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9486B1 - 등기구용 전기구성품의 승강식 수납장치 - Google Patents

등기구용 전기구성품의 승강식 수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9486B1
KR100989486B1 KR1020080095233A KR20080095233A KR100989486B1 KR 100989486 B1 KR100989486 B1 KR 100989486B1 KR 1020080095233 A KR1020080095233 A KR 1020080095233A KR 20080095233 A KR20080095233 A KR 20080095233A KR 100989486 B1 KR100989486 B1 KR 100989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ase
fastening pin
luminaire
lifting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5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5866A (ko
Inventor
임유섭
Original Assignee
임유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유섭 filed Critical 임유섭
Priority to KR1020080095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9486B1/ko
Priority to PCT/KR2009/005519 priority patent/WO2010036071A2/ko
Publication of KR20100035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5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9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9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F21V23/026Fastening of transformers or balla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16Adjustable mountings using wires or co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ical wires or cables
    • F21V23/002Arrangements of cables or conductors inside a lighting device, e.g. means for guiding along parts of the housing or in a pivoting a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7/00Cable-stowing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e.g. reels 
    • F21V27/02Cable in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74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정기, 점멸기, LED콘트롤러, 축전지 등과 같은 등기구용 전기구성품의 승강식 수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원선과 연결되는 상부소켓단자가 구비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하향 이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상부소켓단자와 선택적으로 전기접속되는 하부소켓단자가 구비됨과 함께 상기 전기구성품이 인출 가능하게 내부에 수용되는 수납케이스와, 상기 수납케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수납케이스를 승강시키는 승강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전등, LED등, 태양광등과 같은 각종 등기구의 작동을 위한 전기구성품인 안정기, 점멸기, LED콘트롤러, 축전지 등을 안정적으로 수납시켜 거치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승강이 가능하므로 정비필요시 전기구성품을 하강시켜 지상에서 편리하게 정비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그에 따라 등기구용 전기구성품을 고소위치에 수납시킴으로써 침수 위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되어 우천시 보행자의 감전사고와 같은 인명사고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승강, 안정기, 가로등, 수납장치

Description

등기구용 전기구성품의 승강식 수납장치 {Elevating Type Receipt Apparatus For Lighting Fixtures}
본 발명은 등기구용 전기구성품의 승강식 수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정기, 점멸기, LED콘트롤러, 축전지와 같은 각종 등기구용 전기구성품을 고소위치에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음과 함께 승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지상에서 상기 전기구성품을 간편하게 정비할 수 있도록 하는 등기구용 전기구성품의 승강식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상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고정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는 가로등이나 고천정 등기구의 안정기 또는 가로등 및 교통신호등의 무선 점멸기와 같은 전기구성품들은 해당 등기구의 작동을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구성품이면서도 소모성 부품인 램프와 같이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교체되거나 또는 기능장애 발생시 우선적인 점검이 요구되는 중요 구성품이라고 할 수 있다.
종래 이러한 안정기나 무선 점멸신호기 등과 같이 지상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설치된 구성품들의 정비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사다리를 이용하거나 전용 고소작업차량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직접 접근하여 정비를 수행하는 방식이 널리 적용되어 왔는데, 이러한 사다리를 이용하거나 전용 고소작업차량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직접 접근하여 정비를 수행하는 방식은 작업방식의 불편함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감전이나 추락과 같은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상존하고 있으며, 정비작업 진행 과정동안 교통정체를 유발시키는 등 많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새로운 조명분야로 주목받고 있는 LED 조명기구의 경우 일반 램프들에 비해 월등한 수명을 갖는 LED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LED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LED 전용 콘트롤러의 짧은 수명으로 인해 일반 등기구와 유사한 정비수요를 요구하고 있으며, 이의 대안으로 LED 조명기구로부터 LED 전용 콘트롤러를 별도 분리하여 운용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으나 이러한 LED 전용 외장형 콘트롤러에 대한 정비방안은 아직까지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LED 조명기구와 같이 친환경 조명방법으로 분류되는 태양광 및 풍력발전 등기구의 경우에도 발전된 전기를 등기구가 켜지지 않는 시간에 충전하였다가 켜지는 야간에는 방전을 통해 등기구에 전기를 공급하는 축전지 적용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축전지의 특성상 일정 회수 이상의 충전 및 방전이 반복되면 동적 특성이 급격히 저하되어 전기 저장매체로서의 고유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특성이 상존해 축전지의 주기적인 점검 및 교체작업이 필수적으로 동반되어야만 친환경 조명으로서의 본래 기능을 유지할 수가 있다.
하지만 이들 축전지가 지주 내부에 고정 장착되어있는 관계로 정비작업이 매우 어려워 주기적인 점검 및 교체와 같은 유지관리가 사실상 불가능해 설치된 이후 적절한 관리가 안되는 채로 방치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습기 및 침수의 위험성 도 내포하고 있으나 이의 해결책이 아직까지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전등, LED등, 태양광등과 같은 각종 등기구의 작동을 위한 전기구성품인 안정기, 점멸기, LED콘트롤러, 축전지 등을 수납시켜 가로등주, 천정프레임 등의 고소위치에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상으로 승강을 시킬 수 있도록 구현하여 상기 전기구성품의 정비작업을 지상에서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등기구용 전기구성품의 승강식 수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용 전기구성품의 승강식 수납장치는,
안정기, 점멸기, LED콘트롤러, 축전지 등과 같은 등기구용 전기구성품을 승강 가능하게 수납하는 장치로서, 전원선과 연결되는 상부소켓단자가 구비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하향 이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상부소켓단자와 선택적으로 전기접속되는 하부소켓단자가 구비됨과 함께 상기 전기구성품이 인출 가능하게 내부에 수용되는 수납케이스와, 상기 수납케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수납케이스를 승강시키는 승강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일측에 관통구가 형성된 결합돌출부가 상기 수납케이스의 상면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출부의 관통구에 삽탈되도록 수평 이동하는 체결핀이 상기 고정프레임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체결핀은 후단에 연결되는 작동로프의 당김 작동에 의해 상기 관통구에서 이탈되도록 후퇴 이동하며, 양측면에 설치된 한 쌍의 인장스프링에 의해 전진 복원력을 제공받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원인가에 따라 상기 체결핀의 후단을 선택적으로 구속하여 상기 체결핀의 후퇴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솔레노이드가 상기 체결핀의 후방 일측에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결합돌출부의 상단에는 후방으로 하향 경사진 상부경사면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체결핀의 전단 하부에는 전방으로 상향 경사진 하부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체결핀과의 접촉여부에 따라 접점이 온/오프(On/Off)되는 작동감지 리미트스위치가 상기 체결핀의 후방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단에는 브라켓이 구비되며, 일단 중앙에는 상기 승강로프, 전원선이 통과되는 개방구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하부소켓단자에는 다수의 소켓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소켓단자에는 상기 소켓홈에 삽입 가능한 다수의 소켓핀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수납케이스는 상기 전기구성품이 수용되는 중공의 케이스몸체와 상기 케이스몸체의 개방된 상부 일단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몸체를 개폐하는 케이스덮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수납케이스와의 접촉여부에 따라 접점이 온/오프(On/Off)되는 착탈감지 리미트스위치가 상기 고정프레임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방열핀이 형성된 방열판이 상기 수납케이스의 외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고무재질의 완충부재가 상기 수납케이스의 하부 외주면을 감싸면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고정프레임에는 상기 승강로프가 통과하는 경로형성관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경로형성관의 양단에는 직경이 점증하는 확대관이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용 전기구성품의 승강식 수납장치는,
방전등, LED등, 태양광등과 같은 각종 등기구의 작동을 위한 전기구성품인 안정기, 점멸기, LED콘트롤러, 축전지 등을 안정적으로 수납시켜 거치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승강이 가능하므로 정비필요시 전기구성품을 하강시켜 지상에서 편리하게 정비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그에 따라 등기구용 전기구성품을 고소위치에 수납시킴으로써 침수 위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되어 우천시 보행자의 감전사고와 같은 인명사고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작업이 용이하여 매우 경제적이며, 외장형으로 설치가 되므로 설치공간의 제한을 받지 않고 모든 등기구가 설치된 가로등주, 외벽, 천정 등에 설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용 전기구성품의 승강식 수납장치(10)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1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케이스(2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용 전기구성품의 승강식 수납장치(10)(이하, “승강식 수납장치”라 함.)는 크게 볼 때, 고정프레임(100)과, 상기 고정프레임(100)에 하향 이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납케이스(200)와, 상기 수납케이스(200)를 승강시키는 승강로프(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프레임(100)은 하단이 개방되며, 그 일단 중앙에는 개방구(110)가 돌출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방구(110)는 후술할 로프들(140, 300)과 전원선(30) 등의 통로로서 기능하게 된다.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내부에는 상부소켓단자(120)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소켓단자(120)는 상기 개방구(110)를 통해 인입되어 상기 고정프레임(100)에 배선되는 전원선(30)과 연결되는데, 상기 전원선(30)은 전원입력선(31), 전원출력선(32), 접지선(33)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상부소켓단자(120)는 후술할 하부소켓단자(220)와 선택적으로 전기적인 접속을 하기 위한 접속단자로서 하향 돌출된 다수 개의 소켓핀(121)을 갖는다.
상기 소켓핀(121)은 상기 전원입력선(31)과 연결되는 입력핀, 전원출력선(32)과 연결되는 출력핀, 및 접지선(33)과 연결되는 접지핀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상부소켓단자(120)의 후방측 고정프레임(100)의 내부에는 체결핀(130)이 수평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체결핀(130)은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전단 하부에는 전방으로 상향 경사가 진 하부경사면(131)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핀(130)은 상기 고정프레임(100) 내부에 고정 결합된 체결핀지지대(132)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체결핀지지대(132)에는 상기 체결핀(130)에 의해 관통되어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체결핀통로구(133)가 하향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체결핀(130)은 전진, 후퇴의 수평이동을 하면서 후술한 결합돌출부(210)의 관통구(212)에 삽탈(삽입 또는 이탈)됨으로써 상기 수납케이스(200)가 고정프레임(100)에 결합 또는 이탈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하게 되며, 이를 위해 상기 체결핀(130)의 후단에는 작동로프(140)가 연결된다.
상기 작동로프(140)는 당김 작동에 의해 상기 체결핀(130)이 결합돌출부(210)의 관통구(212)에서 이탈되도록 상기 체결핀(130)을 후퇴 이동시킨다.
이러한 작동로프(140)는 상기 개방구(110)를 통해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외측으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핀(130)의 전진 이동을 위해 한 쌍의 인장스프링(150)이 상기 체결핀(130)의 양측면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인장스프링(150)은 상기 체결핀(130)의 후단부에서 양쪽으로 연장된 스프링고정핀(134)과 상기 체결핀통로구(133)의 양측에 돌출된 스프링고정돌기(135)에 양단이 결합되어, 상기 체결핀(130)의 후퇴 이동시 인장되면서 체결핀(130)에 전진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작동로프(140)와 한 쌍의 인장스프링(150)에 의해 수평 이동되는 상기 체결핀(130)의 후퇴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솔레노이드(160)가 상기 고정프레임(10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솔레노이드(160)는 상기 체결핀(130)의 후방 일측의 고정프레임(100)에 설치되며, 상기 체결핀(130)의 후단면과 대면하는 플런저(161)가 구비된다.
이러한 제어솔레노이드(160)는 전원인가 여부에 따라 상기 플런저(161)가 섭동되면서 상기 체결핀(130)의 후단면을 선택적으로 구속함으로써 상기 체결핀(130) 의 후퇴 이동을 억제 또는 인가시키도록 작동하게 된다.
미설명부호 180은 후술할 경로형성관(310)이 안착되는 승강로프경로홈이다.
상기한 구성의 고정프레임(1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수납장치(10)의 구성중 움직이지 않는 고정부분으로서, 등기구가 설치된 가로등주, 신호등주의 외주면이나 고천정의 프레임 등 고소위치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게 되며, 이를 위하여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일단에는 고정 설치를 위한 브라켓(17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납케이스(200)는 상술한 구성의 고정프레임(100)에 하향 이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또한 상기 승강로프(300)에 지지되어 승강을 하게 된다.
상기 승강로프(300)는 상기 수납케이스(200)를 승강시키며, 상기 수납케이스(200)의 상부에 연결되면서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내부를 경유하여 상기 개방구(110)를 통해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경로형성관(310)이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승강로프경로홈(180)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프레임(100)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승강로프(300)는 상기 경로형성관(310)을 통과하도록 수용됨으로써 고정프레임(100) 내부에서 경로가 유지되고 간섭방지가 될 수 있다.
상기 경로형성관(310)의 일단은 상기 수납케이스(200) 쪽으로 하향 절곡되고 타단은 상기 개방구(110)를 통과하면서 하향 절곡됨이 바람직하며, 양단에는 승강로프(300)의 유동에 따른 간섭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직경이 점증하는 확대관(320) 이 각각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승강로프(300)는 상기 수납케이스(200)의 상부 양쪽을 지지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납케이스(200)는 내부에 전기구성품(20)을 인출 가능하게 수용하며, 상기 고정프레임(1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그 상단에는 중앙에 결합돌출부(210)가 상향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출부(210)의 상단에는 후방으로 하향 경사가 진 상부경사면(211)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관통구(21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경사면(211)은 상기 체결핀(130)에 형성된 하부경사면(131)에 대응되며, 상기 관통구(212)에는 상기 체결핀(130)이 전진, 후퇴하면서 삽탈되게 된다.
또한, 상기 수납케이스(200)의 상단 일측에는 하부소켓단자(220)가 구비된다.
상기 하부소켓단자(220)는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상부소켓단자(120)와 선택적인 전기접속을 하는 접속단자로서, 상기 하부소켓단자(220)는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전기구성품의 입출력단자 및 접지단자에 연결되어 통전됨과 함께 상기 상부소켓단자(120)의 소켓핀(121)이 삽입되어 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 개의 소켓홈(221)을 갖는다. 상기 소켓홈(221) 또한 상기 소켓핀(121)이 대응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입력홈, 출력홈, 접지홈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상기 수납케이스(200)의 외측면에는 다수의 방열핀이 형성된 방열 판(230)이 부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열판(230)은 상기 수납케이스(200) 내부에 수용된 상기 전기구성품(20)의 방열을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납케이스(200)에는 완충부재(240)가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부재(240)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수납케이스(200)의 하부 외주면을 감싸도록 고정되며, 상기 수납케이스(200)의 승강시 가로등 지주나 다른 장착물과 상기 수납케이스(200)가 간섭될 때 상기 수납케이스(200)를 보호함과 함께 지주나 다른장착물의 손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한 구성의 수납케이스(200)는 그 내부에 수용된 전기구성품(20)을 간편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전기구성품(20)을 수용하는 중공의 케이스몸체(250)와 상기 케이스몸체(250)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시키는 케이스덮개(260)로 분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덮개(260)는 그 일단이 상기 케이스몸체(250)의 일측에 힌지부(261)로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몸체(250)를 개폐시키게 되며, 그 타단에는 상기 케이스몸체(250)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잠금부(262)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잠금부(262)는 상기 힌지부(261)와 구성이 동일하되, 잠금축(263)이 이탈 가능하게 끼워지고, 잠금핀(264)이 상기 잠금축(263)의 이탈을 억제 또는 인가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수납케이스(200)가 케이스몸체(250)와 케이스덮개(260)로 분리 구성되는 경우, 상기 결합돌출부(210)와 하부소켓단자(220)는 상기 케이스 덮개(260)에 구비되고, 상기 승강로프(300)도 상기 케이스덮개(260)에 연결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한 구성의 수납케이스(200)는 등기구의 종류에 따라 안정기, 점멸기, LED콘트롤러, 축전기 등 등기구의 작동을 위한 다양한 전기구성품(20)을 수용하게 되며, 따라서, 수용되는 전기구성품(20)의 구체적인 형상에 따라 수납케이스(200)의 내부형태도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고정프레임(100)에는 상기 체결핀(130)의 작동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작동감지 리미트스위치(40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감지 리미트스위치(400)는 상기 체결핀(130)의 후방 일측의 상기 고정프레임(100)에 설치되며, 상기 체결핀(130)과의 접촉여부에 따라 접점이 온/오프(On/Off)되면서 상기 체결핀(130)의 작동상태를 감지한다.
즉, 상기 체결핀(130)이 후퇴 이동하면 체결핀(130), 구체적으로는 상기 체결핀(130)에 형성된 상기 스프링고정핀(134)과 접촉되어 체결핀(130)의 후퇴 이동을 감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100)에는 상기 수납케이스(200)와의 접촉여부에 따라 접점이 온/오프(On/Off)되면서 수납케이스(200)의 착탈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착탈감지 리미트스위치(50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착탈감지 리미트스위치(500)는 상기 수납케이스(200)가 결합될 때 상기 결합돌출부(210)의 상단과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프레임(100)에 설치됨이 바 람직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수납장치(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는 바,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승강식 수납장치(10)의 설치 및 작동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수납장치(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종 등기구의 작동을 위한 전기구성품을 수납함과 함께 고소에 위치된 상기 전기구성품을 승강시켜 지상에서 교체, 수리 등 정비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가로등, 교통신호등, 건물 외벽, 고천정 등 등기구가 구비되는 모든 곳에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수납장치(10)가 특히 가로등에 설치되어 전기구성품(20) 중 안정기(20)를 수납한 것을 예로 하여 그 설치 및 작동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수납장치(10)가 설치된 가로등을 예시한 설치예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수납장치(10)를 가로등 지주(40)에 설치하는 과정을 먼저 간단하게 설명하면, 설치될 위치의 가로등 지주(40)를 천공하고, 기존의 전원선(30)을 인출하여 상기 고정프레임(100)에 배선시킨 후 상부소켓단자(120)의 해당 소켓핀(121)에 각각 연결하며, 상기 승강로프(300)와 작동로프(140)를 개방구(110)를 통해 상기 지주(40) 내부로 인입시킨다.
그리고 상기 개방구(110)를 천공된 지주(40)에 삽입시킨 후 지주(40) 외주면에 브라켓(110)을 체결하면 설치가 완료된다.
한편, 상기 지주(40) 내부로 인입한 상기 승강로프(300)와 작동로프(140)는 지상에서 작동을 시킬 수 있도록 지주(40) 하츠의 점검구(50) 부근까지 연장되도록 설치함이 바람직하며, 또한 각각 권취작동수단(도면 미도시)에 연결되어 권취됨으로써 당겨지거나 풀어지는 작동을 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강로프(300)와 작동로프(140)를 권취시키는 권취작동수단으로는 점검구(50) 내부에 고정된 방식이나 착탈식 방식, 레버를 통한 수동방식이나 모터를 이용한 자동방식 등 공지된 다양한 방식의 권취작동수단이 채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수납장치(10)는 그 설치가 매우 간단할 뿐 만 아니라 설치에 따른 비용부담도 거의 없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수납장치(10)의 승강작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일반 사용상태일 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케이스(200)가 고정프레임(100)에 결합되어 있다.
이 때에는 상기 결합돌출부(210)의 관통구(212)에 상기 체결핀(130)이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감지 리미트스위치(400)는 접점이 오프(Off) 상태이고 상기 착탈감지 리미트스위치(500)는 접점이 온(On)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소켓단자(120)의 소켓핀(121)이 상기 하부소켓단자(220)의 소켓홈(221)에 삽입되어 접속됨으로써 전원선(30)과 수납케이스(200)에 수용된 안정기(20)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전원입력선(31)을 통해 안정 기(20)로 전원이 공급되며, 안정기(20)의 출력전원이 상기 전원출력선(32)을 통해 가로등의 등기구(도면 미도시)로 공급되는 상태이다.
도 7은 체결핀(130)이 후퇴 이동한 상태의 고정프레임(1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단면도로서, 상기와 같은 일반 사용상태에서 안정기(20)의 교체, 수리 등 정비가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한 도면들에 도시된 것처럼 체결핀(130)이 후퇴 이동하도록 작동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제어솔레노이드(160)에 전원을 인가시켜 상기 체결핀(130)의 후단면에 대면하여 체결핀(130)을 구속하고 있는 플런저(161)를 섭동시킴으로써 상기 체결핀(130)의 후퇴가 가능한 상태로 전환시킨다.
그리고 상기 작동로프(140)를 당김 작동시켜 상기 체결핀(130)이 상기 결합돌출부(210)의 관통구(212)에서 이탈되도록 후퇴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체결핀(130)의 후퇴 이동이 완료되면 한 쌍의 인장스프링(150)은 인장상태가 되며, 상기 작동감지 리미트스위치(400)는 체결핀(130)에 형성된 스프링고정핀(134)에 눌려 접점이 온(On)되면서 체결핀(130)의 작동완료상태를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체결핀(130)의 후퇴 이동이 완료되면 상기 수납케이스(200)에 대한 결합력이 제거되어 상기 수납케이스(200)는 하향 이탈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승강로프(300)를 풀어주게 되면 상기 수납케이스(200)는 자중에 의해 상기 고정프레임(100)에서 이탈하여 지면을 향해 하강을 하게 되며, 하강을 함에 따라 상기 착탈감지 리미트스위치(500)는 접점이 오프(Off) 상태로 전환되면서 상기 수납케이스(200)의 이탈을 감지하게 되고, 또한 상기 하부소켓단자(220)의 소켓홈(221)에서 상부소켓단자(120)의 소켓핀(121)도 분리되어 상기 안정기(20)는 상기 전원선(30)과 전기적인 접속이 차단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착탈감지 리미트스위치(500)의 이탈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작동로프(140)의 당김 상태는 해제시킴이 바람직하며, 상기 작동로프(140)의 당김이 해제되면 한 쌍의 인장스프링(150)의 복원력에 의해 후퇴되었던 체결핀(130)이 다시 전진하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계속적으로 상기 수납케이스(200)가 하강되어 정비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위치에 이르게 되면 승강로프(300)의 풀림 작동을 중지시킨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축(263)으로부터 잠금핀(264)을 분리한 후, 잠금축(263)을 잠금부(262)에서 이탈시키며, 케이스덮개(260)를 개방시켜 안정기(20)를 인출한 후 정비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하강작동을 통해 안정기(20)에 대한 교체 등 정비작업을 완료한 후에는 승강로프(300)를 권취시켜 수납케이스(200)를 상승시킨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케이스(200)가 계속적으로 상승하게 되 면 상단에 돌출 형성된 결합돌출부(210)가 전진 복귀되어 있는 상기 체결핀(130)과 먼저 만나게 된다.
이렇게 상기 결합돌출부(210)의 상부경사면(211)과 체결핀(130)의 하부경사면(131)이 만나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계속적으로 수납케이스(200)가 상승을 하게 되면 결합돌출부(210)의 상부경사면(211)이 상기 체결핀(130)의 하부경사면(131)을 밀면서 상승을 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체결핀(130)은 한 쌍의 인장스프링(150)을 인장시키면서 자동으로 후퇴 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수납케이스(200)가 계속 상승하여 결합돌출부(210)의 관통구(212)가 체결핀(130)과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되면 인장스프링(150)의 전진 복원력에 의해 상기 체결핀(130)이 자동으로 전진 이동하면서 상기 관통구(212)에 삽입됨으로써 수납케이스(200)가 고정프레임(100)에 다시 결합이 된다.
이렇게 수납케이스(200)의 결합이 완료되면 착탈감지 리미트스위치(500)는 결합돌출부(210)의 상단에 접촉되어 접점이 다시 온(On)상태로 전환되면서 결합완료상태를 감지하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용 전기구성품의 승강식 수납장치를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수납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케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수납장치가 가로등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설치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핀이 후퇴 이동한 상태에서의 고정프레임을 나태는 작동사시도,
도 8은 도 7의 단면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케이스가 하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케이스에서 안정기를 인출하는 상태를 예시한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케이스의 재결합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승강식 수납장치 20: 전기구성품 (안정기)
30: 전원선 40: 지주
50: 점검구
100: 고정프레임 110: 개방구
120: 상부소켓단자 121: 소켓핀
130: 체결핀 131: 하부경사면
132: 체결핀지지대 133: 체결핀통로구
134: 스프링고정핀 135: 스프링고정돌기
140: 작동로프 150: 인장스프링
160: 제어솔레노이드 161: 플런저
170: 브라켓 180: 승강로프경로홈
200: 수납케이스 210: 결합돌출부
211: 상부경사면 212: 관통구
220: 하부소켓단자 221: 소켓홈
230: 방열판 240: 완충부재
250: 케이스몸체 260: 케이스덮개
261: 힌지부 262: 잠금부
263: 잠금축 264: 잠금핀
300: 승강로프 310: 경로형성관
320: 확대관 400: 작동감지 리미트스위치
500: 착탈감지 리미트스위치

Claims (14)

  1. 안정기, 점멸기, LED콘트롤러, 축전지 등과 같은 등기구용 전기구성품을 승강 가능하게 수납하는 장치로서,
    전원선과 연결되는 상부소켓단자가 구비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에 하향 이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상부소켓단자와 선택적으로 전기접속되는 하부소켓단자가 구비됨과 함께 상기 전기구성품이 인출 가능하게 내부에 수용되는 수납케이스; 및
    상기 수납케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수납케이스를 승강시키는 승강로프;를 포함하되,
    일측에 관통구가 형성된 결합돌출부가 상기 수납케이스의 상면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출부의 관통구에 삽탈되도록 수평 이동하는 체결핀이 상기 고정프레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용 전기구성품의 승강식 수납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핀은 후단에 연결되는 작동로프의 당김 작동에 의해 상기 관통구에서 이탈되도록 후퇴 이동하며, 양측면에 설치된 한 쌍의 인장스프링에 의해 전진 복원력을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용 전기구성품의 승강식 수납장치.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전원인가에 따라 상기 체결핀의 후단을 선택적으로 구속하여 상기 체결핀의 후퇴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솔레노이드가 상기 체결핀의 후방 일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용 전기구성품의 승강식 수납장치.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출부의 상단에는 후방으로 하향 경사진 상부경사면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체결핀의 전단 하부에는 전방으로 상향 경사진 하부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용 전기구성품의 승강식 수납장치.
  6.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핀과의 접촉여부에 따라 접점이 온/오프(On/Off)되는 작동감지 리미트스위치가 상기 체결핀의 후방 일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용 전기구성품의 승강식 수납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단에는 브라켓이 구비되며, 일단 중앙에는 상기 승강로프, 전원선이 통과되는 개방구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용 전기 구성품의 승강식 수납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소켓단자에는 다수의 소켓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소켓단자에는 상기 소켓홈에 삽입 가능한 다수의 소켓핀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용 전기구성품의 승강식 수납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케이스는 상기 전기구성품이 수용되는 중공의 케이스몸체와 상기 케이스몸체의 개방된 상부 일단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몸체를 개폐하는 케이스덮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용 전기구성품의 승강식 수납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케이스와의 접촉여부에 따라 접점이 온/오프(On/Off)되는 착탈감지 리미트스위치가 상기 고정프레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용 전기구성품의 승강식 수납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다수의 방열핀이 형성된 방열판이 상기 수납케이스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용 전기구성품의 승강식 수납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고무재질의 완충부재가 상기 수납케이스의 하부 외주면을 감싸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용 전기구성품의 승강식 수납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에는 상기 승강로프가 통과하는 경로형성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용 전기구성품의 승강식 수납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형성관의 양단에는 직경이 점증하는 확대관이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용 전기구성품의 승강식 수납장치.
KR1020080095233A 2008-09-29 2008-09-29 등기구용 전기구성품의 승강식 수납장치 KR100989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233A KR100989486B1 (ko) 2008-09-29 2008-09-29 등기구용 전기구성품의 승강식 수납장치
PCT/KR2009/005519 WO2010036071A2 (ko) 2008-09-29 2009-09-28 승강식 조명등기구 및 등기구용 전기구성품의 승강식 수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233A KR100989486B1 (ko) 2008-09-29 2008-09-29 등기구용 전기구성품의 승강식 수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5866A KR20100035866A (ko) 2010-04-07
KR100989486B1 true KR100989486B1 (ko) 2010-10-22

Family

ID=42213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5233A KR100989486B1 (ko) 2008-09-29 2008-09-29 등기구용 전기구성품의 승강식 수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94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5936A3 (ko) * 2011-07-01 2013-03-14 주식회사 포스코엘이디 광 반도체 기반 조명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8428A (ja) 2002-09-11 2004-06-03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昇降装置
KR20050082833A (ko) * 2004-02-20 2005-08-24 조숙자 천장설치용 조명등 승강장치
KR100602613B1 (ko) 2004-07-08 2006-07-24 손병옥 승하강수단이 구비된 조명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8428A (ja) 2002-09-11 2004-06-03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昇降装置
KR20050082833A (ko) * 2004-02-20 2005-08-24 조숙자 천장설치용 조명등 승강장치
KR100602613B1 (ko) 2004-07-08 2006-07-24 손병옥 승하강수단이 구비된 조명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5936A3 (ko) * 2011-07-01 2013-03-14 주식회사 포스코엘이디 광 반도체 기반 조명장치
US8814398B2 (en) 2011-07-01 2014-08-26 Posco Led Company Ltd. Optical semiconductor based illumina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5866A (ko) 201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8856B1 (ko) 조명등 장착장치
CN105066022A (zh) 一种高度可调的路灯
KR100989486B1 (ko) 등기구용 전기구성품의 승강식 수납장치
CN204554589U (zh) 具有升降及自动控制开关功能的城市街道照明灯
KR101594800B1 (ko) 지주에 결합되는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조립체
KR20100084767A (ko) 승강기능을 갖는 가로등의 엘이디 조명등 및 이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방법
CN211551362U (zh) 一种智能家居照明吸顶吊灯
KR20110112521A (ko) 도로경계석용 발광 보호커버
WO2010036071A2 (ko) 승강식 조명등기구 및 등기구용 전기구성품의 승강식 수납장치
KR100989456B1 (ko) 승강식 조명등기구
CN212961149U (zh) 一种便于安装的高光强航空障碍灯
KR200473487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 장착용 차량 안전 표지장치
CN220619855U (zh) 一种移动式太阳能跑道、滑行道关闭标志灯车
CN213178057U (zh) 一种城市道路照明工程用防雨装置
CN220750050U (zh) 一种便于更换灯泡的路灯
KR200447435Y1 (ko) 엘이디 발광램프가 구비된 램프우산
CN215001332U (zh) 一种太阳能新型路灯
CN213362257U (zh) 一种智能控制系统的太阳能路灯
CN220601326U (zh) 一种户外照明led灯具
KR200420682Y1 (ko) 가로등주의 전기장치부 승강장치
CN215597180U (zh) 一种高防护性投光灯
CN215857353U (zh) 一种升降柱太阳能警示灯
CN212226911U (zh) 一种智能led路灯
CN214198420U (zh) 一种便于安装的高速公路照明装置
CN214172063U (zh) 一种具有防尘功能的消防应急照明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