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2434B1 - Multi-directional joint apparatus - Google Patents

Multi-directional joint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2434B1
KR100952434B1 KR1020070141873A KR20070141873A KR100952434B1 KR 100952434 B1 KR100952434 B1 KR 100952434B1 KR 1020070141873 A KR1020070141873 A KR 1020070141873A KR 20070141873 A KR20070141873 A KR 20070141873A KR 100952434 B1 KR100952434 B1 KR 100952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bus bar
terminal portion
cov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18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73814A (en
Inventor
윤창배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41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2434B1/en
Publication of KR20090073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38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2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24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6Rails or bus-bar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rete connecting locations for counter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 H01R4/2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the additional means having two or more slotted flat portions
    • H01R4/245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the additional means having two or more slotted flat portions forming a U-shape with slotted bran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방향 조인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인트장치는 다각형 판상의 몸체(20)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20)에는 버스바(30)가 설치된다. 상기 버스바(30)는 상기 몸체(20)에 인서트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30)는 인서트부(32)에 대해 직교하게 형성되어 상기 몸체(20)에 돌출되게 위치되는 단자부(34)를 구비한다. 상기 단자부(34)에는 와이어(50)가 삽입되는 삽입슬릿(36)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50)의 삽입을 위해 상기 삽입슬릿(36)의 입구에 해당되는 단자부(34)의 선단에는 삽입가이드경사(38)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20)의 상면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되는 측벽(22)에는 와이어인출구(24)가 여러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인출구(24)와 연결되게 상기 몸체(20)의 상면에는 가이드리브(26)가 쌍을 이뤄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리브(26)의 사이에는 와이어(50)가 위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와이어의 연장방향을 여러방향으로 할 수 있어 조인트장치에 의해 와이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품의 설치방향 및 위치가 다양하게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와이어를 직접 버스바의 단자부에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환경에서 조인트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directional joint device. Joi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olygonal plate-shaped body 20, the body 20 is provided with a bus bar (30). The bus bar 30 may be inserted into the body 20 and installed. The bus bar 30 has a terminal portion 34 formed perpendicular to the insert portion 32 and positioned to protrude from the body 20. An insertion slit 36 into which the wire 50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terminal portion 34. Guide inclination 38 is formed. Wire outlets 24 are formed in various directions on sidewalls 22 formed around the top edge of the body 20. Guide ribs 26 are provided in pair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20 to be connected to the wire outlet 24. A wire 50 is positioned between the guide ribs 26.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ion of extension of the wire can be made in several directions, so that the installation direction and the position of the product to which the wire is electrically connected by the joint device can be varied.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ire can be directly inserted into the terminal portion of the bus bar and coupled, the joint device can be used in various environments.

조인트, 커넥터, 방향, 와이어 Joint, connector, direction, wire

Description

다방향 조인트장치{Multi-directional joint apparatus}Multi-directional joint apparatus

본 발명은 다방향 조인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회로를 구성하는 와이어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함에 있어서 와이어의 연장방향을 여러 방향으로 할 수 있는 다방향 조인트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directional joint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directional joint apparatus capable of extending the wire in various directions in performing electrical connection of wires constituting various circuits.

자동차 등에서 각종 전장부품들이 구성하는 회로를 연결하기 위해 조인트 커넥터가 사용된다. 조인트커넥터는 상대 커넥터에 연결된 와이어들을 전부 또는 몇개씩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Joint connectors are used to connect circuits composed of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in automobiles. The joint connector serves to electrically connect all or several wires connected to the mating connector.

일반적으로, 조인트 커넥터는 그 내부의 터미널들이 전부 또는 몇 개씩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다. 이와 같은 조인트 커넥터는 상기 터미널이 하우징의 내부에 인서트몰드되어 하우징과 일체로 된다. 즉, 조인트 커넥터는 특정 제품의 회로에 필요한 갯수의 터미널을 구비하여 정해진 갯수의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In general, a joint connector is a state in which all or a few of the terminals inside thereof are electrically connected. In such a joint connector, the terminal is insert molded into the housing to be integrated with the housing. In other words, the joint connector is provided with the required number of terminals for the circuit of a particular product to be able to electrically connect a predetermined number of wires.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조인트커넥터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조인트커넥터(1)의 외관과 골격을 하우징(3)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 징(3)은 절연성의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3)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a joint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ccording to this, the housing 3 forms the appearance and skeleton of the joint connector 1. The housing 3 is made of an insulating synthetic resin. The housing 3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상기 하우징(3)에는 단자(5)가 일체로 인서트몰딩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3)에서 상기 단자(5)는 전체가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즉, 단자(5)가 열을 지어 일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단자(5)들은 전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몇 개씩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housing 3 is integrally insert molded with a terminal 5. In the housing 3, the terminal 5 protrudes in the same direction as a whole. That is, the terminals 5 are arranged in a row to protrude in one direction. The terminals 5 are electrically connected in whole, or several of them are electrically connected.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조인트커넥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joint connecto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먼저, 종래의 조인트커넥터(1)에는 예를 들면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광을 발생시키는 각종 벌브들을 회로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벌브들은 다양한 위치에 설치되므로 상기 조인트커넥터(1)로 상기 벌브들의 와이어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와이어를 길게 연장하여야 한다. 특히 상기 조인트커넥터(1)는 일방향으로 상기 단자(5)들이 연장되어 있어, 그 방향에 맞도록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고, 그 와이어의 선단에 상대 커넥터를 연결하여야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식으로 와이어들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다.First, the conventional joint connector 1 may be used to circuitally connect various bulbs for generating light used in automobiles, for example. Since the bulbs are installed at various positions, the wires need to be extended to connect the wires of the bulbs to the joint connector 1. In particular, the joint connector 1 has the terminals 5 extending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length of the wire is adjusted to match the direction and the mating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tip of the wire.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relatively expensive to connect the wires in this way.

그리고, 종래의 조인트커넥터(1)에는 이에 맞는 상대 커넥터를 사용하여야만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므로, 미리 설계된 대로의 와이어 연결을 위해서만 조인트커넥터(1)가 사용될 수 있고,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joint connector 1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only by using a mating connector corresponding thereto, the joint connector 1 may be used only for the wire connection as previously design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be used in various environments. .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와이어의 연장방향이 여러 방향으로 될 수 있는 조인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joint device in which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wire can be in various direction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와이어를 직접 연결할 수 있는 조인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joint device capable of directly connecting wire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각형의 판상으로 되고 그 가장자리를 둘러 돌출된 측벽에 와이어가 통과하는 와이어인출구가 형성된 몸체와, 적어도 2개 이상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단자부가 상기 몸체에 돌출되게 인서트몰딩되어 설치되는 버스바와,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에 설치된 상기 단자부를 차폐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버스바의 단자부에는 전원을 소모하는 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와이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몸체의 상면에는 상기 와이어를 안내하는 가이드리브 쌍이 일단부는 상기 와이어인출구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단자부에 인접하게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내면에는 상기 가이드리브의 사이에 위치되는 와이어를 눌러주는 누름리브가 형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lygonal plate-like body formed with a wire outlet through which a wire passes through the side wall protruding around the edge, and at least two or more electrical And a bus bar installed by insert molding the terminal parts protruding from the body, and a cover coupled to the body to shield the terminal part installed on the body, wherein the terminal part of the bus bar consumes power. A wi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mponent is electrically connected, and a pair of guide ribs for guiding the wire is connected to the wire outlet and the other end is formed adjacent to the terminal part on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Pressing pressing the wire located between the guide rib It is form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 버스바는 상기 몸체의 내부에 인서트되는 인서트부와 상기 인서트부에 직교하게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는 단자부로 구성되고, 상기 단자부에는 상기 와이어가 압입되어 끼워지는 삽입슬릿이 형성된다.The bus bar includes an insert part inserted into the body and a terminal part bent orthogonally to the insert part and connected to the wire, and the terminal part is formed with an insertion slit into which the wire is pressed.

상기 단자부의 선단에는 상기 삽입슬릿으로 와이어를 안내하는 삽입가이드경사가 경사지게 형성된다.An insertion guide inclination for guiding a wire to the insertion slit is inclined at the tip of the terminal portion.

상기 몸체와 커버에는 서로의 결합을 위한 걸이돌기와 상기 걸이돌기가 끼워지는 걸이통공이 형성된 걸이구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The body and the cover are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hanger formed with a hook projection for coupling to each other and a hook hole through which the hook projection is fitted.

본 발명에 의한 다방향 조인트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the multidirectional joi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먼저, 본 발명의 조인트장치는 와이어의 연장방향을 여러방향으로 할 수 있어 조인트장치에 의해 와이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품의 설치방향 및 위치가 다양하게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the joi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tended in various directions of the wire has the effect that the installation direction and the position of the product to which the wire is electrically connected by the joint device can be varied.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와이어를 직접 버스바의 단자부에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환경에서 조인트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즉, 부품에서 연장된 와이어를 직접 조인트장치의 단자부에 결합할 수도 있고, 부품에서 연장된 와이어에 설치된 커넥터와 결합되는 커넥터가 연결된 와이어를 조인트장치의 단자부에 결합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ire can be directly inserted into the terminal portion of the bus bar and coupled, the joint device can be used in various environments. That is, the wire extending from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terminal portion of the joint apparatus, or the wire connected with the connector coupled to the connector installed on the wire extended from the component may be coupled to the terminal portion of the joint apparatus.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다방향 조인트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ultidirectional joi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다방향 조인트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커버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버스바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ulti-directional joi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over remov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cover constituting the example is shown in perspective view, and in Fig. 5 the configuration of the busbar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perspective view.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몸체(20)는 대략 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20)는 절연성 합성수지로 만들어진다. 상기 몸체(20)의 상면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상부로 돌출되게 측벽(22)이 형성된다. 상기 측벽(22)은 상기 몸체(20)의 상면과 협력하여 내부공간(23)을 형성한다. 상기 측벽(22)의 일부에는 와이어인출구(24)가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인출구(24)는 상기 내부공간(23)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와이어인출구(24)는 상기 측벽(22)을 따라 각각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네 측벽(22)중 세개의 측벽(22)에 와이어인출구(24)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body 2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shape. The body 20 is made of an insulating synthetic resin. Sidewalls 22 are formed to protrude upwards surrounding the top edge of the body 20. The side wall 22 cooperates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20 to form an inner space 23. A wire outlet 24 is formed in a part of the side wall 22. The wire outlet 24 serves to communicate the internal space 23 and the outside. A plurality of wire outlets 24 may be formed along the side wall 22, respective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ire outlet 24 is formed in three sidewalls 22 of the four sidewalls 22.

상기 몸체(20)의 상면에는 가이드리브(26)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리브(26)는 적어도 2개가 한 쌍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그 사이에 와이어(50)가 안착된다. 상기 가이드리브(26)는 본 실시예에서 각각 3줄의 와이어(50)가 나란히 안내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그 갯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가이드리브(26) 사 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상기 와이어인출구(24)와 연통된다.Guide ribs 26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20. At least two guide ribs 26 are formed side by side in a pair, and a wire 50 is seated therebetween. The guide ribs 26 are configured to guide three wires 50 side by side in this embodiment, but the number is not limited thereto.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guide ribs 26 communicates with the wire outlet 24.

상기 몸체(20)의 측벽(22) 외면에는 걸이돌기(28)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돌기(28)는 상기 와이어인출구(24)와 간섭되지 않는 상기 측벽(22)에 다수개가 형성된다.Hanger projections 28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22 of the body 20 to protrude. The hanger 28 is formed in the plural side walls 22 which do not interfere with the wire outlet 24.

버스바(30)는 상기 몸체(20)에 일체로 인서트몰딩되어 설치된다. 상기 버스바(30)는 도전성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버스바(30)는 인서트부(32)가 상기 몸체(2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인서트부(32)에서 직립되게 형성된 단자부(34)는 상기 몸체(20)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내부공간(23)에 위치한다. 상기 단자부(34)는 본 실시예에서 두 개가 한 쌍으로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The bus bar 30 is inserted molded in the body 20 and installed. The bus bar 30 is formed of a conductive metal material. The bus bar 30 has an insert portion 32 installed inside the body 20, and a terminal portion 34 formed so as to stand upright in the insert portion 32 protrudes to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20. Located in the interior space (23).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erminal 34 is formed in two pairs to face each other, but is not necessarily so.

상기 단자부(34)에는 길이방향으로 삽입슬릿(36)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슬릿(36)은 와이어(50)가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삽입슬릿(36)의 폭은 상기 와이어(50)의 심선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와이어(50)의 심선이 압입될 수 있도록 되는 것이 좋다.The terminal portion 34 is formed with an insertion slit 36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insertion slit 36 is a portion to which the wire 50 is insert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herefore, the width of the insertion slit 36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re wire of the wire 50 so that the core wire of the wire 50 can be press-fitted.

상기 단자부(34)의 상단에는 상기 삽입슬릿(36)의 입구를 향해 삽입가이드경사부(38)가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삽입가이드경사부(38)는 와이어(50)가 상기 삽입슬릿(36)의 내부로 보다 용이하게 삽입되어 들어갈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The insertion guide inclined portion 38 is inclined toward the inlet of the insertion slit 36 at the upper end of the terminal portion 34. The insertion guide inclined portion 38 serves to guide the wire 50 to be more easi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lit 36.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버스바(30)의 양단에 단자부(34)가 한 쌍씩 모두 4개가 형성되어 있고, 3개의 버스바(30)가 구비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 은 아니다. 상기 버스바(30)들이 모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일체로 될 수도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four terminal units 34 are formed in pairs at both ends of the bus bar 30, and three bus bars 30 are provid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busbars 30 may all be integrat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커버(40)는 절연성의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기 몸체(20)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23)을 외부와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버(40)는 상기 몸체(30)의 상면 형상과 대응되는 사각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커버(40)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상기 몸체(30)의 측벽(22)을 둘러싸도록 커버측벽(42)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측벽(42)은 상기 몸체(30)의 하면과 대응되는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몸체(20)의 와이어인출구(24)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커버측벽(42)은 상기 와이어인출구(24)와 같은 구성이 구비되어 와이어(50)가 인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버측벽(42)에 의해 상기 와이어인출구(24)에서 빠져나온 와이어(50)가 눌러질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지는 않다.Cover 40 is made of an insulating synthetic resin is coupled to the body 20 serves to shield the inner space 23 from the outside. The cover 40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top surface of the body 30. The cover side wall 42 is formed to surround the side wall 22 of the body 30 surrounding the edge of the cover 40. The cover side wall 42 may exten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30. Of course, the cover side wall 42 of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ire outlet 24 of the body 20 may be provided with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wire outlet 24 so that the wire 50 may be drawn out.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ire 50 exiting from the wire outlet 24 by the cover side wall 42 is not opened to be pressed.

상기 커버(40)에서 상기 몸체(20)의 걸이돌기(28)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측벽(42)대신에 걸이구(44)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구(44)는 그 재질과 형상의 특성상 탄성변형이 가능한 것으로, 상기 걸이돌기(28)가 삽입되는 걸이통공(46)이 형성된다.In the cover 40, a hook hole 44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ook protrusion 28 of the body 20 instead of the side wall 42. The hook 44 is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due to the nature of the material and shape, the hook hole 46 is inserted into the hook projection 28 is formed.

상기 커버(40)의 내면에는 상기 몸체(20)의 가이드리브(26) 사이에 안착된 와이어(50)를 눌러 고정할 수 있는 누름리브(48)가 형성된다. 상기 누름리브(48)는 단자부(34)가 위치된 부분에는 형성되지 않아, 단자부(34)와의 간섭을 방지한다.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40 is formed with a pressing rib 48 that can be fixed by pressing the wire 50 seated between the guide ribs 26 of the body 20. The push ribs 48 are not formed at the portion where the terminal portion 34 is located, thereby preventing interference with the terminal portion 34.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다방향 조인트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multidirectional joi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다방향 조인트장치는, 예를 들면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전원을 소모하는 부품의 회로 연결을 위해 사용된다. 상기 각각의 부품들에서 연장된 와이어(50)가 상기 버스바(30)의 단자부(34)에 연결됨에 의해 전기적 연결을 이룰 수 있다.The multidirectional joi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circuit connection of power consuming components, for example, used in automobiles. The wire 50 extending from each of the components may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portion 34 of the bus bar 30 to achieve electrical connection.

여기서, 상기 단자부(34)의 삽입슬릿(36)에 삽입되는 와이어(50)는 상기 부품과 직접 연결된 와이어(50)일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부품에서 나온 와이어의 선단에 상대 커넥터(도시되지 않음)가 연결되고 상기 단자부(34)에 연결된 와이어(50)의 선단에 커넥터가 구비되어 이들 커넥터가 서로 연결됨에 의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Here, the wire 50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lit 36 of the terminal portion 34 may be a wire 50 directly connected to the component. Alternatively, a counterpart connector (not shown) may be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wire from the component, and a connector may be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wire 50 connected to the terminal part 34 so that these connecto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make electrical connection. .

상기 와이어(50)를 상기 몸체(20)의 단자부(34)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커버(40)를 몸체(20)에서 분리하고 상기 와이어(50)의 심선을 상기 단자부(34)중 어느 하나에 결합한다. 즉, 상기 와이어(50)의 심선을 상기 단자부(34)의 삽입슬릿(36)에 압입한다. 이때, 상기 단자부(34)의 삽입가이드경사(38)는 상기 삽입슬릿(36)으로 와이어(50)가 들어가는 것을 안내한다.In order to connect the wire 50 to the terminal portion 34 of the body 20, the cover 40 is separated from the body 20, and the core wire of the wire 50 is connected to any one of the terminal portions 34. To combine. That is, the core wire of the wire 50 is press-fitted into the insertion slit 36 of the terminal portion 34. At this time, the insertion guide inclination 38 of the terminal portion 34 guides the entry of the wire 50 into the insertion slit 36.

그리고, 상기 와이어(50)의 심선을 드러내지 않고, 와이어(50)의 외피를 형성하는 인슐레이션을 그대로 둔 상태로 와이어(50)를 상기 삽입슬릿(36)으로 삽입하여 단자부(34)와 와이어(50)의 전기적 연결을 이룰 수 있다. 이는 상기 와이어(50)가 상기 삽입슬릿(36)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삽입슬릿(36)의 양측 내면에 의해 상기 인슐레이션이 절개되어 심선이 직접 삽입슬릿(36)의 내면에 접촉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상기 인슐레이션을 제거한 상태로 심선을 상기 삽입슬 릿(36)에 삽입하여도 된다.Then, the wire 5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lit 36 without the core wire of the wire 50 being exposed and the insulation forming the shell of the wire 50 is left as it is. ) Electrical connection can be achieved. This is because the insulation is cut by both inner surfaces of the insertion slit 36 while the wire 5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lit 36 so that the core wire may directly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slit 36. to be. Of course, the core wire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lit 36 with the insulation removed.

상기 와이어(50)는 상기 단자부(34)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리브(26)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와이어인출구(24)을 통해 상기 몸체(20)의 외부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인출구(24)는 상기 몸체(20)의 측벽(22)들에 형성되어 있어 여러방향으로 와이어(50)가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와이어(50)가 상기 몸체(20)에서 여러 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음에 의해 조인트장치에 의해 연결되는 부품의 위치에 상관없이 다양한 위치에 있는 부품들의 회로연결이 가능하게 된다.The wire 50 is positioned between the guide ribs 26 in a state connected to the terminal portion 34 and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body 20 through the wire outlet 24. In this case, the wire outlet 24 is formed on the side walls 22 of the body 20 so that the wire 50 may extend in various directions. As such, the wire 50 may be drawn out from the body 20 in various directions, thereby enabling circuit connection of components at various positions regardless of the positions of the components connected by the joint apparatus.

한편, 각각의 부품과 연결되는 상기 와이어(50)를 상기 단자부(34)들에 각각 연결한 후에는 상기 커버(40)를 상기 몸체(20)에 결합한다. 이때에는 상기 커버(40)를 상기 몸체(20)의 상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몸체(20)의 측벽(22)을 상기 커버측벽(42)이 둘러싸도록 한다. 이때, 상기 커버(40)의 걸이구(44)가 상기 몸체(20)의 걸이돌기(28)와 대응되는 위치에 있도록 하여야 한다.On the other hand, after connecting the wire 50 connected to each component to the terminal portion 34, respectively, the cover 40 is coupled to the body 20. In this case, the cover side wall 42 surrounds the side wall 22 of the body 20 in a state where the cover 40 is positioned above the body 20. At this time, the hanger 44 of the cover 40 should be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anger projection 28 of the body 20.

상기 걸이구(44)는 상기 커버(40)가 상기 몸체(20)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걸이돌기(28)에 의해 탄성변형되었다가, 상기 걸이돌기(28)가 상기 걸이통공(46)에 삽입됨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커버(40)의 걸이구(44)가 상기 몸체(20)의 걸이돌기(28)에 걸어지면서 커버(40)가 몸체(20)에 체결된다.The hook 44 i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hook protrusion 28 in the process of fastening the cover 40 to the body 20, the hook protrusion 28 to the hook hole 46 It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by insertion. In this case, the hook 40 of the cover 40 is hooked to the hook protrusion 28 of the body 20, and the cover 40 is fastened to the body 20.

상기 커버(40)가 상기 몸체(20)에 체결되면, 상기 커버(40)의 내면에 형성된 누름리브(48)가 상기 가이드리브(26) 사이에 안착된 와이어(50)를 눌러 고정하게 된다.When the cover 40 is fastened to the body 20, the pressing ribs 48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40 press and fix the wire 50 seated between the guide ribs 26.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is defined by the claim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 evident.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몸체(20)의 형상이 사각형 판상이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고 다각형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hape of the body 20 is a rectangular plate, but need not necessarily be a polygonal plate.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버스바(30)가 상기 몸체(20)에 인서트되어 있으나, 융착돌기 등을 사용하여 상기 버스바(30)를 상기 몸체(20)에 고정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bus bar 30 is inserted into the body 2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us bar 30 may be fixed to the body 20 using a fusion protrusion or the like.

또한, 상기 몸체(20)에 형성된 가이드리브(26)는 반드시 직선으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와이어(50)를 안내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곡선으로 형성되어도 상관없다.In addition, the guide ribs 26 formed on the body 20 are not necessarily formed in a straight line, and may be formed in a curved line as long as they can guide the wire 50.

그리고, 상기 몸체(20)에 형성된 걸이돌기(28)와 상기 커버(40)에 형성된 걸이구(44)는 서로 반대 위치에 있을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hook protrusion 28 formed on the body 20 and the hook hole 44 formed on the cover 40 may be at opposite positions.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조인트 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joint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다방향 조인트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multidirectional joi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ver remov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커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ve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버스바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us ba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 몸체 22: 측벽20: body 22: side wall

23: 내부공간 24: 와이어인출구23: internal space 24: wire outlet

26: 가이드리브 28: 걸이돌기26: guide rib 28: hook turning

30: 버스바 32: 인서트부30: bus bar 32: insert part

34: 단자부 36: 삽입슬릿34: terminal portion 36: insertion slit

38: 삽입가이드경사 40: 커버38: Insertion Guide Incline 40: Cover

42: 커버측벽 44: 걸이구42: cover side wall 44: hook

46: 걸이통공 48: 누름리브46: hanger hole 48: push rib

Claims (6)

다각형의 판상으로 되고 그 가장자리를 둘러 돌출된 측벽에 와이어가 통과하는 와이어인출구가 형성된 몸체와,A body having a polygonal plate shape and having wire outlets through which wires pass on sidewalls protruding around the edges; 적어도 2개 이상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단자부가 상기 몸체에 돌출되게 인서트몰딩되어 설치되는 버스바와,A bus bar having a plurality of terminal part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t least two of which are insert-molded to protrude from the body;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에 설치된 상기 단자부를 차폐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ver coupled to the body to shield the terminal unit installed in the body, 상기 버스바의 단자부에는 전원을 소모하는 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와이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몸체의 상면에는 상기 와이어를 안내하는 가이드리브 쌍이 일단부는 상기 와이어인출구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단자부에 인접하게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내면에는 상기 가이드리브의 사이에 위치되는 와이어를 눌러주는 누름리브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인트장치.A wir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mponent consuming powe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portion of the bus bar, and a pair of guide ribs for guiding the wire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wire outlet and the other end is adjacent to the terminal portion. And a pressing rib for pressing a wire positioned between the guide rib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상기 몸체의 내부에 인서트되는 인서트부와 상기 인서트부에 직교하게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는 단자부로 구성되고, 상기 단자부에는 상기 와이어가 압입되어 끼워지는 삽입슬릿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인트장치.The bus bar of claim 1, wherein the bus bar is formed of an insert portion inserted into the body and a terminal portion bent orthogonally to the insert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wire, and the wire portion is press-fitted into the terminal portion. Multi-directional joi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slit is forme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의 선단에는 상기 삽입슬릿으로 와이어를 안내하는 삽입가이드경사가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인트장치.5. The multidirectional joint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an insertion guide inclination for guiding a wire to the insertion slit is inclined at the front end of the terminal par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커버에는 서로의 결합을 위한 걸이돌기와 상기 걸이돌기가 끼워지는 걸이통공이 형성된 걸이구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인트 장치.The multidirectional joint devic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body and the cover have a hook protrusion for engaging with each other and a hook hole formed with a hook hole through which the hook protrusion is fitted.
KR1020070141873A 2007-12-31 2007-12-31 Multi-directional joint apparatus KR1009524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873A KR100952434B1 (en) 2007-12-31 2007-12-31 Multi-directional joi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873A KR100952434B1 (en) 2007-12-31 2007-12-31 Multi-directional joint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3814A KR20090073814A (en) 2009-07-03
KR100952434B1 true KR100952434B1 (en) 2010-04-14

Family

ID=41330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1873A KR100952434B1 (en) 2007-12-31 2007-12-31 Multi-directional joint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243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38583B2 (en) * 2016-07-12 2020-01-2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Connector and electric connection assembly having the same
KR102378378B1 (en) * 2020-07-08 2022-03-24 에이에스티주식회사 Coupler for electric wi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6101A (en) * 1991-01-30 1993-12-10 Hitachi Lighting Ltd Wire insertion tool and its connector
KR200142801Y1 (en) * 1996-02-16 1999-06-01 이의근 Cable connector
JP2002025640A (en) * 2000-07-07 2002-01-25 Yazaki Corp Connection structure for wire conductor
JP3414525B2 (en) * 1994-10-14 2003-06-09 矢崎総業株式会社 Wire co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ion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6101A (en) * 1991-01-30 1993-12-10 Hitachi Lighting Ltd Wire insertion tool and its connector
JP3414525B2 (en) * 1994-10-14 2003-06-09 矢崎総業株式会社 Wire co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ion method
KR200142801Y1 (en) * 1996-02-16 1999-06-01 이의근 Cable connector
JP2002025640A (en) * 2000-07-07 2002-01-25 Yazaki Corp Connection structure for wire condu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3814A (en) 2009-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7732B2 (en) Plug-in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s
US5098316A (en) Equipment terminal plug
US7249956B2 (en) Electric connection box
CN107732482B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branching element
JP2009110963A (en) Spring force connecting device
JP2009164105A (en) First connector, second connector, and electric connection device
CN100585947C (en) Terminal board component and screwless connector
KR100952434B1 (en) Multi-directional joint apparatus
KR20160092282A (en) Front TPA Assembling Structure of Conventional Type Box
JP2010157367A (en) Electrical connector
US10971849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KR20090009562U (en) Connecting device for wire
JP5473638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0988794B1 (en) Connector
KR100988788B1 (en) Assembling type busbar
JP5156288B2 (en) Unit cable for indoor wiring
US7607945B2 (en) Connector
KR200432944Y1 (en) Bus bar
JP2000083313A (en) Electrical junction box
KR200432943Y1 (en) Bus bar
JP2671679B2 (en) Connecting terminal
JP2005019053A (en) Electric connector
KR101714402B1 (en) Low insertion force socket terminal
KR200451019Y1 (en) Connector
KR200428337Y1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for wire-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