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0365B1 - 자동차용 독서등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독서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0365B1
KR100990365B1 KR1020080084127A KR20080084127A KR100990365B1 KR 100990365 B1 KR100990365 B1 KR 100990365B1 KR 1020080084127 A KR1020080084127 A KR 1020080084127A KR 20080084127 A KR20080084127 A KR 20080084127A KR 100990365 B1 KR100990365 B1 KR 100990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guide
bezel
light
stopper
re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4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5405A (ko
Inventor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4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0365B1/ko
Publication of KR20100025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5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0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0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7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B60Q3/76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spotlighting, e.g. reading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60Q3/85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for manual control of the light, e.g. of colour, orientation or intens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독서등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독서등은 고정형이어서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불빛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없어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만 비춰지는 불빛이 신문이나 잡지 등을 읽는데 불편하더라도 그대로 사용함에 따라 눈의 피로를 가중시켜 장시간 사용할 경우에는 시력저하를 일으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실내 독서등을 구성함에 있어서,베젤장착홀(110)이 일정 크기로 구비된 프레임(100)과; 프레임(100)의 베젤장착홀(110)에 끼워져 걸리도록 외주면 테두리를 따라 플랜지(210)가 구비된 링형의 베젤(200); 중앙에 빛안내공(310)이 구비되고, 외주면이 둥근 곡형으로 형성되어 베젤(200)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하/좌우로 각도가 회동 조절되며, 이면에는 빛안내공(310)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 기판고정용 보스(320)가 형성된 라이트가이드(300); 전면의 LED램프(410)가 빛안내공(310)에 놓이며, 기판고정용 보스(320)와 일치되는 나사공(420)이 구비되어 라이트가이드(300)의 빛안내공(310) 이면에 일체로 체결되는 램프용 기판(400); 라이트가이드(300)의 이탈됨을 방지하며, 라이트가이드(300)가 상하/좌우로 회동될 수 있도록 라이트가이드(300)의 이면부와 일정 간격(ℓ) 이격된 상태로 베젤(200) 이면에 결합되는 스톱퍼(500)로 이루어져 라이트가이드(300)의 각도가 조절되게 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라이트가이드(300)를 회동시켜 LED램프(410)의 위치를 조절 할 수 있음에 따라 LED램프(410)에서 발산되 는 불빛을 원하는 방향으로 비춰지게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자신이 신문이나 잡지 등을 읽는데 가장 알맞은 위치로 불빛이 비춰지게 하여 최상의 상태에서 신문이나 잡지 등을 읽을 수 있으므로 그만큼 눈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어 독서등을 장시간 사용함에 따른 시력저하도 최소화 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독서등,프레임,베젤,라이트가이드,LED램프,패드,스톱퍼

Description

자동차용 독서등{reading lamp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독서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독서등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뷸빛을 원하는 방향으로 비춰지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자신이 신문이나 잡지 등을 읽을 때 가장 알맞은 위치로 불빛이 비춰지게 하므로서 눈의 피로도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자동차용 독서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사회가 점점 고도화되고 자동차의 대수가 나날이 증가되어 교통체증이 심해 도로상에서 자동차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최근에는 자동차에 탑승한 승객이 시간활용을 위해 차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배너티미러나 독서등을 설치한다.
배너티미러는 조수석에 탑승한 승객의 화장을 고칠때 사용되도록 선바이져에 부착되는데 고급차량의 경우에는 조수석 승객뿐만 아니라 뒷좌석승객이 사용할 수 있도록 뒷좌석 헤드라이닝 내부에 수납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도 있다.
그리고 독서등은 탑승자가 신문이나 잡지 등을 야간에 선명하게 볼 수 있도록 통상 설치되는 룸램프와는 달리 그 부위만을 집중적으로 조명할 수 있도록 설치 되는데 이러한 독서등은 운전에 방해가 되지 않으면서 신문이나 잡지 등을 읽을 정도의 100Lux정도의 조도가 적당하다.
그런데 종래의 독서등은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키가 큰 탑승자나 키가 작은 탑승자의 경우에는 앉은키가 서로 달라 신문이나 잡지 등을 보게되면 신문이나 잡지가 놓여지는 위치가 서로 다르게 되어 독서등에서 나오는 불빛도 그때마다 알맞은 각도로 비춰주어야 만이 눈의 피로를 최소화 할수 있으면서 신문이나 잡지를 효과적으로 읽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사용되는 독서등의 경우에는 각도를 조절할 수 없는 고정형이어서 탑승자는 독서등에서 나오는 불빛이 자신이 책을 읽는데 적당치 않은데도 불구하고 그대로 사용함으로 인해 눈의 피로도가 가중되는 것인데, 이처럼 자신의 신체조건에 부합되지 않는 독서등을 장시간 사용할 경우에는 시력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독서등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독서등에서 발산되는 불빛이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가장 알맞은 위치에 비춰지도록 한 자동차용 독서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실내 독서등을 구성함에 있어서, 베젤장착홀이 일정 크기로 구비된 프레임과; 프레임의 베젤장착홀에 끼워져 걸리도록 외주면 테두리를 따라 플랜지가 구비된 링형의 베젤; 중앙에 빛안내공이 구비되고, 외주면이 둥근 곡형으로 형성되어 베젤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하/좌우로 각도가 회동 조절되며, 이면에는 빛안내공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 기판고정용 보스가 형성된 라이트가이드; 전면의 LED램프가 빛안내공에 놓이며, 기판고정용 보스와 일치되는 나사공이 구비되어 라이트가이드의 빛안내공 이면에 일체로 체결되는 램프용 기판; 라이트가이드의 이탈됨을 방지하며, 라이트가이드가 상하/좌우로 회동될 수 있도록 라이트가이드의 이면부와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베젤 이면에 결합되는 스톱퍼로 이루어져 라이트가이드의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독서등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비춰지는 불빛의 방향을 바꿀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에게 가장 알맞은 최적의 불빛을 제공하므로서 눈의 피로도를 줄여줘서 장시간동안 독서등을 사용하더라도 시력저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독서등을 예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2a,2b 는 본 발명에 따른 독서등의 결합 요부 단면도로서 도2a는 라이트가이드가 수평을 유지한 상태이고, 도2b는 라이트가이드를 회동시킨 상태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라 베젤과 스톱퍼를 예시한 요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서 독서등이 설치된 프레임에 룸램프가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실내 독서등을 구성함에 있어서, 베젤장착홀(110)이 일정 크기로 구비된 프레임(100)과; 프레임(100)의 베젤장착홀(110)에 끼워져 걸리도록 외주면 테두리를 따라 플랜지(210)가 구비된 링형의 베젤(200); 중앙에 빛안내공(310)이 구비되고, 외주면이 둥근 곡형으로 형성되어 베젤(200)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하/좌우로 각도가 회동 조절되며, 이면에는 빛안내공(310)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 기판고정용 보스(320)가 형성된 라이트가이드(300); 전면의 LED램프(410)가 빛안내공(310)에 놓이며, 기판고정용 보스(320)와 일치되는 나사공(420)이 구비되어 라이트가이드(300)의 빛안내공(310) 이면에 일체로 체결되는 램프용 기판(400); 라이트가이드(300)의 이탈됨을 방지하며, 라이트가이드(300)가 상하/좌우로 회동될 수 있도록 라이트가이드(300)의 이면부와 일정 간격(ℓ) 이격된 상태로 베젤(200) 이면에 결합되는 스톱퍼(500); 로 이루어져 라이트가이드(300)의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실내에 설치되는 독서등의 각도를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독서등에서 발산되는 불빛이 최적의 상태로 비춰지도록 하므로서 눈의 피로도를 종래에 비하여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도 1 에서와 같이 다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어 이들을 결합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베젤(200)에 링형의 패드(600)를 장착하는데, 베젤(200)의 안쪽면 하단에는 단턱(22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패드(600)를 베젤(200)의 안쪽으로 넣어 단턱(220)에 얹혀지도록 한다
여기서 패드(600)는 스펀지 또는 연질의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어 라이트가이드(300)를 회동시 소음을 방지하는 역할 이외에 패드(600)의 압박력으로 라이트가이드(300)가 조절된 위치에 고정되는 것이며, 패드(600)를 단턱(220)에 걸리도록 한 상태에서 양면테이프에 의해 고정시키면 패드(600)는 베젤(200)내측에 견고하게 고정이 된다.
이후 중앙에 빛안내공(310)이 구비된 라이트가이드(300)를 베젤(200)에 끼워주는데 베젤(200)에는 패드(60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라이트가이드(300)를 베젤(200)에 끼우면 패드(600)와 접면되는 것이며, 라이트가이드(300)는 외주면이 둥근 곡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베젤(200)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하/좌우로 각도가 용이하게 회동 조절되는 것이다.
이처럼 베젤(200)에 라이트가이드(300)를 끼워준 후 LED램프(410)가 장착된 램프용 기판(400)을 라이트가이드(300)에 설치하는데 여기서 라이트가이드(300)의 빛안내공(310)양쪽으로는 기판고정용 보스(320)가 형성되고, 램프용 기판(400)에는 기판고정용 보스(320)와 일치되는 나사공(420)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램프용 기 판(400)의 나사공(420)과 기판고정용 보스(320)가 서로 일치되게 한 상태에서 나사(도면중 미도시)를 체결하면 램프용 기판(400)은 라이트가이드(300)에 견고하게 고정됨과 동시에 LED램프(410)는 라이트가이드(300)의 빛안내공(310)에 놓여지게 된다.
이후 베젤(200)에 끼워진 라이트가이드(300)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상하/좌우로 회동될 수 있도록 도2a에서와 같이 라이트가이드(300)와 일정한 간격(ℓ)이격된 상태로 스톱퍼(500)을 베젤(200)에 결합하는 것이다.
즉, 도3에서와 같이 베젤(200)의 플랜지(210) 뒤쪽 테두리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걸림턱(230)을 형성하고, 스톱퍼(500)의 전면 테두리에는 상기 걸림턱(230)이 끼워지는 삽입공(510)과, 걸림턱(230)을 걸어주는 걸림홈(520)을 연이어 형성하였으므로 스톱퍼(500)를 베젤(200)의 상측에서 밀착시켜 베젤(200)의 걸림턱(230)이 스톱퍼(500)의 삽입공(510)으로 끼워지게 한후 베젤(200)을 회전시켜 걸림턱(230)이 삽입공(510)을 따라 이동되게 한후 걸림홈(520)으로 들어가 걸리면 스톱퍼(500)와 베젤(200)은 서로 결합되는 것이며, 베젤(200)을 결합할 때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베젤(200)과 스톱퍼(500)는 서로 분리된다.
여기서 베젤(200)을 회전시키지 않고, 스톱퍼(500)를 회전시켜도 베젤(200)과 스톱퍼(500)는 역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베젤(200)과 패드(600), 그리고 라이트가이드(300),램프용 기판(400), 스톱퍼(500)를 한몸체로 결합하여 이루어진 독서등을 프레임(100)에 설치하는데 프레임(100)에는 베젤장착홀(11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베젤(200)을 프레 임(100)의 안쪽 방향에서 베젤장착홀(110)에 끼워주면 베젤(200)의 외주면 테두리에 형성된 플랜지(210)에 의해 베젤(200)은 베젤장착홀(110)에 끼워져 걸리면서 프레임(100)밖으로는 베젤(200)과 라이트가이드(300)의 일부위만이 돌출된다.
이후 프레임(100)에 스톱퍼(500)를 고정시키는데 프레임(100)의 베젤장착홀(110)테두리 이면 양쪽으로는 스크류용 보스(120)가 형성되고, 스톱퍼(500)의 양단에는 스크류용 보스(120)와 상응하는 위치에 스크류공(531)이 구비된 브라켓(530)이 형성되어 있어 스크류공(531)과 스크류용 보스(120)에 관통되게 나사를 체결하면 독서등은 프레임(100)에 견고한 상태로 설치된다.
이처럼 설치된 독서등은 사용자가 자신이 신문이나 잡지 등을 최상의 상태로 볼수 있게 가장 알맞은 위치로 불빛이 비춰지도록 독서등을 조절할 경우에는 도 2b에서와 같이 라이트가이드(300)만을 원하는 방향으로 밀어주면 고정되지 않은 라이트가이드(300)는 그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이고, 이때 라이트가이드(300)에 고정된 LED램프(410)도 함께 회동되는 것이다.
여기서 스톱퍼(500)의 내주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돌기(540)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라이트가이드(300)를 회동시킬 때 스톱퍼(500) 내주면과 라이트가이드(300) 이면부의 마찰력이 감소되어 보다 더 라이트가이드(300)가 부드럽게 회동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라이트가이드(300)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라이트가이드(300)는 베젤(200)안쪽에 설치된 패드(600)의 압박력에 의해 조절된 위치에서 고정되면서 LED램프(410)의 불빛이 빛안내공(310)을 통해 원하는 방향으로 비춰지게 되어 사용자는 자신에게 가장 알맞은 불빛을 제공받아 신문이나 잡지 등을 읽을수 있음에 따라 눈의 피로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독서등이 설치된 프레임(100)에는 룸램프(700)를 함께 설치하면 작업자가 한번의 프레임(100)설치작업으로 독서등과 룸램프(700)를 설치한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설치에 따른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독서등을 예시한 분리사시도.
도 2a,2b 는 본 발명에 따른 독서등의 결합 요부 단면도로서 도2a는 라이트가이드가 수평을 유지한 상태이고, 도2b는 라이트가이드를 회동시킨 상태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라 베젤과 스톱퍼를 예시한 요부 분리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서 독서등이 설치된 프레임에 룸램프가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프레임 110 : 베젤장착홀
120 : 스크류용 보스 200 : 베젤
210 : 플랜지 220 : 단턱
230 : 걸림턱 300 : 라이트가이드
310 : 빛안내공 320 : 기판고정용 보스
400 : 램프용 기판 410 : LED램프
420 : 나사공 500 : 스톱퍼
510 : 삽입공 520 : 걸림홈
530 : 브라켓 531 : 스크류공
540 : 돌기 600 : 패드
700 : 룸램프

Claims (6)

  1. 자동차용 실내 독서등을 구성함에 있어서,
    베젤장착홀(110)이 일정 크기로 구비된 프레임(100)과;
    프레임(100)의 베젤장착홀(110)에 끼워져 걸리도록 외주면 테두리를 따라 플랜지(210)가 구비된 링형의 베젤(200);
    중앙에 빛안내공(310)이 구비되고, 외주면이 둥근 곡형으로 형성되어 베젤(200)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하/좌우로 각도가 회동 조절되며, 이면에는 빛안내공(310)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 기판고정용 보스(320)가 형성된 라이트가이드(300);
    전면의 LED램프(410)가 빛안내공(310)에 놓이며, 기판고정용 보스(320)와 일치되는 나사공(420)이 구비되어 라이트가이드(300)의 빛안내공(310) 이면에 일체로 체결되는 램프용 기판(400);
    라이트가이드(300)의 이탈됨을 방지하며, 라이트가이드(300)가 상하/좌우로 회동될 수 있도록 라이트가이드(300)의 이면부와 일정 간격(ℓ) 이격된 상태로 베젤(200) 이면에 결합되는 스톱퍼(500);
    로 이루어져 라이트가이드(300)의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독서등.
  2. 제 1 항에 있어서,
    베젤(200)의 안쪽면 하단에는 단턱(220)을 형성하고,
    베젤(200) 안쪽면에는 단턱(220)에 걸려 이탈되지 않도록 스펀지 또는 연질의 부직포로 된 링형 패드(600)를 설치하여
    소음 차단과 함께 패드(600)의 압박력으로 라이트가이드(300)의 조절된 위치가 고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독서등.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베젤(200)의 플랜지(210) 뒤쪽 테두리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걸림턱(230)을 형성하고,
    스톱퍼(500)의 전면 테두리에는 상기 걸림턱(230)이 끼워지는 삽입공(510)과, 걸림턱(230)을 걸어주는 걸림홈(520)을 연이어 형성하여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베젤(200)과 스톱퍼(500)가 탈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독서등.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프레임(100)의 베젤장착홀(110) 테두리 이면 양쪽에는 스크류용 보스(120)를 형성하고,
    스톱퍼(500)의 양단에는 스크류용 보스(120)와 상응하는 위치에 스크류 공(531)이 구비된 브라켓(530)을 구비하여
    베젤(200) 이면에 결합되는 스톱퍼(500)가 프레임(100)에 고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독서등.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스톱퍼(500)의 내주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돌기(540)를 돌출시켜서
    라이트가이드(300)를 상하/좌우로 회동시킬 때 스톱퍼(500) 내주면과 라이트가이드(300) 이면부의 마찰력이 감소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독서등.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프레임(100)에는
    룸램프(700)를 일체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독서등.
KR1020080084127A 2008-08-27 2008-08-27 자동차용 독서등 KR100990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4127A KR100990365B1 (ko) 2008-08-27 2008-08-27 자동차용 독서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4127A KR100990365B1 (ko) 2008-08-27 2008-08-27 자동차용 독서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5405A KR20100025405A (ko) 2010-03-09
KR100990365B1 true KR100990365B1 (ko) 2010-10-29

Family

ID=42176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4127A KR100990365B1 (ko) 2008-08-27 2008-08-27 자동차용 독서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03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75946A (zh) * 2014-02-24 2014-05-07 丹阳谊善车灯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汽车用导光条阅读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43940U (ko) 1985-02-27 1986-09-05
JPS61161045U (ko) 1985-03-27 1986-10-06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43940U (ko) 1985-02-27 1986-09-05
JPS61161045U (ko) 1985-03-27 1986-10-06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75946A (zh) * 2014-02-24 2014-05-07 丹阳谊善车灯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汽车用导光条阅读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5405A (ko) 2010-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34092A1 (en) Vehicle interior illumination structure
EP0462087B1 (en) Mirror and illumination unit for motor vehicles
US20110074178A1 (en) Glare shield apparatus
US5478131A (en) Car sun visor with adjustable panel
GB2423755A (en) Automotive visor with illuminated mirror
KR100990365B1 (ko) 자동차용 독서등
US20090290368A1 (en) In-vehicle illuminating device
US5765898A (en) Vehicle sunshade mounting assembly
JP2543914B2 (ja) 車両用室内灯
US5921607A (en) Vehicle sun visor extension
CN2884252Y (zh) 汽车内防眩后视镜总成
JPH0622082U (ja) 車両の室内用照明装置
US20090086346A1 (en) Side mirror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CN218112314U (zh) 遮阳板组件及具有其的车辆
CN212555770U (zh) 一种前风窗遮阳隔热隐私帘装置
CN110733413B (zh) 后阅读灯总成和汽车
CN216269014U (zh) 一种车载投影系统及汽车
KR20040108160A (ko) 자동차의 확장형 선바이저
KR970003617Y1 (ko) 자동차용 독서등
KR0125727Y1 (ko) 화장용 거울 및 독서등을 구비한 자동차 시트의 헤드 레스트
KR100277340B1 (ko) 높이조절이가능한선바이저
KR0126174Y1 (ko) 자동차의 조명기구
KR0137363Y1 (ko) 자동차 뒷좌석 독서등
KR19990017609U (ko) 차량용햇빛눈부심방지장치
KR20070059769A (ko) 맵 램프 기능을 가진 룸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