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8896B1 - 트래픽 컨트롤 시스템 - Google Patents

트래픽 컨트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8896B1
KR100988896B1 KR1020080034650A KR20080034650A KR100988896B1 KR 100988896 B1 KR100988896 B1 KR 100988896B1 KR 1020080034650 A KR1020080034650 A KR 1020080034650A KR 20080034650 A KR20080034650 A KR 20080034650A KR 100988896 B1 KR100988896 B1 KR 100988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transmission
traffic
client
providing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4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9280A (ko
Inventor
성춘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그리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그리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그리드
Priority to KR1020080034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8896B1/ko
Publication of KR20090109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9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8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8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monitoring of server load, available bandwidth, upstream requests
    • H04N21/2407Monitoring of transmitted content, e.g. distribution time, number of downlo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컨텐츠 제공 서버가 전송하는 트래픽량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트래픽량 컨트롤 시스템은 컨텐츠 제공 서버와 접속하기 위한 서버 접속부와, 컨텐츠를 전송받아 표시 출력하기 위한 컨텐츠 송출부와,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에이젼트와, 상기 에이젼트로부터 전달받은 컨텐츠 시청상태정보를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상태정보 전송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클라이언트의 컨텐츠 이용(시청)상태에 맞춰 클라이언트측으로 전송되는 트래픽량을 제어하거나 컨텐츠의 종류를 가변시킴으로서, 컨텐츠 제공 서버의 부하처리부담을 경감시켜 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컨텐츠, 트래픽량, 전송 제어.

Description

트래픽 컨트롤 시스템{TRAFFIC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컨텐츠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컨텐츠 제공 서버가 전송하는 트래픽량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동영상 및 음악을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VOD(Video On Demand)/AOD(Audio On Demand) 서비스, 스포츠/공연/드라마/영화 등을 사용자의 요청에 다라 실시간으로 방송하는 인터넷 방송 서비스, IPTV 서비스 등(이하 컨텐츠 제공 서비스로 총칭하기로 함)은 사용자의 수가 늘어나고, 제공하는 컨텐츠의 질(대역폭, 화질, 음질)이 높아짐에 따라 네트워크 대역폭 요구량과 서버 용량의 요구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IP망을 통해 제공 가능한 현재의 컨텐츠 제공 서비스들은 사용자의 컴퓨터에 설치된 클라이언트 모듈 또는 웹브라우저가 서비스 제공자 또는 CDN(Content Delivery Network) 서비스 사업자의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사용 권한에 대한 인증을 받고, 컨텐츠의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서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그로부터 컨텐츠 다운로드/스트리밍을 제공받는 방식이다. 이러한 인터넷 기반의 컨텐츠 제공 서비스들을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기 술들은 이미 컨텐츠 전송 네트워크(CDN), P2P 관련 기술분야에서 다수 개발되어 있다.
CDN, P2P 기술을 채용한 컨텐츠 제공 서비스 또는 이들을 채용하지 않고 웹서버 및 다운로드 서버, 스트리밍 서버 등으로 구성된 일반적인 컨텐츠 제공 서비스는 공히 사용자의 명시적 표시가 없으면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사용자가 웹브라우저를 종료하거나 서비스를 받기 위해 설치한 프로그램의 종료 또는 기타 방법으로 서비스 제공을 더 이상 원치 않음을 명시적으로 표현하기 전에는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지속적으로 컨텐츠 정보를 다운로드/스트리밍하는 방식이다.
만약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컨텐츠 이용자가 자리를 비운다거나 윈도우 상에서 다른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라면, 실제 제공되는 컨텐츠의 시청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컨텐츠의 전송은 계속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경우 컨텐츠 이용 상황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계속적으로 컨텐츠 전송이 이루어지면 그 만큼 서버의 부하부담은 증가하거나 현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서버 부하부담을 경감지키기 위해서 컨텐츠의 이용정도에 맞게 전송되는 트래픽량을 차별화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출원의 목적은 클라이언트의 컨텐츠 이용상태에 맞춰 클라이언트측으로 전송되는 트래픽량을 제어함으로써 컨텐츠 제공 서버의 부하처리부담을 경감 지켜 줄 수 있는 클라이어트측 및 서버측의 트래픽량 컨트롤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으며,
더 나아가 클라이언트 단말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웹브라우저 혹은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 상태, 단말기 운영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정보 등을 활용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할 컨텐츠의 종류, 컨텐츠의 질(스트리밍 대역폭, 속도), 컨텐츠 제공의 지속 여부 등을 조절하여 컨텐츠 제공 서비스에서 발생되는 네트워크 트래픽 및 서버 부하처리부담을 절감지킬 수 있는 트래픽량 컨트롤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컨텐츠 이용상태에 맞춰 클라이언트측으로 전송되는 트래픽량을 제어한 이후 필요시 신속하게 정상적인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는 트래픽량 컨트롤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컨트롤 시스템은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설치되어 실행 가능한 시스템으로서,
컨텐츠 제공 서버와 접속하기 위한 서버 접속부와;
컨텐츠를 전송받아 표시 출력하기 위한 컨텐츠 송출부와;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에이젼트와;
상기 에이젼트로부터 전달받은 컨텐츠 시청상태정보를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상태정보 전송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시스템은 클라이언트의 컨텐츠 시청상태를 컨텐츠 제공 서버 로 전송함으로서, 해당 컨텐츠 제공 서버는 클라이언트측으로 전송되는 컨텐츠의 트래픽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로서 컨텐츠 제공 서버의 부하처리부담이 경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컨트롤 시스템 역시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설치되어 실행 가능한 시스템으로서,
컨텐츠 제공 서버와 접속하기 위한 서버 접속부와;
컨텐츠를 전송받아 표시 출력하기 위한 컨텐츠 송출부와;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상태를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에 맞춰 전송 트래픽량의 제어를 지시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는 감지 에이젼트와;
상기 에이젼트로부터 전달받은 전송 트래픽량 제어지시 메시지를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상태정보 전송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시스템 역시 클라이언트의 컨텐츠 시청상태를 감지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가 전송해야 하는 트래픽량을 원격지에서 지시해주기 때문에, 해당 컨텐츠 제공 서버는 그 지시내용에 맞게 컨텐츠 트래픽량을 제어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서버 처리부담을 경감지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들 각각의 시스템에 대응하는 서버측 시스템은,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컨텐츠 전송부와;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상태정보 혹은 전송 트래픽량 제어지시 메시지를 전송받기 위한 상태정보 수신부와;
전송받은 컨텐츠 시청상태정보 혹은 전송 트래픽량 제어지시 메시지에 따라 상기 컨텐츠 전송부를 통해 전송되는 컨텐츠의 트래픽량을 제어하기 위한 트래픽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서버측 트래픽 컨트롤 시스템 역시 클라이언트의 컨텐츠 시청여부에 따라 트래픽량을 제어하여 송출하기 때문에 부하처리부담이 경감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의 컨텐츠 이용(시청)상태에 맞춰 클라이언트측으로 전송되는 트래픽량을 제어하거나 컨텐츠의 종류를 가변시킴으로서 컨텐츠 제공 서버의 부하처리부담을 경감시켜 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의 컨텐츠 이용상태에 맞춰 클라이언트측으로 전송되는 트래픽량을 제어한 이후에도 서버와 단말기간의 접속은 계속적으로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클라이언트의 컨텐츠 시청 재개에 응답하여 신속하게 정상적인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적으로 하기 설명에서는 컨텐츠 전송 네트워크 시스템을 예시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컨트롤 시스템이 탑재되어 운영 가능한 컨텐츠 전송 네트워크(CDN) 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예시한 것이며, 도 2 는 도 1중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와 컨텐츠 제공 서버(200)에 탑재 가능한 트래픽 컨트롤 시스템의 구성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IP망을 통해 컨텐츠 전송 네트워크 시스템(CDN)에 접속 가능하고, 컨텐츠 전송 네트워크 시스템(CDN) 사업자가 운영하는 웹서버 혹은 중앙관리서버(300)로부터 클라이언트측 트래픽 컨트롤 시스템을 다운받는다. 이는 일예에 불과하며 클라이언트측 트래픽 컨트롤 시스템은 CDN 사업자가 아닌 일반 컨텐츠 제공자가 운영하는 서버로부터 다운받을 수도 있고, 오프라인상에서 배포되는 CD를 통해서도 획득 가능하다. 이러한 클라이언트측 트래픽 컨트롤 시스템을 통해 클라이언트는 적어도 전송받는 클라이언트의 시청상태를 감지하여 이를 컨텐츠 제공자에 제공하여 전송 트래픽량의 제어를 요청할 수 있다.
한편 CDN의 일 구성요소인 중앙관리서버(300)는 접속한 클라이언트에게 클라이언트측 트래픽 컨트롤 시스템을 제공하여 주며, 컨텐츠 전송 요구한 클라이언트가 이용할 수 있는 컨텐츠 제공 서버(200)의 위치정보를 제공하여 준다.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CDN에 분산되어 있는 시스템으로서 기본적으로 CP(Content Provider)가 제공한 컨텐츠들을 저장하고 있으며 클라이언트가 요구한 컨텐츠(VOD, AOD 등)를 전송하여 준다. 이러한 컨텐츠 제공 서버(200)에는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한 서버측 트래픽 컨트롤 시스템이 설치되어 클라이언트에게 전송되는 컨텐츠의 트래픽량을 제어한다.
CP 서버(400)는 CDN내에 위치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 자신의 컨텐츠를 업로딩할 수 있다.
이하 클라이언트 단말(100)과 컨텐츠 제공 서버(200)에 설치되어 운영되는 트래픽 컨트롤 시스템의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설치 가능한 클라이언트측 트래픽 컨트롤 시스템(150)은 컨텐츠 제공 서버(200)와 접속하기 위한 서버 접속부(154)와, 컨텐츠를 전송받아 표시부상에 출력하기 위한 컨텐츠 송출부(152)와,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에이젼트(158) 및 상기 에이젼트(18)로부터 전달받은 컨텐츠 시청상태정보를 컨텐츠 제공 서버(200)로 전송하기 위한 상태정보 전송부(156)를 포함한다.
참고적으로 상기 서버 접속부(154)는 접속해야 할 컨텐츠 제공 서버(200)의 접속정보(URL)를 가지고 있어 시스템 실행시 혹은 후술할 감지 에이젼트(158)의 요청시 마다 컨텐츠 제공 서버(200)에 접속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컨텐츠 송출부(152)는 전송되는 컨텐츠 데이터를 가공 처리하여 플레이어 표시창 혹은 웹 브라우저상에 출력하여 준다. 감지 에이젼트(158)는 구현 방식에 따라 그 설계를 달리할 수 있는데, 우선 주기적으로 컨텐츠 시청상태정보를 전송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200)와의 접속상태를 유지토록 하되, 만약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 재개가 이루어졌다면 이에 응답하여 컨텐츠 시청상태정보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감지 에이젼트(158)는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 재개시에 컨텐츠 제공 서버(200)와의 재접속을 서버 접속부(154)에 요청할 수도 있다. 이는 컨텐츠 미시청시에 서버(200)측에서 접속자체를 해제시킬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감지 에이젼트(158)가 클라이언트인 사용자의 컨텐츠 미시청 여부를 감지하 는 방법은 현재 활성화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의 운영 시스템(160)으로부터 획득함으로서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기(100)에서 화면 보호기가 활성화 된다든가, 문서 편집기와 같은 다른 응용 프로그램이 활성화된다든가 하면 웹 브라우저 혹은 컨텐츠 플레이어 등은 타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창에 의해 가려진 형태가 되므로 컨텐츠의 미시청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제공 서버(200)에 설치 가능한 서버측 트래픽 컨트롤 시스템(250)은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컨텐츠 전송부(256)와,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부터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상태정보를 전송받기 위한 상태정보 수신부(252)와, 전송받은 컨텐츠 시청상태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 전송부(256)를 통해 전송되는 컨텐츠의 트래픽량 혹은 컨텐츠 종류를 자체 제어하기 위한 트래픽 제어부(254)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트래픽 제어부(254)는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상태정보에 따라 컨텐츠 전송정지, 전송재개, 음성 데이터만의 전송, 저해상도의 영상전송, 메타 데이터만의 전송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컨텐츠의 트래픽량을 제어한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트래픽 컨트롤 시스템(150,250)이 설치된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와 컨텐츠 제공 서버(200) 사이에서 전송되는 컨텐츠의 트래픽량이 제어되는 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컨트롤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클라이언트는 자신의 단말기(100)를 통해 중앙관리서 버(300)의 홈 페이지에 접속(혹은 웹서버도 가능)하여 일반적인 회원가입절차(S1단계)를 밟는다. 이러한 회원가입절차는 반드시 거쳐야 하는 단계는 아니다. 회원가입절차가 완료되면 중앙관리서버(300)는 클라이언트측 트래픽 컨트롤 시스템의 다운로드를 권장한다. 이에 클라이언트가 동의하면 중앙관리서버(300)는 클라이언트에 근접한 컨텐츠 제공 서버(200)의 접속정보가 담긴 클라이언트측 트래픽 컨트롤 시스템(Traffic Control System:편의상 이하 TCS라고도 함)을 다운로드(S2단계)하여 준다. 이에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컨트롤 시스템(TCS)이 설치되고, 클라이언트의 명에 따라 구동(S3단계)된다.
클라이언트측 트래픽 컨트롤 시스템(TCS)이 실행되면 서버 접속부(154)는 저장된 컨텐츠 제공 서버(200)의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서버(200)와 접속하게 되고, 클라이언트는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드라마/스포츠/영화 등)를 선택하여 실시간 전송 요청(S4단계)한다. 이러한 요청에 응답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컨텐츠 저장부(260)를 조회(S5단계)하여 해당 컨텐츠를 액세스하고 이를 컨텐츠 전송 요청한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스트리밍 전송(S6단계)한다. 스트리밍 전송되는 컨텐츠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의 컨텐츠 송출부(152)를 통해 표시부상에 표출됨으로써, 클라이언트는 자신이 선택한 컨텐츠를 시청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경우 클라이언트측 트래픽 컨트롤 시스템(150)의 감지 에이젼트(158)는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상태를 감지(S7단계)한다. 감지방법으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의 운영 시스템으로부터 현재 활성화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정보, 예를 들면 화면 보호기 액티브 정보, 문서 편집기 액티브 정보, 기타 어플리케이션 액티브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클라이언트의 컨텐츠 시청 혹은 미시청 여부를 알 수 있다. 만약 S7단계에서 컨텐츠 미시청인 것으로 감지되면 감지 에이젼트(158)는 컨텐츠 미시청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 컨텐츠 시청상태정보를 상태정보 전송부(156)를 통해 컨텐츠 제공 서버(200)측으로 전송(S8단계)한다.
이에 컨텐츠 제공 서버(200)측의 상태정보 수신부(252)는 컨텐츠 시청상태정보를 전송받아 이를 트래픽 제어부(254)로 전달하고, 트래픽 제어부(254)는 전송받은 컨텐츠 시청상태정보에 따라 컨텐츠 전송부(256)를 통해 전송되는 컨텐츠의 트래픽량을 자체 제어(S9단계)한다. 컨텐츠의 트래픽량을 제어하는 방법은 컨텐츠의 종류를 제어한다거나 트래픽량 자체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상상태에서 비디오와 오디오 데이터를 함께 스트림 전송하다가 컨텐츠 미시청인 경우라면 오디오 데이터만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컨텐츠의 종류를 제한하는 경우이다. 또한 컨텐츠 미시청일 경우에는 단순히 메타 데이터만을 전송하는 경우도 컨텐츠의 종류를 제한하는 경우에 속할 것이다. 더 나아가 컨텐츠 미시청일 경우 저해상도의 비디오 데이터만을 전송한다거나 접속 자체를 해제하여 전송 컨텐츠를 완전 차단하는 경우는 트래픽량 자체를 제어하는 방식에 해당할 것이다. 참고적으로 컨텐츠 미시청 상태에서 컨텐츠의 종류를 변경하거나 트래픽량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서버단에서 별도의 DB를 구축하여 미시청 상태에 맞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컨텐츠 미시청 상태에 응답하여 트래픽량 제어된 컨텐츠가 전송되던중 다시 클라이언트에 의해 정상 시청상태로 전환되면, 감지 에이젼트(158)는 그 상태정보를 나타내는 컨텐츠 시청상태정보를 서버(200)측으로 전송한다. 이에 컨텐츠 제공 서버(200)의 트래픽 제어부(254)는 다시 정상적인 트래픽량이 전송되도록 컨텐츠 전송부(256)를 제어하거나, 정상 컨텐츠가 액세스되어 전송되도록 한다. 따라서 클라이언트는 정상적인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의 컨텐츠 이용(시청)상태에 맞춰 클라이언트측으로 전송되는 트래픽량을 컨텐츠 제공 서버(200)측에서 자체 제어하거나 컨텐츠의 종류를 가변시킴으로서, 다수의 클라이언트들에게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의 부하처리부담이 경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서버(200)측에서 자체적으로 전송되는 트래픽량을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하에서는 변형 실시예로서 클라이언트측의 요구에 맞게 서버가 수동적으로 트래픽량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컨트롤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컨트롤 시스템 역시 트래픽 제어 주체가 클라이언트측에서 이루어진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3의 구성과 같은 시스템에서 구현 가능하므로 도 3의 구성에 기반하여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클라이언트측 트래픽 컨트롤 시스템을 설치한 클라이언트는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신의 단말기(100)를 통해 컨텐츠 제공 서버(200)와 접속하여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의 전송을 요청(S21단계)한다. 이러한 요청에 응답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컨텐츠 저장부(260)를 조회(S22계)하여 해 당 컨텐츠를 액세스하고 이를 컨텐츠 전송 요청한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스트리밍 전송(S23단계)한다. 전송되는 컨텐츠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의 컨텐츠 송출부(152)를 통해 표시부상에 표출됨으로써, 클라이언트는 자신이 선택한 컨텐츠를 시청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경우 클라이언트측 트래픽 컨트롤 시스템의 감지 에이젼트(158)는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상태를 감지(S24단계)한다. 감지방법 역시 도 3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만약 S24단계에서 컨텐츠 미시청인 것으로 감지되면 감지 에이젼트(158)는 전송 트래픽량을 제어하기 위해 예를 들어 컨텐츠의 종류를 선택(S25단계)한다. 여기서 컨텐츠의 종류란 오디오, 비디오와 오디오, 비디오 데이터, 메타 데이터 등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S25단계에서 컨텐츠 종류로서 오디오 데이터를 선택한 경우 감지 에이젼트(158)는 오디오 데이터만의 전송을 지시하는 전송 트래픽량 제어지시 메시지를 서버(200)측으로 전송(S26단계)한다.
이에 컨텐츠 제공 서버(200)측의 상태정보 수신부(252)는 전송 트래픽량 제어지시 메시지를 전송받아 이를 트래픽 제어부(254)로 전달하고, 트래픽 제어부(254)는 클라이언트측의 감지 에이젼트(158)가 지시하는 바에 따라 해당 컨텐츠의 오디오 데이터만이 전송되도록 컨텐츠 전송부(256)를 제어한다. 만약 감지 에이젼트(158)의 지시가 컨텐츠 전송의 완전 차단이라면 트래픽 제어부(254)는 컨텐츠 전송부(256)를 제어하여 컨텐츠 전송을 차단하고 접속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모조(pseudo) 컨텐츠를 스트리밍 전송(S27단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컨텐츠 제공 서버(200)는 클라이언트측에 설치된 트래픽 컨트롤 시스템의 지시에 따라 컨텐츠의 트래픽을 수동적으로 제어하면, 클라이언트의 컨텐츠 미시청 시간동안 소량의 컨텐츠를 전송하거나 컨텐츠 전송 자체를 일시 중지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부하처리부담이 경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 미시청 상태에 응답하여 트래픽량 제어된 컨텐츠가 전송되던중 다시 클라이언트에 의해 정상 시청상태로 전환되면, 감지 에이젼트(158)는 정상적인 컨텐츠의 전송을 지시하는 전송 트래픽량 제어지시 메시지를 컨텐츠 제공 서버(200)측으로 전송한다. 이에 컨텐츠 제공 서버(200)의 트래픽 제어부(254)는 다시 정상적인 트래픽량이 전송되도록 컨텐츠 전송부(256)를 제어하거나, 정상 컨텐츠가 액세스되어 전송되도록 한다. 따라서 클라이언트는 정상적인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 역시 클라이언트측 트래픽 컨트롤 시스템이 클라이언트의 컨텐츠 이용(시청)상태에 맞춰 클라이언트측으로 전송되는 트래픽량의 제어를 원격 지시하기 때문에, 컨텐츠 제공 서버는 클라이언트측의 요청에 맞는 컨텐츠를 전송해 줌으로서 서버 자체의 부하처리부담이 경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컨텐츠 전송 네트워크(CDN)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일반 VOD 서비스 시스템, 인터넷상에서 컨텐츠를 스트 리밍 전송하는 시스템, IP TV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등에 폭 넓게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컨트롤 시스템이 탑재되어 운영 가능한 컨텐츠 전송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부 구성 예시도.
도 2는 도 1중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컨텐츠 제공 서버에 탑재 가능한 트래픽 컨트롤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컨트롤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컨트롤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Claims (12)

  1. 컨텐츠 제공 서버와 접속하기 위한 서버 접속부와;
    컨텐츠를 전송받아 표시 출력하기 위한 컨텐츠 송출부와;
    현재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 정보 또는 컨텐츠 플레이어가 타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가려진 상태를 포함하는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운영 시스템으로부터 획득하여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에이젼트와;
    컨텐츠 전송 트래픽을 제어하도록 상기 에이젼트로부터 전달받은 컨텐츠 시청상태정보를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상태정보 전송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측 트래픽 컨트롤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지 에이젼트는 주기적으로 컨텐츠 시청상태정보를 전송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와의 접속상태를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측 트래픽 컨트롤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감지 에이젼트는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 재개시에 응답하여 컨텐츠 시청상태정보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측 트래픽 컨트롤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지 에이젼트는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 재개시에 컨텐츠 제공 서버와의 재접속을 상기 서버 접속부에 요청함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측 트래픽 컨트롤 시스템.
  5. 삭제
  6. 컨텐츠 제공 서버와 접속하기 위한 서버 접속부와;
    컨텐츠를 전송받아 표시 출력하기 위한 컨텐츠 송출부와;
    현재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 정보 또는 컨텐츠 플레이어가 타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가려진 상태를 포함하는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운영 시스템으로부터 획득하여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상태를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에 맞춰 전송 트래픽량의 제어를 지시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는 감지 에이젼트와;
    컨텐츠 전송 트래픽을 제어하도록 상기 에이젼트로부터 전달받은 전송 트래픽량 제어지시 메시지를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상태정보 전송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측 트래픽 컨트롤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감지 에이젼트는,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상태 감지결과에 따라 전송정지, 전송재개, 음성 데이터만의 전송, 저해상도의 영상전송, 메타 데이터만의 전송중 어느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전송 트래픽량 제어 메시지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측 트래픽 컨트롤 시스템.
  8. 삭제
  9.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 각각으로 컨텐츠 전송 가능한 컨텐츠 제공 서버의 트래픽 컨트롤 시스템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컨텐츠 전송부와;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현재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컨텐츠 플레이어가 타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가려진 상태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상태정보를 전송받기 위한 상태정보 수신부와;
    전송받은 컨텐츠 시청상태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 전송부를 통해 전송되는 컨텐츠의 트래픽량을 자체 제어하기 위한 트래픽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측 트래픽 컨트롤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제어부는,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상태정보에 따라 컨텐츠 전송정지, 전송재개, 음성 데이터만의 전송, 저해상도의 영상전송, 메타 데이터만의 전송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컨텐츠의 트래픽량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측 트래픽 컨트롤 시스템.
  11.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 각각으로 컨텐츠 전송 가능한 컨텐츠 제공 서버의 트래픽 컨트롤 시스템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컨텐츠 전송부와;
    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 활성화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시청상태를 감지한 결과에 맞춰 생성되는 전송 트래픽량 제어지시 메시지를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전송받기 위한 상태정보 수신부와;
    상기 전송 트래픽량 제어지시 메시지가 지시하는 바에 따라 상기 컨텐츠 전송부를 통해 전송할 컨텐츠 전송정지, 전송재개, 음성 데이터만의 전송, 저해상도의 영상전송, 메타 데이터만의 전송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컨텐츠의 종류 혹은 트래픽량을 제어하기 위한 트래픽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측 트래픽 컨트롤 시스템.
  12. 삭제
KR1020080034650A 2008-04-15 2008-04-15 트래픽 컨트롤 시스템 KR100988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4650A KR100988896B1 (ko) 2008-04-15 2008-04-15 트래픽 컨트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4650A KR100988896B1 (ko) 2008-04-15 2008-04-15 트래픽 컨트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9280A KR20090109280A (ko) 2009-10-20
KR100988896B1 true KR100988896B1 (ko) 2010-10-20

Family

ID=41552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4650A KR100988896B1 (ko) 2008-04-15 2008-04-15 트래픽 컨트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889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5525A (ko) * 2001-10-31 2003-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에 적응적인 실시간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시스템및 방법
US20060236235A1 (en) * 2005-03-30 2006-10-19 Kazutaka Yamad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KR20070078755A (ko) * 2007-06-21 2007-08-01 (주) 솔빅스테크놀로지 대용량 콘텐츠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 제어시스템
KR20080022857A (ko) * 2006-09-08 2008-03-12 주식회사 아이큐브 피-투-피 방식의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5525A (ko) * 2001-10-31 2003-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에 적응적인 실시간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시스템및 방법
US20060236235A1 (en) * 2005-03-30 2006-10-19 Kazutaka Yamad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KR20080022857A (ko) * 2006-09-08 2008-03-12 주식회사 아이큐브 피-투-피 방식의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 시스템
KR20070078755A (ko) * 2007-06-21 2007-08-01 (주) 솔빅스테크놀로지 대용량 콘텐츠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 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9280A (ko) 2009-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4623B2 (en) Method and system for media adaption
KR102088545B1 (ko)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
US8166154B2 (en) Method for streaming multimedia content
US8849899B1 (en) Accelerated delivery of media content via peer caching
EP254566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roadcast content and system using the same
US8671428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personal video inbox channel
US20120278728A1 (en) Download monitoring in a media distribution system
EP1376299A2 (en) Client-side caching of streaming media content
US20120282951A1 (en) Anchoring and sharing locations and enjoyment experience information on a presentation timeline for multimedia content streamed over a network
JP2008544584A5 (ko)
EP3732889B1 (en) Adaptive bitrate optimization upon video streaming initialization
EP2493191B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realizing hierarchically requesting content in http streaming system
US10476943B2 (en) Customizing manifest file for enhancing media streaming
KR101593780B1 (ko) 상이한 디바이스들에 걸친 콘텐츠의 끊김 없는 네비게이션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20180191586A1 (en) Generating manifest file for enhancing media streaming
US20180191801A1 (en) Adaptively updating content delivery network link in a manifest file
WO2011032777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complementary information
US11438673B2 (en) Presenting media items on a playing device
US9544630B2 (en) Method and IPTV server for enabling playout of one or more media objects
JP5868433B2 (ja) 一時停止メディアを再開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10440085B2 (en) Effectively fetch media content for enhancing media streaming
EP2408205A1 (en) A video server, video client and method of scalable encoding video files
KR102656879B1 (ko) 수신 장치, 송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70077120A (ko) 수신 장치, 송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US10433023B1 (en) Heuristics for streaming live cont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