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6739B1 - 다중 사용자용 전자 영상 기기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사용자용 전자 영상 기기 및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6739B1
KR100986739B1 KR1020080096266A KR20080096266A KR100986739B1 KR 100986739 B1 KR100986739 B1 KR 100986739B1 KR 1020080096266 A KR1020080096266 A KR 1020080096266A KR 20080096266 A KR20080096266 A KR 20080096266A KR 100986739 B1 KR100986739 B1 KR 100986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image
personal
selected ic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6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6860A (ko
Inventor
정지홍
반영환
이기훈
장정진
김영진
Original Assignee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96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6739B1/ko
Publication of KR20100036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6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6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6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0Projectors with built-in or built-on scre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47Multi-project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영상 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통 화면을 제공하는 표시 장치, 표시 장치 위에 놓여지고, 투명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 각각에 대응하는 공통 화면 및 개인 영상을 생성하고 투사하는 영상 생성부를 포함하고, 영상 생성부는,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에 제공되는 영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표시 장치에 제공되는 영상에 대응하는 제2 영상 신호를 생성하며, 제1 영상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에 표시된 적어도 두 개의 아이콘 중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정보를 나타낸다.
객체 위치 인식부, 평판 표시 장치

Description

다중 사용자용 전자 영상 기기 및 그 구동 방법{ELECTRIC IMAGE DEVICE FOR MULTI-USERS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 영상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동시에 정보를 선택하고, 선택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전자 영상 기기에 관한 것이다.
지면과 수직 축에 위치한 평면에 영상을 표시하는 수직 디스플레이 장치는 동시에 다수의 사용자가 영상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지면과 수평 방향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수평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테이블 탑 방식의 전자 영상 기기는 다수의 사용자가 영상을 보기 어렵다.
일반적으로 수평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정보 또는 콘텐츠(cintents) 중일부는 각 사용자에 대해서 한쪽 방향으로 치우쳐 있다. 따라서 다수의 사용자가 테이블 탑 전자 영상 기기를 중심으로 여러 방향에 있는 경우, 모든 사용자들이 동시에 같은 콘텐츠를 보는 것이 쉽지 않다.
또한, 모든 사용자들 각각에게 적합한 영상을 표시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필요한 영상으로 이동해서 봐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
본 발명은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여 다수의 사용자 각각에게 적합한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이동할 필요가 없는 전자 영상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전자 영상 기기는, 공통 화면을 제공하는 표시 장치 상기 표시 장치 위에 놓여지고, 투명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 및 상기 표시 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 각각에 대응하는 공통 화면 및 개인 영상을 생성하고 투사하는 영상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생성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에 제공되는 영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표시 장치에 제공되는 영상에 대응하는 제2 영상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1 영상 신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 및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된 적어도 두 개의 아이콘 중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정보를 나타낸다. 상기 영상 생성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한 명의 사용자 위치를 인식하는 사용자 위치 감지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의 위치를 감지하는 객체 위치 인식부, 상기 선택된 아이콘을 감지하는 입력 정보 감지부,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입력 정보 처리부, 상기 사용자의 위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의 위치, 및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한 정보를 전달 받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에 상기 정보를 나타내는 제1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공통 화면을 나타내는 제2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영상 신호 생성부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영상 신호 각각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 및 상기 표시 장치에 투사하는 영상 투사부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는 전체 프레임을 나타내는 식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객체 위치 인식부는 상기 식별부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의 위치를 인식한다. 상기 제1 영상 신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의 위치에 대응하는 복수의 영상 표시 단위 영역에 표시될 영상을 나타낸다. 상기 영상 투사부는, 상기 제1 영상 신호를 투사하는 메인 투사부 및 상기 제2 영상 신호를 투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투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전자 영상 기기는, 공통 화면을 제공하는 표시 장치, 상기 표시 장치 위에 놓여지고, 평판 표시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 및 상기 표시 장치에 상기 공통 화면을 투사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에 영상 신호를 송신하는 영상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생성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에 제공되는 영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표시 장치에 제공되는 공통 화면에 대응하는 제2 영상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1 영상 신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 및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된 적어도 두 개의 아이콘 중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정보를 나타낸다. 상기 영상 생성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한 명 의 사용자 위치를 인식하는 사용자 위치 감지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의 위치를 감지하는 객체 위치 인식부, 상기 선택된 아이콘이 상기 표시 장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아이콘을 감지하는 입력 정보 감지부, 상기 선택된 아이콘이 상기 개인 영상 표시 장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 정보 수신부, 상기 입력 정보 수신부 및 상기 입력 정보 감지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제1 정보를 제공하는 입력 정보 처리부, 상기 사용자의 위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의 위치, 및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한 정보를 전달 받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에 상기 제1 정보를 나타내는 제1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공통 화면을 나타내는 제2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신호 생성부, 상기 제1 영상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에 송신하는 영상 송신부 및 상기 제2 영상 신호를 상기 표시 장치에 투사하는 영상 투사부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는 전체 프레임을 나타내는 식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객체 위치 인식부는 상기 식별부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의 위치를 인식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전자 영상 기기의 구동 방법에 관해 설명하면, 먼저 상기 전자 영상 기기는 적어도 한 명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를 포함하고, 공통 화면을 제공하는 표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영상 기기의 구동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한 명의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 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 각각에 대응하는 공통 화면 및 개인 영상을 나타내는 제1 및 제2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상 신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 및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된 적어도 두 개의 아이콘 중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정보를 나타낸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가 투명한 형상이고, 상기 제1 및 제2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아이콘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위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의 위치, 및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한 정보를 전달 받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의 위치에 상기 정보를 나타내는 제1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공통 화면을 나타내는 제2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 신호 생성부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영상 신호 각각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 및 상기 표시 장치에 투사하는 영상 투사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와 달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는 평판 표시 장치이고, 상기 제1 및 제2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아이콘이 상기 표시 장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아이콘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아이콘이 상기 개인 영상 표시 장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 정보 수신부 및 상기 입력 정보 감지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제1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위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의 위치, 및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한 정보를 전달 받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에 상기 제1 정보를 나타내는 제1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공통 화면을 나타내는 제2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사용자에게 각 개인 화면을 제공하고, 공통 화면을 별도로 제공함으로써, 화면 분할 없이 다수의 사람이 원할하게 영상 및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전자 영상 기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영상 기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영상 기기는 표시 장치(1), 영상 생성부(2), 제1 개인 영상 표시 장치(11) 및 제2 개인 영상 표시 장치(1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영상 기기는 두 개의 제1 및 제2 개인 영상 표시 장치(11, 12)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수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표시 장치(1), 제1 및 제2 개인 영상 표시 장치(11, 12)는 터치패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영상 생성부(2)는 빔 형태의 영상 정보를 표시 장치(1), 제1 및 제2 개인 영상 표시 장치(11, 12)에 투사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제1 및 제2 개인 영상 표시 장치(11, 12)는 표시 장치(1)와 물리 적, 전자적 연결관계가 없으며, 이동 및 휴대가 가능한 투명한 형상이다. 영상 생성부(2)로부터 투사되는 빔이 표시 장치(1)를 통과해 제1 및 제2 개인 영상 표시 장치(11, 12)에 표시된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영상 기기에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생성부(2)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생성부(2)는 사용자 위치 감지부(21), 객체 위치 인식부(22), 입력 정보 처리부(23), 영상 신호 생성부(24), 영상 투사부(25) 및 입력 정보 감지부(26)를 포함한다.
사용자 위치 감지부(21)는 비디오 카메라(도시하지 않음) 또는 센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한다. 비디오 카메라를 사용하여 사용자를 인식하는 경우, 비디오 카메라로부터생성된 영상은 사용자 위치 감지부(21)로 전달된다. 사용자 위치 감지부(21)는 영상으로부터 사람의 형상을 구분하여 사용자를 인식하고, 그 사용자의 위치를 영상 신호 생성부(24)로 전달한다.
객체 위치 인식부(22)는 각 사용자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의 위치를 인식한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개인 영상 표시 장치(11, 12)는 식별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객체 위치 인식부(22)는 제1 및 제2 개인 영상 표시 장치(11, 12)의 식별부를 통해 그 위치를 인식한다. 식별부는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개인 영상 표시 장치의 전체 프레임(frame)이 표시 장치에서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식별하게 할 수 있으면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인 영상 표시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투명한 기판으로 형성된 개인 영상 표시 장치의 바깥은 점선으로 표시하였으며, 식별부(110)는 굵은 실선으로 표시하였다. 객체 위치 인식부(22)는 제1 및 제2 개인 영상 표시 장치(11, 12) 각각의 식별부(110)를 인식하여, 제1 및 제2 개인 영상 표시 장치(11, 12)의 전체 프레임의 위치를 알 수 있다. 식별부(110)는 적외선을 반사시킬 수 있는 물질이 제1 및 제2 개인 영상 표시 장치(11, 12)에 도 3에 도시된 형상으로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객체 위치 인식부(22)는 적외선을 방사하여, 방사된 적외선을 입력받아, 제1 및 제2 개인 영상 표시 장치(11, 12)의 위치를 정확히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 위치 인식부(21) 및 객체 위치 인식부(22) 각각은 인식한 사용자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제1 및 제2 개인 영상 표시 장치(11, 12)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영상 신호 생성부(24)로 전달한다. 영상 신호 생성부(24)는 전달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각 사용자에 대응하는 개인 영상 표시 장치를 감지하고, 사용자의 위치가 화면부의 하단이 되도록 영상을 생성한다.
입력 정보 감지부(26)는 사용자가 표시 장치(1), 제1 및 제2 개인 영상 표시 장치(11, 12)에 표시된 다수의 아이콘(icon) 중 특정 아이콘을 선택하면, 선택된 아이콘의 위치를 인식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아이콘이 어떤 정보를 요청하는 아이콘인지에 대한 정보를 입력 정보 처리부(23)로 전달한다. 입력 정보 처리부(23)는 아이콘에 해당하는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도시하지 않음)와 같은 저장매체로부터 검출하거나, 또는 별도의 서버에 그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여 해당 정보를 전달받아 영상 신호 생성부(24)로 전달한다.
영상 신호 생성부(24)는 표시 장치(1), 제1 및 제2 개인 영상 표시 장치(11, 12)에 표시할 영상 신호를 생성하여 영상 투사부로 전달한다. 영상 신호 생성부(24)는 표시 장치(1)에 투사할 전체 영상과 제1 및 제2 개인 영상 표시 장치(11, 12)에 투사할 개인 영상을 표시 장치의 형상, 제1 및 제2 개인 영상 표시 장치(11, 12)의 형상 및 위치를 고려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개인 영상 표시 장치(11, 12)는 표시 장치(1) 내에 위치하게 되고, 표시 장치(1) 전체는 복수의 주소에 의해 정의되는 복수의 영상 표시 단위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러면, 제1 및 제2 개인 영상 표시 장치(11, 12)의 위치로부터 제1 및 제2 개인 영상 표시 장치(11, 12)에 해당하는 복수의 주소를 영상 신호 생성부(24)는 식별할 수 있고, 그 해당 주소에 표시할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마찬가지로, 표시 장치(1)를 구성하는 복수의 주소 각각에 표시할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영상 신호들을 영상 투사부로 전달한다.
영상 투사부는 전달받은 영상 신호에 따른 영상을 생성하여 빔 형태로 투사한다. 이때, 영상 투사부는 표시 장치, 제1 및 제2 개인 영상 표시 장치(11, 12) 각각에 대응하는 화면을 생성하여 각 투사부를 이용해 투사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에 생성된 영상을 투사하는 메인 투사부, 제1 및 제2 개인 영상 표시 장치(11, 12) 각각에 생성된 영상을 투사하는 제1 및 제2 서브 투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개인 영상 표시 장치의 최대 개수는 투사부의 최대 개수와 일 치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개인 영상 표시 장치(13)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서 음영으로 표시된 부분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부(130)이다. 도 5는 개인 영상 표시 장치(13)의 뒷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실선은 식별부(131)를 나타낸 것이다.
개인 영상 표시 장치(13)는 앞선 실시 예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11, 12)와 달리 평판 표시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인 평판 표시 장치로서,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평판 표시 장치 및 PDP(plasma display panel) 중 하나일 수 있다. 개인 영상 표시 장치(13)는 터치패드 기능을 제공하며, 사용자는 표시부(130)에 표시된 아이콘을 터치하여 원하는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개인 영상 표시 장치(13)는 영상 생성부(5)로부터 전송되는 개인 화면 영상 신호에 따라 개인 영상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영상 생성부(5)가 무선으로 개인 영상 표시 장치(13)로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인 무선 통신 방법으로는 무선 랜과 같은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생성부(5)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생성부(5)는 사용자 위치 감지부(51), 객체 위치 인식부(52), 입력 정보 처리부(53), 영상 신호 생성부(54), 입력 정보 감지부(55), 입력 정보 수신부(56) 및 영상 송신부(57)를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실시 예와 비교해, 사용자 위치 감지부(51)는 동일하게 동작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객체 위치 인식부(52)는 개인 영상 표시 장치(13)의 식별부(131)를 이용하여 개인 영상 표시 장치(131)의 위치를 판단한다.
사용자 위치 인식부(51) 및 객체 위치 인식부(52) 각각은 인식한 사용자 위치에 대한 정보 및 개인 영상 표시 장치(13)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영상 신호 생성부(54)로 전달한다.
입력 정보 감지부(55)는 사용자가 표시 장치(1)의 아이콘을 선택하면, 선택된 아이콘의 위치를 인식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아이콘에 관한 정보를 입력 정보 처리부(53)로 전달한다. 입력 정보 수신부(56)는 개인 영상 표시 장치(13)를 이용해 사용자가 선택한 아이콘에 관한 정보를 입력 정보 처리부(53)에 전달한다. 입력 정보 처리부(53)는 아이콘에 해당하는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도시하지 않음)와 같은저장매체로부터 검출하거나, 또는 별도의 서버에 그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여 해당 정보를 전달받아 영상 신호 생성부(54)로 전달한다.
영상 신호 생성부(54)는 전달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각 사용자에 대응하는 개인 영상 표시 장치를 감지하고, 해당 사용자가 요청한 정보등을 그 사용자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개인 영상 표시 장치(13)의 아이콘이 아닌, 표시 장치(1)에 표시된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영상 신호 생성부(54)는 해당 사용자가 선택한 아이콘에 대응하는 정보를 그 사용자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13)로 전송한다. 이 때, 해당 사용자에 가장 가까운 개인 영상 표시 장치로 전송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위치와 개인 영상 표시 장치의 위치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표시 장치(1)에 표시된 아이콘을 선택한 사용 자를 식별하는 방법으로는, 선택된 아이콘에 가장 가까운 사용자를 해당 사용자로 판단한다. 만약 가장 가까운 사용자가 해당 사용자가 아니라면, 사용자는 요청한 정보가 아니라는 신호를 개인 영상 표시 장치를 통해 영상 생성부(5)로 전달한다. 영상 생성부(5)는 다음으로 가까운 사용자를 해당 사용자로 판단하고, 그 사용자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에 선택된 아이콘에 관한 정보를 전달한다. 만약 이 사용자 역시 해당 사용자가 아니라면, 다음으로 가까운 사용자에게 전송한다. 실질적으로 사용자는 해당 아이콘을 선택하기 위해서 개인 영상 표시 장치와 함께 이동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선택된 아이콘이 다른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경우는 그리 빈번히 발생하지 않는다. 사용자가 개인 영상 표시 장치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입력 정보 수신부로 선택된 아이콘에 대한 정보가 전달된다.
영상 신호 생성부는 표시 장치(1), 개인 영상 표시 장치(13)에 표시할 영상 신호를 생성하여 영상 투사부 및 영상 송신부로 전달한다. 영상 신호 생성부는 표시 장치(1)에 투사할 공통 화면에 대한 영상 신호와 개인 영상 표시 장치(13)에 송신할 개인 화면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영상 신호 생성부는 표시 장치의 형상을 고려하여 표시 장치에 표시될 공통화면 영상신호를 생성한다. 표시 장치(1) 전체는 복수의 주소에 의해 정의되는 복수의 영상 표시 단위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영상 신호 생성부는 표시 장치(1)를 구성하는 복수의 주소 각각에 표시할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영상 신호 생성부는 이렇게 생성된 영상 신호들을 영상 투사부로 전달한다.
영상 투사부는 전달받은 영상 신호에 따른 공통 화면을 생성하여 빔 형태로 투사한다. 영상 송신부는 개인 영상 표시 장치에 해당하는 개인 화면 영상 신호를 전송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영상 기기를 테이블 형태로 구현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5명의 사용자가 5 개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31-35)를 테이블(4) 위에 올려 놓는다. 표시 장치(3)에는 공통 화면이 표시되고, 개인 영상 표시 장치(31-35) 각각은 사용자가 선택한 아이콘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의 사용자에게 각 개인 화면을 제공하고, 공통 화면을 별도로 제공함으로써, 화면 분할 없이 다수의 사람이 원할하게 영상 및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화면 분할을 하지 않으므로, 사람수가 많아도 화면이 작아지는 문제점이 없고, 사용자들간의 공통 화면 제어권을 다툴 필요가 없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영상 기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생성부(2)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인 영상 표시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개인 영상 표시 장치(13)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개인 영상 표시 장치(13)의 뒷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생성부(5)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영상 기기를 테이블 형태로 구현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12)

  1. 삭제
  2. 공통 화면을 제공하는 표시 장치,
    상기 표시 장치 위에 놓여지고, 투명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 및
    상기 표시 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 각각에 대응하는 공통 화면 및 개인 영상을 생성하고 투사하는 영상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생성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에 제공되는 영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표시 장치에 제공되는 영상에 대응하는 제2 영상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1 영상 신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 및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된 적어도 두 개의 아이콘 중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영상 생성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한 명의 사용자 위치를 인식하는 사용자 위치 감지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의 위치를 감지하는 객체 위치 인식부,
    상기 선택된 아이콘을 감지하는 입력 정보 감지부,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입력 정보 처리부,
    상기 사용자의 위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의 위치, 및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한 정보를 전달 받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에 상기 정보를 나타내는 제1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공통 화면을 나타내는 제2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영상 신호 생성부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영상 신호 각각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 및 상기 표시 장치에 투사하는 영상 투사부를 포함하는 전자 영상 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는 전체 프레임을 나타내는 식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객체 위치 인식부는 상기 식별부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의 위치를 인식하는 전자 영상 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 신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의 위치에 대응하는 복수의 영상 표시 단위 영역에 표시될 영상을 나타내는 전자 영상 기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투사부는,
    상기 제1 영상 신호를 투사하는 메인 투사부 및
    상기 제2 영상 신호를 투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투사부를 포함하는 전자 영상 기기.
  6. 삭제
  7. 공통 화면을 제공하는 표시 장치,
    상기 표시 장치 위에 놓여지고, 평판 표시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 및
    상기 표시 장치에 상기 공통 화면을 투사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에 영상 신호를 송신하는 영상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생성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에 제공되는 영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표시 장치에 제공되는 공통 화면에 대응하는 제2 영상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1 영상 신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 및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된 적어도 두 개의 아이콘 중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정보를 나타내고,
    상기 영상 생성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한 명의 사용자 위치를 인식하는 사용자 위치 감지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의 위치를 감지하는 객체 위치 인식부,
    상기 선택된 아이콘이 상기 표시 장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아이콘을 감지하는 입력 정보 감지부,
    상기 선택된 아이콘이 상기 개인 영상 표시 장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 정보 수신부,
    상기 입력 정보 수신부 및 상기 입력 정보 감지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제1 정보를 제공하는 입력 정보 처리부,
    상기 사용자의 위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의 위치, 및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한 정보를 전달 받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에 상기 제1 정보를 나타내는 제1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공통 화면을 나타내는 제2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신호 생성부,
    상기 제1 영상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에 송신하는영상 송신부 및
    상기 제2 영상 신호를 상기 표시 장치에 투사하는 영상 투사부를 포함하는 전자 영상 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는 전체 프레임을 나타내는 식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객체 위치 인식부는 상기 식별부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의 위치를 인식하는 전자 영상 기기.
  9. 적어도 한 명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를 포함하고, 공통 화면을 제공하는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영상 기기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한 명의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 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 각각에 대응하는 공통 화면 및 개인 영상을 나타내는 제1 및 제2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상 신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 및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된 적어도 두 개의 아이콘 중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정보를 나타내는 전자 영상 기기의 구동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가 투명한 형상이고,
    상기 제1 및 제2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아이콘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위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의 위치, 및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한 정보를 전달 받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의 위치에 상기 정보를 나타내는 제1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공통 화면을 나타내는 제2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영상 기기의 구동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영상 신호 각각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 및 상기 표시 장치에 투사하는 영상 투사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영상 기기의 구동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는 평판 표시 장치이고,
    상기 제1 및 제2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아이콘이 상기 표시 장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아이콘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아이콘이 상기 개인 영상 표시 장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제1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위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의 위치, 및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한 정보를 전달 받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영상 표시 장치에 상기 제1 정보를 나타내는 제1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공통 화면을 나타내는 제2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영상 기기의 구동 방법.
KR1020080096266A 2008-09-30 2008-09-30 다중 사용자용 전자 영상 기기 및 그 구동 방법 KR100986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266A KR100986739B1 (ko) 2008-09-30 2008-09-30 다중 사용자용 전자 영상 기기 및 그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266A KR100986739B1 (ko) 2008-09-30 2008-09-30 다중 사용자용 전자 영상 기기 및 그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6860A KR20100036860A (ko) 2010-04-08
KR100986739B1 true KR100986739B1 (ko) 2010-10-08

Family

ID=42214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6266A KR100986739B1 (ko) 2008-09-30 2008-09-30 다중 사용자용 전자 영상 기기 및 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67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446B1 (ko) * 2006-10-12 2007-09-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채널 예약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메모리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9930A (ja) 1996-12-19 1998-07-07 Toshinori Okuno 得点自動計算麻雀卓
JP2004012712A (ja) 2002-06-05 2004-01-15 Olympus Corp テーブル型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4015332A (ja) 2002-06-05 2004-01-15 Olympus Corp テーブル型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その組立方法
JP2005339006A (ja) * 2004-05-25 2005-12-08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表示テーブル及び画像表示制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9930A (ja) 1996-12-19 1998-07-07 Toshinori Okuno 得点自動計算麻雀卓
JP2004012712A (ja) 2002-06-05 2004-01-15 Olympus Corp テーブル型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4015332A (ja) 2002-06-05 2004-01-15 Olympus Corp テーブル型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その組立方法
JP2005339006A (ja) * 2004-05-25 2005-12-08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表示テーブル及び画像表示制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6860A (ko) 2010-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5085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JP4820360B2 (ja) スキャニングディスプレイ装置
CN101971123B (zh) 具有可切换漫射体的交互式表面计算机
US8403501B2 (en) Motion responsive devices and systems
EP3859724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US9965137B2 (en)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object selection method using the same
US9185277B2 (en) Panel camera, and optical touch screen and display apparatus employing the panel camera
TW201419041A (zh) 透過透明顯示幕監控目標物的顯示設備及監控方法
US20090091553A1 (en) Detecting touch on a surface via a scanning laser
US20120212408A1 (en) Image generation device, projector, and image generation method
US20090309842A1 (en) Touch Control Virtual Screen Apparatus
US9092136B1 (en) Projected button display system
US20120293555A1 (en) Information-processing device,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JP2011090604A (ja) 光学式位置検出装置および位置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
CN111309183A (zh) 触控显示系统及其控制方法
US20240019715A1 (en) Air floating video display apparatus
JP2017182109A (ja) 表示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プロジェクター及び情報処理方法
KR102127863B1 (ko) 원통형 스크린장치에서 영상을 조정하는 방법
US10409143B2 (en) Tracking a handheld device on surfaces with optical patterns
KR101507458B1 (ko) 대화식 디스플레이
KR100986739B1 (ko) 다중 사용자용 전자 영상 기기 및 그 구동 방법
JPH1153111A (ja) 情報入出力装置
US20160070364A1 (en) Display system and display method thereof
CN103649879A (zh) 使用位置唯一性光学信号的数字化仪
CN107003717A (zh) 变换所接收到的触摸输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