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1491B1 - Screw-pressing type apparatus using micro-wave - Google Patents

Screw-pressing type apparatus using micro-wav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1491B1
KR100991491B1 KR1020100012805A KR20100012805A KR100991491B1 KR 100991491 B1 KR100991491 B1 KR 100991491B1 KR 1020100012805 A KR1020100012805 A KR 1020100012805A KR 20100012805 A KR20100012805 A KR 20100012805A KR 100991491 B1 KR100991491 B1 KR 100991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screw
magnetron
moisture
micro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28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명환
장기완
Original Assignee
장기완
황명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기완, 황명환 filed Critical 장기완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1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14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PURPOSE: A screw-pressing type apparatus using micro-wave is provided to reduce a dry time while saving energy by removing moisture from waste rubber. CONSTITUTION: A screw-pressing type apparatus using micro-wave includes a chamber(10), a hopper(20), a transfer unit(30), a magnetron(40), a waste-heat recovery unit. Waste rubber and resin are inputted into the chamber through a hopper which is installed in one side of the chamber. The magnetron installed on the top of the chamber is moved and radiates microwave the waste rubber and resin. A screw blade is compressed to remove the moisture from the waste rubber and resin which are transferred. The waste-heat recovery unit collects the heat from the magnetron and supply it inside the chamber.

Description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압착 스크류식 건조장치{Screw-pressing type apparatus using micro-wave}Screw-pressing type apparatus using micro-wave

본 발명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분이 포함된 폐합성고무 또는 수지류를 스크류 방식으로 이송하면서 압착하여 수분을 일부 제거하고 마이크로 웨이브를 방사함으로써 수분을 증발시켜 건조시키는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압착 스크류식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remove a part of the water by compressing while transporting the waste synthetic rubber or resin containing water in a screw method, and to evaporate the water by evaporating the microwave to dry the microwave It relates to a crimping screw type drying apparatus used.

근래 석유화학 공업이 발전함에 따라 각종 합성수지 및 고무류, 기타 유기물질제품의 생산량이 크게 늘어남에 따라 이에 비례해서 폐기되는 제품의 양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폐기된 합성수지제품은 미생물에 의해서 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매년 폐합성수지의 양은 누적될 수밖에 없어서 새로운 공해의 하나로 등장하였다.With the development of the petrochemical industry in recent years, the production of various synthetic resins, rubbers, and other organic material products has increased greatly, and the amount of products discarded is increasing rapidly. The amount of waste synthetic resins had to accumulate and emerge as one of the new pollutions.

농업용이나 산업용으로 사용된 후 버려지는 것은 소각시켜 처리하여 왔으나, 이러한 소각과정에서 대기오염의 원인이 되는 다량의 유해가스가 배출되어 환경오염의 주요인이 되어 왔으며, 아울러 자원의 비효율적 이용이라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The wastes discarded after being used for agriculture or industrial use have been incinerated, but in the process of incineration, a large amount of harmful gases are emitted, which has become a major cause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raises the problem of inefficient use of resources. It became.

이처럼 합성고무나 합성수지 폐기물이 사회문제화 되자 소정의 처리장치를 통해 재활용 하는 방법과 장치를 통해 공해문제를 해결하고 이 폐기물을 제2의 자원화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As synthetic rubber or resin waste becomes a social problem, there is an active movement to solve the pollution problem and to make this waste a second resource through a method and a device that can be recycled through a predetermined treatment device.

그런데 합성고무는 가류라는 메커니즘에 의해 탄성을 발휘하는 고분자 재료로서 성능을 발현하기 위해 플라스틱의 열경화성과 동일한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용융에 의한 폐합성고무 재료의 재활용은 불가능하다. However, synthetic rubber is a polymer material exhibiting elasticity by a mechanism called vulcanization, and has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rmosetting properties of plastics in order to express its performance. Therefore, it is impossible to recycle the waste synthetic rubber material by melting.

특히 폐합성고무는 가정이나 산업 상에서 폐기되는 각종 고무류, 우레탄 신발창, 자동차의 타이어, 우레탄 범퍼 등에서 생산되며, 재활용하기 위해 분쇄장치에 넣어서 스크랩으로 사용하거나 더 미세하게 분쇄하여 분말로 재활용한다. In particular, waste synthetic rubber is produced from various kinds of rubbers, urethane soles, automobile tires, urethane bumpers, etc., which are disposed of at home or in industry, and used as scraps or finely pulverized and recycled into powder for recycling.

이러한 분쇄방식에 의해 분쇄된 폐합성고무에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수분이 포함되게 된다.Waste synthetic rubber pulverized by such a pulverization method will contain moisture for various reasons.

이러한 수분은 건조시켜 제거해야 하는데, 종래 자연건조하거나 열풍을 불어 제거하기도 했다. 또 최근 공개된 문헌에 의하면 마그네트론에서 방사되는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하여 폐합성고무의 표면을 개질하는 장치가 공지되기도 했다.Such moisture should be removed by drying, which was conventionally dried naturally or blown off with hot air. According to recently published documents, an apparatus for modifying the surface of waste synthetic rubber using microwaves emitted from a magnetron has been known.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다량의 수분이 포함된 경우 단시간 내에 모든 수분을 제거하기가 어렵고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is method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remove all moisture in a short time when a large amount of moisture is included and consumes a lot of energy.

또한, 이송장치와 건조장치가 별도로 구비되어 구조가 복잡한 문제도 있었다.In addition, the transfer device and the drying device is provided separately, there was also a complicated structur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크류를 이용하여 폐합성고무 또는 수지류를 연속적으로 이송하되 미리 압착시켜 수분의 일부를 제거한 상태에서 마이크로 웨이브를 방사함으로써 단시간 내에 수분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압착 스크류식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tinuously transport the waste synthetic rubber or resin using a screw, but in a short time by spinning the microwave in a state in which a portion of the water is removed by pre-compression It is to provide a compression screw drying apparatus using a microwave that can remove the water completel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챔버와, 상기 챔버 일측에 설치되어 수분이 포함된 폐합성고무 또는 수지류가 챔버 내로 투입되는 호퍼와, 구동모터와 상기 챔버 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한 쌍의 스크류회전축과 상기 스크류회전축 상에 형성되는 스크류날로 이루어져 상기 호퍼로 투입된 폐합성고무 또는 수지류를 이송하는 이송수단과, 상기 챔버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폐합성고무 또는 수지류에 마이크로 웨이브를 방사하는 마그네트론으로 구성되는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날은 폐합성고무가 이송될 때 압착되면서 수분이 일부 제거될 수 있도록 상호 간격이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압착날부 및 상호 간격이 일정한 이송날부로 구성되고, 상기 스크류회전축은 직경이 서로 다르게 구비되어 동일한 RPM으로 회전하며, 상기 마그네트론 상부에 상기 마그네트론에서 발생하는 열을 회수하여 상기 챔버 내부로 공급하는 폐열회수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hamber, a hopper which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hamber and the waste synthetic rubber or resin containing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chamber, the drive motor and the chamber is installed in the drive motor A pair of screw rotating shafts and screw blades formed on the screw rotating shafts for conveying waste synthetic rubber or resin introduced into the hopper, and wastes installed in the chamber and conveyed by the conveying means. In a drying apparatus composed of a magnetron that radiates microwaves on synthetic rubber or resins, the screw blades are compressed when the waste synthetic rubber is transported, and the compressed blades are gradually reduced to mutually remove some of the moisture. Consists of a feed blade portion with a constant interval, the screw shaft is different in diameter Is provided and rotated in the same RPM, characterized in that to recover the heat generated from the magnetron to the magnetron is provided with a top waste-heat recovery means for supplying into the chamber.

여기서, 상기 마그네트론의 하측에는 상기 마그네트론에서 방사되는 마이크로 웨이브를 사방으로 반사하는 반사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lower side of the magnetr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provided with reflecting means for reflecting the microwaves emitted from the magnetron in all directions.

이때, 상기 반사수단은 상기 이송수단 상측에 설치되는 봉부재와, 전체적으로 럭비공 형상을 이루면서 중심에 상기 봉부재가 관통 결합되는 체결공이 형성되며 단면은 원형을 이루되 외주면을 따라 오목한 함몰부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반사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reflecting means is formed with a rod member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nveying means, and a fastening hole through which the rod member penetrates to the center while forming a rugby ball shape as a whol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reflector.

삭제delete

이때, 상기 폐열회수수단은 상기 마그네트론을 수용하는 단열케이스와, 상기 챔버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단열케이스 내부의 가열된 공기를 상기 챔버 내부로 공급하는 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waste heat recovery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eat insulating case for accommodating the magnetron and a fan install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hamber to supply the heated air inside the heat insulating case.

바람직하게는, 상기 챔버 상부에는 상기 챔버 내부 습기의 배출을 유도하는 습기배출덕트가 설치되고, 상기 습기배출덕트 상에는 상기 챔버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와 상기 습기배출덕트 상에 습기의 배출을 개폐하는 댐퍼 및 습기를 강제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흡입기가 구비되어져, 상기 습도센서에서 측정된 습도가 일정값 이상이 되면 상기 댐퍼를 개방하여 습기를 강제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upper portion of the chamber is provided with a moisture discharge duct for inducing the discharge of the moisture in the chamber, the moisture discharge duct on the humidity sensor for sensing the humidity in the chamber and the moisture discharge duct on the moisture discharge duct A damper for opening and closing and an inhaler for forcibly sucking and discharging moisture are provided, and when the humidity measured by the humidity senso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damper is opened to forcibly discharge the moistur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효과는 스크류날이 압착부와 이송부로 나누어져 압착부에서 탈수되고 동시에 서로 다른 직경의 스크류회전축으로 인한 마찰로 열이 발생하여 일부 수분이 미리 제거되기 때문에 이송부에서 마이크로 웨이브가 단시간 내에 건조할 수 있게 되므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건조시간도 크게 단축된다.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because the screw blade is divided into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conveying portion dehydrated in the pressing portion and at the same time heat is generated by friction due to the screw shafts of different diameters, so that some water is removed in advance Microwaves can dry in a short time, saving energy and significantly reducing drying time.

뿐만 아니라 마이크로 웨이브를 반사하는 반사체가 구비되어져 마이크로 웨이브가 모든 영역에 고루 방사되므로 건조효율이 높다.In addition, the reflector reflecting the microwave is provided so that the microwave is evenly radiated to all areas, the drying efficiency is high.

또한, 챔버 내에 이송수단과 마그네트론이 설치되어 이송되면서 건조시킬 수 있으므로 구조가 단순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because the transfer means and the magnetron is installed in the chamber can be transported and dried, there is a simple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압착 스크류식 건조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반사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폐열회수수단을 나타내는 구성도.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mpression screw type drying apparatus using a microwa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fl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waste heat recovery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 나타난 바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그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presented for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configurations and func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압착 스크류식 건조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평면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mpression screw type drying apparatus using a microwa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크게 챔버(10), 호퍼(20), 이송수단(30), 마그네트론(40)으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largely composed of the chamber 10, the hopper 20, the conveying means 30, the magnetron 40.

먼저 챔버(10)와 호퍼(20)를 함께 설명한다.First, the chamber 10 and the hopper 20 will be described together.

상기 챔버(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여 내부에서 마이크로 웨이브 방사에 의해 건조가 일어나도록 하는 직육면체 형상의 실(室)이다.The chamber 10 i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eal which forms a closed space and causes drying by microwave radiation inside.

상기 챔버(10)의 일측 상부에는 수분이 포함된 폐합성고무 또는 수지류(이하 '재료')를 투입할 수 있는 호퍼(20)가 형성되어 있다.One side of the chamber 10 is formed with a hopper 20 into which waste synthetic rubber or resin (hereinafter, referred to as 'material') containing water may be added.

그리고 상기 챔버(10)의 타측 하부에는 상기 챔버(10)를 통과하고 건조된 재료가 배출되는 배출구(12)도 형성된다.In addition, an outlet 12 through which the dried material is discharged through the chamber 10 is also formed in the lowe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chamber 10.

또 상기 챔버(10) 내부 바닥에는 후술하는 이송수단(30)에 의해 재료가 압착되면서 탈수된 일부 수분이 배출되도록 배출슬릿(10a) 또는 배출공(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discharge slit 10a or a discharge hole (not shown) is formed in the bottom of the chamber 10 so that some of the dehydrated water is discharged while the material is compressed by the transfer means 30 to be described later.

다음으로 이송수단(30)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transfer means 30 will be described.

상기 이송수단(30)은 구동모터(32), 스크류회전축(34), 스크류날(36)로 이루어져 상기 호퍼(20)로 투입된 재료를 상기 배출구(12)까지 이송시킨다.The conveying means 30 is composed of a drive motor 32, a screw rotation shaft 34, a screw blade 36 to convey the material introduced into the hopper 20 to the outlet (12).

상기 구동모터(32)는 상기 챔버(10)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32)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회전축(34)은 상기 챔버(10)의 내부를 따라 설치된다. The drive motor 32 is installed outside the chamber 10 and the screw rotation shaft 34 rotated by the drive motor 32 is installed along the interior of the chamber 10.

이때 상기 스크류회전축(34)은 도 2에서와 같이 한 쌍이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호 마주보는 내측으로 회전한다. 즉, 상기 구동모터(32)에 의해 상기 스크류회전축(34) 중에 어느 하나가 직접 구동되고 기어와 같은 전달수단에 의해 나머지 스크류회전축(34)이 연동되기 때문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2, the screw rotation shaft 34 is disposed in parallel and rotates inward to face each other. That is, any one of the screw rotation shaft 34 is directly driven by the drive motor 32 and the other screw rotation shaft 34 is interlocked by a transmission means such as a gear to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그리고 상기 스크류날(36)은 상기 스크류회전축(34) 외주상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공지된 형상을 가진다.The screw blade 36 has a shape known as being spirally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crew rotation shaft 34.

그런데 본 발명에서 상기 스크류날(36)의 일부는 상호 간격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y the way, in the present invention, a part of the screw blade 36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utual gap is formed to gradually decrease.

좀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스크류날(36)은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날부(36a)와, 이송날부(36b)로 나누어져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압착날부(36a)는 스크류날(36)의 상호 간격이 점진적으로 감소하게 형성되어져 투입된 재료를 압착하면서 이송하는 결과를 가져온다.In more detail, the screw blade 36 may be divided into a compression blade portion 36a and a transfer blade portion 36b, as shown, the compression blade portion 36a is a mutually of the screw blade 36 The gap is formed gradually, resulting in the conveying of the injected material while pressing.

즉, 도 2에서 a > b > c 인 것과 같은 구조를 가지게 되므로 상기 호퍼(20)로 a 간격 만큼에 수용될 수 있는 일정량의 재료가 투입되고 동시에 상기 스크류회전축(34)이 회전함에 따라 재료가 이송되는데, 상기 압착날부(36a)의 간격이 b, c와 같이 점진적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재료가 이송되면서 압착되는 효과가 있다.That is, in Figure 2 has a structure such that a> b> c is a certain amount of material that can be accommodated in the hopper 20 as a distance is introduced into the material at the same time as the screw rotation shaft 34 is rotated In the transfer, since the interval of the pressing blade portion 36a is gradually reduced, such as b and c, the material is compressed while being transferred.

따라서, 재료는 압착되면서 내부에 포함된 수분이 일부 빠져나와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떨어지게 되고 상기 배출슬릿(10a)이나 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Therefore, while the material is compressed, some of the moisture contained therein escapes and falls downward by gravity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slit 10a or the discharge hole.

상기 이송날부(36b)는 상기 압착날부(36a)와 달리 일정한 간격으로 스크류날(36)이 형성되며 일정량의 재료를 일정속도로 이송하게 된다. Unlike the press blade portion 36a, the transfer blade portion 36b is formed with the screw blades 36 at regular intervals and transfers a certain amount of material at a constant speed.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날부(36b)의 간격은 일정하되, 상기 압착날부(36a)의 최초 간격(a)과 동일한 것이 좋다. 왜냐하면, 상기 압착날부(36a)에 의해서 압착된 재료가 간격이 늘어난 상기 이송날부(36b)에 의해서 더 이상 압착된 상태를 벗어나 흩어지게 되므로 후술하는 마이크로 웨이브의 침투성을 좋게 한다.Preferably, the interval of the transfer blade portion 36b is constant as shown, but preferably equal to the initial interval (a) of the crimping blade portion 36a. This is because the material compressed by the pressing blade portion 36a is further scattered out of the compressed state by the transfer blade portion 36b with an increased interval, thereby improving the permeability of the microwave to be described later.

한편, 본 발명에서 한 쌍의 상기 스크류회전축(34)은 직경이 서로 다르게 구비된다. 즉, 하나가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고 다른 하나는 작은 직경을 가지므로 동일한 RPM으로 회전하더라도 각 스크류회전축(34)의 가장자리에서의 속도는 서로 다르게 된다. 이러한 속도의 차이를 마찰비(Friction ratio)라고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 of the screw rotation shaft 34 is provided with a different diameter. That is, since one has a relatively large diameter and the other has a small diameter, the speeds at the edges of the respective screw rotation shafts 34 are different even when rotating at the same RPM. This speed difference is called a friction ratio.

이로 인해, 유입된 재료들이 상기 스크류회전축(34) 사이에서 서로 마찰되면서 열이 발생하고 발생한 열에 의해 건조할 재료에 포함된 물이 제거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특히 고무와 같은 고분자화합물은 점도 및 접착성을 가지므로 마찰계수가 커서 열이 많이 발생하게 되어 건조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As a result, heat is generated as the introduced materials rub against each other between the screw rotation shafts 34, and water generated in the material to be dried is removed by the generated heat. In particular, the polymer compound such as rubber has a viscosity and adhesion, so the friction coefficient is large, thereby generating a lot of heat, thereby increasing the drying efficiency.

다음으로 상기 마그네트론(40)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Next, the magnetron 40 will be briefly described.

상기 마그네트론(40)은 공지된 것으로서 마이크로 웨이브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로 웨이브는 에너지가 높고 직진성, 침투성이 우수하므로 밀폐된 공간에서 사용해야 한다.The magnetron 40 is a known device for generating microwaves. In general, microwaves have high energy, straightness, and permeability, and should be used in confined spaces.

따라서, 상기 마그네트론(40)은 상기 챔버(10)의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챔버(10) 내부로 마이크로 웨이브를 방사(放射)하도록 상기 챔버(10) 내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us, the magnetron 40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hamber 10, it is preferable to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hamber 10 to radiate microwaves into the chamber (10).

본 발명에서 재료가 분말인 경우 스크류날(36)에 의해 다소 뭉쳐져 덩어리화 될 수 있으나 마이크로 웨이브의 직진성과 침투성에 의해 내부에 잔재하는 수분을 모두 증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aterial is a powder, it may be agglomerated and agglomerated somewhat by the screw blade 36, but there is an advantage of evaporating all of the moisture remaining therein by the straightness and permeability of the microwave.

바람직한 것은 상기 마그네트론(40)은 복수개가 재료의 이송경로를 따라 배열되게 설치함으로써 재료가 이송되면서 수분이 점진적으로 완전히 제거될 수 있게 한다.Preferably, the magnetron 40 is installed so that the plurality is arranged along the transport path of the material so that the water can be gradually and completely removed while the material is transported.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마그네트론(40) 하측에는 상기 챔버(10) 내의 모든 공간에 마이크로 웨이브가 빈틈없이 전달되도록 마이크로 웨이브를 반사하는 반사수단(50)이 더 구비되는 것이 좋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side of the magnetron 4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reflecting means 50 for reflecting the microwave so that the microwave is transmitted to all the space in the chamber 10 without gap.

도 3은 본 발명의 반사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fl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반사수단(50)은 봉부재(52)와, 반사체(54)로 구성될 수 있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봉부재(52)는 상기 각 스크류회전축(34)의 상측에 나란히 고정되되, 상기 마그네트론(40)의 직하방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flecting means 50 may be composed of a rod member 52 and a reflector 54. As shown in FIG. 1, the rod member 52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each screw rotation shaft 34 side by side. However, it is preferable to be installed directly below the magnetron 40.

그리고 상기 봉부재(52)에는 상기 반사체(54)가 결합, 고정되는데, 상기 반사체(5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대략 럭비공과 같이 원형의 단면을 가지면 중앙부의 단면적이 크고 양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드는 형상을 가진다.The reflector 54 is coupled and fixed to the rod member 52. The reflector 54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such as a rugby ball, as shown in FIG. The cross-sectional area is reduced.

또한 상기 반사체(54)의 중심에는 상기 봉부재(52)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된 체결공(54a)이 형성되며 AA'에서의 단면을 참조하면 단면이 원형이면서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의 오목한 함몰부(54b)가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형상이다. 또한 재질은 마이크로 웨이브를 흡수하지 않고 반사하도록 금속이 적절하다.In addition, a through hole 54a through which the rod member 52 can be inserted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reflector 54. Referring to the cross section at AA ', the cross section is circular and a plurality of concave recesses ar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54b is a shap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addition, the material is suitable for metal to reflect without absorbing microwaves.

여기서, 상기 봉부재(52)는 상기 구동모터와 연동되어 회전하게 되는데, 이것은 상기 봉부재(52)에 고정된 상기 반사체(54)도 함께 회전하게 한다. Here, the rod member 52 is rotated in conjunction with the drive motor, which causes the reflector 54 fixed to the rod member 52 also rotates together.

이러한 형상의 상기 반사체(54)는 상기 마그네트론(40)의 바로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봉부재(52)에 의해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마그네트론(40)에서 방사되는 마이크로 웨이브를 반사하게 되고 이러한 구조하에서 마이크로 웨이브는 사방으로 반사되게 된다. Since the reflector 54 of this shape is located directly below the magnetron 40 and rotated by the rod member 52, the reflector 54 reflects the microwaves emitted from the magnetron 40. It is reflected in all directions.

참고로 상기 챔버(10)의 상부에는 상기 챔버(10) 내의 증발된 수분을 외부로 빼내는 습기배출덕트(70)가 마련된다.For reference, the upper portion of the chamber 10 is provided with a moisture discharge duct 70 for extracting the evaporated water in the chamber 10 to the outside.

이와 같은 작동을 위해서 상기 습기배출덕트(70) 상에는 상기 챔버 내(10)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72)가 설치되고, 또 일측에 상기 습기배출덕트(70)를 개폐하는 댐퍼(74)가 구비되며, 상기 챔버(10) 내의 습기를 강제로 흡입하여 배출하는 흡입기(76)가 더 설치된다.For this operation, a humidity sensor 72 is installed on the moisture discharge duct 70 to sense humidity in the chamber 10, and a damper 74 that opens and closes the moisture discharge duct 70 on one side. Is provided, the inhaler 76 is further installed to forcibly suck the moisture in the chamber 10 is discharged.

따라서, 상기 습도센서(72)에서 측정된 습도가 일정 이상되면 상기 댐퍼(72)를 자동으로 개방하여 습기를 배출시킬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입기(76)를 작동하여 습기를 강제로 배출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이 좋다. 이것은 상기 챔버(10) 내의 습도를 내려가게 하여 건조를 촉진하여 건조 효율을 크게 상승시킨다.Therefore, when the humidity measured by the humidity sensor 72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certain degree, the damper 72 may be automatically opened to discharge moisture. Preferably, the inhaler 76 may be operated to forcibly discharge moisture. It is good to control it. This lowers the humidity in the chamber 10 to promote drying, thereby greatly increasing the drying efficiency.

한편, 상기 마그네트론(40) 작동시 발생하는 열을 회수하여 상기 챔버(10) 내로 다시 공급함으로써 건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폐열회수수단(6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폐열회수수단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On the other hand, waste heat recovery means 60 may be further provided to recover the heat generated during operation of the magnetron 40 and to supply it back into the chamber 10 to increase the drying efficiency.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waste heat recovery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폐열회수수단(60)은 상기 마그네트론(40)의 외부를 감싸 수용하는 단열케이스(62)와, 상기 챔버(10) 상부에 소형 팬(64)이 설치되어 상기 마그네트론(40)에서 발생하는 열로 가열된 공기를 상기 챔버(10) 내부로 공급해 준다. 이러한 구조는 건조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waste heat recovery means 60 is a heat generating case 62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magnetron 40 and a small fan 64 is installed on the chamber 10 to generate heat from the magnetron 40. The heated air is supplied into the chamber 10. This structure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the drying efficiency.

이하에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간단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작업자는 상기 호퍼(20)를 통해 수분이 포함된 폐합성고무 또는 수지류의 조각, 덩어리 혹은 분말을 투입하고 상기 구동모터(32)를 구동하면 상기 한 쌍의 스크류회전축(34)이 회전하면서 투입된 재료가 이송되기 시작한다. When the worker puts pieces, lumps or powders of waste synthetic rubber or resin containing moisture through the hopper 20 and drives the driving motor 32, the pair of screw rotation shafts 34 are rotated and introduced. The material starts to be transferred.

이때 재료는 상기 압착날부(36a)에 먼저 투입되고 이렇게 투입된 재료는 이송이 진행되면서 압착되고 이로 인해 내부의 수분이 일부 제거되어 상기 배출슬릿(10a)을 통해 배출된다.At this time, the material is first introduced into the pressing blade portion 36a, and the injected material is compressed while the transfer is in progress, thereby removing some of the water therein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slit 10a.

연이어 압착된 재료가 상기 이송날부(36b)에 의해 일정한 속도로 진행하게 되면서 상측의 상기 마그네트론(40)에서 방사되는 마이크로 웨이브에 의해 수분이 증발하게 되며 또 회전하는 상기 반사체(54)에 의해 반사된 마이크로 웨이브는 사방으로 방사되어 상기 챔버(10) 내부의 모든 부분에 도달하여 건조하고자 하는 재료에 고루 침투된다.Subsequently, the pressed material proceeds at a constant speed by the transfer blade part 36b, and moisture is evaporated by the microwaves emitted from the magnetron 40 on the upper side and reflected by the rotating reflector 54. Microwaves are radiated in all directions to reach all parts of the interior of the chamber 10 and evenly penetrate the material to be dried.

이러한 작동은 건조효율을 높여 단시간 내에 건조를 완료하게 한다.This operation increases drying efficiency and allows drying to be completed in a short time.

한편, 이때 증발하는 수분은 상기 습기배출덕트(70)를 통해 외부로 방출할 수 있게 되며 상기 마그네트론(40) 작동시 발생하는 열은 상기 팬(64)에 의해 상기 챔버(10) 내부로 다시 공급되며 이것은 상기 챔버(10) 내의 온도를 상승시켜 증발을 촉진하게 된다.
Meanwhile, moisture evaporated at this time may be relea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moisture discharge duct 70, and heat generated when the magnetron 40 is operated is supplied back into the chamber 10 by the fan 64. This raises the temperature in the chamber 10 to promote evaporation.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be changed.

10 : 챔버 10a : 배출슬릿
12 : 배출구 20 : 호퍼
30 : 이송수단 32 : 구동모터
34 : 스크류회전축 36 : 스크류날
36a : 압착날부 36b : 이송날부
40 : 마그네트론
50 : 반사수단 52 : 봉부재
54 : 반사체 54a : 체결공
54b : 함몰부
60 : 폐열회수수단 62 : 단열케이스
64 : 팬
70 : 습기배출덕트 72 : 습도센서
74 : 댐퍼 76 : 흡입기
10 chamber 10a discharge slit
12: outlet 20: hopper
30: transfer means 32: drive motor
34: screw rotating shaft 36: screw blade
36a: crimping edge 36b: feed blade
40: magnetron
50: reflecting means 52: rod member
54 Reflector 54a Fastening Hole
54b: depression
60: waste heat recovery means 62: heat insulation case
64: fan
70: moisture discharge duct 72: humidity sensor
74: damper 76: inhaler

Claims (6)

챔버(10)와, 상기 챔버(10) 일측에 설치되어 수분이 포함된 폐합성고무 또는 수지류가 챔버(10) 내로 투입되는 호퍼(20)와, 구동모터(32)와 상기 챔버(10) 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32)에 의해 회전하는 한 쌍의 스크류회전축(34)과 상기 스크류회전축(34) 상에 형성되는 스크류날(36)로 이루어져 상기 호퍼(20)로 투입된 폐합성고무 또는 수지류를 이송하는 이송수단(30)과, 상기 챔버(10)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수단(30)에 의해 이송되는 폐합성고무 또는 수지류에 마이크로 웨이브를 방사하는 마그네트론(40)으로 구성되는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날(36)은 폐합성고무가 이송될 때 압착되면서 수분이 일부 제거될 수 있도록 상호 간격이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압착날부(36a) 및 상호 간격이 일정한 이송날부(36b)로 구성되고,
상기 스크류회전축(34)은 직경이 서로 다르게 구비되어 동일한 RPM으로 회전하며,
상기 마그네트론(40) 상부에 상기 마그네트론(40)에서 발생하는 열을 회수하여 상기 챔버(10) 내부로 공급하는 폐열회수수단(6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압착 스크류식 건조장치.
The chamber 10, the hopper 20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chamber 10 and containing waste synthetic rubber or resin into the chamber 10, the driving motor 32, and the chamber 10. The waste synthetic rubber introduced into the hopper 20 consists of a pair of screw rotating shafts 34 and screw blades 36 formed on the screw rotating shafts 34 installed therein and rotated by the driving motor 32. Consists of a conveying means 30 for conveying resins and a magnetron 40 installed on the chamber 10 and radiating microwaves to waste synthetic rubber or resins conveyed by the conveying means 30. In the drying apparatus,
The screw blade 36 is composed of a pressing blade portion 36a and a mutually constant feeding blade portion 36b, the mutual spacing is gradually reduced so that some of the water is removed while being pressed when the waste synthetic rubber is transported,
The screw rotating shaft 34 is provided with a different diameter to rotate at the same RPM,
Compression screw type drying apparatus using a microwave, characterized in that the waste heat recovery means 60 for recovering the heat generated from the magnetron 40 and supplied to the chamber 10 above the magnetron 40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론(40)의 하측에는,
상기 마그네트론(40)에서 방사되는 마이크로 웨이브를 사방으로 반사하는 반사수단(5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압착 스크류식 건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On the lower side of the magnetron 40,
Compression screw type drying apparatus using a microwav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reflecting means for reflecting the microwaves emitted from the magnetron 40 in all direction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수단(50)은,
상기 이송수단(30) 상측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봉부재(52)와, 전체적으로 럭비공 형상을 이루면서 중심에 상기 봉부재(52)가 관통 결합되는 체결공(54a)이 형성되며 단면은 원형을 이루되 외주면을 따라 오목한 함몰부(54b)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반사체(5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압착 스크류식 건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reflecting means 50,
The rod member 52 is installed and rotated above the transfer means 30, and a fastening hole 54a through which the rod member 52 penetrates is formed at the center while forming a rugby ball shape as a whole. Compression screw type drying apparatus using a microwav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ssed portion (54b) is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flector 54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열회수수단(60)은,
상기 마그네트론(40)을 수용하는 단열케이스(62)와, 상기 챔버(10)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단열케이스(62) 내부의 가열된 공기를 상기 챔버(10) 내부로 공급하는 팬(6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압착 스크류식 건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waste heat recovery means 60,
A heat insulating case 62 accommodating the magnetron 40 and a fan 64 installed above the chamber 10 to supply heated air in the heat insulating case 62 to the inside of the chamber 10. Pressed screw type drying apparatus using a microwave,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제 1 항 내지 3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10) 상부에는,
상기 챔버(10) 내부 습기의 배출을 유도하는 습기배출덕트(70)가 설치되고, 상기 습기배출덕트(70) 상에는 상기 챔버(10)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72)와 상기 습기배출덕트(70) 상에 습기의 배출을 개폐하는 댐퍼(74) 및 습기를 강제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흡입기(76)가 구비되어져,
상기 습도센서(72)에서 측정된 습도가 일정값 이상이 되면 상기 댐퍼(74)를 개방하여 습기를 강제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압착 스크류식 건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or 5,
On the chamber 10,
A moisture discharge duct 70 is installed to induce the discharge of moisture in the chamber 10, and the humidity sensor 72 and the moisture discharge are configured to detect humidity in the chamber 10 on the moisture discharge duct 70. A damper 74 is provided on the duct 70 to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of moisture and an inhaler 76 for forcibly sucking and discharging the moisture.
When the humidity measured by the humidity sensor 72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by pressing the damper 74 forcibly screw-type drying device using a microwave, characterized in that forcibly discharging moisture.
KR1020100012805A 2009-07-30 2010-02-11 Screw-pressing type apparatus using micro-wave KR10099149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69814 2009-07-30
KR1020090069814 2009-07-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1491B1 true KR100991491B1 (en) 2010-11-04

Family

ID=43409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2805A KR100991491B1 (en) 2009-07-30 2010-02-11 Screw-pressing type apparatus using micro-wav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1491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1840A (en) * 2014-02-27 2015-09-04 현대제철 주식회사 Apparatus for pelletizing sludge
KR101581259B1 (en) * 2015-07-13 2016-01-11 (주)이앤이솔루션 Apparatus removing and dry of adulterated thing using microwave
KR20180036923A (en) * 2018-03-21 2018-04-10 이종애 SCR catalyst ionizing decomposition apparatus using microwave
KR20190127007A (en) 2018-05-03 2019-11-13 강석우 Screw type drying apparatus
KR20200094331A (en) * 2019-01-30 2020-08-07 (주)이데아이엔에스 Thermal desorption apparatus of using microwave
CN111517310A (en) * 2020-04-26 2020-08-11 山东沃烯新材料科技有限公司 Popped device of continuous microwave of graphite alke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6341B1 (en) * 1996-12-28 1999-08-16 이재건 Organic garbage treating method and apparatus by pressing and microwave heat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6341B1 (en) * 1996-12-28 1999-08-16 이재건 Organic garbage treating method and apparatus by pressing and microwave heating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1840A (en) * 2014-02-27 2015-09-04 현대제철 주식회사 Apparatus for pelletizing sludge
KR101586898B1 (en) 2014-02-27 2016-01-19 현대제철 주식회사 Apparatus for pelletizing sludge
KR101581259B1 (en) * 2015-07-13 2016-01-11 (주)이앤이솔루션 Apparatus removing and dry of adulterated thing using microwave
KR20180036923A (en) * 2018-03-21 2018-04-10 이종애 SCR catalyst ionizing decomposition apparatus using microwave
KR101994610B1 (en) 2018-03-21 2019-09-30 이종애 SCR catalyst ionizing decomposition apparatus using microwave
KR20190127007A (en) 2018-05-03 2019-11-13 강석우 Screw type drying apparatus
KR20200094331A (en) * 2019-01-30 2020-08-07 (주)이데아이엔에스 Thermal desorption apparatus of using microwave
KR102213852B1 (en) * 2019-01-30 2021-02-08 (주)이데아이엔에스 Thermal desorption apparatus of using microwave
CN111517310A (en) * 2020-04-26 2020-08-11 山东沃烯新材料科技有限公司 Popped device of continuous microwave of graphite alkene
CN111517310B (en) * 2020-04-26 2021-06-01 山东沃烯新材料科技有限公司 Popped device of continuous microwave of graphite alke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1491B1 (en) Screw-pressing type apparatus using micro-wave
KR101780983B1 (en) Drying Equipment
KR102048699B1 (en) Recycle apparatus for waste plastic
US20130205613A1 (en) Device for conversion of waste to sources of energy or fertilizer and a method thereof
JP2010110665A (en) Crushing drier
CN104044226A (en) Plastic particle drying machine
CN205482261U (en) Use industrial chemicals drying device of spiral auger output
KR20150111125A (en) The resource system of the sludge and resource method
KR100957245B1 (en) Dry equipment of a products and sludge
KR101309034B1 (en) Extrusion press for making refuse-derived fuel
KR101526171B1 (en) Disposal apparatus for food waste
KR200196148Y1 (en) Foodstuffs trash a dryer
KR100811437B1 (en) A food trash treatment apparatus
KR101149067B1 (en) Rotary Feeder
JP2012166197A (en) Dryer for food and drink treatment system
KR101240760B1 (en) A food trash control device
CN108481621A (en) A kind of plastic disintegrator
KR101418605B1 (en) A Drier of Food Treatment System having the Mix Screw
CN204485791U (en) A kind of comminutor carrying drying device
KR101044098B1 (en) Forming device for manufacturing solid fuel
KR20160048604A (en) The heating system of a three-stage transferring conveyer for sludge drying by using external the air and the heating method of the sludge device
CN208452013U (en) A kind of reclaimer of plastic foil
KR101679700B1 (en) Device for scrap synthetic resins material
CN105312134A (en) Efficient crushing device used for plate processing
KR101688519B1 (en) Manufacturing apparatus using food garbage for feedstuff and method using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