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4794B1 - 이동통신방법 및 무선기지국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방법 및 무선기지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4794B1
KR100984794B1 KR1020107001827A KR20107001827A KR100984794B1 KR 100984794 B1 KR100984794 B1 KR 100984794B1 KR 1020107001827 A KR1020107001827 A KR 1020107001827A KR 20107001827 A KR20107001827 A KR 20107001827A KR 100984794 B1 KR100984794 B1 KR 100984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ement
designation command
mobile station
rule
ma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1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2537A (ko
Inventor
미키오 이와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91795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8479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100022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2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4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4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5Hand-off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5Hand-off measurements
    • H04W36/0094Definition of hand-off measurement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58Transmission of hand-off measurement information, e.g. measurement re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기지국(eNB)이, 이동국(UE)에 대하여, 측정규칙을 추가 혹은 삭제하도록 지정하는 측정규칙 지정 코맨드를 송신하는 공정과, 무선기지국(eNB)이, 이동국(UE)에 대하여, 측정규칙 지정 코맨드와는 별개로, 측정대상을 추가 혹은 삭제하도록 지정하는 측정대상 지정 코맨드를 송신하는 공정과, 무선기지국(eNB)이, 이동국(UE)에 대하여, 측정규칙과 측정대상과의 관련지음을 지정하는 맵핑지정 코맨드를 송신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방법 및 무선기지국 {MOBILE COMMUNICATION METHOD AND RADIO BASE STA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방법 및 무선기지국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상이한 주파수가 이용되고 있는 복수의 셀(주파수 셀)이 혼재하는 통신환경에 있어서, 이동국(UE)에 대한 이(異)주파수 핸드오버(handover)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통신 시스템이 규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3GPP에서 규정되고 있는 「LTE(Long Term Evolution)」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이동국(UE)이, 현재 통신중의 주파수 셀의 인접셀(이주파수 셀)에 있어서의 통신품질을 측정하고, 판정조건을 참조하여, 측정된 통신품질이 소정 통신품질을 만족한다고 판정한 경우, 그 뜻을 나타내는 측정보고(Measurement Report)를 무선기지국(eNB)에 대하여 송신하고, 무선기지국(eNB)이, 수신한 측정보고에 따라서, 당해 이동국(UE)에 대해서, 현재 통신중의 주파수 셀에서, 보다 통신품질이 좋은 다른 주파수 셀로, 이주파수 핸드오버를 수행해야한다는 뜻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LTE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은, 이미 전개되고 있는 UTRAN(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이나 GERAN(GSM EDGE Radio Access Network)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이라고 하는 다른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과 공존하고, 이들의 이동통신 시스템과의 사이의 모빌리티(mobility)를 서포트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이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제공되는 서비스나 전송속도나 무선효율 등에 차가 있으며, 유저의 계약조건이나 이용 서비스에 따라 통신에 최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이 다르다.
또한, LTE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은, 1.4MHz에서 20MHz의 다양한 대역폭을 서포트하기 위해, 대역폭이 다른 복수의 LTE 캐리어(주파수)가 존재하는 경우, 이용 서비스에 따라 최적인 주파수가 달라진다.
예를 들어, 대량의 데이터를 순시(瞬時)에 다운로드하고자 하는 서비스에서는, 광대역의 캐리어(주파수)가 바람직하지만, 음성 서비스나 머신(machine)간 통신과 같은 서비스에서는, 반드시 광대역 캐리어(주파수)를 이용할 필요는 없다.
또한, 이동통신 시스템(RAT) 간이나 캐리어(주파수) 간의 혼잡 정도에 따라서, 유연하게 RAT나 주파수를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유저의 계약조건이나 이용 서비스나 혼잡 정도에 따라서, RAT나 주파수를 유연하게 전환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며, 특히, RAT마다나 주파수마다 우선도(priority)를 지정할 수 있는 제어방법이 필요해진다.
그러나, 종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복수의 이동통신 시스템(RAT)이나 캐리어(주파수)의 사이에서, 그들의 우선도에 따라서, 상술의 판정조건을 유연하게 변경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이동국(UE)에 의해 측정보고를 송신해야하는지 아닌지에 대해서 판정하기 위한 판정조건에 대해서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는 이동통신방법 및 무선기지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제 1의 특징은, 이동통신방법으로서, 무선기지국이, 이동국에 대하여, 측정규칙을 추가 혹은 삭제하도록 지정하는 측정규칙 지정 코맨드를 송신하는 공정과, 상기 무선기지국이, 상기 이동국에 대하여, 상기 측정규칙 지정 코맨드와는 별개로, 측정대상을 추가 혹은 삭제하도록 지정하는 측정대상 지정 코맨드를 송신하는 공정과, 상기 무선기지국이, 상기 이동국에 대하여, 상기 측정규칙과 상기 측정대상과의 관련지음을 지정하는 맵핑지정 코맨드를 송신하는 공정과, 상기 이동국이, 상기 맵핑지정 코맨드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규칙과 상기 측정대상을 관련지어 기억하는 공정과, 상기 이동국이, 기억하고 있는 상기 측정대상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주파수가 이용되고 있는 이주파수 셀에 있어서의 통신품질의 측정을 수행하는 공정과, 상기 이동국이, 상기 통신품질의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대상에 관련지어져 있는 상기 측정규칙에 의해 정의되어 있는 판정조건이 만족된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무선기지국에 대하여 측정보고를 송신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은, 상기 측정규칙 지정 코맨드와 상기 측정대상 지정 코맨드와 상기 맵핑지정 코맨드를 동일의 시그널링으로 송신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제 1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이, 상기 맵핑지정 코맨드에 기초하는 상기 측정규칙과 상기 측정대상과의 관련지음을 삭제하는 공정을 포함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제 1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통신품질의 측정에는, 현재 통신중의 셀보다 높은 우선도의 주파수가 이용되고 있는 이주파수 셀에 있어서의 통신품질을 측정하는 제 1 측정과, 현재 통신중의 셀과 같은 우선도가 이용되고 있는 이주파수 셀에 있어서의 통신품질을 측정하는 제 2 측정과, 현재 통신중의 셀보다도 낮은 우선도의 주파수가 이용되고 있는 이주파수 셀에 있어서의 통신품질을 측정하는 제 3 측정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 1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정에 의해 측정된 통신품질에 기초하여 측정보고를 송신해야하는지 아닌지에 대해서 판정하기 위한 제 1 판정조건과, 상기 제 2 측정에 의해 측정된 통신품질에 기초하여 측정보고를 송신해야하는지 아닌지에 대해서 판정하기 위한 제 2 판정조건과, 상기 제 3 측정에 의해 측정된 통신품질에 기초하여 측정보고를 송신해야하는지 아닌지에 대해서 판정하기 위한 제 3 판정조건이 달라도 좋다.
본 발명의 제 2의 특징은, 무선기지국으로서, 이동국에 대하여, 측정규칙을 추가 혹은 삭제하도록 지정하는 측정규칙 지정 코맨드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측정규칙 지정 코맨드 송신부와, 상기 이동국에 대하여, 상기 측정규칙 지정 코맨드와는 별개로, 측정대상을 추가 혹은 삭제하도록 지정하는 측정대상 지정 코맨드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측정대상 지정 코맨드 송신부와, 상기 이동국에 대하여, 상기 측정규칙과 상기 측정대상과의 관련지음을 지정하는 맵핑지정 코맨드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맵핑지정 코맨드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국에 있어서, 기억되어 있는 상기 측정대상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주파수가 이용되고 있는 이주파수 셀에 있어서의 통신품질의 측정이 수행되며, 상기 이동국에 있어서, 상기 통신품질의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대상에 관련지어져 있는 상기 측정규칙에 의해 정의되어 있는 판정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 상기 무선기지국에 대하여 측정보고가 송신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측정대상 지정 코맨드 송신부 및 상기 맵핑지정 코맨드 송신부는, 상기 측정규칙 지정 코맨드와 상기 측정대상 지정 코맨드와 상기 맵핑지정 코맨드를 동일의 시그널링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 2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통신품질의 측정에는, 현재 통신중의 셀보다 높은 우선도의 주파수가 이용되고 있는 이주파수 셀에 있어서의 통신품질을 측정하는 제 1 측정과, 현재 통신중의 셀과 같은 우선도가 이용되고 있는 이주파수 셀에 있어서의 통신품질을 측정하는 제 2 측정과, 현재 통신중의 셀보다 낮은 우선도의 주파수가 이용되고 있는 이주파수 셀에 있어서의 통신품질을 측정하는 제 3 측정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 2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정에 의해 측정된 통신품질에 기초하여 측정보고를 송신해야하는지 아닌지에 대해서 판정하기 위한 제 1 판정조건과, 상기 제 2 측정에 의해 측정된 통신품질에 기초하여 측정보고를 송신해야하는지 아닌지에 대해서 판정하기 위한 제 2 판정조건과, 상기 제 3 측정에 의해 측정된 통신품질에 기초하여 측정보고를 송신해야하는지 아닌지에 대해서 판정하기 위한 제 3 판정조건이 달라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국의 기능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국에 기억되어 있는 Measurement Rule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국에 기억되어 있는 Measurement Object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의 기능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주파수 f1이 이용되고 있는 LTE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셀인 LTE셀 #1과, 주파수 f2가 이용되고 있는 LTE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셀인 LTE셀 #2와, 주파수 f3이 이용되고 있는 LTE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 셀인 LTE셀 #3과, 주파수 f4가 이용되고 있는 UTRAN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셀인 UTRAN셀 #1과, 주파수 f5가 이용되고 있는 UTRAN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셀인 UTRAN셀 #2와, 주파수(밴드) f6이 이용되고 있는 GERAN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셀인 GERAN셀 #1이 혼재해 있다.
도 1의 예에서는, 이동국(UE)은, LTE셀 #3과의 사이에서 통신중이며, LTE셀 #1, LTE셀 #2, UTRAN셀 #1, UTRAN셀 #2, GERAN셀 #1에 있어서 통신품질을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국(UE)은, Measurement Rule 지정 코맨드 수신부(11)와, Measurement Object 지정 코맨드 수신부(12)와, Mapping 지정 코맨드 수신부(13)와, 측정정보 기억부(14)와, 측정부(15)와, Measurement Report 송신부(16)를 구비하고 있다.
Measurement Rule 지정 코맨드 수신부(11)는, 방송신호 또는 개별신호를 통해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된 Measurement Rule 지정 코맨드(측정규칙 지정 코맨드)를 수신하고, 측정정보 기억부(14)에 있어서 「Measurement Rule(측정규칙)」의 추가 혹은 삭제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Measurement Rule(측정규칙)」은, 「Reporting Configuration」으로 불리어져도 좋다.
Measurement Rule은, 이동국(UE)에 대하여, 현재 통신중의 셀과 다른 주파수가 이용되고 있는 이주파수셀에 있어서의 통신품질의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Measurement Report를 송신해야 하는지 아닌지에 대해서 판정하기 위한 판정조건을 정의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상술의 Measurement Rule은, 「Measurement-ID」에 의해 식별되며, 「Event-Type」과 「파라미터」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판정조건을 정의한 것이다(도 3참조).
그리고, 「Measurement-ID」는, 당해 「Measurement Rule」에 의해 정의되는 판정조건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Event-Type」은, 당해 「Measurement Rule」에 의해 정의되는 판정조건이, 후술하는 제 1 판정조건 내지 제 3 판정조건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인지에 대해 나타내는 정보이다.
여기서, 제 1 판정조건은, 제 1 측정에 의해 측정된 통신품질에 기초하여 Measurement Report를 송신해야하는지 아닌지에 대해서 판정하기 위한 판정조건이며, 제 2 판정조건은, 제 2 측정에 의해 측정된 통신품질에 기초하여 Measurement Report를 송신해야 하는지 아닌지에 대해서 판정하기 위한 판정조건이며, 제 3 판정조건은, 제 3 측정에 의해 측정된 통신품질에 기초하여 Measurement Report를 송신해야하는지 아닌지에 대해서 판정하기 위한 판정조건이다.
또한, 제 1 측정은, 이동국(UE)이 현재 통신중의 셀보다 높은 우선도의 주파수가 이용되고 있는 이주파수 셀에 있어서 통신품질을 측정하는 것이며, 제 2 측정은, 이동국(UE)이 현재 통신중의 셀과 같은 우선도가 이용되고 있는 이주파수 셀에 있어서 통신품질을 측정하는 것이며, 제 3 측정은, 이동국(UE)이 현재 통신중의 셀보다 낮은 우선도의 주파수가 이용되고 있는 이주파수 셀에 있어서 통신품질을 측정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 측정이다.
예를 들어, 제 1 판정조건은, 이하의 (식1)에 나타낸 조건식에 기초하여 정의된다.
Figure 112010005406066-pct00001
또한, 제 2 판정조건은, 이하의 (식2)에 나타낸 조건식에 기초하여 정의된다.
Figure 112010005406066-pct00002
또한, 제 3 판정조건은, 이하의 (식3)에 나타낸 조건식에 기초하여 정의된다.
Figure 112010005406066-pct00003
「파라미터」는, 상술의 소정 문턱값(Th1 내지 Th3)이나 소정 오프셋값 등의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의 판정조건에 있어서, 측정대상 셀이나 현재 통신중의 셀에 있어서 통신품질의 측정결과에 대하여, 셀 고유의 보정값이 가미되어도 좋다. 이러한 보정값은, 특정의 셀로의 천이를 하기 쉬우며, 혹은, 특정의 셀로의 천이를 하기 어렵게 하기 위해 이용되며, 방송신호 또는 개별신호로 지정된다.
또한, 이러한 파라미터로서, 상술의 통신품질의 측정을 수행하는 타이밍(「Time to Trigger」)이나, Measurement Report를 송신하는 간격(「Reporting Interval」)이나, Measurement Report의 최대 송신회수(「Maximum Number of Reporting」) 등이 포함되어도 좋다.
또한, Measurement Rule 지정 코맨드 수신부(11)는, 특정의 Measurement Rule의 삭제를 지정하는 Measurement Rule 지정 코맨드를 수신한 경우, 측정정보 기억부(14)에 있어서, 이러한 특정의 Measurement Rule를을 삭제하는 것과 함께, 이러한 특정의 Measurement Rule과 특정의 Measurement Object와의 관련지음을 삭제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Measurement Object 지정 코맨드 수신부(12)는, 방송신호나 개별신호를 통해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된 Measurement Object 지정 코맨드(측정대상 지정 코맨드)를 수신하고, 측정정보 기억부(14)에 있어서 「Measurement Object(측정대상)」의 추가 혹은 삭제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Measurement Object 지정 코맨드 수신부(12)는, 특정의 Measurement Object의 삭제를 지정하는 Measurement Object 지정 코맨드를 수신한 경우, 측정정보 기억부(14)에 있어서, 이러한 특정의 Measurement Object를 삭제하는 것과 동시에, 이러한 특정의 Measurement Object와 특정의 Measurement Rule과의 관련지음을 삭제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Measurement Object는, 각 이동국(UE)에 대해서, 통신품질의 측정을 수행해야하는 주파수 및 당해 주파수의 우선도를 규정한 것이다.
Mapping 지정 코맨드 수신부(13)는, 방송신호 또는 개별신호를 통해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된 「맵핑 지정 코맨드(Mapping 지정 코맨드)」를 수신하고, 측정정보 기억부(14)에 있어서, 특정의 Measurement Rule과 특정의 Measurement Object를 관련짓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맵핑 지정 코맨드(Mapping 지정 코맨드)」는, 「Measurement Identities」로 불리어져도 좋다.
또한, Mapping 지정 코맨드 수신부(13)는, 특정의 Measurement Rule과 특정의 Measurement Object와의 관련지음(맵핑)의 삭제를 지정하는 Mapping 지정 코맨드를 수신한 경우, 측정정보 기억부(14)에 있어서, 이와 같은 관련지음의 삭제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측정정보 기억부(14)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Measurement Rule 지정 코맨드 수신부(11)에 의해 수신된 Measurement Rule을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측정정보 기억부(14)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Measurement Object 지정 코맨드 수신부(12)에 의해 수신된 Measurement Object를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4의 예에서는, 이동국(UE)이, 주파수 f3이 이용되고 있는 LTE셀 #3과의 사이에서 현재 통신중인 것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4의 예에서는, 「Measurement-ID=#1」에 의해 식별되는 판정조건을 이용하여, 주파수 f1이 이용되고 있는 LTE셀 #1에 있어서 통신품질에 기초하여 Measurement Report를 송신해야하는지 아닌지에 대해서 판정하고, 「Measurement-ID=#2, #3」에 의해 식별되는 판정조건을 이용하여, 주파수 f2가 이용되고 있는 LTE셀 #2에 있어서 통신품질에 기초하여 Measurement Report를 송신해야하는지 아닌지에 대해서 판정하고, 「Measurement-ID=#4」에 의해 식별되는 판정조건을 이용하여, 주파수 f4가 이용되고 있는 UTRAN 셀 #1에 있어서 통신품질에 기초하여 Measurement Report를 송신해야하는지 아닌지에 대해서 판정하고, 「Measurement-ID=#4」에 의해 식별되는 판정조건을 이용하여, 주파수 f5가 이용되고 있는 UTRAN셀 #2에 있어서의 통신품질에 기초하여 Measurement Report를 송신해야하는지 아닌지에 대해서 판정하고, 「Measurement-ID=#4」에 의해 식별되는 판정조건을 이용하여, 주파수(밴드) f6이 이용되고 있는 GERAN셀 #1에 있어서 통신품질에 기초하여 Measurement Report를 송신해야하는지 아닌지에 대해서 판정해야하는 뜻이 규정되어 있다.
측정부(15)는, 측정정보 기억부(14)에 기억되어 있는 Measurement Object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주파수가 이용되고 있는 이주파수 셀에 있어서의 통신품질의 측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측정부(15)는, 측정정보 기억부(14)에 기억되어 있는 Measurement Object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주파수가 이용되고 있는 이주파수 셀 중, Measurement Rule이 관련지어져 있는 모든 이주파수 셀(즉, 도 4에 도시되는 테이블에 있어서「Measurement-ID」가 설정되어 있는 모든 이주파수 셀)에 있어서의 통신품질의 측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Measurement Report 송신부(16)는, 측정부(15)에 의해 측정된 통신품질에 기초하여, 당해 Measurement Object에 관련지어져 있는 Measurement Rule에 의해 정의되어 있는 판정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 무선기지국(eNB)에 대하여, Measurement Report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Measurement Report 송신부(16)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정정보 기억부(14)에 기억되어 있는 Measurement Rule에 포함되는 「Measurement-ID」와 「Event-Type」과 「파라미터」에 의해 정의되는 판정조건을 이용하여, 당해 Measurement Rule에 관련지어져 있는 Measurement Object에 있어서의 통신품질에 기초하여 Measurement Report를 송신해야하는지 아닌지에 대해서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의 예에서는, Measurement Report 송신부(16)는, 「Measurement-ID=#1」에 의해 식별되는 판정조건을 이용하여 LTE셀 #1에 있어서의 통신품질에 기초하여 Measurement Report를 송신해야하는지 아닌지에 대해서 판정하고, 「Measurement-ID=#2, #3」에 의해 식별되는 판정조건을 이용하여 LTE셀 #2에 있어서의 통신품질에 기초하여 Measurement Report를 송신해야하는지 아닌지에 대해서 판정하고, 「Measurement-ID=#4」에 의해 식별되는 판정조건을 이용하여 UTRAN셀 #1에 있어서의 통신품질에 기초하여 Measurement Report를 송신해야하는지 아닌지에 대해서 판정하고, 「Measurement-ID=#4」에 의해 식별되는 판정조건을 이용하여 UTRAN 셀 #2에 있어서의 통신품질에 기초하여 Measurement Report를 송신해야하는지 아닌지에 대해서 판정하고, 「Measurement-ID=#4」에 의해 식별되는 판정조건을 이용하여 GERAN셀 #1에 있어서의 통신품질에 기초하여 Measurement Report를 송신해야하는지 아닌지에 대해서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Measurement Report 송신부(16)는, 우선도가 높은 주파수가 이용되고 있는 셀로부터 순차적으로, 상술의 판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하나 또는 소정 수의 Measurement Report를 송신한 후는, 상술의 판정을 수행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Measurement Report 송신부(16)는, (식1) 내지 (식3)에 나타낸 제 1 판정조건 내지 제 3 판정조건의 추형(雛形)을 미리 기억하며, 상술의 「Event-Type」에 의해 특정되어 있는 제 1 판정조건 내지 제 3 판정조건의 추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한 판정조건의 추형에 대하여, 상술의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파라미터(소정 문턱값 등)에 대입한 것을, 상술의 판정에 이용하는 판정조건으로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케이스에서는, Measurement Report 송신부(16)는, 「Event-Type=B1」에 대응하는 (식1)에 나타낸 제 1 판정조건의 추형에 대하여, 「Event-Type=B1」에 관련지어져 있는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파라미터(소정 문턱값(Th1))을 대입한 것을, 상술의 판정에 이용하는 판정조건으로 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Measurement Report 송신부(16)는, 「Event-Type=B2」에 대응하는 (식2)에 나타낸 제 2 판정조건의 추형에 대하여, 「Event-Type=B2」에 관련지어져 있는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파라미터(소정 오프셋값)를 대입한 것을, 상술의 판정에 이용되는 판정조건으로 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Measurement Report 송신부(16)는, 「Event-Type=B3」에 대응하는 (식3)에 나타낸 제 3 판정조건의 추형에 대하여, 「Event-Type=B3」에 관련지어져 있는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파라미터(소정 문턱값(Th2, Th3))를 대입한 것을, 상술의 판정에 이용되는 판정조건으로 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이러한 판정조건의 추형은, 상술의 (식1) 내지 (식3)에 나타낸 것 이외여도 좋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eNB)은, 트리거 검출부(21)와, Measurement Rule 지정 코맨드 송신부(22)와, Measurement Object 지정 코맨드 송신부(23)와, Mapping 지정 코맨드 송신부(24)를 구비하고 있다.
트리거 검출부(21)는, 특정의 이동국(UE)에 대하여 Measurement Rule 지정 코맨드나 Measurement Object 지정 코맨드나 Mapping 지정 코맨드를 송신하는 트리거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트리거로서는, 특정의 이동국(UE)이 「Idle 상태」로부터 「Active 상태」로 천이한 것이나, 특정의 이동국(UE)이 이주파수 핸드오버를 수행한 것이나, 특정의 이동국(UE)과 당해 특정의 이동국이 현재 통신중의 셀과의 사이의 통신상황이 소정조건을 만족시킨 것 등이 상정된다.
Measurement Rule 지정 코맨드 송신부(22)는, 트리거 검출부(21)에 의해, 특정의 이동국(UE)에 대하여 Measurement Rule 지정 코맨드를 송신하는 트리거가 검출된 경우, 「Measurement-ID」와 「Event-Type」과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Measurement Rule 지정 코맨드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Measurement Rule 지정 코맨드 송신부(22)는, 특정의 이동국(UE) 내의 측정정보 기억부(14)에 대하여, Measurement Rule의 추가 혹은 삭제를 지정하는 Measurement Rule 지정 코맨드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Measurement Object 지정 코맨드 송신부(23)는, 트리거 검출부(21)에 의해, 특정의 이동국(UE)에 대하여 Measurement Object 지정 코맨드를 송신하는 트리거가 검출된 경우, Measurement Rule 지정 코맨드와는 별개로, 「RAT」와 「주파수」와 「우선도」를 포함하는 Measurement Object 지정 코맨드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Measurement Object 지정 코맨드 송신부(23)는, 특정의 이동국(UE) 내의 측정정보 기억부(14)에 대하여, Measurement Object의 추가 혹은 삭제를 지정하는 Measurement Object 지정 코맨드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Mapping 지정 코맨드 송신부(24)는, 특정의 이동국(UE)에 대하여, 상술의 Measurement Rule과 Measurement Object와 관련짓기 위한 Mapping 지정 코맨드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Mapping 지정 코맨드 송신부(24)는, 하나의 「주파수」와, 하나의 「우선도」, 하나 또는 복수의 「Measurement-ID」를 포함하는 Mapping 지정 코맨드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혹은, Mapping 지정 코맨드 송신부(24)는, 하나의 「Measurement-ID」와, 하나 또는 복수의 「주파수」를 포함하는 Mapping 지정 코맨드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그리고, Measurement Object 지정 코맨드 송신부(23) 및 Mapping 지정 코맨드 송신부(24)는, 특정의 이동국(UE)에 대하여, 동일의 시그널링(방송신호 혹은 개별신호)으로, Measurement Rule 지정 코맨드와 Measurement Object 지정 코맨드와 Mapping 지정 코맨드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어, 이러한 동일의 시그널링으로서,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Message」가 이용되어도 좋다.
또한, Measurement Object 지정 코맨드 송신부(23) 및 Mapping 지정 코맨드 송신부(24)는, 특정의 이동국(UE)에 대하여, 다른 시그널링(방송신호 혹은 개별신호)으로, Measurement Object 지정 코맨드 및 Mapping 지정 코맨드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이동국(UE)의 핸드오버 시에는, Measurement Rule 지정 코맨드 송신부(22)가, 핸드오버를 트리거하는 코맨드에 의해, 핸드오버 목적지의 셀에서 이용해야하는 Measurement Rule를 지정하기 위한 Measurement Rule 지정 코맨드를 송신하고, Measurement Object 지정 코맨드 송신부(23)가, 핸드오버를 트리거하는 코맨드에 의해, 핸드오버 목적지의 셀에서 이용해야하는 Measurement Object를 지정하기 위한 Measurement Object 지정 코맨드를 송신하고, Mapping 지정 코맨드 송신부(24)가, 핸드오버를 트리거하는 코맨드에 의해, 상술의 Measurement Rule과 Measurement Object를 맵핑하기 위한 Mapping 지정 코맨드를 송신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동작)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계 S1001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B)의 트리거 검출부(21)는, 이동국(UE)이 「Idle 상태」로부터 「Active 상태」로 천이한 것을 검출한다.
단계 S1002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B)의 Measurement Rule 지정 코맨드 송신부(22)가, 이동국(UE) 내의 측정정보 기억부(14)에 대하여, Measurement Rule를 추가하도록 지정하는 Measurement Rule 지정 코맨드를 송신하고, 무선기지국(eNB)의 Measurement Object 지정 코맨드 송신부(23)가, 이동국(UE) 내의 측정정보 기억부(14)에 대하여, Measurement Object를 추가하도록 지정하는 Measurement Object 지정 코맨드를 송신하고, 무선기지국(eNB)의 Mapping 지정 코맨드 송신부(24)가, 당해 Measurement Rule 지정 코맨드에 의해 추가하도록 지정된 각 Measurement Rule과 당해 Measurement Object 지정 코맨드에 의해 추가하도록 지정된 각 Measurement Object를 관련짓도록 지정하는 Mapping 지정 코맨드를 송신한다.
단계 S1003에 있어서, 이동국(UE)의 Measurement Rule 지정 코맨드 수신부(11)가, 수신한 당해 Measurement Rule 지정 코맨드에 의해 추가하도록 지정된 각 Measurement Rule을 측정정보 기억부(14)에 추가하고(도 3참조), 이동국(UE)의 Measurement Object 지정 코맨드 수신부(12)가, 수신한 당해 Measurement Object 지정 코맨드에 의해 추가하도록 지정된 각 Measurement Object를 측정정보 기억부(14)에 추가하고(도 4 참조), 이동국(UE)의 Mapping 지정 코맨드 수신부(13)가, 측정정보 기억부(14)에 있어서, 당해 Measurement Rule의 각각과 당해 Measurement Object의 각각을 관련짓는다.
단계 S2001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B)의 트리거 검출부(21)는, 이동국(UE)과 당해 이동국(UE)이 현재 통신중의 셀과의 사이의 통신상황의 변화 A를 검출한다.
단계 S2002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B)의 Measurement Rule 지정 코맨드 송신부(22)가, 이동국(UE) 내의 측정정보 기억부(14)에 대하여, Measurement Rule을 추가 혹은 삭제하도록 지정하는 Measurement Rule 지정 코맨드를 송신하고, 무선기지국(eNB)의 Mapping 지정 코맨드 송신부(24)가, 각 Measurement Rule과 각 Measurement Object와의 관련지음의 변화를 통지하기 위한 Mapping 지정 코맨드를 송신한다.
단계 S2003에 있어서, 이동국(UE)의 Measurement Rule 지정 코맨드 수신부(11)가, 측정정보 기억부(14)에 있어서, 수신한 당해 Measurement Rule 지정 코맨드에 의해 추가 혹은 삭제하도록 지정된 각 Measurement Rule을 추가 혹은 삭제하고(도 3 참조), 이동국(UE)의 Mapping 지정 코맨드 수신부(13)가, 측정정보 기억부(14)에 있어서, 당해 Measurement Rule의 각각과 당해 Measurement Object의 각각과의 관련지음을 변경한다.
단계 S3001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B)의 트리거 검출부(21)는, 이동국(UE)과 당해 이동국(UE)이 현재 통신중의 셀과의 사이의 통신상황의 변화 B를 검출한다.
단계 S3002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B)의 Measurement Object 지정 코맨드 송신부(23)가, 이동국(UE)내의 측정정보 기억부(14)에 대하여, Measurement Object를 추가 혹은 삭제하도록 지정하는 Measurement Object 지정 코맨드를 송신하고, 무선기지국(eNB)의 Mapping 지정 코맨드 송신부(24)가, 각 Measurement Rule과 각 Measurement Object와의 관련지음의 변화를 통지하기 위한 Mapping 지정 코맨드를 송신한다.
단계 S3003에 있어서, 이동국(UE)의 Measurement Object 지정 코맨드 수신부(12)가, 측정정보 기억부(14)에 있어서, 수신한 당해 Measurement Object 지정 코맨드에 의해 추가 혹은 삭제하도록 지정된 각 Measurement Object를 추가 혹은 삭제하고(도 4참조), 이동국(UE)의 Mapping 지정 코맨드 수신부(13)가, 측정정보 기억부(14)에 있어서, 당해 Measurement Rule의 각각과 당해 Measurement Object의 각각과의 관련지음을 변경한다.
단계 S4001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B)의 트리거 검출부(21)는, 이동국(UE)이 이주파수 핸드오버를 수행한 것을 검출한다.
단계 S4002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B)의 Mapping 지정 코맨드 송신부(24)가, 각 Measurement Rule과 각 Measurement Object와의 관련지음의 변화를 통지하기 위한 Mapping 지정 코맨드를 송신한다.
단계 S4003에 있어서, 이동국(UE)의 Mapping 지정 코맨드 수신부(13)가, 측정정보 기억부(14)에 있어서, 당해 Measurement Rule의 각각과 당해 Measurement Object의 각각과의 관련지음을 변경한다.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작용ㆍ효과)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 따르면, Measurement Rule 지정 코맨드 및 Measurement Object 지정 코맨드를 따로 송신할 수 있으므로, 이동국(UE)에 의해 Measurement Report를 송신해야하는지 아닌지에 대해서 판정하기 위한 판정조건에 대해서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의 이동국(UE)이나 무선기지국(eNB)의 동작은, 하드웨어에 의해 실시되어도 좋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에 의해 실시되어도 좋으며, 양자의 조합에 의해 실시되어도 좋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나, 플래시 메모리나, ROM(Read Only Memory)나,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이나,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이나, 레지스터나, 하드디스크나, 리무벌(removal) 디스크나, CR-ROM인 임의형식의 기억매체 내에 제공되어도 좋다.
이러한 기억매체는, 프로세서가 당해 기억매체에 정보를 읽고 쓸 수 있도록, 당해 프로세서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기억매체는, 프로세서에 집적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이러한 기억매체 및 프로세서는, ASIC 내에 제공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ASIC은, 이동국(UE) 및 무선기지국(eNB) 내에 제공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이러한 기억매체 및 프로세서는, 디스크리트(discrete) 컴포넌트로서 이동국(UE) 및 무선기지국(eNB) 내에 제공되어도 좋다.
이상, 상술의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중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 태양(態樣)으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대하여 어느 제한적인 의미를 가지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일본국 특허출원 제 2008-290205호(2008년 11월 12일 출원)의 전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원 명세서에 통합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국(UE)에 의해 측정보고를 송신해야하는지 아닌지에 대해서 판정하기 위한 판정조건에 대해서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는 이동통신방법 및 무선기지국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1)

  1. 무선기지국이, 이동국에 대하여, 측정규칙을 추가 혹은 삭제하도록 지정하는 측정규칙 지정 코맨드를 송신하는 공정과,
    상기 무선기지국이, 상기 이동국에 대하여, 상기 측정규칙 지정 코맨드와는 별개로, 측정대상을 추가 혹은 삭제하도록 지정하는 측정대상 지정 코맨드를 송신하는 공정과,
    상기 무선기지국이, 상기 이동국에 대하여, 상기 측정규칙과 상기 측정대상과의 맵핑을 지정하는 맵핑지정 코맨드를 송신하는 공정과,
    상기 이동국이, 상기 맵핑지정 코맨드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규칙과 상기 측정대상을 맵핑하여 기억하는 공정과,
    상기 이동국이, 기억하고 있는 상기 측정대상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주파수가 이용되고 있는 다른 주파수 셀에 있어서의 통신품질의 측정을 수행하는 공정과,
    상기 이동국이, 상기 통신품질의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대상에 맵핑되어 있는 상기 측정규칙에 의해 정의되어 있는 판정조건이 만족된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무선기지국에 대하여 측정보고를 송신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은, 상기 측정규칙 지정 코맨드와 상기 측정대상 지정 코맨드와 상기 맵핑지정 코맨드를 동일의 시그널링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이, 상기 맵핑지정 코맨드에 기초하는 상기 측정규칙과 상기 측정대상과의 맵핑을 삭제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품질의 측정에는, 현재 통신중의 셀보다 높은 우선도의 주파수가 이용되고 있는 다른 주파수 셀에 있어서의 통신품질을 측정하는 제 1 측정과, 현재 통신중의 셀과 같은 우선도가 이용되고 있는 다른 주파수 셀에 있어서의 통신품질을 측정하는 제 2 측정과, 현재 통신중의 셀보다도 낮은 우선도의 주파수가 이용되고 있는 다른 주파수 셀에 있어서의 통신품질을 측정하는 제 3 측정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정에 의해 측정된 통신품질에 기초하여 측정보고를 송신해야하는지 아닌지에 대해서 판정하기 위한 제 1 판정조건과, 상기 제 2 측정에 의해 측정된 통신품질에 기초하여 측정보고를 송신해야하는지 아닌지에 대해서 판정하기 위한 제 2 판정조건과, 상기 제 3 측정에 의해 측정된 통신품질에 기초하여 측정보고를 송신해야하는지 아닌지에 대해서 판정하기 위한 제 3 판정조건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방법.
  6. 이동국에 대하여, 상기 이동국이 통신품질을 측정하는 셀에서 사용되는 주파수를 정의하는 측정대상을 추가 혹은 삭제하도록 지정하는 측정대상 지정 코맨드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측정대상 지정 코맨드 송신부와,
    상기 이동국에 대하여, 상기 측정대상 지정 코맨드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이동국이 측정보고를 무선기지국으로 송신할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조건을 정의하는 측정규칙을 추가 혹은 삭제하도록 지정하는 측정규칙 지정 코맨드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측정규칙 지정 코맨드 송신부와,
    상기 이동국에 대하여, 상기 측정규칙과 상기 측정대상과의 맵핑을 지정하는 맵핑지정 코맨드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맵핑지정 코맨드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지국.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대상 지정 코맨드 송신부 및 상기 맵핑지정 코맨드 송신부는, 상기 측정규칙 지정 코맨드와 상기 측정대상 지정 코맨드와 상기 맵핑지정 코맨드를 동일의 시그널링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지국.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이, 상기 측정보고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국이 다른 주파수 핸드오버를 수행할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방법.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은, 상기 측정보고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국이 다른 주파수 핸드오버를 수행할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지국.

KR1020107001827A 2007-11-21 2008-11-20 이동통신방법 및 무선기지국 KR1009847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302132 2007-11-21
JP2007302132 2007-11-21
JP2008290205A JP4328825B2 (ja) 2007-11-21 2008-11-12 移動通信方法及び無線基地局
JPJP-P-2008-290205 2008-11-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2537A KR20100022537A (ko) 2010-03-02
KR100984794B1 true KR100984794B1 (ko) 2010-10-04

Family

ID=40917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1827A KR100984794B1 (ko) 2007-11-21 2008-11-20 이동통신방법 및 무선기지국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7890094B2 (ko)
EP (1) EP2173125B1 (ko)
JP (3) JP4328825B2 (ko)
KR (1) KR100984794B1 (ko)
CN (2) CN105472652A (ko)
AU (1) AU2008327139B2 (ko)
BR (1) BRPI0815364B1 (ko)
CA (2) CA2690704C (ko)
MX (1) MX2010001587A (ko)
RU (2) RU2416175C1 (ko)
SG (1) SG172619A1 (ko)
WO (1) WO20090667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90130A1 (en) 2007-09-28 2022-11-16 Pantech Wireles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terminating transmission of a message in an enhanced random access channel
EP2208383B1 (en) 2007-10-25 2020-11-25 Signal Trust for Wireless Innovation Method, apparatuses and system for management and setup of enhanced mac-e/es resources
JP4328825B2 (ja) * 2007-11-21 2009-09-0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方法及び無線基地局
RU2474079C2 (ru) 2008-01-02 2013-01-27 Интердиджитал Пэйтент Холдингз, Инк.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выбора соты
CN101925108A (zh) * 2009-06-10 2010-12-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长期演进系统中测量配置的修改方法及装置
CN101932046B (zh) * 2009-06-19 2013-11-06 华为技术有限公司 对小区进行测量上报的方法、设备及系统
US8494453B2 (en) * 2009-11-03 2013-07-23 Htc Corporation Method of handling measurement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WO2011079210A1 (en) * 2009-12-23 2011-06-3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Ferforming measurements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ing multiple carriers
KR20140021057A (ko) 2010-01-07 2014-02-19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 무선 기지국, 무선 통신 방법 및 프로그램
JP4875761B2 (ja) * 2010-04-30 2012-02-1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ユーザ装置及び方法
JP5068842B2 (ja) * 2010-04-30 2012-11-0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ユーザ装置及び方法
JP5031869B2 (ja) * 2010-06-21 2012-09-2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方法
JP2012147048A (ja) 2011-01-06 2012-08-02 Ntt Docomo Inc 無線基地局装置、移動端末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EP2675210A1 (en) * 2011-02-07 2013-12-18 Nec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same, as well as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for same
GB2490311B (en) * 2011-04-18 2015-08-26 Intel Corp Communication between a user equipment and a base station
CN102781031B (zh) * 2011-05-12 2017-06-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用户设备的测量方法和系统
JP5692399B2 (ja) * 2011-09-21 2015-04-01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無線端末及び通信制御方法
CN104754615B (zh) * 2013-12-30 2019-01-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测量配置方法、装置及基站
US20170034709A1 (en) * 2014-04-09 2017-02-02 Ntt Docomo, Inc. Measurement control method and base station
JP5735682B2 (ja) * 2014-05-23 2015-06-17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基地局装置、移動端末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2016143916A (ja) * 2015-01-29 2016-08-08 ソニー株式会社 装置
JP2016174284A (ja) * 2015-03-17 2016-09-29 アンリツ株式会社 移動端末試験装置とそのセル追加方法
MX2018015694A (es) * 2016-06-22 2019-05-27 Ericsson Telefon Ab L M Ubicacion de enlaces candidatos por una terminal inalambrica.
ES2892075T3 (es) * 2017-02-01 2022-02-02 Telefonica Germany Gmbh & Co Ohg Método para la priorización de mediciones de vecino de inter-RAT por medio de adición secuencial retardada de vecinos a la configuración de medició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45917B1 (en) * 1999-05-19 2002-09-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obile station measurements with event-based reporting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7674A (en) * 1993-08-09 1996-05-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Low capacity mobile assisted handoff in a cellular communications network
FI106285B (fi) * 1998-02-17 2000-12-29 Nokia Networks Oy Mittausraportointi tietoliikennejärjestelmässä
AU1759199A (en) * 1998-12-07 2000-06-26 Nokia Networks Oy Cell load control method and system
US6845238B1 (en) * 1999-09-15 2005-01-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nter-frequency measurement and handover for wireless communications
DE10245118A1 (de) * 2002-09-27 2004-04-08 Siemens Ag Verfahren zum Betrieb eines Mobilfunksystems, Mobilfunksystem, Mobilstation sowie Einrichtung zum Bestimmen einer Teilgruppe von benachbarten Funkzellen eines Mobilfunksystems
CN100502589C (zh) * 2003-09-18 2009-06-17 华为技术有限公司 移动通信系统的越区切换的方法和装置
JP2008290205A (ja) 2007-05-25 2008-12-04 Nsk Ltd アンギュラ玉軸受の差幅研削方法及び差幅研削装置
JP4328825B2 (ja) * 2007-11-21 2009-09-0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方法及び無線基地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45917B1 (en) * 1999-05-19 2002-09-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obile station measurements with event-based repor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8327139A1 (en) 2009-05-28
EP2173125A4 (en) 2011-08-03
BRPI0815364B1 (pt) 2018-03-06
RU2521441C2 (ru) 2014-06-27
RU2416175C1 (ru) 2011-04-10
AU2008327139B2 (en) 2013-01-24
US20100234015A1 (en) 2010-09-16
CN105472652A (zh) 2016-04-06
KR20100022537A (ko) 2010-03-02
JP4328825B2 (ja) 2009-09-09
SG172619A1 (en) 2011-07-28
CA2743614A1 (en) 2009-05-28
MX2010001587A (es) 2010-03-15
CN101779486A (zh) 2010-07-14
JP2011109713A (ja) 2011-06-02
US20110098034A1 (en) 2011-04-28
BRPI0815364A2 (pt) 2015-02-10
RU2010150680A (ru) 2012-06-20
CA2743614C (en) 2014-04-01
JP2009147920A (ja) 2009-07-02
JP2009165157A (ja) 2009-07-23
EP2173125A1 (en) 2010-04-07
EP2173125B1 (en) 2012-08-22
JP4685948B2 (ja) 2011-05-18
US7890094B2 (en) 2011-02-15
WO2009066724A1 (ja) 2009-05-28
CA2690704A1 (en) 2009-05-28
US8086230B2 (en) 2011-12-27
CA2690704C (en) 2011-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4794B1 (ko) 이동통신방법 및 무선기지국
AU2008327141B2 (en) Mobile sta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method
US8644224B2 (en) Mobile communication method, mobile station, and radio base station
EP2572537B1 (en) Minimizing measurements during carrier aggreg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123985B2 (ja) 無線基地局及び移動通信方法
KR101219656B1 (ko) 이동통신방법, 무선기지국 및 이동국
US20130100829A1 (en) Radio base station, mobile station,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20160353442A1 (en) User apparatus, base station, and carrier aggregation control method
US8811976B2 (en) Mobile communication method, mobile station, and radio base s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9