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2307B1 -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크리닝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크리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2307B1
KR100992307B1 KR1020030071738A KR20030071738A KR100992307B1 KR 100992307 B1 KR100992307 B1 KR 100992307B1 KR 1020030071738 A KR1020030071738 A KR 1020030071738A KR 20030071738 A KR20030071738 A KR 20030071738A KR 100992307 B1 KR100992307 B1 KR 100992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collecting plate
dust collecting
dust
electrostatic precipit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1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6141A (ko
Inventor
이성하
위흥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30071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2307B1/ko
Publication of KR20050036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6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2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2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74Cleaning the electrodes
    • B03C3/78Cleaning the electrodes by wa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74Cleaning the electrodes
    • B03C3/743Cleaning the electrodes by using friction, e.g. by brushes or sliding elements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전기집진기(ELECTRIC DUST PRECIPITATOR)의 집진판 크리닝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크리닝장치는, 전기집진기 집진판의 상부에서 하부 양측으로 절곡구조로 배치되고 고압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관;과, 상기 세척수관의 양측 단부에 수직하게 연결되고, 고압수의 공급시 세척수압으로 상승하는 웨이트가 내장된 실린더관;과, 상기 웨이트와 세척수호스와 작동와이어로서 연결되어 집진판 가로방향으로 신장되고 내부에 제 1 세척수통로가 형성된 가로부재;와, 상기 가로부재사이로 집진판 양측에 인접토록 연결되고 제 1 세척수통로와 통하는 제 2 세척수통로가 형성된 세로부재; 및, 상기 세로부재에 제공되는 다중 크리닝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집진판의 표면을 스크래퍼와분사되는 세척수 및 브러쉬로서 다중으로 크리닝함으로서, 전기 집진기의 집진판을 최대한 크리닝시킬 수 있어 집진판을 통한 미세 더스트의 집진효율을 가일층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장치의 설치 및 운영을 용이하게 하는 보다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전기집진기, 집진판, 더스트 포집, 집진판 크리닝장치, 집진판 세척

Description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크리닝장치{AN APPARATUS FOR CLEANING PRECIPITATION PLATES OF A ELECTRIC DUST PRECIPITATOR}
도 1은 종래 전기집진기의 세척작업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크리닝장치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인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크리닝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크리닝장치의 크리닝작동을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인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크리닝장치의 가로 및 세로부재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크리닝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크리닝장치의 와이어,호스의 가로부재 연결 구조를 도시한 구조도
도 8은 도 7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인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크리닝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집진판 크리닝장치 10.... 세척수관
30.... 실린더관 32.... 웨이트
34.... 풀리부재 50.... 가로부재
52.... 세척수호스 54.... 작동와이어
56.... 제 1 세척수통로 70.... 세로부재
72.... 제 2 세척수통로 74.... 가이드롤러
90.... 다중 크리닝수단 92.... 스크레퍼
94.... 분사노즐 96.... 브러쉬
본 발명은 제철공장에서 발생되는 가스중에 부유하는 미세한 더스트를 분리 포집하는 전기집진기(ELECTRIC DUST PRECIPITATOR)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집진판을 따라 승하강하면서 그 표면을 스크래퍼와 분사되는 세척수 및 브러쉬로서 다중으로 크리닝함으로서, 전기 집진기의 집진판을 최대한 크리닝시킬 수 있어 집진판을 통한 미세 더스트의 집진효율을 가일층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고압수를 이용하여 크리닝수단들의 승,하강을 가능하게 하여 별도의 동력원이 필요없어 장치의 설치 및 운영이 매우 용이할 수 있도록 한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크리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철공장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가스 예를 들어, 고로조업시 발생되는 가스와 코크스오븐 조업중 발생되는 코크스오븐가스등에는 석탄가루와 같은 미세한 더스트가 다량 포함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가스중에 포함된 미세 더스트는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므로 전기집진기를 이용하여 집진 처리하는데, 이와 같은 일반적인 전기집진기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나 공기중에 부유하는 미세 더스트를 포집처리하는 전기 집진기(100)의 기본구조는, 코로나 전류를 발생하는 방전극 (110)과 코로나 전류에 의해 대전된 더스트 입자(D)를 포집하는 집진판(120)으로 구성되고, 이와 같은 방전극(110)과 집진판(120)은 본체(130)내에 다수개가 배열 설치되어 상기 본체(130)내로 유입된 가스나 공기는 방전극(110)과 집진판 (120)을 통과하면서 도 1의 요부도부분에서와 같이 집진판(120)에 포집되어 가스나 공기의 청정조업이 수행된다.
즉, 방전극(110)에는 직류 고전압이 인가되며 전기집진기(100)의 본체 (130) 및 집진판(120)과 절연애자에 의해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고, 방전극 (110)은 가는 선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방전극 근방에 국부적인 절연파괴가 일어나며 이것에 의해 발생된 코로나 전류가 집진판(120)을 향해서 흘러가고, 이와 같은 코로나 전류에 의해 방전극(110)과 집진판(120) 사이를 통과하는 가스나 공기중의 부유더스트(D)가 대전되어 전기력에 의해 집진판(120) 쪽으로 이동되어 포집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전기집진기(100)에 있어서는, 미세 더스트(D)가 지속적으로 집진판(120)에 포집되면서 집진판(120)의 표면에는 누척된 더스트가 고착되기 쉽고, 이경우 더스트 포집효율이 저하되기 때문에, 상기 집진판(120)은 주기적으로 세척시키는데, 도 1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집진판(120)의 상부에서 세척수를 단순히 분사시키는 분사장치(140)가 제공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세척수 분사장치(140)를 이용한 종래의 전기집진기 집진판 세척작업에 있어서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세척수를 집진판(120)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분사시키기 때문에, 집진판(120)의 상부부분은 세척수로서 효과적으로 세척 처리되지만, 나머지 집진판(120)의 대부분은 단순히 세척수가 흘러가면서 세척되는 정도이고, 이경우 포집된 집진판(120)상의 표면에 견고하게 고착되기 쉬운 고착 더스트(D)를 효과적으로 세척 제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리고, 세척 제거되지 않은 단순히 수분을 함유한 고착 더스트(D)는 전극간의 안정된 코로나 방전을 방해하면서 오히려 불꽃방전을 발생시키거나 역전리의 원인을 제공하여 전기 집진기(100) 자체의 더스트 집진율을 현저하게 저하시키는 것은 물론, 전기 집진기(100)의 조기 고장의 원인을 제공하여 전기 집진기의 사용 수명을 저하시키게 되는 등의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
한편, 국내 공개특허공보 2003-33584호에서는 전기 집진기의 방전극(110)에 부착된 석화분진을 제거하는 장치가 개시되고 있으나, 이 장치는 제거롤이 직접 방전극(110)을 따라 상하 이동하면서 방전극(110)의 석화분진을 제거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관련된 판상의 집진판(120)을 크리닝하는 데에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한 것 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집진판을 따라 승하강하면서 그 표면을 스크래퍼와 분사되는 세척수 및 브러쉬로서 다중으로 크리닝함으로서, 전기 집진기의 집진판을 최대한 크리닝시킬 수 있어 집진판을 통한 미세 더스트의 집진효율을 가일층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고압수를 이용하여 크리닝수단들의 승,하강을 가능하게 하여 별도의 동력원이 필요없어 장치의 설치 및 운영이 매우 용이하게 진행되는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크리닝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크리닝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진판의 상부에서 하부 양측으로 절곡구조로 배치되고 고압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관;
상기 세척수관의 양측 단부에 수직하게 연결되고, 고압수의 공급시 세척수압으로 상승하는 웨이트가 내장된 실린더관;
상기 웨이트와 세척수호스와 작동와이어로서 연결되어 집진판 가로방향으로 신장되고 내부에 제 1 세척수통로가 형성된 가로부재;
상기 가로부재사이로 집진판 양측에 인접토록 연결되고 제 1 세척수통로와 통하는 제 2 세척수통로가 형성된 세로부재; 및
상기 세로부재에 제공되는 다중 크리닝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크리닝장치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고, 도 3은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크리닝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크리닝장치의 크리닝작동을 도시한 정면 구성도이고, 도 5는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크리닝장치의 세로부재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6은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크리닝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크리닝장치의 와이어,호스의 가로부재 연결 구조를 도시한 구조도이며, 도 8은 도 7의 사시도이며, 도 9는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크리닝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인데, 이하 종래 전기집진기와 집진판의 동일 구성은 동일부호로 나타낸다.
도 2에서는 본 발명인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크리닝장치(1)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집진판 크리닝장치(1)는 크게 세척수관 (10)과 실린더관(30)과 세로부재(50)와 가로부재(70) 및, 다중 크리닝수단(90)으로 나누어 질 수 있는데, 이들 구성부재(10)(30)(50)(70)(90)들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서는 하나의 집진판(120)에 본 발명의 크리닝장치(1)가 설치되는 구성을 도시하였지만, 도 1에서와 같이 전기집진기(100)의 본체부(130)내에 배치된 다수의 집진판(120)에 각각 본 발명의 크리닝장치(1)가 배치되는데,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2열 집진판(120)들의 양측으로 한쌍의 다음에 설명하는 세척수관(10)과 실린더관(30)이 배치되고, 이에 하나의 신장된 가로부재 (50)가 연계되고, 상기 가로부재(50)에 집진판(120)의 양측으로 한쌍식 배치되는 다수의 세로부재(70)들이 연결되어 한쌍의 세로부재(70)들은 집진판(120)의 전,후 표면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다음, 도 2, 도 3, 도 6 및 도 8에서는 본 발명인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크리닝장치(1)에서 상기 세척수관(1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세척수관(10)은 상기 집진판(120)의 상부에서 하부 양측으로 절곡구조로 배치되고 고압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데, 특히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세척수 공급을 제어하는 개폐밸브(12)가 설치된 2개의 공급관(14)의 양측으로 상기 세척수관(10)이 총 4개가 하방으로 연결되고, 그 하단부(10a)는 상방으로 절곡된 부위로 형성되게 된다.
이때, 상기 개폐밸브(12)는 상기 공급관(14)과 세척수관(10)을 통한 세척수의 공급을 제어하도록 설치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개폐밸브(12)는 다음에 설명하는 실린더관(30)내의 웨이트(32)가 고압 세척수의 공급에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피스톤기능을 하기 때문에, 개폐밸브(12)는 도면에서 도시하지 않은 장치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에 의한 전기적인 신호발생시 작동하는 전자작동식 개폐밸브를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공급관(14)과 세척수관(10)은 도면에서는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전기집진기(100)의 본체부(130)에 고정대등으로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음을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크리닝장치(1)에서 세척수는 공급관, 세척수관을 통하여 공급되게 되고, 그 세척수 공급시점은 개폐밸브(12)로서 조정된다.
다음, 도 2, 도 3, 도 6 및, 도 8에서는 본 발명인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크리닝장치(1)에서 상기 실린더관(3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린더관(30)은, 상기 세척수관(10)의 양측 단부(10a)에 수직하게 연결되고, 고압수의 공급시 세척수압으로 상승하는 웨이트(32)가 내장되어 있다.
즉, 도 2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의 단부인 세척수관(10)의 말단(10a)에 원통형 관인 실린더관(30)이 세척수의 누수없이 긴밀하게 연결되고, 상기 원통형 실린더관(30)의 내부에는 다음에 설명하는 세척수호스(52)와 작동와이어(54)가 연결되는 상기 웨이트(32)가 내장된다.
이때, 상기 웨이트(32)는 실질적으로는 실린더관(30)의 내부에서 고압의 세척수가 공급되면 상승하고, 세척수의 공급이 없으면 하강하는 피스톤기능을 하여 이에 작동와이어(54)로서 연결된 다음에 설명하는 가로부재(50)와 다중 크리닝수단 (90)을 갖춘 세로부재(50)(70)는 세척수 공급시에는 집진판(120)의 최상부에 위치 하다가 세척수 공급시 상승하는 웨이트(32)에 의하여 자중으로 하강하고, 반대로 세척수 공급이 개폐밸브(12)로서 차단되면 웨이트(32)의 무게로 상승하게 되면서 집진판(120)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크리닝장치(1)에서는 별도의 실린더나 구동모터등의 동력원을 사용하지 않고도 상기 부재(50)(70)들의 상승 및 하강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장치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도 용이하며 비용도 저렴한 잇덤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웨이트(32)의 무게는 상기 가로부재(50)와 다중 크리닝수단 (90) 및 양측으로 집진판(120)의 모서리(120a)를 지지하는 풀리부재(34)를 갖춘 세로부재(70) 모두의 중량보다 약간 무겁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상기 웨이트(32)에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음에 설명하는 작동와이어(54)의 고정핀(54a)이 양측에 연결되는 한쌍의 나사홈(32a)과 세척수관 (10)과 실린더관(30)을 통하여 공급되는 세척수를 가로 및 세로부재(50)(70)들에 공급하기 위한 세척수호스(52)가 연결되는 개구(32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 도 2, 도 3, 도 5 내지 도 7에서는 본 발명인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크리닝장치(1)의 상기 가로부재(5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가로부재 (50)는, 상기 웨이트(32)와 세척수호스(52)와 작동와이어(54)로서 연결되어 집진판 가로방향으로 신장되고 내부에 제 1 세척수통로(5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관 (30)의 상부에는 세척수호스(52)와 작동와이어(54)를 지지하는 풀리부재(34)가 설 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작동와이어(54)는 웨이트(3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풀리부재(34)를 통하여 상기 가로부재(50)에 고정핀(54a)이 연결되어 웨이트(32)의 실린더관(30) 내부 운동에 따라 일체로 가로부재(50)가 상하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로부재(50)에 형성된 제 1 세척수통로(56)와 연결되는 수직통로(56a)에는 웨이트(32)에 일단이 연결된 세척수호스(52)의 타단이 연결된다.
결국, 실린더관(30)의 내부에 세척수가 공급되면 고압의 세척수는 웨이트 (32)를 상승시키면서 상기 웨이트(32)의 개구(32b)와 세척수호스(52)를 통하여 상기 가로부재(50)의 제 1 세척수통로(56)에 공급되게 된다.
다음, 도 2, 도 3 및 도 5 내지 도 7에서는 본 발명인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크리닝장치(1)에서 상기 세로부재(7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세로부재(70)는 상기 가로부재(50)사이로 집진판(120) 양측에 인접토록 연결되고 제 1 세척수통로(56)와 통하는 제 2 세척수통로(72)가 형성되어 있다.
즉, 도 9 및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세로부재(70)는 신장된 가로부재(50)에 여러개가 연결되게 되고, 이때 집진판(120)을 둘러싸는 한쌍의 세로부재 (70)사이로 양측에는 집진판(120)의 모서리(120a)부분을 지지하는 가이드롤(74)이 제공되어 있다.
따라서, 앞에서 설명한 웨이트(32)의 상승 및 하강에 따라 일체로 이동하는 가로부재(50)와 세로부재(70)는 안정적으로 집진판(120)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게 되고, 상기 가로부재(50)의 제 1 세척수통로(56)와 세로부재(70)의 제 2 세척수통로(72)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세척수는 집진판(120)을 감싸는 세로부재(70)까지 공급되고, 다음에 설명하는 다중 크리닝수단(90)의 분사노즐(94)로서 집진판(120)의 양측 표면에 분사되게 된다.
다음, 도 2 내지 도 4 및, 도 6에서는 본 발명인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크리닝장치(1)의 상기 다중 크리닝수단(9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크리닝수단(90)은, 상기 세로부재(70)에 제공되고, 구체적으로는 상기 세로부재 (70)의 측부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스크레퍼(92)와, 상기 스크레퍼 (92)의 하측으로 상기 제 2 세척수통로(72)와 연결되고 세척수를 분사시키는 다수의 분사노즐(94) 및, 상기 분사노즐(94)의 하측으로 부재길이방향으로 설치된 브러쉬(96)를 포함한다.
따라서, 세로부재(70)의 제 2 세척수통로(72)까지 공급된 세척수는 상기 분사노즐(94)을 통하여 분사되는데, 집진판의 크리닝작동을 살펴보면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집진판(120)의 양측으로 한쌍의 세로부재(70)가 하강하면 가장 하부의 브러쉬(96)가 집진판의 표면을 크리닝하고, 그 다음 세척수가 분사노즐(94)로 분사되면서 세척 크리닝되고, 마지막으로 스크레퍼(92)가 집진판(120)의 표면을 긴밀하게 밀착 이동하면서 크리닝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인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크리닝장치(1)에 의하면, 집진판 (120)의 크리닝작업을 단순히 세척수를 상부에서 분사시키지 않고, 집진판을 둘러싸는 상태에서 스크레퍼(92)와 세척수를 분사시키는 분사노즐(94) 및, 추가로 크리닝하는 브러쉬(96)에 의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집진판(120)을 크리닝하고, 이는 집진판(120)을 통한 가스나 공기중의 미세 더스트(D)를 보다 효율적으로 집진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크리닝장치에 의하면, 다중방식으로 집진판은 물론, 방전극까지도 효과적으로 크리닝하여 고착 더스트등의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서, 이 이물질에 의한 전기집진시 아크방전을 방지하여 집진판등의 설비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하고, 무엇보다도 미세 더스트의 집진효율을 가일층 향상시키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고압수를 이용하여 크리닝수단들의 승,하강을 가능하게 하여 별도의 동력원이 필요없어 장치의 설치 및 운영이 매우 용이하게 진행되도록 하는 잇점도 있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 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3)

  1. 전기집진기(100)의 집진판(120) 크리닝장치(1)에 있어서,
    상기 집진판(120)의 상부에서 하부 양측으로 절곡구조로 배치되고 고압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관(10);
    상기 세척수관(10)의 양측 단부(10a)에 수직하게 연결되고, 고압수의 공급시 세척수압으로 상승하는 웨이트(32)가 내장된 실린더관(30);
    상기 웨이트(32)와 세척수호스(52)와 작동와이어(54)로서 연결되어 집진판 가로방향으로 신장되고 내부에 제 1 세척수통로(56)가 형성된 가로부재(50);
    상기 가로부재(50)사이로 집진판(120) 양측에 인접토록 연결되고 제 1 세척수통로(56)와 통하는 제 2 세척수통로(72)가 형성된 세로부재(70); 및
    상기 세로부재(70)에 제공되는 다중 크리닝수단(90);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크리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부재(70)사이로 양측에는 집진판(120)의 모서리 (120a)부분을 지지하는 가이드롤(74)이 제공되고,
    상기 실린더관(30)의 상부에는 세척수호스(52)와 작동와이어(54)를 지지하는 풀리부재(34)가 설치되며,
    상기 웨이트(32)는, 가로부재(50)와 다중 크리닝수단(90)을 갖춘 세로부재 (70) 및, 상기 풀리부재(34)의 전체 중량보다 무겁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크리닝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크리닝수단(90)은,
    상기 세로부재(70)의 측부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스크레퍼(92);
    상기 스크레퍼(92)의 하측으로 상기 제 2 세척수통로(72)와 연결되고 세척수를 분사시키는 다수의 분사공(94); 및
    상기 분사공의 하측으로 부재길이방향으로 설치된 브러쉬(96);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크리닝장치
KR1020030071738A 2003-10-15 2003-10-15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크리닝장치 KR100992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1738A KR100992307B1 (ko) 2003-10-15 2003-10-15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크리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1738A KR100992307B1 (ko) 2003-10-15 2003-10-15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크리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6141A KR20050036141A (ko) 2005-04-20
KR100992307B1 true KR100992307B1 (ko) 2010-11-05

Family

ID=37239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1738A KR100992307B1 (ko) 2003-10-15 2003-10-15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크리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23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515B1 (ko) * 2019-05-01 2020-03-02 강세형 전기집진기 및 전기집진기의 세척방법
KR102283539B1 (ko) 2020-02-13 2021-07-29 (주)휴엔릭스 전기집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618B1 (ko) * 2009-02-17 2011-05-06 한국기계연구원 탄소섬유를 이용한 전기집진기
KR101032617B1 (ko) * 2009-02-17 2011-05-06 한국기계연구원 탄소섬유를 이용한 전기집진기
CN114534921B (zh) * 2022-03-01 2024-02-09 浙江连成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烟气净化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5641A (ja) 2000-07-26 2002-02-05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電気集塵器の水洗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5641A (ja) 2000-07-26 2002-02-05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電気集塵器の水洗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515B1 (ko) * 2019-05-01 2020-03-02 강세형 전기집진기 및 전기집진기의 세척방법
KR102283539B1 (ko) 2020-02-13 2021-07-29 (주)휴엔릭스 전기집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6141A (ko) 2005-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6293B1 (ko) 습식 전기집진기용 수막형성장치
CN201930847U (zh) 半干法静电除尘器
KR101170935B1 (ko) 전기집진장치를 세정하기 위한 복합 세정장치
JP5804516B2 (ja) 湿式電気集塵装置
KR100992307B1 (ko)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크리닝장치
CN204448284U (zh) 湿式静电除尘器
KR20210022211A (ko) 수충격현상을 이용하여 수막노즐을 세척하는 습식 전기집진기
CN111389118A (zh) 滤袋装置和除尘器
KR100657596B1 (ko) 집진판 주행식 전기 집진기 청소 장치
CN106076629A (zh) 一种湿式静电除尘器
KR100800297B1 (ko) 배플 주행식 전기 집진기의 청소장치
KR100667271B1 (ko) 방전극 주행식 전기 집진기 청소 장치
KR20030024349A (ko) 전기집진기의 절연애자 파손 방지 장치
CN111921712B (zh) 一种低风阻防回风湿式静电除尘器
KR100898728B1 (ko) 전기 집진기의 분진 청소장치
KR100667264B1 (ko) 방전극 주행식 전기 집진기 청소 장치
KR100499449B1 (ko) 상향식 건식 전기집진기
JP2005095742A (ja) 洗浄機能付電気集塵機
JP2001017885A (ja) 湿式電気集塵機
JP2002224588A (ja) 電気集塵機
CN211801642U (zh) 一种静电净化装置
KR102155503B1 (ko) 수직형 전기 집진장치
KR100898727B1 (ko) 배플 주행식 전기 집진기의 분진 청소장치
CN219985024U (zh) 一种静电除尘干冰清洗装置
KR20060073341A (ko) 집진판 주행식 전기 집진기 청소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