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6982B1 -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 및 그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 및 그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6982B1
KR100986982B1 KR1020100011542A KR20100011542A KR100986982B1 KR 100986982 B1 KR100986982 B1 KR 100986982B1 KR 1020100011542 A KR1020100011542 A KR 1020100011542A KR 20100011542 A KR20100011542 A KR 20100011542A KR 100986982 B1 KR100986982 B1 KR 100986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sensing information
data
sensing
sensor n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1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규
Original Assignee
(주) 와이즈 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와이즈 맥스 filed Critical (주) 와이즈 맥스
Priority to KR1020100011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69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6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6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는 주변의 센서노드들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와, 수십된 센싱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의 통신용 포맷의 센싱 패킷으로 변환하는 변환부와, 센싱 패킷을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 및 그 운용방법{Gateway for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모듈을 탑재한 외부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그 데이터를 가공하여 실시간으로 중앙 서버로 전송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비쿼터스 시대는 사물과 사물 간에도 USN 기술을 활용하여 정보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되고 활용된다. USN 기술은 환경과 개인 상황의 자동 인지를 통해 사용자에게 최적의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로서, 인간의 신체, 생활 공간, 생활 기기 및 기계 등 모든 환경에 컴퓨팅 또는 네트워킹이 부여된 다양한 센서들을 부착하여 사용자의 상황 정보 및 주변 환경 정보를 측정하여 센서데이터로 수집하고, 수집된 다양한 센서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최적의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여 인간 생활의 편리성과 안전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컴퓨팅 사회의 성공적인 구축을 위해서는 주변에서 다양한 통신 포맷을 통해 수집한 센서데이터를 중앙 서버에 전송하기 위하여 센서데이터를 변환한 후, 정확하고 안정적인 패킷을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시스템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모듈을 탑재한 외부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그 데이터를 가공하여 실시간으로 중앙 서버로 전송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는, 주변의 센서노드들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와, 수집된 센싱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의 통신용 포맷의 센싱 패킷으로 변환하는 변환부와,센싱 패킷을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 운용방법은, 주변의 센서노드들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수집된 센싱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의 통신용 포맷의 센싱 패킷으로 변환하는 단계와, 센싱 패킷을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반 휴대폰을 모뎀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무선 통신망에 연결하기 위한 추가적인 통신모듈이나 별도의 단말이 불필요하고,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이용하므로 호환성이 높으며,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만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하므로 통신비가 절감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통신망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의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의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의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의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의 운용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의 운용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의 운용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의 운용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의 운용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통신망 구성도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통신망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200)는 휴대폰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100)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외부의 무선 통신 모듈, 특히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모듈을 내장한 장치(300)(이하, USN 장치라 한다)에서 전송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W/CDMA 통신망(400)을 이용하여 중앙 서버(500)로 전송한다. 여기서, 휴대폰(100)을 모뎀으로 인식시켜 인터넷 망에 연결시키고, USN 장치(3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중앙 서버(500)에 전송한다. 휴대폰(100)을 모뎀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이 불필요하고, USB(Universal serial bus)를 통해 휴대폰(100)과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200)가 연결되므로 제조사마다 별도의 PIN MAP 이 불필요하다. 그러므로 휴대폰 호환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의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200)는 데이터 수집부(210)와, 변환부(220)와, 전송부(230)로 구성된다.
데이터 수집부(210)는 주변의 센서노드(USN 장치)들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집하고, 주변의 센서노드로부터 정보를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수집하기 위하여 USN 모듈을 내장한다.
만약, 주변의 센서 노드들이 차량 내부에 구비된 경우, 원격 차량관리를 위해, 데이터 수집부(210)는 차량 내 센서노드들로부터 차량 사고 감지 데이터, 차량 고장 진단 데이터 및 차량 이력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센싱 정보를 수집하여, 모바일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또한, 주변의 센서 노드들이 가정 또는 사무실 내부에 구비된 경우, 원격 방재 또는 응급 및 보안관리를 위해, 데이터 수집부(210)는 가정 및 사무실 내 센서노드들로부터 방재 데이터, 응급데이터 및 보안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센싱 정보를 수집하여, 모바일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데이터 수집부(210)는 주변의 센서노드가 차량에 구비된 경우에는, 차량의 고장 및 사고와 같은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만 센서노드로부터 전송되는 특정 이벤트 발생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가정 또는 사무실에 구비된 경우에는, 화재, 도난과 같은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만 센서노드로부터 전송되는 특정 이벤트 발생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변환부(220)는 수집된 센싱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100)의 통신용 포맷의 센싱 패킷으로 변환한다.
여기서, 센싱 패킷은 모바일 단말(100)을 통해 전송되는 목적지의 IP 주소, 모바일 단말(100)의 식별자, 센싱 정보, 센서노드의 식별자, 센서노드의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아래와 같은 형태를 가진다.
Figure 112010008426038-pat00001
여기서, Phone number는 모바일 단말(100)의 번호이며,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200) 자체에 구현된 펌웨어(firmware)의 명령을 통하여 모바일 단말기(10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Error code(이하 에러코드라 한다)는 주변 센서노드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의미하고, Device ID는 주변 센서노드의 식별자를 의미하며, location은 GPS 수신 모듈을 내장하고 있는 주변 센서노드로부터 수신되는 위치정보를 의미한다.
또한, 센싱 패킷은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포맷으로 변환되어 중앙 서버(500)로 전송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아래와 같은 형태를 가진다.
Http://www.wismax.co.kr/UserEventError?phone=01022342349&deviceID=0x01&errorcode=0x12DA&location=12aq-5521
전송부(230)는 변환된 센싱 패킷을 모바일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전송부(230)는 USB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100)와 연결된다. USB 인터페이스를 이용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100) 제조사마다 다른 별도의 PIN MAP이 불필요하고, 아래와 같은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휴대폰(100) 호환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Figure 112010008426038-pat00002
또한, 전송부(230)는 충전부(231)를 포함하여, 외부 전원 및 자체 전원 중 하나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100)를 충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200)가 차량에서 사용되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200)는 차량의 시가잭에 연결되어, 자신이 구동하는데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고, 또한 충전부(231)를 통해, 자신과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100)를 충전할 수 있다.
또는,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200)가 가정 또는 사무실에서 사용되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200)는 콘센트에 연결되어, 자신이 구동하는데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고, 또한 충전부(231)를 통해, 자신과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100)를 충전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200)는 데이터 수집부(210)와, 변환부(220)와, 전송부(230)와, 판단부(240)로 구성된다.
판단부(240)는 수집된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특정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판단부(240)는 기 설정된 기준 값과 데이터 수집부(210)가 수집한 정보 값을 비교하여 특정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즉, 데이터 수집부(210)가 수신한 에러코드 값을 기 설정된 기준 값과 비교하여, 기준 값을 초과하거나, 미달되지 않을 경우에는 데이터 통신비용의 최소화를 위하여 수집된 정보를 전송하지 않는다. 상기의 경우, 판단부(240)의 제어명령에 의해 변환부(220)에서 수집된 센싱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100)의 통신용 포맷의 센싱 패킷으로 변환하지 않을 수 있고, 변환된 센싱 패킷이 전송부(230)에서 모바일 단말기(100)로 전송이 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200)는 데이터 수집부(210)와, 변환부(220)와, 전송부(230)와, 판단부(240)와, 분석부(250)와, 음성 출력부(260)를 포함한다.
분석부(에러코드 분석부)(250)는 판단부(240)가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발생된 특정 이벤트를 분석하여, 에러코드에 해당하는 구체적인 상황이 무엇인지를 검색한다.
여기서, 분석부(250)는 구체적인 이벤트 상황에 해당하는 에러코드 값을 기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메모리에 저장된 에러코드 값과 데이터 수집부(210)로부터 수집된 에러코드 값을 비교하여 대응하는 에러코드 값에 해당하는 구체적인 이벤트 상황을 검색한다.
음성 출력부(260)는 수집된 에러코드 값에 해당하는 구체적인 이벤트 상황을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알려주어, 사용자가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200)가 차량 내에서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차량 내부의 특정 장치에 고장이 발생한다면, 데이터 수집부(210)는 특정 장치의 고장 정보에 해당하는 에러코드와 특정 장치의 식별자를 수집하고, 판단부(240)는 기 설정된 기준 값과 에러코드 값을 비교하여,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사실을 밝혀낸다. 분석부(에러코드 분석부)(250)는 발생된 특정 이벤트를 분석하여, 에러코드에 해당하는 차량의 고장 정보가 무엇인지를 검색하고, 음성 출력부(260)는 수집된 에러코드 값에 해당하는 차량의 고장 정보를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알려주어, 사용자가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한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의 블럭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200)는 데이터 수집부(210)와, 변환부(220)와, 전송부(230)와, 전원부(270)를 포함한다.
전원부(270)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배터리 및 외부 전원 중 하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의 운용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의 운용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200)의 운용방법은 먼저, 주변의 센서노드들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집한다(S610).
여기서, 주변의 센서노드들은 USN 모듈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가지고 주변의 온도, 습도 등 그 밖의 센싱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센싱 정보를 실시간으로 또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만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200)로 전송한다.
만약, 주변의 센서 노드들이 차량 내부에 구비된 경우, 원격 차량관리를 위해, 데이터 수집부(210)는 차량 내 센서노드들로부터 차량 사고 감지 데이터, 차량 고장 진단 데이터 및 차량 이력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센싱 정보를 수집한다.
또한, 주변의 센서 노드들이 가정 또는 사무실 내부에 구비된 경우, 원격 방재 또는 응급 및 보안관리를 위해, 데이터 수집부(210)는 가정 및 사무실 내 센서노드들로부터 방재 데이터, 응급데이터 및 보안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센싱 정보를 수집한다.
다음으로, 데이터 수집부(210)에 의해 수집된 센싱 정보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통신용 포맷의 센싱 패킷으로 변환한다(S620). 주변의 센서노드들로부터 수집된 센싱 정보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통신용 포맷의 센싱 패킷으로 가공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100) 자체가 모뎀으로 인식되어 인터넷 망에 연결되고, 그로 인하여 별도의 인터넷 망에 연결을 위한 추가적인 통신 모듈이나 별도의 단말이 불필요하게 되는 것에 본 발명의 이점이 존재한다.
여기서, 센싱 패킷은 모바일 단말을 통해 전송되는 목적지의 IP 주소, 모바일 단말의 식별자, 센싱 정보, 센서노드의 식별자, 센서노드의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HTTP 포맷으로 변환 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변환된 센싱 패킷을 모바일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630). 상세하게는, 데이터 수집부(210)가 센서노드에서 특정 이벤트 발생 시에만 전송되는 센싱 정보를 수집할 때, 모바일 단말기(100)의 통신용 포맷으로 변환된 센싱 패킷을 모바일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고, 실시간으로 수집된 센싱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의 운용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의 운용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의 운용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200) 운용방법은 수집된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S720)를 더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S7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기준값과 상기 센싱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수집한 센싱 정보를 센싱 패킷으로 변환하는 단계(S620) 이전에 위치하여 먼저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S720)한 후, 이벤트가 발생하면, 센싱 정보를 센싱 패킷으로 변환하고(S620),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변환 단계를 거치지 않고 본 운용방법을 종료한다. 또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S7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 정보를 센싱 패킷으로 변환하는 단계(S620) 이후에 위치하여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는 변환된 센싱 패킷을 단말기로 전송하고(S630),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전송하지 않고 본 운용방법을 종료한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의 운용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의 운용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의 운용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200) 운용방법은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S720), 발생된 특정 이벤트를 분석하는 단계(S935)와 분석된 특정 이벤트에 대응하는 상황을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알리는 단계(S945)를 더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발생된 특정 이벤트를 분석하는 단계는(S935), 도 9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720) 이후에 위치하여, 판단부(240)가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분석부(에러코드 분석부)(250)가 발생된 특정 이벤트를 분석하여, 에러코드에 해당하는 구체적인 상황이 무엇인지를 검색한다. 여기서, 분석부(250)는 구체적인 이벤트 상황에 해당하는 에러코드 값을 기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메모리에 저장된 에러코드 값과 데이터 수집부(210)로부터 수집된 에러코드 값을 비교하여 대응하는 에러코드 값에 해당하는 구체적인 이벤트 상황을 검색한다.
이벤트 상황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S945)는 수집된 에러코드 값에 해당하는 구체적인 이벤트 상황을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알려주어, 사용자가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200)가 차량 내에서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차량 내부의 특정 장치에 고장이 발생한다면, 데이터 수집부(210)는 특정 장치의 고장 정보에 해당하는 에러코드와 특정 장치의 식별자를 수집하고, 판단부(240)는 기 설정된 기준 값과 에러코드 값을 비교하여,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사실을 밝혀낸다. 분석부(에러코드 분석부)(250)는 발생된 특정 이벤트를 분석하여, 에러코드에 해당하는 차량의 고장 정보가 무엇인지를 검색하고, 음성 출력부(260)는 수집된 에러코드 값에 해당하는 차량의 고장 정보를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알려주어, 사용자가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도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모바일 단말기(휴대폰) 400: 이동통신 네트워크
200: 모바이 단말기용 게이트웨이 500: 중앙 서버
300: USN(Ubiquitous sensor network)장치

Claims (21)

  1. 주변의 센서노드들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수집된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기준 값과 상기 센싱 정보에 포함된 에러 코드 값이 일치하는 경우,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수집된 센싱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전송되는 목적지의 IP 주소,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식별자, 상기 센싱 정보, 상기 센서노드의 식별자, 상기 센서노드의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HTT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통신용 포맷의 센싱 패킷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센싱 패킷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노드들은 차량 내부에 구비된 센서 노드들이고,
    원격 차량관리를 위해,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차량 내 상기 센서노드들로부터 차량 사고 감지 데이터, 차량 고장 진단 데이터 및 차량 이력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센싱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센싱 패킷이 원격의 차량관리 서버로 전송되도록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
    인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노드들은 가정 또는 사무실 내부에 구비된 센서 노드들이고,
    원격 방재 또는 응급 및 보안관리를 위해,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가정 및 사무실 내 상기 센서노드들로부터 방재 데이터, 응급데이터 및 보안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센싱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센싱 패킷이 원격의 방재 서버, 응급 및 보안관리 서버로 전송되도록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
    인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가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발생된 특정 이벤트를 분석하는 분석부(에러코드 분석부); 및
    상기 분석된 특정 이벤트에 대응하는 상황을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알리는 음성 출력부
    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 및 외부 전원 중 하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외부 전원 및 자체 전원 중 하나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충전시키는 충전부를 포함하는 것
    인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
  13. 주변의 센서노드들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기준 값과 상기 센싱 정보에 포함된 에러 코드 값이 일치하는 경우,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이벤트 판단 시마다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전송되는 목적지의 IP 주소,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식별자, 상기 센싱 정보, 상기 센서노드의 식별자, 상기 센서노드의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HTT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통신용 포맷으로 변환된 센싱 패킷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 운용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발생된 특정 이벤트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된 특정 이벤트에 대응하는 상황을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알리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 운용방법.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노드들은 차량 내부에 구비된 센서 노드들이고,
    원격 차량관리를 위해, 상기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차량 내 상기 센서노드들로부터 차량 사고 감지 데이터, 차량 고장 진단 데이터 및 차량 이력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 정보가 변환된 상기 센싱 패킷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
    인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 운용방법.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노드들은 가정 또는 사무실 내부에 구비된 센서 노드들이고,
    원격 방재 또는 응급 및 보안관리를 위해,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가정 및 사무실 내 상기 센서노드들로부터 방재 데이터, 응급데이터 및 보안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고,
    상기 전송 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 정보가 변환된 상기 센싱 패킷을 원격의 방재 서버, 응급 및 보안관리 서버로 전송되도록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
    인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 운용방법.
KR1020100011542A 2010-02-08 2010-02-08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 및 그 운용방법 KR100986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1542A KR100986982B1 (ko) 2010-02-08 2010-02-08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 및 그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1542A KR100986982B1 (ko) 2010-02-08 2010-02-08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 및 그 운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6982B1 true KR100986982B1 (ko) 2010-10-11

Family

ID=43135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1542A KR100986982B1 (ko) 2010-02-08 2010-02-08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 및 그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698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947B1 (ko) 2011-02-25 2013-04-25 주식회사 맥스포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US11436875B2 (en) * 2018-10-12 2022-09-06 Subaru Corporation Protocol conversion device and vehicle diagnostic system
US20220346185A1 (en) * 2021-04-23 2022-10-27 Priority Dispatch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mergency dispatch
WO2022254879A1 (ja) * 2021-06-03 2022-12-08 オムロン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センサ、端末および通信方法
US11937160B2 (en) 2021-04-23 2024-03-19 Priority Dispatch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mergency dispatch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6378A (ko) * 2006-10-23 2008-04-28 주식회사 맥스포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및 게이트웨이
KR20090087661A (ko) * 2008-02-13 2009-08-18 주식회사 케이티 리눅스 기반의 이동통신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탑재된게이트웨이 및 그 구동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6378A (ko) * 2006-10-23 2008-04-28 주식회사 맥스포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및 게이트웨이
KR20090087661A (ko) * 2008-02-13 2009-08-18 주식회사 케이티 리눅스 기반의 이동통신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탑재된게이트웨이 및 그 구동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947B1 (ko) 2011-02-25 2013-04-25 주식회사 맥스포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US11436875B2 (en) * 2018-10-12 2022-09-06 Subaru Corporation Protocol conversion device and vehicle diagnostic system
US20220346185A1 (en) * 2021-04-23 2022-10-27 Priority Dispatch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mergency dispatch
US11910471B2 (en) * 2021-04-23 2024-02-20 Priority Dispatch Corp. System and method for emergency dispatch
US11937160B2 (en) 2021-04-23 2024-03-19 Priority Dispatch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mergency dispatch
WO2022254879A1 (ja) * 2021-06-03 2022-12-08 オムロン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センサ、端末および通信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6982B1 (ko) 모바일 단말기용 게이트웨이 및 그 운용방법
CN104836270B (zh) 连接器转换器以及车辆充电系统及其使用方法
KR101294533B1 (ko) 전기차 충전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CN108605216B (zh) 在无线通信系统中与相邻设备通信的方法及移动设备
EP3442196B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transmitting data
CN102723971A (zh) 一种蓝牙设备及其蓝牙配对方法
JP2013197217A (ja) 太陽電池発電システム及びその状態監視方法
KR20200136733A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상위 시스템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
JP5254655B2 (ja) 充電装置、電子機器、二次電池パック、二次電池パック保安管理システム、および、二次電池パック保安管理方法
JP2009294706A (ja) 無線自動検針システム
KR100959774B1 (ko) 센싱 정보 처리 장치,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N110891260A (zh) 一种蓝牙连接的方法、设备、终端、系统和存储介质
KR101077363B1 (ko) 휴대폰과 802.15.4 mac 기반의 usn 간의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보조 장치, 및 휴대폰과 통신 보조 장치를 이용한 usn 시스템
JP2015026925A (ja) センサ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クレードル装置
CN102487487A (zh) 一种信息传送系统、方法及相关装置
JP2016076238A (ja) 連携システム
KR101523581B1 (ko) 이기종 네트워크 통합제어를 지원하기 위한 게이트웨이
CN113552493A (zh) 一种充电电池及其监控系统
KR102481233B1 (ko) LoRa통신에 의한 단말기 및 AP간 데이터 전송 방법
KR20140147428A (ko) 차량 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CN218858346U (zh) 一种指挥通信车的车辆管理系统
Tani et al. Distributed IoT system to enhance worker safety in large open areas
CN115951608A (zh) 数据采集设备及系统
WO2022220050A1 (ja) 蓄電装置の管理システム
KR20140101487A (ko) 거치대 및 유선으로 외장형모뎀과 연결되는 블랙박스를 갖는 블랙박스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