 달리 조합할 수 있어 심미감을 높여 장식성이 뛰어나고, 장시간 사용시에도 로드의 견고함과 결합력이 떨어지지 않는 강화유리 도어의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리기술의 발달에 따라 근래 건축물에서 유리재질이 차지하는 비중이 늘어나며 소형의 창문은 물론 대형의 출입구 도어에 이르기까지 관심과 역할이 점차 커지고 있다. 특히 강화유리는 미관뿐만 아니라 강도와 단열성에 있어서도 기존의 도어에 크게 뒤지지 않아 선호도가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의 강화유리 도어의 손잡이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화유리 도어의 손잡이는 유리문(G)상에 지지구(3)를 결합하고, 상기 지지구(3)상에 개재된 볼트(2)를 통하여 로드(1)에 조여 고정한다.
그러나, 종래의 손잡이는 장시간 사용시 로드(1)상에 조여진 볼트(2)가 점차 헐거워져 고정된 로드(1)가 빠져 안전성에 대한 문제가 발생하였고, 일체로 형성된 로드(1)로 인해 재질 및 색상 등을 다양하게 형성하지 못해 단조로워 심미감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손잡이를 구성하는 로드를 다분할함과 함께 외ㆍ내측지지구를 서로 결합되게 형성함에 따라, 각 로드의 색상, 재질을 달리 조합할 수 있어 심미감을 높여 장식성이 뛰어나고, 장시간 사용시에도 로드의 견고함과 결합력이 떨어지지 않는 강화유리 도어의 손잡이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리문의 외부와 내부에서 대향되게 설치되는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유리문 상에 다분할된 형태로 형성되어 결합수단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고, 각각의 끝단부에 고정공을 구비하는 로드; 상기 로드의 고정공 상에 무드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밴드와 스페이서를 일체로 개재하고, 내부에 볼트로 고정되는 조임블록을 구비하는 외측지지구; 및 상기 외측지지구의 밴드와 대응되게 밴드와 스페이서를 개재하여 볼트에 의해 결합되고, 내부에서 조임블록에 조임링을 나선 체결하여 고정되는 내측지지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로드의 결합수단은 일측에 나사봉과 타측에 나사공이 대응되게 형성하여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 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손잡이를 구성하는 로드를 다분할함과 함께 외ㆍ내측지지구를 서로 결합되게 형성함에 따라, 각 로드의 색상, 재질을 달리 조합할 수 있어 심미감을 높여 장식성이 뛰어나고, 장시간 사용시에도 로드의 견고함과 결합력이 떨어지지 않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화유리 도어의 손잡이가 도어에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화유리 도어의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강화유리 도어의 분리된 것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이다.
본 발명은 강화유리문 도어의 외부와 내부에서 대향되게 설치되는 손잡이에 관련되며, 로드(10,20)와 외측지지구(30), 내측지지구(40)를 주요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로드(10,20)는 상기 유리문(G)상에 다분할된 형태로 형성되어 결합수단(15)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고, 각각의 끝단부에 고정공(11)(21)을 구비한다. 상기 로드(10,2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문(G)상에 다분할, 즉 3부분(상ㆍ중ㆍ하부)으로 분할되게 형성되어 결합된다. 이러한 유리문(G)은 통상적으로 강화유리문이며 외부(실외)와 내부(실내)에 각각 2쌍의 로드(10,20)를 구비한다. 한편, 유리문(G)은 양방향으로 설치되어 다분할된 형태로 형성되는 바, 이는 후술하는 결합수단(15)에 의해 일체로 결합하게 된다. 이때, 로드(10,20)는 다분할된 구조로, 상ㆍ하부와 중부를 서로 색상이나 재질을 달리 조합하여 결합하여 심미감을 높여 장식성이 향상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외측지지구(30)는 상기 로드(10)(20)의 고정공(11)(21)상에 무드볼트(34)에 의해 고정되는 밴드(31)와 스페이서(32)를 일체로 개재하고, 내부에 볼트(35)로 고정되는 조임블록(33)을 구비한다. 외측지지구(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31)와 스페이서(32)는 일체로 구비되는 바, 밴드(31)는 로드(10,20)에 헐겁게 삽착 가능한 고리형이며 일면에 나선부(31a)를 구비하여 로드(10,20)의 고정공(11,21)과 맞물려 체결된다. 스페이서(32)는 금속 또는 수지계의 몸체 상에 무드볼트(34)가 몰드된 구조로 형성되어 밴드(31)의 나선부(31a)와 로드(10,20)의 고정공(11,21)을 통해 스페이서(32)를 고정시킨다. 조임블록(33)은 스페이서(32)와 마찬가지로 금속 또는 수지계를 사용하고 중앙의 내부나선(33a)과 외주면의 외부나선(33b)을 구비하여 내부나선(33a)을 통해 볼트(35)와 체결하여 스페이서(32)와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측지지구(40)는 상기 외측지지구(30)의 밴드(31)와 대응되게 밴드(41)와 스페이서(42)를 개재하여 볼트(44)에 의해 결합되고, 내부에서 조임블록(33)에 조임링(43)을 나선 체결하여 고정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지지구(40)는 외측지지구(30)와 대응되게 위치하는 바, 이러한 내측지지구(40)는 밴드(41)와 스페이서(42)를 개재하여 내부에서 조임블록(33)에 조임링(43)을 나선 체결하여 고정된다. 내측지지구(40)의 밴드(41)는 상술한 외측지지구(30)의 밴드(31)와 여타 작용은 동일하고 나선부(41a)를 형성하는 것 또한 동일하다. 다만, 외측지지구(30)의 밴드(31)와 스페이서(32)는 일체로 형성된 반면에 내측지지구(40)의 밴드(41)와 스페이서(42)는 분리 형성된다.
이때, 상술한 외측지지구(30)의 스페이서(32)는 무드볼트(34)와 몰드된 구조라면 상기 내측지지구(40)의 스페이서(42)는 별도의 볼트(44)를 구비하여 스페이서(42)의 내부에 안착되고, 후술하는 조임링(43)의 내부에 형성된 걸림턱(43b)과 스페이서(42)의 걸림부(42a)가 맞물려 형성된다. 조임링(43)은 내부에 나선테(43a)를 구비하여 상술한 조임블록(33)의 외부나선(33b)과 맞물려 체결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강화유리 도어의 결합수단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10)(20)의 결합수단(15)은 일측에 나사봉(12)과 타측에 나사홈(13)이 대응되게 맞물려 결합한다. 결합수단(15)은 일측에 형성된 나사봉(12)과 타측의 나사홈(13)이 서로 맞물려 체결하여 결합한다.
도면상에는 로드(10)에 나사봉(12)이 형성되고, 로드(20)에는 나사홈(13)이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지만, 로드(10)에 나사홈(13)이 형성되고 로드(20)에는 나사봉(12)이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때, 나사홈(13)상에 나사봉(12)를 삽입하여 체결할 때, 서로 헐거워지지 않을 정도로 조임강도를 높여 조이게 되면 로드(10,20)의 고정공(11,21)은 서로 맞물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고정공(11,21)상에 외측지지구(30), 내측지지구(40)의 볼트(34,44)가 체결되어 단단히 고정되어 장시간 사용시에도 견고함과 결합력이 떨어지지 않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강화유리 도어의 결합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강화유리 도어의 손잡이의 결합에 있어서 먼저, 일측에 분할된 로드(10,20)를 나사봉(12)과 나사홈(13)을 체결하면 고정공(11,21)이 맞물려 고정된다. 이어서, 고정공(11,21)상에 삽입하는 스페이서(32)의 내부에 일체로 몰드된 무드볼트(34)를 상기 밴드(31)의 나선부(31a)상에 체결하여 로드(10,20)의 고정공(11,21)상에 결합한다.
그리고 반대측에 대향되게 로드(10,20)를 설치하여 상술한 것처럼 분할된 로드(10,20)를 나사봉(12)과 나사홈(13)을 체결하면 고정공(11,21)이 맞물려 밴드(41)의 나선부(41a)와 일치시킨다. 이어서, 볼트(44)를 스페이서(42)의 내부에 삽입하여 조임링(43)상에 스페이서(42)의 걸림부(42a)와 조임링(43)의 걸림턱(43b)상에 안착시켜 볼트(44)를 밴드(41)의 나선부(41a)상에 체결한다.
이어서, 외측지지구(30)의 볼트(35)를 유리문(G)의 홈(미도시)상이 관통시켜 조임블록(33)에 형성된 내부나선(33a)과 체결하고, 외부나선(33b)과 상기 조임 링(43)의 나선테(43a)를 체결하여 고정시켜 손잡이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로드(10,20)를 다분할된 구조 형성하여 각각의 로드(10,20)의 색상이나 재질을 달리 조합하여 결합함으로써 심미감을 높여 장식성이 뛰어나고, 로드(10,20)에 형성된 고정공(11,21)과 외ㆍ내측지지구(30)(40)를 함께 결합시켜 고정함에 따라 장시간 사용시에도 견고함과 결합력이 떨어지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강화유리 도어의 손잡이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화유리 도어의 손잡이가 도어에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화유리 도어의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강화유리 도어의 분리된 것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강화유리 도어의 결합수단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강화유리 도어의 결합된 현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G: 유리문 10,20: 로드
11,21: 고정공 12: 나사봉
13: 나사홈 15: 결합수단
30: 외측지지구 31,41: 밴드
31a,41a: 나선부 32,42: 스페이서
33: 조임블록 33a: 내부나선
33b: 외부나선 34: 무드볼트
35: 볼트 40: 내측지지구
42a: 걸림부 43: 조임링
43a: 나선테 44: 볼트

Claims (2)

  1. 유리문(G)의 외부와 내부에서 대향되게 설치되는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유리문(G)상에 다분할된 형태로 형성되어 결합수단(15)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고, 각각의 끝단부에 고정공(11)(21)을 구비하는 로드(10)(20);
    상기 로드(10)(20)의 고정공(11)(21)상에 무드볼트(34)에 의해 고정되는 밴드(31)와 스페이서(32)를 일체로 개재하고, 내부에 볼트(35)로 고정되는 조임블록(33)을 구비하는 외측지지구(30); 및
    상기 외측지지구(30)의 밴드(31)와 대응되게 밴드(41)와 스페이서(42)를 개재하여 볼트(44)에 의해 결합되고, 내부에서 조임블록(33)에 조임링(43)을 나선 체결하여 고정되는 내측지지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 도어의 손잡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10)(20)의 결합수단(15)은 일측에 나사봉(12)과 타측에 나사공(13)이 대응되게 형성하여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 도어의 손잡이.
KR1020080068078A 2008-07-14 2008-07-14 강화유리 도어의 손잡이 KR100992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078A KR100992849B1 (ko) 2008-07-14 2008-07-14 강화유리 도어의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078A KR100992849B1 (ko) 2008-07-14 2008-07-14 강화유리 도어의 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440A KR20100007440A (ko) 2010-01-22
KR100992849B1 true KR100992849B1 (ko) 2010-11-08

Family

ID=41816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8078A KR100992849B1 (ko) 2008-07-14 2008-07-14 강화유리 도어의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28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491B1 (ko) * 2013-06-28 2015-03-30 정수복 강화유리도어의 손잡이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848Y1 (ko) 2010-09-06 2011-03-21 이성근 도어락 보호케이스
KR101769194B1 (ko) 2015-04-09 2017-08-21 황정연 강화유리 도어 손잡이
CN209637377U (zh) * 2018-12-05 2019-11-15 福建西河卫浴科技有限公司 一种拉手组件和淋浴房
KR102541907B1 (ko) * 2023-03-02 2023-06-13 (주)비엔에프 고성능 현관문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491B1 (ko) * 2013-06-28 2015-03-30 정수복 강화유리도어의 손잡이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440A (ko) 201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2849B1 (ko) 강화유리 도어의 손잡이
EP1958763A4 (en) ALUMINUM RESIN-ALLOY COMPOSIT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200441343Y1 (ko) 균열방지 조립형 목재
CN104948070B (zh) 平面多腔体胶条共挤型材
CN209990336U (zh) 一种铝木压合结构及铝木门窗型材
CN203783340U (zh) 一种铝塑型材的复合结构
CN204040773U (zh) 一种隔热门窗型材以及门、窗系统
KR100918306B1 (ko) 강화유리 도어의 손잡이
CN104196409A (zh) 一种隔热门窗型材以及门、窗系统
CN204274186U (zh) 底部支撑件及采用该底部支撑件的电饭煲
KR20120127873A (ko) 유리문의 손잡이 장착용 스페이서
CN203654996U (zh) 组合式窗套型材结构
CN103912183A (zh) 一种铝塑型材的复合结构
CN203910602U (zh) 一种双控开关
CN209067871U (zh) 一种龙头开关
CN203701874U (zh) 一种铝合金框的钢化玻璃门
EP2354565B1 (en) Modular pliers for arranging technical furniture, protection and/or delimitation structures
CN211201593U (zh) 一种造型面板组合安装结构
KR200445698Y1 (ko) 조립식 기둥
CN205841388U (zh) 用于五金管件的车轮装饰件
CN104963437A (zh) 一种陶瓷装饰的玻璃建筑幕墙结构
KR200200013Y1 (ko) 온실골조의 비닐 고정장치
CN106401283A (zh) 淋浴房拉手
KR200241030Y1 (ko) 문손잡이의 장식캡구조
KR101115417B1 (ko) 대나무 장식 효과를 갖는 파이프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