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5573B1 - 폐고무와 폐합성수지의 혼합재질의 야광 부표 - Google Patents

폐고무와 폐합성수지의 혼합재질의 야광 부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5573B1
KR100985573B1 KR20080087515A KR20080087515A KR100985573B1 KR 100985573 B1 KR100985573 B1 KR 100985573B1 KR 20080087515 A KR20080087515 A KR 20080087515A KR 20080087515 A KR20080087515 A KR 20080087515A KR 100985573 B1 KR100985573 B1 KR 100985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synthetic resin
buoy
rubber
waste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87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8682A (ko
Inventor
장상무
Original Assignee
장상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상무 filed Critical 장상무
Priority to KR20080087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5573B1/ko
Publication of KR20100028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8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5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55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11/0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 C08J11/04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 C08J11/1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by chemically breaking down the molecular chains of polymers or breaking of crosslinks, e.g. devulcanisation
    • C08J11/16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by chemically breaking down the molecular chains of polymers or breaking of crosslinks, e.g. devulcanisation by treatment with inorgan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1/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1/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L31/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62HDP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66LDPE (radical proc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질이 각기 다른 폐합성수지와 폐고무의 혼합재질로 제조되는 부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성이 다양한 폐합성수지에 대한 선별을 따로 하지 않더라도 첨가제의 사용을 통한 물성을 회복시켜 폐고무와 혼합재질을 구성함으로써 이를 부표로 사용하여 물성이 높은 부표를 제공함과 동시에 폐자원의 재활용측면에서 매우 경제적이고 환경개선 효과를 갖는 폐고무와 폐합성수지의 혼합재질의 야광 부표에 관한 것이다.
폐합성수지, 폐고무, 부표, 유리전이온도, 첨가제, 형광안료, 인장강도

Description

폐고무와 폐합성수지의 혼합재질의 야광 부표{A NOCTILUCENT BUOY OF MIXING MATERIALS OF WASTE RUBBER AND PLASTIC}
본 발명은 산업폐기물 중 선별 등의 작업에 따른 비용 및 작업이 까다로운 폐합성수지와 그 활용도가 점차 떨어져 가는 폐고무류를 혼합하여 혼합재질을 이루고, 이를 부표의 재질로 사용함으로써 산업폐기물의 재활용에 따른 경제적인 측면과 환경 개선효과를 가지며 또한 높은 물성을 갖는 야광 부표의 제공을 위한 폐고무와 폐합성수지의 혼합재질의 야광 부표에 관한 것이다.
부표는 해수 중의 어구들의 위치를 알리는 표시기능으로서 종래 대부분 스티로폼을 사용하여 왔으며, 스티로폼의 특성상 파도 등에 의해 쉽게 파손되어 자주 교체해주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공보 특 1994-0004882(공고일자 1994.06.04) '다층구조의 합성수지 부표체 및 그 제조방법'에서는 합성수지와 고무의 혼합재질로 이루어진 공기 주입형 어구용 부표에 대해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합성수지와 고무의 혼합재질로 이루어진 부표는 일정시간의 경과 후 교체시기에 교체되면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는 폐기물로 남게 된다.
현재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 세계적으로 폐합성수지, 폐고무와 같은 산업폐기물의 양은 상당하여, 폐합성수지 재활용률은 94년 13.5%, 96년 16.1%, 98년 20.2%로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폐고무의 일종인 폐타이어의 경우에는 95년 1,395만개, 중량으로 15만 톤에 이르렀으며, 1999년에는 2,272 만개를 넘어섰다.
따라서, 부표의 생산에 있어서 폐합성수지와 폐고무류를 활용하는 하는 기술을 도입한다면 산업폐기물의 재활용에 따른 생산비용의 절감과 환경개선 측면에서 효과를 보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19092(공고일자 2005.10.05) '폐 합성수지/폐 타이어 복합소재 및 이를 이용한 성형물'에서는 이와 같은 산업폐기물을 이용하여 재활용률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산업폐기물을 이용하여 새로운 제품을 생산하는 것은 상당히 까다로운 문제로서, 폐합성수지의 경우 재생의 문제점으로는 재생품의 색상을 임의로 조절할 수 없고, 물리적 특성이 떨어지며, 특성이 다른 폐합성수지 처리를 위한 분별작업이 선행되어야 하여 인건비, 생산비의 상승으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어왔다.
즉, 상기 등록특허는 폐폴리에틸렌 만을 단독으로 사용하여 폐타이어와의 복합소재를 구성하고 있어, 실질적으로 다양한 성질의 폐합성수지를 처리하여야 하는 작업현장에서 적용하기에는 현실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적용을 하더라도 선별작업등의 선행작업에 따른 비용이 과다하게 소비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산업폐기물로서 그 처리가 용이하지 않은 폐합성수지와 폐타이어를 이용한 혼합재질을 제공하고, 그 혼합재질을 이용하여 제조된 물리적 성질이 뛰어나고 야광의 부표의 제공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폐합성수지의 경우 종래 재활용을 위해, 유사한 성질의 합성수지의 선별을 통한 선처리 작업이 이루어져 선별에 따른 작업시간 및 비용의 소비와, 작업 능률의 저하가 있었으나, 이를 해소하여 별도의 선별작업이 필요없이 폐합성수지가 재활용가능하도록 한 폐고무와 폐합성수지의 혼합재질의 야광 부표의 제공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폐고무와 폐합성수지의 혼합재질로 제조된 부표에 관한 것으로, 상기 혼합재질은 폐고무(a1) 45 ~ 55 wt%와 폐합성수지(a2) 45 ~ 55wt%을 160 ~ 190℃에서 40 ~ 50rpm의 교반 속도로 5 ~ 10분간 혼합하여 조성된 폐합성수지 혼합물(A) 70 ~ 85 wt%와,
EVA의 유기첨가제(B) 5 ~ 10 wt%와,
CaCO3 또는 SiO의 무기첨가제(C) 5 ~ 10 wt%와,
형광안료(D) 5 ~ 10 wt%를 200 ~ 230℃로 2 ~ 5분간 교반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상기 폐고무(al)은 액체 질소를 이용하여 폐고무 조각을 유리전이온도(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이하인 영하 170 ~ 200℃ 상태에서 순간 분쇄하여 스틸, 섬유 코드가 제거된 10 ~ 50mesh이고,
상기 폐합성수지(a2)는 PP(polypropylene) 10 ~ 50 wt%,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10 ~ 50wt%,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10 ~ 50wt%, PVC(polyvinyl, choloride) 10 ~ 50 wt%, PS(polystyrene) 10 ~ 50 wt%,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10 ~ 50 wt%의 혼합으로 조성된 혼합폐합성수지 80 ~ 90 wt%에 SBS(styrene butadiene styrene block copolymer) 또는 EPR(ethylene propylene rubber) 5 ~ 10 wt%, 활성탄 5 ~ 10 wt%를 첨가하여 200℃에서 550rpm으로 블랜드한 폐고무와 폐합성수지의 혼합재질의 야광 부표를 주요 기술적 구성으로 한다.
이하,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상기 폐고무는 바람직하게는 폐타이어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170 ~ 200℃ 상 태에서 순간 분쇄하여 스틸, 섬유 코드가 제거된 10 ~ 50mesh의 분말로서, 그 분말의 조성은 수분(Moisture) 1.00 wt%, 휘발분(VM) 69.78 wt%, 재(Ash) 4.89 wt%, 탄소(Fixed Carbon) 24.33 wt%이다.
상기 폐고무는 폐합성수지에 대해 45 ~ 55 wt%로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사용범위를 벗어나게 되는 경우에는 폐합성수지와의 적절한 혼합이 이루어지지 않아 야광 부표의 물리적 성질이 나빠질 수 있으므로, 상기 폐고무는 폐합성수지에 대해 45 ~ 55 wt%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폐합성수지는 PP(polypropylene),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PVC(polyvinyl, choloride), PS(polystyrene),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를 일정비율로 혼합한 혼합 폐합성수지에 사용화제, 활성탄을 첨가한 것으로, 이는 일반적으로 폐합성수지의 재활용이 경우 성질이 다른 합성수지가 혼합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서 이 점을 감안하여 폐합성수지의 분류 없이도 재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혼합 폐합성수지의 혼합비율은 PP(polypropylene),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PVC(polyvinyl, choloride), PS(polystyrene),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은 각각 10 ~ 50wt%의 혼합비율을 갖는 것으로, 이와 같은 혼합비율은 일반적으로 폐합성수지 수거 및 재활용시에 다양한 성격의 폐합성수지가 처리되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HDPE는 밀도(g/㎤) 0.95 ~ 0.96, 연신율(%) 20 ~ 120이고, LDPE는 밀도(g/㎤) 0.92 ~ 0.93, 연신율(%) 550 ~ 600이다.
상기 상용화제는 SBS(styrene butadiene styrene block copolymer) 또는 EPR(ethylene propylene rubber)로서, 5 wt% 미만인 경우에는 인장탄성률이 떨어지고, 10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인장강도, 신율, 내충격성의 상승의 효과가 크게 발생하지 않으므로, 상기 상용화제는 5 ~ 10 wt%의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활성탄은 5 ~ 10 wt%의 범위에서 쓰이는 것으로, 5 wt% 미만인 경우에는 인장강도와 인장탄성률이 증가하는 반면 신율이 감소하게 되고, 10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신율과 내충격강도가 급격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활성탄은 5 ~ 10 wt%의 범위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활성탄은 2.5 ~ 3mm의 입도를 갖는 것으로 건조감량(%) 5, 충전밀도(g/ml) 0.50인 것을 사용한다.
상기 폐고무와 혼합 폐합성수지의 혼합으로 조성되는 혼합물(A)은 유기첨가제(B), 무기첨가제(C) 및 형광안료(D)가 혼합되고, 이와 같이 혼합된 재질을 이용하여 부표를 제작하게 된다.
상기 유기첨가제는 EVA를 사용하고, 상기 무기첨가제는 CaCO3 또는 SiO를 사용한다. 상기 유기첨가제 및 무기첨가제는 각각 5 ~ 10 wt%의 범위에서 사용되며, 5 wt% 미만인 경우에는 신율이 떨어지고, 10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인장강도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유기첨가제와 무기첨가제는 각각 5 ~ 10 wt%의 범위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형광안료는 변성 폴리아마이드 수지와 형광염료의 고용체(완전하게 균일한 상을 이룬 고체의 혼합물)를 사용하는 것으로, 5 ~ 10 wt%의 범위에서 사용되며, 5 wt% 미만인 경우에는 발광 효과가 떨어질 수 있고, 10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부표의 내충격성, 신율 등의 물성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상기 형광안료는 5 ~ 10 wt%의 범위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고무와 폐합성수지의 혼합재질의 야광 부표는 내충격성, 신율, 인장강도 등의 물리적 성질이 뛰어나고, 폐합성수지와 폐 고무 등의 산업폐기물을 효율적으로 처리하여 자원의 재활용 측면 및 폐기물 처리에 따른 환경 개선효과를 가지며, 폐합성수지의 재활용에 있어서, 별도의 선별과정이 없이 폐 고무와의 혼합재질로서 재활용할 수 있어 작업 비용이 절감 및 작업효율성이 높다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상기의 기술 구성에 대해 실시 예를 통해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실시 예 1
트럭에 사용되었던 폐타이어 조각을 액체 질소를 이용하여 유리전이온도(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이하인 영하 170℃에서 순간 분쇄한 후, 철심을 제거하여 20mesh의 크기로 분쇄한다.
다음으로, PP(polypropylene) 20 wt%,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20wt%,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20wt%, PVC(polyvinyl, choloride) 20 wt%, PS(polystyrene) 10wt%,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10wt%로 혼합된 혼합폐합성수지의 90 wt%에 상용화제로 SBS(styrene butadiene styrene block copolymer) 5wt%, 활성탄 5wt%를 첨가하여 200℃에서 550rpm으로 블랜드한다.
상기 블랜드한 폐합성수지 50 wt%와 미리 분쇄한 폐타이어 50 wt%를 챔버에 넣고, 160℃에서 50rpm의 교반 속도로 10분간 혼합하여 폐타이어/폐합성수지 혼합물을 제조한다.
다음으로, 상기 폐타이어/폐합성수지 혼합물 80 wt%, 유기첨가제의 EVA 6 wt%, 무기첨가제의 CaCO3 6 wt%, 변성 폴리아마이드 수지와 형광염료의 고용체(완전하게 균일한 상을 이룬 고체의 혼합물)로서 FS-Series 8 wt%를 220℃로 5분간 교반하여 폐타이어와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혼합재질을 완성한다.
실시 예 1에서 제조된 혼합재질을 이용하여 가로 74.0mm, 세로 12.5mm, 두께 3.0mm의 시편을 제작하였으며, 이와 같은 시편을 통해 인장 강도, 신장률, 굴곡 강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인장 강도는 아래의 식(1)에 의해 계산되었고,
Tb = Pb /(t×b) ------------------------------------------------ (1)
여기서, Tb : 인장강도(Pa)
Pb: 최대하중(N)
t: 시험편 두께(m)
b: 시험편 폭(m)
상기 신장률은 아래의 식(2)에 의해 계산되었으며,
Eb = (Lb-Lo) / (Lo×100) --------------------------------------- (2)
여기서, Eb : 신장율(%)
Lb : 시험 후 grip 사이의 거리(mm)
Lo : 시험 전 grip 사이의 거리(mm)
상기 굴곡 강도는 아래의 식(3)에 의해 계산되었다.
S = 3PL / 2bd2 ------------------------------------------------ (3)
여기서, S : 굴곡강도(kgf/mm2)
P : 하중(kgf)
L : 시험편 길이(mm)
b : 시험편 폭(mm)
d : 시험편 두께(mm)
시험 예 1 : 인장 강도
가로 74.0mm, 세로 12.5mm, 두께 3.0mm의 시편을 상온에서 1000N load cell을 장착한 후 grip으로 분당 10mm 속도로 인장시켜 UTM으로 측정하였으며, 그 측정값은 13.36MPa이다.
시험 예 2 : 신장률
가로 74.0mm, 세로 12.5mm, 두께 3.0mm의 시편을 10개 제작한 후 중간값을 갖는 5개의 시편의 평균으로 계산하였으며, 그 신장률은 12.77%이다.
시험 예 3 : 굴곡 강도
가로 74.0mm, 세로 12.5mm, 두께 3.0mm의 시편에 UTM의 one point beam을 이용하여 상온에서 분당 5mm 속도로 하중을 가하여 계산하였으며, 그 굴곡 강도는 0.25㎏/㎟이다.

Claims (5)

  1. 폐고무와 폐합성수지의 혼합재질로 제조된 부표에 있어서,
    상기 혼합재질은 폐고무(a1) 45 ~ 55 wt%와 폐합성수지(a2) 45 ~ 55wt%을 160 ~ 190℃에서 40 ~ 50rpm의 교반 속도로 5 ~ 10분간 혼합하여 조성된 폐합성수지 혼합물(A) 70 ~ 85 wt%와,
    EVA의 유기첨가제(B) 5 ~ 10 wt%와,
    CaCO3 또는 SiO의 무기첨가제(C) 5 ~ 10 wt%와,
    형광안료(D) 5 ~ 10 wt%를 200 ~ 230℃로 2 ~ 5분간 교반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상기 폐고무(al)는 액체 질소를 이용하여 폐고무 조각을 유리전이온도(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이하인 영하 170 ~ 200℃ 상태에서 순간 분쇄하여 스틸, 섬유 코드가 제거된 10 ~ 50mesh의 폐고무 분말이고,
    상기 폐합성수지(a2)는 PP(polypropylene) 10 ~ 50 wt%,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10 ~ 50wt%,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10 ~ 50wt%, PVC(polyvinyl, choloride) 10 ~ 50 wt%, PS(polystyrene) 10 ~ 50 wt%,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10 ~ 50 wt%의 혼합으로 조성된 혼합폐합성수지 80 ~ 90 wt%에 SBS(styrene butadiene styrene block copolymer) 또는 EPR(ethylene propylene rubber) 5 ~ 10 wt%, 활성탄 5 ~ 10 wt%를 첨가하여 200℃에서 550rpm으로 블랜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폐고무와 폐합성수지의 혼합재질의 야광 부표.
  2. 제 1항에 있어서,
    폐고무는 분말형태의 폐타이어로서 수분(Moisture) 1.00 wt%, 휘발분(VM) 69.78 wt%, 재(Ash) 4.89 wt%, 탄소(Fixed Carbon) 24.33 wt%으로 조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폐고무와 폐합성수지의 혼합재질의 야광 부표.
  3. 제 1항에 있어서,
    HDPE는 밀도(g/㎤) 0.95 ~ 0.96, 연신율(%) 20 ~ 120이고, LDPE는 밀도(g/㎤) 0.92 ~ 0.93, 연신율(%) 550 ~ 6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고무와 폐합성수지의 혼합재질의 야광 부표.
  4. 제 1항에 있어서,
    활성탄은 2.5 ~ 3mm의 입도를 갖는 것으로 건조감량(%) 5, 충전밀도(g/ml) 0.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고무와 폐합성수지의 혼합재질의 야광 부표.
  5. 삭제
KR20080087515A 2008-09-05 2008-09-05 폐고무와 폐합성수지의 혼합재질의 야광 부표 KR100985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87515A KR100985573B1 (ko) 2008-09-05 2008-09-05 폐고무와 폐합성수지의 혼합재질의 야광 부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87515A KR100985573B1 (ko) 2008-09-05 2008-09-05 폐고무와 폐합성수지의 혼합재질의 야광 부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8682A KR20100028682A (ko) 2010-03-15
KR100985573B1 true KR100985573B1 (ko) 2010-10-05

Family

ID=42179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87515A KR100985573B1 (ko) 2008-09-05 2008-09-05 폐고무와 폐합성수지의 혼합재질의 야광 부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55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753B1 (ko) * 2012-05-01 2015-01-29 문우철 폐고무와 폐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인장강도가 우수한 토목·건축건자재
KR101346043B1 (ko) * 2013-08-20 2013-12-31 아시아쉬핑(주) 로프용 형광 식별표시 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1421B1 (ko) * 1994-11-29 1998-07-01 박영호 폐고무와 폐합성수지혼합물의 재활용품과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1421B1 (ko) * 1994-11-29 1998-07-01 박영호 폐고무와 폐합성수지혼합물의 재활용품과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8682A (ko) 201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uzaimah et al. Recycling of waste rubber as fillers: A review
Ahmed et al. Mechanical, swelling, and thermal aging properties of marble sludge-natural rubber composites
KR101773223B1 (ko) 가황 고무와 타이어 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요소와 폐기물로부터 제조된 복합 재료
Ahmed et al. Characteristics of natural rubber hybrid composites based on marble sludge/carbon black and marble sludge/rice husk derived silica
Zhang et al. Preparation of rubber composites from ground tire rubber reinforced with waste‐tire fiber through mechanical milling
CN103242620B (zh) 新型家电用高强度塑料及其制备方法
BRPI1005144B1 (pt) material compósito, método de processamento de resíduos urbanos, método de fabricação de um artigo e método de compactação de resíduos urbanos
CN102226023A (zh) 混杂废旧聚合物基复合板材及制备方法
CN105219074A (zh) 同质异构交联法增韧增强回收尼龙及其制备方法
Azeez Thermoplastic recycling: propertie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CN103450644B (zh) 一种可回收使用的环保螺杆清洗剂
KR100985573B1 (ko) 폐고무와 폐합성수지의 혼합재질의 야광 부표
CN104419128A (zh) 一种回收pet合金及其制备方法
Ravichandran et al. Vulcanization characteristic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natural rubber–scrap rubber compositions filled with leather particles
CN102558803A (zh) 汽车保险杠材料及其制备方法
CN104140635A (zh) 用微交联法增强增韧回收abs塑料及其制备方法
CN104140634A (zh) 用于制造旅行箱壳的再生abs塑料及其制备方法
Lepadatu et al. Investigation of new composite materials based on activated EPDM rubber waste particles by liquid polymers
Qiu et al. Thermal aging, physico‐mechanical, dynamic mechanical properties of chlorinated polyethylene/red mud composites
Zhang et al. High-density polyethylene/ground tyre rubber blends: effective dispersion and mechanical property enhancement through solid-state mechanochemical milling
Nik Yahya et al. Properties of natural rubber/styrene butadiene rubber/recycled nitrile glove (NR/SBR/rNBRg) blends: the effects of recycled nitrile glove (rNBRg) particle sizes
CN109943041A (zh) 一种增强再生材料及其应用
KR101490625B1 (ko) 냄새가 개선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CN109467799A (zh) 一种以固体废弃物为基体制备的复合材料及制备方法
CN116963890A (zh) 复合材料及其获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