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8607A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8607A
KR20070078607A KR1020060009023A KR20060009023A KR20070078607A KR 20070078607 A KR20070078607 A KR 20070078607A KR 1020060009023 A KR1020060009023 A KR 1020060009023A KR 20060009023 A KR20060009023 A KR 20060009023A KR 20070078607 A KR20070078607 A KR 20070078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cells
discharge
green
red
b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9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1362B1 (ko
Inventor
박정태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9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1362B1/ko
Publication of KR20070078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8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1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1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광학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면기판과, 상기 전면기판에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전면기판과의 사이에 행 방향 및 열 방향으로 배치된 적색, 녹색, 청색 방전셀들을 한정하는 배면기판과, 행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방전셀들 사이에 형성된 제1격벽부들과, 상기 제1격벽부들을 연결하는 제2격벽부들과, 상기 방전셀들의 행들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제3격벽부들을 포함하는 격벽과, 상기 적색, 녹색, 청색 방전셀들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적색, 녹색, 청색 발광 형광체층들을 포함하며, 상기 적색, 녹색, 청색 방전셀들 중에서 휘도가 가장 높은 방전셀의 크기가 가장 크게 형성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부분 절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방전전극들, 격벽 및 방전셀들의 배치 위치를 나타내는 배치도이다.
도 4는 도 1과는 상이한 위치에 제3격벽부들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제1변형예로서, 방전전극들, 격벽 및 방전셀들의 배치 위치를 나타내는 배치도이다.
도 5는 도 1과는 상이한 위치에 제3격벽부들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제2변형예로서, 방전전극들, 격벽 및 방전셀들의 배치 위치를 나타내는 배치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부분 절개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Ⅶ-Ⅶ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0, 40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11, 411: 전면기판 115, 415: 전면유전체층
116, 416: 보호층 121, 421: 배면기판
122, 422: 어드레스전극 125, 425: 배면유전체층
126R, 126G, 126B, 426R, 426G, 426B: 형광체층
130, 430: 격벽 131, 431: 제1격벽부
132, 432: 제2격벽부
133, 233, 333a, 333b, 433: 제3격벽부
X: Y전극 Y: Y전극
150, 450: 전면패널 160, 460: 배면패널
170, 470: 방전셀
170R, 170G, 170B, 470R, 470G, 470B: 적색, 녹색, 청색 방전셀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광학 특성이 향상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스 방전현상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휘도, 콘트라스트, 잔상 및 시야각 등의 각종 표시 능력이 우수하며, 박형이고 대화면 표시가 가능하여 차세대 대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는, 형광체층의 특성에 따라서 방전 마진이 상이하게 나타난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고정세화됨에 따 라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셀들의 크기가 점차 작아지고 있는데, 이렇게 작은 크기의 방전셀에서는 휘도가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청색 발광 형광체층의 발광 효율이 낮기 때문에 화상이 붉은 색을 띄는 등, 색온도 저하 현상이 발생되는 바, 화상이 자연색에 가까운 색을 발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휘도 또는 색온도를 향상시킴으로써, 광학 특성을 향상시킨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면기판과, 상기 전면기판에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전면기판과의 사이에 행 방향 및 열 방향으로 배치된 적색, 녹색, 청색 방전셀들을 한정하는 배면기판과, 행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방전셀들 사이에 형성된 제1격벽부들과, 상기 제1격벽부들을 연결하는 제2격벽부들과, 상기 방전셀들의 행들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제3격벽부들을 포함하는 격벽과, 상기 적색, 녹색, 청색 방전셀들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적색, 녹색, 청색 발광 형광체층들을 포함하며, 상기 적색, 녹색, 청색 방전셀들 중에서 휘도가 가장 높은 방전셀의 크기가 가장 크게 형성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방전셀들의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횡단면을 가지며, 상기 방전셀들의 길이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상기 휘도가 가장 낮은 방전셀의 폭이 다른 방전셀의 폭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녹색 방전셀들이 상기 적색 및 청색 방전셀들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녹색 발광 형광체층들은 Y계열 또는 Zn계열의 형광체를 포함하고, 상기 청색 발광 형광체층들은 BAM계열 형광체를 포함하고, 상기 적색 발광 형광체층들은 Y계열 형광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면기판과, 상기 전면기판에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전면기판과의 사이에 행 방향 및 열 방향으로 배치된 적색, 녹색, 청색 방전셀들을 한정하는 배면기판과, 행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방전셀들 사이에 형성된 제1격벽부들과, 상기 제1격벽부들을 연결하는 제2격벽부들과, 상기 방전셀들의 행들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제3격벽부들을 포함하는 격벽과, 상기 적색, 녹색, 청색 방전셀들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적색, 녹색, 청색 발광 형광체층들을 포함하며, 상기 적색, 녹색, 청색 방전셀들 중에서 색온도가 가장 높은 방전셀의 크기가 가장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방전셀들의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횡단면을 가지며, 상기 방전셀들의 길이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상기 휘도가 가장 낮은 방전셀의 폭이 다른 방전셀의 폭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청색 방전셀들이 상기 적색 및 녹색 방전셀들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청색 발광 형광체층들은 BAM계열의 형광체를 포함하고, 상기 녹색 발광 형광체층들은 Y계열 또는 Zn계열 형광체를 포함하고, 상기 적색 발광 형광체층들은 V계열 또는 B계열 형광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3격벽부들과 상기 제1격벽부들이 교차하는 부분의 높이가 상기 격벽의 다른 부분의 높이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3격벽부들은 각각 실질적으로 상기 제2격벽부들의 길이방향으로의 가운데 부분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상기 제3격벽부들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1격벽부들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격벽부들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2격벽부들의 길이방향으로의 가운데 부분, 및 상기 제1격벽부들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행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방전셀들을 따라 연장되는 방전전극들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각 방전전극은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방전셀들의 행들 사이의 영역에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방전전극은 인접하는 행들의 방전셀들에 공통으로 작용하며, 상기 각 방전전극은, 상기 방전셀들의 행들 사이에 영역에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버스전극과, 상기 버스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인접하는 행들의 방전셀들 방향으로 연장되는 투명전극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전전극들은 상기 격벽과 상기 전면기판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방전전극들과 교차하도록 연장되는 어드레스전극들과, 상기 방전전극들 및 어드레스전극들을 각각 덮는 전면유전체층 및 배면유전체층과, 상기 방전셀들 내에 채워지는 방전가스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1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부분 절개 분리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방전전극들, 격벽 및 방전셀들의 배치 위치를 나타내는 배치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크게 서로 대향되어 결합되는 전면패널(150) 및 배면패널(160)을 포함한다. 상기 전면패널(150)은 전면기판(111), 방전전극쌍(112)들, 보호층(116) 및 전면유전체층(115)을 포함하며, 상기 배면패널(160)은 배면기판(121), 배면유전체층(125), 어드레스전극(122)들, 격벽(130), 및 적색, 녹색, 청색형광체층들(126R, 126G, 126B)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패널(150)과 배면패널(160) 사이의 공간에는 방전가스(미도시)가 채워져 있다. 이하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 전면기판(111)은 일반적으로 가시광 투과율이 우수한 유리를 포함한다. 하지만, 상기 전면기판(111)은 명실 콘트라스트가 향상시키기 위하여, 착색될 수도 있다.
상기 배면기판(121)은 전면기판(111)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대향되도록 배치되는데, 유리를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면기판(121)도 명실 콘트라스트가 향상시키기 위하여, 착색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전면기판(111)과 배면기판(121) 사이에는 방전현상이 발생하는 복수 개의 방전셀(170)들을 구획하는 격벽(130)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방전셀(170)들은 각각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횡단면의 가지는 적색, 녹색, 청색 방전셀들(170R, 170G, 170B)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방전셀(170)들은 매트릭스 패턴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방전셀(170)들은 복수 개의 행들과 복수 개의 열들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적색 방전셀(170R)들, 녹색 방전셀(170R)들 및 청색 방전셀(170B)들은 각각 열 방향(제2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행 방향으로는 적색, 녹색, 청색 방전셀들(170R, 170G, 170B)이 반복적으로 교번하여 배열되어 있다.
상기 격벽(130)은 상기 방전셀(170)들 사이의 광학적/전기적 크로스토크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격벽(130)은 행 방향(제1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방전셀(170)들 사이를 구획하는 제1격벽부(131)들과, 상기 제1격벽부(131)들을 연결하는 제2격벽부(132)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각 방전셀(170)은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제1격벽부(131)들과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제2격벽부(132)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폐쇄형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제1격벽부(131)들은 상기 녹색 방전셀들의 폭(WG)이 상기 적색 방전셀들의 폭(WR) 및 상기 청색 방전셀들의 폭(WR)보다 크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적색, 녹색, 청색 방전셀들(170R, 170G, 170B)이 각각 직사각형의 횡단면을 가지고, 상기 적색, 녹색, 청색 방전셀들의 길이(L)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상기 녹색 방전셀들(170G)의 크기가 상기 적색 방전셀(170R)들 및 청색 방전셀(170B)들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방전셀들의 크기의 비균일성에 따른 목적 및 효과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적색 방전셀들의 폭(WR)은 청색 방전셀들의 폭(WB)과 동일할 수도 있으며,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상기 행 방향(제1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방전셀(170)들은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상기 격벽은 상기 이격된 공간에 배치되는 제3격벽부(133)들을 더 포함한다. 또한, 각 제3격벽부(133)는 실질적으로 각 제2격벽부(132)의 길이방향으로의 가운데 부분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제3격벽부(133)들의 배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를 참조하면, 제3격벽부(233)들이 상기 제1격벽부(131)들에 얼라인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격벽부들의 일 부분(333a)은 상기 제1격벽부(131)들에 얼라인되고, 나머지(233b)는 각 제2격벽부(132)의 길이방향으로의 가운데 부분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3격벽부들과 상기 제1격벽부들이 교차하는 부분(197)의 높이(H)가 상기 격벽의 다른 부분의 높이보다 낮다. 여기에서 높이는 각 부재의 최상면의 평균 높이로 정의된다. 상기 행 방향(제1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방전셀(170)들에서는, 상기 전면패널(150)과 상기 교차 부분(197) 사이에 상대적으로 큰 틈들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틈으로 기체 연통이 가능해진다. 따라 서, 상기 틈들에 의하여, 배기가 원활해지는 장점을 가진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배면기판(121)을 대향하는 전면기판(111) 상에는 방전전극들(X, Y)이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방전전극들(X, Y)은 상기 방전셀(170)들 내에서 방전을 일으키며, 각 방전셀(170)마다 하나의 X전극(X) 및 하나의 Y전극(Y)이 배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각 방전전극(X, Y)은 X전극 또는 Y전극의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방전전극들(X, Y)은 X전극(X) 및 Y전극(Y)이 교번하여 반복적으로 배치되는 구조가 된다.
상기 방전전극들(X, Y)은 행 방향(제1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각 방전전극(X, Y)은 버스전극(Xb, Yb)과, 상기 버스전극(Xb, Yb)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투명전극(Xa, Ya)을 포함한다. 상기 투명전극의 폭이 상기 버스전극의 폭보다 크며, 상기 버스전극(Xb, Yb)은 상기 투명전극(Xa, Ya)에 얼라인되어 있다.
상기 버스전극(Xb, Yb)은 상기 방전셀(170)들의 행들 사이의 영역(195) 및 상기 제3격벽부(133)들의 일 부분까지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버스전극(Xb, Yb)이 도전성이 우수한 금속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버스전극(Xb, Yb)은 적어도 하나의 층이 어두운 색을 띄는 복층 구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버스전극(Xb, Yb)에 의하여 명실 콘트라스트가 향상되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투명전극(Xa, Ya)은 상기 방전셀(170)들의 행들 사이의 영역(195)으로부터 상기 방전셀(170)들의 내부 영역까지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투명전극(Xa, Ya)은 인접하는 행들의 방전셀(170)들에 공통으로 대응되어 있기 때 문에, 상기 공통으로 대응되는 방전셀들에 공통으로 작용한다.
상기 전면기판(111) 상에는 방전전극들(X, Y)을 매립하도록 전면유전체층(1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면유전체층(115)은, 인접한 X전극(X)들과 Y전극(Y)들이 서로 통전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하전입자들 또는 전자가 X전극(X)들과 Y전극(Y)들에 직접 충돌하여 X전극(X)들과 Y전극(Y)들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전면유전체층(115)은 전하를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전면유전체층(115) 상에는 통상 MgO로 된 보호층(116)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보호층(116)은, 방전시 양이온과 전자가 전면유전체층(115)에 충돌하여 전면유전체층(115)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광투과성이 좋고, 방전시 2차전자를 많이 방출한다. 특히, 보호층(116)은 주로 스퍼터링, 전자빔 증착법 등을 이용하여 박막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면기판(111)에 대향하는 배면기판(121) 상에는 어드레스전극(122)들이 X전극(131)들과 Y전극(132)들과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어드레스전극(122)들은 X전극(131)들과 Y전극(132)들 간의 유지 방전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어드레스방전을 일으키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지방전이 일어나기 위한 전압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 어드레스방전은 Y전극(132)들과 어드레스전극(122)들 간에 일어나는 방전이다.
상기 배면기판(121) 상에는 어드레스전극(122)들을 매립하도록 배면유전체층(125)이 형성되어 있다. 배면유전체층(125)은 유전체로 형성된다. 또한, 배면유전체층(125)은 방전 시 양이온 또는 전자가 어드레스전극(122)들에 충돌하여 어드레 스전극(122)들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전하를 유도한다.
상기 적색, 녹색, 청색 방전셀들(170R, 170G, 170B)들에는 각각 적색 발광 형광체층(126R)들, 녹색 발광 형광체층(126G)들, 청색 발광 형광체층(126B)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적색 발광 형광체층(126R)들, 녹색 발광 형광체층(126G)들 및 청색 발광 형광체층(126B)들을 상기 배면유전체층(125) 상과, 상기 격벽(130)의 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형광체층들(126R, 126G, 126B)은 자외선을 받아 가시광선을 발생하는 형광체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적색 발광 형광체층(126R)들, 녹색 발광 형광체층(126G)들 및 청색 발광 형광체층(126B)들 중에서 상기 녹색 발광 형광체층(126G)들이 가장 높은 발광 효율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녹색 방전셀(170G)들의 휘도가 상기 적색 방전셀(170R)들 및 청색 방전셀(170B)들에서의 휘도보다 크다. 이는 방전셀을 소정의 크기로 증가시킬 때, 녹색 방전셀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것이, 휘도 향상에 있어서 가장 효과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의 검토로부터, 설정된 면적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설정된 개수의 방전셀들을 가정할 때,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녹색 방전셀(170G)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녹색 방전셀들의 폭(WG)이 상기 적색 방전셀들의 폭(WR) 및 청색 방전셀들의 폭(WB)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녹색 방전셀(170G)들의 크기가 상기 적색 및 청색 방전셀들(170R, 170B)의 크기보다 크다.
상기 녹색 발광 형광체층(126G)들은 Y계열 또는 Zn계열의 형광체를 포함한다. 상기 Y계열 형광체는 YBO3:Tb이 있으며, Zn계열의 형광체는 Zn2SiO4:Mn이 있다.
또한, 상기 청색 발광 형광체층(126B)들은 BAM:Eu와 같은 BAM계열 형광체를 포함하고, 상기 적색 발광 형광체층(126R)들은 Y(V,P)O4:Eu와 같은 Y계열 형광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방전셀(170)들에는 네온(Ne), 크세논(Xe) 등이 혼합된 방전 가스가 채워지며, 상기와 같이 방전 가스가 채워진 상태에서, 전면기판 및 배면기판(111, 121)의 가장 가장자리에 형성된 프릿트 글라스(frit glass)와 같은 밀봉 부재에 의해 전면기판 및 배면기판(111, 121)이 서로 봉합되어 결합되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패널(10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어드레스전극(122)들과 Y전극(Y)들 간에 어드레스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어드레스방전이 일어나고, 이 어드레스방전의 결과로 유지방전이 일어날 방전셀(170)들이 선택된다. 그 후 상기 선택된 방전셀(170)들의 X전극(X)들과 Y전극(Y) 들 사이에 유지전압이 인가되면, 유지 방전이 발생된다.
이렇게 유지 방전 시에 여기된 방전가스의 에너지 준위가 낮아지면서 자외선이 방출된다. 그리고 이 자외선이 적색, 녹색, 청색 방전셀들)170R, 170G, 170B) 내에 도포된 형광체층들(126R, 126G, 126B)을 여기시키는데, 이 여기된 형광체층들(126R, 126G, 126B)의 에너지준위가 낮아지면서 가시광이 방출되며, 이 방출된 가시광이 화상을 구성하게 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400)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6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400)의 부분 절개 분리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Ⅶ-Ⅶ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제1실시예와 상이한 사항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400)은 크게 서로 대향되어 결합되는 전면패널(450) 및 배면패널(460)을 포함한다. 상기 전면패널(450)은 전면기판(411), 방전전극들(X, Y), 보호층(416) 및 전면유전체층(415)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패널(450)의 구조 및 작용은 전술한 제1실시예의 전면패널(150)과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상기 배면패널(460)은 배면기판(421), 배면유전체층(425), 어드레스전극(422)들, 격벽(430), 및 적색, 녹색, 청색 발광 형광체층들(426R, 426G, 426B)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패널(450)과 배면패널(460) 사이의 공간에는 방전가스(미도시)가 채워져 있다.
상기 전면기판(411)과 배면기판(421) 사이에는 방전현상이 발생하는 복수 개의 방전셀(470)들을 구획하는 격벽(430)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방전셀(470)들은 적색, 녹색, 청색 방전셀들(470R, 470G, 470B)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방전셀(470)들은 매트릭스 패턴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방전셀들의 배치 구조는 제1실 시예와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상기 격벽(430)은 행 방향(제1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방전셀(470)들 사이를 구획하는 제1격벽부(431)들과, 상기 제1격벽부(431)들을 연결하는 제2격벽부(432)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1격벽부(431)들은 상기 청색 방전셀들의 폭(WB)이 상기 적색 방전셀들의 폭(WR) 및 상기 녹색 방전셀들의 폭(WG)보다 크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적색, 녹색, 청색 방전셀들(470R, 470G, 470B)이 각각 직사각형의 횡단면을 가지고, 상기 적색, 녹색, 청색 방전셀들의 길이(L)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상기 청색 방전셀들(470B)의 크기가 상기 적색 방전셀(470R)들 및 녹색 방전셀(470G)들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방전셀들의 크기의 비균일성에 따른 목적 및 효과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적색 방전셀들의 폭(WR)은 녹색 방전셀들의 폭(WG)과 동일할 수도 있으며,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상기 행 방향(제1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방전셀(470)들은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상기 격벽(430)은 상기 이격된 공간에 배치되는 제3격벽부(433)들을 더 포함한다. 또한, 각 제3격벽부(433)는 실질적으로 각 제2격벽부(432)의 길이방향으로의 가운데 부분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제3격벽부(433)들의 배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구조와 유사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3격벽부들과 상기 제1격벽부들이 교차하는 부분(497)의 높이(H)가 상기 격벽의 다른 부분의 높이보다 낮다. 상기 행 방향(제1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방전셀(470)들에서는, 상기 전면패널(450)과 상기 교차 부분(497) 사이에 상대적으로 큰 틈들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틈으로 기체 연통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상기 틈들에 의하여, 배기가 원활해지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배면기판(421) 상에 배치되어 있는 어드레스전극(422)들 및 상기 어드레스전극(422)들을 덮는 배면유전체층(425)의 구조 및 작용은 제1실시예의 어드레스전극(122)들 및 배면유전체층(125)과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상기 적색, 녹색, 청색 방전셀들(470R, 470G, 470B)들에는 각각 적색 발광 형광체층(426R)들, 녹색 발광 형광체층(426G)들, 청색 발광 형광체층(426B)들이 형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적색 발광 형광체층(426R)들, 녹색 발광 형광체층(426G)들 및 청색 발광 형광체층(426B)들 중에서 상기 청색 발광 형광체층(426B)들이 가장 낮은 발광 효율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청색 방전셀(470B)들의 휘도가 상기 적색 방전셀(470R)들 및 녹색 방전셀(470G)들에서의 휘도보다 낮다. 따라서, 설정된 면적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설정된 개수의 방전셀들을 가정할 때,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400)의 색온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청색 방전셀(470B)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청색 방전셀들의 폭(WB)이 상기 적색 방전셀들의 폭(WR) 및 녹색 방전셀들의 폭(WG)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청색 방전셀(470B)들의 크기가 상기 적색 및 녹색 방전셀들(470R, 470G)의 크기보다 크다.
상기 청색 발광 형광체층(426B)들은 BAM:Eu와 같은 BAM계열 형광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녹색 발광 형광체층(426G)들은 Y계열 또는 Zn계열의 형광체를 포함한다. 상기 Y계열 형광체는 YBO3:Tb이 있으며, Zn계열의 형광체는 Zn2SiO4:Mn이 있다.
상기 적색 발광 형광체층(426R)들은 V계열 또는 B계열 형광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V계열 형광체는 Y(PV)O4:Eu이 있으며, B계열의 형광체는 (Y, Gd)BO3:Eu이 있다.
상기 방전셀(470)들에는 네온(Ne), 크세논(Xe) 등이 혼합된 방전 가스가 채워지며, 상기와 같이 방전 가스가 채워진 상태에서, 전면기판 및 배면기판(411, 421)의 가장 가장자리에 형성된 프릿트 글라스와 같은 밀봉 부재에 의해 전면기판 및 배면기판(411, 421)이 서로 봉합되어 결합되어진다.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400)의 작동은 제1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는, 광학 특성이 향상되므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품질이 향상된다. 또한, 방전셀들 내에 남아 있는 불순가스를 배기하기 위한 배기 능력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9)

  1. 전면기판;
    상기 전면기판에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전면기판과의 사이에 행 방향 및 열 방향으로 배치된 적색, 녹색, 청색 방전셀들을 한정하는 배면기판;
    행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방전셀들 사이에 형성된 제1격벽부들과, 상기 제1격벽부들을 연결하는 제2격벽부들과, 상기 방전셀들의 행들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제3격벽부들을 포함하는 격벽;
    상기 적색, 녹색, 청색 방전셀들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적색, 녹색, 청색 발광 형광체층들을 포함하며,
    상기 적색, 녹색, 청색 방전셀들 중에서 휘도가 가장 높은 방전셀의 크기가 가장 크게 형성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셀들의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횡단면을 가지며,
    상기 방전셀들의 길이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상기 휘도가 가장 높은 방전셀의 폭이 다른 방전셀의 폭보다 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녹색 방전셀들이 상기 적색 및 청색 방전셀들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녹색 발광 형광체층들은 Y계열 또는 Zn계열의 형광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청색 발광 형광체층들은 BAM계열 형광체를 포함하고,
    상기 적색 발광 형광체층들은 Y계열 형광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6. 전면기판;
    상기 전면기판에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전면기판과의 사이에 행 방향 및 열 방향으로 배치된 적색, 녹색, 청색 방전셀들을 한정하는 배면기판;
    행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방전셀들 사이에 형성된 제1격벽부들과, 상기 제1격벽부들을 연결하는 제2격벽부들과, 상기 방전셀들의 행들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제3격벽부들을 포함하는 격벽;
    상기 적색, 녹색, 청색 방전셀들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적색, 녹색, 청색 발광 형광체층들을 포함하며,
    상기 적색, 녹색, 청색 방전셀들 중에서 휘도가 가장 낮은 방전셀의 크기가 가장 크게 형성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셀들의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횡단면을 가지며,
    상기 방전셀들의 길이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상기 휘도가 가장 낮은 방전셀의 폭이 다른 방전셀의 폭보다 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청색 방전셀들이 상기 적색 및 녹색 방전셀들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청색 발광 형광체층들은 BAM계열의 형광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녹색 발광 형광체층들은 Y계열 또는 Zn계열 형광체를 포함하고,
    상기 적색 발광 형광체층들은 V계열 또는 B계열 형광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1.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격벽부들과 상기 제1격벽부들이 교차하는 부분의 높이가 상기 격벽의 다른 부분의 높이보다 낮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2.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격벽부들은 각각 실질적으로 상기 제2격벽부들의 길이방향으로의 가운데 부분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3.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격벽부들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1격벽부들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4.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격벽부들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2격벽부들의 길이방향으로의 가운데 부분, 및 상기 제1격벽부들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5.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행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방전셀들을 따라 연장되는 방전전극들을 더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방전전극은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방전셀들의 행들 사이의 영역에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방전전극은 인접하는 행들의 방전셀들에 공통으로 작용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방전전극은, 상기 방전셀들의 행들 사이에 영역에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버스전극과, 상기 버스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인접하는 행들의 방전셀들 방향으로 연장되는 투명전극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전극들과 교차하도록 연장되는 어드레스전극들;
    상기 방전전극들 및 어드레스전극들을 각각 덮는 전면유전체층 및 배면유전체층; 및
    상기 방전셀들 내에 배치되는 방전가스를 더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060009023A 2006-01-27 2006-01-27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51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9023A KR100751362B1 (ko) 2006-01-27 2006-01-27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9023A KR100751362B1 (ko) 2006-01-27 2006-01-27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8607A true KR20070078607A (ko) 2007-08-01
KR100751362B1 KR100751362B1 (ko) 2007-08-22

Family

ID=38599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9023A KR100751362B1 (ko) 2006-01-27 2006-01-27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13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4107A1 (ko) * 2016-06-30 2018-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04488B2 (ja) * 2001-08-09 2006-08-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531482B1 (ko) * 2003-07-09 2005-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4107A1 (ko) * 2016-06-30 2018-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US10833229B2 (en) 2016-06-30 2020-11-10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1362B1 (ko) 2007-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105411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8195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91841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5136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3715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3020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3716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9230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9229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4760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9230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7031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1523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6820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6821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8195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8192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9228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0872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7031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70097191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60062621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50104184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50101431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50104187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