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7378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7378B1
KR100987378B1 KR1020080110011A KR20080110011A KR100987378B1 KR 100987378 B1 KR100987378 B1 KR 100987378B1 KR 1020080110011 A KR1020080110011 A KR 1020080110011A KR 20080110011 A KR20080110011 A KR 20080110011A KR 100987378 B1 KR100987378 B1 KR 100987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thermal expansion
dielectric layer
coefficient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0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0893A (ko
Inventor
권태정
유성훈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0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7378B1/ko
Priority to US12/461,796 priority patent/US8222815B2/en
Publication of KR20100050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0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7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7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38Dielectric or insulat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01J11/12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with main electrod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ischarge sp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을 가지는 복수의 기판;과, 제 1 기판상에 배치된 복수의 제 1 방전 전극;과, 제 1 방전 전극을 매립하는 제 1 유전체층;과, 제 2 기판상에 배치되며, 제 1 방전 전극과 교차하는 제 2 방전 전극;과, 제 2 방전 전극을 매립하는 제 2 유전체층;과,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사이에 배치되며, 방전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과, 방전 공간에 형성된 형광체층;을 포함하되, 제 1 기판과, 제 1 유전체층과의 열팽창 계수의 차이는 2 ≤ 제 1 기판의 열팽창 계수 - 제 1 유전체층의 열팽창 계수 ≤ 17(단위: × 10-7/℃)을 만족하는 것으로서, 기판과, 유전체층간의 미스 매칭으로 인한 기판의 강도 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기판, 유전체층, 열팽창 계수, 미스 매칭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판과 유전체층과의 열팽창 계수의 미스 매칭에 의한 기판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복수의 방전 전극이 배치된 두 기판 사이에 방전 가스를 주입하여 방전시키고, 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자외선에 의하여 형광체층의 형광 물질을 여기시켜서 소망하는 숫자, 문자, 또는 그래픽을 구현하는 평판 표시 장치(flat display device)를 말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방전 셀에 인가하는 구동 전압의 형식, 예컨대, 방전 형식에 따라 직류형과, 교류형으로 분류하고, 전극들의 구성 형태에 따라서 대향 방전형 및 면 방전형으로 구분할 수가 있다.
직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모든 전극들이 방전 공간에 노출되는 구조로서, 대응하는 전극들 사이에 전하의 이동이 직접적으로 이루어진다. 반면에, 교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적어도 한 전극이 유전체층에 매립되고, 대응하는 전극들 사이에 직접적인 전하의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대신에, 유전체층 표 면에 방전에 의하여 생성된 이온과 전자가 부착하여 벽전압(wall voltage)를 형성하고, 벽전하의 전계에 의하여 방전이 수행된다.
대향 방전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단위 픽셀마다 어드레스 전극과 스캔 전극이 대향하여 마련되고, 두 전극간에 어드레싱 방전 및 유지 방전이 일어나는 방식이다. 반면에, 면 방전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각 단위 픽셀마다 어드레스 전극과, 이에 해당되는 방전 유지 전극쌍이 마련되어 어드레싱 방전과 유지 방전이 발생하게 되는 방식이다.
종래의 3전극 면 방전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경우, 제 1 기판과, 제 1 기판과 대향되게 배치된 제 2 기판과, 제 1 기판의 내면에 형성된 X 전극과, Y 전극을 가지는 방전 유지 전극쌍과, 방전 유지 전극쌍을 매립하는 제 1 유전체층과, 제 1 유전체층의 표면에 형성된 보호막층과, 제 2 기판의 내면에 형성되며, 방전 유지 전극쌍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어드레스 전극과, 어드레스 전극을 매립하는 제 2 유전체층과, 제 1 및 제 2 기판 사이에 설치된 격벽과, 격벽내에 형성된 적,녹, 청색의 형광체층과, 제 1 및 제 2 기판의 결합된 내부 공간에 주입된 방전 가스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Y 전극과 어드레스 전극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여 방전 셀을 선택한 다음, X 및 Y 전극에 교대로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여 제 1 기판의 표면으로부터 면 방전이 일어나서 자외선이 발생되고, 선택된 방전 셀의 형광체층으로부터 가시광이 방출되어서 정지 화상 또는 동 영상을 구현할 수가 있다.
최근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점차적으로 대형화되면서, 제조 공정상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한 장의 마더 글래스(mother glass)를 이용하여 2면취부터 8면취에 이르는 다면취 공법을 적용하고 있다.
즉, 마더 글래스의 각 단위 기판상에 복수의 방전 전극쌍과, 이를 매립하는 유전체층과, 격벽과, 형광체층등의 패턴층을 형성하고, 각 단위 기판 사이의 경계부를 면취하는 것에 의하여 단위 기판으로 분리가능하다.
그런데,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단면취시 문제가 되지 않았던 경우가 다면취에서는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기판이 대형화되면서, 기판의 휨이나, 열변형, 각 패턴층의 수축율이 다르기 때문에 단면취 기판에서와의 거동과는 다르다는 것에 기인한다.
이로 인하여, 다면취 공법에서 많이 발생되는 불량중 하나는 패널의 휨이다. 특히, 기판과, 기판상에 형성된 유전체층과의 열팽창 계수의 미스 매칭에 기인하여 많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기판과, 기판상에 형성된 유전체층과의 열팽창 계수가 미스 매칭될 경우에는 그 계면에 강한 잔류 응력이 존재하게 되어서 기판의 강도가 취약해진다.
한편, 제조 원가를 절감하기 위하여 기판의 두께를 박막화하면서, 예컨대, 2.8 밀리미터의 기판의 두께를 1.8 밀리미터로 변경하게 되면서 기판과, 기판상에 형성된 유전체층과의 열팽창 계수가 미스 매칭시의 기판의 강도가 더욱 취약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판과, 기판상에 형성된 유전체층과의 열팽창 계수를 특정한 수식으로 한정하는 것에 의하여 미스 매칭을 줄여서 패널의 휨을 방지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을 가지는 복수의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상에 배치된 복수의 제 1 방전 전극;과,
상기 제 1 방전 전극을 매립하는 제 1 유전체층;과,
상기 제 2 기판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방전 전극과 교차하는 제 2 방전 전극;과,
상기 제 2 방전 전극을 매립하는 제 2 유전체층;과,
상기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사이에 배치되며, 방전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과,
상기 방전 공간에 형성된 형광체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기판과, 제 1 유전체층과의 열팽창 계수의 차이는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학식 1>
2 ≤ 제 1 기판의 열팽창 계수 - 제 1 유전체층의 열팽창 계수 ≤ 17(단위: × 10-7/℃)
또한, 상기 제 1 방전 전극은 상기 제 1 기판의 일방향으로 배치된 방전 유지 전극쌍이고, 상기 제 2 방전 전극은 상기 제 2 기판의 일방향으로 배치된 어드레스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제 1 기판은 77 내지 87(단위: × 10-7/℃)의 열팽창 계수값을 가지는 고왜점 글래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 1 유전체층은 유연계 소재나, 비스무스계 소재나, 보론-징크계 소재나, 보론-알루미나계 소재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유연계 소재는 60 내지 85(단위: × 10-7/℃)의 열팽창 계수값을 가지고, 상기 비스무스계 소재는 65 내지 90(단위: × 10-7/℃)의 열팽창 계수값을 가지고, 상기 보론-징크계 소재는 75-95(단위: × 10-7/℃)의 열팽창 계수값을 가지고, 상기 보론-알루미나계 소재는 70 내지 90(단위: × 10-7/℃)의 열팽창 계수값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기판;과,
상기 기판상에 배치된 복수의 방전 전극;과,
상기 방전 전극을 매립하는 유전체층;을 포함하되,
상기 기판과, 유전체층과의 열팽창 계수의 차이는 하기 수학식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학식 2>
2 ≤ 기판의 열팽창 계수 - 유전체층의 열팽창 계수 ≤ 17(단위: ㅧ 10-7/℃)
또한, 상기 방전 전극은 유지 방전을 수행하는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기판과, 기판상에 형성된 유전체층과의 열팽창 계수가 특정 수식으로 한정되어서 형성됨으로써, 기판과, 유전체층간의 미스 매칭으로 인한 기판의 강도 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전극 면방전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일부 절제하여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개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제 1 기판(101)과, 상기 제 1 기판(101)과 대향되게 배치된 제 2 기판(102)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기판(101)과, 제 2 기판(102)은 밀폐된 방전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대향되는 내면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프릿트 글래스(frit glass, 118, 도 2 참조)가 도포되어 있다.
상기 제 1 기판(101)은 소다 라임 글래스(soda lime glass)이나, PD-200과 같은 투명한 기판이나, 반투과성 기판이나, 반사성 기판이나, 착색된 기판등을 사용할 수가 있다.
상기 제 1 기판(101)의 내면에는 방전 유지 전극쌍(103)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방전 유지 전극쌍(103)은 X 전극(104)과, Y 전극(105)을 구비하며, 상기 X 전극(104)과, Y 전극(105)은 방전 셀마다 한 쌍씩 배치되어 있다.
상기 X 전극(104)은 패널(100)의 각 방전 셀마다 독립적으로 배치된 X 투명 전극(106)과, 상기 패널(100)의 X 방향을 따라 인접하게 배치된 방전 셀을 따라서 연장되며, 상기 X 투명 전극(106)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X 버스 전극 라인(107)을 포함한다.
상기 Y 전극(105)은 패널(100)의 각 방전 셀마다 독립적으로 배치된 Y 투명 전극(108)과, 상기 패널(100)의 X 방향을 따라 인접하게 배치된 방전 셀을 따라서 연장되며, 상기 Y 투명 전극(108)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Y 버스 전극 라인(109)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X 투명 전극(106)과, Y 투명 전극(108)은 횡단면이 사각 형상이 며, 방전 셀의 중앙에서 서로 접촉하지 않고,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서 방전 갭(discharge gap)을 이루고 있다. 상기 X 버스 전극 라인(107)과, Y 버스 전극 라인(109)은 방전 셀의 대향되는 변의 양 가장자리쪽에 배치되며, 스트립형이다.
상기 X 투명 전극(106)과, Y 투명 전극(108)은 ITO막과 같은 투명 도전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X 버스 전극 라인(107)과, Y 버스 전극 라인(109)은 도전성이 우수한 은 페이스트나, 크롬-구리-크롬과 같은 도전재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X 전극(104)과, Y 전극(105)은 제 1 유전체층(110)에 의하여 매립되어 있다. 상기 제 1 유전체층(110)의 표면에는 2차 전자 방출량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마그네슘 옥사이드(MgO)로 된 보호막층(1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호막층(111)은 제 1 유전체층(110)의 표면에 증착되어 있다.
상기 제 2 기판(102)은 투명한 기판이나, 반투과성 기판이나, 반사성 기판이나, 착색된 기판등을 사용할 수가 있다. 상기 제 2 기판(102)의 내표면에는 상기 Y 전극(105)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어드레스 전극(112)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어드레스 전극(112)은 패널(100)의 Y 방향을 따라 인접하게 배치된 방전 셀을 가로질러 연장되어 있으며, 스트립형이다. 상기 어드레스 전극(112)은 제 2 유전체층(113)에 의하여 매립되어 있다. 상기 제 2 유전체층(113)은 제 1 유전체층(110)과 같은 고유전성의 소재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 1 기판(101)과, 제 2 기판(102) 사이에는 격벽(114)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격벽(114)은 방전 셀을 한정하고, 인접한 방전 셀 사이의 크로스 토크를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격벽(114)은 패널(100)의 X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 1 격벽(115)과, 상기 패널(100)의 Y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 2 격벽(116)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격벽(115)은 한 쌍의 제 2 격벽(116)을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제 1 격벽(115)의 내측벽으로부터 대향되는 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어서, 매트릭스형의 방전 공간을 구획하고 있다.
상기 격벽(114)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방전 셀을 한정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느 하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에 따른 방전 셀의 횡단면도도 사각형뿐만 아니라, 형상이 다른 다각형이나, 원형이나, 타원형등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기판(101)과, 제 2 기판(102)과, 격벽(114)으로 구획된 방전 공간에는 네온(Ne)-크세논(Xe)이나, 헬륨(He)-크세논(Xe)과 같은 방전 가스가 주입되어 있다.
또한, 방전 셀 내에는 방전 가스로부터 발생된 자외선에 의하여 여기되어서 가시광을 방출하는 컬러화를 위한 복수의 색상으로 발광하는 형광체층(11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형광체층(117)은 방전 셀의 어느 영역에도 코팅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제 2 유전체층(113)의 상부와, 격벽(114)의 내측벽에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형광체층(117)은 적색, 녹색 및 청색 형광체층으로 이루어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적색의 형광체층은 (Y,Gd)BO3;Eu+3 으로 이루어지고, 녹색의 형광체층은 Zn2SiO4:Mn2+ 으로 이루어지고, 청색의 형광체층은 BaMgAl10O17:Eu2+ 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기판(101)과, 제 1 유전체층(110)은 열팽창 계수의 매칭을 위하여 특정한 수식에 의하여 한정되어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 1 기판(101)의 표면에는 X 전극(104)과, Y 전극(105)이 패턴되어 있으며, 상기 X 전극(104)과, Y 전극(105)의 표면에는 이를 매립하기 위하여 제 1 유전체층(110)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 1 기판(101)은 가시광이 투과되는 기판이다.
상기 제 1 기판(101)은 고왜점 글래스로서, 소다 라임 글래스(soda lime glass)나, 일본 아사히 글라스사의 PD-200나, 프랑스 상고방사의 CS-77이나, 일본 센트럴 글라스사의 CP-600과 같은 기판이다. 상기 제 1 유전체층(110)은 투명한 유전체, 예컨대, PbO-B2O3-SiO2와 같은 유연계 소재나, Bi2O3-B2O3-SiO2와 같은 비스무스계 소재나, B2O3-ZnO-SiO2와 같은 보론-징크계 소재나, B2O3- SiO2-Al2O3와 같은 보론-알루미나계 소재가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 1 기판(101)과, 제 1 유전체층(110)의 열팽창 계수의 차이는 2보다 크거나 같고, 17보다 작거나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을 식으로 나타내면 하기 <수학식 1>과 같다.
<수학식 1>
2 ≤ 제 1 기판(101)의 열팽창 계수 - 제 1 유전체층(110)의 열팽창 계수 ≤≤ 17 (단위: × 10-7/℃)
상기 제 1 기판(101)과, 제 1 유전체층(110)의 열팽창 계수가 상기 수학식 1에 의하여 특정되면, 상기 제 1 기판(101)과, 제 1 유전체층(110)의 열팽창 계수의 미스 매칭에 의한 기판의 강도 불량이 줄어들게 된다.
본 출원인의 실험에 따른 제 1 기판(101)과, 제 1 유전체층(110)의 열팽창 계수의 매칭성에 관한 결과는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표 1>
제1 기판의 열팽창계수-
제1 유전체층의 열팽창계수
(× 10-7/℃)
기판의 강도결과(cm) 기판 파손불량(%)
-5 6.6 8.7
-3 7.6 6.7
0 8.2 2.7
1 8.9 1.4
2 10.3 0.8
5 12.5 0.4
10 14.7 0.1
15 13.1 0.1
17 10.2 0.9
18 9.2 1.2
20 7.5 5.5
22 6.8 8.5
여기서, 표 1은 상기 제 1 기판(101)과, 제 1 유전체층(110)의 열팽창 계수의 차이를 변화시키면서, 기판의 파손 불량을 검사한 것이다.
아울러, 기판의 강도를 수치화하기 위하여 쇠구슬과 같은 볼을 기판상의 다섯 지점에 낙하시키는 실험을 통하여 이를 계수화하였으며, 이 실험 데이터가 기판 파손 불량과 상관 관계가 있음을 검증한 것이다.
이때, 기판의 강도 결과는 기판에서 쇠구슬이 떨어진 높이에 상당하며, 그 높이에서 기판에 크랙이 발생한 것을 의미한다. 즉, 기판의 강도 결과에 대한 수치가 클수록 쇠구슬의 낙하 높이가 높다는 것을 말하며, 기판의 강도가 그만큼 강한 것이다. 한편, 사용된 쇠구슬의 무게는 45g이다.
또한, 상기 제 1 기판(101)은 열팽창 계수가 85 내지 86(단위: × 10-7/℃)인 PD-200나, 열팽창 계수가 86 내지 87(단위: × 10-7/℃)인 소다 라임 글래스나, 열팽창계수가 77-79(단위: × 10-7/℃)인 CS-77나, 열팽창계수가 84-86(단위: × 10-7/℃)인 CP-600를 이용가능하다.
상기 유전체층(110)은 열팽창계수를 60 내지 85(단위: × 10-7/℃)으로 조절가능한 PbO-B2O3-SiO2와 같은 유연계 소재나, 열팽창계수를 65-90(단위: × 10-7/℃)으로 조절가능한 Bi2O3-B2O3-SiO2와 같은 비스무스계 소재나, 열팽창계수를 75-95(단위: × 10-7/℃)로 조절가능한 B2O3-ZnO-SiO2와 같은 보론-징크계 소재나, 열팽창계수를 70-90(단위: × 10-7/℃)으로 조절가능한 B2O3-SiO2-Al2O3와 같은 보론-알루미나계 소재를 이용가능하다.
표 1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기판(101)과, 제 1 유전체층(110)의 열팽창 계수의 차이가 2에서 17 사이가 되는 경우에는 기판의 강도 결과가 10.2 내지 14.7 cm로서, 열팽창 계수의 차이가 2보다 작을 경우나, 17보다 클 경우보다 기판의 강 도가 양호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2 ≤ 제 1 기판(101)의 열팽창 계수 - 제 1 유전체층(110)의 열팽창 계수 ≤ 17 (단위: × 10-7/℃)에서는 제 1 기판(101)과, 제 1 유전체층(110)의 열팽창 계수의 미스 매칭으로 인한 공정 불량은 개선됨을 실험적으로 알 수 있다. 즉, 기판의 강도 평가에서 불량율 1% 이내로 관리되면, 신뢰성 측면에서 문제가 없다.
한편, 기판의 파손 불량이 1% 이내일 경우에는 기판의 강도가 10.2 내지 14.7 센티미터를 나타내며, 기판의 파손 불량이 1%보다 클 경우 기판의 강도가 6.6 내지 9.2 센티미터를 나타내므로, 상기 제 1 기판(101)과, 제 1 유전체층(110)의 열팽창 계수의 차이가 2에서 17 사이인 경우처럼, 기판의 파손 불량이 1% 이내일 경우가 기판의 파손 불량이 1%보다 클 경우보다 기판의 강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표 2는 본 출원인의 실험에 따른 제 1 유전체층(110)의 소재를 달리하여 제 1 기판(101)과, 제 1 유전체층(110)의 열팽창계수의 매칭성에 관한 결과이다.
<표 1>
제 1 기판의
열팽창계수
제1 유전체층의
열팽창계수
제1 기판의 열팽창계수-
제1유전체층의열팽창계수
(× 10-7/℃)
결과
실시예1 85 70(유연계) 5 양호
실시예2 85 83(비스무스계) 2 양호
실시예3 85 84(비스무스계) 17 양호
실시예4 85 68(유연계) 10 양호
비교예1 85 67(유연계) 18 파손
비교예1 85 84(비스무스계) 1 파손
여기서, 표 2는 제 1 유전체층(110)의 소재와, 제 1 기판(101) 및 제 1 유전 체층(110)의 열팽창 계수의 차이를 변화시키면서, 기판의 파손 불량을 검사한 것이고, 실험 조건은 표 1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기판(101)은 열팽창 계수가 85(단위: × 10-7/℃)인 PD-200이고, 제 1 유전체층(110)은 PbO-B2O3-SiO2와 같은 유연계 소재나, Bi2O3-B2O3-SiO2와 같은 비스무스계 소재나, B2O3-ZnO-SiO2와 같은 보론-징크계 소재나, B2O3-SiO2-Al2O3와 같은 보론-알루미나계 소재를 이용한다.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경우처럼, 제 1 기판(101)과, 제 1 유전체층(110)의 열팽창 계수의 차이가 2 내지 17 사이가 되는 경우에는 제 1 기판(101)의 파손되지 않은 반면에,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2의 경우처럼, 제 1 기판(10)과, 제 1 유전체층(110)의 열팽창 계수의 차이가 2보다 작거나, 17보다 클 경우에는 제 1 기판(101)이 파손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일부 절제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개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01...제 1 기판 102...제 2 기판
103...X 전극 104...Y 전극
105...방전 유지 전극 110...제 1 유전체층
111...보호막층 112...어드레스 전극
113...제 2 유전체층 114...격벽
117...형광체층

Claims (14)

  1.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을 가지는 복수의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 상에 배치되며, 제 1 기판의 일 방향으로 배치된 방전 유지 전극쌍을 구비한 복수의 제 1 방전 전극;과,
    상기 제 1 방전 전극을 매립하는 제 1 유전체층;과,
    상기 제 2 기판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방전 전극과 교차하며, 상기 제 2 기판의 일 방향으로 배치된 어드레스 전극을 구비한 제 2 방전 전극;과,
    상기 제 2 방전 전극을 매립하는 제 2 유전체층;과,
    상기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사이에 배치되며, 방전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과,
    상기 방전 공간에 형성된 형광체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기판과, 제 1 유전체층과의 열팽창 계수의 차이는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수학식 1>
    2 ≤ 제 1 기판의 열팽창 계수 - 제 1 유전체층의 열팽창 계수 ≤ 17
    (여기서, 상기 제 1 기판은 77 내지 87 (단위: × 10-7/℃)의 열팽창 계수값을 가지는 고왜점 글래스이고, 상기 제 1 유전체층은 60 내지 95 (단위: × 10-7/℃)의 열팽창 계수값을 가지는 유전체임)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전체층은 유연계 소재나, 비스무스계 소재나, 보론-징크계 소재나, 보론-알루미나계 소재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계 소재는 60 내지 85(단위: × 10-7/℃)의 열팽창 계수값을 가지고, 상기 비스무스계 소재는 65 내지 90(단위: × 10-7/℃)의 열팽창 계수값을 가지고, 상기 보론-징크계 소재는 75-95(단위: × 10-7/℃)의 열팽창 계수값을 가지고, 상기 보론-알루미나계 소재는 70 내지 90(단위: × 10-7/℃)의 열팽창 계수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은 가시광이 투과되는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전체층의 표면에는 보호막층이 더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8.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며, 유지 방전을 수행하는 복수의 방전 전극;과,
    상기 방전 전극을 매립하는 유전체층;을 포함하되,
    상기 기판과, 유전체층과의 열팽창 계수의 차이는 하기 수학식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수학식 2>
    2 ≤ 기판의 열팽창 계수 - 유전체층의 열팽창 계수 ≤ 17(단위: × 10-7/℃)
    (여기서, 상기 기판은 77 내지 87 (단위: × 10-7/℃)의 열팽창 계수값을 가지는 고왜점 글래스이고, 상기 유전체층은 60 내지 95 (단위: × 10-7/℃)의 열팽창 계수값을 가지는 유전체임)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층은 유연계 소재나, 비스무스계 소재나, 보론-징크계 소재나, 보론-알루미나계 소재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계 소재는 60 내지 85(단위: × 10-7/℃)의 열팽창 계수값을 가지고, 상기 비스무스계 소재는 65 내지 90(단위: × 10-7/℃)의 열팽창 계수값을 가지고, 상기 보론-징크계 소재는 75 내지 95(단위: × 10-7/℃)의 열팽창 계수값을 가지고, 상기 보론-알루미나계 소재는 70 내지 90(단위: × 10-7/℃)의 열팽창 계수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2. 삭제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가시광이 투과되는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층의 표면에는 보호막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KR1020080110011A 2008-11-06 2008-11-0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987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011A KR100987378B1 (ko) 2008-11-06 2008-11-0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12/461,796 US8222815B2 (en) 2008-11-06 2009-08-25 Plasma display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011A KR100987378B1 (ko) 2008-11-06 2008-11-0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0893A KR20100050893A (ko) 2010-05-14
KR100987378B1 true KR100987378B1 (ko) 2010-10-12

Family

ID=42130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0011A KR100987378B1 (ko) 2008-11-06 2008-11-0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222815B2 (ko)
KR (1) KR10098737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7138A (ko) * 2004-12-14 2006-06-19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유전체 재료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58111B (zh) * 2005-09-07 2011-05-18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玻璃组合物及使用其的显示器面板
WO2007114321A1 (ja) * 2006-03-31 2007-10-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US20090115335A1 (en) * 2006-06-28 2009-05-07 Panasonic Corporation Plasma display panel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7138A (ko) * 2004-12-14 2006-06-19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유전체 재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0893A (ko) 2010-05-14
US8222815B2 (en) 2012-07-17
US20100109982A1 (en) 201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7188B2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86391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98737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20090184639A1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97040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1959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91841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7538492B2 (en) Plasma display panel
US7268493B2 (en) Plasma display panel with dual material sustain electrodes
KR10066972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20070029910A1 (en) Plasma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060197448A1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64765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20050231110A1 (en) Plasma Display Panel (PDP)
KR10059228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5136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N100573793C (zh) 等离子体显示面板
KR100718996B1 (ko) 전극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8179044B2 (en) Plasma displa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for the same
KR20070078607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20080224589A1 (en) Plasma Display Panel
KR20070056788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20060087238A1 (en) Plasma display panel
US20080297446A1 (en) Plasma display panel
US20080169762A1 (en) Plasma display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