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9737B1 - 알람 시간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표시방법 - Google Patents

알람 시간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9737B1
KR100989737B1 KR1020030022029A KR20030022029A KR100989737B1 KR 100989737 B1 KR100989737 B1 KR 100989737B1 KR 1020030022029 A KR1020030022029 A KR 1020030022029A KR 20030022029 A KR20030022029 A KR 20030022029A KR 100989737 B1 KR100989737 B1 KR 100989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time
displayed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2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7584A (ko
Inventor
이진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2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9737B1/ko
Publication of KR20040087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7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9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9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3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large square shaped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Conveying cassettes, containers or carri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람시간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알람 표시만 대기화면에 표시되고 정확한 알람 시간은 표시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알람 메뉴를 선택하여 다시 알람 정보를 확인해야 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입력한 알람 정보에서 알람 시간 및 알람 설정상태(온 또는 오프)를 인식하여 화면의 소정 영역에 표시해 줌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알람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알람 시간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표시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LARM DISPLAY FUNCTION AND DISPLAY METHOD THEREFOR}
도 1은 종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알람시간 표시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종래 이동 통신 단말기의 표시창에 표시된 알람 아이콘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알람 시간 표시 방법의 동작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알람 시간 표시 방법에 따라 알람 시간을 표시하는 표시창을 보인 예시도.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알람 시간을 대기화면에 직접 표시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한 알람 시간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동 통신 단말기에는 알람 기능이 내장되어 있어 원하는 시간에 알람 을 울려 정해진 일을 잊지 않고 처리하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
도 1은 종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알람 시간 표시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알람 시간 데이터를 입력받는 시간 입력부(11)와; 상기 시간 입력부(11)의 알람 시간 데이터와 현재 시간이 일치하면 그에 따른 표시 제어신호와 알람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말기 모뎀(12)과; 상기 단말기 모뎀(12)의 표시 제어신호에 따라 표시창에 알람 시간을 표시하는 표시부(13)와; 상기 단말기 모뎀(12)의 알람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알람 신호를 발생하는 알람 신호 발생부(14)와; 상기 알람 신호 발생부(14)의 알람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단말기 모뎀(12)의 제어신호에 따라 소정 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스피커(15)로 구성된 종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간 입력부(11)는 사용자로부터 키 조작에 의해 알람 시간을 입력받고, 이에 따라 단말기 모뎀(12)은 상기 시간 입력부(11)로부터 입력받은 알람 시간을 내부의 램에 저장한 후 계속 모니터링을 하다가, 이 알람 시간과 현재 시간이 일치하면 알람을 동작시키도록 알람 제어신호를 알람 신호 발생부(14)에 인가한다.
상기 단말기 모뎀(12)은 내부에 구비된 타이머로 내부 클럭을 카운팅하여 그에 따른 표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표시부(13)는 상기 단말기 모뎀의 표시 제어신호에 의해 표시창에 알람 시간을 표시한다.
이에 따라, 상기 알람 신호 발생부(14)는 상기 단말기 모뎀(12)의 알람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알람 신호를 발생하고, 증폭부는 상기 알람 신호 발생부(14)로부터 입력받은 알람 신호를 미리 설정된 증폭비로 증폭하여 스피커(15)를 통해 출력한다.
한편, 알람 신호 발생의 정지는 사용자에 의해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키 즉, 알람 발생을 정지하는 기능 키가 조작됨에 따라 알람 발생이 정지되고, 또는 시간 입력부(11)에 입력된 알람 발생 시간이 경과되면 단말기 모뎀(12)의 알람 발생 정지 제어신호에 의해 알람이 정지된다.
참고로, 이와 같이 종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알람 기능에 있어서, 어떤 알람 사운드는 사용자에 의해 한 개의 사운드 선택이 가능하여 그 선택된 알람 사운드로 알람을 발생하도록 되어 있고, 어떤 알람 사운드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이 불가능하여 단말기의 벨소리 기본 사운드로 대체하여 그 기본 사운드로 알람을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도 2는 종래 이동 통신 단말기의 표시창에 표시된 알람 아이콘을 보인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알람이 설정되면 대기화면 상단에 알람 아이콘(20)을 표시하여 알람이 설정되었음을 설명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 알람 표시만 표시창에 표시되고 정확한 알람 시간은 표시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알람 메뉴를 선택하여 다시 알람 정보를 확인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알람 시간과 알람 설정 유무를 함께 표시하여 사용자가 화면을 통해 알람 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알람 시간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표시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알람 시간 표시 방법은, 사용자가 입력한 알람 시간 및 알람 설정상태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알람 시간을 화면의 소정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저장된 알람 설정상태에 따라, 알람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설정(on)'을 화면의 소정 영역에 표시하고, 알람이 해제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제(off)'를 화면의 소정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입력한 알람 시간 및 알람 설정상태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저장된 알람 시간을 화면의 소정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저장된 알람 설정상태에 따라, 알람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설정(on)'을 화면의 소정 영역에 표시하고, 알람이 해제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제(off)'를 화면의 소정 영역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소정 영역은 단말기의 동작에 관련된 아이콘이 표시되는 영역(인디케이터 영역)을 나타내며, 상기 알람 설정상태는 알람 시간과 연계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같이 구성된 장치에서 동작하며 이의 동작 절차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알람 시간 표시 방법의 동작 흐름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알람 정보에서 알람 시간(예를들어, 몇 시 몇 분)을 인식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S31~S33)와; 상기 알람 정보에서 알람 설정 상태(예를들어 온 또는 오프)를 판단하여 알람 설정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S34~S36)로 이루어진다.
상기 알람 정보는 알람 시간과 알람 설정 상태를 포함하며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다. 상기 화면은 대기화면 또는 키메라 동작상태에 따른 화면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알람 시간과 알람 설정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소정 영역(메일, 신호세기, 밧데리 아이콘이 표시되는 영역)에 표시되며, 상기 알람 설정은 알람 시간과 연계되어 표시된다.
먼저, 사용자가 알람 메뉴를 선택한 후 알람 시간 입력창에 18:00의 알람시간을 입력하였고, 알람 설정은 오프로 설정하였다고 가정하자.
일단 알람 정보가 설정되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알람 정보로부터 알람 시간이 몇 시 몇 분으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인식하여 그 인식된 알람 시간을 예를들면 단말기 화면에서 오른쪽 상단부에 표시한다(S31~S33). 즉,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부는 알람 시간과 표시 위치를 표시창(화면) 처리 루틴에 전달하여 화면 상단에 알람 시간이 표시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알람 정보로부터 알람 설정이 온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하여 온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알람 설정을 온으로 표시하고 반대로 오프로 설정되어 있으면 알람 설정을 오프로 표시한다(S34~S36). 그런데, 현재 사용자가 알람 설정 상태를 오프로 설정하였으므로 제어부는 단말기 화면에 알람 설정이 오프로 설정되었음을 표시한다. 이때 오프 표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오프 문자와 표시 위치를 표시창 처리 루틴에 전달하여 알람 시간 아래에 표시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 알람 시간 표시 방법에 의해 알람 시간을 표시하는 표시창을 보인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화면 상단에 알람 시간(41)이 몇 시 몇 분이고 알람 설정 유무(42)를 표시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대기화면에 알람 시간과 알람설정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알람 메뉴에서 직접 알람 정보를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사용자가 입력한 알람 시간 및 알람 설정상태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알람 시간을 화면의 소정 영역에 시/분 단위의 숫자 형태로 표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저장된 알람 설정상태에 따라, 알람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설정(on)'을 표시되는 상기 알람시간과 연계하여 함께 표시하고, 알람이 해제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제(off)'를 표시되는 상기 알람시간과 연계하여 함께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알람 시간 표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영역은
    단말기의 동작에 관련된 아이콘이 표시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알람 시간 표시 방법.
  3. 삭제
  4. 사용자가 입력한 알람 시간 및 알람 설정상태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저장된 알람 시간을 화면의 소정 영역에 시/분 단위의 숫자 형태로 표시하고, 상기 저장된 알람 설정상태에 따라, 알람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설정(on)'을 표시되는 상기 알람시간과 연계하여 함께 표시하고, 알람이 해제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제(off)'를 표시되는 상기 알람시간과 연계하여 함께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영역은
    단말기의 동작에 관련된 아이콘이 표시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삭제
KR1020030022029A 2003-04-08 2003-04-08 알람 시간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표시방법 KR100989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2029A KR100989737B1 (ko) 2003-04-08 2003-04-08 알람 시간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표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2029A KR100989737B1 (ko) 2003-04-08 2003-04-08 알람 시간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표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7584A KR20040087584A (ko) 2004-10-14
KR100989737B1 true KR100989737B1 (ko) 2010-10-26

Family

ID=37369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2029A KR100989737B1 (ko) 2003-04-08 2003-04-08 알람 시간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표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973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8703A (ko) * 1999-08-21 2001-03-15 윤종용 표시장치에서 알람아이콘의 알람시간 표시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8703A (ko) * 1999-08-21 2001-03-15 윤종용 표시장치에서 알람아이콘의 알람시간 표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7584A (ko) 2004-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9499B1 (ko) 휴대단말기에서 키 설정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KR10060877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모닝콜 설정 방법
KR100547792B1 (ko) 배경화면의 이미지파일을 변경할 수 있는 무선 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배경화면의 이미지파일 표시방법
US20050064913A1 (en) Incoming call alerting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JP2007288296A (ja) 携帯端末
KR100989737B1 (ko) 알람 시간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표시방법
CN111580779A (zh) 一种音量调节装置及方法、移动终端
KR100765233B1 (ko) 랜덤 메뉴를 이용한 알람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100624799B1 (ko) 최소전력모드 구동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JP2012222914A (ja) 電池残量制御装置、電池残量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1320477A (ja) 携帯端末装置
KR2006009816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면서비스 제공 방법
JPH1062457A (ja) バッテリーアラーム回路
KR100630099B1 (ko) 휴대폰에서 스케쥴 표시 방법
KR100617549B1 (ko) 인디케이터 설정 정보 표시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60080740A (ko) 배터리 잔량 확인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KR100790070B1 (ko) 휴대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60054564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롱키 기능 표시 방법
KR100596567B1 (ko) 키보드 미리보기 제공 방법
KR19990002716A (ko) 전화기에서 링음량 조절방법
KR20060068476A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알람 서비스 제공 방법
KR0124181B1 (ko) 전화번호 저장영역의 비사용 번지 표시장치 및 그 방법
JP3523482B2 (ja) 無線通信機
KR100690178B1 (ko) 충격 감지를 이용한 전화 단말의 발신자 음성 안내 방법및 그 전화 단말
KR20040031460A (ko) 랜덤한 문자열 입력을 통한 스누즈 해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