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7131B1 - 유무선 통합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 및 그 이동통신 보조방법 - Google Patents

유무선 통합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 및 그 이동통신 보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7131B1
KR100987131B1 KR1020090037753A KR20090037753A KR100987131B1 KR 100987131 B1 KR100987131 B1 KR 100987131B1 KR 1020090037753 A KR1020090037753 A KR 1020090037753A KR 20090037753 A KR20090037753 A KR 20090037753A KR 100987131 B1 KR100987131 B1 KR 100987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signal
communication terminal
terminal
wi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7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성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90037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71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7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7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 및 그 보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은, 유선 망에 연결된 유선 단말기에 접속되며,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유선 단말기 사이의 무선 통신을 중개하는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기 설정된 이동통신 단말기인지를 인증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인증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인증부에 의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인증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송수신되는 신호가 음성신호인지 또는 데이터신호인지를 판별하는 신호 판별부; 및 상기 신호 판별부에 의해 판별된 신호가 음성신호인 경우 신호의 송수신 채널을 무선전화 모드로 설정하며, 데이터신호인 경우 상기 채널을 네트워크 모드로 설정하는 모드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동통신, 유무선 통합, 동글, 블루투스, CTP, PAN

Description

유무선 통합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 및 그 이동통신 보조방법{Mobile supporting system for FMC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유무선 통합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 및 그 이동통신 보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통신 경로를 유선 망을 통하여 우회시킴으로써 이동통신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 및 그 이동통신 보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은 전세계적인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전세계 어디서나 접속하고자 하는 상대편 컴퓨터에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라는 공통의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자유롭게 연결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개방형 네트워크이다. 인터넷을 통하여 기본적인 문자 정보의 전달은 물론 데이터 압축 기술의 발전으로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파일 전송, 전자 우편, WWW(World Wide Web)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이 인터넷은 국내를 비롯하여 세계적으로 이용이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기존 산업의 전 부분에 걸쳐 효율성과 생산성 제고를 위한 전략적인 도구로서 중요성이 급속히 증대되고 있다. 더욱이 인터넷을 통한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가 지속적으로 창출됨은 물론 그 영역도 확장되고 있는 추세여서 인터넷을 이용한 사업자들도 점점 더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인터넷은 유선으로 연결된 컴퓨터와 같은 유선 단말기를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이동성에 제약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로 CDMA(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등의 방식을 이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음성 서비스뿐만이 아니라 패킷 데이터, 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대용량의 데이터를 동시다발적으로 전
송하는 멀티캐스팅 멀티미디어 통신으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
대용량의 데이터 전송이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가능해짐에 따라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금융 서비스, 어학 학습, 게임, 방송 서비스 등의 각종 정보를 언제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CDMA-2000 1x 망에서부터는 이동 통신이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 단말로 동작할 수 있게 되었으며, 고속의 양방향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해졌다. 앞으로 정보 통신 기술이 발전하게 되면 1x EV-DO 및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for the 2000) 등 차세대 이동 통신망에서는 데이터 전송 속도가 더욱 증가할 것이다.
이렇듯 초고속 인터넷 망 조기 구축과 이동 통신 단말기 보급 증가로 사람들은 각종 인터넷 서비스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이동통신은 그 사용자의 위치 변동에 따라 통신 채널이 유동되어야 하기 때문에, 그 통신방식이 복잡하며 그에 따라 이동통신 비용도 유선통신 비용에 비하여 비싸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이동통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유선 망과 무선 망을 융합하여 인터넷 접속은 유선 단말기를 이용한 유선통신을 기본으로 하며, 유선 단말기와 무선 단말기 사이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기반의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방식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유동성을 확장시키고 통신비용도 저렴화시키는 유무선 통합(FMC: Fixed Mobile Convergence) 통신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이와 같은 유무선 통합 통신 시스템은 유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대방 단말기와 음성신호를 송수신하는 인터넷 전화에, 유선 단말기와 무선 단말기 사이의 무선통신을 결합하여 사용자의 이동성을 확장함으로써, 음성통신의 비용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사용자의 유동성을 보장한다.
이와 같은 유무선 통합 통신 시스템에 이용되는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 중, 블루투스가 특히 주목을 받는 이유는, 블루투스는 저렴한 가격의 저전력(약 100mW)을 사용하며, 주파수 대역을 나누기 때문에 데이터를 여러 주파수에 걸쳐 분할하여 전송할 수 있고, 블루투스 신호는 벽이나 가방 등을 통과해서 전송될 수 있으므로 배선이나 연결 상황을 육안으로 확인할 필요가 없으며 장애물의 영향을 적게 받으며, 주파수 특성도 전 방향으로 신호가 전송되기 때문에 각 장치를 연결하기 위하여 일정한 각도를 유지할 필요가 없고, 무엇보다 전 세계 수많은 국가가 블루투스 표준 규격을 준수하기 때문에 세계 어느 곳에서나 같은 기술을 이용할 수 있어 편 리하다는 점에 있다.
그러나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은 유선 단말기가 위치된 장소에서 일정한 반경 이내의 유동성만을 보장(블루투스의 경우 약 10m)하기 때문에, 여전히 사용자의 완전한 이동성을 보장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성신호의 송수신뿐만 아니라, 동영상이나 이미지 등의 데이터의 송수신도 가능하게 되었지만,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비용은 유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비용에 비하여 비싸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완전한 이동성을 보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음성신호의 송수신 및 데이터 송수신의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 및 그 보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은, 유선 망에 연결된 유선 단말기에 접속되며,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유선 단말기 사이의 무선 통신을 중개하는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기 설정된 이동통신 단말기인지를 인증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인증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인증부에 의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인증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송수신되는 신호가 음성신호인지 또는 데이터신호인지를 판별하는 신호 판별부; 및 상기 신호 판별부에 의해 판별된 신호가 음성신호인 경우 신호의 송수신 채널을 무선전화 모드로 설정하며, 데이터신호인 경우 상기 채널을 네트워크 모드로 설정하는 모드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의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은, 상기 유선 단말기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무선통신 지원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어플리케이션 저장부; 및 상기 유선 단말기에 접속되면, 상기 무선통신 지원 어플 리케이션을 상기 유선 단말기에 플러그인 시키는 플러그인 실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은, 상기 신호 판별부에 의해 판별된 신호가 음성신호인 경우, 상기 채널을 CTP(Cordless Telephony Profile)를 이용하여 동기식으로 설정하는 채널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의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은, 상기 신호 판별부에 의해 판별된 신호가 데이터신호인 경우, 상기 채널을 PAN(Personal Area Network)을 이용하여 비동기식으로 설정하는 채널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신호 판별부에 의해 판별된 신호가 데이터신호인 경우, 상기 채널 설정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설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할당하며, 외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신호를 할당된 상기 사설 IP 주소로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쌍으로 동작하며, 휴대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보조방법은, 유선 망에 연결된 유선 단말기에 접속되며, 상기 유선 단말기와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무선 통신을 중개하게 하는 이동통신 보조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이동통신 보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기 설정된 이동통신 단말기인지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기 설정된 이동통신 단말기인 것으로 인증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송수신되는 신호가 음성신호인지 또는 데이터신호인지를 판별하는 단계; 및 판별된 상기 신호가 음성신호인 경우 신호의 송수신 채널을 무선전화 모드로 설정하며, 데이터신호인 경우 상기 채널을 네트워크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 보조장치는 상기 유선 단말기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무선통신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며, 상기의 이동통신 보조방법은 상기 이동통신 보조장치가 상기 유선 단말기에 접속되면, 상기 무선통신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유선 단말기에 플러그인 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이동통신 보조방법은 판별된 상기 신호가 음성신호인 경우, 상기 채널을 CTP를 이용하여 SCO(Synchronous Connection Oriented link)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의 이동통신 보조방법은 판별된 상기 신호가 데이터신호인 경우, 상기 채널을 PAN을 이용하여 ACL(Asynchronous Connection Less link)로 연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 및 그 보조방법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완전한 이동성을 보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음성신호의 송수신 및 데이터 송수신의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 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에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보다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 범위가 기재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10)은 도 1에 도시된 사설망 A(20)뿐만 아니라, 인터넷(70)에 직접 연결된 유선 단말기(30)에 접속될 수 있으며, 또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40)와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기반의 적외선 통신, 또는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RF(Radio Frequency) 통신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여기서, 사설망(Private Network) A는 가상 사설망(VPN: Virtual Private Network)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10)은 사용자의 이동성을 확장시키기 위하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세서리 형태로 이동통신 단말기(40)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형태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40)의 사용자가 사설망 A(20)의 영역에서 사설망 B(50)의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는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10)을 사설망 B(50)의 영역으로 함께 이동시켜 사설망 B(50)에 연결된 유선 단말기(60)에 용이하게 접속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설망 A(20) 및 사설망 B(50)는 인터넷(70)에 접속되어 CP(Contents Provider) 서버(90)와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현되며, 또한 이동망(80)을 통하여 타인의 이동통신 단말기(85)에 연결되거나,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87)을 통하여 유선 전화기(89)에 연결되어 음성 패킷망(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을 이용한 음성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인터넷(70)을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 방식 및 음성신호의 송수신 방식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지금까지의 기업들은 지사나 영업소 또는 이동근무자가 지역적 제한 없이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통신 사업자에게 전용회선을 임대하여 원격지까지 연결하는 방식으로 사설망을 확대했다. 이렇게 구성하는 사설망은 각종 통신망 장비와 소프트웨어 투자에 초기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통신회선 요금도 비싸고 통신망을 운영하고 관리하는 데에도 많은 인적 레걋자원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기존 사설망의 고비용과 비효율적인 관리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인터넷 망을 마치 전용선으로 사설 망을 구축한 것처럼 사용하는 방식이 대두하게 되었는데 이를 가상 사설망이라 한다.
가상사설망은 기업의 통신망과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와 연결만 하면 되기 때 문에 별도로 값비싼 장비나 소프트웨어를 구입하고 관리할 필요가 없어 기존의 사설망 연결방식보다 비용이 대폭 절감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일반기업에서는 확보하기 어려운 정보통신 관련 전문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또 재택 근무자, 출장이 잦은 직원, 현장 근무자들이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와 전화로 접속한 다음 인터넷을 통하여 회사와 연결할 수 있다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즉 공중망을 이용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늘어나거나 장소를 옮기더라도 유연하게 통신망을 사용할 수 있어 본사와 지사, 지사와 지사간의 자료 공유가 훨씬 용이해진다.
하지만 가상사설망은 인터넷이라는 공중망을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적절한 통신속도 및 대역폭의 보장과, 무엇보다 정보에 대한 보안이 확실하지 않다는 점이 큰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정보의 완벽한 보안을 보장받지 못한다면 서비스로서의 의미를 가질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10)은 정보의 안전한 보안을 위하여, 통신 대상으로 기 설정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와 같은 고유 식별번호, 단말기 정보, 가입자 정보, ESN(Electronic Serial Number; 장치 일련번호) 정보 등을 저장하며, 이와 같은 저장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통신 단말기(40)가 기 설정된 이동통신 단말기인지를 인증하고, 이동통신 단말기(40)가 기 설정된 이동통신 단말기인 것으로 인증된 경우에만 그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40)와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10)은 기 설정된 이동통신 단말기(40)만을 인식하고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송수신은 차단되도록, 기 설정된 이동통신 단말기(40)와 쌍을 이루어 동 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10)은 송수신되는 정보의 암호화, 전자인증과 같은 방식을 사용하여 전용 사설망과 같은 안전한 자료전송이 보장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10)은 사용자의 이동성을 확장시키기 위하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세서리 형태로 이동통신 단말기(40)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10)은 USB(Universal Serial Bus) 입출력 단자를 구비한 동글(dongle)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동글 장치는 컴퓨터의 입출력 접속구에 연결되는 장치로, 특정 프로그램의 복사나 실행 시 인가된 사용자만이 사용할 수 있도록 보안 키(key)나 ID를 저장한 장치로서, USB 및 블루투스 기능을 지원한다.
이와 같은 동글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40)와의 사이에, 정해진 신호 규약에 따라 블루투스 방식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데, 정해진 규약으로는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24PIN 할당 내역인 도 3과 같은 종류의 표준 규약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동글 장치는 접속된 유선 단말기(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공급 라인을 구비하며, USB 커넥터(도시하지 않음)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유선 단말기(30)에 접속되면 내부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유선 단말기(30)로 플러그인 되어 자동으로 구동되도록 구현된다.
도 4는 도 1의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10)은, 이동통신 단말기 인증부(11), 신호 판별부(12), 모드 설정부(13), 어플리케이션 저장부(14), 플러그인 실행부(15), 및 채널 설정부(16)를 구비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인증부(11)는 이동통신 단말기(40)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40)의 고유 식별번호에 기초하여, 이동통신 단말기(40)가 기 설정된 이동통신 단말기인지를 인증한다. 즉,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10)에는 쌍을 이루어 무선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 식별번호가 기 설정되어 저장되어 있다. 또한,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10)이 유선 망에 연결된 유선 단말기(30,60)에 접속되면,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10)은 유선 단말기(30, 6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통신 단말기(40)와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10)은 이동통신 단말기(40)에 조회 요청신호를 전송하며, 전송된 조회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이동통신 단말기(40)로부터 수신한 응답신호에 포함된 고유 식별번호에 기초하여 이동통신 단말기(40)가 기 설정된 이동통신 단말기인지를 인증한다.
신호 판별부(12)는 이동통신 단말기 인증부(11)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40)가 기 설정된 이동통신 단말기인 것으로 인증되면, 이동통신 단말기(40)와 송수신되는 신호가 음성신호인지 또는 데이터신호인지를 판별한다. 이때, 신호 판별부(12)는 이동통신 단말기(40)로부터 수신되는 요청신호에 기초하여 음성신호 또는 데이터신호를 판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40)가 음성신호를 발신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 대방 이동통신 단말기(85)의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통화 버튼을 누르게 되는데, 이때 통화 버튼에 의해 음성 요청신호가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10)으로 전송되며, 신호 판별부(12)는 수신된 음성 요청신호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4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가 음성신호인 것으로 판별하게 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40)가 인터넷(70)에 연결된 CP 서버(9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먼저 인터넷(70)에 접속하기 위한 브라우저를 구동하거나 VM(Virtual Machine)을 구동버튼을 누르게 되는데, 이때 브라우저 또는 VM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버튼에 의해 데이터 요청신호가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10)으로 전송되며, 신호 판별부(12)는 수신된 데이터 요청신호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40)와 송수신되는 신호가 데이터신호인 것으로 판별하게 된다.
그러나, 신호 판별부(12)에 의한 음성신호 또는 데이터신호의 판별은 기재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음성신호의 송수신 및 데이터신호의 송수신의 메뉴를 포함하는 선택메뉴를 이동통신 단말기(40)에 제공하고, 선택메뉴에 대응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신호에 따라 음성신호 또는 데이터신호를 판별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모드 설정부(13)는 신호 판별부(12)에 의해 판별된 신호가 음성신호인 경우, 유선 단말기(30)와 이동통신 단말기(40) 사이의 송수신 채널을 무선전화 모드로 설정한다. 블루투스 방식의 무선통신의 경우, CTP(Cordless Telephony Profile)가 쌍으로 동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40) 및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10)에 탑재된다. 여기서, CTP는 무선전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파일로서, TCS(Telephony Control Protocol Specification)의 운용에 관한 규격을 만족시킨다.
모드 설정부(13)는 신호 판별부(12)에 의해 판별된 신호가 음성신호인 경우,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10) 및 이동통신 단말기(40)에 탑재된 CTP를 사용하여 유선 단말기(30)와 이동통신 단말기(40) 사이의 송수신 채널을 무선전화 모드로 설정한다.
이때, 채널 설정부(16)는 모드 설정부(13)에 의한 무선전화 모드 설정에 따라, 유선 단말기(30)와 이동통신 단말기(40) 사이의 송수신 채널을 SCO(Synchronous Connection Oriented) 연결형의 동기식으로 설정한다.
블루투스 방식의 근거리 무선통신은 음성과 데이터를 혼합하는 멀티미디어 응용을 지원하기 위하여 SCO 연결형과 ACL(Asynchronous Connection Less) 연결형 두 가지 형태의 링크를 정의한다.
SCO 연결형은 동기식 링크로서, 보통 음성통신을 위하여, 대칭적으로 회선교환(circuit switched)하는 방식을 택하며, 점대점(point to point) 통신을 지원한다. 이와 같은 링크들은 일정한 간격으로 두 개의 연속적인 슬롯(forward and return slot)을 갖는다.
또한, ACL 연결형은 비동기식 링크로서, 버스트(burst)한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대칭적 또는 비대칭적으로 패킷 교환(packet switched)하는 방식을 택하며, 점대다점(point to multipoint) 통신을 지원한다. 마스터 장치는 ACL 연결형 통신을 제어하기 위하여 폴링(polling) 방식을 사용한다. 또한, 슬레이브(slave)의 역 할을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40)와의 ACL 링크를 통하여 호 설정 및 해제 메시지, 음성 부호화 데이터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교환한다.
신호 판별부(12)에 의해 판별된 신호가 데이터신호인 경우, 모드 설정부(13)는 유선 단말기(30)와 이동통신 단말기(40) 사이의 송수신 채널을 네트워크 모드로 설정한다. 이때, 쌍으로 동작하는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10) 및 이동통신 단말기(40)에는 PAN(Personal Area Network) 프로파일이 탑재되며, 모드 설정부(13)는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10) 및 이동통신 단말기(40)에 탑재된 PAN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유선 단말기(30)와 이동통신 단말기(40) 사이의 송수신 채널을 네트워크 모드로 설정한다.
이때, 채널 설정부(16)는 모드 설정부(13)에 의한 네트워크 모드 설정에 따라, 유선 단말기(30)와 이동통신 단말기(40) 사이의 송수신 채널을 ACL 연결형의 비동기식으로 설정한다.
또한, 채널 설정부(16)는 이동통신 단말기(40)에 사설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할당하여, 이동통신 단말기(40)가 인터넷(70)을 통하여 CP 서버(70)와 직접적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어플리케이션 저장부(14)는 유선 단말기(30)와 이동통신 단말기(40) 사이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무선통신 지원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한다.
또한, 플러그인 실행부(15)는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10)이 유선 단말기(30)에 접속되면, 어플리케이션 저장부(14)에 저장된 무선통신 지원 어플리케이션을 유선 단말기(30)에 플러그인 시킨다. 이때, 유선 단말기(30)에 플러그인 되는 정보에 는 이동통신 단말기(40)의 고유 식별번호가 포함된다.
도 5는 도 4의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에 의한 이동통신 보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의 기능 및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동통신 단말기(40)의 사용자가 사설망 A의 영역에 있는 경우, 사용자가 사설망(20)에 연결된 유선 단말기(30)에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10)을 접속시키면(S101), 플러그인 실행부(15)는 어플리케이션 저장부(14)에 저장된 무선통신 지원 어플리케이션을 유선 단말기(30)에 플러그인 시킨다(S103). 이때,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10)에 기 설정되어 저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 식별번호도 함께 유선 단말기(30)로 플러그인 되며, 유선 단말기(30)는 사설망 A에 근접한 교환국(도시하지 않음)에 이동통신 단말기(40)가 플러그인 되었음을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선통신 지원 어플리케이션이 유선 단말기(30)에 플러그인 되면,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10)의 이동통신 단말기 인증부(11)는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40)에 조회 요청신호를 전송하며, 그 조회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이동통신 단말기(40)로부터 수신한 응답신호에 기초하여 이동통신 단말기(40)가 기 설정된 이동통신 단말기인지를 인증한다(S105).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 인증부(11)는, 기 설정된 이동통신 단말기인 것으로 인증된 이동통신 단말기(40)에 대해서만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며,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 해서는 신호의 송수신이 차단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호 판별부(13)는 이동통신 단말기(40)로부터의 키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송수신되는 신호가 음성신호인지 또는 데이터신호인지를 판별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40)의 사용자가 음성통화 발신을 위하여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85) 또는 유선 전화기(89)의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통화버튼을 입력하면, 신호 판별부(13)는 통화버튼에 의한 입력신호에 따라 송수신되는 신호가 음성신호인 것으로 판별한다(S107).
또한,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85) 또는 유선 전화기(89)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40)를 착신으로 하는 음성 호 연결신호가 발신되면, 사설망 A에 근접한 교환국은 유선 단말기(30)에 의해 통지된 정보에 따라, 유선 단말기(30)에 이동통신 단말기(40)가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10)에 의한 무선통신이 가능하게 되었음을 인식하고 음성 호 연결신호를 사설망 A를 통하여 유선 단말기(30)로 전송한다. 이때, 교환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호 연결신호에는 음성신호임을 알리는 정보가 포함되며, 신호 판별부(12)는 그 정보에 기초하여 송수신 신호가 음성신호인 것으로 판별한다.
신호 판별부(12)에 의해 송수신되는 신호가 음성신호인 것으로 판별되면, 모드 설정부(13)는 유선 단말기(30)와 이동통신 단말기(40) 사이의 송수신 채널을 무선전화 모드로 설정한다.
또한, 채널 설정부(16)는 유선 단말기(30)와 이동통신 단말기(40) 사이의 송수신 채널을 CTP를 이용하여 SCO 연결형으로 연결한다(S109).
유선 단말기(30)는 사설망(20) 및 인터넷(70)을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85) 또는 유선 전화기(89)와 인터넷 음성통화를 위한 호를 연결한다.
이로써, 이동통신 단말기(40)는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10) 및 사설망(20)에 연결된 유선 단말기(30)를 이용하여 인터넷 음성통화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이동통신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40)의 사용자가 사설망 A의 영역에서 사설망 B의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40)와 함께 이동된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10)을 사설망 B에 연결된 유선 단말기(60)에 접속하는 것만으로 사설망 B에서의 인터넷 음성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만일, 이동통신 단말기(40)의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40)를 통하여 음성통화를 하면서 이동하는 도중에 사설망 A의 근거리 무선통신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모드 설정부(13)는 무선전화 모드를 이동통신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음성통화가 끊이지 않고 계속적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40)의 사용자가 인터넷 브라우저 또는 VM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버튼을 누르면, 신호 판별부(12)는 구동버튼에 의한 입력신호에 따라 송수신되는 신호가 데이터신호인 것으로 판별한다(S111).
신호 판별부(12)에 의해 송수신되는 신호가 데이터신호인 것으로 판별되면, 모드 설정부(13)는 유선 단말기(30)와 이동통신 단말기(40) 사이의 송수신 채널을 네트워크 모드로 설정한다.
또한, 채널 설정부(16)는 유선 단말기(30)와 이동통신 단말기(40) 사이의 송수신 채널을 PAN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ACL 연결형으로 연결한다(S113). 이때, 채널 설정부(16)는 이동통신 단말기(40)에 유선 단말기(30)의 IP와 링크된 사설 IP를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도 4의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의 신호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동통신 단말기 인증부(11)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40)가 기 설정된 이동통신 단말기인 것으로 인증되면, 이동통신 보조장치(10)와 이동통신 단말기(40) 사이의 PPP(Point to Point Protocol) 접속 또는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동적 호스트 설정 통신 규약)에 의한 IP 할당이 이루어지며, 이동통신 보조장치(10)는 GW(Gateway)(110)에 가상 사설망 또는 액세스를 위한 요청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PPP는 컴퓨터 통신망에서 통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에 사용하는 프로토콜로서, 슬립과 유사하지만 다중 연결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DHCP는 호스트 IP 구성관리를 단순화하는 IP 표준으로서, DHCP 서버를 사용하여 IP 주소 및 관련된 기타 구성 세부 정보를 네트워크의 DHCP를 이용하는 클라이언트에게 동적으로 할당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GW(110)는 이동통신 보조장치(10)로부터 수신한 요청신호를 이동통신 사업자의 AAA(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ccounting) 서버(120)로 전달하며, AAA 서 버(120)로부터 수신된 응답신호를 이동통신 보조장치(10)로 전달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이동통신 보조장치(10)는 유선 단말기(30)를 거쳐 GW(110)까지 유선 망을 이용한 터널링(tunneling) 하며, 그에 따라 인터넷(70)에 접속된 CP 서버(90) 등과 같은 AS(Application Server)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이동통신 단말기(40)는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10) 및 사설망(20)에 연결된 유선 단말기(30)를 이용하여 인터넷(70)에 연결된 CP 서버(9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이동통신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40)의 사용자가 사설망 A의 영역에서 사설망 B의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음성통화와 마찬가지로 이동통신 단말기(40)와 함께 이동된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10)을 사설망 B에 연결된 유선 단말기(60)에 접속하는 것만으로 사설망 B에서의 인터넷 데이터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의 형상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24PIN 할당 내역을 갖는 표준 규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에 의한 이동통신 보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4의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의 신호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 20: 사설망 A
30, 60: 유선 단말기 40, 85: 이동통신 단말기
50: 사설망 B 70: 인터넷

Claims (10)

  1. 유선 망에 연결된 유선 단말기에 접속되며,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유선 단말기 사이의 무선 통신을 중개하는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기 설정된 이동통신 단말기인지를 인증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인증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인증부에 의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인증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송수신되는 신호가 음성신호인지 또는 데이터신호인지를 판별하는 신호 판별부; 및
    상기 신호 판별부에 의해 판별된 신호가 음성신호인 경우 신호의 송수신 채널을 무선전화 모드로 설정하며, 데이터신호인 경우 상기 채널을 네트워크 모드로 설정하는 모드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 단말기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무선통신 지원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어플리케이션 저장부; 및
    상기 유선 단말기에 접속되면, 상기 무선통신 지원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유선 단말기에 플러그인 시키는 플러그인 실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판별부에 의해 판별된 신호가 음성신호인 경우, 상기 채널을 CTP(Cordless Telephony Profile)를 이용하여 동기식으로 설정하는 채널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판별부에 의해 판별된 신호가 데이터신호인 경우, 상기 채널을 PAN(Personal Area Network)을 이용하여 비동기식으로 설정하는 채널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판별부에 의해 판별된 신호가 데이터신호인 경우, 상기 채널 설정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설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할당하며, 외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신호를 할당된 상기 사설 IP 주소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쌍으로 동작하며, 휴대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
  7. 유선 망에 연결된 유선 단말기에 접속되며, 상기 유선 단말기와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무선 통신을 중개하게 하는 이동통신 보조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이동통신 보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기 설정된 이동통신 단말기인지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기 설정된 이동통신 단말기인 것으로 인증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송수신되는 신호가 음성신호인지 또는 데이터신호인지를 판별하는 단계; 및
    판별된 상기 신호가 음성신호인 경우 신호의 송수신 채널을 무선전화 모드로 설정하며, 데이터신호인 경우 상기 채널을 네트워크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보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보조장치는 상기 유선 단말기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무선통신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며,
    상기 이동통신 보조장치가 상기 유선 단말기에 접속되면, 상기 무선통신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유선 단말기에 플러그인 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보조방법.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판별된 상기 신호가 음성신호인 경우, 상기 채널을 CTP를 이용하여 SCO(Synchronous Connection Oriented link)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보조방법.
  10.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판별된 상기 신호가 데이터신호인 경우, 상기 채널을 PAN을 이용하여 ACL(Asynchronous Connection Less link)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보조방법.
KR1020090037753A 2009-04-29 2009-04-29 유무선 통합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 및 그 이동통신 보조방법 KR100987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753A KR100987131B1 (ko) 2009-04-29 2009-04-29 유무선 통합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 및 그 이동통신 보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753A KR100987131B1 (ko) 2009-04-29 2009-04-29 유무선 통합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 및 그 이동통신 보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7131B1 true KR100987131B1 (ko) 2010-10-12

Family

ID=43135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7753A KR100987131B1 (ko) 2009-04-29 2009-04-29 유무선 통합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 및 그 이동통신 보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713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1736A (ko) * 2006-04-12 2007-10-17 주식회사 엔피아이 무선통화기능을 구비한 유선전화기용 동글장치
KR20080006241A (ko) * 2006-07-11 2008-01-16 하나 마이크론(주) 유무선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080112925A (ko) * 2007-06-22 2008-12-26 주식회사 아이네트빌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블루투스 유에스비 동글장치를 이용한 통화 모드 전환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1736A (ko) * 2006-04-12 2007-10-17 주식회사 엔피아이 무선통화기능을 구비한 유선전화기용 동글장치
KR20080006241A (ko) * 2006-07-11 2008-01-16 하나 마이크론(주) 유무선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080112925A (ko) * 2007-06-22 2008-12-26 주식회사 아이네트빌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블루투스 유에스비 동글장치를 이용한 통화 모드 전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61744A1 (en) Controlling wireless, low-power radio frequency network
CN101600224B (zh) 无线数据卡支持多个pdp上下文的实现方法及无线数据卡
EP2717635B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CN104301857A (zh) 用于通信终端之间的无线通信的方法和设备
WO2008019597A1 (fr) Système de communication sans fil à courte distance et procédé pour accéder à une messagerie instantanée
CN103281752A (zh) Wifi网络接入方法、装置、电子设备及通信系统
JP2014534674A (ja) ワイヤレス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認証方法およびモバイル端末
CN102215154A (zh) 网络业务的访问控制方法及终端
CN103281759A (zh) Wifi网络接入方法、装置、电子设备及通信系统
CN101098166A (zh) 一种通信设备传送信息的方法和系统
CN102612033B (zh) 具有瘦无线接入点功能的手机以及其通信方法
FI124232B (en) METHOD, SYSTEM AND MOBILE TERMINAL FOR PUBLIC NETWORK CONNECTION
US20110106956A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CN105451368A (zh) 一种通信方法及设备
KR100987131B1 (ko) 유무선 통합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보조 시스템 및 그 이동통신 보조방법
CN104158954B (zh) 移动终端之间进行控制的方法及系统
EP1658701B1 (en) Method, system and mobile terminal for establishing a vpn connection
JP2001285956A (ja)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とその無線局装置
CN103167432A (zh) 一种基于蓝牙传输协议实现近场信息发送的系统及方法
CN102378357A (zh) 无线传感器网络终端注册方法及终端、网关和业务平台
CN211378259U (zh) 一种智能家居设备及其通信系统
JP2010074481A (ja) Lanシステム、端末装置、利用申請装置、ユーザアカウント取得方法
KR100778799B1 (ko) 무선통신모듈을 가상 이더넷으로 이용한 인터넷 접속방법및 시스템
KR20030084987A (ko) 인터넷 기반 이동 단말기 제공
KR100446955B1 (ko) 공중 근거리 통신망 서비스를 위한 접속 및 로밍 서비스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