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7095B1 - Equipment for Purifying of River water quality using Soil and Method of Purifying River water quality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Equipment for Purifying of River water quality using Soil and Method of Purifying River water quality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7095B1
KR100987095B1 KR1020080073167A KR20080073167A KR100987095B1 KR 100987095 B1 KR100987095 B1 KR 100987095B1 KR 1020080073167 A KR1020080073167 A KR 1020080073167A KR 20080073167 A KR20080073167 A KR 20080073167A KR 100987095 B1 KR100987095 B1 KR 100987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iver
soil layer
soil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31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11797A (en
Inventor
조강우
안규홍
송경근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73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7095B1/en
Publication of KR20100011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7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7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70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8Biological phosphorus remov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4Oxidation reduction potential [ORP]

Abstract

본 발명은 하상 충적층 및 하안 토양층을 이용한 하천의 수질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천의 수질정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천의 수질정화장치는 하천수 분배부 및 처리수 회수부를 포함하고, 하천수 분배부는 하천수를 양수하는 펌프; 양수된 하천수를 이송하는 제1 도수관; 및 이송된 하천수를 하안 토양층으로 균등하게 공급하는 복수의 출수대를 포함한다. 처리수 회수부는, 하상의 충적층 내에 매설되어 충적층에 의해 정화된 처리수를 집수하는 제1 수평집수관; 하안 토양층 내에 매설되어 하안 토양층을 통해 정화된 처리수를 집수하는 제2 수평집수관; 및 제1 및 제2 수평집수관으로부터 집수된 처리수를 저장하는 수직 집수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천의 처리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하상 충적층 및 하안 토양층을 이용하여 하천수 내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하천수의 토양 내 체류시간을 단축하여 철과 망간의 용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vice for water quality purification of rivers using riverbed alluvial and riverbed soil layers, and a method for water quality purification of rivers using the same. 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of the str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ream water distribution unit and a treated water recovery unit, and the river water distribution unit includes a pump for pumping the river water; A first conduit for conveying pumped river water; And a plurality of outlets for equally supplying the transferred river water to the riverbed soil layer. The treated water recovery unit may include: a first horizontal collecting pipe which collects the treated water embedded in the lower bed alluvial bed and purified by the alluvial bed; A second horizontal collection pipe embedded in the riverbed soil layer to collect purified water through the riverbed soil layer; And a vertical sump collecting the treated water collec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sump tub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treatment capacity of the river,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move the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river water by using the bed alluvial layer and riverbed soil laye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elution of iron and manganese by shortening the residence time of the river water.

하상여과, 하상 충적층, 하안 토양층, 하천 수질정화 Riverbed filtration, riverbed alluvium, riverbed soil layer, river water purification

Description

토양을 이용한 하천의 수질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천의 수질정화 방법{Equipment for Purifying of River water quality using Soil and Method of Purifying River water quality using the same}Equipment for Purifying of River water quality using Soil and Method of Purifying River water qualit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토양을 이용한 하천의 수질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천의 수질정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하천 바닥의 충적층을 통한 여과와 하천변의 토양층을 통한 여과를 이용한 하천의 수질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천의 수질정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of a river using soil and a water purification method of the river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of a river using filtration through an alluvial bed at the bottom of the river and a filtration through the soil layer of the stream side. It relates to a water purification method of rivers.

기존 이·치수 중심의 하천정비로 인한 하천 직강화와 조경 중심의 하천 복원사업으로 인한 하천환경 훼손은 하천 유수의 체류시간 감소 및 자정능력 상실을 초래하였다. 더구나 하천 전체 수량에 대한 수질개선에 있어서 기존의 수처리 공법을 적용하는 것은 경제성 측면에서 현실적이지 못하다. 따라서 하천의 자연적 정화 능력을 회복함으로써 자체적으로 깨끗한 수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연친화적 수질정화 기술에 대한 요구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The river environment strengthened by the existing river-centered river maintenance and landscaping-centered river restoration project resulted in the reduction of residence time and the loss of self-cleaning capacity. In addition, it is not practical to apply the existing water treatment method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of the entire stream. Therefore, the demand for a natural water purification technology that can maintain the clean water quality on its own by restoring the natural purification capacity of the river is gradually increasing.

이러한 배경으로 적용된 접촉산화시설, 인공습지, 인공식물섬 등을 이용한 수질정화 기술들은 홍수시 그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없거나 시설 자체가 붕 괴되는 한계점이 있다. 이는 상기 기술들이 하천만을 고려한 1차원적인 기술이라는 한계에 기인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지표수, 지하수, 토지를 포함한 유역 공간을 고려할 수 있는 자연친화적 수질정화 방법이 필요하다. Water purification technologies using contact oxidation facilities, artificial wetlands, and artificial plant islands applied against this background have limitations in that they cannot sustain their functions during flooding or collapse of the facility itself. This is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one-dimensional technology considering the river only, and to overcome this, a natural water purification method that can consider the watershed space including surface water, groundwater, land.

이러한 관점에서 하상여과에 의한 하천의 수질개선 방법 (한국특허 제 10-0291223호)은 하상의 충적층을 이용하여 여과 및 토양 미생물의 생물학적 정화작용에 의해 하천수 중의 유기물 및 질소 등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하천, 지하수 및 수변공간까지 고려하는 환경 친화적인 수질정화 방법으로서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의 방법은 그 처리 용량이 하상의 충적층의 투수계수에 절대적으로 의존하기 때문에 투수능이 좋지 않은 하상에서는 처리용량 확보를 위해 수평 집수관의 개수를 늘려야 하고 장기 운전을 통한 하상의 폐색(Clogging)시에는 운전의 유지가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In this regard, the method of improving the water quality of rivers by river filtration (Korean Patent No. 10-0291223) is a method of removing organic matter and nitrogen in river waters by filtration and biological purification of soil microorganisms by using an alluvial bed of river bed. The demand is increasing a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water purification method that takes into account water, groundwater and waterside space. However, since the treatment capacity is absolutely dependent on the permeability coefficient of the alluvial bed of the be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horizontal collection pipes in order to secure the capacity in the case of poor permeability, and to block the bed by long-term operation. ) Has the disadvantage of difficult to maintain driving.

또한, 토양 내 함수율이 포화상태로 장기 유지될 때는 용존 산소, 질산성 질소 등이 부재한 상태인 환원 환경으로 전환하는데, 이러한 환원 환경에서는 토양 내에 존재하는 철, 망간 등이 용출되어 적수, 흑수 등 처리수에 색도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the moisture content in the soil is maintained in a saturated state for a long time, it is converted into a reducing environment in which dissolved oxygen and nitrate nitrogen are not present. There is a problem of causing chromaticity in the treated wat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하상의 투수계수에 제한 받지 않으며, 하천수 내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하천수의 처리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토양을 이용한 하천의 대용량 수질정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not limited to the permeability coefficient of the riverbed, can effectively remove the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river water, using a soil that can increase the treatment capacity of the river water Its purpose is to provide a large capacity water purification device for rivers.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수질정화 장치를 이용한 하천수의 수질정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purification method of river water using the above water purification devic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토양을 이용한 하천의 수질정화 장치는 하천수 분배부와 처리수 회수부를 포함한다.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for rivers using the so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stream water distribution unit and treated water recovery unit.

상기 하천수 분배부는, 하천의 수중에 구비되어 하천수를 양수하는 펌프; 상기 펌프와 연결되고, 양수된 하천수를 이송하는 제1 도수관; 및 상기 제1 도수관으로부터 이송된 하천수를 하안 토양층으로 균등하게 공급하는 복수의 출수대를 포함한다. 상기 하안 토양층에 공급된 하천수는 토양층 내에서의 여과, 토양 입자로의 흡착 및 토양 미생물의 생물학적 반응을 통해 하천수 내의 유기물과 질소 등 영양염류가 제거됨으로써 정화된다.The river water distribution unit, the pump is provided in the water of the river to pump the river water; A first water pipe connected to the pump and transferring the pumped river water; And a plurality of outlets for equally supplying the river water transferred from the first conduit to the riverbed soil layer. The river water supplied to the riverbed soil layer is purified by removing nutrients such as organic matter and nitrogen in the riverwater through filtration in the soil layer, adsorption to soil particles, and biological reaction of soil microorganisms.

상기 처리수 회수부는, 하상의 충적층에 매설되어 하천수가 상기 하상의 충적층을 통과하면서 여과, 흡착, 및 생물학적 반응을 통해 정화된 처리수를 집수하는 하나 이상의 제1 수평집수관; 상기 하안 토양층 내에서 제1 수평집수관보다 높 은 심도로 매설되고, 상기 하안 토양층을 통해 정화된 처리수를 집수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수평집수관; 및 제1 및 제2 수평집수관으로부터 집수된 처리수를 저장하는 수직 집수정을 포함한다.The treated water recovery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first horizontal collection pipe embedded in the alluvial bed of the riverbed and collecting the treated water purified by filtration, adsorption, and biological reaction while the river water passes through the alluvial bed of the bed; At least one second horizontal collecting pipe embedded in the lower soil layer to have a higher depth than the first horizontal collecting pipe and collecting the treated water purified through the lower soil layer; And a vertical sump collecting the treated water collec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sump tub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출수대는 최대 출수 거리의 두 배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outlets may be provid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wice the interval of the maximum outlet distan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수평집수관은 방사상으로 매설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collection pipes may be embedded radially.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처리수 회수부는, 상기 수직 집수정과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매설되고, 상기 제2 수평집수관과 연결되어 상기 제2 수평집수관에 집수된 처리수를 상기 수직 집수정으로 이송하는 제2 도수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eated water recovery unit, buri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connection with the vertical water collecting wells, connected to the second horizontal water collecting pipe to collect the treated water collected in the second horizontal water collecting pipe to the vertical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water pipe for transporting to the sump.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 집수관은 50∼100mm의 직경을 갖고, 10∼15m의 심도를 갖도록 매설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horizontal collection pipe may be buried to have a diameter of 50 to 100 mm and a depth of 10 to 15 m.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수평 집수관은 50∼100mm의 직경을 갖고, 5∼10m의 심도를 갖도록 매설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horizontal collection pipe may be buried to have a diameter of 50 to 100mm and a depth of 5 to 10m.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집수정은 5∼15m의 내경을 갖는 것일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water collecting well may have an inner diameter of 5 to 15m.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안 토양층은 지하수면을 기준으로 상기 지하수면 상부의 제1 토양층과 그 하부의 제2 토양층으로 구분될 수 있고, 상기 제1 토양층은 0.1 cm/s 이상의 수리전도도를 갖도록 완속 여과사로 개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토양층은 하천수에 함유된 유해물질을 흡착하도록 부식토, 퍼라이트, 또는 제올라이트의 친자연 여재가 혼합된 것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soil layer may be divided into a first soil layer above the groundwater surface and a second soil layer below the groundwater surface, and the first soil layer has a hydraulic conductivity of 0.1 cm / s or more. It may be modified with a slow filter sand to have. In addition, the first soil layer may be a mixture of the natural soil of humus, perlite, or zeolite to adsorb the harmful substances contained in the river wat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안 토양층의 표층에 조성된 식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생은 상기 하안 토양층 내에 존재하는 질소, 인을 흡수하고 근권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대사활동을 통해 오염물질을 제거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further comprise a vegetation composition in the surface layer of the bottom soil layer. The vegetation absorbs nitrogen and phosphorus present in the riverbed soil layer and removes contaminants through metabolic activity of microorganisms in the near-spher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집수정의 일측에 설치된 강우량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강우량계에서 측정된 누적강우량에 따라 상기 하천수 분배부의 운전이 온/오프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ing a rainfall mete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vertical sump, the operation of the river water distribution unit may be turned on / off according to the accumulated rainfall amount measured in the rainfall met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안 토양층 내에 설치한 산화환원전위 측정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산화환원전위 측정 센서에 측정된 산화환원전위 값에 따라 상기 하천수 분배부의 운전이 온/오프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ing a redox potential sensor installed in the bottom soil layer, the operation of the river water distribution unit can be turned on / off according to the redox potential value measured in the redox potential sensor. have.

또한, 상기한 하천의 수질정화 장치를 이용한 하천의 수질정화 방법은 다음과 같다. In addition, the water purification method of the river using 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of the river is as follows.

상기 하천의 수중에 구비된 펌프를 이용하여 하천수를 양수하고, 상기 펌프와 연결된 제1 도수관을 이용하여 양수된 하천수를 하안 토양층으로 이송한다. 상기 제1 도수관과 각각 연결되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출수대를 이용하여 이송된 하천수를 하안 토양층으로 균등하게 공급한다. 상기 하안 토양층으로 공급된 하천수는 상기 하안 토양층 내에서의 여과, 흡착 및 생물학적 반응을 통해 정화되는 과정을 거친다.Pumping the river water using a pump provided in the water of the river, and transfers the pumped river water to the riverbed soil layer using a first water pipe connected to the pump. Each of the first water pipes i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is evenly supplied to the riverbed soil layer by using a plurality of water outle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river water supplied to the riverbed soil layer is purified through filtration, adsorption and biological reaction in the riverbed soil layer.

다음으로, 하상의 충적층에 매설된 제1 수평집수관을 이용하여, 하천수가 상 기 하상의 충적층을 통과하면서 여과, 흡착, 및 생물학적 반응을 통해 정화된 처리수를 집수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하안 토양층 내에서 상기 제1 수평집수관보다 높은 심도로 매설된 제2 수평집수관을 이용하여 상기 하안 토양층을 통해 정화된 처리수를 집수한다.Next, by using the first horizontal collection pipe embedded in the bed of the bed of river bed, the stream water is collected through the filter bed, adsorption, and biological reaction while the stream is passed through the bed of bed of the bed. At the same time, the treated water is collected through the lower soil layer using a second horizontal collecting tube embedded in the lower soil layer at a higher depth than the first horizontal collecting tube.

이 후, 상기 하안 토양층에서 수직 방향으로 매설된 수직 집수정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 2 수평집수관으로부터 집수된 처리수를 저장한다.Thereafter, the treated water collec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collecting pipes is stored using a vertical water collecting well embed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bottom soil lay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천 수질정화 방법은 상기 수직 집수정의 일측에 설치된 강우량계를 이용하여 누적강우량을 측정하고, 상기 누적강우량에 따라 상기 하천수 분배부의 운전을 온/오프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ream water pur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measuring the cumulative rainfall using a rainfall mete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vertical sump, and on / off the operation of the river water distribution unit according to the cumulative rainfall amount. Can be.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하천 수질정화 방법은 상기 하안 토양층 내에 설치한 산화환원전위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산화환원전위 값을 측정하고, 상기 산화환원전위 값에 따라 상기 하천수 분배부의 운전을 온/오프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in the stream water pur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dox potential value is measured using a redox potential sensor installed in the soil layer of the riverbank, and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stream water distribution unit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redox potential value. The process may further include.

본 발명에 따른 토양을 이용한 하천의 수질정화 장치를 이용한 하천의 수질정화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e water purification method of the river using 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of the river using the so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 따른 하천의 수질정화 장치를 이용하면, 수평 집수관의 단위 길이 당 약 50 m3/일·m의 처리수를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여 기존 하상여과를 이용한 하천의 수질개선방법보다 여과수량을 2배 이상 증가시킬 수 있다. By using 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of the str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duce about 50 m 3 / day · m of treated water per unit length of the horizontal collection pipe, and the amount of filtered water compared to the existing method of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river using the river filtration. Can be increased more than twice.

또한, 하상 충적층 및 하안 토양층을 이용하여 여과, 흡착, 침전 등의 물리적 제거방법 및 다양한 산화·환원 조건하에서의 생물학적 분해 작용을 통해 하천수 중 존재하는 다양한 종류의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move various kinds of contaminants in the river water through the physical removal method such as filtration, adsorption, sedimentation, and biological degradation under various oxidation and reduction conditions using the bed alluvial bed and the bottom soil layer.

나아가, 하안 토양층에 대한 하천수의 간헐적인 공급을 통하여 강우시 하천 범람에 의한 구조물의 유실을 방지하고, 비점오염원이 하안 토양층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영양염류, 탄화수소계 오염물질, 중금속류 등의 비점오염물에 대한 처리를 통해 하천의 수질을 대폭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Furthermore, intermittent supply of river water to riverbed soil layers prevents the loss of structures caused by river flooding during rainfall, and allows nonpoint pollutants to enter the riverbed soil layers, thereby allowing nonpoint pollutants such as nutrients, hydrocarbon-based pollutants, and heavy metals. It is possible to drastically improve the water quality of rivers through treatment of sewage.

또한, 하천수의 토양 내 체류시간을 단축하고 하천수의 간헐적인 공급을 통해 기존의 하상여과에서 문제시되는 철과 망간의 용출을 최소화 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elution of iron and manganese, which is a problem in the existing river filtration, by shortening the residence time of the river water and intermittent supply of the river water.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양을 이용한 하천의 대용량 수질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천의 수질정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large-scal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for rivers using soil and water purification methods for rivers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양을 이용한 하천의 수질정화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양을 이용한 하천의 수질정화 장치의 평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of a river using so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of a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of a river using so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양을 이용한 하천의 수질정화 장치는 하안 토양층(203, 205)의 상부에 설치된 하천수 분배부(110)와 하상 충적층(202)의 하부 및 하안 토양층(203, 205) 내에 매설된 처리수 회수부를 포함하고, 하천(201)의 물이 하상 충적층(202) 및 하안 토양층(203, 205) 을 각각 거치면서 정화되는 것을 기본적인 원리로 한다.1 to 2, 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of the river using the so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river water distribution unit 110 and the bed alluvial layer 202 installed on the upper soil layer (203, 205) The basic principle is that the treated water recovery part embedded in the lower and lower soil layer (203, 205) of the bottom) and the water in the stream 201 is purified while passing through the lower bed alluvial layer (202) and the lower soil layer (203, 205), respectively. Shall be.

한편, 본 발명에서는 지하수면(204)을 기준으로, 상기 하안 토양층을 상기 지하수면(204) 상부의 제1 토양층(203)과 상기 지하수면(204) 하부의 제2 토양층(205)로 구분한다. 상기 제1 토양층(203)은 상기 제2 토양층(205)보다 함수율이 낮고, 산소 함유량이 많을 수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soil layer is divided into a first soil layer 203 above the groundwater surface 204 and a second soil layer 205 below the groundwater surface 204 based on the groundwater surface 204. . The first soil layer 203 may have a lower moisture content and a higher oxygen content than the second soil layer 205.

본 발명에 따른 하천의 수질정화 장치 중 상기 하천수 분배부(110)는 하안 토양층(203, 205) 내에서의 여과, 토양 입자로의 흡착 및 토양 미생물의 생물학적 분해를 통한 하천의 수질 정화를 위해 제1 토양층(203)으로 하천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The stream water distribution unit 110 of the stream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for filtration in the riverbed soil layer (203, 205), adsorption to soil particles and water purification of the river through biological decomposition of soil microorganisms. 1 serves to supply river water to the soil layer (203).

상기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하천수 분배부(110)는 제1 펌프(111), 제1 도수관(112) 및 복수의 출수대(113)를 포함한다.In order to perform the above role, the river water distribution unit 110 includes a first pump 111, a first water pipe 112 and a plurality of water outlet 113.

상기 제1 펌프(111)는 하천(201)의 수중에 구비되어 하천수를 양수한다. 상기 제1 도수관(112)은 상기 제1 펌프(111)와 연결되고 상기 제1 토양층(203)의 상부로 연장되어 양수된 하천수를 이송한다. 상기 복수의 출수대(113)는 상기 제1 도수관(112)으로부터 이송되는 하천수를 제1 토양층(203)으로 균등하게 공급한다.The first pump 111 is provided in the water of the river 201 to pump the river water. The first water pipe 112 is connected to the first pump 111 and extends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oil layer 203 to transport the pumped river water. The plurality of outlets 113 uniformly supplies the river water transferred from the first water pipe 112 to the first soil layer 203.

상기 복수의 출수대(113)은 상기 제1 도수관(112)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상기 제1 도수관(112) 상에 설치된다. 상기 복수의 출수대(113)는 하천수를 상기 제1 토양층(203)으로 균등하게 공급하기 위해, 최대 출수 거리의 두 배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출수대(113)으로 스프링클러를 사용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outlets 113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first conduit 112 and are installed on the first conduit 112. The plurality of outlets 113 are preferably spaced apart at twice the maximum water discharge distance in order to evenly supply the river water to the first soil layer 203. A sprinkler may be used as the plurality of outlets 113.

상기 하천수 분배부(110)에 의한 하천수의 살포량은 제1 토양층(203)의 성상 및 설계 유량에 따라 달라지는데, 일반적으로 토양의 공극이 포화되지 않을 정도의 양으로 살포하며, 제1 토양층(203)의 단위 면적당 500L/day·m2 이상의 살포량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mount of spraying the river water by the river water distribution unit 110 varies depending on the properties of the first soil layer 203 and the design flow rate. It is preferable to have a spreading amount of 500 L / day · m 2 or more per unit area of.

하상계수가 큰 하천의 경우, 상기 제1 토양층(203)은 집중강우기간 동안 하천의 범람 및 그에 따른 퇴적작용에 의해 투수성이 양호한 사질 퇴적층의 특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상기 하천수 분배부(110)로부터 공급된 하천수가 상기 제1 토양층(203)을 통과하면서, 하천수 내 입자상 오염물질이 토양 간극으로의 여과를 통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토양 입자에 부착 성장하는 호기성 미생물들은 하천수 중 용존산소 및 대기로부터의 산소 전달을 통해 공급받는 전자수용체을 이용하여 하천수 내 유기물을 분해하고 수중 암모니아성 질소를 질산화 작용을 통해 질산성 질소로 바꾸는 역할을 한다. In the case of a river having a high bed coefficient, the first soil layer 203 is known to have a good water permeability of sand deposits due to the flooding of the river and the sedimentation action during the concentrated rainfall period. Therefore, while the river water supplied from the river water distribution unit 110 passes through the first soil layer 203, particulate contaminants in the river water may be removed through filtration into the soil gap. In addition, aerobic microorganisms attached to soil particles decompose organic matters in river water using electron acceptors supplied through dissolved oxygen in the river water and oxygen transfer from the atmosphere, and convert ammonia nitrogen in water into nitrate nitrogen through nitrification. Do it.

상기 제2 토양층(205)의 일정 깊이 이하에서는 생물학적 반응에 의해 용존산소를 모두 소모한 무산소 또는 혐기성 상태로 유지되며, 이 조건에서는 생물학적 탈질 반응에 의해 수중 질산성 질소를 제거할 수 있다. Below a predetermined depth of the second soil layer 205 is maintained in an anaerobic or anaerobic state in which all dissolved oxygen is consumed by a biological reaction, and in this condition, nitrate nitrogen may be removed from the water by biological denitrification.

한편, 토양의 침투계수가 낮을 경우에 본 방법을 적용할 경우 하천수의 지하로의 침투속도가 지나치게 작아 체류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이는 토양 미생물의 과대 성장 및 사멸 미생물에 의한 토양폐색으로 토양의 투수능이 더욱 악화되는 악순환을 야기한다. 따라서 상기 제1 토양층(203)은 0.1 cm/s 이상의 수리전도도를 갖 는 것이 바람직하며, 자연 상태의 제1 토양층(203)이 이를 만족하지 못할 경우 0.1 cm/s 이상의 수리전도도를 갖도록 상기 제1 토양층(203)의 표면을 완속 여과사 등으로 개질할 수 있다. 상기 완속 여과사는 충분한 수리전도도를 만족하기 위하여 균등계수 2 이하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oil penetration coefficient is low, the application of this method leads to a long residence time due to the infiltration rate of river water into the groundwater being too low. It causes a vicious cycle of worsening SAT. Therefore, the first soil layer 203 preferably has a hydraulic conductivity of 0.1 cm / s or more, and if the first soil layer 203 in a natural state does not satisfy this, the first soil layer 203 has a hydraulic conductivity of 0.1 cm / s or more. The surface of the soil layer 203 may be modified by slow filtration sand or the like. The slow filtration yarn is preferably supplied with a uniform coefficient of 2 or less in order to satisfy sufficient hydraulic conductivity.

또한, 일부 하천의 경우 수중 중금속, 탄화수소 등 미량 유해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는 상기 완속 여과사와 함께 상기 균등계수의 조건을 만족하는 한에서 미량 유해물질에 대한 흡착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부식토, 퍼라이트, 제올라이트 등의 친자연 여재를 상기 제1 토양층(203)과 혼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some rivers may contain trace harmful substances such as heavy metals and hydrocarbons in water. In this case, the adsorption capacity for trace harmful substances is known to be excellent as long as the conditions of the uniformity coefficient are satisfied together with the slow filtration yarn. It is possible to mix the natural materials such as humus, perlite, zeolite and the like with the first soil layer 203.

나아가, 상기 제1 토양층(203)의 상부에는 사질 토양에서 성장이 가능한 식생을 식재하여, 식물 성장에 따른 오염물질 제거와 조경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식생으로는 육상식물 또는 수생식물이 될 수 있으며, 건조하거나 습한 환경에 모두 적응할 수 있고 유해물질에 대한 내성이 강하며 성장속도가 적당한 상록수에 해당하는 종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식생은 성장 과정에서 뿌리를 통해 제1 토양층(203) 내의 암모니아성 질소, 질산성 질소, 인산염 등의 영양염류를 흡수하고, 표면 미생물의 대사활동을 통해 오염물질을 생물학적으로 분해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by planting vegetation that can grow in the sandy soil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oil layer 203,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removal of pollutants and landscaping effect according to the growth of the plant. The vegetation may be a land plant or an aquatic plant, a species that can adapt to both dry and wet environments, is resistant to harmful substances, and corresponds to evergreen trees with moderate growth rate. Such vegetation absorbs nutrients such as ammonia nitrogen, nitrate nitrogen, and phosphate in the first soil layer 203 through the roots during growth, and biologically decomposes pollutants through metabolic activity of surface microorganisms. do.

상기 제1 토양층(203)의 일정 깊이에는 산화환원전위 측정 센서(132)가 설치되어 상기 제1 토양층(203) 내의 산화환원전위 값에 따라 상기 하천수 분배부(110)의 운전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 redox potential measuring sensor 132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epth of the first soil layer 203 to determine whether to operate the river water distribution unit 110 according to the redox potential value in the first soil layer 203. can do.

본 발명에 따른 하천의 수질정화 장치 중 상기 처리수 회수부는, 제1 수평집 수관(121), 제2 수평집수관(122), 수직 집수정(123) 및 제2 도수관(124)을 포함하며, 하상 충적층(202)으로 자연침투하여 정화된 하천의 처리수와 상기 하안 토양층(203, 205)을 통하여 정화된 처리수를 집수하여 상기 수직 집수정(123) 내에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The treated water recovery unit of 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of the str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horizontal collecting pipe 121, the second horizontal collecting pipe 122, the vertical collecting well 123 and the second water pipe 124 , And collects the treated water of the stream purified by natural permeation into the bed alluvial layer 202 and the treated water purified through the bottom soil layers 203 and 205 and stores it in the vertical sump 123.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수평집수관(121)은 하상 충적층(202) 하부의 제2 토양층(205)에 수평방향으로 매설되며, 하천수가 상기 하상 충적층(202)을 통과하면서 자정작용에 의해 정화된 처리수를 회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수평집수관(121)은 토양 조건에 따라 50∼100m의 직경을 갖는 유공관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하천수위, 하상계수 및 지하수위 등에 따라 10∼15m의 심도를 갖도록 매설할 수 있다. 상기 하상 충적층(202)의 면적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수평집수관(121)을 방사상으로 3기 이상 매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pecifically, the first horizontal collection pipe 121 is buri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second soil layer 205 below the bed alluvial layer 202, and the river water is purified by the midnight action while passing through the bed alluvial layer 202. It serves to recover the treated water. The first horizontal collection pipe 121 may use a perforated pipe having a diameter of 50 to 100m according to soil conditions, and may be buried to have a depth of 10 to 15m according to the river water level, river bed coefficient and groundwater level. In order to maximize the area of the lower bed alluvial layer 202, as shown in FIG. 2, it is preferable to bury three or more first horizontal collection pipes 121 radially.

일반적으로 하상은 기반암의 상부에 모래, 자갈 등이 퇴적된 충적층의 구조로 되어 있어 하상 충적층(202)은 그 투수성이 우수하고 여과 기능이 좋으며, 하상 충적층(202) 내 점토 및 실트질 입자는 오염물 흡착능력이 좋고, 미생물이 부착되어 살아가기 적합한 환경이다. 따라서 하천수 내 입자상 오염물질은 상기 하상 충적층(202)을 통과하면서 여과작용에 의해 제거되고, 상기 하상 충적층(202)의 일정 깊이까지는 하천수에 의해 공급받는 용존산소에 의해 호기 상태로 유지되므로 질산화, 유기물 분해 등 호기성 오염물질 분해 작용이 일어난다. In general, the bed phase has a structure of an alluvial layer in which sand, gravel, and the like are deposited on the top of the bedrock, and thus the bed phase alluvial layer 202 has excellent permeability and good filtration function. It has good ability to adsorb contaminants and is suitable for living with microorganisms. Therefore, particulate contaminants in the river water are removed by filtration while passing through the bed alluvial layer 202, and nitrification and organic matter are maintained in an aerobic state by dissolved oxygen supplied by the stream water to a certain depth of the bed alluvial layer 202. Decomposition of aerobic contaminants such as decomposition occurs.

한편, 상기 하상 충적층(202)의 일정 깊이 이하에서는 생물학적 반응에 의해 용존산소를 모두 소모한 무산소 또는 혐기성 상태로 유지되며 이 조건에서는 생물 학적 탈질 반응에 의해 수중 질산성 질소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below a certain depth of the bottom bed alluvial layer 202 is maintained in an anoxic or anaerobic state that consumed all of the dissolved oxygen by a biological reaction, in this condition it is possible to remove nitrate nitrogen in the water by biological denitrification reaction.

상기 제2 수평집수관(122)은 상기 제2 토양층(205)에 수평방향으로 매설되어 상기 하천수 분배부(110)에 의해 공급된 하천수가 상기 제1 토양층(203) 및 그 하부의 제2 토양층(205)를 거치면서 정화된 처리수를 집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수평집수관(122)은 토양 조건에 따라 역시 50∼100m의 직경을 갖는 유공관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하천수질 및 지하수위 등에 따라 5∼10 m의 심도를 갖도록 매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cond horizontal collection pipe 122 is embedded in the second soil layer 205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river water supplied by the river water distribution unit 110 has the first soil layer 203 and the second soil layer thereunder. Collecting the purified treated water while passing through (205). The second horizontal collecting pipe 122 may use a perforated pipe having a diameter of 50 to 100 m, depending on soil conditions, and is preferably buried to have a depth of 5 to 10 m depending on river water quality and groundwater level.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수평집수관(122)은 처리수의 집수 속도를 최대화하기 위하여, 상기 하천수 분배부(110)의 제1 도수관(112)과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복수개 설치할 수 있으며, 이 때, 제2 도수관(124)를 통해 상기 수직 집수정(123)과 연결시킨다. 상기 제2 도수관(124)은 상기 수직 집수정(123)과 연결되고 제2 토양층(205) 내에 수평방향으로 매설되고, 상기 제2 수평집수관(122)에 집수된 처리수를 상기 수직 집수정(123)으로 이송한다. 상기 제2 수평집수관(122)은 상기 제2 도수관(124)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된다. 한편, 상기한 설치가 곤란할 경우에는 상기 제2 수평집수관(122)을 상기 제1 수평집수관(121)과 같이 방사상으로 설치하여 상기 수직 집수정(123)과 직접 연결한다.As shown in FIG. 2, the second horizontal collection pipes 12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water pipes 112 of the river water distribution unit 110 in order to maximize the collection speed of the treated water. It can be installed, and at this time, it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sump 123 through the second water pipe (124). The second water pipe 124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water collecting well 123 and embedded in the second soil layer 205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water collecting well is treated with water treated in the second horizontal water collecting pipe 122. Transfer to (123). The second horizontal collection pipe 122 is provid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water pipe 124. On the other hand, when the installation is difficult, the second horizontal collecting pipe 122 is installed radially like the first horizontal collecting pipe 121 and directly connected to the vertical water collecting well 123.

다음으로 수직 집수정(123)은 제 1 수평집수관(121)과 제 2 수평집수관(122)에 의해 회수된 처리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상기 수직 집수정(123) 상측에는 장비 반입 또는 작업자의 출입을 위한 맨홀이 설치되고, 우기나 하천 범람시 상기 수직 집수정(123) 내의 시설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밀폐형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하부에는 제2 펌프(125)가 설치되어 수직 집수정(123) 내에 저장된 물을 농업용수, 조경용수, 하천유지용수 등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수직 집수정(123) 내 수위를 하강시켜 지속적인 처리수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수직 집수정(123)은 처리 용량에 따라 5∼15m의 내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Next, the vertical sump 123 temporarily stores the treated water recovered by the first horizontal sump pipe 121 and the second horizontal sump pipe 122. A manhole for carrying in or carrying out equipment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vertical sump 123 and is a sealed structure that can safely protect facilities in the vertical sump 123 during a rainy season or a river overflow. The second pump 125 is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thereof so that the water stored in the vertical sump 123 can be used as agricultural water, landscaping water, river maintenance water, etc., thereby lowering the water level in the vertical sump 123. To allow continuous inflow of treated water. The vertical sump 123 preferably has an inner diameter of 5 to 15 m depending on the processing capacity.

한편, 상기 수직 집수정(123)의 일측에는 강우량계(131)가 부착되어 누적강우량값에 따라 상기 하천수 분배부(110)의 운전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Meanwhile, a rainfall meter 131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vertical sump 123 to determine whether to operate the river water distribution unit 110 according to a cumulative rainfall value.

이하, 상기한 하천의 수질정화 장치를 이용한 하천의 수질정화 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water purification method of the river using the above-mentioned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of the river is demonstr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천의 수질정화 방법은 다음과 같다. Water purification method of the r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하천(201)의 수중에 구비된 제1 펌프(111)를 이용하여 하천수를 양수하고, 상기 제1 펌프(111)와 연결된 제1 도수관(112)을 이용하여 양수된 하천수를 하안 토양층의 상부로 이송한다. 상기 제1 도수관(112)과 각각 연결되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출수대(113)를 이용하여 이송된 하천수를 제1 토양층(203)으로 균등하게 살포한다. 상기 제1 토양층(203)으로 공급된 하천수는 상기 제1 및 제2 토양층(203, 205) 내에서의 여과, 흡착 및 생물학적 반응을 통해 정화되는 과정을 거친다.1 and 2, the river water is pumped using the first pump 111 provided in the water of the river 201, and the first water pipe 112 connected to the first pump 111 is used. The pumped river water is transferred to the upper part of the riverbed soil layer. Each of the streams connected to the first water pipes 112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using a plurality of water outlets 113 are evenly sprayed onto the first soil layer 203. The river water supplied to the first soil layer 203 is purified through filtration, adsorption, and biological reaction in the first and second soil layers 203 and 205.

다음으로, 하상 충적층(202)에 매설된 제1 수평집수관(121)을 이용하여, 하천수가 상기 하상 충적층(202)을 통과하면서 여과, 흡착, 및 생물학적 반응을 통해 정화된 처리수를 집수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2 토양층(105) 내에서 상기 제1 수 평집수관(121)보다 높은 심도로 매설된 제2 수평집수관(122)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토양층(203, 205)을 통해 정화된 처리수를 집수한다.Next, by using the first horizontal collection pipe 121 embedded in the bed alluvial layer 202, the stream water is collected through the bottom bed alluvial layer 202 to collect the treated water purified through filtration, adsorption, and biological reaction. . At the same time, the first and second soil layers 203 and 205 are formed by using a second horizontal collecting tube 122 embedded in the second soil layer 105 at a higher depth than the first horizontal collecting tube 121. Collect the purified water through.

상기 제1 수평집수관(121)으로 집수된 처리수는 상기 수직 집수정(123)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 수평집수관(122)으로 집수된 처리수는 상기 제2 도수관(124)을 통하여 상기 수직 집수정(123)으로 이동되어 각각 저장된다.The treated water collected by the first horizontal collecting pipe 121 is moved to the vertical collecting well 123, and the treated water collected by the second horizontal collecting pipe 122 is transferred through the second water collecting pipe 124. The vertical sump 123 is moved to and stored in each.

일반적으로 하천의 수변지역에 설치된 하천 수질정화 장치는 집중 강우시 하천의 범람에 의해 그 구조가 유지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1 토양층(203)에 지속적으로 하천수가 공급될 경우 제1 토양층(203)이 포화상태에 가까워져 대기로부터의 산소전달이 감소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1 토양층(203) 및 그 하부의 제2 토양층(205)에서 많은 부분이 무산소 또는 혐기 상태로 전환된다. 이는 두 가지 문제점을 야기하는데, 하나는 토양층 내에서의 호기성 오염물질 분해반응이 이루어지기 어려워진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토양 내 환원환경 조성에 따라 토양 내에 존재하는 철, 망간 등의 물질이 용출되어 처리수에 색도를 유발하게 된다는 점이다. In general, the river water purification device installed in the riverside waterfront area has a problem that its structure is difficult to maintain due to flooding of the river during the concentrated rainfall. In addition, when the river wate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first soil layer 203, the first soil layer 203 is close to a saturated state, thereby reducing oxygen transfer from the atmosphere. Accordingly, a large portion of the first soil layer 203 and the second soil layer 205 below it is converted into an anaerobic or anaerobic state. This causes two problems. One is that it is difficult to decompose aerobic contaminants in the soil layer, and the other is iron and manganese, such as iron and manganese, which are present in the soil, depending on the composition of the reducing environment in the soil. It will cause chromaticity in number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토양층(203)으로의 하천수 공급을 간헐적으로 운전하는 방법을 도입하였으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양을 이용한 하천의 수질정화 방법에서 하천수 분배장치의 운전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이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has introduced a method of intermittently operating the river water supply to the first soil layer 203, Figure 3 is a method of water purification of the river using the so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river water distribution system.

일반적으로 누적 강우량이 5mm 초과일 때에는 하천 주변의 수변구역에서부터 발생하는 강우유출수가 하천으로 대량 유입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강우량계(131)에 측정된 누적 강우량이 5mm를 초과할 때에는 하천수 분배부(110)의 제1 펌프(111)의 운전을 중단시켜 강우유출수가 제1 토양층(203)으로 빠른 속도로 침투될 수 있도록 하여 하천(201)의 범람속도를 저감할 수 있다(S1, S2). 그 과정에서 강우유출수 내 포함되어 있는 유기물, 영양염류, 중금속 등의 오염물질이 제거되어 하천 수질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In general, when the cumulative rainfall exceeds 5mm, it is known that rainfall runoff from the waterfront area around the river flows into the river. Therefore, as shown in FIG. 3, when the accumulated rainfall measured by the rainfall meter 131 exceeds 5 mm, rainfall runoff is stopped by operating the first pump 111 of the river water distribution unit 110. The flooding speed of the river 201 can be reduced by allowing it to be rapidly penetrated to 203 (S1 and S2). In the process, contaminants such as organic matter, nutrients, and heavy metals contained in rainfall runoff can be removed, thereby further improving river water quality.

또한, 청천시에는 제1 토양층(203)의 일정 깊이에 설치한 산화환원전위 측정 센서(132)를 이용하여 제1 토양층(203)이 환원환경으로 전환되는 시점, 즉 측정된 산화환원전위가 음의 값을 갖게 되는 시점에서 제1 펌프(111)의 운전을 중단시켜 제1 토양층(203)의 함수율을 감소시키고, 이를 통해 대기 중으로부터의 산소 전달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S3, S4). In addition, in Cheongcheon, when the first soil layer 203 is converted into a reducing environment using the redox potential sensor 132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epth of the first soil layer 203, that is, the measured redox potential is negative. At the time point having the value of, the operation of the first pump 111 may be stopped to decrease the moisture content of the first soil layer 203, thereby enabling oxygen transfer from the atmosphere (S3 and S4).

또한, 강우량계(131) 및 산화환원전위 측정 센서(132)로부터 각각 측정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장치와 데이터에 따라 상기 하천수 분배부(110)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상기 하천수 분배부(110)가 도 3에 도시된 알고리즘에 따라 자동 운전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a collection device for collecting the data measured from the rainfall meter 131 and the redox potential measurement sensor 132 and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iver water distribution unit 110 according to the data, the river water The distribution unit 110 may be automatically operated according to the algorithm shown in FIG. 3.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상 충적층 및 하안 토양층에 의해 동시에 하천이 정화됨으로, 하천의 처리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기존의 방법이 0.01 cm/s의 수리전도도를 갖는 토양에서 수평 집수관의 단위 길이(1 m) 당 약 20 m3/일의 처리수를 생산하였다면 본 발명에 의해서는 수평 집수관의 단위 길이(1 m) 당 약 50 m3/일의 처리수를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천 처리량의 증가에 따라, 하천수의 토양 내 체류시간을 단축하여 철과 망간의 용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since the stream is simultaneously purified by the riverbed alluvial bed and the riverbed soil layer, the throughput of the river can be increased. If the conventional method produces about 20 m 3 / day of treated water per unit length (1 m) of horizontal collecting pipe in soil with hydroconductivity of 0.01 cm / s, It is possible to produce about 50 m 3 / day of treated water per 1 m). With the increase in river throughput, the retention time of river water can be shortened to minimize the leaching of iron and manganese.

또한 강우시에는 하천수의 공급을 중단하고 비점오염원이 하안 토양층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영양염류, 탄화수소계 오염물질, 중금속류 등의 비점오염물에 대한 처리를 통해 하천수질을 대폭 개선할 수 있다.In addition, during rainfall, the river water supply can be stopped and non-point sources can be introduced into the riverbed soil layer, thereby improving the river water quality by treating non-point pollutants such as nutrients, hydrocarbon pollutants, and heavy metal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양을 이용한 하천의 수질정화 장치의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ter purification device of the river using the so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양을 이용한 하천의 수질정화 장치의 평면도이다. 2 is a plan view of 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of the river using the so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양을 이용한 하천의 수질정화 방법에서 하천수 분배장치의 운전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이다. Figure 3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method of the river water distribution device in the water quality purification method of the river using the so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10 : 하천수 분배부 111 : 제1 펌프110: river water distribution section 111: the first pump

112 : 제1 도수관 113 : 출수대112: first water pipe 113: water outlet

121 : 제1 수평집수관 122 : 제2 수평집수관121: first horizontal collection tube 122: second horizontal collection tube

123 : 수직 집수정 124 : 제2 도수관123: vertical sump 124: second water pipe

125 : 제2 펌프 131 : 강우량계125: second pump 131: rainfall meter

132 : 산화환원전위 측정 센서 201 : 하천132: redox potential sensor 201: river

202 : 하상 충적층 203 : 제1 토양층202: bed bed alluvial layer 203: first soil layer

204 : 지하수면 205 : 제2 토양층 204: underground water surface 205: second soil layer

Claims (16)

토양을 이용한 하천의 수질정화 장치에 있어서, In the water purification device of the river using the soil, 상기 수질정화 장치는 하천수 분배부와 처리수 회수부를 포함하고, The water purification device includes a stream water distribution unit and the treated water recovery unit, 상기 하천수 분배부는, 하천의 수중에 구비되어 하천수를 양수하는 펌프; 상기 펌프와 연결되고, 양수된 하천수를 이송하는 제1 도수관; 및 상기 제1 도수관으로부터 이송된 하천수를 하안 토양층으로 균등하게 공급하는 복수의 출수대를 포함하며, 상기 하안 토양층에 공급된 하천수는 토양층 내에서의 여과, 흡착 및 생물학적 반응을 통해 정화되고,The river water distribution unit, the pump is provided in the water of the river to pump the river water; A first water pipe connected to the pump and transferring the pumped river water; And a plurality of outlets for equally supplying the river water transferred from the first water pipe to the riverbed soil layer, wherein the riverwater supplied to the riverbed soil layer is purified through filtration, adsorption, and biological reaction in the soil layer. 상기 처리수 회수부는, 하상의 충적층에 매설되어 하천수가 상기 하상의 충적층을 통과하면서 여과, 흡착, 및 생물학적 반응을 통해 정화된 처리수를 집수하는 하나 이상의 제1 수평집수관; 상기 하안 토양층 내에서 제1 수평집수관보다 높은 심도로 매설되고, 상기 하안 토양층을 통해 정화된 처리수를 집수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수평집수관; 및 제1 및 제 2 수평집수관으로부터 집수된 처리수를 저장하는 수직 집수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을 이용한 하천의 수질정화 장치. The treated water recovery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first horizontal collection pipe embedded in the alluvial bed of the riverbed and collecting the treated water purified by filtration, adsorption, and biological reaction while the river water passes through the alluvial bed of the bed; At least one second horizontal collecting pipe embedded in the lower soil layer to have a higher depth than the first horizontal collecting pipe and collecting the treated water purified through the lower soil layer; And a vertical water collecting well for storing the treated water collec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water collecting pipe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복수의 출수대는 최대 출수 거리의 두 배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을 이용한 하천의 수질정화 장치. The plurality of outlets are water purification device for rivers using soil, characterized in tha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wice the interval of the maximum outlet distanc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수평집수관은 방사상으로 매설되고, 상기 수직 집수정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을 이용한 하천의 수질정화 장치. The first horizontal collection pipe is radially buried, 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of the river using the soil,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vertical sump.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 수평집수관은 방사상으로 매설되고, 상기 수직 집수정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을 이용한 하천의 수질정화 장치. The second horizontal collecting pipe is radially embedded, 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of the river using the soil,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vertical water collecting wel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수 회수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reated water recovery unit, 상기 수직 집수정과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매설되고, 상기 제2 수평집수관과 연결되어 상기 제2 수평집수관에 집수된 처리수를 상기 수직 집수정으로 이송하는 제2 도수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을 이용한 하천의 수질정화 장치. And a second water pipe connected to the vertical water collecting well and buri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second horizontal water collecting pipe to transfer the treated water collected in the second horizontal water collecting pipe to the vertical water collecting well. Water purification equipment of rivers using soil.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수평 집수관은 50∼100mm의 직경을 갖고, 10∼15m의 심도를 갖도록 매설되고, The first horizontal collection pipe has a diameter of 50 to 100mm and is embedded to have a depth of 10 to 15m, 상기 제2 수평 집수관은 50∼100mm의 직경을 갖고, 5∼10m의 심도를 갖도록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을 이용한 하천의 수질정화 장치. The second horizontal collecting pipe has a diameter of 50 to 100mm, and is buried so as to have a depth of 5 to 10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집수정은 5∼15m의 내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을 이용한 하천의 수질정화 장치. 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for rivers using soi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ertical water collecting wells have an inner diameter of 5 to 15 m.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하안 토양층은 지하수면을 기준으로 상기 지하수면 상부의 제1 토양층과 그 하부의 제2 토양층으로 구분되고,The riverbed soil layer is divided into a first soil layer above the groundwater surface and a second soil layer below the groundwater surface, 상기 제1 토양층은 0.1 cm/s 이상의 수리전도도를 갖도록 완속 여과사로 개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을 이용한 하천의 수질정화 장치. The first soil layer is a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for rivers using soil, characterized in that modified to slow filtration sand to have a hydraulic conductivity of 0.1 cm / s or more.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1 토양층은 하천수에 함유된 유해물질을 흡착하도록 부식토, 퍼라이트, 또는 제올라이트의 친자연 여재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을 이용한 하천의 수질정화 장치. The first soil layer is a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for rivers using soil, characterized in that the adsorbed toxic substances contained in the river water mixed with humus, perlite, or zeolite's natural material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하안 토양층의 표층에 조성되고, 상기 하안 토양층 내에 존재하는 질소, 인을 흡수하고 표면 미생물의 대사활동을 통해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식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을 이용한 하천의 수질정화 장치. 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of the river, which is formed on the surface layer of the riverbed soil layer, further includes a vegetation which absorbs nitrogen and phosphorus present in the riverbed soil layer and removes contaminants through metabolic activity of surface microorganisms. .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수직 집수정의 일측에 설치된 강우량계를 더 포함하고, Further comprising a rainfall mete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vertical catchment, 상기 강우량계를 이용하여 측정한 누적강우량에 따라 상기 하천수 분배부의 운전이 온/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을 이용한 하천의 수질정화 장치. Water quality purification device using the soil,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of the river water distribution unit on / off according to the cumulative rainfall measured using the rainfall met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하안 토양층 내에 설치한 산화환원전위 측정 센서를 더 포함하고,Further comprising a redox potential sensor installed in the soil layer of the river, 상기 산화환원전위 측정 센서에 측정된 산화환원전위 값에 따라 상기 하천수 분배부의 운전이 온/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을 이용한 하천의 수질정화 장치. 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of the river using soil,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of the river water distribution unit on / off according to the redox potential measured by the redox potential sensor. 토양을 이용한 하천의 수질정화 방법에 있어서,In the water purification method of the river using the soil, 상기 하천의 수중에 구비된 펌프를 이용하여 하천수를 양수하는 단계; Pumping river water using a pump provided in the river water; 상기 펌프와 연결된 제1 도수관을 이용하여 양수된 하천수를 하안 토양층으로 이송하는 단계;Transferring the pumped river water to the riverbed soil layer using a first water pipe connected to the pump; 제1 도수관과 각각 연결되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출수대를 이용하여 이송된 하천수를 하안 토양층으로 균등하게 공급하는 단계;Supplying stream water, which is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water pipes and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the stream water, which is transferred to the lower soil layer; 상기 하안 토양층으로 공급된 하천수는 상기 하안 토양층 내에서의 여과, 흡착 및 생물학적 반응을 통해 정화되는 단계; River water supplied to the riverbed soil layer is purified through filtration, adsorption and biological reaction in the riverbed soil layer; 하상의 충적층에 매설된 제1 수평집수관을 이용하여, 하천수가 상기 하상의 충적층을 통과하면서 여과, 흡착, 및 생물학적 반응을 통해 정화된 처리수를 집수하는 단계;Collecting the treated water purified by filtration, adsorption, and biological reaction while river water passes through the alluvial bed of the bed using the first horizontal collection pipe embedded in the bed of the bed; 상기 하안 토양층 내에서 상기 제1 수평집수관보다 높은 심도로 매설된 제2 수평집수관을 이용하여 상기 하안 토양층을 통해 정화된 처리수를 집수하는 단계; 및Collecting the treated water purified through the bottom soil layer by using a second horizontal collection pipe embedded in the bottom soil layer at a higher depth than the first horizontal collection pipe; And 상기 하안 토양층에서 수직 방향으로 매설된 수직 집수성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 2 수평집수관으로부터 집수된 처리수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을 이용한 하천의 수질정화 방법.And storing the treated water collec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collection pipes using vertical water collection embedded in the vertical soil layer in the riverbed soil layer. 제 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수직 집수정과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매설되고, 상기 제2 수평집수관과 연결된 제2 도수관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수평집수관에 집수된 처리수를 상기 수직 집수정으로 이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을 이용한 하천의 수질정화 방법.Transferring the treated water collected in the second horizontal collecting pipe to the vertical collecting well using a second water pipe connected to the vertical water collecting well and buri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second horizontal water collecting pipe. Water purification method of the river using the soil, characterized in that. 제 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수직 집수정의 일측에 설치된 강우량계를 이용하여 누적강우량을 측정하고, 상기 누적강우량에 따라 상기 펌프의 운전을 온/오프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을 이용한 하천의 수질정화 방법.Measuring the cumulative rainfall using a rainfall mete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vertical sump, an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urning on / off the operation of the pump in accordance with the cumulative rainfall amount water quality of the river using the soil. . 제 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하안 토양층 내에 설치한 산화환원전위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산화환원전위 값을 측정하고, 상기 산화환원전위 값에 따라 펌프 운전을 온/오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을 이용한 하천의 수질정화방법.Measuring the redox potential value using the redox potential sensor installed in the soil layer of the river, an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urning on / off the pump operation according to the redox potential value of the river using the soil Water Purification Method.
KR1020080073167A 2008-07-25 2008-07-25 Equipment for Purifying of River water quality using Soil and Method of Purifying River water quality using the same KR1009870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3167A KR100987095B1 (en) 2008-07-25 2008-07-25 Equipment for Purifying of River water quality using Soil and Method of Purifying River water quality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3167A KR100987095B1 (en) 2008-07-25 2008-07-25 Equipment for Purifying of River water quality using Soil and Method of Purifying River water quality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797A KR20100011797A (en) 2010-02-03
KR100987095B1 true KR100987095B1 (en) 2010-10-12

Family

ID=42086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3167A KR100987095B1 (en) 2008-07-25 2008-07-25 Equipment for Purifying of River water quality using Soil and Method of Purifying River water quality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709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326B1 (en) * 2009-02-20 2011-02-28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tunnel-type riverbed filtration system using riverbed tunnel and horizontal wells
KR101006852B1 (en) * 2010-09-15 2011-01-12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for improving water quality of river
CN103410191A (en) * 2013-08-13 2013-11-27 上海电力学院 Bidirectional water taking device for emergency contamination accidents
CN109824222B (en) * 2019-04-08 2024-01-30 中国科学院地理科学与资源研究所 Reclaimed water supply river channel system and method based on river bank percol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5804A (en) * 2002-02-01 2003-08-09 김승현 Removal method of organic matter and nitrogen from river using floodplain
KR20060008138A (en) * 2004-07-23 2006-01-26 (주) 일신네이처 Underflow typ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constructed at the edge of the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method the same
KR100915541B1 (en) 2007-09-11 2009-09-03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equipment for improvement of river water quality using soil filtration and method for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5804A (en) * 2002-02-01 2003-08-09 김승현 Removal method of organic matter and nitrogen from river using floodplain
KR20060008138A (en) * 2004-07-23 2006-01-26 (주) 일신네이처 Underflow typ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constructed at the edge of the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method the same
KR100915541B1 (en) 2007-09-11 2009-09-03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equipment for improvement of river water quality using soil filtration and method for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797A (en) 2010-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3061B1 (en) Equipment and method for water and stream purification using layered soil system
CN100415662C (en) System and process for sawage treating with baffling wet land filtering tank and rateral underflow wet land bed
CN1292999C (en) Efficient ecological waste water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CN106698813A (en) Functional rainwater garden applicable to sponge community
CN105461075A (en) Urban runoff non-point source pollution advanced treatment and reuse technology
CN106957128A (en) A kind of zero-emission treatment system for domestic sewage and processing method
KR100987095B1 (en) Equipment for Purifying of River water quality using Soil and Method of Purifying River water quality using the same
KR101179566B1 (en) System for treating nonpoint pollution source and supplying river maintenence water using damp ground
CN104085998B (en) A kind of artificial wet land system that strengthens microbial action
KR100915541B1 (en) equipment for improvement of river water quality using soil filtration and method for the same
CN111484132A (en) Composite artificial wetland system for advanced treatment of tail water and sewage treatment method
CN215756905U (en) Ecological interception system for purifying sewage
JP7137873B2 (en) An engineered wetland system suitable for the removal of agricultural pesticide residues in karst areas
CN104773898A (en) Physicochemical-artificial wetland combined process for strengthening treatment of fluorine and arsenic sewage
KR100810556B1 (en) Water treatment equipment for purifying the polluted water including the storm water runoff using soil and vegetation
CN105621786A (en) Upwelling vertical constructed wetland system for treating agricultural non-point source pollution
CN109879565A (en) Chemistry-microorganism-ecology combined in-situ method for black and odorous water polluted bed mud reparation
CN105692905B (en) A kind of land disposal method and device of ecotype landscape water body
KR101954764B1 (en) System for stream purification
KR200220403Y1 (en) Domestic wastewater treatment device using the recycling semi-wetland method
KR100437076B1 (en) the quality of water purify method by a deposition, a filtering and a microbe resolution, and that the equipment
JP2002239572A (en) Layered soil type river water cleaning apparatus
CN220376481U (en) Water microcirculation and non-point pollution prevention and control system suitable for plain river network
KR101372569B1 (en) Leachate cleaning device having bifurcation device
JP3044624B2 (en) Water purification equipment for rivers, waterways, et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