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1438B1 - 나이프 및 프로텍터 교체장치 - Google Patents

나이프 및 프로텍터 교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1438B1
KR100991438B1 KR1020080133050A KR20080133050A KR100991438B1 KR 100991438 B1 KR100991438 B1 KR 100991438B1 KR 1020080133050 A KR1020080133050 A KR 1020080133050A KR 20080133050 A KR20080133050 A KR 20080133050A KR 100991438 B1 KR100991438 B1 KR 100991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fe
protector
replacement device
drum
protec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3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4573A (ko
Inventor
김태성
민은식
홍상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80133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1438B1/ko
Publication of KR20100074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4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1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1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15/0007Cutting or shearing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2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 B21B1/24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in a continuous or semi-continuous process
    • B21B1/26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in a continuous or semi-continuous process by hot-rolling, e.g. Steckel hot mi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게차의 리프트암이 결합되고, 나이프 및 프로텍터와 간단하게 탈부착 할 수 있는 교체장치를 이용하여, 작업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으면서도 간단한 작업만으로도 고속 절단기의 나이프 및 프로텍터를 안전하고 빠르게 교체할 수 있는 나이프 및 프로텍터 교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게차의 리프트암이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구가 형성된 몸체와, 몸체의 전면부에 형성되되 양단부에 나이프암이 힌지결합된 나이프결합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드럼 나이프, 프로텍터, 교체장치, 지게차 리프트암

Description

나이프 및 프로텍터 교체장치{Exchanging Apparatus of Drum Knife and Protector}
본 발명은 나이프 및 프로텍터 교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간 압연공정에 있어서 압연이 끝난 스트립의 목표부분을 절단하는 고속절단기의 드럼 나이프 및 프로텍터를 지게차와 교체장치를 통하여 간단한 작업만으로 안전하고 빠르게 교체할 수 있는 나이프 및 프로텍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간 연속 압연이 끝난 스트립은 접합 부위가 권취되기 전 고속 절단기에 의해 절단되고, 해당 권취기에 권취되는 과정을 거친다.
여기서, 상기 고속 절단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1)을 사이에 두고 상하부에 각각 상부드럼(10)과 하부드럼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드럼(10)과 하부드럼에는 스트립(1)을 절단하기 위한 드럼 나이프(30a,30b)(Drum Knife)와 이를 보호하기 위한 프로텍터(40a,40b)(Protector)가 드럼의 원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인입되어 있어, 상/하부드럼(10,20)이 최종 사상압연기와 연동하여 회 전하면 이에 따라 상/하부드럼(10,20)에 인입된 나이프(30a,30b)가 서로 맞물리면서 스트립(1) 접합부위를 절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고속 절단기(2)는, 고속으로 진행되는 스트립(1)을 나이프(30a,30b)를 통해 반복적으로 절단하는 것이기 때문에, 장기간 작업을 수행하면 나이프(30a,30b)의 파손 또는 마모 등이 발생하여 고속 절단기(2)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되지 못한다. 때문에, 일정 사용주기에 따라 나이프(30a,30b)와 프로텍터(40a,40b)를 점검 또는 교체하는 작업을 실시해야하는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고속 절단기(2)의 나이프(30a,30b) 및 프로텍터(40a,40b)의 교체작업으로 종래에는, 와이어로프와 천정 크레인(Crane) 및 지게차를 이용하여 나이프(30a,30b) 및 프로텍터(40a,40b)를 교체하였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크레인과 지게차를 이용한 나이프(30a,30b) 및 프로텍터(40a,40b)의 교체작업은, 나이프(30a,30b)와 프로텍터(40a,40b) 자체가 무거운 중량물인 만큼 낙하에 의한 압착 안전사고발생의 위험이 있고, 또한 3인 이상의 작업자가 지게차 및 천정 크레인 등 여러가지 중장비를 운전하고 와이어로프 등을 이용하여 나이프(30a,30b) 및 프로텍터(40a,40b)를 분해, 운반, 조립을 해야되기 때문에, 그 작업이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크레인 및 지게차의 병행작업을 실시해야하기 때문에 작업범위가 넓고 작업시간이 오래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게차만을 이용하되, 나이프 또는 프로텍터와 간단하게 탈부착 할 수 있는 나이프 및 프로텍터 교체장치를 이용하여, 작업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작업만으로도 고속 절단기의 나이프 및 프로텍터를 안전하고 빠르게 교체할 수 있는 나이프 및 프로텍터 교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나이프 및 프로텍터 교체장치는, 지게차의 리프트암이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구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면부에 형성되되 양단부에 나이프암이 힌지결합된 나이프결합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나이프암은 단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나이프결합부의 상면에는 프로텍터체결홀이 형성된 프로텍터결합부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텍터체결홀은 적어도 하나의 장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해결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나이프 및 프로텍터 교체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첫째, 지게차와 크레인을 이용하여 나이프나 프로텍터를 교체하는 종래와 비교하여 본 발명은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 지게차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작업범위가 넓지 않고, 크레인을 운전해야하는 작업인원을 둘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이 효율적이며 생산적이다.
둘째, 교체장치를 통하여 간단한 작업만으로도 고속 절단기의 나이프 및 프로텍터를 빠르게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작업성이 좋으며, 안전사고에 대한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나이프 및 프로텍터 교체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이프 및 프로텍터 교체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나이프 및 프로텍터 교체장치의 배면도, 측면도, 정면도이다.
또한, 도 6 및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나이프 및 프로텍터 교체장치에서 나이프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나이프 및 프로텍터 교체장치에서 프로텍터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나이프 및 프로텍트 교체장치(100)는, 지게차의 리프트암(Lift Arm;81)이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구(52a,52b)가 형성된 몸체(50)와, 몸체(50)의 전면부에 형성된 나이프결합부(60)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나이프결합부(60)의 상면에는 고속 절단기의 프로텍터(40a,40b)와 결합할 수 있는 프로텍터결합부(70)가 설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몸체(50)에는 지게차의 한쌍의 리프트암(81)이 삽입되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게차 리프트암(81)의 위치에 대응하여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한쌍의 삽입구(52a,52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구(52a,52b)는 리프트암(81)을 삽입되거나 다시 빼내는 작업이 용이하도록 리프트암(81)이 삽입되어도 여유공간이 있게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상기 삽입구(52a,52b)는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가 리프트암(81)의 단부형상과 대응되도록 사각형의 입구를 가지며, 또한 리프트암(81)의 단부로부터 일정영역 삽입되어 리프트암(81)이 상향될 때 리프트암(81)의 상면과 삽입구(52a,52b)의 내면상측이 면접촉하면서 리프트암(81) 작동에 따른 힘을 안정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일정깊이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삽입구(52a,52b)는 작업자가 지게차의 리프트암(81)을 작동시켜 삽입 구(52a,52b)로 용이하게 삽입 또는 빼낼 수 있는 구조로서, 이 외에도 리프트암(81)의 단부의 일정부분이 삽입되어 리프트암(81)의 상하작동에 대해서도 안정적으로 그힘을 받을 수 있는 구조이면 모두 가능하다.
상기 몸체(50)에는 지게차의 리프트암(81)이 삽입되는 삽입구(52a,52b)의 반대쪽 즉, 몸체(50)의 전면부에 고속절단기의 나이프(30a,30b)와 탈착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나이프결합부(6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이프결합부(60)는,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면부에 삽입홈(65)이 형성된 'ㄷ'자빔형상으로 양단부에는 한쌍의 나이프암(62a,62b)이 힌지결합되어 있다.
상기 나이프암(62a,62b)은 일측이 나이프결합부(60) 삽입홈(65)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힌지축(61a,61b)을 통하여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드럼나이프(30a,30b)와 탈착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나이프체결홀(63a,63b)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나이프암(62a,62b)은 일측을 중심으로 힌지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나이프암(62a,62b)의 타측을 회동시켜 나이프결합부(60)의 삽입홈(65)으로 나이프암(62a,62b) 전체를 삽입 또는 반대로 회동시켜 나이프결합부(60)와 평행한 방향으로 위치시킬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위치변경이 가능하다.
즉, 상기한 한쌍의 나이프암(62a,62b)은, 양쪽 나이프암(62a,62b)의 타측을 각각 적절하게 회동시켜 나이프체결홀(63a,63b)간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드럼나이프(30a,30b)의 결합홈(32)이 어떠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하더라도 용이하게 드럼나이프(30a,30b)와 결합될 수 있다.
부가하여, 상기 나이프암(62a,62b)은 단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는데, 상세하게는 상기 나이프암(62a,62b)의 타측은 나이프(30a,30b)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타측으로 갈 수록 좁아지는 테이퍼(64)진 형상으로 되어 있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나이프암(62a,62b)과 드럼나이프(30a,30b)의 결합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이프암(62a,62b)의 타측에 형성된 나이프체결홀(63a,63b)과 드럼나이프(30a,30b)에 형성된 결합홈(32)을 관통체결할 수 있는 결합부재를 통하여 이룰 수 있는데, 상기 결합부재는 나이프체결홀(63a,63b)과 결합홈(32)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볼트가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나이프결합부(60)의 상면 중앙부에는 고속절단기의 프로텍터(40a,40b)와 탈착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프로텍터결합부(70)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로텍터결합부(70)는, 상기 나이프결합부(60)의 상면에 수직에 가까운 방향으로결합된 일정폭을 가진 플레이트형상으로, 양측에는 프로텍터(40a,40b)에 형성된 관통홀(42)에 대응하는 위치에 프로텍터체결홀(71)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프로텍터(40a,40b)의 관통홀(42)과 프로텍터체결홀(71)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홀(42)과 프로텍터체결홀(71)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결합될 수 있는 체결볼트와 같은 체결부재(67)를 통하여 관통체결됨으로써 프로텍터결합부(70)와 프로텍터(40a,40b)가 결합될 수 있다.
부가하여, 상기 프로텍터체결홀(71)은 도면에서는 한쌍을 형성하였지만, 이는 일 실시예로 다양한 프로텍터 관통홀(42)의 간격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장공의 장홀로 형성시킬 수도 있으며, 또한 여러간격의 다수의 프로텍터체결홀(71)을 형성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나이프 및 프로텍터 교체장치(100)의 교체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속절단기의 드럼 나이프(30a,30b)와 프로텍터(40a,40b)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 드럼에 각각 인입되어 있되, 나이프(30a,30b)는 결합홈(32)을 통해 웨지(wedge;11)와 나사결합되고, 프로텍터(40a,40b)는 관통홀(42)을 통해 드럼과 나사결합되어 있다. 때문에, 상기한 구성의 고속절단기의 드럼에서 나이프(30a,30b) 및 프로텍터(40a,40b)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우선, 프로텍 터(40a,40b)를 드럼에서 분리하고, 그런 다음 웨지(11) 및 나이프(30a,30b)를 교체하는 순으로 작업을 실시해야한다.
따라서, 고속절단기의 나이프(30a,30b) 및 프로텍터(40a,40b)를 교체하기 위하여 우선, 상하부 드럼을 나이프(30a,30b) 및 프로텍터(40a,40b)를 교체하기 편한 위치에 놓이도록, 나이프(30a,30b) 및 프로텍터(40a,40b)가 3시방향 또는 9시방향으로 향하게 회전시키고, 프로텍터(40a,40b)에 나사결합된 나사를 분리한 후 지게차의 리프트암(81)을 작동시켜 교체장치(100)를 프로텍터(40a,40b) 외측면, 구체적으로는 프로텍터(40a,40b)의 관통홀(42)과 프로텍터결합부(70)의 프로텍터체결홀(71)이 서로 대응되도록 위치시킨다.
그 후, 체결부재(67)를 상기 프로텍터체결홀(71)과 관통홀(42)을 동시에 관통체결하여 교체장치(100)와 프로텍터(40a,40b)를 결합시키고, 이 상태에서 교체장치(100)를 이동시켜 프로텍터(40a,40b)를 드럼에서 분리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드럼에서 프로텍터(40a,40b)를 분리한 다음에는, 작업자는 드럼에서 웨지(11)를 분리하고, 웨지(11)가 있었던 공간으로 나이프암(62a,62b)의 타단을 삽입, 나이프암(62a,62b)의 나이프체결홀(63a,63b)과 드럼 나이프(30a,30b)의 결합홈(32)이 동시에 관통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나이프암(62a,62b)은 회동시킬 수 있는 구조로서, 드럼나이 프(30a,30b)의 결합홈(32)에 대응되도록 나이프암(62a,62b)을 적절하게 회동시켜 그 위치를 적정한 위치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이프암(62a,62b)은 타단의 외측단부가 좁은 테이퍼(64)형상이기 때문에, 웨지(11)가 있었던 협소한 공간으로의 나이프암(62a,62b) 삽입이 용이하며, 나이프(30a,30b)와 대면하는 면에 대응하도록 경사졌기 때문에 체결부재(67)의 체결이 용이하다.
이렇게 나이프체결홀(63a,63b)과 결합홈(32)이 서로 관통되는 위치에 놓이도록 나이프암(62a,62b)을 이동시킨 후에는, 프로텍터(40a,40b)를 교체하는 방식과 유사하게, 체결부재(67)를 나이프체결홀(63a,63b)과 결합홈(32)에 동시에 관통체결하여 나이프(30a,30b)와 교체장치(100)를 결합시키고 이 상태에서 교체장치(100)를 이동시켜 나이프(30a,30b)를 분리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체장치(100)를 이용하여 드럼에서 나이프(30a,30b)와 프로텍터(40a,40b)를 분리한 후 새로운 나이프(30a,30b)와 프로텍트를 드럼에 조립하는 방법은, 상기한 나이프(30a,30b) 및 프로텍터(40a,40b) 교체방법과 역순으로 진행하면 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나이프 및 프로텍터 교체장치(100)는, 드럼 나이프(30a,30b)와 프로텍터(40a,40b)에 이미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32)과 관통홀(42)을 이용하되, 상기 결합홈(32)과 관통홀(42)을 통해 나이프(30a,30b)와 프로텍터(40a,40b)가 탈착가능한 교체장치(100)와 지게차에 의하여 소수의 작업자만으로도 중량의 나이프(30a,30b) 및 프로텍터(40a,40b)를 안전하고 빠르게 분리, 교체작업할 수 있으며, 작업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가능하며, 작업성이 좋아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도 1은 고속 절단기와 고속절단기에 인입된 나이프와 프로텍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이프 및 프로텍터 교체장치의 평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나이프 및 프로텍터 교체장치의 배면도, 측면도, 정면도,
도 6 및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나이프 및 프로텍터 교체장치에서 나이프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나이프 및 프로텍터 교체장치에서 프로텍터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상부드럼 11... 웨지
20... 하부드럼 30a,30b... 드럼 나이프
32... 결합홈 40a,40b... 프로텍터
42... 관통홀 50... 몸체
52a,52b... 삽입구 60... 나이프결합부
62a,62b... 나이프암 63a,63b... 나이프체결홀
65... 삽입홈 67... 체결볼트
70... 프로텍터결합부 71... 프로텍터체결홀

Claims (4)

  1. 지게차의 리프트암이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구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면부에 형성되되, 양단부에 나이프암이 힌지결합된 나이프결합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이프 및 프로텍터 교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이프결합부의 상면에는 프로텍터체결홀이 형성된 프로텍터결합부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이프 및 프로텍터 교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이프암은 단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이프 및 프로텍터 교체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텍터체결홀은 적어도 하나의 장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이프 및 프로텍터 교체장치.
KR1020080133050A 2008-12-24 2008-12-24 나이프 및 프로텍터 교체장치 KR100991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3050A KR100991438B1 (ko) 2008-12-24 2008-12-24 나이프 및 프로텍터 교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3050A KR100991438B1 (ko) 2008-12-24 2008-12-24 나이프 및 프로텍터 교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4573A KR20100074573A (ko) 2010-07-02
KR100991438B1 true KR100991438B1 (ko) 2010-11-02

Family

ID=42637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3050A KR100991438B1 (ko) 2008-12-24 2008-12-24 나이프 및 프로텍터 교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14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870B1 (ko) * 2010-11-26 2013-12-11 박준형 케이블드럼 이송보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4697A (ja) 1984-09-07 1986-04-03 桐生機械株式会社 アタツチメント自動着脱装置
US4929145A (en) 1988-09-12 1990-05-29 Thompson George O Forklift adapter for stocking vertical rack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4697A (ja) 1984-09-07 1986-04-03 桐生機械株式会社 アタツチメント自動着脱装置
US4929145A (en) 1988-09-12 1990-05-29 Thompson George O Forklift adapter for stocking vertical rack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870B1 (ko) * 2010-11-26 2013-12-11 박준형 케이블드럼 이송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4573A (ko) 201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51043B (zh) 拆除剪及拆除剪的刺尖插件和端头部配件
CN105492152A (zh) 拆除剪及拆除剪的刺尖插件和端头部配件
KR102310410B1 (ko) 터널 천공기용 절단 공구 홀더 및 관련된 절단 조립체
ITVE20010028A1 (it) Morsetto perfezionato per macchina duplicatrice di chiavi
CA2806275C (en) Pitch link alignment tool
CA2880748A1 (en) Disintegrating device
KR100991438B1 (ko) 나이프 및 프로텍터 교체장치
KR20060048188A (ko) 캔틸레버에 장착하기 위한 철거작업장치
PT1568453E (pt) Estilhaçadora de anel com lâmina e montagem de lâmina facilmente desmontáveis
EP3089881B1 (en) Tool for handling of a wheel
WO2011059159A1 (ko) 선박건조용 족장피스 절단장치
EP2611584B1 (en) Blade guard for a saw
SE540712C2 (en) Implement coupling device and a machine provided with such adevice
CN217454065U (zh) 一种切纸机换刀辅助机构
EP3315201B1 (de) Hackrotor für eine zerkleinerungsmaschine
CN216541143U (zh) 一种钢结构切割装置的火花防护罩
CN113134723B (zh) 用于棒线冷剪机更换冷剪刀具的组件、系统及方法
CN204450689U (zh) 分切机圆刀辊
FI127105B (fi) Purkulaite ja työkone betonirakenteen purkamiseksi
CN104749700B (zh) 自承式蝶形引入光缆用开剥钳
CN215657075U (zh) 一种棒材机组导卫装置
KR101950393B1 (ko) 절단설 제거 설비의 시어빔 록킹 장치
JP5207377B2 (ja) 切粉除去装置
CN210650810U (zh) 一种废纸辊拆解机
KR101088393B1 (ko) 파이프 커팅기용 커팅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