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7985B1 - Wire-Car In Tube - Google Patents

Wire-Car In Tub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7985B1
KR100987985B1 KR1020080088452A KR20080088452A KR100987985B1 KR 100987985 B1 KR100987985 B1 KR 100987985B1 KR 1020080088452 A KR1020080088452 A KR 1020080088452A KR 20080088452 A KR20080088452 A KR 20080088452A KR 100987985 B1 KR100987985 B1 KR 100987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vehicle
boarding
tube hous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84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29615A (en
Inventor
최도혁
Original Assignee
(주)로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로드닉스 filed Critical (주)로드닉스
Priority to KR1020080088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7985B1/en
Publication of KR20100029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96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7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79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10Tunne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00Ventilation of mines or tunnels; Distribution of ventilating currents
    • E21F1/003Ventilation of traffic tu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30/00Transportation of goods or passengers via railways, e.g. energy recovery or reducing air res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튜브형 와이어카(Wire-Car In Tube: WIT)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튜브형 와이어카는, 승객이 승하차하기 위한 승하차 공간이 마련되는 제1 승하차장과, 제1 승하차장과 이격되어 마련되며 승객이 승하차하기 위한 다른 승하차 공간이 마련되는 제2 승하차장 간을 연결하는 튜브 형상의 튜브 하우징(Tube Housing); 튜브 하우징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제1 승하차장 및 제2 승하차장 간을 이동하는 탑승차량; 및 탑승차량이 튜브 하우징 내에서 제1 승하차장 및 제2 승하차장을 이동할 수 있도록 탑승차량을 구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객을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날씨 등의 외부 조건의 영향이 미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이동 시간동안 승객에게 최대한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제공할 수 있다.A wire-car in tube (WIT) is disclosed. The tubular wire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ube connecting a first boarding point where a loading / unloading space for passengers to get on and off, and a second boarding point where the first loading / unloading space is provided and a different loading / unloading space for passengers to get on and off are provided. A tube housing shaped; A boarding vehicle movably disposed in the tube housing to move between the first boarding point and the second boarding point; And a driving unit driving the boarding vehicle so that the boarding vehicle can move the first boarding point and the second boarding point in the tube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the passenger be safely moved, but also it can provide the maximum convenience to the passenger during the traveling time by blocking the influence of external conditions such as the weather.

리프트, 튜브, 케이블카, 와이어카, 스키장, 구동유닛 Lift, tube, cable car, wire car, ski resort, drive unit

Description

튜브형 와이어카{Wire-Car In Tube}Wire-Car In Tube

본 발명은, 튜브형 와이어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승객을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날씨 등의 외부 조건의 영향이 미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이동 시간동안 승객에게 최대한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튜브형 와이어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bular wire car, and more particularly, not only can safely move a passenger, but also can prevent the influence of external conditions such as weather, thereby providing maximum convenience to the passenger during the travel time. It relates to a tubular wire car.

리프트(Lift)란 저지대에서 고지대로 또는 고지대에서 저지대로 사람, 사물 등을 옮기는 장치를 총칭한다. 이러한 리프트의 대표적인 예로는 스키장에서 사용되는 스키 곤돌라와, 관광지 또는 산악지대에 이용되는 케이블카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스키 곤돌라는 저지대에 있는 사람을 슬로프가 위치하는 고지대로 이동시킬 수 있어 스키장을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Lift is a general term for a device that moves people, objects, etc. from a lowland to a highland or a highland to a lowland. Representative examples of such lifts include ski gondola used at ski resorts and cable cars used for tourist attractions or mountainous areas. Among these, ski gondola can move people in the lowlands to the highlands where the slopes are located.

스키 곤돌라는 일반적으로, 저지대와 고지대의 상부를 연결하는 케이블 또는 로프와, 로프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사람을 이동시키는 이동탑승부와, 이동탑승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한다. 이동탑승부로는, 케이블카, 곤돌라 등이 주로 적용되고 있다.The ski gondola generally includes a cable or rope connecting the upper part of the lowland and the highlands, a moving riding part installed to be fixed to the rope to move a person, and a driving part driving the moving riding part. Cable cars, gondola, etc. are mainly applied as a mobile board | substrate.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스키 곤돌라 및 케이블카 등에 있어서는, 지면에 고 정된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케이블카 또는 곤돌라의 상부가 로프에 결합된 상태로 이동하는 것이기 때문에 바람, 비, 눈 등 날씨에 의해 움직임이 상당하여 추락 등의 사고 위험이 있으며, 또한 스키 곤돌라의 경우 승객이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추위 또는 더위 등을 차단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승객이 불편함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다.By the way, in the conventional ski gondola and cable car, because the upper part of the cable car or gondola is coupled to the rope rather than moving along a fixed path to the ground, it moves due to weather such as wind, rain and snow. There is a considerable risk of accidents, such as falls, and also ski gondola can not block the cold or heat because the passengers are exposed to the outsid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assengers feel uncomfortable.

이에, 승객을 편안하면서도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리프트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lift of a new structure that can move passengers comfortably and safely.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객을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날씨 등의 외부 조건의 영향이 미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이동 시간동안 승객에게 최대한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제공할 수 있는 튜브형 와이어카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ubular wire car which can not only safely move a passenger but also provide a maximum convenience for the passenger during the travel time by blocking the influence of external conditions such as weather. .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승객이 승하차하기 위한 승하차 공간이 마련되는 제1 승하차장과, 상기 제1 승하차장과 이격되어 마련되며 승객이 승하차하기 위한 다른 승하차 공간이 마련되는 제2 승하차장 간을 연결하는 튜브 형상의 튜브 하우징(Tube Housing); 상기 튜브 하우징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승하차장 및 상기 제2 승하차장 간을 이동하는 탑승차량; 및 상기 탑승차량이 상기 튜브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제1 승하차장 및 상기 제2 승하차장을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탑승차량을 구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와이 어카에 의해서 달성된다.Th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boarding point is provided with a loading and unloading space for getting on and off, and the second boarding point is provide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oading and unloading space for passengers to get on and off A tube housing having a tube shape; A boarding vehicle movably disposed in the tube housing to move between the first boarding point and the second boarding point; And a driving unit driving the boarding vehicle so that the boarding vehicle can move the first boarding point and the second boarding point in the tube housing.

여기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튜브 하우징 내의 하부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탑승 차량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이동레일; 상기 이동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며, 상기 탑승차량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탑승차량을 견인하는 견인용 와이어(wire); 및 상기 견인용 와이어를 견인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와이어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drive unit, a moving rail provided in the lower region in the tube housing to provide a moving path of the vehicle; A towing wire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ing rail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boarding vehicle to pull the boarding vehicle; And it may include a wire drive unit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towing the towing wire.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탑승차량의 이동 시 상기 탑승차량과 상기 이동레일 간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탑승차량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이동레일의 표면 상에 구름 회전하는 다수의 구동휠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driving wheels provided below the vehicle and rolling on the surface of the moving rail in order to reduce friction between the vehicle and the moving rail when the vehicle is moved. Can be.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이동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이동레일의 표면에 마련되는 자성의 제1 자극; 및 상기 탑승차량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자극과 상호 자기적으로 작용하여 상기 이동레일에 대해 상기 탑승차량을 자기 부상시키는 제2 자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rive unit may include: a first magnetic pole provided on a surface of the moving rail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ing rail; And a second magnetic pol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to magnetically interact with the first magnetic pole to magnetically float the vehicle on the moving rail.

상기 튜브 하우징은, 상기 이동레일이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튜브몸체; 및 상기 튜브몸체를 감싸며 마련되는 튜브관을 포함할 수 있다.The tube housing, the tube body is provided with the movable rai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t may include a tube tube provided to surround the tube body.

상기 튜브 하우징은, 상기 튜브 하우징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공기 상태를 조절하는 공조장치; 및 상기 튜브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탑승차량의 승객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 패널창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ube housing may include an air conditioner for adjusting an air condition of an internal space formed by the tube housing; And an information providing panel window provided on the tube body to provide information to the passenger of the vehicle.

상기 공조장치는, 상기 튜브몸체에 내장되어 상기 튜브관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을 향해 열풍을 공급하는 난방장치; 상기 튜브관의 천정에 장착되어 상기 내부 공간을 향해 냉풍을 제공하는 냉방장치; 및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튜브관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 공간의 공기를 환기시키는 환기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includes: a heating device embedded in the tube body and supplying hot air toward an inner space formed by the tube tube; A cooling device mounted on the ceiling of the tube tube to provide cooling air toward the inner space; And it may be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tube tube to communicate with the internal space may include a ventilation device for ventilating the air in the internal space.

상기 튜브 하우징은, 상기 튜브관의 천정에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빛을 발산하는 다수의 발광다이오드 램프(LED ramp); 및 상기 튜브관의 천정에 설치되어 상기 튜브 하우징의 내부 상태를 실시간을 촬영하기 위한 다수의 촬영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ube housing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D lamp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ceiling of the tube tube to emit light; And a plurality of photographing cameras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tube tube for capturing the internal state of the tube housing in real time.

상기 튜브 하우징은, 상기 튜브관의 벽부에 상호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개폐윈도우; 상기 튜브관의 외측벽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튜브 하우징의 외면을 조명하는 다수의 장식용 LED 램프; 및 상기 튜브관의 외측벽에 마련되어, 태양광 및 태양열을 흡수하여 전력을 발생시키는 태양전지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ube housing may include a plurality of opening and closing window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all portion of the tube tube; A plurality of decorative LED lamps mount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outer wall of the tube tube to illuminate the outer surface of the tube housing; And a solar panel provided on an outer wall of the tube tube to absorb sunlight and solar heat to generate power.

상기 튜브 하우징은, 상기 튜브관의 측부에 마련되어 비상 시 상기 튜브 하우징의 외부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비상출입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ube housing may further include an emergency exit provided at the side of the tube tube to evacuate to the outside of the tube housing in an emergency.

상기 튜브관은, 상기 튜브 하우징의 외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제작될 수 있다.The tube tube may be made transparent or translucent so as to identify the outside of the tube housing.

상기 탑승차량에는, 상기 탑승차량이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진 상기 튜브 하우징의 내부를 이동할 때 상기 탑승차량이 평형에 근접할 수 있도록, 쇼크업소버(Shock Absorber)가 장착될 수 있다.The boarding vehicle may be equipped with a shock absorber so that the boarding vehicle may approach an equilibrium when the boarding vehicle moves inside the tube housing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하나의 상기 튜브 하우징 내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탑승차량이 일방향으로 이동하고 다른 하나의 상기 튜브 하우징 내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탑승차량이 타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한 쌍의 상기 튜브 하우징이 상호 나란하게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튜브 하우징의 사이의 상부 영역에는, 상기 한 쌍의 튜브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한 환기장치와, 상기 한 쌍의 튜브 하우징의 전기장치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력을 발생시키는 태양전지판이 설치될 수 있다.The pair of tube housings are provid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such that at least one of the passenger vehicles in one tube housing moves in one direction and the at least one of the passenger vehicles in another tube housing is movable in the other direction. In the upper region between the pair of tube housings, a ventilator for ventilating the air in the inner space of the pair of tube housings, and generating power for driving the electrical devices of the pair of tube housings Solar panels can be installed.

또한, 상기 튜브 하우징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어느 한 상기 탑승차량이 일방향으로 이동하고 적어도 하나의 다른 상기 탑승차량이 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탑승차량의 이동 경로인 이동레일이 나란하게 2열로 마련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tube housing, at least one of the boarding vehicles may move in one direction and at least one of the other boarding vehicles may move in the other direction, so that the moving rails, which are moving paths of the boarding vehicle, are arranged in two rows side by side. It may be arranged.

상기 튜브형 와이어카(Wire-Car in Tube)는 스키장, 관광지 및 산악지대에 설치 가능하다.The tubular wire car (Wire-Car in Tube) can be installed in ski resorts, tourist attractions and mountainous areas.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객을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날씨 등의 외부 조건의 영향이 미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이동 시간동안 승객에게 최대한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not only to safely move the passenger, but also to block the influence of external conditions such as weather, thereby providing the passenger with the maximum convenience during the travel time.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튜브형 와이어카가 적용된 리조트의 개략적인 조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튜브형 와이어카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투영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탑승차량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탑승차량이 경사진 튜브 하우징의 이동 시 가스식 업다운 쇼크업소버에 의한 형상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탑승차량이 경사진 튜브 하우징의 이동 시 구름볼 타입 쇼크업소버에 의한 형상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bird's-eye view of a resort to which a tubular wire car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ubular wire c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2.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vehicle shown in Figure 3, Figure 5 is a view showing the shape change by the gas-type up-down shock absorber during the movement of the inclined tube housing shown in Figure 4, Figure 6 4 is a view showing the shape change by the rolling ball type shock absorber when the vehicle is inclined to move the inclined tube housing.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튜브형 와이어카(1, Wire-Car In Tube: WIT)는, 스키장, 관광지 및 산악지대 등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저지대에 마련되는 제1 승하차장(3, 도 1 참조)과 고지대에 마련되는 제2 승하차장(미도시) 간을 연결하는 튜브(tube) 형상의 튜브 하우징(10, Tube Housing)과, 튜브 하우징(10) 내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제1 승하차장(3)의 승객을 제2 승하차장으로 이동시키거나 제2 승하차장의 승객을 제1 승하차장(3)으로 이동시키는 탑승차량(50)과, 탑승차량(50)이 튜브 하우징(10) 내에서 제1 승하차장(3) 및 제2 승하차장을 이동할 수 있도록 탑승차량(50)을 구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a wire-car In Tube (W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installed in a ski resort, a tourist destination, a mountainous region, etc., is a first boarding point provided in a lowland area. (3, FIG. 1) and the tube housing (tube) of the tube shape (10) connecting between the second loading and unloading station (not shown) provided in the high ground, and provided in the tube housing 10 to be movable The boarding vehicle 50 for moving the passengers of the first boarding point 3 to the second boarding point or moving the passengers of the second boarding point to the first boarding point 3, and the boarding vehicle 50 are located in the tube housing 10. And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boarding vehicle 50 to move the first boarding point 3 and the second boarding point.

본 실시 예의 튜브 하우징(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나란하게 한 쌍 마련되며, 한 쌍의 튜브 하우징(10)의 내부에는, 탑승차량(50) 및 탑승차량(50)의 이동을 위한 구동유닛이 각각 마련된다.As shown in FIG. 2, the tube housing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pair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inside the pair of tube housings 10, the vehicle 50 and the vehicle 50 of the vehicle 50 are provided. Drive units for movement are respectively provided.

먼저, 구동유닛에 대해 설명하면, 구동유닛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 하우징(10) 내의 하부 영역에 마련되어 탑승차량(50)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이동레일(71)과, 이동레일(7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레일(71)의 저면에 장착되어 탑승차량(50)을 견인하는 견인용 와이어(73)와, 견인용 와이어(73)를 견인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First, referring to the driving unit, the driving unit, 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moving rail 71 is provided in the lower region in the tube housing 10 to provide a movement path of the vehicle 50 And a traction wire 73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vable rail 7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able rail 71 to pull the vehicle 50 and a driving force for pulling the towing wire 73. It includes a driving unit (not shown) to provide.

이동레일(71)은, 후술할 튜브 하우징(10)의 튜브몸체(20)의 표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이러한 형상의 이동레일(71)에 탑승차량(50)의 하단 부분이 부분적으로 삽입되도록 결합되며, 따라서 탑승차량(50)은 이동레일(71)을 따라 이동할 때 이탈될 우려 없이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moving rail 71 is recessed inwardly from the surface of the tube body 20 of the tube housing 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50 is coupled to the moving rail 71 of such a shape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boarding vehicle 50 is partially inserted, and thus the boarding vehicle 50 can be stably moved without fear of being separated when moving along the moving rail 71. .

견인용 와이어(73)는, 탑승차량(50)의 하부에 마련된 견인부분(미도시)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실질적으로 탑승차량(50)을 견인하는 부분으로서, 탑승차량(50) 및 그에 탑승한 승객을 견인할 수 있도록 강도가 높은 재질인 와이어(wire)로 제작된다. The towing wire 73 is a portion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a towing portion (not shown)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50 to substantially tow the vehicle 50, and the vehicle 50 and the vehicle It is made of high-strength wire to pull a passenger.

이러한 견인용 와이어(73)는 폐루프 형상을 가지며, 제1 승하차장(3) 및 제2 승하차장과 인접한 영역에는 견인용 와이어(7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풀리(미도시) 및 풀리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부가 마련된다. 따라서, 구동부를 구동시키면 풀리가 일방향으로 순환하게 되고 이러한 풀리의 회전에 의해 견인용 와이어(73)가 순환하게 됨으로써 견인용 와이어(73)에 결합된 탑승차량(50)은 조작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towing wire 73 has a closed loop shape, and rotates a pulley (not shown) and a pulley to which the towing wire 73 is rotatably coupled to an area adjacent to the first boarding point 3 and the second boarding point. The drive unit is provided. Accordingly, when the driving unit is driven, the pulley circulates in one direction, and the towing wire 73 is circulated by the rotation of the pulley so that the vehicle 50 coupled to the towing wire 73 is moved in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operated. Can be.

한편, 탑승차량(50)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탑승차량(50)과 이동레 일(71) 간의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 본 실시 예의 구동유닛은, 탑승차량(50)의 하단면의 네 모서리 영역에 마련되는 4개의 구동휠(미도시)과 옆면에 마련되는 4개의 구동휠 (51)을 더 구비한다.On the other hand, when moving the vehicle 50 in one direction, in order to reduce the friction between the vehicle 50 and the moving rail 71, the drive unit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four corner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50 Four drive wheels (not shown) provided in the area and four drive wheels 51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are further provided.

이러한 구동휠(51)은 이동레일(71)의 표면에 대해 구름 마찰함으로써 탑승차량(50)과 이동레일(71) 간의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탑승차량(50)을 견인하기 위한 구동유닛의 구동력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The driving wheel 51 can reduce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vehicle 50 and the moving rail 71 by rolling friction with respect to the surface of the moving rail 71, thus driving unit for towing the vehicle 5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gnitude of the driving force.

다만, 본 실시 예에서는, 탑승차량(50)에 대한 구동유닛의 견인 작동에 기인하여 구동휠(51)이 회전한다고 설명하였으나, 탑승차량(50)에 별도의 구동장치(미도시)를 장착하여 구동휠(51)을 구동시킬 수도 있을 것이며, 이로 인해 구동유닛에 요구되는 구동력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However,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driving wheel 51 is rotated due to the traction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with respect to the boarding vehicle 50. However, a separate driving device (not shown) is mounted on the boarding vehicle 50. The driving wheel 51 may be driven, thereby relatively reducing the magnitude of the driving force required for the driving unit.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탑승차량(50)에 구동휠(51)을 장착하여 탑승차량(50)과 이동레일(71) 간의 상대적인 마찰력을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해 구동유닛의 구동력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고 설명하였으나, 제작이 용이하다면 자기부상원리를 이용하여 탑승차량(50)을 이동시킬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by mounting the driving wheel 51 on the vehicle 50 can reduce the relative friction between the vehicle 50 and the moving rail 71, thereby reducing the magnitude of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e unit Although it can be described, if the production is easy will be able to move the vehicle 50 using the magnetic levitation principle.

다시 말해, 이동레일(71)의 표면을 따라 자성을 갖는 제1 자극(미도시)을 형성하고, 이러한 제1 자극에 상호 자기적으로 작용하는 제2 자극(미도시)을 탑승차량(50)의 하단부에 마련하여, 탑승차량(50)이 이동레일(71)에 대해 자기적으로 부상된 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레일(71)의 표면에 대해 탑승차량(50)이 자기 부상되어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작은 구동력만으로도 탑승차량(50)을 견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구동유닛에 요구되는 구동력 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In other words, a first magnetic pole (not shown) having a magnetism is formed along the surface of the moving rail 71, and the second vehicle (not shown) acting magnetically on the first magnetic pole is shown in the vehicle 50.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the vehicle 50 can implement a magnetically injured state for the moving rail (71). As such, when the vehicle 50 is magnetically floating on the surface of the moving rail 71 to maintain its state, the vehicle 50 may be towed with only a relatively small driving force, thereby driving the vehicle 50. The amount of driving force required can be reduced relatively.

이와 같이, 탑승차량(50)의 하부에 구동휠(51)을 장착하거나, 또는 이동레일(71)과 자기적으로 작용하여 탑승차량(50)이 이동레일(71)에 대해 부상된 상태를 유지하게 함으로써 구동유닛에 요구되는 구동력의 크기를 상당 부분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에너지 효율을 높임으로써 탑승차량(50) 운행을 위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As such, the driving wheel 51 is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50, or magnetically acts with the movable rail 71 to maintain the state in which the occupant vehicle 50 is injured with respect to the movable rail 71. By doing so, the magnitude of the driving force required for the driving unit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and thus, the cost for driving the vehicle 50 can be reduced by increasing the energy efficiency.

한편, 탑승차량(50)은, 제1 승하차장(3) 및 제2 승하차장에 있는 승객을 이동시키는 차량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객이 마주보며 착석할 수 있는 다수의 의자(52)와,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LCD 패널(53)과, 탑승차량(50)의 외면에 마련되어 다양한 상품을 광고하는 광고창(55) 등을 구비하며, 이에 따라 승객에게 다양한 정보 및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탑승차량(5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연결 가능하여 승객의 이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ehicle 50 is a vehicle for moving the passengers in the first boarding point 3 and the second boarding point, as shown in Figure 4, a plurality of chairs 52 that can be seated facing the passengers And an LCD panel 53 for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and an advertisement window 55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oarding vehicle 50 for advertising various products, thereby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and convenience to passengers. have. In addition, such a vehicle 50, as shown in Figure 4,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interconnected to improve the travel efficiency of the passenger.

또한 탑승차량(5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 하우징(10)의 경사진 구간을 이동하는 탑승차량(50)이 평형 상태에 근접할 수 있도록, 가스(gas)식 업다운(up-down) 쇼크업소버(55, Shock Absorber)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가스(gas)식 업다운(up-down) 쇼크업소버(55) 의해, 탑승차량(50)이 튜브 하우징(10)의 오르막을 오르는 경우, 가스(gas)식 업다운(up-down) 쇼크업소버(55)가 탑승차량(50)의 후단부를 업(up)시키고 선단부를 다운(down)시킴으로써 탑승차량(50)이 평형 상태에 근접할 수 있으며, 또한 탑승차량(50)이 튜브 하우징(10)의 내리막을 따라 내려가는 경우 가스(gas)식 업다운(up-down) 쇼크업소버(55)가 반대 방향으로 탑승차량(50)의 위치를 조절하여 탑승차량(50)이 평형 상태에 근접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the boarding vehicle 50 has a gas-type up-down so that the boarding vehicle 50 moving in the inclined section of the tube housing 10 can approach an equilibrium state. -down) Shock absorber (55, Shock Absorber) is installed. When the vehicle 50 rises up the tube housing 10 by such a gas up-down shock absorber 55, a gas up-down shock absorber ( 55 allows the vehicle 50 to approach equilibrium by allowing the rear end of the vehicle 50 to be up and down, and the vehicle 50 to the tube housing 10. When going down the downhill gas gas up-down shock absorber 55 adjusts the position of the vehicle 50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allow the vehicle 50 to approach the equilibrium state.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 하우징(10)의 경사진 구간을 이동하는 탑승차량(50)이 평형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가스(gas)식 업다운(up-down) 쇼크업소버(55)가 아닌 구름볼 타입 쇼크업소버(56)가 적용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설명하면, 탑승차량(50)이 상대 이동 가능한 상부몸체(50a) 및 하부몸체(50b)를 갖도록 구성한 후, 그 사이에 다수의 구름볼 타입 쇼크업소버(56)를 개재시키고, 이러한 구름볼 타입 쇼크업소버(56)에 의해 탑승차량(50)의 상부몸체(50a)가 탑승차량(50)의 하부몸체(50b)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튜브 하우징(10)의 경사도에 따라 탑승차량(50)의 평형 상태를 적절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6, the gas vehicle up-down shock absorber 55 to maintain the equilibrium state of the vehicle 50 moving inclined section of the tube housing 10 A non-cloud ball type shock absorber 56 may be applied. In this regard, after the vehicle 50 is configured to have a relatively movable upper body 50a and a lower body 50b, a plurality of rolling ball type shock absorbers 56 are interposed therebetween, such rolling ball. The type shock absorber 56 allows the upper body 50a of the vehicle 50 to be relative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lower body 50b of the vehicle 50 so that the boarding vehicle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tube housing 10 can be moved. Ensure that the equilibrium state of 50) is properly maintained.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튜브 하우징(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튜브 하우징(10, Tube Housing)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이동레일(71)이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튜브몸체(20)와, 튜브몸체(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튜브몸체(20)를 감싸며 결합되는 튜브 형상의 튜브관(30)을 포함한다.Next, when the configuration of the tube housing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ube housing 10 (Tube Housing), as shown in Figure 3, the above-described moving rail 7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ncludes a tube body 20 is provided along the tube-shaped tube tube 30 coupled to surround the tube body 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be body 20.

이러한 구성을 갖는 튜브 하우징(10)은, 탑승차량(50)이 고정 설치된 튜브몸체(20)의 이동레일(7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승객이 안전하게 원하는 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튜브관(30)이 탑승차량(50)의 이동 경로를 감싸며 결합됨으로써 이동 중에 승객을 보호하는 역할을 담당한다.The tube housing 1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llows the passenger vehicle to move safely to a desired place by allowing the passenger vehicle 50 to move along the moving rails 71 of the tube body 20 fixedly installed, and also the tube tube. 30 is coupled to wrap around the moving path of the vehicle 50 serves to protect the passengers during the movement.

또한 튜브 하우징(10)은, 튜브 하우징(1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 즉 탑승 차량의 이동 공간의 공기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공조장치를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tube housing 10 further includes an air conditioner for adjusting the air condition of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tube housing 10, that is, the moving space of the vehicle.

공조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몸체(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실내 공간에 열풍을 공급하는 난방장치(21)와, 튜브관(30)의 천정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실내 공간에 냉풍을 공급하는 냉방장치(31)와, 실내 공간과 연통되도록 튜브관(30)의 외부에 설치되어 실내 공간의 공기를 신선한 공기로 환기시키는 환기장치(32)를 구비한다. 본 실시 예와 같이, 한 쌍의 튜브 하우징(10)이 상호 나란하게 마련되는 경우 환기장치(3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사이에 설치되어 한 쌍의 튜브 하우징(10)에 대한 환기 작업을 같이 실행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air conditioner is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be body 20 and is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iling of the tube 21 and the heating device 21 for supplying hot air to the indoor space. It is provided with a cooling device 31 for supplying cooling air to the indoor space, and a ventilation device 32 installed outside the tube tube 3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door space to ventilate the air in the indoor space with fresh air.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pair of tube housings 10 are provid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the ventilation device 32 is installed between them, as shown in FIGS. 2 and 3, and the pair of tube housings ( Ventilation work for 10) can be performed together.

여기서, 냉방장치(31) 및 난방장치(21)로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슬림(slim)한 구조로 적은 공간을 차지하는 라인디퓨져(Line Diffuser)가 적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as the air conditioner 31 and the heater 21, a line diffuser may be used that not only adjusts the direction of air but also takes up a small space with a slim structure.

이러한 공조장치의 구성에 의해, 승객은 겨울철과 같이 추운 날씨에서도 따뜻한 상태로 승하차장 간을 이동할 수 있으며, 또한 여름철과 같이 더운 날씨에서도 시원한 상태로 승하차장 간을 이동할 수 있다. By the configuration of the air conditioning device, the passenger can move between the loading and unloading station in a cold state, even in cold weather, such as winter, and can also move between the loading and unloading station in a cool state, even in hot weather such as summer.

또한 본 실시 예의 튜브 하우징(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관(30)의 천정 부분에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실내 공간에 빛을 발산하는 발광다이오드 램프(33, LED ramp)와, 튜브관(30)의 천정에 설치되며 튜브 하우징(10)의 내부 상태를 실시간으로 촬영하기 위한 다수의 촬영카메라(34)와, 튜브몸체(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승객에게 다양한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패널(39)을 더 구비한다.In addition, the tube housing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3,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ceiling portion of the tube tube 30 and the light emitting diode lamp 33 (LED ramp) for emitting light to the interior space and ,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tube tube 30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hooting cameras 34 for shooting in real time the internal state of the tube housing 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be body 20 to provide a variety of advertisements to the passengers Further provided with an advertising panel 39.

발광다이오드 램프(33)는, 탑승차량(50)을 타고 이동하는 승객에게 눈부시지 않은 은은한 조명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될 수 있어 유지보수를 위한 작업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light emitting diode lamp 33 not only provides unobtrusive light to a passenger moving in the vehicle 50, but also can be used for a long time, thereby reducing work for maintenance.

촬영카메라(34)는, 탑승차량(50)이 이동하는 실내 공간을 실시간으로 촬영함으로써 이러한 튜브형 와이어카(1)의 시스템을 총괄적으로 관리하는 운영자가 실내 공간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해 비상 사태 등이 발생 시 이에 대한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The photographing camera 34 allows the operator who manages the system of the tubular wire car 1 to check the status of the indoor space by photographing the indoor space in which the vehicle 50 moves in real time. In case of an emergency, it plays a role in prompt action.

또한, 튜브 하우징(1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개폐 가능한 다수의 개폐윈도우(35)가 마련되어 있으며, 또한 비상 사태 발생 시 신속한 대피를 할 수 있도록 다수의 비상출입구(36)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날씨에 따라 개폐윈도우(35)를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실내 공간의 공기 상태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적절한 간격으로 비상출입구(36)가 설치되어 비상사태 발생 시 외부 공간으로 신속히 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ube housing 10, as shown in Figure 2,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pening and closing windows 35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along its longitudinal direction, and also a number of emergency exits so as to quickly evacuate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36 is provided. Therefore, by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and closing window 35 according to the weather,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adjust the air condition of the interior space, and also the emergency exit 36 is installed at appropriate intervals can be quickly moved to the external space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한편, 본 실시 예의 튜브 하우징(10)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튜브형 와이어카(1)가 상호 접하는 부분의 상부에 다수의 태양전지판(37)이 장착되어 있다. 태양전지판(37)은 태양광 및 태양열을 흡수하여 전력을 발생시킴으로써 본 실시 예의 튜브형 와이어카(1)에 장착된 전기장치 중 적어도 일부분을 구동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력소비량을 줄일 수 있어 이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tube housing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2, a plurality of solar panels 37 are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where the pair of tubular wire car 1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solar panel 37 may generate power by absorbing sunlight and solar heat, thereby driving at least a part of the electric device mounted on the tubular wire car 1 of the present embodiment, which may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Can reduce the cost.

또한 튜브 하우징(10)의 외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다수의 장식용 LED 램프(38)가 장착되어 있다. 장식용 LED 램프(38)는 튜브 하우징(10)의 외면을 조명함으로써 외부에서 봤을 때 본 실시 예에 따른 튜브형 와이어카(1)의 전체적인 심미감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decorative LED lamps 38 are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ube housing 10, as shown in FIG. 2. The decorative LED lamp 38 serves to improve the overall aesthetics of the tubular wire ca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viewed from the outside by illumina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tube housing 10.

튜브 하우징(10)의 튜브관(30)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강도유리 또는 강화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승객이 탑승차량(50)을 타고 이동 시 외부의 환경을 관광할 수 있어 승객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투명 또는 반투명은 아니지만 강한 강도를 갖는 금속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측벽에 다수의 개폐윈도우(35)를 장착함으로써 관광 효과를 구현하게 할 수도 있다.The tube tube 30 of the tube housing 10 may be made of transparent or translucent strength glass or reinforced plastic material. Therefore, when the passenger travels in the boarding vehicle 50, the passenger may tour the external environment, thereby increasing the satisfaction of the passenger. In addition, it may be provided as a metal material having a strong strength, but not transparent or translucent, and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opening and closing windows 35 may be mounted on sidewalls to implement a tourism effect.

한편, 본 실시 예의 튜브형 와이어카(1)는 비교적 먼 두 지점, 즉 제1 승하차장과 제2 승하차장을 연결하기 때문에 중간 영역에 튜브형 와이어카(1)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부(80)가 지면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와 같이 상호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탑승차량(50)을 갖는 튜브형 와이어카(1)가 한 쌍 마련되는 경우 한 쌍의 튜브형 와이어카(1)가 상호 견고하게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쌍의 튜브형 와이어카(1)를 병렬로 연결하는 링크부(85)가 더 마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tubular wire car 1 of the present embodiment connects two relatively distant points, that is, the first boarding point and the second boarding point, a plurality of supports 80 supporting the tubular wire car 1 in the middle area are placed on the ground. It is fixedly installed. In addition, when a pair of tubular wire cars 1 having a vehicle 50 moving in opposite directions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a pair of tubular wire cars 1 may be firmly maintained to each other. Link portion 85 for connecting a pair of tubular wire car 1 in parallel may be further provided.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튜브형 와이어카(1)의 작동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method of the tubular wire car 1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제1 승하차장(3)의 승객을 제2 승하차장으로 이동시킬 경우, 승객을 탑승차량(50)에 탑승시킨 후, 구동유닛을 작동시킨다. 구동유닛을 작동시키면 구동부 가 견인용 와이어(73)를 일측으로 순환시킴으로써 견인용 와이어(73)의 일부분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탑승차량(50)은 이동레일(71)을 따라 제2 승하차장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탑승차량(50)의 하부에 장착된 구동휠(51)이 이동레일(71)의 표면과 구름 마찰하며 회전하기 때문에 탑승차량(50)의 견인을 위한 구동유닛의 구동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First, when the passengers of the first boarding point (3) to move to the second boarding point, the passengers board the vehicle 50, and then operate the drive unit. When the driving unit is operated, the driving unit circulates the towing wire 73 to one side so that the boarding vehicle 50 detachably coupled to a portion of the towing wire 73 is moved along the moving rails 71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boarding point. I can move it. At this time, since the driving wheel 51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50 rotates in friction with the surface of the moving rail 71,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for towing the vehicle 50 may be reduced. have.

승객은 탑승차량(50)을 탑승하고 이동하면서, 주위의 외부 환경을 관광할 수 있다. 이 때 공조장치에 의해 탑승차량(50)이 이동하는 실내 공간의 공기 상태가 적절히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튜브 하우징(10)이 탑승차량(50)의 이동 경로인 이동레일(71)을 감싸며 결합되기 때문에 승객은 외부 조건에 영향 받지 않고, 안전하면서도 쾌적한 이동을 할 수 있다.Passengers may travel around and ride the vehicle 50 while traveling. At this time, the air condition of the indoor space in which the vehicle 50 moves by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can be properly maintained. In addition, since the tube housing 10 is coupled to surround the moving rail 71, which is the movement path of the vehicle 50, the passenger can be moved safely and comfortably without being influenced by external conditions.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하면, 튜브 형상의 튜브 하우징(10)을 따라 승객이 탑승한 탑승차량(50)이 이동할 수 있어 종래보다 안전하게 원하는 장소로 이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조장치에 의해 튜브 하우징(10)의 내부를 쾌적하게 유지함으로써 탑승차량(50)을 타고 이동하는 승객의 편의성 및 만족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assenger vehicle 50 in which the passenger rides along the tube-shaped tube housing 10 can move, so that the vehicle can be moved to a desired place more safely than before. By keeping the interior of 10) comfortable,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convenience and satisfaction of the passenger moving in the vehicle 50.

한편,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튜브형 와이어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튜브형 와이어카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following,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a tubular wire c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same description as that described in the tubular wire c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튜브형 와이어카의 투영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튜브형 와이어카(101)는, 내부에 각각 하나의 이동레일(71, 도 3 참조)이 마련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튜브형 와이어카(1)와는 달리, 튜브형 와이어카(101)의 내부에 상호 나란한 2열의 이동레일(171)이 마련되어 있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 tubular wire c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tubular wire car 10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moving rail 71 therein. Unlike the tubular wire ca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provided with reference to FIG. 3, two rows of moving rails 171 are provided in the tubular wire car 101.

2열의 이동레일(171)은 상호 반대되는 방향으로 탑승차량(150)을 이동시키는 이동 경로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튜브형 와이어카(101)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쌍의 튜브형 와이어카(1, 도 3 참조)를 하나의 튜브형 와이어카로 변형시킨 것이라 할 수 있다. The two rows of moving rails 171 are moving paths for moving the vehicle 150 i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and the tubular wire car 10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aid that the tubular wire car 1 (see FIG. 3) is transformed into one tubular wire car.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튜브형 와이어카(101)는, 하나의 튜브 하우징(110)의 내부에 쌍방향으로의 이동레일(171)이 마련되어 제작이 더 용이할 수 있으며, 내부에 구비되는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수를 반으로 줄일 수 있어 제작 비용을 절감시킬 수도 있다.In the tubular wire car 10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ving rail 171 in two directions is provided inside one tube housing 110, and thus the tubular wire car 101 may be more easily manufactured. Some of these configurations can be cut in half,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탑승차량이 견인용 와이어에 의해 견인 구동되되 구동휠 또는 탑승차량 및 이동레일에 각각 마련된 자극들의 자기적인 상호 작용이 탑승차량의 견인을 보조적으로 도운다고 상술하였으나, 제작이 가능하다면 탑승차량은 견인용 와이어의 견인 구동이 아닌, 자기 부상 원리 또는 스스로의 구동에 의해 소정의 장소로 이동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vehicle is towed driven by the towing wire, but the magnetic interaction of the magnetic poles provided on the driving wheel or the vehicle and the moving rail, respectively, assists the towing of the vehicle. If so, the vehicle may move to a predetermined place by the magnetic levitation principle or by its own drive, rather than by the traction drive of the towing wir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튜브형 와이어카가 적용된 리조트의 개략적인 조감도이다. 1 is a schematic aerial view of a resort to which a tubular wire car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튜브형 와이어카의 사시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ubular wire c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투영 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ojection of FIG. 2.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탑승차량의 사시도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vehicle shown in FIG. 3.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탑승차량이 경사진 튜브 하우징의 이동 시 가스식 업다운 쇼크업소버에 의한 형상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shape change by a gaseous up-down shock absorber when the vehicle in which the vehicle shown in FIG. 4 is inclined moves. FIG.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탑승차량이 경사진 튜브 하우징의 이동 시 구름볼 타입 쇼크업소버에 의한 형상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shape change by a rolling ball type shock absorber when the vehicle in which the vehicle shown in FIG. 4 is inclined moves. FIG.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튜브형 와이어카의 투영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 tubular wire c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튜브형 와이어카 10 : 튜브 하우징1: tubular wire car 10: tube housing

20 : 튜브몸체 21 : 난방장치20: tube body 21: heating device

30 : 튜브관 31 : 냉방장치30: tube tube 31: air conditioner

32 : 환기장치 33 : 발광다이오드 램프32: ventilator 33: light emitting diode lamp

37 : 태양전지판 50 : 탑승차량37: solar panel 50: the vehicle

51 : 구동휠 55 : 가스식 업다운 쇼크업소버51: driving wheel 55: gas-type up-down shock absorber

56 : 구름볼 타입 쇼크업소버 71 : 이동레일56: rolling ball shock absorber 71: moving rail

73 : 견인용 와이어 80 : 지지부73: towing wire 80: support

Claims (15)

승객이 승하차하기 위한 승하차 공간이 마련되는 제1 승하차장과, 상기 제1 승하차장과 이격되어 마련되며 승객이 승하차하기 위한 다른 승하차 공간이 마련되는 제2 승하차장 간을 연결하는 튜브 형상의 튜브 하우징(Tube Housing); Tube housing tub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loading and unloading space for the passengers to get on and off, and the second loading and unloading space which is provide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oading and unloading space for passengers to get on and off (Tube Housing) ); 상기 튜브 하우징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승하차장 및 상기 제2 승하차장 간을 이동하는 탑승차량; 및A boarding vehicle movably disposed in the tube housing to move between the first boarding point and the second boarding point; And 상기 탑승차량이 상기 튜브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제1 승하차장 및 제2 승하차장을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탑승차량을 구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며,And a driving unit driving the boarding vehicle so that the boarding vehicle can move the first boarding point and the second boarding point in the tube housing. 상기 구동유닛은,The drive unit, 상기 튜브 하우징 내의 하부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탑승 차량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이동레일; A moving rail provided in a lower region of the tube housing to provide a moving path of the vehicle; 상기 이동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며, 상기 탑승차량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탑승차량을 견인하는 견인용 와이어(wire); 및A towing wire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ing rail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boarding vehicle to pull the boarding vehicle; And 상기 견인용 와이어를 견인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와이어 구동부를 포함하며,It includes a wire driving unit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pulling the towing wire, 상기 튜브 하우징은,The tube housing, 상기 이동레일이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튜브몸체; 및A tube body in which the movable rail is provid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상기 튜브몸체를 감싸며 마련되는 튜브관을 포함하며,It includes a tube tube surrounding the tube body, 상기 튜브 하우징은,The tube housing, 상기 튜브관의 벽부에 상호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개폐윈도우; A plurality of opening and closing window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all of the tube tube; 상기 튜브관의 외측벽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튜브 하우징의 외면을 조명하는 다수의 장식용 LED 램프; 및A plurality of decorative LED lamps mount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outer wall of the tube tube to illuminate the outer surface of the tube housing; And 상기 튜브관의 외측벽에 마련되어, 태양광 및 태양열을 흡수하여 전력을 발생시키는 태양전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와이어카.The tubular wire car further comprises a solar panel provided on an outer wall of the tube tube and absorbing sunlight and solar heat to generate electric pow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구동유닛은,The drive unit, 상기 탑승차량의 이동 시 상기 탑승차량과 상기 이동레일 간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탑승차량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이동레일의 표면 상에 구름 회전하는 다수의 구동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와이어카.In order to reduce the friction between the vehicle and the moving rail when the vehicle is moved, the tubular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driving wheel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to rotate on the surface of the moving rail rolling; Wireca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구동유닛은,The drive unit, 상기 이동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이동레일의 표면에 마련되는 자성의 제1 자극; 및A magnetic first magnetic pole provided on a surface of the movable rail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able rail; And 상기 탑승차량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자극과 상호 자기적으로 작용하여 상기 이동레일에 대해 상기 탑승차량을 자기 부상시키는 제2 자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와이어카.And a second magnetic pole provided below the vehicle and magnetically interacting with the first magnetic pole to magnetically float the vehicle on the moving rail.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튜브 하우징은,The tube housing, 상기 튜브 하우징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공기 상태를 조절하는 공조장치; 및An air conditioner for adjusting an air condition of an internal space formed by the tube housing; And 상기 튜브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탑승차량의 승객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 패널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와이어카.Tubular wire car, characterized in that the tube body further comprises an information providing panel window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the passenger of the vehicle.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공조장치는,The air conditioning device, 상기 튜브몸체에 내장되어 상기 튜브관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을 향해 열풍을 공급하는 난방장치;A heating device embedded in the tube body to supply hot air toward an inner space formed by the tube tube; 상기 튜브관의 천정에 장착되어 상기 내부 공간을 향해 냉풍을 제공하는 냉방장치; 및A cooling device mounted on the ceiling of the tube tube to provide cooling air toward the inner space; And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튜브관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 공간의 공기를 환기시키는 환기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와이어카.Tubular wire ca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tube tub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ner space to ventilate the air in the inner spa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튜브 하우징은, The tube housing, 상기 튜브관의 천정에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빛을 발산하는 다수의 발광다이오드 램프(LED ramp); 및A plurality of LED lamp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ceiling of the tube tube to emit light; And 상기 튜브관의 천정에 설치되어 상기 튜브 하우징의 내부 상태를 실시간을 촬영하기 위한 다수의 촬영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와이어카.Is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tube tube tubular wire ca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photographing camera for taking a real time picture of the inner state of the tube housing.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튜브 하우징은,The tube housing, 상기 튜브관의 측부에 마련되어 비상 시 상기 튜브 하우징의 외부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비상출입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와이어카.Tubular wire car further comprises an emergency exit provided on the side of the tube tube to evacuate to the outside of the tube housing in case of emergenc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튜브관은, 상기 튜브 하우징의 외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와이어카.The tube tube is a tubular wire car,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parent or translucent fabric is made to identify the outside of the tube housing.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탑승차량에는, 상기 탑승차량이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진 상기 튜브 하우징의 내부를 이동할 때 상기 탑승차량이 평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쇼크업소버(Shock Absorber)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와이어카.The boarding vehicle is equipped with a shock absorber (Shock Absorber) is mounted so that the boarding vehicle is in equilibrium when the boarding vehicle moves inside the tube housing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하나의 상기 튜브 하우징 내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탑승차량이 일방향으로 이동하고 다른 하나의 상기 튜브 하우징 내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탑승차량이 타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한 쌍의 상기 튜브 하우징이 상호 나란하게 마련되며,The pair of tube housings are provid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such that at least one of the passenger vehicles in one tube housing moves in one direction and the at least one of the passenger vehicles in another tube housing is movable in the other direction. , 상기 한 쌍의 튜브 하우징의 사이의 상부 영역에는, 상기 한 쌍의 튜브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한 환기장치와, 상기 한 쌍의 튜브 하우징의 전기장치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력을 발생시키는 태양전지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와이어카.In an upper region between the pair of tube housings, there is provided an aspect of generating a ventilator for ventilating air in an inner space of the pair of tube housings and an electric power for driving electrical devices of the pair of tube housings. A tubular wire car, wherein a panel is provid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튜브 하우징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어느 한 상기 탑승차량이 일방향으로 이동하고 적어도 하나의 다른 상기 탑승차량이 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탑승차량의 이동 경로인 이동레일이 나란하게 2열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와이어카.In the tube housing, at least one of the boarding vehicles may move in one direction and at least one of the other boarding vehicles may move in the other direction, so that the moving rails, which are moving paths of the boarding vehicle, are provided in two rows side by side. Tubular wire car,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튜브형 와이어카(Wire-Car in Tube)는 스키장, 관광지 및 산악지대에 설치 가능한 튜브형 와이어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와이어카.The tubular wire car (Wire-Car in Tube) is a tubular wire car, characterized in that the tubular wire car can be installed in ski resorts, tourist attractions and mountain areas.
KR1020080088452A 2008-09-08 2008-09-08 Wire-Car In Tube KR1009879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452A KR100987985B1 (en) 2008-09-08 2008-09-08 Wire-Car In Tub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452A KR100987985B1 (en) 2008-09-08 2008-09-08 Wire-Car In Tub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9615A KR20100029615A (en) 2010-03-17
KR100987985B1 true KR100987985B1 (en) 2010-10-18

Family

ID=42179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8452A KR100987985B1 (en) 2008-09-08 2008-09-08 Wire-Car In Tub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798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5430A (en) 2019-08-02 2021-02-10 주식회사 시스매니아 Wire car system operated by two metal wi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97080B (en) * 2017-10-16 2020-02-21 西南交通大学 Vacuum high-speed traffic pipeline
KR102194475B1 (en) * 2018-12-07 2020-12-2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Viaduct structure with nanostructural closed sections
KR102194476B1 (en) * 2018-12-07 2020-12-2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Viaduct structure with hybrid composite section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6463A (en) * 1987-07-10 1989-01-19 Nippon Kokan Kk Constinuous personnel transport device
US4821647A (en) * 1988-03-16 1989-04-18 Powell Tyrone E Downhill tubular guideway having an air suspension system for passenger car
JPH03121971A (en) * 1989-10-03 1991-05-23 Daifuku Co Ltd Conveyor device
JP2000264197A (en) * 1999-03-17 2000-09-26 Nippon Cable Co Ltd Horizontal attitude maintenance mechanism for carrier truc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6463A (en) * 1987-07-10 1989-01-19 Nippon Kokan Kk Constinuous personnel transport device
US4821647A (en) * 1988-03-16 1989-04-18 Powell Tyrone E Downhill tubular guideway having an air suspension system for passenger car
JPH03121971A (en) * 1989-10-03 1991-05-23 Daifuku Co Ltd Conveyor device
JP2000264197A (en) * 1999-03-17 2000-09-26 Nippon Cable Co Ltd Horizontal attitude maintenance mechanism for carrier truc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5430A (en) 2019-08-02 2021-02-10 주식회사 시스매니아 Wire car system operated by two metal wi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9615A (en) 2010-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7985B1 (en) Wire-Car In Tube
JP6553639B2 (en) Elevated urban transportation system for passengers
ES2242938T3 (en) FUNCTIONAL SYSTEM WITH A SUPPORT AND TRANSPORT CABLE AND WITH A PLURALITY OF CHAIRS THAT CAN BE COUPLED TO THIS.
CN106255631A (en) Continuous-moving type cableway
JP2004535321A (en) Monorail system
CN106494432B (en) Bogie and there is its rail vehicle and Rail Transit System
KR101427712B1 (en) Getting on and off facilities of station for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CN110315992B (en) Rail transit system
CN109204330B (en) Large-visual-field suspension type air rail train
CN109501538B (en) Carriage for motor home
US20180208215A1 (en) Personalised Elevated Urban Transport
CN100402357C (en) Tourist railway vehicle
JP2005029043A (en) Monorail device
CN101137540A (en) Captive balloon mobile in a tower
JP2017065362A (en) Carriage of cableway with air conditioner
CN200957817Y (en) Moutain tourist bus
KR200464709Y1 (en) Psd module with buried advertisement panel
US4993327A (en) Apparatus for collective transportation of passengers, of metropolitan type with automatic drive by independent traction trucks using propulsion notably by linear motor
ES2890824T3 (en) air transportation facility
CN104442332A (en) Electric sightseeing vehicle
ES2961632T3 (en) Hybrid cable/rail transport system
US20220125170A1 (en) Sunshade For Outdoor Public Space And Outdoor Public Space Having Such A Sunshade
WO2017026579A1 (en) Roof rack assembly capable of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and roof rack assembly for freight vehicles
CN211641797U (en) Get on or off bus auxiliary device
CN210554788U (en) Single track crane train for tourism and sightsee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