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8788B1 - Assembling type busbar - Google Patents

Assembling type busb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8788B1
KR100988788B1 KR1020080056491A KR20080056491A KR100988788B1 KR 100988788 B1 KR100988788 B1 KR 100988788B1 KR 1020080056491 A KR1020080056491 A KR 1020080056491A KR 20080056491 A KR20080056491 A KR 20080056491A KR 100988788 B1 KR100988788 B1 KR 100988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terminal
bar body
counterpar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64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130730A (en
Inventor
김승용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6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8788B1/en
Publication of KR20090130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07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8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87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01R25/145Details, e.g. end pieces or joi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2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position or shape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6Clip-on terminal blocks for side-by-side rail- or strip-mounting

Landscapes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형 버스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판상의 버스바몸체(30)와, 일단은 상기 버스바몸체(30)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대물의 단자부와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위터미널(40,5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버스바몸체(30) 또는 상기 단위터미널(40,50)의 마주보는 일단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탄성변형가능하도록 고정편(32)이 구비되는데, 상기 고정편(32)은 서로 어긋나게 구비되어 그 사이에 형성된 소정의 간격 사이로 상기 단위터미널(40,50)의 일부 또는 상기 버스바몸체(30)의 가장자리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버스바몸체(30)와 단위터미널(40,50)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버스바(20)가 사용되는 전자제품의 용도 및 설계목적에 따라 필요한 개수만큼의 단위터미널(40,50)을 필요한 위치에 결합시키면 되므로, 버스바(20)의 전체 중량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비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sembled busbar.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ate-shaped bus bar body 30, and one end is coupled to the bus bar body 30,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terminal portion of the counterpart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nit terminals (40, 50). In addition, at least two fixing members 32 are provided at opposite ends of the bus bar body 30 or the unit terminals 40 and 50, and the fixing pieces 32 are provided to be offset from each other. Part of the unit terminals 40 and 50 or a part of the edge of the bus bar body 30 is inserted between the bus bar body 30 and the unit terminals 40 and 5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ormed therebetween. Electrically connec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s long as the number of unit terminals 40, 50 as necessary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design purposes of the electronic products used bus bar 20 is coupled to the required position, the total weight of the bus bar 20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aterial cost for manufacturing it is reduced.

버스바, 터미널, 고정편 Busbars, Terminals, Fixtures

Description

조립형 버스바{Assembling type busbar}Assembly busbar {Assembling type busbar}

본 발명은 버스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부품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단자부가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버스바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s ba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s bar having a terminal portion detachably provided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an electronic component.

일반적으로 버스바(Bus bar)는 낮은 임피던스와 높은 전류용량을 갖는 도체로, 2개 이상의 회로를 개별적으로 연결할 수 있거나 한 시스템 내의 여러 등량점(like point)을 연결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버스바는 여러 지점으로 전원을 분배하는 공통 도체로 많이 사용된다. In general, a bus bar is a conductor having a low impedance and a high current capacity, capable of connecting two or more circuits individually or connecting several like points in a system. Busbars are often used as common conductors to distribute power to multiple points.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버스가가 채용된 정션박스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버스바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1 illustrate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junction box employing a bus box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 2 illustrates a perspective view of a bus bar according to the prior art.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정션박스의 골격을 형성하는 메인커버(1)에는 부품결합부(3)와 커넥터결합부(5)가 형성된다. 상기 부품결합부(3)는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13)와 결합될 부품(도시되지 않음, 예를 들면 릴레이나 퓨즈)이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커넥터결합부(5)는 커넥터하우징의 내부에 숫터미널이 설치되어 구성된 커넥터(도시되지 않음)가 결합되는 부분이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component coupling part 3 and the connector coupling part 5 are formed in the main cover 1 forming the skeleton of the junction box. The component coupling part 3 is a part in which a component (not shown, for example, a relay or a fuse) to be coupled with the bus bar 13 to be described below is seated. The connector coupling portion 5 is a portion to which a connector (not shown) configured to have a male terminal installed inside the connector housing is coupled.

상기 커넥터결합부(5)는 상기 메인커버(1)의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가이드펜스(6)에 의해 구획된다. 상기 가이드펜스(6)의 내부에는 커넥터가 안착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펜스(6)의 내부에 해당되는 커넥터결합부(5)의 바닥에는 다수개의 관통부(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된다. The connector coupling portion 5 is partitioned by a guide fence 6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main cover 1. The guide fence 6 has a space in which the connector is seated. A plurality of through parts (not shown) ar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onnector coupling part 5 corresponding to the inside of the guide fence 6.

상기 메인커버(1)의 하부에 안착되게 버스바조립체(10)가 구비된다. 상기 버스바조립체(10)는 다수개의 절연판(12)에 다수개의 버스바(13)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Bus bar assembly 10 is provided to be sea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cover (1). The bus bar assembly 10 includes a plurality of bus bars 13 installed on a plurality of insulating plates 12.

상기 버스바(13)는 그 골격을 형성하는 몸체(13')가 상기 절연판(12)의 사이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몸체(13')의 가장자리에는 단자부(14,15)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최상단의 절연판(12)의 상부로 일부가 돌출된다. 상기 단자부(14,15)는 상기 부품결합부(3)에 안착되는 부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bus bar 13 is provided with a body 13 ′ forming a frame between the insulating plates 12, and terminal portions 14 and 15 protruding from the edge of the body 13 ′. A part protrudes to the upper part of the insulating board 12 of the upper end. The terminal parts 14 and 15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mponents seated on the component coupling part 3.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스바(13)는 금속판을 절곡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그 일측에는 단자부(14,15)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단자부(14,15)는 다시 일종의 암터미널인 포크단자(14)와 일종의 수터미널인 탭단자(15)로 구별될 수 있다. 도면부호 18은 하부커버이다.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2, the bus bar 13 is formed by bending a metal plate, and terminal portions 14 and 15 protrude from one side thereof. The terminal parts 14 and 15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 fork terminal 14 which is a kind of female terminal and a tap terminal 15 which is a kind of male terminal. Reference numeral 18 is a lower cover.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상기 버스바(13)는 판상의 금속재질을 프레스금형을 이용하여 타발 및 절곡하여 만들어진다. 이때, 상기 단자부(14,15)는 하나의 버스바(13)에 다수개가 서로 인접하여 구비되고, 상기 다수개의 단자부(14,15)에는 상대물의 다수개의 단자부가 쌍을 이루어 결합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bus bar 13 is made by punching and bending a plate-shaped metal material using a press die. In this case, a plurality of the terminal parts 14 and 15 are provided adjacent to each other in one bus bar 13, and the plurality of terminal parts 14 and 15 are electrically coupled with each other by forming a pair of terminal parts of a counterpart. Connected.

하지만, 상기 단자부(14,15)는 상기 버스바(13)의 몸체(13')에 비해 그 크기가 상대적으로 매우 작고 다수개가 서로 인접하여 구비되므로, 프레스금형을 이용하여 각각의 단자부(14,15)를 정교하게 성형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단자부(14,15)가 애초에 설계된 치수대로 정교하게 성형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상대물의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안정되게 연결되지 못하여 동작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However, since the terminal parts 14 and 15 are relatively small in size compared to the body 13 ′ of the bus bar 13 and a plurality of the terminal parts 14 and 15 are adjacent to each other, the terminal parts 14 and 15 are formed by using a press mol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precisely mold 15). In addition, when the terminal parts 14 and 15 are not precisely molded according to the originally designed dimensions, the terminal parts 14 and 15 may not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parts of the counterparts in a stable manner, thereby causing a problem of poor operation reliability.

그리고, 상기 버스바(13)의 다수개의 단자부(14,15) 중에서 일부는 사용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버스바(13)가 실장되는 정션박스 등의 기능에 따라 상기 단자부(14,15)에 결합되는 상대 전장품의 종류 및 개수가 변경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대물의 단자부와 결합되지 않는 단자부(14,15)가 존재하는 경우가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대물과 결합되지 않는 단자부(14,15)는 사실상 무용한 것으로, 버스바(13)의 부피 및 무게를 증가시키고, 제조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ome of the plurality of terminal portions 14 and 15 of the bus bar 13 may not be used. For example, depending on the function of the junction box on which the bus bar 13 is mounted, the type and number of counterparts connected to the terminal parts 14 and 15 may be changed, and thus, may not be coupled to the counterpart part of the counterpart. Terminal portions 14 and 15 may be present. As such, the terminal parts 14 and 15 which are not coupled with the counterpart are practically useless, and have a problem of increasing the volume and weight of the bus bar 13 and increasing the manufacturing cos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버스바에 구비되어 상대물의 상대단자부와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위터미널을 버스바와 별개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unit terminal which is provided in the bus ba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unter terminal part of the counterpart to be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bus ba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대물에 구비된 상대단자부와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위터미널이 버스바몸체에 탈착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조립형 버스바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ssembled bus bar which is detachably attached to a bus bar body in which a unit terminal electrically coupled to a counter terminal provided in a counterpart is provide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판상의 버스바몸체와, 일단은 상기 버스바몸체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대물의 단자부와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위터미널과, 상기 버스바몸체 또는 상기 단위터미널의 서로 마주보는 일단 중 어느 일측에 적어도 3개 이상의 탄성변형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고정편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편은 서로 어긋나게 구비되어 그 사이에 형성된 소정의 간격 사이로 상기 단위터미널의 일부 또는 상기 버스바몸체의 가장자리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버스바몸체와 단위터미널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서로 어긋나게 지그재그로 구비되는 상기 고정편 사이의 간격은 그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단위터미널 또는 상기 버스바몸체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ate-shaped bus bar body, one end is coupled to the bus bar body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terminal unit of the counterpart and electrically connected; And a fixing piece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bus bar body or one end of the unit terminal facing each other, the fixing pieces being provided to be offset from each other, and the predetermined pieces formed therebetween. A part of the unit terminal or a part of the edge of the bus bar body is inserted between the gaps so that the bus bar body and the terminal terminal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gap between the fixing pieces provided in a staggered manner is inserted therein. It is formed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unit terminal or the bus bar body.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 단위터미널의 외면에는 걸림턱이 구비된다.A locking jaw is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unit terminal.

상기 단위터미널 또는 상기 버스바몸체에는 상기 고정편 사이의 간격으로 삽입되는 선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작아지도록 가이드부가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unit terminal or the bus bar body has a guide portion inclined so as to decrease in thickness toward the tip inserted into the gap between the fixing pieces.

상기 단위터미널 또는 상기 버스바몸체에는 상기 고정편 사이의 간격으로 삽입되는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도록 챔퍼가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chamfer is formed in the unit terminal or the bus bar body so as to decrease in width toward the tip inserted into the gap between the fixing pieces.

상기 고정편의 돌출된 선단에는 상기 가이드부에 대응되는 경사부가 형성된다.An incline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guide portion is formed at the protruding tip of the fixing piece.

상대물의 단자부와 결합되는 상기 단위터미널의 일단에는 외팔보 형상의 결합레그가 양측에 쌍을 이루어 구비되어 상기 상대물의 단자부가 상기 결합레그 사이로 삽입된다.One end of the unit terminal coupled to the counterpart of the counterpart is provided with a pair of cantilever-shaped coupling legs on both sides so that the counterpart of the counterpart is inserted between the coupling legs.

본 발명에 의한 조립형 버스바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ssembled bus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본 발명에서는 상대물의 단자부와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위터미널이 별개물로 구비되어 버스바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단위터미널만을 별도로 제조할 수 있어 단위터미널의 정밀도가 향상되므로, 상대물과의 전기적 연결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결과적으로 버스바가 설치되는 전자제품의 동작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unit terminal coupled to the counterpart of the counterpart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unterpart is provided as a separate object and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detached from the busbar. Accordingly, since only the unit terminal can be manufactured separately, the accuracy of the unit terminal is improved, thereby mak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counterpart more stable, and as a result, the operation reliability of the electronic product in which the bus bar is installed is improved.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버스바가 사용되는 전자제품의 용도 및 설계목적에 따라 필요한 개수만큼의 단위터미널을 필요한 위치에 결합시키면 되므로, 버스바의 전체 중량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비가 절감되고, 버스바의 골격을 형성하는 버스바몸체를 공용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number of unit terminals required as necessary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design purpose of the electronic products in which the bus bar is used is combined, the total weight of the bus bar and the material cost for manufacturing the same are reduced. The bus bar body forming the skeleton can be used in common.

또한, 본 발명에서는 버스바에 별개물인 단위터미널을 필요한 위치에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대물의 결합과정에서 작업자가 상대물을 잘못된 위치에 오조립할 가능성이 줄어드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assembling the unit terminal, which is a separate object in the bus bar only in the required position,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the operator is less likely to assemble the opponent in the wrong position in the process of combining the opponent.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조립형 버스바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ssembled bus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조립형 버스바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의 Ⅲ-Ⅲ'선에 대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도 5의 Ⅴ-Ⅴ'선에 대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정션박스 내부에 실장되는 버스바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버스바를 제외한 정션박스의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배경기술의 도면 및 내용을 참고하기로 한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ssembled bus ba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3, and FIG.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is shown in a perspective view,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ine VV ′ of FIG. 5. Hereinafter, a bus bar mounted in the junction box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For the other parts of the junction box except for the busbars, reference is made to the drawings and the contents of the background art.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조립형버스바(20, 이하 '버스바'라 한다)는 정션박스의 내부에 실장되어 정션박스에 결합되는 각종 전장품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버스바(20)에는 대전류단자, 릴레이, 미니퓨즈 등 각종 전장품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들 전장품들은 금속재질의 버스바(20)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assembled bus bar 2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bus bar") serve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various electrical appliances mounted inside the junction box and coupled to the junction box. That is, the bus bar 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various electric appliances such as a large current terminal, a relay, a mini-fuse, and these electric appliance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bus bar 20 made of metal.

상기 버스바(20)는 버스바몸체(30)와 단위터미널(40,50)로 구성되는데, 먼저 버스바몸체(3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버스바몸체(30)는 대략 판상으로 형성되는데, 프레스금형 등을 이용하여 타발 및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버스바몸체(30)는 절연판에 안착되는 부분으로, 그 대부분이 정션박스의 메인커버(1)에 차폐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The bus bar 20 is composed of a bus bar body 30 and unit terminals 40 and 50. First, the bus bar body 30 will be described. The bus bar body 3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plate shape, and is formed by punching and bending using a press mold or the like. The bus bar body 30 is a part seated on an insulating plate, most of which is shielded by the main cover 1 of the junction box and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버스바몸체(30)에는 고정편(32)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편(32)은 상기 버스바몸체(30)의 가장자리 일부가 절결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외팔보 형상으로 되어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고정편(32)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서로 인접하여 구비되고, 인접한 고정편(32)은 서로 어긋나게 절곡되어 구비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좌측으로부터 각각의 고정편(32)의 별개의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들을 각각 제1고정편(32a) 제2고정편(32b) 그리고 제3고정편(32c)이라 칭하기로 한다.The bus bar body 30 is provided with a fixing piece 32. The fixing piece 32 is formed by cutting a part of the edge of the bus bar body 30, and can be elastically deformed in a cantilever shape. At least two or more fixing pieces 32 are provid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adjacent fixing pieces 32 are provided to be bent to shift each oth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when referring to FIG. 3 as a reference, separate reference numerals of the respective fixing pieces 32 are given from the left side, and these are respectively fixed to the first fixing piece 32a, the second fixing piece 32b, and the third fixing piece. It will be referred to as piece 32c.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편(32)은 상기 버스바몸체(30)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각각 돌출되게 절곡되어, 그 사이의 간격에 결합공간(3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간(32') 내부로는 아래에서 설명될 단위터미널(40,50)의 결합부(42,52)가 삽입된다. 즉, 서로 인접한 상기 제1고정편(32a)과 제2고정편(32b)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어긋나게 절곡되고, 상기 제2고정편(32b)과 제3고정편(32c) 역시 서로 반대방향으로 어긋나게 절곡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고정편(32a)과 제3고정편(32c)은 서로 같은 방향으로 절곡된 상태가 된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 the fixing piece 32 is bent to protrude to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bus bar body 30, and the coupling space 32 ′ is disposed between the fixing pieces 32. ) Is formed, and coupling portions 42 and 52 of unit terminals 40 and 50 to be described below are inserted into the coupling space 32 '. That is, the first fixing piece 32a and the second fixing piece 32b which are adjacent to each other are bent in an opposite direction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fixing piece 32b and the third fixing piece 32c are also opposite to each other. It is bent out of order. Accordingly, the first fixing piece 32a and the third fixing piece 32c are bent in the same direction.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편(32)은 총 3개가 각각 인접한 고정편(32)과 서로 어긋나도록 구비되나, 상기 고정편(32)의 개수는 2개 또는 4개 이상이 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위터미널(40,50)의 결합부(42,52)가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편(32)은 3개 이상이 구비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total of three fixing pieces 32 are provided to deviate from each other and adjacent fixing pieces 32, but the number of fixing pieces 32 may be two or four or more. Preferably, the fixing pieces 32 are provided with three or more so that the coupling parts 42 and 52 of the unit terminals 40 and 50 can be more stably fixed.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고정편(32)은 다수개가 구비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단위터미널(40,50) 역시 다수개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편(32)은 상기 버스바몸체(30)에 제1 내지 제3고정편(32a,32b,32c)이 하나의 유닛을 이루어, 총 4개의 유닛이 구비된다. As shown in FIG. 3, a plurality of fixing pieces 32 may be provided, and a plurality of unit terminals 40 and 50 to be described below may also be combin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xing piece 32 comprises one unit of the first to third fixing pieces 32a, 32b, and 32c on the bus bar body 30, and a total of four units are provided.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편(32)에는 경사부(33)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33)는 아래에서 설명될 단위터미널(40,50)의 가이드부(43,53)에 대응되는 것으로, 단위터미널(40,50)이 고정편(32) 사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As shown in FIG. 4, an inclined portion 33 is formed in the fixing piece 32. The inclined portion 33 corresponds to the guide portions 43 and 53 of the unit terminals 40 and 50 to be described below, and the unit terminals 40 and 50 can be easily inserted between the fixing pieces 32. It serves as a guide.

상기 버스바몸체(30)에는 단자연결편(37)이 구비된다. 상기 단자연결편(37)은 상기 버스바몸체(30)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그 상면 또는 저면에 대전류단자(도시되지 않음)가 안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단자연결편(37)에는 체결공(38)이 형성되어 상기 대전류단자와 함께 체결구에 의해 체결된다.The bus bar body 30 is provided with a terminal connection piece 37. The terminal connection piece 37 is bent from the bus bar body 30, and a large current terminal (not shown) is seated on an upper surface or a lower surface of the terminal connecting piece 37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he terminal connection piece 37 is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38 is fastened by a fastener together with the large current terminal.

상기 버스바몸체(30)에는 단위터미널(40,50)이 결합된다. 상기 단위터미널(40,50)은 그 일단은 상기 버스바몸체(30)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대물(도시되지 않음)의 단자부와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Unit buses 40 and 50 are coupled to the bus bar body 30. One end of each of the unit terminals 40 and 50 is coupled to the bus bar body 30,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upled to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 terminal portion of a counterpart (not shown).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단위터미널(40,50)은 탭터미널(40)과 포크터미널(50)로 구분되는데, 먼저 탭터미널(40)부터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탭터미널(40)은 판상으 로 구성되고, 그 일단에는 상대물의 단자부와 결합되는 연결부(41)가 구비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nit terminals 40 and 50 are divided into the tap terminal 40 and the fork terminal 50. First, the tap terminal 40 will be described. The tab terminal 40 is formed in a plate shape, one end thereof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portion 41 coupled with the terminal portion of the counterpart.

그리고, 상기 탭터미널(40)의 타단에는 결합부(42)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42)는 상기 버스바몸체(30)의 고정편(32)과 결합되는 것으로, 외면에는 걸림턱(42')이 구비된다. 상기 걸림턱(42')은 버스바(20)의 상방에 정션박스의 메인커버(1)가 덮어지면 메인커버(1)에 형성된 삽입공(미도시)의 가장자리에 걸어지는 부분이다. 즉, 상기 걸림턱(42')은 상기 메인커버(1)의 삽입공에 걸어지고, 결합부(42)는 삽입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상대물과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The other end of the tab terminal 40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art 42. The coupling part 42 is coupled to the fixing piece 32 of the bus bar body 30, and the locking jaw 42 ′ is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The latching jaw 42 ′ is a portion that is hooked to an edge of an insertion hole (not shown) formed in the main cover 1 when the main cover 1 of the junction box is covered above the bus bar 20. That is, the locking jaw 42 'is hooked to the insertion hole of the main cover 1, the coupling portion 42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sertion hole can be coupled to the counterpart.

상기 탭터미널(40)에는 그 선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가이드부(43)가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43)의 양측에는 상기 탭터미널(40)의 선단으로 갈수록 그 폭이 작아지도록 챔퍼(44)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43) 및 챔퍼(44)는 상기 탭터미널(40)이 상기 버스바몸체(30)의 고정편(32)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The tab terminal 40 is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guide portion 43 becomes thinner toward the tip thereof. In addition, the chamfer 44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guide portion 43 so that the width thereof becomes smaller toward the tip of the tab terminal 40. The guide portion 43 and the chamfer 44 guide the tab terminal 40 to be easily inserted into the fixing piece 32 of the bus bar body 30.

다음으로, 상기 포크터미널(50)은 상기 탭터미널(40)과 마찬가지로 판상으로 형성되는데, 양단에는 각각 상대물의 단자부와 연결되는 연결레그(51)와 상기 고정편(32)에 삽입되는 결합부(52)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레그(51)는 쌍을 이루어 외팔보 형상으로 구비되고, 그 사이에는 상대물의 단자부가 삽입되는 결합슬릿(51')이 형성된다.Next, the fork terminal 50 is formed in a plate shape similar to the tab terminal 40, both ends of the connecting leg 51 and the coupl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fixing piece 32 connected to the terminal portion of the counterpart ( 52). The connecting legs 51 are provided in a cantilever shape in pairs, and coupling slits 51 'into which the terminal portions of the counterpart are inserted are formed therebetween.

이때, 상기 포크터미널(50)은 상기 연결레그(51)의 선단이 정션박스의 삽입공에 간섭되어 삽입공으로부터 빠져나와 버스바몸체(3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물론, 상기 포크터미널(50)에도 상기 탭터미널(40)과 마찬가지로 걸림 턱(42')이 형성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fork terminal 50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us bar body 30 by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on leg 51 interferes with the insertion hole of the junction box to escape from the insertion hole. Of course, the locking jaw 42 ′ may be formed in the fork terminal 50 similarly to the tab terminal 40.

이때, 상기 고정편(32) 사이의 간격(l)은 상기 단위터미널(40,50)의 두께(L)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단위터미널(40,50)의 결합부(42,52)가 서로 어긋나게 형성된 상기 고정편(32) 사이에 압입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the spacing (l) between the fixing piece 32 is formed smaller than the thickness (L) of the unit terminals (40, 50). This is to allow the coupling parts 42 and 52 of the unit terminals 40 and 50 to be press-fitted between the fixing pieces 32 which are formed to be offset from each other and firmly fixed.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편(142,152)은 상기한 실시예와 달리 단위터미널(140,15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단위터미널(140,150)에는 고정편(142,152)이 구비되고, 버스바몸체(130)의 가장자리는 절개되지 않은 판상으로 되어, 고정편(142,152)이 버스바몸체(130)의 외면 일부를 감싸 단위터미널(140,150)과 버스바몸체(130)가 서로 결합될 수도 있는 것이다. In Fig. 7,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s shown therein, the fixing pieces 142 and 152 may be provided in the unit terminals 140 and 150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at is, the unit terminals 140 and 150 are provided with fixing pieces 142 and 152, and the edges of the bus bar body 130 are formed in an uncut plate shape, so that the fixing pieces 142 and 152 cover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us bar body 130. Wrap unit terminals 140 and 150 and the bus bar body 13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형 버스바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를 기초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ssembled bus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먼저 버스바몸체(30)와 단위터미널(40,50)을 조립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작업자는 버스바몸체(30)를 정션박스의 절연판 또는 하부커버(18) 등에 설치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의 체결구를 이용하여 버스바몸체(30)를 절연판이나 하부커버(18)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First, a process of assembling the bus bar body 30 and the unit terminals 40 and 50 will be described. An operator installs the bus bar body 30 in an insulating plate or a lower cover 18 of the junction box. In some cases, the bus bar body 30 may be fixed to the insulating plate or the lower cover 18 by using a separate fastener.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단위터미널(40,50)을 파지하고 상기 버스바몸체(30)에 결합시킨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단위터미널(40,50)의 결합 부(42,52)를 상기 버스바몸체(30)의 고정편(32) 사이로 삽입시키는 것이다. In this state, the worker grips the unit terminals 40 and 50 and couples them to the bus bar body 30. More precisely, the coupling parts 42 and 52 of the unit terminals 40 and 50 are inserted between the fixing pieces 32 of the bus bar body 30.

상기 고정편(32)은 다수개가 서로 어긋나게 구비되어 그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고 상기 간격은 상기 단위터미널(40,50)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작업자는 상기 단위터미널(40,50)을 어느 정도 탄성변형시키면서 삽입해야 한다. 다만, 상기 단위터미널(40,50)에는 가이드부(43,53)와 챔퍼(44,54)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편(32)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Since the plurality of fixing pieces 32 are provided to be offset from each other, a predetermined interval is formed therebetween, and the interval is formed smaller than the interval of the unit terminals 40 and 50, so that the operator may operate the unit terminals 40 and 50. Should be inserted with some elastic deformation. However, guide units 43 and 53 and chamfers 44 and 54 are formed in the unit terminals 40 and 50, and may be easily inserted between the fixing pieces 32.

이때, 작업자는 정션박스의 기능 및 설계목적에 따라 필요한 단위터미널(40,50)을 필요한 개수만큼, 필요한 위치에 결합시키면 된다. 이에 따라 상대물의 단자부와 결합되지 않는 단위터미널(40,50)은 버스바몸체(30)에 결합시킬 필요가 없어, 버스바(20)의 전체 중량이 줄어들고, 버스바(20)를 만들기 위한 재료가 절감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operator may combine the necessary number of terminal terminals 40, 50 to the required position according to the function and design purpose of the junction box. Accordingly, the unit terminals 40 and 50, which are not coupled to the counterparts of the counterpart, need not be coupled to the bus bar body 30, thereby reducing the overall weight of the bus bar 20 and making the bus bar 20 a material. Can be reduced.

이와 같이 상기 버스바몸체(30)에 단위터미널(40,50)이 결합되면, 작업자는 메인커버(1)와 하부커버(18)를 결합시킨다. 이 과정에서 상기 탭터미널(40)의 연결부(41)는 메인커버(1)의 삽입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탭터미널(40)의 걸림턱(42')은 삽입공 가장자리에 걸어져, 상기 탭터미널(40)이 버스바몸체(3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As such, when the unit terminals 40 and 50 are coupled to the bus bar body 30, the operator couples the main cover 1 and the lower cover 18 to each other. In this process, the connection part 41 of the tab terminal 4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sertion hole of the main cover 1. At the same time, the locking jaw 42 'of the tab terminal 40 is hooked to the edge of the insertion hole, thereby preventing the tab terminal 4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us bar body 30.

마지막으로, 작업자는 상기 단위터미널(40,50)의 연결부(41) 및 연결레그(51)에 상대물을 결합시킨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대물의 단자부를 상기 단위터미널(40,50)의 연결부(41) 및 연결레그(51)에 결합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단위터미널(40,50)은 필요한 위치에만 구비되므로 작업자가 상기 상대물을 오조립할 염려 가 줄어들게 된다.Finally, the operator couples the counterpart to the connection portion 41 and the connection leg 51 of the unit terminals (40, 50). More precisely, the terminal portion of the counterpart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portion 41 and the connecting leg 51 of the unit terminals 40 and 50. In this case, since the unit terminals 40 and 50 are provided only at necessary positions, there is less concern that an operator may misassemble the counterpart.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is defined by the claim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 evident.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버스가가 채용된 정션박스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junction box employing a bus pr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버스바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us ba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조립형 버스바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ssembled bus ba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Ⅲ-Ⅲ'선에 대한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 of FIG. 3.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Ⅴ-Ⅴ'선에 대한 사시도.FIG. 6 is a perspective view taken along line VV ′ of FIG. 5. FIG.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 조립형 버스바 30: 버스바몸체20: assembled bus bar 30: bus bar body

32: 고정편 37: 단자연결편32: fixed piece 37: terminal connection piece

40: 탭터미널 41: 연결부40: tap terminal 41: connection portion

42: 결합부 42': 걸림턱42: engaging portion 42 ': locking jaw

43: 가이드부 44: 챔퍼43: guide portion 44: chamfer

50: 포크터미널 51: 연결레그50: fork terminal 51: connecting leg

52: 결합부 53: 가이드부52: coupling portion 53: guide portion

54: 챔퍼54: chamfer

Claims (8)

판상의 버스바몸체와,The bus bar body of the plate, 일단은 상기 버스바몸체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대물의 단자부와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위터미널과, A unit terminal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bus bar body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a terminal portion of the counterpart and electrically connected thereto; 상기 버스바몸체 또는 상기 단위터미널의 서로 마주보는 일단 중 어느 일측에 적어도 3개 이상의 탄성변형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고정편을 포함하여 구성되고,And a fixing piece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bus bar body or one end of the unit terminal facing each other so as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상기 고정편은 서로 어긋나게 구비되어 그 사이에 형성된 소정의 간격 사이로 상기 단위터미널의 일부 또는 상기 버스바몸체의 가장자리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버스바몸체와 단위터미널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The fixing piece is provided to be offset from each other and a portion of the terminal terminal or a portion of the edge of the bus bar body is inserted between the predetermined interval formed therebetween, the bus bar body and the terminal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서로 어긋나게 지그재그로 구비되는 상기 고정편 사이의 간격은 그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단위터미널 또는 상기 버스바몸체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버스바.The spacing between the fixing pieces provided in a zigzag to deviate from each other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unit terminal or the bus bar body inserted therei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터미널의 외면에는 걸림턱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버스바.The assembled bus bar of claim 1, wherein a locking jaw is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unit terminal.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터미널 또는 상기 버스바몸체에는 상기 고정편 사이의 간격으로 삽입되는 선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작아지도록 가이드부가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버스바.The assembled bus bar of claim 4, wherein the unit terminal or the bus bar body has a guide portion inclined so as to decrease in thickness toward the tip inserted at intervals between the fixing piece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터미널 또는 상기 버스바몸체에는 상기 고정편 사이의 간격으로 삽입되는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도록 챔퍼가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버스바.6. The assembled bus bar of claim 5, wherein a chamfer is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unit terminal or the bus bar body so as to decrease in width toward the tip inserted into the gap between the fixing piece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의 돌출된 선단에는 상기 가이드부에 대응되는 경사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버스바.7. The assembled busbar of claim 6, wherein an incline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guide portion is formed at the protruding end of the fixing piece. 제 7 항에 있어서, 상대물의 단자부와 결합되는 상기 단위터미널의 일단에는 외팔보 형상의 연결레그가 양측에 쌍을 이루어 구비되어 상기 상대물의 단자부가 상기 연결레그 사이로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버스바. 8. The assembled bus bar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one end of the unit terminal coupled to the counterpart of the counterpart is provided with a pair of cantilever-shaped coupling legs on both sides thereof so that the counterpart of the counterpart is inserted between the connecting legs.
KR1020080056491A 2008-06-16 2008-06-16 Assembling type busbar KR1009887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491A KR100988788B1 (en) 2008-06-16 2008-06-16 Assembling type busb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491A KR100988788B1 (en) 2008-06-16 2008-06-16 Assembling type busba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0730A KR20090130730A (en) 2009-12-24
KR100988788B1 true KR100988788B1 (en) 2010-10-20

Family

ID=41690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6491A KR100988788B1 (en) 2008-06-16 2008-06-16 Assembling type busb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878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222B1 (en) * 2013-07-05 2014-08-25 영화테크(주) Bus bar device of junction box for automotive vehicl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7115B1 (en) * 2015-08-17 2017-03-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Busbar assembly for electric connect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7718A (en) * 1993-11-22 1995-06-06 Sumitomo Wiring Syst Ltd Bus bar structure of electric splice box
JPH0817531A (en) * 1994-07-04 1996-01-19 Yazaki Corp Joint connector
JP2001224116A (en) 2000-02-08 2001-08-17 Yazaki Corp Electrical connection box
JP3303800B2 (en) * 1998-10-09 2002-07-22 住友電装株式会社 Circuit board and electrical junction box containing the circuit boar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7718A (en) * 1993-11-22 1995-06-06 Sumitomo Wiring Syst Ltd Bus bar structure of electric splice box
JPH0817531A (en) * 1994-07-04 1996-01-19 Yazaki Corp Joint connector
JP3303800B2 (en) * 1998-10-09 2002-07-22 住友電装株式会社 Circuit board and electrical junction box containing the circuit board
JP2001224116A (en) 2000-02-08 2001-08-17 Yazaki Corp Electrical connection box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222B1 (en) * 2013-07-05 2014-08-25 영화테크(주) Bus bar device of junction box for automotive veh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0730A (en) 2009-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0394B2 (en) Contact element for a plug arrangement in a bus system, more particularly an externally routed bus system
US7927111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KR100910100B1 (en) Terminal device of electrical apparatus
US8651890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spring clip assist contact
JP6015940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with printed circuit board laminate
EP2432091B1 (en) Bracket structure of electrical connection box
US20130250489A1 (en) Electronic part module
US9148964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US9019723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US20190260169A1 (en) Contact and Bushbar Assembly
US8946565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US2953765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
JP2013031279A (en) Bus bar end structure in electric connection box
KR20100083413A (en) Bus-bar assembly
KR100988788B1 (en) Assembling type busbar
US20150349476A1 (en) Multiport terminal with current bars
KR20100121950A (en) Connector having joint terminal
US9437946B2 (en)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having improved terminals
JP2011125205A (en) Fuse terminal metal fitting and fuse circuit configuration unit containing the same
KR100952434B1 (en) Multi-directional joint apparatus
CN102598444B (en) Power connection conductor
KR200432943Y1 (en) Bus bar
KR200432944Y1 (en) Bus bar
JP7248530B2 (en) Busbar co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ion busbar
EP1577982A1 (en) Electrical junction box and continuity inspection jig assembly fitted in the electrical junction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