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9439B1 - 유리부스용 도어착탈시스템 - Google Patents

유리부스용 도어착탈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9439B1
KR100989439B1 KR1020080038642A KR20080038642A KR100989439B1 KR 100989439 B1 KR100989439 B1 KR 100989439B1 KR 1020080038642 A KR1020080038642 A KR 1020080038642A KR 20080038642 A KR20080038642 A KR 20080038642A KR 100989439 B1 KR100989439 B1 KR 100989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file
glass
bar
door
uprigh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8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2885A (ko
Inventor
정요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스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스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스밸리
Priority to KR1020080038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9439B1/ko
Publication of KR20090112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2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9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9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47K3/30Screens or collapsible cabinets for showers or bath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47K3/30Screens or collapsible cabinets for showers or baths
    • A47K2003/307Adjustable connections to the wal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부스용 도어착탈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양 벽체(W) 또는 양 프레임의 타측에 고정되는 픽스유리(F)와, 상기 양 벽체(W) 또는 양 프레임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도어유리(D)를 포함한다. 이때 픽스유리(F)의 측단에는 프로파일(12)이 출몰되는 프로파일출몰바아(10)가 설치되고, 도어유리(D)의 측단에는 도어유리(D)가 픽스유리(F)의 측단과 마주볼 때 프로파일출몰바아(10)로부터 돌출되는 프로파일(12)이 밀착되는 프로파일밀착바아(20)가 설치된다.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프로파일출몰바아(10)는, 일측에 픽스유리(F)의 측단이 끼어지는 제1끼움홈(11a) 및 타측 내부에 한쌍의 가이더(11b)가 형성된 제1직립바아(11)와, 한쌍의 가이더(11b)를 따라 몰입되거나 돌출되는 상기한 프로파일(12)과, 제1직립바아(11)에 고정되어 프로파일(12)을 가이더(11b) 내측으로 몰입되도록 당기는 제1프로파일당김부(13)를 포함한다. 또 프로파일밀착바아(20)는, 타측에 도어유리(D)가 끼어지는 제2끼움홈(21a)이 형성된 제2직립바아(21)와, 제2직립바아(21)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직립바아(11)로부터 프로파일(12)이 돌출되도록 잡아당기는 제2프로파일당김부(23)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리부스용 도어착탈시스템{a door sealing system}
본 발명은 유리부스에 적용되는 도어착탈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된 픽스유리에 대하여 도어유리가 전,후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유리부스용 도어착탈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유리부스는 전시장이나 가정주택, 아파트에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으며, 그 적용 범위가 점차로 넓어지고 있다. 특히. 유리부스의 한 예인 샤워부스는 샤워시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건식 욕실을 구현하기 위한 목적으로 더더욱 사용이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유리부스의 시공은 벽체에 프레임을 미리 설치한 후 그 프레임에 픽스유리를 고정하고, 픽스유리 반대측에 회동되는 도어유리를 설치하여, 그 도어유리가 닫혀질 때 픽스유리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도어유리 및 픽스유리는 충격에 약하기 때문에, 도어유리가 닫힐 때 픽스유리와 부딪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픽스유리와 도어유리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여야 하였다.
그런데, 픽스유리와 도어유리 사이에 간격을 형성할 때 그 간격을 통하여 외부의 냉기가 들어오거나, 내부의 물이나 수증기가 배출된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에 의거하여, 픽스유리의 측부에 가요성 재질의 제1프로파일을 설치하고, 도어유리의 측부에 가요성 재질의 제2프로파일을 설치하여, 도어유리가 닫힐 때 제2프로파일과 제1프로파일이 밀착되도록 하는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제1,2프로파일을 설치할 경우, 도어유리는 픽스유리에 대하여 전방 또는 후방측중 한방향, 즉 일방향으로만 열릴 수 있기 때문에, 샤워부스를 출입하기가 어려웠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도어유리가 픽스유리에 대하여 전방 또눈 후방측으로 자유롭게 회동될 수 있음과 동시에, 도어유리가 닫힐 때 픽스유리와 밀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유리부스용 도어착탈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리부스용 도어착탈시스템의 일 실시예는, 양 벽체(W) 또는 양 프레임의 타측에 고정되는 픽스유리(F)와, 상기 양 벽체(W) 또는 양 프레임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도어유리(D)를 포함하는 도어착탈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픽스유리(F)의 측단 전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프로파일(12)이 출몰되는 프로파일출몰바아(10)와, 상기 도어유리(D)의 측단 전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도어유리(D)가 상기 픽스유리(F)의 측단과 마주볼 때 상기 프로파일출몰바아(10)로부터 돌출되는 프로파일(12)이 밀착되는 프로파일밀착바아(20)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파일출몰바아(10)는, 일측에 상기 픽스유리(F)의 측단이 끼어지는 제1끼움홈(11a) 및 타측 내부에 한쌍의 가이더(11b)가 형성된 제1직립바아(11)와, 한쌍의 상기 가이더(11b)를 따라 몰입되거나 돌출되는 상기한 프로파일(12)과, 상기 제1직립바아(11)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프로파일(12)을 상기 가이더(11b) 내측으로 몰입되도록 당기는 제1프로파일당김부(13)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파일밀착바아(20)는, 타측에 상기 도어유리(D)가 끼어지는 제2끼움홈(21a)이 형성된 제2직립바아(21)와, 상기 제2직립바아(21)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직립바아(11)로부터 상기 프로파일(12)이 돌출되도록 잡아당기는 제2프로파일당김부(23)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프로파일당김부(13)와 제2프로파일당김부(23)는 자석으로 되며; 상기 프로파일(12)의 내부에는 상기 제1프로파일당김부(13)나 제2프로파일당김부(23)의 자력에 의하여 잡아당겨지는 철편(12a)이 내장되고; 상기 프로파일(12)은 상기 프로파일밀착바아(20)에 밀착될 수 있도록 가요성 재질로 구현되고, 그 프로파일(12)의 일측단에는 상기 가이더(11b)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그 가이더(11b)의 단부에 걸리는 걸림턱(12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리부스용 도어착탈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는, 양 벽체(W) 또는 양 프레임의 타측에 고정되는 픽스유리(F)와, 상기 양 벽체(W) 또는 양 프레임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도어유리(D)를 포함하는 도어착탈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픽스유리(F)의 측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프로파일(12)이 출몰되는 프로파일출몰바아(10)와, 상기 도어유리(D)의 측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도어유리(D)가 상기 픽스유리(F)의 측단과 마주볼 때 상기 프로파일출몰바아(10)로부터 돌출되는 프로파일(12)이 밀착되는 프로파일밀착바아(20)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파일출몰바아(10)는, 일측에 상기 픽스유리(F)의 측단이 끼어지는 제1끼움홈(11a) 및 타측 내부에 한쌍의 가이더(11b)가 형성된 제1직립바아(11)와, 한쌍의 상기 가이더(11b)를 따라 몰입되거나 돌출되는 상기한 프로파일(12)과, 상기 제1직립바아(11)에 고정되어 상기 프로파일(12)을 상기 가이더(11b) 내측으로 몰입되도록 당기는 제1프로파일당김부(13)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파일밀착바아(20)는, 타측에 상기 도어유리(D)가 끼어지는 제2끼움홈(21a)이 형성된 제2직립바아(21)와, 상기 제2직립바아(21)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직립바아(11)로부터 상기 프로파일(12)이 돌출되도록 잡아당기는 제2프로파일당김부(23)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프로파일당김부(13)와 제2프로파일당김부(23)는 철편으로 되며; 상기 프로파일(12)의 내부에는 상기 제1프로파일당김부(13)나 제2프로파일당김부(23)에 잡아당겨질 수 있도록 자력을 발생하는 자석(12a')이 내장되고; 상기 프로파일(12)은 상기 프로파일밀착바아(20)에 밀착될 수 있도록 가요성 재질로 구현되고, 그 프로파일(12)의 일측단에는 상기 가이더(11b)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그 가이더(11b)의 단부에 걸리는 걸림턱(12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리부스용 도어착탈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는, 양 벽체(W) 또는 양 프레임의 타측에 고정되는 픽스유리(F)와, 상기 양 벽체(W) 또는 양 프레임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도어유리(D)를 포함하는 도어착탈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픽스유리(F)의 측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프로파일(112)이 출몰되는 프로파일출몰바아(110)와, 상기 도어유리(D)의 측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도어유리(D)가 상기 픽스유리(F)의 측단과 마주볼 때 상기 프로파일출몰바아(110)로부터 돌출되는 프로파일(112)이 밀착되는 프로파일밀착바아(120)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파일출몰바아(110)는, 일측에 상기 픽스유리(F)의 측단이 끼어지는 제1끼움홈(111a) 및 타측 내부에 요홈(111b)이 형성된 제1직립바아(111)와, 회동됨에 따라 상기 요홈(111b)에 몰입되거나 돌출되도록 그 요홈(111b) 내부에 편심되게 힌지결합되는 상기한 프로파일(112)과, 상기 제1직립바아(111)에 고정되어 상기 프로파일(112)을 상기 요홈(111b) 내측으로 몰입되도록 회동시키는 제1프로파일당김부(113)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파일밀착바아(120)는, 타측에 상기 도어유리(D)가 끼어지는 제2끼움홈(121a)이 형성된 제2직립바아(121)와, 상기 제2직립바아(121)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직립바아(111)로부터 상기 프로파일(112)이 돌출되도록 그 프로파일(112)을 회동시키는 제2프로파일당김부(1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리부스용 도어착탈시스템에 따르며, 도어유리가 픽스유리에 대하여 전방, 또는 후방 양측으로 회동될 수 있어 출입이 용이하며, 또한 유리도어가 픽스유리에 닫혀질 때, 유리도어와 픽스유리가 상호 밀착됨으로써, 냉기의 유출입이나 물기, 수증기의 유출입을 방지할 수 있다라는 작용,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리부스용 도어착탈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착탈시스템이 적용된 샤워부스의 정면도이다. 또, 도 2는 도 1에 적용되는 도아착탈시스템의 제1실시예의 단면로서, 도어유리가 픽스유리에 대하여 열려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A-A' 선 을 따른 단면도로서, 도어유리가 픽스유리에 닫혀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리부스용 도어착탈시스템의 제1실시예는, 양 벽체(W) 또는 양 프레임의 타측에 고정되는 픽스유리(F)와, 상기 양 벽체(W) 또는 양 프레임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도어유리(D)를 포함한다.
픽스유리(F)의 측단에는 프로파일(12)이 출몰되는 프로파일출몰바아(10)가 설치되고, 도어유리(D)의 측단에는 그 도어유리(D)가 픽스유리(F)의 측단과 마주볼 때, 즉 도어유리(D)가 픽스유리(F)에 닫혀질 때 프로파일출몰바아(10)로부터 돌출되는 프로파일(12)이 밀착되는 프로파일밀착바아(20)가 설치된다.
프로파일출몰바아(10)는, 일측에 픽스유리(F)의 측단이 끼어지는 제1끼움홈(11a) 및 타측 내부에 한쌍의 가이더(11b)가 형성된 제1직립바아(11)와, 한쌍의 가이더(11b)를 따라 몰입되거나 돌출되는 상기한 프로파일(12)과, 제1직립바아(11)에 고정되어 상기 프로파일(12)을 가이더(11b) 내측으로 몰입되도록 당기는 제1프로파일당김부(13)를 포함한다.
프로파일밀착바아(20)는, 타측에 도어유리(D)가 끼어지는 제2끼움홈(21a)이 형성된 제2직립바아(21)와, 제2직립바아(21)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직립바아(11)로부터 프로파일(12)이 돌출되도록 잡아당기는 제2프로파일당김부(23)를 포함한다.
상기한 제1프로파일당김부(13)와 제2프로파일당김부(23)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며, 제1,2프로파일당김부(13)(23)의 구조에 따라 프로파일(12)의 구조 역시 달 라진다.
즉, 제1프로파일당김부(13)와 제2프로파일당김부(23)는 자석으로 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파일(12)은 그 내부에 제1프로파일당김부(13)나 제2프로파일당김부(23)의 자력에 의하여 잡아당겨지는 철편(12a)이 내장된다. 이때, 제2프로파일당김부(23)의 자력이 제1프로파일당김부(13)의 자력보다 세어야 한다. 또는, 프로파일출몰바아(10)와 프로파일밀착바아(20)가 서로 마주볼 때, 프로파일(12) 내부의 철편(12a)의 위치가 제1프로파일당김부(13)보다 제2프로파일당김부(23)에 근접되어야 한다.
또는, 제1프로파일당김부(13)와 제2프로파일당김부(23)는 자력에 의하여 잡아당겨지는 철편으로 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파일(12)의 내부에는 제1프로파일당김부(13)나 제2프로파일당김부(23)에 잡아당겨질 수 있도록 자력을 발생하는 자석(12a')이 내장된다. 이때, 프로파일출몰바아(10)와 프로파일밀착바아(20)가 서로 마주볼 때, 프로파일(12) 내부의 자석(12a')의 위치가 제1프로파일당김부(13)보다 제2프로파일당김부(23)에 근접되어야 한다.
여기서, 가이더(11b)에 대응되는 제1직립바아(11)의 내측에는 제1프로파일당김부(13)가 고정될 수 있도록 제1고정브라켓(11c)이 형성된다. 제1고정브라켓(11c)은 제1직립바아(11)를 성형할 때 함께 성형된다.
또한 제2직립바아(21)의 내측에는 제2프로파일당김부(23)가 고정될 수 있도록 제2고정브라켓(21c)이 형성된다. 제2고정브라켓(21c)은 제2직립바아(21)를 성형할 때 함께 성형된다.
상기한 프로파일(12)은 프로파일밀착바아(20)의 제2직립바아(21)에 밀착될 수 있도록 가요성 재질로 구현된다. 또한 프로파일(12)의 일측단에는, 그 프로파일(12)이 한쌍의 가이더(11b)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그 가이더(11b)의 단부에 걸리는 걸림턱(12b)이 형성된다. 이때 프로파일(12)의 모서리부분은 경사지거나 라운드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프로파일말착바아(20)와 접촉시 모서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프로파일밀착바아(20)는 프로파일(12)이 끼어지는 한쌍의 끼움돌부(24)를 포함한다. 즉, 끼움돌부(24)는 프로파일밀착바아(20)의 제2직립바아(21)의 중앙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끼움돌부(24)에 의하여 프로파일(12)이 제2직립바아(21)의 중앙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물기나 냉기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도어유리(D)가 열려질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파일(12)은 제1프로파일당김부(13)에 의하여 잡아당겨져 제1직립바아(11) 내부에 몰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도어유리(D)가 닫혀질 경우, 즉, 프로파일밀착바아(20)가 프로파일출몰바아(10)와 마주볼 경우, 제2프로파일당김부(23)가 제1프로파일당김부(13)에 의하여 몰입되어 있는 프로파일(12)을 잡아당기게 되고, 이에 따라 프로파일(1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파일밀착바아(20)에 밀착된다.
도 4는 도 1에 적용되는 도아착탈시스템의 제2실시예의 단면로서, 도어유리가 픽스유리에 대하여 열려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로서, 도어유리가 픽스유리에 닫혀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리부스용 도어착탈시스템의 제2실시예는, 양 벽체(W) 또는 양 프레임의 타측에 고정되는 픽스유리(F)와, 상기 양 벽체(W) 또는 양 프레임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도어유리(D)를 포함한다.
픽스유리(F)의 측단에는 프로파일(112)이 출몰되는 프로파일출몰바아(110)가 설치되고, 도어유리(D)의 측단에는 도어유리(D)가 픽스유리(F)의 측단과 마주볼 때 프로파일출몰바아(110)로부터 돌출되는 프로파일(112)이 밀착되는 프로파일밀착바아(120)이 설치된다.
프로파일출몰바아(110)는, 일측에 픽스유리(F)의 측단이 끼어지는 제1끼움홈(111a) 및 타측 내부에 요홈(111b)이 형성된 제1직립바아(111)와, 회동됨에 따라 요홈(111b)에 몰입되거나 돌출되도록 그 요홈(111b) 내부에 편심되게 힌지결합되는상기한 프로파일(112)과, 제1직립바아(111)에 고정되어 프로파일(112)을 요홈(111b) 내측으로 몰입되도록 회동시키는 제1프로파일당김부(113)를 포함한다. 이때, 프로파일(112)는 단면이 전체적으로 삼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중앙으로부터 편심된 부분에 힌지축(h)이 위치된다. 이러한 힌지축(h)은 프로파일(112)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는 핀형상으로 될 수도 있고, 프로파일(112)에 일체로 형성된느 핀형상으로도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파일(112)에 구멍(112c)이 형성되고 핀이 구멍(112c)에 끼어진 형태로 구현된다.
프로파일밀착바아(120)는, 타측에 도어유리(D)가 끼어지는 제2끼움홈(121a) 이 형성된 제2직립바아(121)와, 제2직립바아(121)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직립바아(111)로부터 프로파일(112)이 돌출되도록 그 프로파일(112)을 회동시키는 제2프로파일당김부(123)를 포함한다.
상기한 제1프로파일당김부(113)와 제2프로파일당김부(123)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며, 제1,2프로파일당김부(113)(123)의 구조에 따라 프로파일(112)의 구조 역시 달라진다.
즉, 제1프로파일당김부(113)와 제2프로파일당김부(123)는 자석으로 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파일(112)의 내부에는 제1프로파일당김부(113)에 잡아당겨지는 제1철편(112a)과 제2프로파일당김부(123)의 자력에 의하여 잡아당겨지는 제2철편(112a)이 내장된다. 이때 제1철편(112a)과 제2철편(112b)은 이격된 상태에서 프로파일(112)에 내장된다. 또한 제1철편(112a)의 위치가 제2철편(112b)보다 제1프로파일당김부(113)에 근접되어 있다.
또는 제1프로파일당김부(113)와 제2프로파일당김부(123)는 자력에 의하여 잡아당겨지는 철편으로 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파일(112)의 내부에는 제1프로파일당김부(113)에 잡아당겨질 수 있도록 자력을 발생하는 제1자석(112a')과 상기 제2프로파일당김부(123)에 잡아당겨질 수 있도록 자력을 발생하는 제2자석(112b')이 내장된다. 이때 제1자석(112a')과 제2자석(112b')는 이격된 상태에서 프로파일(112)에 내장된다. 또한 제1자석(112a')의 위치가 제2자석(112b')보다 제1프로파일당김부(113)에 근접되어 있다.
여기서, 요홈(111b) 내측의 제1직립바아(111)에는 제1프로파일당김부(113) 가 고정될 수 있도록 제1고정브라켓(111c)가 형성되는데, 제1고정브라켓(111c)은 제1직립바아(111)를 성형할 때 함께 성형된다.
또한 제2직립바아(121)의 내측에는 제2프로파일당김부(123)가 고정될 수 있도록 제2고정브라켓(121c)이 형성되며, 제2고정브라켓(121c)은 제2직립바아(121)를 성형할 때 함께 성형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도어유리(D)가 열려질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파일(112)은 제1프로파일당김부(113)에 의하여 당겨져 힌지축(h)을 축으로 회동되어 요홈(111b) 내부에 몰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도어유리(D)가 닫혀질 경우, 즉, 프로파일밀착바아(120)가 프로파일출몰바아(110)와 마주볼 경우, 제2프로파일당김부(123)가 제1프로파일당김부(113)에 의하여 요홈(111b) 내부에 몰입되어 있는 프로파일(112)을 잡아당기게 되고, 이에 따라 프로파일(112)은 힌지축(h)을 축으로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어 프로파일출몰바아(110)로부터 돌출되어, 결국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파일밀착바아(120)에 밀착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착탈시스템이 적용된 샤워부스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적용되는 도아착탈시스템의 제1실시예의 단면로서, 도어유리가 픽스유리에 대하여 열려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로서, 도어유리가 픽스유리에 닫혀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1에 적용되는 도아착탈시스템의 제2실시예의 단면로서, 도어유리가 픽스유리에 대하여 열려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1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로서, 도어유리가 픽스유리에 닫혀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프로파일출몰바아 11 ... 직립바아
11a ... 제1끼움홈 11b ... 가이더
11c ... 제1고정브라켓 12 ... 프로파일
12a ... 철편 12a' ... 자석
12b ... 걸림턱 13 ... 프로파일당김부
20 ... 프로파일밀착바아 21 ... 제2직립바아
21a ... 제2끼움홈 21c ... 제2고정브라켓
23 ... 제2프로파일당김부 24 ... 끼움돌부
110 .. 프로파일출몰바아 111 ... 제1직립바아
111a ... 제1끼움홈 111b ... 요홈
111c ... 제1고정브라켓 112 ... 프로파일
112a, 112b ... 제1,2철편 112a', 112b' ... 제1,2자석
112c ... 구멍 113 ... 프로파일당김부
120 ... 프로파일밀착바아 121 ... 제2직립바아
121a ... 제2끼움홈 121c ... 제2고정브라켓
123 ... 제2프로파일당김부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양 벽체(W) 또는 양 프레임의 타측에 고정되는 픽스유리(F)와, 상기 양 벽체(W) 또는 양 프레임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도어유리(D)를 포함하는 도어착탈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픽스유리(F)의 측단 전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프로파일(12)이 출몰되는 프로파일출몰바아(10)와, 상기 도어유리(D)의 측단 전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도어유리(D)가 상기 픽스유리(F)의 측단과 마주볼 때 상기 프로파일출몰바아(10)로부터 돌출되는 프로파일(12)이 밀착되는 프로파일밀착바아(20)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파일출몰바아(10)는, 일측에 상기 픽스유리(F)의 측단이 끼어지는 제1끼움홈(11a) 및 타측 내부에 한쌍의 가이더(11b)가 형성된 제1직립바아(11)와, 한쌍의 상기 가이더(11b)를 따라 몰입되거나 돌출되는 상기한 프로파일(12)과, 상기 제1직립바아(11)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프로파일(12)을 상기 가이더(11b) 내측으로 몰입되도록 당기는 제1프로파일당김부(13)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파일밀착바아(20)는, 타측에 상기 도어유리(D)가 끼어지는 제2끼움홈(21a)이 형성된 제2직립바아(21)와, 상기 제2직립바아(21)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직립바아(11)로부터 상기 프로파일(12)이 돌출되도록 잡아당기는 제2프로파일당김부(23)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프로파일당김부(13)와 제2프로파일당김부(23)는 자석으로 되며;
    상기 프로파일(12)의 내부에는 상기 제1프로파일당김부(13)나 제2프로파일당김부(23)의 자력에 의하여 잡아당겨지는 철편(12a)이 내장되고;
    상기 프로파일(12)은 상기 프로파일밀착바아(20)에 밀착될 수 있도록 가요성 재질로 구현되고, 그 프로파일(12)의 일측단에는 상기 가이더(11b)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그 가이더(11b)의 단부에 걸리는 걸림턱(12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부스용 도어착탈시스템.
  4. 양 벽체(W) 또는 양 프레임의 타측에 고정되는 픽스유리(F)와, 상기 양 벽체(W) 또는 양 프레임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도어유리(D)를 포함하는 도어착탈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픽스유리(F)의 측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프로파일(12)이 출몰되는 프로파일출몰바아(10)와, 상기 도어유리(D)의 측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도어유리(D)가 상기 픽스유리(F)의 측단과 마주볼 때 상기 프로파일출몰바아(10)로부터 돌출되는 프로파일(12)이 밀착되는 프로파일밀착바아(20)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파일출몰바아(10)는, 일측에 상기 픽스유리(F)의 측단이 끼어지는 제1끼움홈(11a) 및 타측 내부에 한쌍의 가이더(11b)가 형성된 제1직립바아(11)와, 한쌍의 상기 가이더(11b)를 따라 몰입되거나 돌출되는 상기한 프로파일(12)과, 상기 제1직립바아(11)에 고정되어 상기 프로파일(12)을 상기 가이더(11b) 내측으로 몰입되도록 당기는 제1프로파일당김부(13)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파일밀착바아(20)는, 타측에 상기 도어유리(D)가 끼어지는 제2끼움홈(21a)이 형성된 제2직립바아(21)와, 상기 제2직립바아(21)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직립바아(11)로부터 상기 프로파일(12)이 돌출되도록 잡아당기는 제2프로파일당김부(23)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프로파일당김부(13)와 제2프로파일당김부(23)는 철편으로 되며;
    상기 프로파일(12)의 내부에는 상기 제1프로파일당김부(13)나 제2프로파일당김부(23)에 잡아당겨질 수 있도록 자력을 발생하는 자석(12a')이 내장되고;
    상기 프로파일(12)은 상기 프로파일밀착바아(20)에 밀착될 수 있도록 가요성 재질로 구현되고, 그 프로파일(12)의 일측단에는 상기 가이더(11b)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그 가이더(11b)의 단부에 걸리는 걸림턱(12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부스용 도어착탈시스템.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밀착바아(20)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프로파일(12)이 끼어지는 한쌍의 끼움돌부(2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부스용 도어착탈시스템.
  6. 양 벽체(W) 또는 양 프레임의 타측에 고정되는 픽스유리(F)와, 상기 양 벽체(W) 또는 양 프레임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도어유리(D)를 포함하는 도어착탈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픽스유리(F)의 측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프로파일(112)이 출몰되는 프로파일출몰바아(110)와, 상기 도어유리(D)의 측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도어유리(D)가 상기 픽스유리(F)의 측단과 마주볼 때 상기 프로파일출몰바아(110)로부터 돌출되는 프로파일(112)이 밀착되는 프로파일밀착바아(120)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파일출몰바아(110)는, 일측에 상기 픽스유리(F)의 측단이 끼어지는 제1끼움홈(111a) 및 타측 내부에 요홈(111b)이 형성된 제1직립바아(111)와, 회동됨에 따라 상기 요홈(111b)에 몰입되거나 돌출되도록 그 요홈(111b) 내부에 편심되게 힌지결합되는 상기한 프로파일(112)과, 상기 제1직립바아(111)에 고정되어 상기 프로파일(112)을 상기 요홈(111b) 내측으로 몰입되도록 회동시키는 제1프로파일당김부(113)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파일밀착바아(120)는, 타측에 상기 도어유리(D)가 끼어지는 제2끼움홈(121a)이 형성된 제2직립바아(121)와, 상기 제2직립바아(121)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직립바아(111)로부터 상기 프로파일(112)이 돌출되도록 그 프로 파일(112)을 회동시키는 제2프로파일당김부(1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부스용 도어착탈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파일당김부(113)와 제2프로파일당김부(123)는 자석으로 되고;
    상기 프로파일(112)의 내부에는 상기 제1프로파일당김부(113)에 잡아당겨지는 제1철편(112a)과 상기 제2프로파일당김부(123)의 자력에 의하여 잡아당겨지는 제2철편(112a)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부스용 도어착탈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파일당김부(113)와 제2프로파일당김부(123)는 자력에 의하여 잡아당겨지는 철편으로 되고;
    상기 프로파일(112)의 내부에는 상기 제1프로파일당김부(113)에 잡아당겨질 수 있도록 자력을 발생하는 제1자석(112a')과 상기 제2프로파일당김부(123)에 잡아당겨질 수 있도록 자력을 발생하는 제2자석(112b')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부스용 도어착탈시스템.
KR1020080038642A 2008-04-25 2008-04-25 유리부스용 도어착탈시스템 KR100989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8642A KR100989439B1 (ko) 2008-04-25 2008-04-25 유리부스용 도어착탈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8642A KR100989439B1 (ko) 2008-04-25 2008-04-25 유리부스용 도어착탈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885A KR20090112885A (ko) 2009-10-29
KR100989439B1 true KR100989439B1 (ko) 2010-10-28

Family

ID=41554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8642A KR100989439B1 (ko) 2008-04-25 2008-04-25 유리부스용 도어착탈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94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546B1 (ko) 2010-11-23 2011-09-30 김정태 방수구조를 가지는 욕실문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되는 욕실문
KR20210111933A (ko) * 2020-03-03 2021-09-14 김종오 세이프티 프레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88660A (zh) * 2016-11-21 2017-02-15 平湖信达电子塑业有限公司 淋浴房玻璃导向槽固定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9680A (en) 1992-09-14 1994-05-10 The Standard Products Company Magnetic seal for refrigerator having double doors
US5417272A (en) 1993-07-02 1995-05-23 Sterling Plumbing Group, Inc. Bathing door unit
JP2003278438A (ja) * 2002-03-25 2003-10-02 Enomoto Co Ltd 吊り下げ式引戸における振れ止め・固定機構
KR100590704B1 (ko) * 2004-12-10 2006-06-19 주식회사 그라스텍 도어패널 착탈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9680A (en) 1992-09-14 1994-05-10 The Standard Products Company Magnetic seal for refrigerator having double doors
US5417272A (en) 1993-07-02 1995-05-23 Sterling Plumbing Group, Inc. Bathing door unit
JP2003278438A (ja) * 2002-03-25 2003-10-02 Enomoto Co Ltd 吊り下げ式引戸における振れ止め・固定機構
KR100590704B1 (ko) * 2004-12-10 2006-06-19 주식회사 그라스텍 도어패널 착탈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546B1 (ko) 2010-11-23 2011-09-30 김정태 방수구조를 가지는 욕실문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되는 욕실문
KR20210111933A (ko) * 2020-03-03 2021-09-14 김종오 세이프티 프레임
KR102457399B1 (ko) * 2020-03-03 2022-10-21 김종오 세이프티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885A (ko) 2009-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9439B1 (ko) 유리부스용 도어착탈시스템
US9719718B2 (en) Casing for a device that can be used in domestic, catering, or retail sectors
JP6141854B2 (ja) 取り外し可能壁パネルの再被覆装置
CA2999430A1 (en) Shower door frame and shower door
JP6682187B2 (ja) 建具
KR100590704B1 (ko) 도어패널 착탈구조
KR100647732B1 (ko) 조립식화장실 칸막이벽체 설치용 모서리 연결구
KR200399757Y1 (ko) 조립식화장실 칸막이벽체 설치용 모서리 연결구
JP2011179295A (ja) 建物の縦壁用の点検口器材及び建物の縦壁の点検口構造
RU218142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подвесного потолка
KR20100006821U (ko) 유리도어 힌지 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샤워부스용 유리도어조립체
KR20140073190A (ko) 설치가 용이한 문틀
JPH10219861A (ja) 建築用ガスケット
KR20110019231A (ko) 문틀 결합구조
KR101004557B1 (ko) 천정 점검구
KR101997080B1 (ko) 건축용 방습거울 고정장치
KR200381394Y1 (ko) 유리패널 측부프로파일
KR200391350Y1 (ko) 거푸집의 측면 마감패널
KR20150056969A (ko) 창문의 열린상태를 고정하는 크리센트
JP3196930U (ja) 間仕切り装置のエッジ構造
KR200412257Y1 (ko) 천장 점검구
KR200289684Y1 (ko) 욕실용 천장패널
KR200237257Y1 (ko) 글라스 샤워부스
RU26578U1 (ru) Багет для монтажа натяжного потолка
KR200367887Y1 (ko) 장식판이 설치된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